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267B1 - 횡편기의 싱커 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싱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267B1
KR100585267B1 KR1020027005472A KR20027005472A KR100585267B1 KR 100585267 B1 KR100585267 B1 KR 100585267B1 KR 1020027005472 A KR1020027005472 A KR 1020027005472A KR 20027005472 A KR20027005472 A KR 20027005472A KR 100585267 B1 KR100585267 B1 KR 100585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er
jack
needle
stitch
needle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7304A (ko
Inventor
모리타도시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4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싱커 장치는 니들 베드 갭4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싱커 잭50과 상기 싱커 잭의 윗면을 지지면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싱커30을 구비함과 동시에 싱커30과 싱커 잭50은 회전지점의 전방측에서 서로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딩 면을 각각 형성하고, 싱커 잭50이 니들 베드 갭4를 향하여 진출하여 싱커30과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에 싱커30의 회전자세가 상기 슬라이딩 면끼리의 슬라이딩 관계에 의하여 싱커30이 적어도 편성 루프를 압입하는 높이, 편성 루프를 해제하는 높이 및 스티치를 형성하는 높이로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Description

횡편기의 싱커 장치{SINKER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전후 대향(對向)하도록 배치하는 니들 베드(needle bed)의 니들 베드 갭(needle bed gap) 사이에 편성 루프(knitted loop)를 밀어 내리는 방향으로 가압(加壓)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의 싱커 장치(sinker device)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본 출원 이전에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180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싱커 장치에 관하여 제안하였다. 이 싱커 장치에서는,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에 형성하는 반원호(半圓弧) 모양의 피벗 슬롯(pivot slot)에 싱커(sinker)의 피버팅 부(pivoting portion)가 피벗지지되고, 탄성력에 의한 가압수단(加壓手段)에 의하여 싱커의 스티치 결합 훅(stitch holding hook)이 항상 편성 루프(knitted loop)를 밀어 내리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싱커의 피버팅 부를 회전축(回轉軸)으로 하여 싱커가 전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싱커에는 제어 버트(control butt)가 형성되어 있어 스티치(stitch)를 형성하는 도중에 있어서의 필요한 싱커의 후퇴동작은 캐리지(carriage)에 설치하는 캠(cam)을 이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加壓力)에 저항하여 싱커를 니들 베드 갭으로부터 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싱커의 하부에는 니들 베드 갭에 대하여 진퇴(進退) 가능한 싱커 정지 플레이트(sinker rest plate)가 설치되어 있고, 캐리지에 설치하는 캠을 싱커 정지 플레이트의 제어 버트에 결합시켜 싱커 정지 플레이트를 전진시킴으로써 플레이트 선단부(先端部)에서 싱커를 밀어 올려 캐리지가 통과할 때에 스티치 결합 훅이 편성 루프를 밀어 내리는 작용을 하지 않는 정지위치(rest position)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싱커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편성 루프는 탄성력에 의한 가압수단에 의하여 적절한 텐션(tension)이 걸린 상태에서 스티치 결합 훅에 의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캐리지가 통과할 때에 스티치 결합 훅을 편성 루프를 압입(壓入)하지 않는 정지위치에 지지하여 전후 니들 베드의 니들 베드 갭 사이의 갭(gap)을 넓힐 수 있다. 정지위치에 지지됨으로써 두꺼운 실(thicker yarn)을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니들 베드의 래킹(racking) 조작이 이루어지더라도 싱커의 스티치 결합 훅이 대향하는 니들 베드의 편침에 결합되어 있는 편성포를 스크랫치(scratch)하여 편성포에 손상을 가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런데 이 싱커 장치의 경우에서는 싱커에 상기한 동작을 시키기 위하여는 싱커의 진퇴조작을 하는 제어장치와 싱커 정지 플레이트의 진퇴조작을 하는 제어장치를 각각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싱커 장치에서는, 싱커의 회전축이 니들 플레이트의 소정의 장소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있어서의 싱커의 스티치 포밍 엣지(stitch forming edge)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 지지되어 편침의 진퇴방향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적절한 텐션을 기초로 편성 루프를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싱커의 회전 및 그 정지위치의 유지를 하나의 제어장치로 하는 것이 가능한 싱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과제는, 싱커의 스티치 포밍 엣지를 편침의 진퇴방향으로 진퇴 이동시켜 편침의 진퇴 스트로크(stroke)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싱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니들 베드 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전후에 적어도 한 쌍의 니들 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그 일방(一方) 또는 쌍방(雙方)의 니들 베드가 좌우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구성되고, 니들 베드 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니들 홈(needle groove)에 진퇴(進退)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편침(knitting needle)과 스티치 포밍 엣지(stitch forming edge)와 스티치 결합 훅(stitch holding hook)을 구비하는 싱커(sinker)를 상기 편침 사이에 회전하도록 배치하고, 스티치 결합 훅에 의하여 편성 루프(knitted loop)를 니들 베드 갭에 압입(壓入)하도록 가압수단(加壓手段 : biasing means)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의 싱커 장치(sinker device)에 있어서,
싱커 장치는, 니들 베드 갭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싱커 잭(sinker jack)과 상기 싱커 잭 상에서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싱커를 구비하고, 싱커와 싱커 잭은 회전지점(回轉支點 : swinging pivot point)의 전방측에서 서로 슬라이딩(sliding) 하는 슬라이딩 면이 각각 형성되고, 싱커 잭이 니들 베드 갭을 향하여 진출(進出)하여 싱커와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에 싱커의 회전자세가 상기 슬라이딩 면끼리의 슬라이딩 관계에 의하여 싱커가 적어도 편성 루프를 압입하는 높이, 편성 루프를 해제하는 높이 및 스티치(stitch)를 형성하는 높이로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싱커에 회전지점이 형성되고, 싱커 잭에 캐리지(carriage)의 캠(cam)과 결합되어 싱커 잭을 진퇴 조작하는 제어 버트(control butt)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싱커는 스티치를 형성하는 높이를 유지하는 자세에서 싱커 잭에 의하여 니들 베드 갭을 향하여 진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싱커 잭 상에 지지되는 싱커는 탄성력에 의한 가압수단에 의하여 스티치 결합 훅이 하방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어 회전지점의 전방에서 싱커와 싱커 잭에 형성되는 각각의 슬라이딩 면을 항상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캐리지의 캠에 의하여 싱커 잭이 진퇴 이동되어 싱커와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에 싱커와 싱커 잭의 슬라이딩 면끼리의 슬라이딩 관계에 의하여 싱커가 적어도 편성 루프를 압입하는 높이, 편성 루프를 해제하는 높이 및 스티치를 형성하는 높이에 걸쳐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또 하나의 발명에 의하면, 니들 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전후에 적어도 한 쌍의 니들 베드를 구비하고, 그 일방 또는 쌍방의 니들 베드가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니들 베드 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니들 홈에 진퇴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편침과 스티치 결합 훅의 회전에 의하여 편성 루프를 니들 베드 갭에 압입하도록 가압수단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는 싱커를 상기 편침 사이에 배치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싱커 장치는,
니들 베드 갭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싱커 잭과 상기 싱커 잭 위에 배치되는 싱커를 구비하고,
싱커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섕크(shank)와, 섕크 선단측(先端側)에 형성되는 스티치 결합 훅과 스티치 포밍 엣지(stitch forming edge)와, 섕크의 일부를 하방으로 돌출시켜 싱커 잭의 지지면과 접촉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보다 전방측에서 싱커 잭의 제1돌기와 슬라이딩 하는 섕크의 밑면을 길이 방향에 걸쳐 다른 높이로 형성하는 슬라이딩 면이 형성되고,
싱커 잭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섕크와, 상기 싱커와 대치하는 섕크의 윗면에 선단측에서 형성되는 제1돌기와 싱커의 돌출부를 지지하는 지지면과, 꼬리 부분측에 캐리지의 캠과 결합하여 싱커 잭을 진퇴 조작하 는 제어 버트가 형성되고,
싱커 잭이 상기 캠에 의하여 진퇴 조작됨으로써 제1돌기가 싱커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면 상을 이동하여 슬라이딩 면의 높이에 따라 싱커가 소정의 회전자세를 취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하면 싱커는 탄성력에 의한 가압수단에 의하여 항상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어 편침에 결합된 편성 루프를 스티치 결합 훅에 의하여 적절한 텐션을 건 상태에서 니들 베드 갭 하방으로 압입하도록 싱커의 섕크에 형성한 돌출부를 니들 베드 갭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배치된 싱커 잭 윗면에 접촉시켜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싱커의 돌출부에서 전방에 형성된 슬라이딩 면과 싱커 잭에 형성된 제1돌기는 압력에 의하여 항상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싱커 잭의 버트가 캐리지에 설치한 캠에 의하여 진퇴 이동됨으로써 싱커의 슬라이딩 면과 싱커 잭의 제1돌기는 슬라이딩 하면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싱커의 슬라이딩 면은 섕크의 길이 방향에 걸쳐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높이에 따라 싱커는 편성포 편성에 필요한 소정의 회전자세(편성 루프를 압입하는 높이, 편성 루프를 해제하는 높이 및 스티치를 형성하는 높이)를 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싱커의 섕크로부터 분기(分岐)되어 형성되는 탄성 다리(elastic leg)로 구성하였다. 이에 의하면 용수철 등의 탄성력에 의한 가압수단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더라도 싱커 자체로 스티치 결합 훅을 탄성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어 싱커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파 트(part)의 개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파트를 교환할 때 등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싱커 잭에 싱커의 돌출부의 후면(後面)과 결합하여 싱커를 전진시키는 제2돌기를 형성하여 싱커 잭이 소정량을 넘어 더 진출할 때에 싱커를 니들 베드 갭을 향하여 진출시킨다. 이에 의하면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편침이 스티치 캠(stitch cam)을 따라 후퇴할 때에 싱커 잭의 돌출부에서 싱커의 돌출부를 압출(壓出)시켜 스티치 포밍 엣지를 니들 베드 갭측으로 진출시키기 때문에 스티치 포밍 엣지가 진출하는 만큼 편침의 스트로크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싱커 장치에서는 싱커 잭에 형성하는 제어 버트의 진퇴조작을 함으로써 싱커에 의하여 적절한 텐션으로 편성 루프에 압력을 가할 뿐만 아니라 편성 루프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 정지위치에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제어장치를 싱커 장치에 설치하면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싱커 장치를 구비하는 일방(一方)의 니들 베드의 선두(先頭)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1A는 편침, 1B는 싱커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2는 니들 베드 선두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1B에서의 X-X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4는 니들 베드에 장착되는 각 파트를 나타낸다.
도5는 캐리지가 좌측으로 진행할 때에 있어서의 편침과 싱커의 진퇴동작을 제어하는 각 버트의 통과 루트(traverse route)와 캐리지의 편성 록(knitting lock)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의 6A∼6D는 도5의 각 위상(位相)①∼④에 있어서의 싱커와 싱커 잭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싱커 장치(sinker device)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과 함께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싱커 장치에서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는 다수의 편침(knitting needle)3을 포함하는 니들 베드(needle bed)1을 니들 베드 갭(needle bed gap)4를 사이에 두고 전후 한 쌍으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하고, 그 일방(一方) 또는 쌍방(雙方)의 니들 베드1이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1은 니들 베드1의 일방만을 나타내고, 랫치 니들(latch needle)이 장착되어 있다. 니들 베드1은 기판(基板)5 상에 파여서 형성되는 다수의 슬릿(slit)7에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9를 세워서 설치하고, 이들 니들 플레이트9, 9 사이를 니들 홈(needle groove)11로 하고, 이 니들 홈11에 편침3을 수납(收納)한다. 니들 플레이트9에 있어 서 니들 베드 갭4측의 선두(先頭) 부분9a는 다른 부분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부분의 한 쪽부분을 깍아서 형성하는 수용부13에 싱커 잭(sinker jack)50, 그 위에 싱커(sinker)30을 수용한다. 편침3 위에는 싱커30과 싱커 잭50의 옆쪽으로 스페이서(spacer)14가 장착되어 있어 니들 베드1의 폭 방향에 걸쳐 연장되는 와이어(wire)15, 16이 스페이서14와 니들 플레이트9를 관통한다. 17은 니들 베드1의 폭 방향에 걸쳐 삽입되는 프레셔 플레이트(pressure plate)로서, 싱커30, 싱커 잭50 및 스페이서14가 수용부13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프레셔 플레이트17은 후술하는 싱커30의 회전지점(回轉支點 : swinging pivot point)이 되는 돌출부38을 싱커 잭50의 지지면57에 항상 접하게 한다.
싱커30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섕크(shank)31을 구비하고, 섕크31에는 선두측에 스티치 결합 훅(stitch holding hook)33, 그 위에 스티치 포밍 엣지(stitch forming edge)35를 형성하고 또한 섕크31의 꼬리 부분에서 상방으로 절곡(折曲)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일체(一體)로 형성되는 탄성력에 의한 가압수단(加壓手段)인 탄성 다리(elastic leg)37을 구비한다. 섕크31은 상기 프레셔 플레이트17과 싱커 잭50 사이에 끼워져 있는 위치에 있어서 싱커 잭50에 대치하는 면에 싱커30의 회전지점인 돌출부38이 형성되어 있고, 타방(他方)의 프레셔 플레이트17과 대치하는 면에 그 접촉면3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섕크31은 선단과 돌출부38 사이가 상방으로 활처럼 구부러져 있고, 이 만곡부(彎曲部)40의 밑면에 후술하는 싱커 잭50의 제1돌기53과 슬라이딩 하여 싱커의 회전자세(回轉姿勢 : swinging attitude)를 제어하는 각각 다른 높이의 제1슬라이딩 면41, 제2슬라이딩 면42, 제3슬라이딩 면43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싱커30은 니들 베드에 수용된 상태에서 선단 부분이 인접하는 편침3, 3 사이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절곡부(折曲部)47에서 절곡된다. 탄성 다리37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축된 상태에서 그 선단의 수납부45가 와이어16에 포함된 상태로 수용된다. 이 탄성 다리37의 탄성력은 싱커30의 스티치 결합 훅33을 하방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력에 의한 가압수단을 섕크31과 일체로 형성하는 탄성 다리37로 구성하였지만 상기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180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싱커 장치와 같이 스프링(spring) 등의 별도의 부재(部材)를 싱커에 장착하여 이를 탄성력에 의한 가압수단으로 하여도 좋다. 45a는 수납부에 형성하는 경사면(傾斜面)을 나타낸다. 48은 스토퍼(stopper)를 나타내고, 니들 베드의 선단부에 접촉하여 최대 회전시의 스티치 결합 훅의 하한위치(下限位置 : lower limit position)를 제한한다.
싱커 잭50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섕크51의 윗면에는 선단에서 제1돌기53, 계속하여 싱커30의 돌출부38을 지지하는 평평한 지지면57, 제2돌기59가 형성되고, 꼬리 부분에는 캐리지 캠(carriage cam)에 의하여 진퇴(進退) 조작이 이루어지는 제어 버트(control butt)63이 형성되어 있다. 싱커 잭50은 후술하는 싱커 캠(sinker cam)과 결합하여 니들 베드 갭에 대하여 진 퇴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도5는 캐리지(carriage)가 좌측으로 진행할 때에 있어서 편침과 싱커의 진퇴동작을 제어하는 각 버트(butt)21, 63의 통과 루트(traverse route)71, 73과 캐리지80의 캠 플레이트(cam plate)82에 설치하는 편성 록(knitting lock)8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선73r은 캐리지가 우측으로 진행할 때에 있어서 싱커의 버트63의 통과 루트를 나타낸다. 편성 록81에는 편침의 버트21을 진퇴 제어하는 편침 제어 캠(knitting needle control cam)83과 그 니들 베드 갭측에 설치하는 싱커 잭50을 진퇴 조작하는 싱커 잭 제어 캠(sinker jack control cam)93으로 이루어진다. 편침 제어 캠83은 고정 레이징 캠(fixed raising cam)85, 브리지 캠(bridge cam)86, 가이드 캠(guide cam)89∼92와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 가능한 한 쌍의 스위치 캠(switch cam)87, 88을 구비한다. 싱커 잭 제어 캠93은 큰 고정 가이드 캠(fixed guide cam)95, 96과 그 사이에 설치되는 작은 고정 가이드 캠97∼100 및 캐리지의 어느 일방의 진행방향에서만 작용할 수 있는 출몰식(出沒式 : retractable-type)의 가동 가이드 캠(movable guide cam)101∼106(빗금친 부분)으로 구성된다. 가동 가이드 캠101∼106 중 캠105, 104, 102는 캐리지80이 좌측으로 진행할 때에 싱커 잭50의 버트63과 결합하여 버트63을 진출(advance) 또는 후퇴(retract)시키고, 가동 캠106, 103, 101은 캐리지80이 우측으로 진행할 때에 싱커 잭50의 버트63과 결합하여 버트63을 진출 또는 후퇴시킨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싱커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5에 나타나 있는 P1∼P4는 싱커 잭50의 버트63의 각 진출위치(advanced position)를 나타낸다. 도6의 6A∼6D는 도5의 각 위상(位相)①∼④에서의 싱커와 싱커 잭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위상①)
편성 록81에서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기 전에 스티치 결합 훅33은 일단 상승되고, 그 사이에 편침3을 내려서 스티치가 조여지고, 그 후에 스티치 결합 훅33을 하강시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편성 루프(kintted loop)를 훅(hook) 한다. 위상①은 이 도중의 동작을 나타내고, 스티치 결합 훅33이 상승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루트(route)7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P3의 위치에 있는 싱커 잭50의 버트63은, 위상①에서는 싱커 잭 제어 캠97에 의하여 P2의 위치까지 후퇴한다. 이 싱커 잭50과 싱커30과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하여 싱커 잭50의 제1돌기53은 싱커30의 슬라이딩 면 상을 제1슬라이딩 면41로부터 제2슬라이딩 면42로 이동되어 싱커30을 돌출부38을 지점(支點 : fulcrum)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티치 결합 훅33을 최고로 상승시킨 위치로 밀어 올린다. 이 때 편침3은 스티치 캠87에 의하여 어느 정도 내려가서 결합한 편성 루프를 조인다.
(위상②)
위상②는 싱커 잭50의 제어 버트63이 가이드 캠105, 99에 의하여 P1의 위치까지 후퇴된 상태를 나타낸다. 싱커30은 스티치 결합 훅33이 스티치를 니들 베드 갭의 하방으로 압입(壓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위상에서는 제1돌기53이 싱커30의 제3슬라이딩 면43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될 때까지 하방으로 많이 회전하여 편성 루프를 훅(hook) 한다. 이 사이에 버트21은 레이징 캠85를 따라 그 정상부로 안내되어 편침3은 최고로 진출한다. 이 사이에 편성 루프는 탄성 다리37의 탄성력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적절한 텐션(tension)이 걸린 상태에서 스티치 결합 훅33에 의하여 지지된다.
계속하여 급사구(給絲口 : yarn feeder)77이 있는 위치에서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싱커 잭50의 버트63은 가이드 캠104, 100에 의하여 P2의 위치까지 전진되어 싱커 잭50의 제1돌기53이 제3슬라이딩 면43으로부터 제2슬라이딩 면42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 싱커30은 회전하여 스티치 결합 훅33을 상승시켜 편성 루프를 스티치 결합 훅33에서 해제한다.
(위상③)
다음에 편침3이 후행(後行)의 스티치 캠88을 따라 후퇴하는 전반부분에서는, 싱커30의 스티치 포밍 엣지35가 형성되려고 하는 편성 루프에 바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싱커 잭50의 버트63이 가이드 캠102, 98에 의하여 전방으로 압출(壓出)되어 P3의 위치까지 밀려서 올라간다. 위상③은 버트63이 P3의 위치까지 밀려서 올라간 상태를 나타낸다. 이 사이에 싱커 잭50과 싱커30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제1돌기53이 슬라이딩 면 상을 제2슬라이딩 면42로부터 제1슬라이딩 면41을 향하여 이동하여 싱커3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티치 포밍 엣지35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싱커 잭50의 버트63이 P3의 위치까지 진출할 때에 제2돌기59와 싱커30의 돌출부38이 처음으로 접촉한다.
(위상④)
계속하여 편침3이 스티치 캠88에 의하여 더 후퇴되는 후반부분에서 싱커 잭50의 버트63은 가이드 캠98에 의하여 P4의 위치까지 더 진출된다. 이에 따라 싱커30의 돌출부38은 제2돌기59에 의하여 전방으로 압출되어 싱커30은 도6의 6C에 나타나 있는 스티치를 형성하는 회전자세를 취한 상태 그대로 니들 베드 갭을 향하여 전진한다(도6의 6D). 이 때 편침3에 공급되는 편사(編絲)는 스티치 포밍 엣지35로부터 편침3의 훅(hook)에 걸친다. 이와 같이 편침3이 후퇴운동을 하는 사이에 싱커 잭50이 P4의 위치로 전진함으로써 싱커30도 전진하여 스티치 포밍 엣지35가 니들 베드 갭의 중심선79를 향하여 진출하기 때문에 편침3의 실질적인 스트로크(stroke)를 크게 하는 것과 동일한 결과가 된다. 이는 편침의 진퇴 스트로크를 더 크게 하지 않고 더 큰 편성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싱커30은 상기 위상④에서 돌출부38의 리어 엣지(rear edge)가 싱커 잭50의 제2돌기53의 프론트 엣지(front edge)59a와 결합하여 전방으로 압출되지만 이 때 탄성 다리37의 수납부45에 형성된 경사면45a가 와이어16에 접 촉한 상태에서 와이어16의 하방으로 잠입(潛入)하여 탄성 다리37을 더 압축하기 때문에 위상④를 통과한 후에는, 싱커 잭50의 버트63이 가이드 캠95의 클리어링 캠 면(clearing cam surface)95a를 따라 후퇴될 때에는 싱커30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P3의 위치까지 후퇴한다. 이와 같이 캐리지가 통과한 후에 싱커30은 스티치 결합 훅33을 스티치 결합 위치(도6에서의 6B 상태)로부터 6C와 동일한 위치까지 상승시켜 변위(變位)시키기 때문에 전후 니들 베드의 니들 베드 갭 사이의 갭(gap)을 크게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캐리지가 통과할 때에 싱커 잭50의 버트63을 P1의 위치로 후퇴시키는 절환(切煥) 가능한 캠을 싱커 잭 제어 캠93에 부설(附設)하여 캐리지가 통과한 후에 형성된 편성 루프만을 스티치 결합 훅33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싱커 장치에서는 싱커 잭5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섕크51의 꼬리 부분에 형성하는 유일한 제어 버트63을 캐리지에 설치하는 캠에 의하여 진퇴 조작을 함으로써 싱커30을 회전시켜 편성 루프에 텐션(tension)을 가하는 작용위치(operative position)로부터 편성 루프에 텐션을 가하지 않는 정지위치(rest position), 싱커의 스티치 포밍 엣지35를 더 전진시킨 위치에 걸쳐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싱커30에는 싱커의 회전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버트가 불필요하게 되면 캐리지의 싱커에 대치하는 면에 종래와 같이 싱커 제어용의 캠을 함께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는 니들 베드의 니들 베드 갭 주변 부분의 부피를 억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니들 베드 위에 트랜스퍼 잭(transfer jack) 등의 편성 부재를 수용하는 보조 베드를 구비하는 소위 3장 베드 횡편기나 4장 베드 횡편기의 경우에 보조 베드를 니들 베드에 긴밀하게 접근시켜 배치하는 것을 허용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니들 플레이트9의 한 쪽 부분을 깍아서 싱커 및 싱커 잭의 수용부를 형성하였지만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 사이의 편침 바로 위에 싱커 및 싱커 잭을 수용시켜도 좋다.
또한 싱커의 섕크에 형성하는 돌출부를 싱커 잭의 윗면에 지지시킴과 동시에 싱커측에 형성하는 슬라이딩 면을 길이 방향에 걸쳐 다른 높이로 형성하고, 여기에 싱커 잭의 제1돌기를 접촉시키고, 이 제1돌기를 상기 슬라이딩 면 상을 이동시켜 슬라이딩 면의 높이에 따라 싱커의 회전자세를 제어시키는 실시예를 상기에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싱커 잭이 진퇴 조작되어 싱커와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에 싱커 잭 상에 지지되는 싱커가 원하는 회전자세를 취하도록 싱커와 싱커 잭에 형성하는 슬라이딩 부분의 형상을 상호 협력하도록 디자인하면 좋다.
또한 도5에 싱커 잭 제어 캠의 캠 구성과 버트의 통과 루트를 한정적으로 나타내었지만 랫치 니들이나 복합바늘 등의 바늘의 종류, 편사(編絲), 편성 조직 등의 편성 조건 등에 따라 싱커가 바람직한 회전자세를 취하도록 캠의 구성은 적당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싱커의 회전자세를 변경함으로써 스티치 지지 훅의 하방에서 싱커 선단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엣지부를 스티치 포밍 엣지로서 작용시키는 것도 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스티치 캠에 의하여 삽입되어 스티치가 형성된 편성 루프만을 싱커를 후퇴시키지 않고 스티치 결합 훅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싱커의 회전 및 그 정지위치의 유지를 하나의 제어장치로 하는 것이 가능한 싱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니들 베드 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전후에 적어도 한 쌍의 니들 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그 일방(一方) 또는 쌍방(雙方)의 니들 베드가 좌우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구성되고, 니들 베드 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니들 홈(needle groove)에 진퇴(進退)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편침(knitting needle)과 스티치 포밍 엣지(stitch forming edge)와 스티치 결합 훅(stitch holding hook)을 구비하는 싱커(sinker)를 상기 편침 사이에 회전하도록 배치하고, 스티치 결합 훅에 의하여 편성 루프(knitted loop)를 니들 베드 갭에 압입(壓入)하도록 가압수단(加壓手段 : biasing means)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의 싱커 장치(sinker device)에 있어서,
    싱커 장치는, 니들 베드 갭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싱커 잭(sinker jack)과 상기 싱커 잭 상에서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싱커를 구비하고, 싱커와 싱커 잭은 회전지점(回轉支點 : swinging pivot point)의 전방측에서 서로 슬라이딩(sliding) 하는 슬라이딩 면이 각각 형성되고, 싱커 잭이 니들 베드 갭을 향하여 진출(進出)하여 싱커와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에 싱커의 회전자세가 상기 슬라이딩 면끼리의 슬라이딩 관계에 의하여 싱커가 적어도 편성 루프를 압입하는 높이, 편성 루프를 해제하는 높이 및 스티치(stitch)를 형성하는 높이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싱커에 회전지점이 형성되고, 싱커 잭에 캐리지(carriage)의 캠(cam)과 결합되어 싱커 잭을 진퇴 조작하는 제어 버트(control butt)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싱커는 스티치를 형성하는 높이를 유지하는 자세에서 싱커 잭에 의하여 니들 베드 갭을 향하여 진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
  4. 니들 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전후에 적어도 한 쌍의 니들 베드를 구비하고, 그 일방 또는 쌍방의 니들 베드가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니들 베드 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니들 홈에 진퇴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편침과 스티치 결합 훅의 회전에 의하여 편성 루프를 니들 베드 갭에 압입하도록 가압수단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는 싱커를 상기 편침 사이에 배치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싱커 장치는,
    니들 베드 갭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싱커 잭과 상기 싱커 잭 위에 배치되는 싱커를 구비하고,
    싱커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섕크(shank)와, 섕크 선단측(先端側)에 형성되는 스티치 결합 훅과 스티치 포밍 엣지(stitch forming edge)와, 섕크의 일부를 하방으로 돌출시켜 싱커 잭의 지지면과 접촉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보다 전방측에서 싱커 잭의 제1돌기와 슬라이딩 하는 섕크의 밑면을 길이 방향에 걸쳐 다른 높이로 형성하는 슬라이딩 면이 형성되고,
    싱커 잭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섕크와, 상기 싱커와 대치하는 섕크의 윗면에 선단측에서 형성되는 제1돌기와 싱커의 돌출부를 지지하는 지지면과, 꼬리 부분측에 캐리지의 캠과 결합하여 싱커 잭을 진퇴 조작하는 제어 버트가 형성되고,
    싱커 잭이 상기 캠에 의하여 진퇴 조작됨으로써 제1돌기가 싱커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면 상을 이동하여 슬라이딩 면의 높이에 따라 싱커가 소정의 회전자세를 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싱커의 섕크로부터 분기(分岐)되어 형성되는 탄성 다 리(elastic le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싱커 잭에 싱커의 돌출부의 후면(後面)과 결합하여 싱커를 전진시키는 제2돌기를 형성하여 싱커 잭이 소정량을 넘어 더 진출할 때에 싱커를 니들 베드 갭을 향하여 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
KR1020027005472A 1999-11-17 2000-11-15 횡편기의 싱커 장치 KR100585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26240 1999-11-17
JP32624099 1999-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304A KR20020047304A (ko) 2002-06-21
KR100585267B1 true KR100585267B1 (ko) 2006-05-30

Family

ID=1818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472A KR100585267B1 (ko) 1999-11-17 2000-11-15 횡편기의 싱커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68222B1 (ko)
EP (1) EP1247887B1 (ko)
JP (1) JP3542348B2 (ko)
KR (1) KR100585267B1 (ko)
CN (1) CN1250793C (ko)
AU (1) AU1413101A (ko)
DE (1) DE60042082D1 (ko)
TW (1) TW522186B (ko)
WO (1) WO20010367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7433B1 (en) * 2001-08-24 2013-08-21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loop presser and corresponding fabric knitting method
AU2003235819A1 (en) * 2002-05-30 2003-12-19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KR100979440B1 (ko) * 2002-06-26 2010-09-0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
KR101024209B1 (ko) * 2003-07-30 2011-03-2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JP4015972B2 (ja) * 2003-07-30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シンカー装置
EP1522617B1 (de) * 2003-10-07 2008-01-23 H. Stoll GmbH & Co. Flachstrickmaschine mit mindestens einem Nadelbett
CN2837326Y (zh) * 2005-09-05 2006-11-15 林理智 针织机生克片往复运动结构改进
CN101490324B (zh) * 2006-08-11 2011-04-13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可动沉降片和横机
EP2034064B1 (de) * 2007-09-06 2011-08-31 H. Stoll GmbH & Co. KG Nadelbett für eine Flachstrickmaschine
EP2078773B1 (de) * 2008-01-12 2010-11-24 H. Stoll GmbH & Co. KG Kassette einer Strickmaschine
JP5414670B2 (ja) * 2008-06-13 2014-02-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DE102010054540A1 (de) * 2010-12-15 2012-06-21 Ulrich Hofmann Vereinfachte Single-Rundstrickmaschine
CN102061563B (zh) * 2011-01-17 2012-05-23 桐乡市国丰缝制设备厂 一种双段组合式电脑横机织针
US8468855B2 (en) * 2011-09-16 2013-06-2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Downward pressing mesh mechanism and sinker thereof for flat knitting machines
RU2489539C2 (ru) * 2011-09-16 2013-08-10 Пай Лун Машинери Милл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латинами для плосковязальных машин
KR101226419B1 (ko) * 2011-09-21 2013-01-24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횡편기를 위한 싱커 제어 장치
JP2013237936A (ja) * 2012-05-11 2013-11-28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ペアシンカー
JP6223194B2 (ja) 2014-01-10 2017-11-0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TWI608140B (zh) * 2015-03-05 2017-12-11 佰龍機械廠股份有限公司 橫編機以技術正面單面編織出換紗鍍圈的方法
US9834871B2 (en) * 2015-03-11 2017-12-0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Method for knitting interchanged plating on a technical face of a fabric for flat bed knitting machines
DE102015103639B4 (de) * 2015-03-12 2020-04-23 Terrot Gmbh Nadelzylinder und Rundstrickmaschine
CN106032604B (zh) * 2015-03-17 2017-10-31 佰龙机械厂股份有限公司 横编机以技术正面单面编织出换纱镀圈的方法
PT3124663T (pt) * 2015-07-30 2020-01-16 Groz Beckert Kg Método e dispositivo de formação de laços
JP6275101B2 (ja) * 2015-11-06 2018-02-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CN106929991A (zh) * 2017-04-27 2017-07-07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防浮纱沉降片装置
CN107447354B (zh) * 2017-09-21 2022-09-30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压纱装置
EP3702502B1 (en) * 2019-03-01 2022-05-11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lat knitting machine structure with adjustable gap between two knock-over bits
CN112877886B (zh) * 2021-01-11 2022-05-17 桐乡市强隆机械有限公司 针织横机的压纱装置及其工作方法
PT4095297T (pt) * 2021-05-25 2023-11-10 Groz Beckert Kg Platina, dispositivo de tricotagem e processo de tricotagem para produzir artigos de malha
CN113445194B (zh) * 2021-07-08 2023-11-28 桐乡市强隆机械有限公司 具有对称成圈功能的单槽双针针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30530C1 (de) 1983-08-24 1985-03-28 Memminger Gmbh, 7290 Freudenstadt Strickmaschine mit wenigstens einem Nadeltraeger
DE3609539A1 (de) * 1986-03-21 1987-10-01 Stoll & Co H Zweibettige flachstrickmaschine mit zwischen den nadeln angeordneten platinen
US5355699A (en) * 1992-04-16 1994-10-18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JP3155434B2 (ja) * 1994-11-16 2001-04-0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可動シンカーの駆動装置
JPH0931806A (ja) * 1995-07-14 1997-02-04 Shima Seiki Mfg Ltd 可動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DE19704644B4 (de) * 1997-02-07 2006-06-14 H. Stoll Gmbh & Co. Flachstrick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JP3000461B2 (ja) 1997-04-17 2000-01-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目移し装置を備えた横編機
JP3140990B2 (ja) * 1997-08-11 2001-03-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ループ形成プレートを備えた横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413101A (en) 2001-05-30
TW522186B (en) 2003-03-01
JP3542348B2 (ja) 2004-07-14
KR20020047304A (ko) 2002-06-21
CN1250793C (zh) 2006-04-12
US6568222B1 (en) 2003-05-27
EP1247887A4 (en) 2003-03-19
WO2001036730A1 (fr) 2001-05-25
DE60042082D1 (de) 2009-06-04
EP1247887B1 (en) 2009-04-22
EP1247887A1 (en) 2002-10-09
CN1391620A (zh)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267B1 (ko) 횡편기의 싱커 장치
JPH1161604A (ja) 可動ループ形成プレートを備えた横編機
US5557948A (en) Yarn gu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lat knitting machine
EP0567282B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US6799443B2 (en) Flatbed knitting machine
JP3333304B2 (ja)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KR100924292B1 (ko)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JP3408735B2 (ja) 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目移し機構を備えた横編機
US6609396B2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ring mechanism and transferring method
EP0698679B1 (en) Knitting cam and cam apparatus
EP0955402B1 (en) A flat bed knitting machine having a transfer mechanism and a transferring method thereby
US6688140B2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mechanism and transferring method
US5305618A (en) Knitting method of weft knitted fabric and multibed flat knitting machine
JPS58109662A (ja) 横編機の選針装置
JP3155434B2 (ja) 可動シンカーの駆動装置
EP1298237B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mechanism
JPH06184887A (ja) 横編機
JP2006183181A (ja) 可動シンカを備える横編機
JP4381594B2 (ja) 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および目移し機構を備えた横編機、および目移し方法。
JP2726958B2 (ja) 二段ベッド横編機
JP2024056553A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S58104252A (ja) 横編機
JPH0341581B2 (ko)
JPH0913251A (ja) 横編機の糸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