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292B1 -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 Google Patents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292B1
KR100924292B1 KR1020047019284A KR20047019284A KR100924292B1 KR 100924292 B1 KR100924292 B1 KR 100924292B1 KR 1020047019284 A KR1020047019284 A KR 1020047019284A KR 20047019284 A KR20047019284 A KR 20047019284A KR 100924292 B1 KR100924292 B1 KR 100924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witching
needle
sinker
needle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4887A (ko
Inventor
모리타도시아키
나카모리도시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5000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되어 편성포를 밀어 내리는 싱커에 의하여 편사에 반복하여 충돌하는 것에 의한 손모를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싱커 플레이트2의 선단측의 편사결합부2a가 스프링4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니들베드 갭6으로 진출하는 스트로크를, 도1(a)에 나타나 있는 제1단계에서는 크고, 도1(b)에 나타나 있는 제2단계에서는 작아진다. 도1(b)에서는 지지부재12의 지지용 결합부12a를 싱커 플레이트2의 지지용 결합부2d에 결합시켜서 스크로크를 제한한다. 편사결합부2a가 펀사에 반복하여 충돌하게 되는 편성장소에서는, 제2단계로 절환하여 편사의 「얀 디닝(yarn thinning)」이나 「냅(nap)」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MOVABLE SINKER APPARATUS}
본 발명은, 스프링(spring)의 탄성력(彈性力)이 작용되는 싱커 플레이트(sinker plate)에 의하여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에서 편성되는 편성포의 구루프(舊 loop)를 밀어 내리는 것이 가능한 가동싱커장치(movable sinker device)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횡편기의 니들베드(needle bed)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편침(編針)과 싱커(sinker)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스티치 루프(stitch loop)는, 편침에 의하여 편사가 인입되어 형성되는 니들 루프(needle loop)와, 니들 루프가 형성될 때에 편침 사이에서 싱커에 의하여 편사가 지지되어 형성되는 싱커 루프(sinker loop)로 이루어진다. 싱커는, 편침을 니들베드에 인입하여 새로운 스티치 루프를 형성할 때에 이미 편성되어 있는 구루프를 탈출시키는 녹 오버(knock over)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또한 편침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급사(給絲)되는 편사를 선단(先端)에서 받을 때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가 편침의 진출에 따라 선단으로 올라가는 얀 무빙 업워드(yarn moving upward)를 방지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여 구루프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한 싱커장치는, 예를 들면 유럽특허 EP0681046B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유럽특허공보에는,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캐리지(carriage)가 이동할 때에, 캐리지에 설치되는 캠기구(cam 機構)에 의하여 싱커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퇴(進退)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싱커는, 니들베드의 상방에 설치되는 보조적인 베드의 홈 내를 슬라이딩(sliding) 하고, 캐리지의 통과 후에는, 스티치 루프와는 접촉하지 않는 위치가 되도록 캠기구에 의하여 위치가 제어된다. 싱커는, 슬라이딩 하는 홈과의 사이에 마찰력(摩擦力)에 의하여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편침의 선단으로의 급사 후에 필요에 따라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여 구루프를 가압할 수 있다. 캠기구는, 스텝모터(step motor)에 의하여 구동되고, 스텝모터는 캐리지가 이동하는 사이에 독립하여 구동할 수 있다.
본건 출원인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5-83657호 공보에서, 편침 사이에 배치되어 선단의 편사결합부에서 구루프를 밀어 내리는 싱커 플레이트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킬 수 있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싱커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되는 싱커장치에서는, 구루프 를 각각 밀어 내리고 있기 때문에, 편성포 전체에 대한 끌어 내리는 힘(pulling down force)이 균일하게 걸리지 않는 편성동작을 하고 있더라도 각 스티치에 끌어 내리는 힘을 확실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편사에 싱커 플레이트로의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彈性力)을 넘는 힘이 작용되면, 싱커 플레이트의 선단은 자동으로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되어 편사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편침에 편사를 공급할 때에는, 싱커 플레이트가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자동으로 대피하는 캠기구도 설치되어 있다.
본건 출원인은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1806호 공보에서, 싱거 플레이트를 스프링 가압하여 구루프를 가압하는 동작과 싱커 플레이트를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대피시킨 정지위치에 지지하는 동작을, 캐리지에 설치되는 정지지지와 해제를 절환(切換)하는 캠기구에 의하여 하는 가동싱커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굵은 편사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경우에 싱커 플레이트가 항상 구루프를 가압하기 위하여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되어 있으면, 전후의 니들베드를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래킹(racking)을 할 때에 싱커 플레이트의 편사결합부에서 편성포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리지가 통과한 후에는, 싱커 플레이트를 선단이 니들베드 갭에서 구루프를 가압하는 위치로부터 대피한 정지위치에 지지시킨다. 싱커 플레이트를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정지위치에 지지하는 기구로서, 니들베드에 록용 회전 플레이트(swing plate for locking)를 설 치하고, 캐리지에 탑재되는 싱커 제어캠에 의하여 록용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켜서 싱커 플레이트의 정지지지와 그 해제를 한다. 또한 편침에 편사가 급사(給絲)될 때에도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기구에 의하여 싱커 플레이트를 강제적으로 정지위치까지 대피시킨다.
유럽특허 EP0681046B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되지 않는 싱커에서는, 편성포를 스티치마다 충분히 끌어 내릴 수 없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5-83657호 공보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180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구루프를 밀어 내리는 싱커에서는, 편침으로의 급사위치에서 싱커 플레이트가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대피한 후,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된 싱커 플레이트가 선단에서 구루프를 밀어 내리는 상태로 복귀한다. 이 복귀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싱커 플레이트의 선단에서 구루프의 편사에 충동하게 된다. 예를 들면 편성포의 폭(幅)을 감소시키는 코빼기 처리(binding stitch treatment)를 하는 경우, 1코스의 편성을 캐리지가 복수 회 왕복하여야 하므로 그 사이에 캐리지가 통과하더라도 새로운 스티치 루프는 형성되지 않아, 이미 편성된 스티치를 지지하고 있는 것만의 편침에 대하여 싱커 플레이트의 선단에 의한 구루프의 밀어 내림과 해제가 반복된다. 편사에 대한 싱커 플레이트 선단에서의 충돌이 반복되면 편사의 성상(性狀)에 따라서는, 편사가 가늘게 연장되는 「얀 디닝(yarn thinning)」이나 편사의 섬유가 풀어지는 「냅(nap)」 등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얀 디닝」이나 「냅」 등의 편사에 대한 손모가 발생하면 편성포의 촉감이 손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 가압되어 편성포를 밀어 내리는 싱커에 의하여 편사에 반복하여 충돌되는 것에 의한 손모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니들베드(need bed)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고 또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는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으로 선단(先端)의 편사결합부(編絲結合部)가 진출하도록 각각 스프링(spring)의 탄성력(彈性力)이 작용되는 싱커 플레이트(sinker plate)를,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의 작용에 의하여 편침으로의 급사위치(給絲位置)에서는 편사결합부를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대피시키고, 적어도 신루프(新 loop) 형성 후의 녹 오버(knock over)의 때에는 편사결합부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구루프(舊 loop)를 밀어 내리는 가동싱커장치(movable sinker device)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캐리지에 설치되고 또한 편침의 편성동작을 하는 범위 이외에 미리 설정되는 절환위치(切換位置)에서, 스프링(spring)의 탄성력(彈性力)에 의한 싱커 플레이트의 편사결합부의 니들베드 갭으로의 진출량을, 1코스 내에서도 최대의 진출량이 되는 제1단계를 포함하는 복수 단계로 절환(切換) 가능한 절환수단(切換手段)과,
각 싱커 플레이트마다 설치되고 또한 절환수단에 의하여 싱커 플레이트의 니들베드 갭으로의 진출량이 제1단계보다 작아지는 제2단계로 절환될 때에 절환상태를 지지하는 지지수단(支持手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싱커 플레이트는,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지지수단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환수단은, 상기 편침으로의 급사위치와 상기 절환위치에서, 싱커 플레이트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시키고, 제2단계로 절환할 때에는 상기 지지수단을 싱커 플레이트의 접촉부가 더 접촉하는 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다른 자세가 되도록 절환하기 위하여 상기 절환수단이 접촉 가능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환수단은, 지지수단의 돌출부가 제1단계와 제2단계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범위 이상의 간격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압부(加壓部)를 구비하고, 제1단계로 절환할 때와 제2단계로 절환할 때에는, 어느 하나의 가압부에 의하여 지지수단의 돌출부를 가압하고, 어느 하나의 가압부에 의해서도 지지수단의 돌출부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로의 절환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싱커 플레이트의 접촉부와 결합함으로써 절환상태를 지지하고,
상기 제1단계 및 제2단계에서, 지지수단의 절환상태를 각각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돌기를 구비하는 판 스프링(板 spring)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환수단에 의한 제1단계와 제2단계 사이의 절환 시에, 지지수단은 판 스프링의 돌기를 타고 넘어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환수단은,
상기 한 쌍의 가압부가 형성되고, 가압부 사이에 상기 지지수단의 돌출부가 변위하는 범위를 포함하도록 회전변위(回轉變位)하는 회전캠(回轉 cam)과,
전기적인 명령을 따라 회전상태가 제어되는 스텝모터(step motor)와,
스텝모터의 회전출력에 의거하여 회전캠을 회전변위시키는 링크기구(link 機構)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하나의 예로서, 가동싱커장치의 주요부분을 제1단계와 제2단계로 절환하여, 싱커 플레이트2의 회전변위의 스트로크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니들베드 선단부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니들베드 전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에서의 캐리지30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4는 도2에서의 캐리지30의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다.
도5는 도1에 나타나 있는 가동싱커장치의 부품도이다.
도6은 도1에서의 가동싱커장치에 있어서, 싱커 플레이트2의 피벗부2b 부근의 구성과 스페이서60의 돌기60a 부근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7은 도1에서의 싱커 플레이트2를 제1단계로 절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8은 도1에서의 싱커 플레이트2를 제2단계로 절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9는 도1에서의 싱커 플레이트2를 절환상태를 속행시키는 제3단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10은 도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싱커장치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의 절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도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싱커장치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편성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하나의 예인 가동싱커장치(movable sinker device)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의 가동싱커장치 부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가동싱커장치는, 싱커 플레이트(sinker plate)2가 회전변위(回轉變位) 가능하여, 스프링(spring)4에 의한 탄성(彈性)에 의하여 싱커 플레이트2의 선단(先端)의 편사결합부(編絲結合部)2a가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6으로 진출하여, 편성 중의 구루프(舊 loop)를 밀어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싱커 플레이트2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횡편기의 기본적인 동작 및 기능은,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5-83657호 공보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180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사결합부2a의 니들베드 갭6으로의 진출량을 2단계로 절환(切換)할 수 있다. 즉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사결합부2a가 니들베드 갭6으로 많이 진출하는 제1단계와,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사결합부2a의 니들베드 갭6으로의 진출량이 제1단계보다 적은 제2단계를 절환할 수 있다.
각 단계에서, 스프링4는 싱커 플레이트2를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 갭6으로 진출시킨다. 편사결합부2a에 스프링4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작용할 때에는,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상태까지 회전변위시킬 수 있다.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상태는 제1단계도 제2단계도 동등하기 때 문에 회전변위에 의한 회전의 스트로크(stroke)는, 제1단계가 제2단계보다 크다. 싱커 플레이트2의 회전은, 피벗부(pivot portion)2b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싱커 플레이트2의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상태는, 피벗부2b에 관하여 편사결합부2a와 반대측이 되는 가압부(加壓部)2c를 상방으로부터 밀어 내리는 것으로도 실현된다. 편침에 편사를 삽입하였을 때에는, 편사결합부2a를 니들베드 갭6으로부터 대피시켜서 급사부재(給絲部材)로부터 공급되는 편사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압부2c를 밀어 내린다.
니들베드 갭6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전후의 니들베드가 대향(對向)하는 사이에 형성된다.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는, 대략 연직의 대칭면(對稱面)6a에 관하여 면대칭(面對稱)으로 배치된다. 각 니들베드는, 니들베드 갭6측이 높고, 니들베드 갭6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낮아지게 되도록 경사져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실제로는 상하방향의 대칭면6a를 경사지게 하고, 니들베드에서 편침이 진퇴(進退)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수평이 되도록 나타내었다. 각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groove)이 형성되는 니들베드 기판(needle 基板)8이 배치된다. 니들베드 기판8의 각 홈에는,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10이 각각 삽입되고, 니들 플레이트10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홈(needle groove)에 편침이 각각 배치된다. 편침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의 작용에 의하여 니들베드 갭6으로 진퇴하여 편성포의 편성작용을 한다. 싱커 플레이트2는, 니들베드 기판8의 니들베드 갭6측의 선단(先 端) 부근에서 니들베드 기판8의 홈에 니들 플레이트10과 함께 배치된다. 니들 플레이트10의 상부에는, 밴드(band) 등에 의한 스토퍼(stopper)10a가 설치된다. 스토퍼10a는, 도1(a)에 나타나 있는 제1단계에서, 스프링4에 가압되어 싱커 플레이트2가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각변위(角變位)할 때의 상한을 규정한다. 스프링4의 상단도 스토퍼10a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다. 니들 플레이트10의 중간부분에는, 싱커 플레이트2의 피벗부2b를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피벗슬롯(pivot slot)10b가 형성되어 있다.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단계에서는, 스프링4에 의한 싱커 플레이트2의 니들베드 갭6으로의 진출을 지지부재(支持部材)12를 작용시켜서 제한한다. 지지부재12는, 축(軸)14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변위가 가능하여 지지용 결합부(支持用 結合部)12a에서 싱커 플레이트2의 기단(基端)의 지지용 결합부2d와 결합하여, 싱커 플레이트2의 선단의 편사결합부2a의 니들베드 갭6으로의 진출을 제1단계보다 작아지게 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제2단계에서도 편사결합부2a에 걸리는 편사의 장력(張力) 또는 가압부2c로의 밀어 내리는 힘에 의하여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상태까지 회전변위시킬 수 있다. 제1단계와 제2단계의 절환은, 지지부재12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b를, 도면의 좌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2는 도1에서의 가동싱커장치가 설치되는 니들베드에 있어서,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다. 각 니들베드의 니들 플레이트10 사이에는, 편침16이 배치되고, 니들베드 갭6에 선단부분을 진퇴시켜서 편성동작 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침16으로서, 래치 니들(latch needle)을 사용한다. 편침16의 선단에는 훅(hook)16a가 형성되고, 훅16a의 개방부분은 래치(latch)16b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다. 래치16b의 개폐는, 편사의 편성동작에 따라 이루어진다. 편침16의 훅16a와 래치16b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편침16을 니들베드 갭6으로 진출시키면, 급사부재인 얀 피더(yarn feeder)18로부터 편사를 훅16a의 개방부분에 삽입할 수 있다. 다만 이렇게 급사할 때에는, 가압부2c를 밀어 내려서 싱커 플레이트2의 편사결합부2a를 니들베드 갭6으로부터 대피시킨다.
편성을 하기 위한 편침16의 이동은, 편침16의 기단측에 연결되어 있는 니들 잭(needle jack)20의 제어버트(control butt)20a에, 캐리지30에 구비되는 편성캠록(knitting cam lock)32를 작용시켜서 이루어진다. 캐리지30이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얀 피더18도 연동(連動)하여 이동한다. 다만 얀 피더18은 복수를 교대로 사용할 수 있고, 얀 피더18을 교대로 사용하면 편사의 절환을 할 수 있다. 캐리지30에는, 싱커 플레이트2의 가압부2c를 밀어 내리는 고정 프레서(固定 pressor)34도 설치되어 있어, 편성캠록32에 의한 편침16의 작동과 연동시켜서 싱커 플레이트2가 니들베드 갭6으로부터 대피를 할 수 있게 한다. 도1의 (a) 및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제1단계와 제2단계의 절환은, 고정 프레서34에 의하여 싱커 플레이트2의 가압부2c를 가압하면서 캐리지30에 설치되는 절환기구(切換機構)40의 회전캠(swing cam)42에 의하여 지지부재12를 회전변위시켜서 이루어진다. 회 전캠42는, 링크기구(link 機構)44를 통하여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46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변위한다.
도3은 도2에서의 캐리지30을 저면에서 본 상태를, 도2에서의 니들베드 갭6측이 상방이 되도록 나타내는 도면이다. 편성캠록32에는, 니팅캠(knitting cam)50a, 50b, 레이징캠(raising cam)52, 브리지캠(bridge cam)54 및 가이드캠(guide cam)56이 포함되고, 도2에서의 니들잭20의 제어버트20a의 안내를 한다. 캐리지30이 화살표30a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레이징캠52에 의하여 도2에서의 편침16을 니들베드 갭6으로 진출시켜서, A로 나타나 있는 급사위치에서 얀 피더18로부터 편사를 삽입하고, 니팅캠50b에 의하여 편침16을 후퇴시키면서 녹 오버(knock over)를 하게 한다. A의 급사위치에서는, 가압면(加壓面)58a를 구비하는 가압캠(press cam)34a를 설치한다. 녹 오버 후에 편침의 편성동작이 이루어지는 범위 이외가 되는 B1로부터 B2까지의 위치를 절환위치로 하여 회전캠42에 의한 절환을 한다. B1로부터 B2의 절환위치에서는, 고정 프레서34를 작용시키기 위하여 가압면58a를 구비하는 가압캠34b를 설치한다.
다만 가압캠34a는, 캐리지30의 이동방향에 따라 위치를 변경한다. 캐리지30이 화살표30a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가압캠34a는, 도2의 싱커 플레이트2의 가압부2c에 밀려서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얀 피더18에 의한 급사위치도 가압캠34a의 이동위치로 변화된다. 캐리지30이 화살표30a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B1∼B2의 절환위치에서의 회전캠42에 의한 절환은, 편침16에 의한 편성동작의 앞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가압캠34b는, 회전캠42를 절환할 때보다 싱커 플레이트2의 가압부2c를 더 압입(壓入)하는 가압돌기58b도 구비하고 있다. 동일한 가압돌기58b는, 편성캠록32의 중심선에 대하여 가압캠34b와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가압캠34c에도 설치되어 있다. 가압돌기58b는, 편성된 구루프를 싱커 플레이트2의 편사결합부2a에서 확실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회전캠42의 절환을 위한 가압캠34b는, 구루프를 가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캠과 겸용(兼用)으로 한다.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겸용으로 함으로써 고정 프레서34의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4는 캐리지30 및 절환기구40을, 도2에서의 우측방향으로부터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고정 프레서34의 하면으로부터 각 가압캠34a, 34b, 34c의 선단이 돌출되어 도2에 나타나 있는 싱커 플레이트2의 가압부2c를 밀어 내린다. 중간의 가압캠34a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리지30이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위치와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위치로 절환된다.
도5는 도1에 나타나 있는 가동싱커장치를 구성하는 주요한 부품의 형상을 나타낸다. 니들 플레이트10은, 도1에서의 니들베드 갭6측의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스토퍼10a의 일부가 두께가 두꺼운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상방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 밴드가 삽입된다. 니들 플레이트10의 하반부도 두께가 두꺼운 부분 으로 되어 있고, 피벗슬롯10b가 형성되어 있다. 싱커 플레이트2, 스프링4 및 지지부재12는, 니들 플레이트10의 상방과 하방에 형성되는 두께가 두꺼운 부분보다는 두께가 얇아지는 중간부분10c에 수납된다. 중간부분10c에는,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2개의 스페이서(spacer)60, 62도 수납된다. 스페이서60은 얇은 스프링판(spring 板)으로 형성되고, 지지부재12가 배치되는 근방에는 돌기60a가 형성된다. 스페이서62는, 편침16과 동등한 두께를 구비하고 편침16의 상방의 공간을 메우도록 배치된다.
도6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단면의 구성을, (a)에서는 싱커 플레이트2의 피벗부2b 부근에 대하여 나타낸다. 니들베드 기판8에는, 일정한 피치(pitch)로 홈8a가 형성되고, 니들 플레이트10의 하반부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각각 삽입된다. 니들 플레이트10 사이의 틈에는, 두꺼운 스페이서62와 편침16이 수납된다. 스페이서62 및 편침16과 니들 플레이트10의 두께가 얇은 부분10c와의 사이에는, 얇은 스페이서60과 싱커 플레이트2 및 스프링4가 수납된다. 니들 플레이트10 및 스페이서62의 상부는,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64에 의하여 가압된다. 도6(b)는 스페이서60의 돌기60a 부근의 부분적인 단면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돌기60a는, 지지부재12의 접촉부12c의 일방측(一方側)에 접촉되어 제1단계에서의 자세를 지지시킬 수 있다. 접촉부12c의 타방측(他方側)에 접촉되면 제2단계에서의 자세를 지지시킬 수 있다.
도7은 도3에 나타나 있는 B1∼B2의 절환위치에서 회전캠42를 작동시 켜서 싱커 플레이트2를 도1(a)에 나타나 있는 제1단계로 절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싱커 플레이트2의 가압부2c는, 고정 프레서34의 가압캠34a에 의하여 밀려 내려가고, 회전캠42의 가압부42a가 도면의 좌측방향으로부터 지지부재12의 돌출부12b를 가압하여 지지부재12에서 축14의 하방이 되는 부분을 싱커 플레이트2로부터 멀어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스페이서60의 돌기60a는 지지부재12에서 축14의 하방이 되는 접촉부12c의 일방측과 접촉한다. 캐리지30이 이동하여 가압캠34a가 가압부2c를 밀어 내리지 않게 되면, 싱커 플레이트2는, 니들 플레이트10의 스토퍼10a에 도1(a)의 상태로 접촉할 때까지 스프링4의 탄성에 의하여 회전변위되어 편사결합부2a를 니들베드 갭6으로 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60의 돌기60a가 지지부재12의 접촉부12c의 일방측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재12는 제1단계로서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8은 도3에 나타나 있는 B1∼B2의 위치에서 회전캠42를 작동시켜서, 싱커 플레이트2를 도1(b)에 나타나 있는 제2단계로 절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싱커 플레이트2의 가압부2c는, 고정 프레서34의 가압캠34a에 의하여 가압된다. 회전캠42의 가압부42b는, 도면의 우측방향으로부터 지지부재12의 돌출부12b를 가압하여, 축14를 지점으로 하는 각변위에 의하여 지지부재12에서 축14의 하방이 되는 부분을 싱커 플레이트2에 가까워지도록 한다. 지지부재12의 접촉부12c는, 도7에 나타나 있는 상태로부터 스페이서60의 돌기60a를 가압하여, 얇은 스페이서60이 구부러져서 돌기60a를 후퇴시키도록 변 형시켜서 돌기60a를 타고 넘어가서 제2단계의 자세로 절환된다. 제2단계의 자세는, 스페이서60의 돌기60a가 지지부재12의 접촉부12c의 타방측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지지부재12의 지지용 결합부12a는 싱커 플레이트2의 지지용 결합부2d와 결합 가능한 위치가 되기 때문에 캐리지30이 이동하여 가압캠34a가 가압부2c를 밀어 내리지 않게 되면, 싱커 플레이트2는 지지용 결합부2d가 지지부재12의 지지용 결합부12a에 접촉할 때까지 스프링4의 탄성에 의하여 회전변위된다. 제2단계에서는, 제1단계와 비교하여 짧은 스트로크에 의하여 편사결합부2a를 니들베드 갭6으로 진출시킬 수 있다.
도9는 절환기구40에 의한 절환을 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회전캠42의 가압부42a, 42b 사이의 간격은, 지지부재12의 돌출부12b가 회전변위에 의하여 존재할 수 있는 폭보다 크게 한다. 회전캠42의 절환위치를 제1단계와 제2단계의 중간위치가 되도록 설정하면, 제1단계 또는 제2단계로 절환되어 있는 지지부재12의 돌출부12b에 접촉하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단계 또는 제2단계로의 절환상태를 어떻게 하더라도 그대로 계속시킬 수 있다. 제1단계 또는 제2단계의 계속은, 도7 또는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돌기60a가 지지부재12의 접촉부12c의 일방측 또는 타방측에 접촉함으로써도 유지된다. 이러한 위치지지는, 돌기60a에 의한 결합에 의한 경우 이외에 휘어짐 등에 의하여 얻어지는 슬라이딩 저항(sliding 抵抗)을 작용시켜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2단계의 계속은, 지지부재12의 지지용 결합부12a와 싱커 플레이트2의 지지용 결합부2d가 결합됨 으로써도 유지된다. 또한 각 단계의 절환위치는, 예를 들면 원점(原點)을 설정하여 센서(sensor)에 의하여 검출하고,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스테핑 모터46을 구동시키는 펄스(pulse)의 수에 따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10은 본 실시예의 가동싱커장치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동일 코스 내에서 싱커 플레이트2의 스트로크의 절환을 하는 예를 나타낸다. 「L」은,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단계에서 긴 롱 스트로크(long stroke)가 되는 자세로 절환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S」는,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단계에서 짧은 쇼트 스트로크(short stroke)가 되는 자세로 절환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속행」은 절환을 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10(a)는 복수의 편침65가 연속하여 형성되는 존(zone)66에서 교대로 「L」과 「S」를 절환하는 예를 나타낸다. 캐리지30이 이 코스를 가로 지를 때에는, 도1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절환기구40이 작동되어 회전캠42의 위치를 절환한다. 또한 도10(b)는 설명의 편의상, 도10(a)보다 편침65의 간격을 넓혀서 나타내었다.
캐리지30이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도10(a)에서 「L」이라고 하는 최초 존66의 최초 편침65a를 회전캠42의 가압부42a의 후단이 통과하기 전까지 회전캠42를 「L」측으로 절환한다. 이 존의 최후 편침65b를 가압부42a의 전단이 통과할 때까지는, 회전캠42를 「L」측을 유지한다. 다음에 「S」측이 되는 존66의 최초 편침65c를 회전캠42의 가압부42b의 후단이 통과할 때까지 회전캠42를 「S」측으로 절환한다. 가압부42b의 전단이 이 존의 최후 편침65d를 통과할 때까지는, 회전캠42를 「S」측에 유지한다. 이렇게 하여 도1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존66마다 절환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존66의 길이가 회전캠42의 가압부42a, 42b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의 길이보다 큰 경우, 인접하는 존의 편침65b와 편침65c와의 사이에서의 회전캠42의 절환에는, 가압부42a, 42b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의 길이의 여유가 발생하여 캐리지30의 이동속도가 고속에서도 충분히 절환할 수 있다.
도10과 같이 존66과 다른 싱커 스트로크(sinker stroke)를 절환하여 편성하는 경우에 동일한 절환상태가 복수 코스 연속할 때에는, 최초 코스의 편성을 시작할 때에 지정된 존66이 되도록 절환하면, 후의 코스 편성에서는 회전캠42를 「속행」의 상태로 하면 좋다. 코스 내에서의 절환을 하지 않고 코스 단위로 절환을 하는 경우에는, 코스의 편성을 시작할 때까지 회전캠42를 절환하면 좋다. 코스를 타고 넘어가서 존66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코스와 편침65를 각각 번호로 지정하여 절환을 한다. 편성포 편성용의 데이터를 작성하는 디자인 시스템(design system)에서, 편성 데이터(編成 data)를 작성할 때에 싱커 스트로크의 다른 존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지정에 따라 절환용의 제어데이터(制御 data)가 출력되도록 하면 좋다. 또한 각 편침65의 위치에 회전캠42의 가압부42a, 42b의 후단부가 도달할 때마다 절환하도록 하면, 편침65마다 싱커 스트로크를 절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편침65마다의 절환이나 짧은 존66에서는, 캐리지30을 고속으로 이동시키면서 정확한 위치에서 절환하는 것은 곤란하여 절환부분에서는 캐리지30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일단 절환한 상태를 속행시킬 때에는, 캐리지30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어 효율적으로 편성을 할 수 있다.
도11은 본 실시예의 가동싱커장치의 절환기능을 이용하여 적합하게 편성할 수 있는 편성포의 예를 나타낸다. 도11에서는, 예를 들면 스웨터(sweater)70을 전후의 니들베드 등을 이용하여 무봉제(無縫製)의 통(筒) 모양의 상태로 편성할 때에, 우측소매71, 몸통72 및 좌측소매73의 초기 편성을 동시에 하고, 도중에 우측소매71 및 좌측소매73을 몸통72보다 길게 하기 위하여 몸통72의 편성을 중단한다.
예를 들면 캐리지가 니들베드 상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되어 우측소매71, 몸통72 및 좌측소매73의 순서로 코스편성을 한다. 다음에 캐리지를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반전(反轉)시켜서 좌측소매73, 몸통72 및 우측소매71의 순서로 코스편성을 한다. 이러한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우측소매71, 몸통72 및 좌측소매73이 동시진행형으로 편성된다. 즉 동시 초기편성에 계속하여 우측소매71, 몸통72 및 좌측소매73의 옷단부분71a, 72b, 73c가 각각 편성되고 또한 스테이지(stage)R1까지 우측소매71, 몸통72 및 좌측소매73의 하측부분71b, 72b, 73b가 각각 편성된다. 이 사이에는, 롱 스트로크로 편성할 수 있다.
스테이지R1에서 스테이지R2까지의 사이에는, 우측소매71 및 좌측소매73에서는 중간부분71c, 73c의 편성을 계속하지만, 몸통72에서는 중간부분72c의 편성을 중단한다. 편성을 중단한 몸통72의 스티치(stitch)는, 편침에 지지된 상태에서 우측소매71 및 좌측소매73의 중간부분71c, 73c의 편성을 기다린다. 이러한 우측소매71 및 좌측소매73의 편성의 사이, 캐리지는 몸통72의 스티치를 지지하고 있는 편침 위를 통과하게 된다. 이 경우에 몸통72의 중간부분72c를 쇼트 스트로크의 존으로 설정하고, 우측소매71 및 좌측소매73의 중간부분71c, 73c를 롱 스트로크의 존으로 설정하면 좋다. 스테이지R2 이후에서는, 우측소매71, 몸통72 및 좌측소매73의 상측부분71d, 72d, 73d를 롱 스트로크로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우측소매71, 몸통72 및 좌측소매73의 길이가 같은 경우에는, 전부 롱 스트로크로 편성할 수 있다. 몸통72가 우측소매71 및 좌측소매73보다 긴 경우에는, 우측소매71 및 좌측소매73의 편성의 도중에 중단하여 쇼트 스트로크의 존을 설정하여 편성하면 좋다.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롱 스트로크로의 진출이 가능한 제1단계로 절환하면, 싱커 플레이트2의 편사결합부2a가 편사에 충돌하는 충격은 커져서 「얀 디닝(yarn thinning)」이나 「냅(nap)」이 발생하여 편사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바인딩 스티치(binding stitch)를 하는 부분을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쇼트 스트로크의 제2단계로 절환하면, 편사결합부2a가 편사에 충돌하는 충격을 작게 하여 편사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단계의 절환상태에서는, 싱커 플레이트2의 니들베드 갭6으로의 진출량이 작기 때문에 니들베드 사이를 상대적으로 비키어 놓는 래킹(racking)을 할 때에 편사를 손상시킬 우려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싱커 플레이트2의 스트로크를 2단계로 절환하고 있지만, 3단계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스테핑 모터46을 구동원으로 하는 절환기구40에 의하여 지지부재12의 회전변위를 하고 있지만, 솔레노이드(solenoid) 등 다른 액추에이터(actuator)에 의하여 지지부재12를 회전변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싱커 플레이트2의 스트로크의 제한은, 회전변위하는 지지부재12에 의한 것 뿐만 아니라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1806호 공보에 제1실시예로서 개시되어 있는 슬라이딩 변위하는 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편침16은, 래치 니들(latch needle) 뿐만 아니라 복합 니들(compound needle) 등이더라도 좋다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 있어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서, 명세서의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되는 싱커 플레이트의 편사결합부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구루프를 밀어 내릴 때의 진출량을, 절환수단에 의하여 최대의 제1단계와 제1단계보다 작은 제2단계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단계로 절환하면 캐리지의 이동을 반복하는 편성동작에서, 편침으로의 급사위치에서 싱커 플레이트의 편사결합부를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시킨 후,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되는 싱커 플레이트를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더라도 편사결합부가 편사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손모(損耗)의 정도를 최대의 진출량이 되는 제1단계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편사에 대한 손모가 문제가 되지 않는 편성조건에서는, 싱커 플레이트의 니들베드 갭으로의 진출량이 최대가 되는 제1단계로 절환하여 편사결합부에 의한 편성포의 밀어 내림 효과(effect of pressing down)를 충분히 발휘시켜서 편성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절환수단이 편침으로의 급사위치에서 싱커 플레이트의 니들베드 갭으로부터의 대피를 하게 하여, 싱커 플레이트의 선단의 편사결합부 등이 급사부재로부터 공급되는 편사 등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환위치에서는 절환수단이 싱커 플레이트의 변위와 지지수단의 절환을 연동시켜서 제1단계와 제2단계로 절환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수단의 돌출부를 절환수단의 한 쌍의 가압부 사이에서 가압하여 제1단계와 제2단계에서 다른 자세가 되도록 절 환하고, 어느 쪽의 가압부에서도 지지수단의 돌출부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싱커 플레이트의 절환상태를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수단은, 제2단계에서는 싱커 플레이트의 접촉부와 결합함으로써 절환상태를 지지하여, 판 스프링의 돌기에 의해서도 제1단계 및 제2단계의 절환상태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절환수단에 의한 제1단계와 제2단계 사이의 절환 시에는, 지지수단으로부터 판 스프링의 돌기가 후퇴하기 때문에 돌기를 타고 넘어 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절환수단에서는, 한 쌍의 가압부가 형성되고, 가압부 사이에 지지수단의 돌출부가 변위하는 범위를 포함하도록 회전변위하는 회전캠을 링크기구를 통하여 스텝모터에 의하여 회전변위시켜서 싱커 플레이트에 대한 제1단계 또는 제2단계로의 절환 및 절환을 변경하지 않는 상태로의 절환을 할 수 있다. 절환은, 캐리지의 다른 동작과는 독립하여 할 수 있어, 편성포의 편성코스 사이에서 니들베드 갭으로의 진출량을 절환하거나 1개의 코스 내에서 진출량을 절환하여 싱커의 밀어 내리는 양이 다른 존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5)

  1. 니들베드(need bed)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고 또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는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으로 선단(先端)의 편사결합부(編絲結合部)가 진출하도록 각각 스프링(spring)의 탄성력(彈性力)이 작용되는 싱커 플레이트(sinker plate)를,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의 작용에 의하여 편침으로의 급사위치(給絲位置)에서는 편사결합부를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대피시키고, 적어도 신루프(新 loop) 형성 후의 녹 오버(knock over)의 때에는 편사결합부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구루프(舊 loop)를 밀어 내리는 가동싱커장치(movable sinker device)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캐리지에 설치되고 또한 편침의 편성동작을 하는 범위 이외에 미리 설정되는 절환위치(切換位置)에서, 스프링(spring)의 탄성력(彈性力)에 의한 싱커 플레이트의 편사결합부의 니들베드 갭으로의 진출량을, 1코스 내에서도 최대의 진출량이 되는 제1단계를 포함하는 복수 단계로 절환(切換) 가능한 절환수단(切換手段)과,
    각 싱커 플레이트마다 설치되고 또한 절환수단에 의하여 싱커 플레이트의 니들베드 갭으로의 진출량이 제1단계보다 작아지는 제2단계로 절환될 때에 절환상태를 지지하는 지지수단(支持手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커 플레이트는,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지지수단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환수단은, 상기 편침으로의 급사위치와 상기 절환위치에서, 싱커 플레이트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시키고, 제2단계로 절환할 때에는 상기 지지수단을 싱커 플레이트의 접촉부가 더 접촉하는 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횡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다른 자세가 되도록 절환하기 위하여 상기 절환수단이 접촉 가능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환수단은, 지지수단의 돌출부가 제1단계와 제2단계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범위 이상의 간격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압부(加壓部)를 구비하고, 제1단계로 절환할 때와 제2단계로 절환할 때에는, 어느 하나의 가압부에 의하여 지지수단의 돌출부를 가압하고, 어느 하나의 가압부에 의해서도 지지수단의 돌출부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로의 절환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싱커 플레이트의 접촉부와 결합함으로써 절환상태를 지지하고,
    상기 제1단계 및 제2단계에서, 지지수단의 절환상태를 각각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돌기를 구비하는 판 스프링(板 spring)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환수단에 의한 제1단계와 제2단계 사이의 절환 시에, 지지수단은 판 스프링의 돌기를 타고 넘어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은,
    상기 한 쌍의 가압부가 형성되고, 가압부 사이에 상기 지지수단의 돌출부가 변위하는 범위를 포함하도록 회전변위(回轉變位)하는 회전캠(回轉 cam)과,
    전기적인 명령을 따라 회전상태가 제어되는 스텝모터(step motor)와,
    스텝모터의 회전출력에 의거하여 회전캠을 회전변위시키는 링크기구 (link 機構)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20047019284A 2002-05-30 2003-05-01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0924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57735 2002-05-30
JPJP-P-2002-00157735 2002-05-30
PCT/JP2003/005566 WO2003102285A1 (fr) 2002-05-30 2003-05-01 Metier a mailles cueillies presentant un dispositif de platine d'abattage 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887A KR20050004887A (ko) 2005-01-12
KR100924292B1 true KR100924292B1 (ko) 2009-10-30

Family

ID=2970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284A KR100924292B1 (ko) 2002-05-30 2003-05-01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78642B2 (ko)
EP (1) EP1514963B1 (ko)
JP (1) JP4016028B2 (ko)
KR (1) KR100924292B1 (ko)
CN (1) CN100366807C (ko)
AU (1) AU2003235819A1 (ko)
WO (1) WO20031022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5972B2 (ja) * 2003-07-30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シンカー装置
US7152435B2 (en) * 2003-07-30 2006-12-26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JP4176038B2 (ja) 2004-03-31 2008-11-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可動シンカー装置
JP4408803B2 (ja) * 2004-12-28 2010-02-0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および可動シンカを備える横編機
JP4519636B2 (ja) * 2004-12-28 2010-08-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を備える横編機
CN2837326Y (zh) * 2005-09-05 2006-11-15 林理智 针织机生克片往复运动结构改进
JP5161089B2 (ja) * 2006-08-11 2013-03-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および横編機
DE502008001881D1 (de) * 2008-01-12 2011-01-05 Stoll H Gmbh & Co Kg Kassette einer Strickmaschine
US20140189310A1 (en) 2012-12-27 2014-07-03 Nvidia Corporation Fault detection in instruction translations
JP6234244B2 (ja) * 2013-03-08 2017-11-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PT3124663T (pt) * 2015-07-30 2020-01-16 Groz Beckert Kg Método e dispositivo de formação de laço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4865A (en) * 1989-12-28 1992-08-04 Shima Seiki Mfg., Ltd. Sinker mechanism for flat knitting machines
EP0681046A1 (en) 1994-05-06 1995-11-08 PROTTI S.p.A. FABBRICA MACCHINE PER MAGLIERIA Flat-bed knitting machine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formation and casting off of stitches
JPH0931806A (ja) * 1995-07-14 1997-02-04 Shima Seiki Mfg Ltd 可動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KR20020047304A (ko) * 1999-11-17 2002-06-21 시마 마사히로 횡편기의 싱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4633A (en) * 1956-04-06 1962-03-13 Gerhard Kochheim Flat knitting apparatus
JPH03504991A (ja) * 1988-06-13 1991-10-31 ウニヴエルザル マシーネンフアブリーク ドクトル ルドルフ シーベ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ムパニー カーゲー 平床編機
DE3935763A1 (de) * 1989-10-27 1991-05-02 Stoll & Co H Flachstrickmaschine
JP3163602B2 (ja) 1991-09-20 2001-05-08 ソニー株式会社 映像ディスプレイ装置
US5355699A (en) * 1992-04-16 1994-10-18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JP3120220B2 (ja) 1996-03-28 2000-12-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呼出し機能付き通信装置
DE19725073B4 (de) * 1997-06-13 2004-11-25 H. Stoll Gmbh & Co. Strickmaschine, insbesondere Flachstrickmaschine
DE10031684A1 (de) * 2000-06-29 2002-01-10 Stoll & Co H Flachstrickmas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4865A (en) * 1989-12-28 1992-08-04 Shima Seiki Mfg., Ltd. Sinker mechanism for flat knitting machines
EP0681046A1 (en) 1994-05-06 1995-11-08 PROTTI S.p.A. FABBRICA MACCHINE PER MAGLIERIA Flat-bed knitting machine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formation and casting off of stitches
JPH0931806A (ja) * 1995-07-14 1997-02-04 Shima Seiki Mfg Ltd 可動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KR20020047304A (ko) * 1999-11-17 2002-06-21 시마 마사히로 횡편기의 싱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78642B2 (en) 2005-12-27
US20050183466A1 (en) 2005-08-25
EP1514963B1 (en) 2011-07-20
EP1514963A1 (en) 2005-03-16
EP1514963A4 (en) 2010-03-24
KR20050004887A (ko) 2005-01-12
CN100366807C (zh) 2008-02-06
AU2003235819A1 (en) 2003-12-19
WO2003102285A1 (fr) 2003-12-11
JP4016028B2 (ja) 2007-12-05
CN1656269A (zh) 2005-08-17
JPWO2003102285A1 (ja)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267B1 (ko) 횡편기의 싱커 장치
JP4015978B2 (ja)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KR100924292B1 (ko)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JP2794144B2 (ja) 目移し装置を有する横編機
KR19990023497A (ko)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EP0567282B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US4920767A (en) Annular knitting machine with slide needles
WO2002046508A1 (fr) Machine a tricoter plate
JP2604677B2 (ja)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KR101065245B1 (ko) 편사의 지지절단 방법 및 장치
JP3408735B2 (ja) 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目移し機構を備えた横編機
EP1279758B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ring mechanism and transferring method
US6381992B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transferring stitches on a knitting machine
EP1655398A1 (en)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US6688140B2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mechanism and transferring method
US4147042A (en) Selection mechanism of circular knitting-machine
US4127012A (en) Stitch selector control means
KR100768345B1 (ko) 코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CN220099325U (zh) 横机的针织物压片装置
JP2676179B2 (ja)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US371567A (en) Knitting-machine
WO1997031143A1 (en) Knitting machine
CZ20032801A3 (cs) Okrouhlý jednolícní pletací stroj pro výrobu plyšové pleteniny
JPS63159555A (ja) 横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