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739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739B1
KR100598739B1 KR1020040029611A KR20040029611A KR100598739B1 KR 100598739 B1 KR100598739 B1 KR 100598739B1 KR 1020040029611 A KR1020040029611 A KR 1020040029611A KR 20040029611 A KR20040029611 A KR 20040029611A KR 100598739 B1 KR100598739 B1 KR 100598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hannel
data output
integrated circuit
sel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8177A (ko
Inventor
강신호
송홍성
홍진철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740B1/ko
Priority to KR1020040029615A priority patent/KR100598741B1/ko
Priority to KR1020040029611A priority patent/KR100598739B1/ko
Priority to KR1020040029610A priority patent/KR100598738B1/ko
Priority to US10/964,779 priority patent/US7495648B2/en
Priority to TW093136310A priority patent/TWI253623B/zh
Priority to GB0425978A priority patent/GB2409095B/en
Priority to GB0525459A priority patent/GB2418520B/en
Priority to NL1027617A priority patent/NL1027617C2/nl
Priority to JP2004349838A priority patent/JP4979888B2/ja
Priority to CNB2004101001188A priority patent/CN100428004C/zh
Priority to DE102004059157A priority patent/DE102004059157B4/de
Priority to FR0413113A priority patent/FR2863761B1/fr
Publication of KR2005005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739B1/ko
Priority to US12/320,894 priority patent/US930548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02Hand devices for scraping or peeling vegetable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5Household devices therefor cutting one single slice at each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8Household devices therefor making several incisions and cutting cubes or the like, e.g. so-called "julienne-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2Bev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21Horizontal resolution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성의 향상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라인들에 화소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포함하고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가지는 데이터 집적회로와,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의 출력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채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을 통하여 상기 화소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채널 선택신호를 이용하여 액정패널의 해상도에 따라 데이터 집적회로의 채널을 변경함으로써 한 종류의 데이터 집적회로를 이용하여 액정패널의 모든 해상도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패널의 해상도에 상관없이 데이터 집적회로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집적회로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작업성의 향상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종래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포함되어 있는 게이트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종래의 데이터 드라이버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데이터 집적회로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600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도록 설정된 데이터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618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도록 설정된 데이터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630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도록 설정된 데이터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642개의 출력채널 을 가지도록 설정된 데이터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집적회로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600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도록 설정된 데이터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618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도록 설정된 데이터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630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도록 설정된 데이터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642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도록 설정된 데이터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10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딥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2 : 액정패널 4,104 : 데이터 드라이버
6,106 : 게이트 드라이버 7 : 액정셀
8,108 : 타이밍 제어부 10 : 게이트 IC
16,116,216 : 데이터 IC 20,120 : 신호 제어부
32,132 : 감마 전압부 34,134,184 : 쉬프트 레지스터부
36,136 : 래치부 38,138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40,140 : P디코딩부 42,142 : N디코딩부
44,144 : 멀티플렉서 110 : 데이터 TCP
112 : TCP 패드 114 : 데이터 패드
118 : 링크부 130 : 채널 선택부
250 : 딥 스위치 260 : 제 1 데이터 출력채널군
262 :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 264 :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성의 향상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액정표시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액정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액정패널(2)과, 액정패널(2)의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6)와, 액정패널(2)의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4)와, 게이트 드라이버(6)와 데이터 드라이버(4)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8)를 구비한다.
액정패널(2)은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과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의 교차부마다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접속된 액정셀(7)을 구비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라인(GL)으로부터의 스캔신호, 즉 게이트 하이전압(VGH)이 공급되는 경우 턴-온되어 데이터라인(DL)으로부터의 화소신호를 액정셀(7)에 공급한다. 그리고,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라인(GL)으로부터 게이트 로우전압(VGL)이 공급되는 경우 턴-오프되어 액정셀(7)에 충전된 화소신호가 유지되게 한다.
액정셀(7)은 등가적으로 액정용량 커패시터로 표현되며,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면하는 공통전극과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접속된 화소전극을 포함한다. 그리고, 액정셀(7)은 충전된 화소 신호가 다음 화소 신호가 충전될 때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기 위하여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더 구비한다. 이 스토리지 커패시터는 화소전극과 이전단 게이트 라인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셀(7)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통해 충전되는 화소 신호에 따라 유전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의 배열 상태가 가변하여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계조를 구현하게 된다.
타이밍 제어부(8)는 도시되지 않은 비디오 카드로부터 공급되는 동기신호(V, H)를 이용하여 게이트 제어신호들(GSP, GSC, GOE) 및 데이터 제어신호들(SSP, SSC, SOE, POL)을 발생한다. 게이트 제어신호들(GSP, GSC, GOE)은 게이트 드라이버(6)로 공급되어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게 되고, 데이터 제어신호들(SSP, SSC, SOE, POL)은 데이터 드라이버(4)로 공급되어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타이밍 제어부(8)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화소 데이터(VD)를 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4)로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6)는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킨다. 이를 위해, 게이트 드라이버(6)는 도 2a와 같이 다수의 게이트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 이하, "IC"라 함)(10)를 구비한다. 게이트 IC(10)들은 자신에게 접속된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을 타이밍 제어부(8)로부터의 제어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구동시킨다. 다시 말하여, 게이트 IC(10)들은 타이밍 제어부(8)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들(GSP, GSC, GOE)에 응답하여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하이전압(VGH)을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드라이버(6)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에 따라 쉬프트시켜 쉬프트펄스를 발생한다. 그리고, 게이트 드라이버(6)는 쉬프트 펄스에 응답하여 수평기간마다 해당 게이트라인(GL)에 게이트 하이전압(VGH)을 공급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쉬프트펄스는 수평기간마다 한 라인씩 쉬프트되고, 게이트 IC들(10) 중 어느 하나는 쉬프트펄스에 대응되어 해당 게이트라인(GL)에 게이트 하이전압(VGH)을 공급한다. 이 경우, 게이트 IC들(10)은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에 게이트 하이전압(VGH)이 공급되지 않는 나머지 기간에서는 게이트 로우전압(VGL)을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4)는 수평기간마다 1라인분씩의 화소신호를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드라이버(4)는 도 2b와 같이 다수의 데이터 IC(16)들을 구비한다. 데이터 IC(16)들은 타이밍 제어부(8)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제어 신호들(SSP, SSC, SOE, POL)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에 화소신호를 공급한다. 이때, 데이터 IC(16)들은 타이밍 제어부(8)로부터의 화소 데이터(VD)를 감마전압 발생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화소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IC(16)들은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소스 쉬프트 클럭(SSC)에 따라 쉬프트시켜 샘플링신호를 발생한다. 이어서, 데이터 IC(16)들은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화소 데이터(VD)를 일정 단위씩 순차적으로 래치한다. 이후, 래치된 1라인분의 화소 데이터(VD)를 아날로그 화소신호로 변환하여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의 인에이블 기간에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에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데이터 IC(16)들은 화소 데이터(VD)를 극성 제어 신호(POL)에 응답하여 정극성 또는 부극성의 화소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IC들(16)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인 샘플링신호를 공급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부(34)와, 샘플링신호에 응답하여 화소 데이터(VD)를 순차적으로 래치하여 동시에 출력하는 래치부(36)와, 래치부(36)로부터의 화소 데이터(VD)를 화소전압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이하, "DAC부"라 함)(38)와, DAC(38)로부터의 화소전압신호를 완충하여 출력하는 출력 버퍼부(46)를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 IC(16)는 타이밍 제어부(8)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제어신호들(SSP, SSC, SOE, REV, POL 등)과 화소 데이터(VD)를 중계하는 신호 제어부(20)와, DAC부(38)에서 필요로 하는 정극성 및 부극성 감마전압들을 공급하는 감마 전압부(32)를 추가로 구비한다.
신호제어부(20)는 타이밍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각종 제어신호들(SSP, SSC, SOE, REV, POL 등)과 화소 데이터(VD)가 해당 구성요소들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감마전압부(32)는 감마 기준전압 발생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다수개의 감마 기준전압을 그레이별로 세분화하여 출력한다.
쉬프트 레지스터부(34)에 포함된 쉬프트 레지스터들은 신호제어부(20)로부터의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소스 샘플링 클럭신호(SSC)에 따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샘플링신호로 출력한다.
래치부(36)는 쉬프트 레지스터부(34)로부터의 샘플링신호에 응답하여 신호 제어부(20)로부터의 화소 데이터(VD)를 일정단위씩 순차적으로 샘플링하여 래치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래치부(36)는 i(i는 자연수)개의 화소 데이터(VD)를 래치하기 위해 i개의 래치들로 구성되고, 래치들 각각은 화소 데이터(VD)의 비트수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특히, 타이밍 제어부(8)는 전송주파수를 줄이기 위하여 화소 데이터(VD)를 이븐 화소 데이터(VDeven)와 오드 화소 데이터(VDodd)로 나누어 각각의 전송라인을 통해 동시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이븐 화소 데이터(VDeven)와 오드 화소 데이터(VDodd) 각각은 적(R), 녹(G), 청(B) 화소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래치부(36)는 샘플링신호마다 신호 제어부(20)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이 븐 화소 데이터(VDeven)와 오드 화소 데이터(VDodd)를 동시에 래치하게 된다. 이어서, 래치부(36)는 신호 제어부(20)로부터의 소스 출력 이네이블신호(SOE)에 응답하여 래치된 i개의 화소 데이터들(VD)을 동시에 출력한다 . 이 경우, 래치부(36)는 데이터반전 선택신호(REV)에 응답하여 트랜지션 비트수가 줄어들게끔 변조된 화소 데이터(VD)들을 복원시켜 출력하게 된다. 이는 타이밍 제어부(8)에서 데이터전송시 전자기적 간섭(EMI)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트랜지션되는 비트수가 기준치를 넘어서는 화소 데이터(VD)들은 트랜지션 비트수가 줄어들게끔 변조하여 공급하기 때문이다.
DAC부(38)는 래치부(36)로부터의 화소 데이터(VD)를 동시에 정극성 및 부극성 화소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DAC부(38)는 래치부(36)에 공통 접속된 P(Positive) 디코딩부(40) 및 N(Negative) 디코딩부(42)와, P 디코딩부(40) 및 N 디코딩부(42)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멀티플렉서(MUX; 44)를 구비한다.
P 디코딩부(40)에 포함되는 n개의 P 디코더들은 래치부(36)로부터 동시에 입력되는 n개의 화소 데이터들을 감마전압부(32)로부터의 정극성 감마전압들을 이용하여 정극성 화소전압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N 디코딩부(42)에 포함되는 i개의 N 디코더들은 래치부(36)로부터 동시에 입력되는 i개의 화소 데이터들을 감마 전압부(32)로부터의 부극성 감마전압들을 이용하여 부극성 화소전압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멀티플렉서부(44)에 포함되는 i개의 멀티플렉서들은 신호제어부(20)로부터의 극성제어신호(POL)에 응답하여 P 디코더(40)로부터의 정극성 화소전압신호 또는 N 디코더(42)로부터의 부극성 화소전압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출력버퍼부(46)에 포함되는 i개의 출력버퍼들은 i개의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i)들에 직렬로 각각 접속되어진 전압추종기(Voltage follower)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출력버퍼들은 DAC부(38)로부터의 화소전압신호들을 신호완충하여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i)에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2)의 해상도에 따라 데이터 드라이버(4)가 구비하는 데이터 IC(16)의 출력채널가 달라지게 된다. 이는, 액정패널(2)의 해상도별로 데이터라인(DL)에 접속될 수 있는 일정 채널을 갖는 데이터 IC(16)들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액정패널(2)의 해상도 별로 서로 다른 출력채널을 갖는 서로 다른 수의 데이터 IC(16)들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의 저하 및 제조비용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액정패널(2)의 해상도가 XGA(eXtended Graphics Array)급(1024×3)인 액정표시장치는 3072개의 데이터라인(DL) 수를 가지므로 768개의 출력채널을 갖는 4개의 데이터 IC(16)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액정패널(2)의 해상도가 SXGA+(Super eXtended Graphics Adapter+)급(1400×3)인 액정표시장치는 4200개의 데이터라인(DL) 수를 가지므로 702개의 출력채널을 갖는 6개의 데이터 IC(16)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남는 12개의 출력채널은 더미라인으로 처리된다. 또한, 액정패널(2)의 해상도가 WXGA(Wide aspect eXtended Graphics Array)급(1280×3)인 액정표시장치는 3840개의 데이터라인(DL) 수를 가지므로 642개의 출력채널을 갖는 6개의 데이터 IC(16)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남는 12개의 출력채널은 더 미라인으로 처리된다. 이와 같이, 액정패널(2)의 해상도별로 서로 다른 출력채널을 갖는 서로 다른 수의 데이터 IC(16)들을 사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작업성의 저하 및 제조비용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성의 향상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패널의 해상도에 따라 데이터 집적회로의 출력채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라인들에 화소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포함하고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가지는 데이터 집적회로와,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의 출력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채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을 통하여 상기 화소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의 출력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부와,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더 구비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샘플링신호를 출력하는 N개(단, N은 양의 정수)의 쉬프트 레지스터들로 구성된 쉬프트 레지스터부와,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쉬프트되는 클럭에 따라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와, 상기 래치로부터의 상기 데이터를 상기 화소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화소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데이터라인들로 출력하는 N개의 데이터 출력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데이터라인들의 수,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의 개수,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가 실장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폭, 상기 타이밍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간의 데이터 전송라인 수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전압원 및 기저전압원에 접속되어 상기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내지 I(단, I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개, 제 1 내지 J(단, J는 I보다 작은 양의 정수)개, 제 1 내지 K(단, K는 J보다 작은 양의 정수)개 및 제 1 내지 N개의 데이터 출력채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데이터 출력채널군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I개의 데이터 출력채널들은 상기 데이터 출력채널군이고, 상기 제 K 내지 제 N개의 데이터 출력채널들은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N개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I번째, J번째, K번째 및 N번째 쉬프트 레지스터 중 어느 하나의 출력신호를 다음 단 데이터 집적회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선택단자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선택단자에 접속되는 딥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라인들에 화소 데이터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과,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 사이에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가지는 데이터 집적회로와;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의 출력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채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을 통하여 상기 화소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들의 출력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부와,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샘플링신호를 출력하는 N개(단, N은 양의 정수)의 쉬프트 레지스터들로 구성된 쉬프트 레지스터부와,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쉬프트되는 클럭에 따라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와, 상기 래치로부터의 상기 데이터를 상기 화소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화소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데이터라인들로 출력하는 N개의 데이터 출력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데이터라인들의 수,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의 개수,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가 실장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폭, 상기 타이밍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간의 데이터 전송라인 수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전압원 및 기저전압원에 접속되어 상기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은 동일한 출력채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내지 제 I1(단, I1은 1보다 큰 양의 정수)개, 제 1 내지 I2(단, I2는 I1보다 큰 양의 정수)개 및 제 1 내지 I3(단, I3은 I2보다 크고 N보다 작은 양의 정수)개의 데이터 출력채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채널군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 J1 내지 제 N(단, J1은 I3보다 큰 양의 정수)개, 제 J2 내지 N(단, J2는 J1보다 큰 양의 정수)개 및 제 J3 내지 N(단, J3은 J2보다 크고 N보다 작은 양의 정수)개의 데이터 출력채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의 제 I1 내지 제 J3개, 제 I2 내지 J2개 및 제 I3 내지 J1개의 데이터 출력채널은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선택단자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선택단자에 접속되는 딥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N개의 출력채널을 통해 상기 화소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마다 액정셀이 형성된 액정패널과,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화소 데이터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 사이에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가지는 데이터 집적회로와, 상기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스캔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집적회로와,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의 출력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부와,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와 상기 게이트 집적회로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채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을 통하여 상기 화소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들의 출력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샘플링신호를 출력하는 N개(단, N은 양의 정수)의 쉬프트 레지스터들로 구성된 쉬프트 레지스터부와,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쉬프트되는 클럭에 따라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와, 상기 래치로부터의 상기 데이터를 상기 화소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화소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데이터라인들로 출력하는 N개의 데이터 출력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데이터라인들의 수,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의 개수,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가 실장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폭, 상기 타이밍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간의 데이터 전송라인 수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전압원 및 기저전압원에 접속되어 상기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은 동일한 출력채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내지 제 I1(단, I1은 1보다 큰 양의 정수)개, 제 1 내지 I2(단, I2는 I1보다 큰 양의 정수)개 및 제 1 내지 I3(단, I3은 I2보다 크고 N보다 작은 양의 정수)개의 데이터 출력채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채널군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 J1 내지 제 N(단, J1은 I3보다 큰 양의 정수)개, 제 J2 내지 N(단, J2는 J1보다 큰 양의 정수)개 및 제 J3 내지 N(단, J3은 J2보다 크고 N보다 작은 양의 정수)개의 데이터 출력채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의 제 I1 내지 제 J3개, 제 I2 내지 J2개 및 제 I3 내지 J1개의 데이터 출력채널은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선택단자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선택단자에 접속되는 딥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N개의 출력채널을 통해 상기 화소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액정패널(102)과, 액정패널(102)의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106)와, 액정패널(102)의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104)와, 게이트 드라이버(106)와 데이터 드라이버(104)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108)를 구비한다.
액정패널(102)은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과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의 교차부마다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접속된 액정셀(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라인(GL)으로부터의 스캔신호, 즉 게이트 하이전압(VGH)이 공급되는 경우 턴-온되어 데이터라인(DL)으로부터의 화소신호를 액정셀에 공급한다. 그리고,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라인(GL)으로부터 게이트 로우전압(VGL)이 공급되는 경우 턴-오프되어 액정셀에 충전된 화소신호가 유지되게 한다.
액정셀은 등가적으로 액정용량 커패시터로 표현되며,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면하는 공통전극과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접속된 화소전극을 포함한다. 그리고, 액정셀은 충전된 화소 신호가 다음 화소 신호가 충전될 때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기 위하여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더 구비한다. 이 스토리지 커패시터는 화소전극과 이전단 게이트 라인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셀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통해 충전되는 화소 신호에 따라 유전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의 배열 상태가 가변하여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계조를 구현하게 된다.
타이밍 제어부(108)는 도시되지 않은 비디오 카드로부터 공급되는 동기신호(V, H)를 이용하여 게이트 제어신호들(GSP, GSC, GOE) 및 데이터 제어신호들(SSP, SSC, SOE, POL)을 발생한다. 게이트 제어신호들(GSP, GSC, GOE)은 게이트 드라이버(106)로 공급되어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게 되고, 데이터 제어신호들(SSP, SSC, SOE, POL)은 데이터 드라이버(104)로 공급되어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타이밍 제어부(108)는 화소 데이터(VD)를 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04)로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06)는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킨다. 이를 위해, 게이트 드라이버(106)는 다수의 게이트 IC(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게이트 IC들은 자신에게 접속된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을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의 제어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구동시킨다. 다시 말하여, 게이트 IC들은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들(GSP, GSC, GOE)에 응답하여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하이전압(VGH)을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드라이버(106)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게이트 쉬 프트 클럭(GSC)에 따라 쉬프트시켜 쉬프트펄스를 발생한다. 그리고, 게이트 드라이버(106)는 쉬프트 펄스에 응답하여 수평기간마다 해당 게이트라인(GL)에 게이트 하이전압(VGH)을 공급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쉬프트펄스는 수평기간마다 한 라인씩 쉬프트되고, 게이트 IC들 중 어느 하나는 쉬프트펄스에 대응되어 해당 게이트라인(GL)에 게이트 하이전압(VGH)을 공급한다. 이 경우, 게이트 IC들은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n)에 게이트 하이전압(VGH)이 공급되지 않는 나머지 기간에서는 게이트 로우전압(VGL)을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04)는 수평기간마다 1라인분씩의 화소신호를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드라이버(104)는 다수의 데이터 IC(116)들을 구비한다. 데이터 IC(116)들 각각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이하, "TCP"라 함)(110) 상에 실장된다. 이러한, 데이터 IC(116)들은 TCP 패드(112), 데이터 패드(114) 및 링크부(118)를 경유하여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데이터 IC(116)들은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제어 신호들(SSP, SSC, SOE, POL)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에 화소신호를 공급한다. 이 때, 데이터 IC(116)들은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의 화소 데이터(VD)를 감마전압 발생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화소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IC(116)들은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소스 쉬프트 클럭(SSC)에 따라 쉬프트시켜 샘플링신호를 발생한다. 이어서, 데이터 IC(116)들은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화소 데이터(VD)를 일정 단위씩 순차적으로 래치한다. 이 후, 래치된 1라인분의 화소 데이터(VD)를 아날로그 화소신호로 변환하여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의 인에이블 기간에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에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데이터 IC(116)들은 화소 데이터(VD)를 극성 제어 신호(POL)에 응답하여 정극성 또는 부극성의 화소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다른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IC들(116) 각각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에 화소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출력채널을 변경하게 된다. 이를 위해, 데이터 IC들(116) 각각은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가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을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 각각은 전압원(VCC) 및 기저전압원(GND)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2비트 2진 논리값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을 통해 데이터 IC(116)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는 "00", "01", "10" 및 "11"의 값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IC(116) 각각은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을 통해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액정패널(102)의 해상도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진 출력채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액정패널(102)의 해상도에 따라 데이터 IC(116)의 출력채널에 따른 데이터 IC(116)의 개수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해상도 픽셀 수 데이터 IC 출력채널에 따른 데이터 IC 개수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 600CH 618CH 630CH 642CH
XGA 3072 768 5.12 4.97 4.88 4.79
SXGA+ 4200 1050 7.00 6.80 6.67 6.54
UXGA 4800 1200 8.00 7.77 7.62 7.48
WXGA 3840 800 6.40 6.21 6.10 5.98
WSXGA- 4320 900 7.20 6.99 6.86 6.73
WSXGA 5040 1050 8.40 8.16 8.00 7.85
WUXGA 5760 1200 9.60 9.32 9.14 8.97
표 1을 참조하면, 4가지 채널로 모든 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XGA(eXtended Graphics Array) 급의 해상도를 가지는 액정패널(102)에서는 618개의 출력채널을 갖는 5개의 데이터 IC(116)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남는 18개의 출력채널은 더미라인으로 처리한다. 또한, SXGA+(Super eXtended Graphics Adapter+) 급의 해상도를 가지는 액정패널(102)에서는 600개의 출력채널을 갖는 7개의 데이터 IC(116)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UXGA(Ultra eXtended Graphics Adapter) 급의 해상도를 가지는 액정패널(102)에서는 600개의 출력채널을 갖는 8개의 데이터 IC(116)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WXGA(Wide aspect eXtended Graphics Array) 급의 해상도를 가지는 액정패널(102)에서는 642개의 출력채널을 갖는 6개의 데이터 IC(116)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WSXGA-(Wide aspect Super eXtended Graphics Adapter-) 급의 해상도를 가지는 액정패널(102)에서는 618개의 출력채널을 갖는 7개의 데이터 IC(116)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WSXGA(Wide aspect Super eXtended Graphics Adapter) 급의 해상도를 가지는 액정패널(102)에서는 630개의 출력채널을 갖는 8개의 데이터 IC(116)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WUXGA(Wide aspect Ultra eXtended Graphics Adapter) 급의 해상도를 가지는 액정패널(102)에서는 642개의 출력채널을 갖는 9개의 데이터 IC(116)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데이터 IC(116)의 출력채널을 600 채널, 618 채널, 630 채널 및 642 채널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함으로써 액정패널(102)의 모든 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IC(116)는 642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도록 제조하고,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으로부터의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데이터 IC(116)의 출력채널을 설정함으로써 액정패널(102)의 모든 해상도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IC(116)는 642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도록 제조된다.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 각각이 기저전압원(GND)에 접속되어 데이터 IC(116)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의 값이 "00"일 경우에 데이터 IC(11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642개의 출력채널 중 제 1 내지 제 600 출력채널을 통해 화소 전압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 601 내지 제 642 출력채널은 더미 출력채널이 된다. 또한, 제 1 옵션핀(OP1)이 기저전압원(GND)에 접속됨과 아울러 제 2 옵션핀(OP2)이 전압원(VCC)에 접속되어 데이터 IC(116)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의 값이 "01"일 경우에 데이터 IC(11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42개의 출력채널 중 제 1 내지 제 618 출력채널을 통해 화소 전압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 619 내지 제 642 출력채널은 더미 출력채널이 된다. 그리고, 제 1 옵션핀(OP1)이 전압원(VCC)에 접속됨과 아울러 제 2 옵션핀(OP2)이 기저전압원(GND)에 접속되어 데이터 IC(116)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의 값이 "10"일 경우에 데이터 IC(11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642개의 출력채널 중 제 1 내지 제 630 출력채널을 통해 화소 전압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 631 내지 제 642 출력채널은 더미 출력채널이 된다. 마지막으로,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 각각이 전압원(VCC)에 접속되어 데이터 IC(116)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의 값이 "11"일 경우에 데이터 IC(11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642 출력채널을 통해 화소 전압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IC(11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데이터 IC(116)의 출력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채널 선택부(130)와, 순차적인 샘플링신호를 공급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부(134)와, 샘플링신호에 응답하여 화소 데이터(VD)를 순차적으로 래치하여 동시에 출력하는 래치부(136)와, 래치부(136)로부터의 화소 데이터(VD)를 화소전압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이하, DAC부라 함)(138)와, DAC(138)로부터의 화소전압신호를 완충하여 출력하는 출력 버퍼부(146)를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 IC(116)는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제어신호들과 화소 데이터(VD)를 중계하는 신호 제어부(120)와, DAC부(138)에서 필요로 하는 정극성 및 부극성 감마전압들을 공급하는 감마 전압부(132)를 추가로 구비한다.
신호제어부(120)는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의 각종 제어신호들(SSP, SSC, SOE, REV, POL 등)과 화소 데이터(VD)가 해당 구성요소들로 출력되게 제어한다.
감마전압부(132)는 감마 기준전압 발생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다수개의 감마 기준전압을 그레이별로 세분화하여 출력한다.
채널 선택부(130)는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을 통해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채널 제어신호(CS1 내지 CS4)를 쉬프트 레지스터부(134)에 공급하게 된다. 즉, 채널 선택부(130)는 "00"의 값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대응되는 제 1 채널 제어신호(CS1)와, "01"의 값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대응되는 제 2 채널 제어신호(CS2)와, "10"의 값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대응되는 제 3 채널 제어신호(CS3)와, "11"의 값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대응되는 제 4 채널 제어신호(CS4)를 발생한다.
쉬프트 레지스터부(134)에 포함된 쉬프트 레지스터들은 신호제어부(120)로부터의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소스 샘플링 클럭신호(SSC)에 따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샘플링신호로 출력한다. 이때, 쉬프트 레지스터부(134)는 642개의 쉬프트 레지스터들(SR1 내지 SR642)로 구성된다.
이러한, 쉬프트 레지스터부(134)는 채널 선택부(130)로부터의 제 1 내지 제 4 채널 제어신호(CS1 내지 CS4)에 따라 제 600, 제 618, 제 630 및 제 642 쉬프트 레지스터(SR600, SR628, SR630, SR642) 각각의 출력신호를 다음 단 데이터 IC(116)에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채널 선택부(130)로부터 제 1 출력 제어신호(CS1)에 공급되는 경우 쉬프트 레지스터부(134)는 제 1 내지 제 600 번째 쉬프트 레지스터들(SR1 내지 SR600)을 이용하여 신호제어부(120)로부터의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소스 샘플링 클럭신호(SSC)에 따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샘플링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 600 번째 쉬프트 레지스터(SR600)의 출력신호(캐리신호)를 다음 단의 데이터 IC(116)의 첫번째 쉬프트 레지스터(SR1)로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601 내지 제 642 쉬프트 레지스터들(SR601 내지 SR642)은 샘플링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쉬프트 레지스터가 양 방향으로 구동될 경우 중간의 42개 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더미처리하여 구조상 더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채널 선택부(130)로부터 제 2 출력 제어신호(CS2)에 공급되는 경우 쉬프트 레지스터부(134)는 제 1 내지 제 618 번째 쉬프트 레지스터들(SR1 내지 SR618)을 이용하여 신호제어부(120)로부터의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소스 샘플링 클럭신호(SSC)에 따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샘플링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 618 번째 쉬프트 레지스터(SR600)의 출력신호(캐리신호)를 다음 단의 데이터 IC(116)의 첫번째 쉬프트 레지스터(SR1)로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619 내지 제 642 쉬프트 레지스터들(SR619 내지 SR642)은 샘플링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쉬프트 레지스터가 양 방향으로 구동될 경우 중간의 24개 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더미처리하여 구조상 더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채널 선택부(130)로부터 제 3 출력 제어신호(CS3)에 공급되는 경우 쉬프트 레지스터부(134)는 제 1 내지 제 630 번째 쉬프트 레지스터들(SR1 내지 SR630)을 이용하여 신호제어부(120)로부터의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소스 샘플링 클럭신호(SSC)에 따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샘플링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 630 번째 쉬프트 레지스터(SR600)의 출력신호(캐리신호)를 다음 단의 데이터 IC(116)의 첫번째 쉬프트 레지스터(SR1)로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631 내지 제 642 쉬프트 레지스터들(SR631 내지 SR642)은 샘플링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쉬프트 레지스터가 양 방향으로 구동될 경우 중간의 12개 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더미처리하여 구조상 더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채널 선택부(130)로부터 제 4 출력 제어신호(CS4)에 공급되는 경우 쉬프트 레지스터부(134)는 제 1 내지 제 642 번째 쉬프트 레지스터들(SR1 내지 SR642)을 이용하여 신호제어부(120)로부터의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소스 샘플링 클럭신호(SSC)에 따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샘플링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 642 번째 쉬프트 레지스터(SR600)의 출력신호(캐리신호)를 다음 단의 데이터 IC(116)의 첫번째 쉬프트 레지스터(SR1)로 공급하게 된다.
래치부(136)는 쉬프트 레지스터부(134)로부터의 샘플링신호에 응답하여 신호 제어부(120)로부터의 화소 데이터(VD)를 일정단위씩 순차적으로 샘플링하여 래치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래치부(136)는 642개의 화소 데이터(VD)를 래치하기 위해 최대 642 개의 래치들로 구성되고, 그 래치들 각각은 화소 데이터(VD)의 비트수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특히, 타이밍 제어부(108)는 전송주파수를 줄이기 위하여 화소 데이터(VD)를 이븐 화소 데이터(VDeven)와 오드 화소 데이터(VDodd)로 나누어 각각의 전송라인을 통해 동시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이븐 화소 데이터(VDeven)와 오드 화소 데이터(VDodd) 각각은 적(R), 녹(G), 청(B) 화소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래치부(136)는 샘플링신호마다 신호 제어부(120)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이븐 화소 데이터(VDeven)와 오드 화소 데이터(VDodd)를 동시에 래치하게 된다. 이어서, 래치부(136)는 신호 제어부(120)로부터의 소스 출력 이네이블신호(SOE)에 응답하여 래치된 630개, 618개, 630개 및 642개 중 어느 한 개의 출력채널을 통해 화소 데이터들(VD)을 동시에 출력한다. 이 경우, 래치부(136)는 데이터반전 선택신호(REV)에 응답하여 트랜지션 비트수가 줄어들게끔 변조된 화소 데이터(VD)들을 복원시켜 출력하게 된다. 이는 타이밍 제어부(108)에서 데이터전송시 전자기적 간섭(EMI)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트랜지션되는 비트수가 기준치를 넘어서는 화소 데이터(VD)들은 트랜지션 비트수가 줄어들게끔 변조하여 공급하기 때문이다.
DAC부(138)는 래치부(136)로부터의 화소 데이터(VD)를 동시에 정극성 및 부극성 화소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DAC부(138)는 래치부(136)에 공통 접속된 P(Positive) 디코딩부(140) 및 N(Negative) 디코딩부(142)와, P 디코딩부(140) 및 N 디코딩부(142)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멀티플렉서(MUX; 144)를 구비한다.
P 디코딩부(140)에 포함되는 n개의 P 디코더들은 래치부(136)로부터 동시에 입력되는 n개의 화소 데이터들을 감마전압부(132)로부터의 정극성 감마전압들을 이용하여 정극성 화소전압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N 디코딩부(142)에 포함되는 n개의 N 디코더들은 래치부(136)로부터 동시에 입력되는 n개의 화소 데이터들을 감마 전압부(132)로부터의 부극성 감마전압들을 이용하여 부극성 화소전압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멀티플렉서부(144)에 포함되는 최대 642개의 멀티플렉서들은 신호제어부(120)로부터의 극성제어신호(POL)에 응답하여 P 디코더(140)로부터의 정극성 화소전압신호 또는 N 디코더(142)로부터의 부극성 화소전압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출력버퍼부(146)에 포함되는 최대 642개의 출력버퍼들은 최대 642개의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642)들에 직렬로 각각 접속되어진 전압추종기(Voltage follower)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출력버퍼들은 DAC부(138)로부터의 화소전압신호들을 신호완충하여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642)에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600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는 데이터 IC(116)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XGA+급 및 UXGA급의 해상도를 가지는 액정패널(102)에 사용되고, 618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는 데이터 IC(116)는 XGA급과 WSXGA-급의 해상도를 가지는 액정패널(102)에 사용되고, 630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는 데이터 IC(116)는 WSXGA급의 해상도를 가지는 액정패널(102)에 사용되고, 642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는 데이터 IC(116)는 WXGA급과 WUXGA급의 해상도를 가지는 액정패널(102)에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출력 선택신호(P1, P2)에 따라 변경되는 데이터 IC(116)의 출력채널에 대응되도록 TCP 패드(112), 액정패널(102)의 데이터 패드(114) 및 링크부(118)를 설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IC(116) 는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패널(102)의 해상도에 따라 데이터 IC(116)의 출력채널을 설정함으로써 한 종류의 데이터 IC(116)만으로도 모든 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작업성의 향상 및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데이터 IC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 IC(216)를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도 10을 도 4와 결부하여 데이터 IC(216)만을 설명하기로 하고,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IC의 도면부호 "116"는 도 10에 도시된 "216"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데이터 IC(216)는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LDm)에 화소 데이터를 공급하는 제 1 데이터 출력채널군(260)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262)과, 제 1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260, 262) 사이의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264)을 구비한다.
이러한, 데이터 IC(216)는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LDm)의 수에 따라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264)을 통해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LDm)에 공급되는 화소 데이터의 출력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가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을 더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 각각은 전압원(VCC) 및 기저전압원(GND)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2비트 2진 논리값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을 통해 데이터 IC(216)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는 "00", "01", "10" 및 "11"의 값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IC(216) 각각은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을 통해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액정패널(102)의 해상도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진 출력채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액정패널(102)의 해상도에 따라 데이터 IC(216)의 출력채널에 따른 데이터 IC(216)의 개수는 표 1과 같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데이터 IC(216)의 출력채널을 600 채널, 618 채널, 630 채널 및 642 채널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함으로써 액정패널(102)의 모든 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IC(216)는 642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도록 제조하고,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으로부터의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데이터 IC(216)의 출력채널을 설정함으로써 액정패널(102)의 모든 해상도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출력채널의 결정에 따른 데이터 IC(216)의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264)을 데이터 IC(216)의 데이터 출력채널들 중 중간부분에 배치하게 된다. 즉, 데이터 IC(216)의 제 1 및 제 2 데 이터 출력채널군(260, 262)은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264)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출력채널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 IC(216)의 제 1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260, 262) 각각의 출력채널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화소 데이터의 출력시 전자기적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IC(216)는 642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도록 제조된다.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 각각이 기저전압원(GND)에 접속되어 데이터 IC(216)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의 값이 "00"일 경우에 데이터 IC(21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42개의 출력채널 중 제 1 내지 제 300 출력채널을 가지는 제 1 데이터 출력채널군(260) 및 제 343 내지 제 642 출력채널을 가지는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262)을 통해 화소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264)은 제 301 내지 제 342 출력채널을 가지며 더미라인으로 처리되어 화소 데이터가 출력되거나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옵션핀(OP1)이 기저전압원(GND)에 접속됨과 아울러 제 2 옵션핀(OP2)이 전압원(VCC)에 접속되어 데이터 IC(216)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의 값이 "01"일 경우에 데이터 IC(216)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42개의 출력채널 중 제 1 내지 제 309 출력채널을 가지는 제 1 데이터 출력채널군(260) 및 제 334 내지 제 642 출력채널을 가지는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262)을 통해 화소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264)은 제 310 내지 제 333 출력채널을 가지며 더미라인으로 처리되어 화소 데이터가 출력되거나 출력되지 않는다. 그 리고, 제 1 옵션핀(OP1)이 전압원(VCC)에 접속됨과 아울러 제 2 옵션핀(OP2)이 기저전압원(GND)에 접속되어 데이터 IC(216)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의 값이 "10"일 경우에 데이터 IC(216)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642개의 출력채널 중 제 1 내지 제 315 출력채널을 가지는 제 1 데이터 출력채널군(260) 및 제 328 내지 제 642 출력채널을 가지는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262)을 통해 화소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264)은 제 316 내지 제 327 출력채널을 가지며 더미라인으로 처리되어 화소 데이터가 출력되거나 출력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 각각이 전압원(VCC)에 접속되어 데이터 IC(216)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의 값이 "00"일 경우에 데이터 IC(216)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데이터 출력채널군(260),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264)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262), 즉 제 1 내지 제 642 출력채널을 통해 화소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IC(21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데이터 IC(216)의 출력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채널 선택부(130)와, 순차적인 샘플링신호를 공급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부(134)와, 샘플링신호에 응답하여 화소 데이터(VD)를 순차적으로 래치하여 동시에 출력하는 래치부(136)와, 래치부(136)로부터의 화소 데이터(VD)를 화소전압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이하, DAC부라 함)(138)와, DAC(138)로부터의 화소전압신호를 완충하여 출력하는 출력 버퍼부(146)를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 IC(216)는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제어신호들과 화소 데이터(VD)를 중계하는 신호 제어부(120)와, DAC부(138)에서 필요로 하는 정극성 및 부극성 감마전압들을 공급하는 감마 전압부(132)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러한, 채널 선택부(130), 쉬프트 레지스터부(134), 래치부(136), DAC부(138), 출력 버퍼부(146), 신호 제어부(120) 및 감마 전압부(132)를 포함하는 데이터 IC(216)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IC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IC(216)는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패널(102)의 해상도에 따라 데이터 IC(216)의 출력채널을 설정함으로써 한 종류의 데이터 IC(216)만으로도 모든 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작업성의 향상 및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데이터 IC(116, 216)의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스위치(Q1, Q2)의 선택적인 스위칭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Q1)는 전압원(VCC)과 제 1 옵션핀(OP1) 사이에 접속되고, 제 2 스위치(Q2)는 전압원(VCC)과 제 2 옵션핀(OP2) 사이에 접속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스위치(Q1, Q2) 각각은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의 스위칭 신호(S1, S2)에 의해 스위칭되거나 액정패널(102)의 해상도에 따라 설정되어진 스위칭 신호(S1, S2)에 의해 스위칭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데이터 IC(116, 216)의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원(VCC)에 접속됨과 아울러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 각각에 접속된 딥 스위치(250)의 스위칭 조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딥 스위치(250)는 액정패널(102)의 해상도에 따라 시스템 엔지니어에 의해 스위치 각각의 위치가 설정됨으로써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를 발생하여 제 1 및 제 2 옵션핀(OP1, OP2) 각각에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642개의 출력채널을 가지는 데이터 IC(116, 216)의 출력채널을 변경하는 것에 대해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642개 이하 및 이상의 출력채널을 가지는 데이터 IC(116, 216)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설정되는 데이터 IC(116, 216)의 출력채널은 600, 618, 630 및 642개의 출력채널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설정되는 데이터 IC(116, 216)의 출력채널은 액정패널(102)의 해상도, TCP의 개수, TCP의 폭, 타이밍 제어부(108)로부터 데이터 IC(116, 216)에 화소 데 이터(VD)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108)와 데이터 IC(116, 216)간의 데이터 전송라인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에 따라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채널 선택신호(P1, P2)에 따라 설정되는 데이터 IC(116)의 출력채널은 600, 618, 624, 630, 642, 645, 684, 696, 702, 720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IC(116, 216)의 출력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채널 선택신호(P1, P2) 역시 2비트의 2진 논리값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2비트 이상의 2진 논리값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IC는 상술한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는 채널 선택신호를 이용하여 액정패널의 해상도에 따라 데이터 집적회로의 채널을 변경함으로써 한 종류의 데이터 집적회로를 이용하여 액정패널의 모든 해상도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라인들에 항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제 1 출력채널군과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 사이에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이 형성된 데이터 집적회로를 구비하고, 채널 선택신호를 이용하여 액정패널의 해상도에 따라 데이터 집적회로의 채널을 변경함으로써 한 종류의 데이터 집적회로를 이용하여 액정패널의 모든 해상도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정패널의 해상도에 상관없이 데이터 집적회로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집적회로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작업성의 향상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34)

  1. 데이터라인들에 화소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포함하고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가지는 데이터 집적회로와,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의 출력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채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을 통하여 상기 화소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의 출력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부와,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샘플링신호를 출력하는 N개(단, N은 양의 정수)의 쉬프트 레지스터들로 구성된 쉬프트 레지스터부와,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쉬프트되는 클럭에 따라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와,
    상기 래치로부터의 상기 데이터를 상기 화소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화소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데이터라인들로 출력하는 N개의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데이터라인들의 수,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의 개수,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가 실장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폭, 상기 타이밍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간의 데이터 전송라인 수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전압원 및 기저전압원에 접속되어 상기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에 구비된 상기 N개의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중에서 상기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이루는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선택하되,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내지 I(단, I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제 1 내지 J(단, J는 I보다 작은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제 1 내지 K(단, K는 J보다 작은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및 제 1 내지 N 데이터 출력채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데이터 출력채널군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K 데이터 출력채널은 상기 데이터 출력채널군이고, 상기 제 J 내지 제 N 데이터 출력채널은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N개의 쉬프트 레지스터들의 I번째, J번째, K번째 및 N번째 쉬프트 레지스터 중 어느 하나의 출력신호를 다음 단 데이터 집적회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선택단자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선택단자에 접속되는 딥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데이터라인들에 화소 데이터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과,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 사이에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가지는 데이터 집적회로와;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의 출력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채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을 통하여 상기 화소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들의 출력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부와,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샘플링신호를 출력하는 N개(단, N은 양의 정수)의 쉬프트 레지스터들로 구성된 쉬프트 레지스터부와,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쉬프트되는 클럭에 따라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와,
    상기 래치로부터의 상기 데이터를 상기 화소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화소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데이터라인들로 출력하는 N개의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데이터라인들의 수,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의 개수,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가 실장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폭, 상기 타이밍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간의 데이터 전송라인 수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전압원 및 기저전압원에 접속되어 상기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은 동일한 출력채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에 구비된 상기 N개의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중에서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이루는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선택하되,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내지 I1(단, I1은 1보다 큰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제 1 내지 I2(단, I2는 I1보다 큰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및 제 1 내지 I3(단, I3은 I2보다 큰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채널군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에 구비된 상기 N개의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중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이루는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선택하되,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 J1 내지 제 N(단, J1은 I3보다 큰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제 J2 내지 N(단, J2는 J1보다 큰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및 제 J3 내지 N(단, J3은 J2보다 크고 N보다 작은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의 제 I1 내지 제 J3개, 또는 제 I2 내지 J2개, 또는 제 I3 내지 J1개의 데이터 출력채널은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선택단자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선택단자에 접속되는 딥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N개의 출력채널들 중에서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제외한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통해 상기 화소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3.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마다 액정셀이 형성된 액정패널과,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화소 데이터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 사이에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가지는 데이터 집적회로와,
    상기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스캔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집적회로와,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군의 출력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부와,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와 상기 게이트 집적회로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채널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을 통하여 상기 화소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들의 출력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샘플링신호를 출력하는 N개(단, N은 양의 정수)의 쉬프트 레지스터들로 구성된 쉬프트 레지스터부와,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쉬프트되는 클럭에 따라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와,
    상기 래치로부터의 상기 데이터를 상기 화소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의 상기 화소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데이터라인들로 출력하는 N개의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데이터라인들의 수,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의 개수,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가 실장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폭, 상기 타이밍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간의 데이터 전송라인 수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전압원 및 기저전압원에 접속되어 상기 채널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은 동일한 출력채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에 구비된 상기 N개의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중에서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이루는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선택하되,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내지 I1(단, I1은 1보다 큰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제 1 내지 I2(단, I2는 I1보다 큰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및 제 1 내지 I3(단, I3은 I2보다 큰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채널군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에 구비된 상기 N개의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중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을 이루는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선택하되,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 J1 내지 제 N(단, J1은 I3보다 큰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제 J2 내지 N(단, J2는 J1보다 큰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및 제 J3 내지 N(단, J3은 J2보다 크고 N보다 작은 양의 정수) 데이터 출력채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채널군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집적회로의 제 I1 내지 제 J3개, 또는 제 I2 내지 J2개, 또는 제 I3 내지 J1개의 데이터 출력채널은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선택단자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상기 선택단자에 접속되는 딥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채널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N개의 출력채널들 중에서 상기 더미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제외한 데이터 출력채널들을 통해 상기 화소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40029611A 2003-12-11 2004-04-28 액정표시장치 KR100598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612A KR100598740B1 (ko) 2003-12-11 2004-04-28 액정표시장치
KR1020040029615A KR100598741B1 (ko) 2003-12-11 2004-04-28 액정표시장치
KR1020040029611A KR100598739B1 (ko) 2003-12-11 2004-04-28 액정표시장치
KR1020040029610A KR100598738B1 (ko) 2003-12-11 2004-04-28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US10/964,779 US7495648B2 (en) 2003-12-11 2004-1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GB0425978A GB2409095B (en) 2003-12-11 2004-11-2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093136310A TWI253623B (en) 2003-12-11 2004-11-2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GB0525459A GB2418520B (en) 2003-12-11 2004-11-2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NL1027617A NL1027617C2 (nl) 2003-12-11 2004-11-29 Vloeibaarkristal beeldscherminrichting.
JP2004349838A JP4979888B2 (ja) 2003-12-11 2004-12-02 データ駆動集積回路及びその駆動方法とそれを利用した表示装置
CNB2004101001188A CN100428004C (zh) 2003-12-11 2004-12-08 液晶显示器件
DE102004059157A DE102004059157B4 (de) 2003-12-11 2004-12-08 Datentreiber-IC, 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solchen sowie LCD mit einem solchen
FR0413113A FR2863761B1 (fr) 2003-12-11 2004-12-09 Circuit integre de commande de donnees, affichage comprenant un circuit integre et procede de commande de circuit integre
US12/320,894 US9305480B2 (en) 2003-12-11 2009-02-06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90301 2003-12-11
KR1020030090301 2003-12-11
KR1020040029611A KR100598739B1 (ko) 2003-12-11 2004-04-28 액정표시장치
KR1020040029612A KR100598740B1 (ko) 2003-12-11 2004-04-28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177A KR20050058177A (ko) 2005-06-16
KR100598739B1 true KR100598739B1 (ko) 2006-07-10

Family

ID=3356838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612A KR100598740B1 (ko) 2003-12-11 2004-04-28 액정표시장치
KR1020040029610A KR100598738B1 (ko) 2003-12-11 2004-04-28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KR1020040029611A KR100598739B1 (ko) 2003-12-11 2004-04-28 액정표시장치
KR1020040029615A KR100598741B1 (ko) 2003-12-11 2004-04-28 액정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612A KR100598740B1 (ko) 2003-12-11 2004-04-28 액정표시장치
KR1020040029610A KR100598738B1 (ko) 2003-12-11 2004-04-28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615A KR100598741B1 (ko) 2003-12-11 2004-04-28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495648B2 (ko)
JP (1) JP4979888B2 (ko)
KR (4) KR100598740B1 (ko)
CN (1) CN100428004C (ko)
DE (1) DE102004059157B4 (ko)
FR (1) FR2863761B1 (ko)
GB (1) GB2409095B (ko)
NL (1) NL1027617C2 (ko)
TW (1) TWI2536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3474B2 (en) * 2003-12-16 2010-11-30 Lg Display Co., Ltd. Driv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4698953B2 (ja) * 2004-01-27 2011-06-08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6317615A (ja) * 2005-05-11 2006-11-24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
KR101127847B1 (ko) * 2005-06-28 2012-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1300683B1 (ko) * 2006-02-06 2013-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TWI338879B (en) * 2006-05-30 2011-03-11 Au Optronics Corp Shift register
TWI374416B (en) * 2006-06-08 2012-10-11 Au Optronics Corp Data driver, lcd panel
KR101243788B1 (ko) * 2006-06-26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KR101222978B1 (ko) * 2006-06-29 201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2008164787A (ja) 2006-12-27 2008-07-17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
CN101399029B (zh) * 2007-09-27 2010-10-13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调节装置及采用该调节装置的图像处理系统
JP5238230B2 (ja) * 2007-11-27 2013-07-1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
JP5246782B2 (ja) 2008-03-06 2013-07-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424282B1 (ko) * 2008-05-16 2014-08-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520805B1 (ko) 2008-10-06 2015-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회로 및 이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0975814B1 (ko) * 2008-11-14 2010-08-13 주식회사 티엘아이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키는 소스 드라이버
KR101534150B1 (ko) * 2009-02-13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소스 드라이버 및 액정 표시 장치
CN101996548B (zh) * 2009-08-18 2012-12-19 瑞鼎科技股份有限公司 驱动电路及包含该驱动电路的显示系统
KR101579272B1 (ko) 2009-10-30 2015-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12053466A1 (ja) * 2010-10-21 2012-04-2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5676219B2 (ja) * 2010-11-17 2015-02-25 京セラ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TWI476647B (zh) * 2011-09-02 2015-03-11 Pixart Imaging Inc 滑鼠裝置
JP2014085619A (ja) * 2012-10-26 2014-05-12 Lapis Semiconductor Co Ltd 表示パネルドライバ及びその駆動方法
AU2014241142B2 (en) 2013-03-27 2017-09-28 Mercury Mission Systems, Llc LCD source driver feedback system and method
TWI666623B (zh) 2013-07-10 2019-07-2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驅動器電路及顯示裝置
KR102098717B1 (ko) * 2013-08-22 2020-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108994A (ko) * 2014-03-18 2015-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388243B2 (en) 2014-05-06 2019-08-20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riving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thereof
CN105096848A (zh) * 2014-05-19 2015-11-25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控制源极驱动电路的方法、控制芯片及显示设备
KR102155015B1 (ko) 2014-09-29 2020-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드라이버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368079B1 (ko) * 2015-09-25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US10306340B2 (en) * 2016-02-02 2019-05-2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aggregating water usage data based on vibration sensors
KR102605600B1 (ko) * 2016-07-29 2023-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테스트 방법
CN107103889B (zh) * 2017-06-29 2019-08-06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驱动电路、驱动电路的驱动方法和显示装置
CN108091301B (zh) * 2017-12-14 2020-06-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压采样电路、方法及显示装置
KR102057873B1 (ko) * 2017-12-20 2020-01-22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데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6000B1 (ko) * 2018-10-10 2024-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채널 제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N109581766A (zh) * 2018-12-21 2019-04-05 惠科股份有限公司 驱动电路、驱动方法及显示设备
CN111833825B (zh) 2020-07-21 2023-06-02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驱动电路,驱动方法及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6068A (en) 1996-09-17 1999-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dummy data driving to produce edge column compensation
JP2000330500A (ja) * 1999-05-21 2000-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応用機器
JP2002098987A (ja) * 2001-06-26 2002-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応用機器
KR20020057225A (ko) * 2000-12-30 2002-07-11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30058732A (ko) * 2001-12-31 2003-07-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US6661490B2 (en) 2000-09-18 2003-12-09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2127A (ja) 1985-06-20 1986-12-22 Toshiba Corp 液晶駆動用集積回路
JPS622076A (ja) * 1985-06-26 1987-01-08 Musashi Seimitsu Ind Co Ltd 摩耗表示ボ−ルジョイント
JPH0778672B2 (ja) 1987-09-28 1995-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素子
JPH04170515A (ja) 1990-11-02 1992-06-18 Fujitsu Ltd 液晶パネルの駆動回路
JP3143493B2 (ja) * 1991-06-21 2001-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JPH05119734A (ja) * 1991-10-28 1993-05-18 Canon Inc 表示制御装置
JP3147973B2 (ja) * 1992-03-09 2001-03-19 株式会社 沖マイクロデザイン 駆動回路
JP3167435B2 (ja) 1992-07-27 2001-05-21 ローム株式会社 ドライバー回路
JP3297962B2 (ja) * 1994-04-22 2002-07-02 ソニー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
US5883609A (en) * 1994-10-27 1999-03-16 Nec Corporation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with multi-media oriented drivers and driving method for same
JP2822911B2 (ja) * 1995-03-23 1998-11-11 日本電気株式会社 駆動回路
US6262704B1 (en) 1995-12-14 2001-07-17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205009B1 (ko) * 1996-04-17 1999-06-15 윤종용 비디오신호 변환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표시장치
JPH10153986A (ja) 1996-09-25 1998-06-09 Toshiba Corp 表示装置
JPH10149139A (ja) * 1996-11-18 1998-06-02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US5787273A (en) 1996-12-13 1998-07-28 Advanced Micro Devices, Inc. Multiple parallel identical finite state machines which share combinatorial logic
GB9706943D0 (en) 1997-04-04 1997-05-21 Sharp Kk Active matrix device circuits
GB2323957A (en) * 1997-04-04 1998-10-07 Sharp Kk Active matrix drive circuits
JP4232227B2 (ja) * 1998-03-25 2009-03-0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3544470B2 (ja) 1998-04-28 2004-07-21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3663943B2 (ja) 1998-12-04 2005-06-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0310963A (ja) 1999-02-23 2000-11-07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100304261B1 (ko) 1999-04-16 2001-09-26 윤종용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그를 포함한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그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 및 이들의 조립 방법
KR100303213B1 (ko) 1999-09-21 2001-11-02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
KR100661826B1 (ko) * 1999-12-31 2006-12-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1331152A (ja) 2000-05-22 2001-11-30 Nec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及び該回路で駆動される液晶表示装置
KR100291769B1 (ko) 2000-09-04 2001-05-15 권오경 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 드라이버
JP2002278492A (ja) * 2001-03-16 2002-09-27 Nec Corp ディジタルディスプレイの信号処理回路及び信号処理方法
JP3744819B2 (ja) * 2001-05-24 2006-0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信号駆動回路、表示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信号駆動方法
JP2002366112A (ja) 2001-06-07 2002-12-20 Hitachi Ltd 液晶駆動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815897B1 (ko) 2001-10-13 2008-03-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864917B1 (ko) * 2001-11-03 2008-10-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864918B1 (ko) * 2001-12-26 2008-10-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 장치
KR100840675B1 (ko) * 2002-01-14 2008-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 장치 및 방법
JP4302535B2 (ja) * 2002-04-08 2009-07-29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ゲート駆動回路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100864922B1 (ko) * 2002-04-20 2008-10-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870517B1 (ko) * 2002-07-11 2008-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900539B1 (ko) * 2002-10-21 2009-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7492343B2 (en) * 2003-12-11 2009-02-17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6068A (en) 1996-09-17 1999-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dummy data driving to produce edge column compensation
JP2000330500A (ja) * 1999-05-21 2000-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応用機器
US6661490B2 (en) 2000-09-18 2003-12-09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20057225A (ko) * 2000-12-30 2002-07-11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2098987A (ja) * 2001-06-26 2002-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応用機器
KR20030058732A (ko) * 2001-12-31 2003-07-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178A (ko) 2005-06-16
US7495648B2 (en) 2009-02-24
FR2863761B1 (fr) 2008-06-27
JP2005173592A (ja) 2005-06-30
US9305480B2 (en) 2016-04-05
KR100598740B1 (ko) 2006-07-10
DE102004059157A1 (de) 2005-07-14
KR20050058177A (ko) 2005-06-16
JP4979888B2 (ja) 2012-07-18
CN100428004C (zh) 2008-10-22
GB2409095A (en) 2005-06-15
NL1027617C2 (nl) 2006-08-15
TWI253623B (en) 2006-04-21
CN1627142A (zh) 2005-06-15
NL1027617A1 (nl) 2005-06-14
KR100598738B1 (ko) 2006-07-10
GB2409095B (en) 2006-03-01
KR20050058176A (ko) 2005-06-16
KR100598741B1 (ko) 2006-07-10
KR20050058179A (ko) 2005-06-16
FR2863761A1 (fr) 2005-06-17
TW200521947A (en) 2005-07-01
US20050128170A1 (en) 2005-06-16
GB0425978D0 (en) 2004-12-29
US20090146940A1 (en) 2009-06-11
DE102004059157B4 (de)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739B1 (ko) 액정표시장치
US884794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487859B2 (en) Data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236484B1 (ko) 표시장치 및 휴대단말
KR10099562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US749234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061631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20050123487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84909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12157B1 (ko) 데이터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의 구동장치및 구동방법
KR20030095424A (ko) 액정패널,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그리고 그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0947774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GB241852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shift registers
KR100987677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KR20050031166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50065825A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037084B1 (ko)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장치 및 방법
KR20040077177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