KR100620538B1 -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방법 및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및 기록 및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방법 및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및 기록 및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538B1
KR100620538B1 KR1020050128179A KR20050128179A KR100620538B1 KR 100620538 B1 KR100620538 B1 KR 100620538B1 KR 1020050128179 A KR1020050128179 A KR 1020050128179A KR 20050128179 A KR20050128179 A KR 20050128179A KR 100620538 B1 KR100620538 B1 KR 10062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data
music
server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2555A (ko
Inventor
기세이 마츠모토
민재 한
다쿠야 가에리야마
츠토무 이마이
세이치 인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2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19/12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involving the detection of an identification or authentication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기록 및 재생장치는 통신부, 독출부, 저장부, 제어부 그리고 출력부를 갖는다. 통신부는 다수의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센터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독출부는 다수의 데이터와 다수데이터의 색인데이터(index data)를 기록하는 기록매체로부터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독출부에 의해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는 저장부에 저장된다.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정보센터로부터 데이터가 독출부에 의해 독출되는 기록매체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부에 의해 독출된 기록매체의 부가데이터로서 독출된 부가정보를 저장부로 기입한다.출력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와 부가데이터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 방법 및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및 기록 및 재생장치 {A method for transferring content data from a first apparatus to a second apparatus and a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뮤직서버(music server)와 뮤직서버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뮤직서버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CD-ROM에 의해 독출된 음악데이터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록될때까지 신호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 독출된 압축음악데이터가 재생처리되고, 단말에 출력될 때까지의 신호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의 다른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CD의 음악데이터를 뮤직서버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록할 경우에 처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8a와 8b는 CD의 음악데이터를 고속으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록할 경우에 어카운팅처리(accounting process)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데이터의 이동처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뮤직서버의 입력조작부 8. 뮤직서버의 CPU
9. CD-ROM드라이브 10. 뮤직서버의 HDD(하드디스크드라이브)
11. 뮤직서버의 DRAM 12. 뮤직서버의 압축엔코더
19. 외부통신망 20. 모뎀
21. 뮤직서버의 압축디코더 26. 뮤직서버의 LCD
34, 35. 인터페이스 40. 버스
50. 뮤직서버(music server) 60. 인터넷서버(internet server)
70.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
106.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의 HDD
108.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의 엔코더
115.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의 압축엔코더
120.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의 LCD
200. 스위칭회로
본 발명은 기록 및 재생장치 그리고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갖는 기록 및 재생장치 그리고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다수의 CD(Compact Disc)를 수납하고, CD의 자동재생을 행하는 소위 CD체인저가 실용화되어 왔다. 그러한 CD체인저에서는 수십 내지 수백매의 CD가 하나의 케이스에 수납되고, 소정의 동작에 의해 선택된 CD의 재생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CD의 재생은 매CD마다 실행가능하거나 또는 다수의 CD가 선택되고, 또한 랜덤재생(random reproduction)은 CD단위 또는 기록된 곡단위로 실행할 수 있다. CD체인저는 주로 고정적으로 사용되고, 즉 룸(room)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한편, 휴대용 오디오데이터 재생장치로서, 최근에는 거의 64mm의 지름을 갖는 광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를 이용하는 장치가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그러한 휴대용 오디오데이터 재생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상표명)로 불리우는 압축기술에 의해 압축되어 광자기디스크에 기록된다. 그러한 기술은 압축된 디지털데이터로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기록하기때문에 음질의 열화가 적고, 디스크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하기때문에 랜덤재생이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CD체인저에서 자동적인 재생에서조차도 CD의 교환시간이 발생하기때문에 연속적인 재생을 실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100∼200매의 CD가 수납된 CD체인저는 하나의 케이스가 크고, 무거운 문제점이 있고, 운반 및 설치가 매우 불편하다.
상술한 휴대용 오디오데이터 기록장치에서조차도 광자기디스크에 일단 기록이 되어 재생할 경우에, 랜덤재생 또는 정상적인 재생은 기록된 광자기디스크의 범위에서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수의 광자기디스크에서 랜덤재생과 곡지정재생에 있어 매번 광자기디스크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항상 다수의 광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를 휴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CD체인저에서 다수의 CD가 수납가능할지라도 수납된 CD와 CD에 기록된 곡의 표제 등에 관한 음악정보를 자동적으로 인출하는 수단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곡의 표제 등에 관한 이러한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밖에 없었다.
더욱이, 예를 들면 CD체인저로부터 다른 오디오장치(기록매체)로의 더빙처리(dubbing process)에 있어서, 상술한 광자기디스크는 단지 CD의 재생속도로서 행해지고, 1개 CD의 더빙을 행할때 조차도 오랜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부, 독출부, 저장부, 제어부 그리고 출력부를 포함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통신부는 다수의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센터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독출부는 다수의 데이터와 그러한 다수의 데이터의 색인데이터(index data)를 기록하는 기록매체로부터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독출부에 의해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는 저장부에 저장된다.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정보센터로부터 데이터를 독출부에 의해 독출하는 기록매체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부가정보를 독출부에 의해 독출된 기록매체의 부가데이터로서, 독출된 부가정보를 저장부에 기입한다. 출력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와 부가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공급부와 기록 및 재생부를 포함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다수의 부가정보는 정보공급부에 저장된다. 기록 및 재생부는 정보공급부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기록 및 재생부는 통신부, 독출부, 저장부, 제어부 그리고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통신부는 정보공급부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독출부는 다수의 데이터와 그러한 다수의 데이터의 색인데이터(index data)가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독출부에 의해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는 저장부에 저장된다.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정보센터로부터 데이터를 독출부에 의해 독출하는 기록매체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부가정보를 독출부에 의해 독출된 기록매체의 부가데이터로서 저장부에 기입한다. 출력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와 부가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출부, 제 1 저장부, 재생부, 제 2 저장부 그리고 제어부을 포함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독출부는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독출부에 의해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는 제 1 저장부에 저장된다. 재생부는 제 1 저장부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제 1 저장부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는 제 2 저장부에 저장된다. 제어부는 제 1 저장부으로부터 독출되고,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에서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가 또한 상기 제 1저장부으로부터 독출되는 것을 금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기록 및 재생부를 포함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제 1 기록 및 재생부는 독출부, 제 1 저장부, 재생부 그리고 제어부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독출부는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독출부에 의해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는 저장부에 저장된다. 재생부는 제 1 저장부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제어부는 독출부, 제 1 저장부, 재생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 2 기록 및 재생부는 제 1 저장부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가 저장된 제 2 저장부을 갖는다. 제어부는 또한 제 1 저장부으로부터 독출된 제 1 저장부의 데이터로부터 독출되고, 제 1 저장부에서 제 2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제 1 저장부으로부터 독출되는 것을 금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데이터는 기록 및 재생장치로부터 단말장치에 공급된다. 단말장치는 저장부, 재생부 그리고 제어부를 갖는다. 기록 및 재생장치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는 저장부에 저장된다. 재생부는 저장부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제어부는 저장부로부터 독출되고, 저장부 로부터 기록 및 재생장치에 공급되는 데이터를 삭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출부, 저장부, 재생부, 통신부 그리고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독출부는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독출부에 의해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는 저장부에 저장된다. 재생부는 저장부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통신부는 저장부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송신한다. 제어부는 또한 저장부로부터 독출되고, 독출부의 데이터에 의해 저장부으로부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에서 통신부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작을 금지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특징과 다른 목적은 이후에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청구된 청구항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의 예를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뮤직서버와 뮤직서버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뮤직서버(50)는 서버메인몸체(51)와 좌우측스피커부(52R, 52L)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페널과 CD를 서버메인몸체(51)에 삽입하기 위한 CD삽입부(54)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53)는 서버메인몸체(51)에 제공되어 있다.
비록 도 1에 생략되었을지라도, 사용자에 의해 서버메인몸체(51)의 기능을 동작하기 위한 다수의 동작스위치를 포함하는 동작부는 서버메인몸체(51)에 제공된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에 의해 서버메인몸체(51)의 기능을 원격동작하기 위한 적외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가 또한 제공된다. 서버메인몸체(51)는 이후에 설명될 제어기를 갖는다. 서버메인몸체(51)의 다양한 동작이 예를 들면 미리 ROM에 저장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사용자는 CD삽입부(54)를 통하여 CD(55)를 서버메인몸체(51)에 장착하고, 동작부(도시생략)를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CD(55)를 재생한다. 스피커부(52L, 52R)에 의해 CD(55)로부터 재생된 재생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사용자는 CD(55)상에 기록된 음악을 즐길 수 있다. CD(55)가 뮤직표제 등과 같은 텍스트데이터를 포함할 경우에, 뮤직표제 등은 텍스트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부(53)에 표시된다.
뮤직서버(50)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에 의해 큰 양의 기록매체를 갖는다. 동작부(도시생략)를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CD삽입부(54)로부터 서버메인몸체(51)에 장착된 CD(55)에서 재생된 재생데이터는 하드디스크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 예에서, CD(55)의 표준재생속도와 같은 전송속도(transfer speed)에서 기록의 방식과 CD(55)의 표준재생속도보다 더 빠른 전송속도에서 기록하기 위한 고속기록방식중의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고속전송속도에서 기록의 경우에, 소정의 절차에 의해 어카운팅처리를 행함으로써, 원하는 CD가 선택가능하거나 또는 CD상에 기록된 원하는 곡이 선택가능하게 되어 CD로부터 재생된 음악데이터(콘텐츠데이터)로서 재생데이터가 CD의 재생속도보다 더 빠른 전송속도에서 기록될 수 있다.
뮤직서버(50)에서, CD(55)로부터 재생된 음악데이터는 상술한 ATRAC등과 같 은 소정의 방식에 의해 압축음악데이터에 압축이 엔코드되어 기록된다. 예를 들면, 약 1000곡의 음악데이터가 6GByte의 양을 갖는 하드디스크에 기억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에 기억되거나 뮤직표제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부(53)상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3)에서 표시된 뮤직표제의 목록을 기초로 하여 하드디스크상에 기억되거나 저장된 곡중의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고, 재생할 수 있다. 랜덤액세스(random access)는 하드디스크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기억되거나 저장된 다수의 음악데이터는 임의의 순서에 따라서 독출되어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다양한 방식이 압축엔코딩에 사용가능할지라도, 예를 들면 미국특허번호(5717821)에 공개된 바와 같은 방식이 본 발명의 실시의 예에서 사용되었다. 이 방식은 상술한 휴대용 오디오데이터 재생장치에서 사용된 압축엔코딩시스템으로서 ATRAC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방식이다. 본질적으로 청취에 기초한 마스킹효과와 최소의 청취가능한 주파수한계를 이용함으로써 그리고 변형코딩(transform coding)과 엔트로피코딩(entropy coding)을 이용함으로써, 오디오데이터는 압축이 엔코드된다. 엔코딩 및 디코딩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하드웨어에 의해 고음질을 유지하는 동안 고속으로 행해질 수 있다.
뮤직서버(50)는 외부시스템 예를 들면 공중전화선과 같은 통신라인(61)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된 서버로서 인터넷서버(60)에 접속할 수 있다. 뮤직서버(50)로부터 통신라인(61)을 통하여 인터넷서버(60)에 접속함으로써 인터넷상에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서버(60)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뮤직 CD의 표제정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갖는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특별한 키를 할당하여 특별한 키를 동작함으로써, CD에 부가된 데이터 예를 들면 CD의 표제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인터넷서버(60)에서, 뮤직서버(50)에 대한 어카운팅처리는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에 따라서 실행된다. CD(55)의 상술한 고속기록이 행해질 경우에, 뮤직서버(50)는 인터넷서버(60)에 고속기록의 실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하여 고속기록을 행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어카운팅처리가 행해지고, CD 또는 곡의 선택이 가능하고, 고속기록을 실행할 수 있다.
어카운팅처리가 CD의 많은 양의 부가정보를 갖는 인터넷서버(60)에 의해 실행될지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술한 어카운팅처리는 또한 인터넷에 접속된 다른서버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상술한 어카운팅처리는 다른 통신망 예를 들면 인터넷과는 다른 전용통신망에 의해 또한 실행될 수 있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는 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갖는다. 다른 저장매체 또는 기록매체는 또한 뮤직의 재생속도를 따르는 한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를 접속라인(71)에 의한 뮤직서버(50)에 접속함으로써 뮤직서버(50)에 기록된 음악데이터는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송신되고,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뮤직서버(50)측상에서,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전송 된 음악데이터가 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메모리와 같은 저장매체상에 존재할지라도 데이터가 재생 불가능한 상태로 설정된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서 사용된 저장매체 또는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약 200MByte의 양을 가지고, 수십곡의 음악데이터가 기억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플래시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소자 또는 저장매체와 디스크 기록매체등과 같은 기록매체는 일반적으로 저장매체 또는 저장미디어라고 불리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술한 전송방식, 즉, 그와 같은 작용은 음악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음악데이터는 전송지측에 저장매체와 이동소스측상에 저장매체에 기록되고, 이동된 음악데이터가 저장매체상에 존재할지라도, "이동"이라고 불리우는 재생불가능한 상태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함으로써 음악데이터의 무제한의 복사를 방지할 수 있다.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가 상기 실시의 예에서 접속라인(71)에 의해 접속될지라도 본 발명은 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대하여 상호 대응하는 연결부를 제공하고,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를 뮤직서버(50)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허용데이터(enabling data)가 전송되고,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사이에서 수신된다. 예를 들면, 송신 및 수신데이터에 대하여 적외선신호에 의하여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에 따라서 전기적 접속인터페이스가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대하여 제공되는 것 외에도, 음악데이터는 또한 적외선신호에 의해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사이에 서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뮤직서버(50)에 대하여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미디어에 대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뮤직서버(50)에 대하여 PC카드(80)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PC카드(80)에 의해 분배된 음악데이터가 뮤직서버(50)에 인출가능하거나 또는 데이터가 PC와 뮤직서버(50)사이에서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뮤직서버(50)에 대하여 광케이블 등에 의한 시리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음악데이터는 64mm의 지름을 갖는 소광자기디스크를 이용하는 디스크레코더(81)와 같은 다른 디지털 음악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로부터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다. 이 예에서, 상술한 소광자기디스크가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82)는 디스크레코더(81)에 장착되고, 디스크 카트리지(82)의 광자기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음악데이터가 뮤직서버(50)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IEEE 1394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공급되고, 예를 들면 CATV(Cable Television)에 대한 셋탑박스(set top box)(83), 인공위성방송등에 접속할 수 있다.
PC카드는 PC에 대하여 미국 PCMCIA(Personal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와 일본의 JEIDA(Japanese Electronic Industry Development Association)의 공통적인 법규에 의해 카드형 컴퓨터주변장치의 표준을 따른다. IEEE 1394는 미국의 전기, 전자표준협회(Electrical & Electronics Standards Engineers Association)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표준이다.
뮤직서버(50)는 구축된 시스템의 응용으로서, WWW(World Wide Web) 브라우저(browser)를 갖는다. 통신라인(61)을 통하여 인터넷서버(60)에 접속함으로써, 인터넷상에 존재하고, 예를 들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에 의해 설명되는 다양한 내용이 검색되고, 디스플레이부(53)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서 예를 들면 사용자는 뮤직서버(50)에 기억되고, 저장된 음악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고, 그것을 스피커부(52L, 52R)에 의해 청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CD삽입부(54)를 통하여 뮤직서버(50)에 CD(55)를 장착하고, CD(55)를 재생할 수 있다.
뮤직서버(50)와 인터넷서버(60)사이에서 통신함으로써, CD삽입부(54)를 통하여 뮤직서버(50)에 로드(load)된 CD(55)의 표제정보 등은 통신라인(61)을 통하여 인터넷서버(60)로부터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인터넷서버(60)로부터 얻어진 정보는 뮤직서버(50)에서 유지된다. 유지된 표제정보는 필요에 따라 뮤직서버(50)의 디스플레이부(53)상에 표시된다.
상세히 말하면, 사용자에게 특별한 뮤직서버(50)등의 사용자 ID 데이터와 같은 정보(이후에 사용자정보라고 한다)는 뮤직서버(50)으로부터 인터넷서버(60)에 보내진다. 인터넷서버(60)상에서 조회처리(collating process)와 어카운팅처리는 수신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행된다.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CD의 미디어정보 또는 재생되는 CD는 뮤직서버(50)로부터 인터넷서버(60)에 보내진다. 인터넷서버(60)에서는, 수신된 미디어정보를 기초로 하여 예를 들면 음악데이터에 대하여 곡표제, 플레이어의 이름, 작곡/작사가의 이름, 가사, 커버의 이미지등과 같은 부가된 정보가 검색된다. 인터넷서버(6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요구된 CD에 관한 소정의 정보가 뮤직서버(50)에 되돌아 온다.
예를 들면 CD(55)의 TOC(Table of Contents)정보는 미디어정보로서 인터넷서버(60)에 보내진다. 상술된 음악데이터에 대하여 부가된 정보를 검색가능한 데이터베이스는 TOC정보를 기초로 하여 인터넷서버(60)에 구축된다. 부가된 정보는 또한 인터넷상에 다른WWW서버를 검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인터넷서버(60)는 미디어정보로서 수신된 TOC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음악데이터의 부가된 정보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TOC정보에 포함된 각 음악곡의 시간정보를 기초로 하여 검색가능하고, CD(55)에서 기록할 수 있다.
검색에 의해 얻어진 부가적인 정보는 인터넷서버(60)로부터 뮤직서버(50)에 보내진다. 뮤직서버(50)에서는, 수신된 부가적인 정보가 디스플레이부(53)에서 표시되고, 예를 들면 이후에 설명되는 CPU(8)에 의해 CD(55)의 TOC정보와 함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입된다. 검색된 부가적인 정보를 HTML파일로 저장하여 인터넷서버(60)로부터 보냄으로써, 부가적인 정보는 뮤직서버(50)에서 구축된 WWW브라우저 소프트웨어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인터넷상에 다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부가적인 정보에서 설명될 경우에 뮤직서버(50)에서 다른 URL에 의해 표시된 인터넷상에서 홈페이지등에 접속가능하다.
또한, 인터넷서버(60)와 뮤직서버(50)사이에 데이터를 통신함으로써, CD삽입부(54)를 통하여 뮤직서버(50)에 로드된 CD(55)에 음악데이터는 CD(55)에 지정된 표준재생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뮤직서버(50)의 저장매체에 기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개 CD(55)의 음악데이터를 약 2분동안 기록할 수 있다. 인터넷서버 (60)와 뮤직서버(50)사이에 통신이 행해지지 않을 경우에, 음악데이터는 CD(55)의 지정된 표준재생속도와 같은 속도 즉 1회의 속도에서 뮤직서버(50)의 저장매체에 기록된다.
접속라인(71)에 의해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를 접속함으로써, 뮤직서버(50)가 송수신가능하고, 음악데이터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뮤직서버(50)에서 기록 또는 저장된다. 수신된 음악데이터는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의해 재생가능하고, 예를 들면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가 접속라인(71)에 의해 접속되지 않을 지라도 헤드폰에 의해 청취할 수 있다. 수신되어 이동된 데이터는 뮤직서버(50)에서 재생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된다.
도 2는 뮤직서버(50)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첫째로, 뮤직서버(50)에서는, 버스에 의해 상호 접속된 일반적인 PC, 램(RAM)(5), 롬(ROM)(6), 플래시메모리(7), CPU(8)의 결합구조와 같은 방식이 제공된다. CPU(8)는 버스(40)에 접속된다. CPU(8)는 제어기로서의 기능을 하고, 뮤직서버(5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뮤직서버(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미리 롬(6)에 저장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뮤직서버(50)에서, CPU(8)는 이후에 설명되는 입력조작부(1)의 동작에 따르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경우에 사용되는 데이터영역과 태스크영역(task area)은 램(5)과 플래시메모리(7)에서 일시적으로 확보된다. 프로그램로더(program loader)는 롬(6)에 저장되어 있고, 그 프로그램은 또한 롬(6)의 프로그램 로더에 의해 플래시메모리(7)에 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조작부(1)는 다수의 푸시형(push type) 및 회전형(rotrary type)조작키와 이들 조작키등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입력조작부(1)는 상기의 유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조그다이얼(jog dial)과 LCD상에 터치페널(touch panel)이라 불리우는 회전푸시형의 조작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압력을 가함으로써 응답하는 스위칭장치가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입력조작부(1)의 동작에 따른 신호가 버스(40)를 통하여 CPU(8)에 공급된다. CPU(8)에서 뮤직서버(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입력조작부(1)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형성된다. 뮤직서버(50)는 CPU(8)에 의해 형성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동작한다.
적외선 인터페이스(IrDA I/F) 드라이브(3)및/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드라이브(4)는 버스(40)에 접속된다. 키보드(2)는 드라이버(3, 4)에 통신 또는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보드(2)를 사용함으로써, 기록된 음악데이터에 따른 곡명, 아티스트의 성명등이 쉽게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인터페이스 드라이브(3) 또는 USB 드라이브(4)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될 수 있다. 적외선 인터페이스 드라이브(3)와 USB드라이버(4)는 또한 생략할 수 있다.
CD-ROM드라이브(9)는 버스(40)에 접속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CD삽입부(54)로부터 삽입된 CD(55)는 CD-ROM드라이브(9)에 장착된다. CD-ROM드라이브(9)에서 음악데이터는 지정된 표준재생속도로 장착된 CD(55)로부터 독출된다. CD-ROM드라이브(9)에서 CD(55)의 음악데이터는 예를 들면 지정된 표준재생속도의 16 또는 32배속으로 지정된 표준재생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독출할 수 있다.
CD-ROM드라이브(9)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음악데이터가 저장되는 다른 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 예를 들면 광자기디스크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에 따라서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카드에 따른 드라이브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CD-ROM드라이브(9)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는 음악데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데이터, 텍스트데이터, 프로그램데이터등이 또한 독출될 수 있다.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이후에 간단히 HDD라 한다)(10)는 버스에 접속된다. CD-ROM드라이브(9)로부터 독출된 음악데이터는 HDD(10)에 기록된다. HDD(10)에 음악데이터를 기록하는 처리의 이전 처리로서 CD-ROM드라이브(9)에 의해 독출되는 음악데이터는 오디오에 대한 버스(40)와 DRAM(11)을 통하여 압축엔코더(12)에 공급된다.
압축엔코더(12)에서 음악데이터의 압축엔코딩처리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번호(5717821)등에서 공개된 상술한 압축방식에 의해 실행된다. 압축엔코더(12)에 의한 음악데이터의 압축속도에 따라서 CPU(8)의 제어를 기초로 하여 저속과 고속의 2개의 속도가 설정된다. 저속압축속도는 CD-ROM드라이브(9)에서 CD(55)에 대하여 지정된 표준재생속도에 따른다. 고속압축속도는 CD-ROM드라이브(9)에서 CD(55)에 대하여 지정된 표준재생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 예를 들면 2배이상의 재생속도에 따른다. 예를 들면, CD-ROM드라이브(9)에 의해 CD(55)의 재생속도에 따라서 압축속도가 스위치된다. 예를 들면, 압축엔코더(12)에서는 압축속도에 따 르는 엔코딩 알고리즘이 구동된다.
압축엔코더(12)에서 압축속도의 변화방식은 상술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압축엔코더(12)의 클럭주파수를 스위칭함으로써 또한 변화할 수 있다. 다른 하드웨어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고속압축이 행해지는 압축엔코더(12)에서는 처리가 줄어들므로써 저속압축에 따르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엔코더(12)에 의해 압축이 엔코드된 압축음악데이터는 DRAM(11)을 통하여 HDD(10)에 기록되고, 축척된다.
압축엔코더(12)에 의해 압축이 엔코드된 압축음악데이터가 HDD(10)에 축척되어 구성되었을지라도, CD-ROM드라이브(9)로부터 독출된 음악데이터는 또한 HDD(10)에 직접 공급할 수 있고, HDD(10)의 하드디스크에 기록 및 축척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단자(13)에 접속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증폭기(14)를 통하여 입력된 오디오신호와 라인입력단자(15)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는 A/D변환기(6)를 통하여 압축엔코더(12)에 공급된다. 이들 오디오신호는 엔코더(12)에 의해 압축이 엔코드가능하고, HDD(10)에 기록할 수 있다. 더욱이, 광디지털신호는 IEC 958(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958)엔코더(18)를 통하여 광디지털 입력단자(17)로부터 압축엔코더(12)에 공급된다. 광디지털신호로서 공급된 오디오신호는 또한 엔코더(12)에 의해 압축이 엔코드가능하고, HDD(10)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될 수 있다.
압축엔코더(12)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번호(5717821)에서 공개된 바와 같이 엔코딩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가 상기에 나타나 있을지라도 본 발명은 상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압축엔코더(12)에서는 정보가 압축되는 엔코딩 알고리즘일 경우에는 어떤 다른 알고리즘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엔코더(12)는 또한 MPEG(moving picture coding experts group), PASC(precision adaptive sub-band coding), TwinVQ(trade name), RealAudio(trade name) 또는 LiquidAudio(trade name)와 같은 엔코딩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모뎀(20)은 버스(40)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공중전화라인, 케이블TV 또는 무선통신과 같은 외부통신망(19)이 모뎀(20)에 접속된다. 뮤직서버(50)는 모뎀(20)에 의해 외부통신망(19)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뮤직서버(50)는 외부통신망(19)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된다. 뮤직서버(50)와 원거리 인터넷서버(60)사이에 통신이 실행된다. 뮤직서버(50), 사용자에게 어카운팅정보등에 미리주어진 CD-ROM드라이브(9), 사용자 ID데이터 그리고 사용자정보에 로드된 CD(55)에 관한 정보로서 미디어정보와 같은 요구신호와 다양한 정보는 뮤직서버(50)로부터 인터넷서버(60)에 송신된다.
미디어정보, 사용자정보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는 인터넷서버(60)에 송신된다. 사용자ID등과 같은 수신된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하여 인터넷서버(60)는 조회처리와 어카운팅처리를 행한다. 수신된 미디어정보를 기초로 하여 음악데이터의 부가적인 정보가 검색되어, 뮤직서버(50)에 되돌아 온다.
음악데이터의 부가적인 정보가 반환된 예가 여기에 나타내어 있을지라도, 음악데이터는 또한 사용자에 의한 요구를 기초로 하여 외부통신망(19)로부터 직접 공급된다. 즉, 사용자가 뮤직서버(50)를 사용함으로써 인터넷서버(60)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download: 올려받기)할 수 있다. 음악데이터는 또한 미디어정보에 따라서 다운받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소정의 CD(55)의 보너스트렉이 송신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압축엔코더(12)에 의해 압축이 엔코드되고, HDD(10)에서 기록 및 축적되는 압축음악데이터가 재생을 위해 HDD(10)로부터 판독될 경우에, 버스(40)를 통하여 압축디코더(21)에 공급된다. HDD(10)로부터 판독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압축엔코딩은 압축디코더(21)에 의해 압축을 해제하고, 그 결과의 데이터가 D/A변환기(22)와 증폭기(23)를 통하여 단자에 출력된다. 데이터는 단자(24)로부터 스피커부(52L, 52R)에 공급되고, 음악이 재생된다. 도 2에서는 생략되었을지라도 D/A변환기(22)로부터 시작해서 증폭기(23)를 통하여 단자(24)에 도달하는 경로로서, 2개의 경로가 입체음향의 출력에 따라서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2개의 단자(24)는 또한 입체음향의 오디오에 따라서 제공된다.
압축디코더(21)에서는, 압축엔코더(12)에서 사용된 엔코딩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디코딩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압축디코더(21)와 상술한 압축엔코더(12)는 또한 하드웨어없이 CPU(8)에 의해 소프트웨어처리로서 실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3)를 구성하는 액정디스플레이소자(이후에 간단히 LED라 말한다)가 LED구동회로(즉 LED드라이버)(25)를 통하여 버스(40)에 접속된다. 인출된 제어신호는 CPU(8)로부터 버스(40)를 통하여 LCD구동회로(25)에 공급된다. 공급된 인출제어신호를 기초로 하여 LCD(26)는 LCD구동회로(25)에 의해 구동되고, 소정의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부(53)에서 실행된다.
예를 들면, 뮤직서버(50)의 동작메뉴는 LCD(26)상에서 표시된다. 예를 들면, HDD(10)에서 기록 및 축적되는 압축음악데이터의 타이틀목록은 LCD(26)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LCD(26)상에서 디스플레이된 타이틀목록에 대하여 인터넷서버(60)로부터 송신된 부가적인 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얻어진 데이터를 기초로 한 데이터가 HDD(10)상에서 저장되기 때문에 HDD(10)상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가 실행된다. 예를 들면, 선택 및 재생된 압축음악데이터에 따른 폴더(folder) 또는 표지이미지가 인터넷서버(60)로부터 송신된 부가적인정보를 기초로 하여 LCD(26)상에서 또한 디스플레이된다.
LCD(26)상에 디스플레이를 기초로 한 입력조작부(1) 또는 키보드(2)의 포인팅소자를 조작함으로써 CPU(8)는 지시된 음악데이터의 재생제어를 행한다. 외부장치에 선택된 음악데이터의 삭제 또는 선택된 음악데이터의 복사 또는 이동의 제어가 LCD(26)의 디스플레이를 기초로 하여 또한 실행된다. 예를 들면, 입력조작부(1)가 LCD(26)상에 제공된 터치페널(tough panel)일 경우 LCD(26)의 디스플레이에 따라서 터치페널을 누름으로써 뮤직서버(50)의 조작이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HDD(10)에서 기록 및 축적된 음악데이터는 인터페이스로서 LCD(26)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조작 및 제어된다.
첫번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뮤직서버(50)와 외부일반정보장치사이에 인터페이스로서 IEEE 1394와 pc카드에 따른다. IEEE 1394 인터페이스(28)는 IEEE 1394 드라이버(29)를 통하여 버스(40)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PC카드슬롯(31)은 PC카드드라이버(30)를 통하여 버스(40)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데이터의 송수신은 IEEE1394 인터페이스(28)에 의해 뮤직서버(50)와 PC사이에서 행해질 수 있다. 음악데이터는 인공위성방송, IEEE1394 인터페이스(28)에 의해 약 64mm의 지름을 갖는 소광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trade name), 디지털 비디오테이프등에 대하여 IRD(Integrated Receiver/Decoder)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PC카드슬롯(31)에 PC카드를 장착함으로써 외부저장소자 또는 다른 미디어소자 또는 모뎀, 단말어뎁터, 포획보드(capture board)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터주변기기의 확장이 쉽게 실행된다.
인터페이스(34)는 뮤직서버(50)와 부합하는 다른 기록 및 재생장치사이에 음악데이터등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면 상술된 도 1에 나타낸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는 다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뮤직서버(50)가 또한 다른 기록 및 재생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34)는 인터페이스 드라이버(33)를 통하여 버스(40)에 접속된다. 인터페이스(34)와 함께 한 부분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35)는 부합하는 다른 기록 및 재생장치에 대하여 제공된다. 예를 들면 전기적으로 소정의 접속라인(71)에 의해 인터페이스(34, 35)를 접속함으로써 HDD(10)에 기록 및 축적된 음악데이터는 뮤직서버(50)로부터 다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도 3은 CD-ROM드라이브(9)에 의해 독출된 음악데이터가 HDD(10)에서 기록될때까지의 신호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CD-ROM드라이브(9)로부터 독출된 음 악데이터는 버스(40)를 통하여 버퍼메모리(buffer memory)로서 DRAM(11)에 한번 저장된다. 음악데이터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DRAM(11)으로부터 독출되고, 버스(40)를 통하여 압축엔코더(12)에 공급된다. 압축엔코더(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CD-ROM드라이브(9)의 재생속도에 따라서 소정의 압축속도가 설정된다. 음악데이터는 압축엔코더(12)에 의해 압축을 엔코드하고, 버퍼메모리로서 DRAM(11)에 다시한번 저장된다. 소정의 타이밍으로 DRAM(11)로부터 독출된 압축음악데이터는 버스(40)를 통하여 HDD(10)에 공급되고, HDD(10)의 디스크에 기록된다. 본 예에서, CD-ROM드라이브(9)에 의해 재생된 CD(55)의 TOC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서버(60)에 송신되고, 인터넷서버(60)로부터 송신된 CD(55)의 부가적인 정보가 또한 HDD(10)의 디스크에 저장되고, CD(55)로부터 독출된 음악데이터를 기초로 한 압축음악데이터와 함께 CPU(8)에 의해 1개의 데이터로서 조작된다.
도 4는 HDD(10)로부터 독출된 압축음악데이터가 재생처리되고, 단자(24)에 공급될때까지의 신호흐름을 나타낸다. HDD(10)로부터 독출된 압축음악데이터는 버스(40)를 통하여 버퍼메모리로서 DRAM(11)에 한번 저장된다. 압축음악데이터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DRAM(11)으로부터 독출되고, 버스(40)를 통하여 압축디코더(21)에 공급된다. 압축음악데이터는 압축디코더(21)에 의해 압축해제되고, 압축엔코딩이 해제되고, 그 결과의 데이터가 D/A변환기(22)에 음악데이터로서 공급된다. 음악데이터는 D/A변환기(22)에 의해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되고, 증폭기(23)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된 신호는 단자(24)에 재생출력으로서 공급된다. 만약 스피커가 단자(24)에 접속될 경우에 스피커에 의해 재생된 뮤직을 즐길 수 있 다. 이 예에서, 압축음악데이터와 함께 HDD(10)의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부가적인 정보는 CPU(8)등에 의해 디코드되고, 곡 타이틀등이 디스플레이부(53)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5는 다른 기록 및 재생장치로서 사용된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는 상술된 도 2에 나타낸바와 같이 뮤직서버(50)와 유사한 구조이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대하여 뮤직서버(50)측상에 인터페이스(34)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측상에 인터페이스(35)는 보통 분리되고, 휴대되어 독립된 부분으로 사용된다.
첫번째,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서 상호 버스에 의해 접속된 일반적인 PC, 램(103), 롬(104) 그리고 CPU(105)의 구성과 같은 방식으로 제공된다. 플래시메모리는 또한 뮤직서버(50)의 구성과 같은 방식으로 제공된다. CPU(105)는 버스(130)에 접속된다. CPU(105)는 제어기로서의 기능을 하고,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전체적인 조작은 CPU(105)에 의해 제어된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미리 롬(104)에 저장되어 있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서 이후에 설명할 입력조작부(102)에 따른 동작은 그러한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실행된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경우에 사용되는 데이터영역과 테스크영역은 램(103)에서 일시적으로 확보된다.
예를 들면 입력조작부(102)는 다수의 푸시형 및 회전형조작키와 이들 조작키에 의해 조작되는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입력조작부(102)는 그러한 유형에 한정되지 않고, 이후에 설명하는 조그다이얼, LCD상에 터치페널이라 불리우는 회전푸시형 조작장치등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누룸으로써 응답하는 기계적인 스위칭장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입력조작부(102)의 조작에 따른 신호가 버스(130)를 통하여 CPU(105)에 공급된다. CPU(105)는 입력조작부(102)의 조작키를 조작함으로써 생성된 출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한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동작이 스위치되고, CPU(105)에 의해 형성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동작이 제어된다.
뮤직서버(50)에서, HDD(10)로부터 독출되고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로 송신되는 음악데이터는 인터페이스(34, 35)와 인터페이스(34, 35)를 접속하는 접속라인를 통하여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공급된다. 동시에, 음악데이터의 송수신이 지시된 부가적인 정보가 또한 송신이 지시된 음악데이터와 함께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송신된다. 상호 부합하는 부착부가 각각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대하여 제공되는 경우에, 인터페이스(34, 35)는 직접 접속되고, 음악데이터는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사이에서 송신된다. 더욱이, IrDA에 의해 인터페이스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와 뮤직서버(50) 양쪽에 제공될 경우에 음악데이터는 적외선 신호에 의해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사이에서 송수신된다.
뮤직서버(50)로부터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송신 및 공급된 음악데이터는 버스(130)를 통하여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음악데이터 기록매체로서 인터페이스 드라이버(101)로부터 HDD(106)에 공급되고, HDD(106)의 하드디스크 에 기록된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음악데이터기록매체는 HDD(106)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광자기디스크와 같은 어떤 다른 기록매체가 또한 그것이 음악데이터의 재생속도를 따를 수 있는 한 음악데이터기록매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음악데이터기록매체로서 예를 들면 수십곡의 음악이 약 200MByte의 메모리량을 갖는 매체를 사용함으로써 기록될 수 있다. 뮤직서버(50)로부터 송신된 음악데이터와 음악데이터의 부가적인 정보가 또한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HDD(106)의 디스크에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HDD(106)에 송수신 및 기록된 음악데이터는 뮤직서버(50)에서 이미 압축엔코드된 압축음악데이터이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서 본 발명은 그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압축엔코드되지 않은 음악데이터가 제공되고, HDD(106)의 하드디스크에 또한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뮤직서버(50)의 CD-ROM드라이브(9)에 장착된 CD(55)로부터 재생 및 독출된 음악데이터가 직접 인터페이스 드라이버(101)를 통하여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공급된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경우에 기록가능한 음악데이터의 수가 크게 한정되는 것을 분명히 이해할 것이다.
HDD(106)의 하드디스크에 음악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처리의 이전처리로서 공급된 음악데이터가 버스(130)에 접속된 오디오에 대하여 DRAM(107)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DRAM(107)으로부터 독출된 음악데이터는 버스(130)를 통하여 압축엔 코더(108)에 공급된다. 압축엔코더(108)는 뮤직서버(50)에서 압축엔코더(12)와 같은 엔코딩 알고리즘에 의해 음악데이터의 압축엔코딩처리를 실행한다. 압축엔코더(108)에 의해 압축엔코드된 압축음악데이터는 DRAM(107)에 공급되고, DRAM(107)에 다시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결국, DRAM(107)에 저장된 압축음악데이터가 독출되어 HDD(106)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HDD(10)에서 축적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이동이 지시되고, 그 데이터가 뮤직서버(50)에서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송수신될 경우에, HDD(10)의 압축음악데이터가 HDD(10)상에 데이터로서 존재할지라도 그것은 HDD(10)으로부터 독출불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재생된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로 이동된 압축음악데이터는 이동소스측상에 기록매체 즉 뮤직서버(50)의 HDD(10)에 다시 반환되어 이동소스측상 즉 뮤직서버(50)에서 재생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뮤직서버(50)로 반환된 압축음악데이터는 이동수신지측상에 기록매체로서 사용하는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HDD(106)의 하드디스크로부터 삭제된다.
본 예에서 단자(109)에 접속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증폭기(110)를 통하여 입력된 오디오신호와 라인입력단자(111)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는 A/D변환기(112)를 통하여 압축엔코더(108)에 공급된다. 압축엔코딩처리는 압축엔코더(108)에 의해 A/D변환기(112)로부터 제공된 오디오신호에 행해지고, HDD(106)에 기록될 수 있다. 더욱이, 광디지털신호는 IEC 958엔코더(114)를 통하여 광디지털 입력단자(113)로부터 압축엔코더(108)에 공급된다. 광디지털신호로서 공급된 오디오신호 는 압축엔코더(108)에 의해 압축엔코딩처리가 될 수 있는 것이고, HDD(106)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될 수 있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가 단지 압축된 음악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하여 단지 휴대용 재생장치만을 독출하는 한 상술된 A/D변환기(112), 엔코더(108)등이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압축음악데이터는 재생을 위하여 HDD(106)로부터 독출되어 버스(130)를 통하여 압축디코더(115)에 공급된다. 감압처리가 공급된 압축음악데이터에 행해지고, 압축엔코딩이 압축디코더(115)에 의해 해제된 음악데이터는 D/A변환기(116) 및 증폭기(117)를 통하여 단자(118)에 출력된다. 예를 들면, 헤드폰(72)은 단자(118)에 접속된다. 사용자는 헤드폰(72)을 착용함으로써 재생된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D/A변환기(116)로부터 시작하여 증폭기(117)를 통하여 단자(118)에 도달하는 신호경로로서 2개의 경로는 L채널 및 R채널에서 입체음향출력에 따라서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2개의 단자(118)는 또한 L채널 및 R채널의 입체음향오디오에 따라서 제공된다.
LCD(120)는 LCD구동회로(즉 LCD드라이버)(119)를 통하여 버스(130)에 접속된다. 인출제어신호는 버스(130)를 통하여 CPU(105)로부터 LCD구동회로(119)에 공급되고, LCD(120)는 공급된 인출제어신호를 기초로 하여 구동되고, 소정의 디스플레이가 LCD(120)에 실행된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조작매뉴, HDD(106)상에 저장된 음악데이터의 표제목록등은 LCD(120)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HDD(106)에서 저장된 음악데이터로부터 선택 및 재생된 음악데이터에 따른 폴더 또는 표지이미지는 또한 HDD(106)상에 저장된 부가적인 정보를 기초로 한 LCD(120)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LCD(120)의 디스플레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조작부(102)의 포인팅장치를 조작함으로써 HDD(106)상에 저장된 압축음악데이터에 1개의 압축음악데이터가 선택 및 재생된다. 삭제, 복사 그리고 선택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이동의 제어는 LCD(120)의 디스플레이를 기초로 하여 또한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LCD(120)의 디스플레이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조작부(102)의 터치페널을 누룸으로써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입력조작이 행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HDD(106)상에 기록된 압축음악데이터가 인터페이스로서 LCD(120)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기록, 재생등이 제어된다.
도 5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는 배터리에 의해 구동된다. 이런 목적으로 전원공급원으로서 일반적인 제 2 배터리 또는 건전지를 사용하는 전원부가 제공되고, 충전부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대해 제공된다.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가 직접적으로 접속라인 또는 접속부에 의해 접속될 경우에 음악데이터가 송신되고, 전원이 뮤직서버로부터 충전부에 공급되고,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제 2 배터리가 충전된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제 2 배터리는 또한 외부충전전원에 의해 충전된다. 전원공급원으로서 건전지와 제 2 배터리를 사용하는 충전전원에 의해 전원의 단지 하나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상술한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다. 도 6에서, 상술된 도 5에서와 공통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에 의해 나타내고, 그 들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된 도 5의 구성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낸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서 스위칭회로(200)는 HDD(또는 플래시 메모리)(106a)와 버스(130)사이에 삽입된다. 스위칭회로(200)의 1개의 선택단자(200a)와 또 다른 선택단자(200b)가 인터페이스(35)에 접속된다. HDD(106a)는 스위칭회로(200)에 의해 버스(130)로부터 분리된다.
압축음악데이터가 뮤직서버(50)로부터 송신될 경우에 단자는 선택단자(200b)에 스위치되거나 선택단자(200b)는 스위칭회로(200)에서 선택된다. 뮤직서버(50)의 HDD(106a)와 버스(40)는 직접 인터페이스(34, 35)를 통하여 접속된다. HDD(106a)는 뮤직서버(50)의 CPU(8)로부터 볼 경우 뮤직서버(50)의 기록매체인것처럼 보인다. HDD(106a)의 직접적인 제어는 뮤직서버(50)의 CPU(8)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압축음악데이터의 이동, 복사등이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사이에서 쉽게 실행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첫째로 뮤직서버(50)에 의해 단독으로 행해지는 기능을 설명한다. 도 7은 CD-ROM드라이브(9)에 장착된 CD(55)의 음악데이터가 뮤직서버(50)의 HDD(10)의 디스크에 기록될 경우에 처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 1단계(S10)에서,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HDD(10)에 CD의 음악데이터의 기록요구를 기다린다. 예를 들면 기록요구가 입력조작부(1)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경우에 처리경로는 단계(S11)로 진행한다. 단계(S11)에서 한번의 검사는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기록동작이 "고속기록동작" 또는 "이전속도로 기록동작"인가를 알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기록동작요구가 상술된 단계(S10)에서 나타날 경우에 기록방식 즉 고속으로 기록하기 위한 모드이거나 또는 이전의 속도에서 기록하기 위한 모드인가를 사용자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여기 사용된 "이전속도로 기록동작"은 지정된 표준속도로 CD(55)를 독출하고, HDD(10)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여기에 사용된 "고속기록"은 지정된 표준속도보다 2배이상의 속도로 CD(55)를 독출하고, HDD(10)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고속기록동작"이 단계(S11)에서 나타낸 경우에 처리과정은 단계(S12)로 진행하고, 뮤직서버(50)와 인터넷서버(60)의 어카운팅시스템이 작동된다. 뮤직서버(50)와 인테넷서버(60)의 어카운팅시스템에 의한 처리에 대해서 이후에 설명한다. 뮤직서버(50)의 어카운팅시스템에 의한 어카운팅처리가 행해질 경우에 "고속기록동작"이 인터넷서버(60)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허용되고, 처리과정은 단계(S13)으로 진행하고, 고속압축처리가 압축엔코더(12)에서 작동된다. 처리과정은 단계(S15)로 진행한다.
"이전속도로 기록동작"이 단계(S11)에서 명령될 경우에 처리과정은 단계(S14)로 진행하고, 저속압축처리가 압축엔코더(12)에서 작동된다. 처리과정은 단계(S15)로 진행한다.
단계(S15)에서 CD-ROM드라이브(9)는 CPU(8)의 제어를 기초로 한 소정의 속도로 구동되고, CD-ROM드라이브(9)에 장착된 CD(55)에서 기록된 음악데이터가 독출된다. 독출된 음악데이터는 압축엔코더(12)에 의해 압축을 엔코드하고, HDD(10)에 송신되어 HDD(10)의 디스크에 기록된다.
단계(S16)에서는 CD(55)로부터 HDD(10)에 독출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된것이 판단될 경우에, CD-ROM드라이브(9)로부터 HDD(10)에 데이터의 이동은 다음 단계(S17)에서 금지된다. 압축엔코더(12)의 압축처리는 또한 다음 단계(S18)에서 멈춘다.
도 8a와 8b는 도 7의 상술한 플로우챠트의 단계(S12)에서 어카운팅시스템의 어카운팅처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어카운팅처리는 뮤직서버(50)와 인터넷서버(60)사이에 데이터통신을 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8a는 뮤직서버(50)에서 어카운팅처리시스템에서 어카운팅처리를 나타내고, 도 8b는 인터넷서버(60)에서 어카운팅처리시스템에 어카운팅처리를 나타낸다.
어카운팅처리가 시작될 경우에 도 8a의 단계(S20)에서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뮤직서버(50)와 인터넷서버(60)사이에 통신이 시작된다. 단계(S21)에서 뮤직서버(50)와 인터넷서버(60)사이에 통신이 설립될 경우에 뮤직서버(50)와 인터넷서버(60)사이에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형성되고, 처리과정은 단계(S22)로 진행한다.
단계(S22)에서 CD-ROM드라이브(9)에 장착된 CD(55)의 TOC정보가 HDD(10)에 송신되어 기록되고, 뮤직서버(50)로부터 인터넷서버(60)로 보내진다. "고속기록동작"의 실행과정을 나타내는 고속기록정보는 CD(55)의 TOC정보와 함께 뮤직서버(50)로부터 인터넷서버(60)로 보내진다.
한편 도 8b에서의 인터넷서버(60)에서 그 장치는 고속기록정보와 TOC정보가 뮤직서버(50)로부터 공급되거나 또는 송신될때까지 기다린다. 고속기록정보와 TOC정보가 인터넷서버(60)에 의해 수신될 경우에 송신된 TOC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인터넷서버(60)에 데이터베이스 또는 송신된 TOC정보를 기초로 한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함으로써 단계(S31)에서 검색된다. TOC정보를 검색함으로써 CD(55)가 지정된다.
어카운팅처리회로는 다음의 단계(S32)에서 실행된다. 어카운트된 요금은 "고속기록동작"을 필요로 하는 곡의 수와 같은 정보를 기초로 하여 계산되고, 예를 들면 이전에 등록된 사용자의 신용카드번호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은행의 계좌로부터 돈을 인출함으로써 어카운팅이 실행된다. 어카운팅방식은 본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또한 이미 지불된 카드를 독출하는 기능이 뮤직서버(50)에 대하여 제공되고, 설정계좌예금량이 뮤직서버(50)에 보내지고, 사용자는 계좌의 예금량을 미리 지급된 카드로부터 감산함으로써 계좌예금량을 지불하는 방식이 고려된다. TOC정보를 기초로 하여 계좌의 예금량은 변환가능하고, CD(55)로부터 독출된 음악데이터의 HDD(10)의 디스크에 기록이 또한 CD(55)의 내용에 따라서 금지할 수 있다.
단계(S33)에서 어카운팅정보는 뮤직서버(50)에 송신된다. 도 8a에서, 송신된 어카운팅정보의 내용은 뮤직서버(50)측상에 형성된다(단계 S23). 또한 인터넷서버(60)측상에 어카운팅정보가 뮤직서버(50)에 의해 수신될 경우에 검색을 보이도록 한다(단계 S34). 예를 들면, 이 검색동작은 뮤직서버(50)측상에 수신된 어카운팅정보에 에러가 없고, 어카운팅정보가 정확하게 수신되는 것이 확인될 경우에, 뮤직서버(50)로부터 인터넷서버(60)에 확인의 완료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 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8a로 돌아가서 보면 뮤직서버(50)측상에 수신된 어카운팅정보가 단계(S23)에서 형성될 경우에 처리과정은 단계(S24)로 진행하고, 수신된 어카운팅정보등이 디스플레이부(53)상에 표시된다. 단계(S25)에서 음악데이터는 CD-ROM드라이브(9)에 의해 고속으로 CD(55)로부터 독출된다. 압축처리는 압축엔코더(12)에 의해 고속압축으로 실행된다. 압축엔코더(12)로부터 압축음악데이터가 HDD(10)로 공급되고, HDD(10)의 디스크에 기록된다. 단계(S25)는 상술된 도 7에서 단계(S15)에 부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동작은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사이에서 실행된다. 예를 들면 음악데이터가 뮤직서버(50)로부터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로 이동할 경우에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사이에 접속동작이 그들사이에서 실행된다. 도 9는 그러한 이동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첫번째 단계(S40)에서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가 인터페이스(34, 35)에 의해 접속되었는가의 검색이 먼저 보여지게 된다.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사이에 접속은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34, 35)사이에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검색된다.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사이의 접속에 대한 검색은 이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사이의 접속은 또한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가 접속된 부분에 스위칭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계적인 검색장 치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뮤직서버(50)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사이에 접속이 단계(S40)에서 형성될 경우에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HDD(10)에 기록 및 축적된 음악데이터의 이동이 요구되었는가를 다음 단계(S41)에서 보여지게 된다. 예를 들면 HDD(10)에서 축적된 압축음악데이터의 곡 표제뿐만 아니라 정보의 목록은 디스플레이부(53)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입력조작부(1)로서 소정의 포인팅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53)상에 표시된 목록으로부터 소정의 압축음악데이터를 선택한다. 또한,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이동에 대한 명령이 입력조작부(1)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압축음악데이터에 입력된다.
이동에 대하여 입력조작부(1)를 사용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식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이동을 지시하는 버튼은 디스플레이부(53)상에 표시되고, 입력조작부(1)의 포인팅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이 버튼을 가르키는 것에 의해 이동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 압축음악데이터마다 디스플레이부(53)상에 아이콘이 표시되는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이라 불리우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또한 지시가능하고, 디스플레이부(53)상에 표시된 아이콘은 또한 디스플레이부(53)상에 표시된 이동수신지측상에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이동된다. 입력조작부(1)에 제공된 동작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이동이 또한 지시될 수 있다.
압축음악데이터(콘텐츠 데이터)의 이동요구가 있음이 판단될 경우에, 이동이 지시된 압축음악데이터의 파일크기 즉 데이터량은 단계(S42)에서 뮤직서버(50)(제 1장치)측상에 CPU(8)에 의해 검색된다. 단계(S43)에서 HDD(106)의 여유공간 즉 기록할 수 있는 메모리량은 예를 들면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제 2장치)의 CPU(105)에 의해 검색된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HDD(106)의 여유공간과 이동이 지시된 압축음악데이터(콘텐츠 데이터)의 파일크기(데이터량)는 단계(S42)에서 검색되고, 예를 들면 뮤직서버(50)의 CPU(8)에 의해 비교된다. 단계(S43)에서 비교결과를 기초로 하여 CPU(8)는 이동이 지시된 압축음악데이터(콘텐츠 데이터)가 HDD(106)에 기록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HDD(106)에 기록할 수 있다면 처리과정은 단계(S45)로 진행하고, 뮤직서버(50)로부터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로의 이동이 지시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이동이 시작된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HDD(106)에서 여유량이 불충분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처리과정은 단계(S44)로 진행한다. 단계(S44)에서 이미 HDD(106)에 기록된 압축음악데이터는 자동적으로 또는 절차 또는 방식을 기초로 하여 삭제되고, 이동이 지시된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CPU(105)에 의해 이동이 지시된 압축음악데이터가 HDD(106)에 기록될 수 있다. 처리과정은 단계(S45)로 진행한다.
단계(S44)에서 압축음악데이터의 삭제는 이미 HDD(106)에 기록된 압축음악데이터에서 소정의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CPU(105)의 제어하에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서 재생시간의 번호가 HDD(106)에서 기록된 매 압축음악데이터마다 카운트되는 방식이 고려되고, 압축음악데이터는 재생시간의 번호가 작은 데이터로부터 순서에 따라서 HDD(106)로부터 순차적으로 삭제된다. HDD(106)상에 기록된 압축음악데이터는 또한 HDD(106)에 기록된 날짜 가 오래된 데이터로부터 순차적으로 삭제된다.
압축음악데이터가 단계(S44)에서 HDD(106)로부터 자동적으로 삭제될 경우에 사용자에게 중요한 압축음악데이터가 HDD(106)로부터 삭제되는 상황이 있을수 있다. 그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작모드에서 뮤직서버(50)의 디스플레이부(53) 또는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LCD(120)에 HDD(106)로부터 압축음악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삭제되고, 삭제되는 데이터의 목록등이 표시되도록 장치가 나타내는 경고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확인을 얻은 후에 HDD(106)로부터 압축음악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이미 HDD(106)상에 기록된 압축음악데이터의 목록이 뮤직서버(50)의 디스플레이부(53) 또는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LCD(120)에 표시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사용자 자신이 삭제되는 압축음악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된 단계(S43) 및 단계(S44)의 처리에 의해, 이동이 HDD(106)상에 저장된 압축음악데이터에서 지시된 압축음악데이터가 HDD(106)에 기록가능한 상태로 설정될 경우에, 송신 즉 뮤직서버(50)로부터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압축음악데이터의 송신이 단계(S45)에서 시작된다. 즉, HDD(10)로부터 독출된 압축음악데이터가 버스(40)와 인터페이스(34)를 통하여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공급된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서 인터페이스(34)를 통해 공급된 압축음악데이터는 인터페이스(35)를 통하여 HDD(106)에 기록된다.
송신된 압축음악데이터는 또한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송신전의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뮤직서버(50)측상의 HDD(10)에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미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송신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재생 즉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이동되고, HDD(10)에 존재하는 압축음악데이터가 금지된다(단계(S46). 예를 들면 재생금지를 나타내는 재생금지 플래그(flag: 표시문자)가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이동의 완료의 시점에서 HDD(10)상에 압축음악데이터에 대하여 하이레벨로 설정된다. 재생금지플래그에 의해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이동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재생은 뮤직서버(50)의 CPU(8)에 의해 금지되고, HDD(10)상에 저장된 압축음악데이터는 음악데이터(50)로부터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실질적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뮤직서버(50) 또는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의해 재생가능한 음악데이터는 조정되어 항상 1개의 데이터만이 존재하고, 음악데이터의 불법복사가 방지된다.
다음 단계(S47)에서,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다음 압축음악데이터의 이동요구가 있는지의 검색이 보여지게 된다. 만약 또한 사용자가 다른 압축음악데이터를 이동하기 원하다면, 처리과정은 단계(S42)로 되돌아간다. 더이상 음악데이터의 이동요구가 없을 경우에 음악데이터의 일련의 이동처리가 종료된다.
상기의 설명이 뮤직서버(50)로부터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도 9의 플로우챠트의 단계(S42)∼ 단계(S46)에서 HDD(10)상에 저장된 다수의 압축음악데이터에서 1개의 압축음악데이터의 경우에 관하여 행하였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수의 압축음악데이터가 또한 뮤직서버(50)로부터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공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설명이 단계(S46)의 처리에서 압축음악데이터 자체는 이 동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재생이 단지 금지된 동안에 이동소스측으로서 사용하는 뮤직서버(50)의 HDD(10)상에 존재한다는 가정으로 행해졌을지라도 본 발명은 그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된 압축음악데이터가 또한 HDD(10)로부터 삭제되지 않고, 즉 데이터 자체를 또한 삭제할 수 있다.
압축음악데이터가 뮤직서버(50)로부터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이동된 예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 즉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HDD(106)에서 기록된 압축음악데이터가 뮤직서버(50)의 HDD(10)로 이동되는 동작이 또한 도 9에서 나타낸 플로우챠트에서 이들과 같은 처리에 따라서 실행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뮤직서버(50)로부터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에 이동된 압축음악데이터는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로부터 뮤직서버(50)에 다시 이동되고, HDD(10)상에 저장된 다수의 압축음악데이터에서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로부터 이동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이동소스로서 사용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재생금지플래그가 뮤직서버(50)에서 취소된다. 즉, 압축음악데이터는 재생금지플래그를 취소함으로써 뮤직서버(50)에서 다시 재생될 수 있다. 이때에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70)의 HDD(106)상에 저장된 이동된 압축음악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자체는 HDD(106)로부터 삭제되거나 또는 이동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조정데이터가 HDD(106)의 조정테이블로부터 삭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많은 수정과 변화가 본 발명의 청구의 영역과 범위내에서 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처리되어진 음악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기록하여 구축하도록 하기 위해서 소형이면서 대용량의 뮤직서버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악데이터에 부착하는 정보를 예를 들면 음악데이터의 하드디스크로 기록하는 경우에 외부의 시스템에서 자동적으로 취득하여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악데이터의 CD에서 하드디스크로의 고속기록과 어카운팅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에 위해서, 사용자는 음악데이터의 공급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뮤직서버에서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에 대해서 압축음악데이터의 이동이 직접적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휴대용 기록 및 재생장치에 대해서 고속 및 간단한 압축음악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뮤직서버에서 외부에 대해서 압축음악데이터를 회전하는 경우에, 뮤직서버에 있어서 해당하는 압축음악데이터가 재생금지되어지기 위해서, 음악데이터의 무제한 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제 1장치(50)로부터 제 2장치(70)로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장치로부터 상기 제 2장치로 전송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양 및 제 2장치의 여유공간을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결과를 이용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양과 여유공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제 2장치에 기록될 수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제 2장치에 여유공간이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기에 충분한 경우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 2장치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장치에 여유공간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장치에 충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상기 제 2 장치에 상기 콘텐 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단계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 파일만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단계들은 미리 결정된 조건하에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단계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시간의 번호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단계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된 날짜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 콘 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단계 전에 경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압축)음악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 방법.
  10. 제 1장치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제 2장치로 이동하기 위해 적어도 컴퓨터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 전송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양 및 제 2장치의 여유공간을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결과를 이용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양과 여유공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제 2장치에 기록될 수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제 2장치에 여유공간이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기에 충분한 경우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 2장치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장치에 여유공간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장치에 충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상기 제 2장치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단계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 파일만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단계들은 미리 결정된 조건하에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단계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시간의 번호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단계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된 날짜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단계 전에 경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압축)음악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19.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다른 장치로 이동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다른 장치로 전송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양 및 상기 다른 장치의 여유공간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의 양과 여유공간을 비교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다 른 장치에 기록될 수 있는 지를 판단하는 처리수단과,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장치에 여유공간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다른 장치에 충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상기 다른 장치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장치는 휴대용 재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KR1020050128179A 1998-02-09 2005-12-22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방법 및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및 기록 및 재생장치 KR100620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29798 1998-02-09
JPJP-P-1998-00027297 1998-02-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119A Division KR100568087B1 (ko) 1998-02-09 1999-02-06 기록 및 재생장치 그리고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555A KR20060012555A (ko) 2006-02-08
KR100620538B1 true KR100620538B1 (ko) 2006-09-06

Family

ID=1221716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119A KR100568087B1 (ko) 1998-02-09 1999-02-06 기록 및 재생장치 그리고 단말장치
KR1020050128177A KR100620533B1 (ko) 1998-02-09 2005-12-22 기록 및 재생장치와 기록 및 재생방법
KR1020050128176A KR100620529B1 (ko) 1998-02-09 2005-12-22 기록 및 재생장치 그리고 단말장치
KR1020050128179A KR100620538B1 (ko) 1998-02-09 2005-12-22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방법 및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및 기록 및 재생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119A KR100568087B1 (ko) 1998-02-09 1999-02-06 기록 및 재생장치 그리고 단말장치
KR1020050128177A KR100620533B1 (ko) 1998-02-09 2005-12-22 기록 및 재생장치와 기록 및 재생방법
KR1020050128176A KR100620529B1 (ko) 1998-02-09 2005-12-22 기록 및 재생장치 그리고 단말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6) US6408332B1 (ko)
EP (4) EP1564739A3 (ko)
JP (3) JP4320817B2 (ko)
KR (4) KR100568087B1 (ko)
AU (1) AU751522B2 (ko)
DE (1) DE69934156T2 (ko)
ID (1) ID21943A (ko)
MY (1) MY125646A (ko)
TW (1) TW42326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050A (ko) * 2010-07-30 201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9368B2 (en) * 2000-01-26 2004-12-07 Digimarc Corporation Establishing and interacting with on-line media collections using identifiers in media signals
JP4320817B2 (ja) 1998-02-09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システム、記録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43871B1 (ko) * 1998-10-27 2006-11-1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록 장치
JP2000163865A (ja) * 1998-11-26 2000-06-16 Ricoh Co Ltd 情報転送装置
JP4214651B2 (ja) * 1999-03-31 2009-01-2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
US6694200B1 (en) * 1999-04-13 2004-02-17 Digital5, Inc. Hard disk based portable device
AUPQ439299A0 (en) * 1999-12-01 1999-12-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terface system
JP4300644B2 (ja) * 1999-08-24 2009-07-22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
AU7338400A (en) * 1999-09-02 2001-03-26 Xm Satellite Rad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epaid music card for deciphering recorded broadcast audio signals
JP2001093226A (ja) * 1999-09-21 2001-04-06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通信装置および方法
JP4269122B2 (ja) * 1999-10-20 2009-05-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2001195825A (ja) * 1999-10-29 2001-07-19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2001184785A (ja) * 1999-12-24 2001-07-06 Sony Corp ダビング装置
US20070220173A1 (en) * 1999-12-28 2007-09-20 Sony Corporation Image commercial transactions system and method
EP1670235A1 (en) 1999-12-28 2006-06-14 Sony Corporation A portable music player
DE60044179D1 (de) * 1999-12-28 2010-05-27 Sony Corp System und Verfahren für den kommerziellen Verkehr von Bildern
US20060245741A1 (en) * 2000-03-09 2006-11-02 Cynthia Lakhansingh Digital enterainment recorder
JP3992419B2 (ja) * 2000-03-27 2007-10-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JP2001285759A (ja) * 2000-03-28 2001-10-12 Pioneer Electronic Corp Av情報処理装置及びav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がコンピュータで読取り可能に記録された情報記録媒体
US6937814B1 (en) * 2000-04-14 2005-08-30 Real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lay while recording processing
TW569130B (en) 2000-05-29 2004-01-01 Sony Corp Data providing device and method,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a
JP2001357001A (ja) * 2000-06-12 2001-12-26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出力装置及び情報出力方法、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情報出力記録システ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
US7277765B1 (en) 2000-10-12 2007-10-02 Bose Corporation Interactive sound reproducing
US6642629B2 (en) * 2000-12-28 2003-11-04 Intel Corporation Audio system with removable, active faceplate
US7272788B2 (en) * 2000-12-29 2007-09-18 Fotomedia Technologies, Llc Client-server system for merging of metadata with images
JP2002230945A (ja) * 2001-01-30 2002-08-16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タイトル情報付与方法、タイトル情報付与手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7339104B2 (en) 2001-04-17 2008-03-04 Kabushiki Kaisha Kenwood System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on attribute of, for example, CD
JP4465577B2 (ja) * 2001-04-19 2010-05-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8131389B1 (en) 2002-02-08 2012-03-06 Digital Voice Systems, Inc. Digital audio server
US20030206500A1 (en) * 2002-05-03 2003-11-06 Simsek Burc A. Apparatus and method for aquisition of compact disc information for a compact disc/digital radio
US7096187B1 (en) * 2002-07-23 2006-08-22 Harris Scott C Compressed audio information
KR100957797B1 (ko) * 2002-11-13 201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화형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콘텐츠 정보 재생방법과,콘텐츠 제공서버에서의 콘텐츠 정보 제공방법
KR100892977B1 (ko) * 2002-11-16 2009-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화형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콘텐츠 정보 재생방법과,콘텐츠 제공서버에서의 콘텐츠 정보 제공방법
EP1580753A4 (en) * 2003-02-12 2008-07-02 Sony Corp DIGITAL DATA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US20050114374A1 (en) * 2003-04-04 2005-05-26 Juszkiewicz Henry E. User interface for a combination compact disc recorder and player system
US7249147B2 (en) * 2003-04-04 2007-07-24 Gibson Guitar Corp. Combination compact disc recorder and player system
US7216178B2 (en) 2003-04-04 2007-05-08 Gibson Guitar Corp.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usic to customers over the internet using uniquely identified proprietary devices
JP2004335013A (ja) * 2003-05-09 2004-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蓄積装置およびデータ蓄積方法
GB0310929D0 (en) * 2003-05-13 2003-06-1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ortable device for storing media content
JP3947978B2 (ja) * 2003-12-24 2007-07-2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WO2005091150A1 (ja) * 2004-03-23 2007-08-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ンテンツ移動装置、コンテンツ移動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コンテンツ移動システム
JP2005277621A (ja) * 2004-03-24 2005-10-06 Hitachi Ltd 記録再生装置
US7822866B2 (en) * 2005-01-27 2010-10-2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trieving content in network system
JP4845413B2 (ja) * 2005-04-11 2011-12-28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JP4114676B2 (ja) * 2005-05-16 2008-07-09 船井電機株式会社 映像再生装置
JP4650229B2 (ja) * 2005-11-21 2011-03-16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再生システム、携帯型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07149183A (ja) * 2005-11-25 2007-06-14 Sharp Corp 音声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7643895B2 (en) * 2006-05-22 2010-01-05 Apple Inc. Portable media device with workout support
US8073984B2 (en) 2006-05-22 2011-12-06 Apple Inc. Communication protocol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70271116A1 (en) 2006-05-22 2007-11-22 Apple Computer, Inc. Integrated media jukebox and physiologic data handling application
KR101112736B1 (ko) 2006-11-03 2012-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콘텐츠 재생 장치와 콘텐츠 저장 장치 간 콘텐츠상태 목록의 동기화 방법, 휴대용 콘텐츠 재생 장치,콘텐츠 저장 장치
US20080181585A1 (en) * 2007-01-26 2008-07-31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Excess Capacity on a Storage Medium
US9130686B2 (en) * 2007-12-20 2015-09-08 Apple Inc. Tagging of broadcast content using a portable media device controlled by an accessory
US8311275B1 (en) 2008-06-10 2012-11-13 Mindmancer AB Selective viewing of a scene
US8452228B2 (en) 2008-09-24 2013-05-28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ssociating a contact identifier with a broadcast source
US20100076576A1 (en) * 2008-09-24 2010-03-25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broadcast media from a selected source
US8886112B2 (en) * 2008-09-24 2014-11-11 Apple Inc. Media device with enhanced data retrieval feature
US20100075695A1 (en) * 2008-09-24 2010-03-25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trieving local broadcast source presets
TW201015377A (en) * 2008-10-03 2010-04-16 Coretronic Corp Keyboard set having a micro projector
US20100178938A1 (en) * 2009-01-13 2010-07-1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radio presets
JP2010198671A (ja) * 2009-02-24 2010-09-09 Sanyo Electric Co Ltd 音声情報記録装置
US20100261662A1 (en) * 2009-04-09 2010-10-14 Endologix, Inc. Utilization of mural thrombus for local drug delivery into vascular tissue
TW201228334A (en) * 2010-12-28 2012-07-01 Teco Image Sys Co Ltd Docking station modul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837082B1 (ko) * 2011-01-20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50713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E102018004307A1 (de) 2018-05-30 2018-10-18 Daimler Ag Verfahren zum automatischen Herunterladen von Medieninhalten

Family Cites Families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1189A (ja) * 1982-03-19 1983-09-24 Sony Corp 情報再生及び記録装置
JPS61283089A (ja) * 1985-06-07 1986-12-13 Teac Co 再生記録装置
DE3735167C2 (de) * 1986-10-17 1998-07-09 Sharp Kk Elektronischer Rechner
JPH064165B2 (ja) 1988-11-24 1994-01-1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穿孔圧延用プラグ
JP2637817B2 (ja) * 1989-02-13 1997-08-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US5274762A (en) * 1989-12-15 1993-12-28 Ncr Corporation Method for high speed data transfer
JPH03219486A (ja) * 1990-01-25 1991-09-26 Nec Home Electron Ltd 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2980940B2 (ja) 1990-05-09 1999-11-2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磁気情報記録再生方法
USRE37131E1 (en) * 1991-02-19 2001-04-10 Roy J. Mankovitz Apparatus and methods for music and lyrics broadcasting
DE4345611B4 (de) * 1992-04-16 2011-06-16 Mitsubishi Denki K.K. Wiedergabe-Gerät
JPH065056A (ja) * 1992-06-18 1994-01-14 Canon Inc 音声再生システム
JP3298073B2 (ja) 1992-07-10 2002-07-02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記録再生装置
JP3219486B2 (ja) 1992-09-16 2001-10-15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ップ供給装置
JPH06292127A (ja) 1993-04-06 1994-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静止画ダビング装置
JPH06179599A (ja) 1992-12-14 1994-06-28 Hiromasa Kitaguchi メカニカルリフター
JP3130536B2 (ja) * 1993-01-21 2001-01-31 アップル コンピュータ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数のネットワークされたコンピュータ記憶装置からデータを転送し記憶する装置ならびに方法
JP3531178B2 (ja) 1993-05-27 2004-05-2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JP3542362B2 (ja) 1993-06-24 2004-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チルビデオカメラ
JP3172002B2 (ja) 1993-07-22 2001-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の高速ダビング装置および高速ダビング方法
JP2945569B2 (ja) * 1993-10-27 1999-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方法
GB9324051D0 (en) * 1993-11-23 1994-01-1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Adaptive battery charging system
JP3498861B2 (ja) 1994-04-28 2004-02-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ディ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
US5613909A (en) * 1994-07-21 1997-03-25 Stelovsky; Jan Time-segmented multimedia game playing and authoring system
US5481509A (en) * 1994-09-19 1996-01-02 Software Control Systems, Inc. Jukebox entertainment system including removable hard drives
US5883722A (en) * 1994-09-20 1999-03-16 Oce Printing Systems Gmbh Controller for editing encoded image data
US5581740A (en) * 1994-10-04 1996-12-03 Dell Usa, L.P. System for reading CD ROM data from hard disks
JPH08138357A (ja) 1994-11-08 1996-05-31 Nippon Columbia Co Ltd 光デイスク再生装置
JPH08167243A (ja) 1994-12-09 1996-06-25 Nippon Columbia Co Ltd デジタルオーディオシステムおよび再生装置並びに記録装置およびデジタルコピー方法
JP3043591B2 (ja) 1995-02-02 2000-05-22 シャープ株式会社 音声記録再生装置
JPH08235758A (ja) 1995-02-28 1996-09-13 Toshiba Corp 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再生方法
JP3579113B2 (ja) 1995-03-06 2004-10-20 富士通株式会社 記憶媒体へのデータ格納方法
US6288991B1 (en) * 1995-03-06 2001-09-11 Fujitsu Limited Storage medium playback method and device
JP3619560B2 (ja) 1995-03-07 2005-02-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情報取り扱い装置
US5625608A (en) * 1995-05-22 1997-04-29 Lucent Technologies Inc.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downloading content information from an audio system
JP3420386B2 (ja) 1995-05-24 2003-06-23 株式会社リコー データ複写装置
JPH0917165A (ja) * 1995-06-27 1997-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9161375A (ja) 1995-12-07 1997-06-20 Sony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US5675390A (en) 1995-07-17 1997-10-07 Gateway 2000, Inc. Home entertainment system combining complex processor capability with a high quality display
US5751672A (en) * 1995-07-26 1998-05-12 Sony Corporation Compact disc changer utilizing disc database
JPH0955071A (ja) 1995-08-07 1997-02-25 Canon Inc オートチェンジャー装置
JP3467964B2 (ja) 1995-08-10 2003-11-1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伝送方法
JP4518574B2 (ja) * 1995-08-11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方法及び装置、記録媒体、並びに再生方法及び装置
JP4332225B2 (ja) * 1995-08-31 2009-09-16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
KR100478413B1 (ko) * 1995-09-11 2005-06-0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오디오신호의기록및재생장치
US5636096A (en) * 1995-10-02 1997-06-03 Aris Mardirossian, Inc. Magnetic disc cartridge and corresponding system/method for limiting copying of software
JP3541535B2 (ja) * 1995-11-27 2004-07-1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再生装置
JPH09179599A (ja) 1995-12-27 1997-07-11 Olympus Optical Co Ltd 音声記録再生装置
JPH09265731A (ja) 1996-01-24 1997-10-07 Sony Corp 音声再生装置及び方法、音声録音装置及び方法、音声録音再生システム、音声データの転送方法、情報受信装置、記録媒体
JPH09231665A (ja) * 1996-02-28 1997-09-05 Sony Corp 記録システム及び記録再生システム
JP3702525B2 (ja) 1996-03-06 2005-10-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タラクティブ映像記録再生方式
JPH09251761A (ja) 1996-03-15 1997-09-22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媒体並びにその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09282853A (ja) 1996-04-09 1997-10-31 Sony Corp ビデオテープの再生時間測定装置
JPH09297798A (ja) * 1996-05-08 1997-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メディア機器のコピー防止装置
US5841988A (en) * 1996-05-23 1998-11-24 Lsi Logic Corporation Interprocessor communications data transfer and error detection in a multiprocessing environment
JPH103778A (ja) * 1996-06-18 1998-01-06 Alpine Electron Inc 記録再生装置
US5883621A (en) 1996-06-21 1999-03-16 Sony Corporation Device control with topology map in a digital network
TW364083B (en) 1996-06-21 1999-07-11 Sony Corp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devices monitoring and control with a topology map in a network
JPH1021174A (ja) 1996-07-01 1998-01-23 Ricoh Co Ltd データ転送システム
US6453281B1 (en) * 1996-07-30 2002-09-17 Vxi Corporation Portable audio database device with icon-based graphical user-interface
JP3503435B2 (ja) * 1996-08-30 2004-03-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データ管理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及び、データ提供方法
US5926624A (en) * 1996-09-12 1999-07-20 Audible, Inc. Digital information library and delivery system with logic for generating files targeted to the playback device
KR100286374B1 (ko) * 1996-10-29 2001-04-16 윤종용 오디오제어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5991640A (en) * 1996-11-22 1999-11-23 Ericsson Inc. Docking and electrical interface for personal use communication devices
US6031795A (en) * 1996-12-02 2000-02-2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ing a jukebox with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on media contained therein
WO1998025269A1 (en) * 1996-12-02 1998-06-1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information stored on a medium
JP3557818B2 (ja) 1996-12-03 2004-08-25 ヤマハ株式会社 ソフトデータの管理方法
KR19980059920A (ko) * 1996-12-31 1998-10-07 구자홍 포터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수신장치 및 그 방법
US6070799A (en) * 1997-01-08 2000-06-06 Eastman Kodak Company Copy protection for a recordable medium and for controlling a recorder
US5959945A (en) * 1997-04-04 1999-09-28 Advanced Technology Research Sa Cv System for selectively distributing music to a plurality of jukeboxes
US5987525A (en) * 1997-04-15 1999-11-16 Cddb, Inc. Network delivery of interactive entertainment synchronized to playback of audio recordings
US6007228A (en) * 1997-05-21 1999-12-28 Neomagic Corp. Master digital mixer with digital-audio links to external audio in a docking station and to internal audio inside a portable PC
WO1999018573A1 (fr) 1997-10-02 1999-04-15 Sony Corporation Dispositif et procede d'enregistrement/reproduction
US6972945B1 (en) * 1997-10-17 2005-12-06 Gateway Inc. Modular computer device and computer keyboard for modular device
US6049453A (en) * 1997-12-09 2000-04-1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ssociated computer host device bay structure
JPH11176142A (ja) 1997-12-10 1999-07-02 Sony Corp 編集装置
US5991399A (en) * 1997-12-18 1999-11-23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securely distributing a conditional use private key to a trusted entity on a remote system
KR100284748B1 (ko) * 1997-12-26 2001-03-15 김덕중 보조저장장치용오디오기록/재생장치
JP4320817B2 (ja) 1998-02-09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システム、記録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6243328B1 (en) * 1998-04-03 2001-06-05 Sony Corporation Modular media storage system and integrated player unit and method for accessing additional external information
JPH11328851A (ja) * 1998-05-19 1999-11-30 Sony Corp 端末装置及び再生方法
JP4936037B2 (ja) 2001-08-31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050A (ko) * 2010-07-30 201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제어 방법
KR101690599B1 (ko) 2010-07-30 201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553A (ko) 2006-02-08
ID21943A (id) 1999-08-12
US20020035599A1 (en) 2002-03-21
MY125646A (en) 2006-08-30
USRE41112E1 (en) 2010-02-09
JP4320817B2 (ja) 2009-08-26
KR100568087B1 (ko) 2006-04-05
EP0935248A3 (en) 2000-09-20
AU1422299A (en) 1999-08-26
KR19990072467A (ko) 1999-09-27
KR20060012555A (ko) 2006-02-08
USRE43917E1 (en) 2013-01-08
US6704777B2 (en) 2004-03-09
KR100620529B1 (ko) 2006-09-06
EP1696435A2 (en) 2006-08-30
DE69934156T2 (de) 2007-10-25
DE69934156D1 (de) 2007-01-11
KR20060012554A (ko) 2006-02-08
EP1696436A3 (en) 2012-10-03
JPH11288557A (ja) 1999-10-19
TW423261B (en) 2001-02-21
EP0935248B1 (en) 2006-11-29
EP1696436A2 (en) 2006-08-30
EP0935248A2 (en) 1999-08-11
KR100620533B1 (ko) 2006-09-06
US6408332B1 (en) 2002-06-18
USRE42810E1 (en) 2011-10-04
USRE41977E1 (en) 2010-11-30
JP2008287871A (ja) 2008-11-27
JP4321528B2 (ja) 2009-08-26
EP1696435A3 (en) 2012-10-03
AU751522B2 (en) 2002-08-22
EP1564739A3 (en) 2012-10-03
EP1564739A2 (en) 2005-08-17
JP2006185584A (ja)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538B1 (ko) 제 1장치로부터 제 2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하는방법 및 컴퓨터 독출가능 매체 및 기록 및 재생장치
US10645161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ts method
KR100602214B1 (ko) 기록재생장치, 기록재생방법
KR100715801B1 (ko) 기록 및 재생장치 및 방법, 단말장치, 송수신 방법 및기억매체
KR100607210B1 (ko) 기록재생장치, 기록재생방법 및 데이터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