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539B1 - 노이즈 필터 - Google Patents

노이즈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539B1
KR100516539B1 KR10-2003-7002282A KR20037002282A KR100516539B1 KR 100516539 B1 KR100516539 B1 KR 100516539B1 KR 20037002282 A KR20037002282 A KR 20037002282A KR 100516539 B1 KR100516539 B1 KR 100516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noise filter
magnetic
magnetic sheets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881A (ko
Inventor
야마모토히데토시
우치다카츠유키
이시다코수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2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1/0007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of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6Multilayer LC-fil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73Printed inductances with a special conductive pattern, e.g. flat spi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노이즈의 공진을 막을 수 있고, 소형이며 저렴한, 특히 신호주파수가 10OMHz를 초과하고 있는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노이즈 필터로서 유용하다. 노이즈 필터는, 자성체 시트를 적층함과 아울러, 이들을 소성해서 이루어지는 적층체내에, 접지도체가 최외층에 배치되는 동시에, 전송선로와 접지도체가 교대로 자성체 시트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적층체의 외표면에는, 전송선로에 접속된 신호용 전극과 접지 도체에 접속된 접지용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지도체를 접지한 상태에서 전송선로에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써, 고주파수의 노이즈를 자성체 시트에 의한 열손실을 이용해서 감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전자잡음장해를 억제하는 데에 이용하기 적합한 노이즈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전자잡음장해를 억제하기 위해서 각종의 노이즈 필터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의한 노이즈 필터로서, 예를 들면 3단자 콘덴서와 같이 집중정수에 의한 회로를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공개 평10-154632호 공보등).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노이즈 필터에서는, 잡음(노이즈)이 되는 주파수에서 반사계수를 증대시키는 반사손실을 이용해서 노이즈의 억제를 행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노이즈 필터로서, 다수의 인덕터와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회로를 형성한 것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공개 2000-348944호 공보등).
그런데, 상술한 종래기술에서는, 반사손실에 의해 노이즈를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회로간을 접속하는 선로중에 노이즈 필터를 형성한 경우, 노이즈 필터와 주변의 회로와의 사이에서 특정의 주파수의 노이즈가 공진하는 일이 있으며, 이 공진에 의해 노이즈를 증폭해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기기에 이용하는 신호주파수가 고주파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신호주파수가 1OOMHz를 초과하고 있는 전자기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단주파수가 20OMHz이상인 로우패스 필터(low pass filter)가 요구되고 있는 것에 반해, 예를 들면 노이즈 필터와 주위의 부품과의 사이의 선로길이나 복수의 부품간의 선로길이 등이 20OMHz이상의 고주파의 신호(노이즈)에 대하여 공진하기 쉬운 길이치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신호주파수가 100MHz를 초과하고 있는 전자기기에는 종래기술과 같이 반사손실을 이용하는 노이즈필터는 사용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에서는, 반사손실을 저하시킴으로써 공진현상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노이즈 필터에서는, 다수의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접속함으로써 회로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소형화가 어렵고, 제조비용)이 증대함과 아울러, 칩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프린트배선에 대하여 부착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이즈의 공진을 막을 수 있고, 소형이며 저렴한 노이즈 필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1은, 제1실시형태에 의한 노이즈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노이즈 필터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노이즈 필터를 도1중의 화살표III-III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4는, 노이즈 필터를 도3중의 화살표IV-IV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5는, 노이즈 필터를 도4중의 화살표V-V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6은, 자성체 시트의 비투자율(μr)을 1O으로 설정했을 때의 신호의 주파수와 감쇠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도7은, 전송선로의 길이치수(L)를 50mm으로 설정했을 때의 신호의 주파수와 감쇠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도8은, 정수(C)를 20mm로 설정했을 때의 신호의 주파수와 감쇠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도9는, 정수(C)를 3mm로 설정했을 때의 신호의 주파수와 감쇠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도10은, 정수(C)와 감쇠곡선의 기울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도11은, 차단주파수(fc)와 자성체 시트의 비투자율(μr)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도12는, 제2실시형태에 의한 노이즈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제2실시형태에 의한 노이즈 필터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4는, 노이즈 필터를 도12중의 화살표XIV-XIV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15는, 노이즈필터를 도14중의 화살표XV-XV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16은, 제1변형예에 의한 노이즈 필터를 나타내는 도5와 같은 위치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17은, 제3실시형태에 의한 노이즈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8은, 제3실시형태에 의한 노이즈 필터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9는, 제4실시형태에 의한 노이즈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0은, 제4실시형태에 의한 노이즈 필터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1은, 도20중의 제4전송선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2는, 제2변형예에 의한 전송선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3은, 제3변형예에 의한 노이즈 필터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4는, 제4변형예에 의한 노이즈 필터를 나타내는 도3과 같은 위치에서 본 단면도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1의 발명에 의한 노이즈 필터는, 서로 겹쳐지는 2장의 자성체 시트를 갖고, 상기 2장의 자성체 시트사이에 전송선로를 형성하고, 상기 2장의 자성체 시트를 2장의 접지도체에 의해 상, 하에서 끼우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자성체 시트를 구성하는 자성재료는 전송선로를 통과하는 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신호의 열손실이 증대하기 때문에, 이러한 열손실을 이용함으로써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전송선로의 폭치수, 자성체 시트의 두께치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노이즈 필터의 특성 임피던스를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자성재료의 비유전율은 신호의 주파수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값으로 되므로, 이 특성 임피던스를 신호의 주파수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거의 모든 주파수영역에 대해서 노이즈 필터에 접속되는 회로에 대한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수 있고, 노이즈 필터의 반사손실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2장의 자성체 시트사이에 전송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2장의 자성체 시트를 2장의 접지도체에 의해 끼우기 때문에, 접지도체에 의해 2장의 자성체 시트사이에 위치하는 전송선로를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덮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송선로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특성 임피던스를 일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선로의 도중에 노이즈에 반사가 생기는 일이 없고, 노이즈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송선로를 통과하는 신호를 2장의 접지도체사이에 가둘 수 있고, 통과대역에서의 신호의 감쇠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전송선로중에 노이즈가 혼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신호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청구항2의 발명은, 서로 겹쳐지는 복수장의 자성체 시트를 갖고, 이들 각 자성체 시트의 최상층과 최하층에 접지도체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체 시트사이에 전송선로와 상기 접지도체를 교대로 겹쳐쌓고, 복수층의 전송선로를 상기 각 자성체 시트를 관통해서 형성한 관통선로에 의해 직렬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고주파수의 신호가 전송선로를 통과할 때에는 자성체 시트의 열손실이 증대하는 것을 이용해서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송선로의 폭치수, 자성체 시트의 두께치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노이즈 필터의 특성 임피던스를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자성재료의 비유전율은 신호의 주파수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값으로 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주파수영역에 대해서 노이즈필터와 그 노이즈필터에 접속되는 회로와의 사이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수 있고, 노이즈 필터의 반사손실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겹쳐지는 복수장의 자성체 시트의 최상층과 최하층에 접지도체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체 시트사이에 전송선로와 접지도체를 교대로 겹쳐 쌓았기 때문에, 각 층의 전송선로를 2장의 자성체 시트사이에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2장의 접지도체에 의해 각 층의 전송선로를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덮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송선로를 통과하는 신호를 접지도체사이에 가둘 수 있고, 통과대역에서의 신호의 감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겹쳐지는 복수장의 자성체 시트는 그 최상층과 최하층에 접지도체를 배치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전송선로중에 노이즈가 혼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신호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모든 전송선로의 폭치수를 거의 같은 값으로 설정함과 아울러, 모든 자성체 시트의 두께치수를 거의 같은 값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각 층의 전송선로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를 서로 거의 일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서로 직렬접속된 전송선로의 전체에 걸쳐 특성 임피던스를 거의 일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선로의 도중에 노이즈에 반사가 생기는 일이 없고, 노이즈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고, 외부회로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각 자성체 시트를 관통해서 형성한 관통선로에 의해 복수층의 전송선로를 직렬로 접속했기 때문에, 전송선로의 전체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전송선로를 통과하는 노이즈의 감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청구항3의 발명은, 전송선로는 꺾임부를 갖는 대략 원호상 또는 ㄷ자상을 이루며, 이들의 전체에 의해 두께방향에 대하여 코일형상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노이즈 필터의 두께치수는 증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노이즈 필터의 바닥면적을 코일의 개구면적과 같은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좁은 설치장소에 대해서도 노이즈 필터를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4의 발명은, 전송선로를 구불구불한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전송선로를 직선상으로 형성한 경우에 비해, 그 길이치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노이즈의 감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청구항5의 발명은, 자성체 시트를 자성특성을 가진 세라믹스재료에 의해 형성한 구성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자성체 시트를 겹친 상태에서 소성함으로써 노이즈 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6의 발명은, 자성체 시트를 자성분말을 혼입한 수지재료에 의해 형성한 구성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자성체 시트를 접착제를 이용해서 접합함으로써 노이즈 필터를 형성할 수 있고, 소성 등의 제조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7의 발명은, 자성체 시트는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자성체 시트의 길이방향 양단측에는 상기 전송선로의 양단에 접속된 신호용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자성체 시트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는 상기 접지도체에 접속된 접지용 전극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2개의 회로사이를 접속하는 배선은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배선의 도중에 대하여, 자성체 시트의 길이방향 양단측에 위치하는 신호전극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 시트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 형성된 접지용 전극도 배선의 주변에 형성된 접지단자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으므로, 노이즈 필터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8의 발명은, 서로 겹쳐지는 복수장의 자성체 시트를 갖고, 이들 각 자성체 시트의 최상층과 최하층에 접지도체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체 시트사이에 전송선로와 접지도체를 교대로 겹쳐 쌓고, 복수층의 전송선로의 일단측은 서로 다른 신호입력용 전극에 접속하고, 복수층의 전송선로의 타단측은 서로 다른 신호출력용 전극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층의 전송선로는 서로 다른 신호입력용 전극, 신호출력용 전극에 접속하기 때문에, 복수층의 전송선로를 각각 개별로 로우패스 필터로서 작동시킬 수 있고, 전체로서 노이즈 필터 어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고주파수의 신호가 각 층의 전송선로를 통과할 때에는, 자성체 시트의 열손실이 증대하는 것을 이용해서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송선로의 폭치수, 자성체 시트의 두께치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노이즈 필터의 특성 임피던스를 설정할 수 있다.특히, 자성재료의 비유전율은 신호의 주파수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값이 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주파수영역에 대해서 노이즈 필터에 접속되는 회로에 대한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수 있고, 노이즈 필터의 반사손실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층의 전송선로는 각각 독립한 로우패스 필터로서 작동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복수층의 전송선로를 자성체 시트를 관통한 관통선로를 이용해서 접속한 경우에는 불연속점이 되는 관통선로근방에서 임피던스의 부정합이 생기기 쉬운 데에 비해, 전송선로의 도중에 임피던스의 부정합이 생기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전송선로의 도중에 노이즈에 반사가 생기는 일이 없고, 노이즈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회로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겹쳐지는 복수장의 자성체 시트의 최상층과 최하층에 접지도체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체 시트사이에 전송선로와 접지도체를 교대로 쌓아 겹쳤기 때문에, 각 층의 전송선로를 2장의 자성체 시트사이에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2장의 접지도체에 의해 각 층의 전송선로를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덮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층의 전송선로를 통과하는 신호를 접지도체사이에 가둘 수 있고, 통과대역에서의 신호의 감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겹쳐지는 복수장의 자성체 시트는 그 최상층과 최하층에 접지도체를 배치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각 층의 전송선로중에 노이즈가 혼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신호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청구항9의 발명에서는, 전송선로를 구불구불한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하고, 청구항10의 발명에서는, 전송선로를 나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송선로를 직선상으로 형성한 경우에 비해, 그 길이치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노이즈의 감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청구항11의 발명은, 차단주파수가 20OMHz부터 2GHz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자성체 시트의 비투자율을 μr, 상기 전송선로의 길이치수를 L[mm]이라고 했을 때에, 4≤μr≤30의 범위에 있으며, L/√(μr-1)≥3mm로 설정한 것에 있다. 또, 여기에서 비투자율(μr)은 자성체 시트의 투자율μ[H/m]과 진공중의 투자율μ0[H/m]의 비를 나타내고 있고, 이하의 수1의 식으로 나타내는 값을 나타내고 있다.
(수1)
이와 같이, 자성체 시트의 비투자율(μr)을 4≤μr≤30의 범위내로 설정함과 아울러, L/√(μr-1)≥3mm이 되도록 전송선로의 길이치수(L)를 설정함으로써, 차단주파수의 범위를 용이하게 20OMHz≤fc≤2GHz의 범위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의 감쇠곡선의 기울기(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감쇠량 변화의 비율)은, 전송선로의 길이치수(L)에 비례해서 커지게 됨과 아울러, 자성체 시트의 비투자율(μr)에 대하여 √(μr-1)에 반비례해서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자성체 시트의 비투자율(μr)을 4≤μr≤30의 범위로 설정하고, L/√(μr-1)≥3mm로 설정함으로써, 노이즈의 감쇠곡선의 기울기를 예를 들면 20dB/dec.이상으로 할 수 있고, 신호와 노이즈의 감쇠량의 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12의 발명은, 접지도체의 두께치수를 상기 전송선로의 두께치수보다 얇게 형성한 구성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노이즈 필터전체의 두께치수를 얇게 할 수 있고,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전송선로의 두께치수를 접지도체에 비해 두껍게 할 수 있으므로, 전송선로의 직류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보다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노이즈 필터를, 도1 내지 도24에 기초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노이즈 필터이고, 상기 노이즈 필터(1)는 후술하는 자성체 시트(2a∼2d), 전송선로(3), 접지도체(4), 신호용 전극(5), 접지용 전극(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노이즈 필터(1)의 차단주파수(fc), 예를 들면 20OMHz부터 2GHz정도의 범위내의 값(20OMHz≤fc≤2GHz)으로 설정되어 있다.
적층체(2)는, 노이즈 필터(1)의 외형을 구성하는 대략 각기둥상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적층체(2)는, 예를 들면 4장의 자성체 시트(2a∼2d)를 겹쳐서 적층한 상태에서 프레스한 후, 이들 자성체 시트(2a∼2d)를 소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성체 시트(2a∼2d)는 대략 4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페라이트 등의 자성특성을 갖는 세라믹스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2장의 접지도체(4)사이에 끼워진 자성체 시트(2b,2c)는, 그 비투자율(μr)이 예를 들면 4부터 30정도의 범위내의 값(4≤μr≤30)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자성체 시트(2a,2d)와 자성체 시트(2b,2c)는 다른 재료를 이용해도 좋다. 단, 제조비용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4장의 자성체 시트(2a∼2d)는 모두 같은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송선로(3)는, 자성체 시트(2b,2c)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송선로(3)는, 예를 들면 은페이스트, 팔라듐 등의 도전성 금속재료에 의해 대략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자성체 시트(2b,2c)의 단변방향 중앙측에 위치해서 길이방향으로 향해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송선로(3)는, 후술하는 2장의 접지도체(4)사이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대략 전체길이에 걸쳐서 2장의 접지도체(4)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한, 전송선로(3)는 그 양단측이 전극부(3A)가 되고, 신호용 전극(5)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송선로(3)의 폭치수를 A, 2장의 접지도체(4)사이의 거리치수를 B, 적층체(2)(자성체 시트(2b,2c))의 투자율을 μ, 적층체(2)의 유전율을 ε라고 했을 때, 전송선로(3)의 특성 임피던스(W)는 이하의 수2의 식에 나타내는 값이 된다.
(수2)
또, 전송선로의 길이치수(L)는, 자성체 시트(2b,2c)의 비투자율(μr)에 대해서 예를 들면 이하의 수3의 식을 충족시키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수3)
또, 소형의 칩부품에 의해 노이즈 필터(1)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전송선로의 길이치수(L)은, 예를 들면 1OOmm이하일 필요가 있다. 한편, 자성체 시트(2b,2c)의 비투자율(μr)은 4≤μr≤30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L/√(μr-1)의 값은, 이하의 수4의 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3mm이상이며 20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4)
접지도체(4)는, 자성체 시트(2b)의 표면측과 자성체 시트(2c)의 이면측에 각각 형성되며, 이들의 접지도체(4)는, 노이즈 필터(1) 중 두께방향의 중간에 위치하는 2장의 자성체 시트(2b,2c)를 상하방향에서 끼우는 것이다. 또한, 각 접지도체(4)는, 예를 들면 은페이스트, 팔라듐 등의 도전성 금속재료를 이용해서 대략 4각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되며, 자성체 시트(2b,2c)를 대략 전면에 걸쳐서 덮고 있다. 또한, 접지도체(4) 중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자성체 시트(2b,2c)의 길이방향(도2중의 좌,우방향)중간위치에는 폭방향(도2중의 전, 후방향)양단측을 향해서 혀모양으로 돌출해서 연장되는 전극부(4A)가 형성되며, 상기 전극부(4A)는 후술하는 접지용 전극(6)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접지도체(4)는, 자성체 시트(2a,2d)에 의해 덮여져 있다.
신호용 전극(5)은, 적층체(2)(자성체 시트(2a∼2d))의 길이방향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신호용 전극(5)은, 적층체(2)의 끝면을 덮는 동시에, 그 표면, 이면 및 측면을 통형상으로 덮고 있다. 그리고, 신호용 전극(5)은, 예를 들면 적층체(2)의 양단측에 도전성 금속재료를 도포한 후에, 이 도전성 금속재료를 소성함으로써 고정되어, 전송선로(3)의 전극부(3A)에 접속되어 있다.
접지용 전극(6)은, 적층체(2)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서 폭방향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지용 전극(6)은, 대략 ㄷ자상을 이루며, 적층체(2)의 측면에 두께방향을 따라서 띠형상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그 일부가 적층체(2)의 표면과 이면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접지용 전극(6)은, 예를 들면 적층체(2)의 측면측에 도전성 금속재료를 도포한 상태에서 소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접지도체(4)의 전극부(4A)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노이즈 필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다음에 그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신호가 전달되는 배선이 형성된 기판상에 노이즈 필터(1)를 배치하고, 배선의 도중에 신호용 전극(5)을 각각 접속함과 아울러, 접지용 전극(6)을 접지단자에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신호는 전송선로(3)를 통해서 전달됨과 아울러, 접지도체(4)는 접지전위가 된다.
여기에서, 자성체 시트(2a∼2d)를 구성하는 페라이트 등의 자성재료는 전송선로(3)를 통과하는 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신호의 열손실이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열손실을 이용함으로써 저영역통과형 필터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선로(3)는 예를 들면 20OMHz부터 2GHz정도로 설정된 차단주파수(fc)보다 낮은 주파수(1OOMHz∼1GHz정도)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이것보다 높은 주파수의 신호를 노이즈로서 감쇠시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송선로(3)의 폭치수(A), 자성체 시트(2b,2c)의 두께치수(접지도체(4)사이의 거리치수(B))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노이즈 필터(1)의 특성 임피던스(W)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자성재료의 비유전율은 신호의 주파수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값으로 되므로, 특성 임피던스(W)를 신호의 주파수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노이즈 필터(1)에 접속되는 회로에 대하여, 거의 모든 주파수영역에 대해서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수 있고, 노이즈 필터(1)의 반사손실을 저하시켜, 공진에 다른 노이즈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장의 자성체 시트(2b,2c)사이에 전송선로(3)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2장의 자성체 시트(2b,2c)를 2장의 접지도체(4)에 의해 끼우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2장의 접지도체(4)에 의해 자성체 시트(2b,2c)사이에 위치하는 전송선로(3)를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덮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송선로(3)의 전체길이에 걸친 특성 임피던스(W)를 일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선로(3)의 도중에 노이즈에 반사가 생기는 일이 없고, 노이즈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송선로(3)를 통과하는 신호를 접지도체(4)사이에 가둘 수 있고, 통과대역에서의 신호의 감쇠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전송선로(3)중에 노이즈가 혼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신호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노이즈 필터(1)의 차단주파수(fc)는, 자성체 시트(2a∼2d)의 자성재료의 조성(자성체 시트(2b,2c)의 비투자율(μr)) 및 전송선로(3)의 길이치수(L)을 조정함으로써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다음에 자성체 시트(2b,2c)의 비투자율(μr) 및 전송선로(3)의 길이치수(L)에 대한 차단주파수(fc)의 관계에 대해서, 도6 내지 도11을 참조하면서 검토한다.
먼저, 자성체 시트(2b,2c)의 비투자율(μr)을 일정 값으로서 예를 들면 10으로 하고(μr=10), 전송선로(3)의 길이치수(L)를 5mm, 1Omm, 20mm, 50mm로 각각 설정하고, 노이즈 필터(1)의 시뮬레이션을 행했다.
이 결과,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4종류의 전송선로(3)의 길이치수(L)에 대응하여 4개의 감쇠곡선을 얻었다.
도6의 결과에서, 전송선로(3)의 길이치수(L)가 길어짐에 따라, 차단주파수(fc)(감쇠량이 -3dB가 되는 주파수)는 저하함과 아울러, 예를 들면 감쇠량이 -10dB근방에서의 감쇠곡선의 기울기(주파수변화에 대한 감쇠량 변화의 비율)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송선로(3)의 길이치수(L)를 일정 값으로 해서 예를 들면 50mm로 하고(L=50mm), 자성체 시트(2b,2c)의 비투자율(μr)을 3,5,10,20,30으로 각각 설정하여 노이즈 필터(1)의 시뮬레이션을 행했다. 이 결과,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5종류의 비투자율(μr)에 대응하여 5개의 감쇠곡선을 얻었다.
도7의 결과에서, 비투자율(μr)이 커짐에 따라, 차단주파수(fc)는 저하하지만, 예를 들면 감쇠량이 -10dB근방에서의 감쇠곡선의 기울기는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의 특성을 본원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전송선로(3)의 길이치수(L)와 자성체 시트(2b,2c)의 비투자율(μr)에 기초해서 이하의 수5의 식에 의해 정해지는 정수(C)[mm]가 동일하게 되는 경우에, 길이치수(L), 비투자율(μr)이 달라도, 감쇠곡선의 형상(기울기)는 거의 동일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수5)
예를 들면, 도8은 정수(C)를 일정 값으로서 예를 들면 20mm로 하고 (C=20mm), 자성체 시트(2b,2c)의 비투자율(μr)을 3,5,10,20,30으로 각각 설정함과 아울러, 전송선로(3)의 길이치수(L)를 35mm, 45mm, 63mm, 89mm, 109mm로 각각 설정하고, 시뮬레이션을 행한 경우의 감쇠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9는 정수(C)를 일정 값으로서 예를 들면 3mm로 하고(C=3mm), 자성체 시트(2b,2c)의 비투자율(μr)을 3,5,10,20,30로 각각 설정함과 아울러, 전송선로(3)의 길이치수(L)를 5.19mm, 6.72mm, 9.48mm, 13.4mm, 16.4mm로 각각 설정하여 시뮬레이션을 행한 경우의 감쇠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정수(C)가 동일하게 되는 경우에는, 비투자율(μr)이 커짐에 따라, 차단주파수(fc)는 저하하지만, 길이치수(L), 비투자율(μr)이 달라도, 감쇠곡선의 형상(기울기)은 거의 동일하게 된다. 또한, 정수(C)가 커짐에 따라 감쇠곡선의 기울기는 커진다.
그래서, 정수(C)와 감쇠량이 -10dB근방에서의 감쇠곡선의 기울기와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도10에 나타낸 결과를 얻었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노이즈대책에 이용되는 바이패스 콘덴서의 감쇠곡선의 기울기는 20dB/dec.이며, 노이즈 대책부품으로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 이상의 기울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0의 결과에서 정수(C)가 3mm이상이면, 감쇠곡선의 기울기가 20dB/dec.이상으로 되고, 노이즈 대책부품으로서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8 및 도9의 결과에서, 비투자율(μr)이 같은 값이 되는 경우에는 정수(C)가 작아짐에 따라, 차단주파수(fc)(감쇠량이 -3dB가 되는 주파수)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노이즈 필터(1)의 최고 차단주파수(fc)를 검토하기 위해서, 정수(C)를 3mm로 하고(C=3mm), 비투자율(μr)과 차단주파수(fc)의 관계를 검토했다. 그 결과를 도11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최근에는, 디지털기기사이에서 정보전달을 행하는 수단으로서 무선LAN이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고, 이 무선LAN에는 예를 들면 2.45GHz 및 5GHz정도의 고주파의 신호가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고주파의 신호에 대하여 디지털기기내의 저주파(수백MHz정도)의 신호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차단주파수가 2GHz이하인 노이즈 필터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도11의 결과를 검토하면, 차단주파수(fc)를 2GHz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비투자율(μr)을 4정도로 설정하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수5의 식에 의하면, 정수(C)는 √(μr-1)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전송선로(3)의 길이치수(L)가 일정하면, 비투자율(μr)을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편이 정수(C)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감쇠곡선의 기울기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정수(C)가 일정하면, 비투자율(μr)을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편이 전송선로(3)의 길이치수(L)를 짧게 할 수 있어 노이즈 필터(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비투자율(μr)은 될 수 있는 한 작은 값으로서 4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도11의 결과에 의하면, 정수(C)를 최소값인 3mm로 했을 때 (C=3mm), 비투자율(μr)은 30정도로 설정해도, 차단주파수(fc)를 디지털기기 등에서 필요로 되는 20OMHz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투자율(μr)은 4이상이며 30이하의 범위내(4≤μr≤3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송선로(3)의 길이치수(L)는 길어질수록 정수(C)가 증대하기 때문에, 가능한한 긴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길이치수(L)가 길어짐에 따라 노이즈 필터(1)의 전체형상이 커지기 때문에, 노이즈 필터(1)를 실용적인 크기로 하기 위해서는 길이치수(L)는 대략 1OOmm이하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비투자율(μr)의 최소값은 4이기 때문에, 정수(C)의 최대치는 약 20정도로 된다. 따라서, 정수(C)는 3mm이상이며 20mm이하의 범위내(3mm≤C≤20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2장의 자성체 시트(2b,2c)사이에 전송선로를 배치함과 아울러, 이들의 자성체 시트(2b,2c)를 2장의 접지도체(4)에 의해 덮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자성체 시트(2b,2c)를 구성하는 자성재료의 열손실을 이용함으로써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송선로(3)의 특성 임피던스(W)를 신호의 주파수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회로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노이즈 필터(1)의 반사손실을 저하시킬 수 있고, 공진에 의한 노이즈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장의 접지도체(4)에 의해 자성체 시트(2b,2c)사이에 위치하는 전송선로(3)를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전송선로(3)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특성 임피던스(W)를 일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전송선로(3)의 도중에 노이즈가 반사하는 일이 없을 뿐더러, 전송선로(3)을 통과하는 신호를 접지도체(4)사이에 가둘 수 있다. 이 때문에, 통과대역에서의 신호의 감쇠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전송선로(3)중에 노이즈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호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 시트(2a∼2d)는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자성체 시트(2a∼2d)의 길이방향 양단측에는 전송선로(3)의 양단에 접속된 신호용 전극(5)을 형성하고, 상기 자성체 시트(2a∼2d)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는 접지도체(4)에 접속된 접지용 전극(6)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배선의 도중에 자성체 시트(2a∼2d)의 길이방향 양단측에 위치하는 신호용 전극(5)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 시트(2a∼2d)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 형성된 접지용 전극(6)도 배선의 주변에 형성된 접지단자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이즈필터(1)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자성체 시트(2b,2c)의 비투자율(μr)을 4≤μr≤30의 범위내로 설정함과 아울러, 정수(C)가 3mm이상(C≥3mm)이 되도록, 전송선로의 길이치수(L)를 설정했기 때문에 차단주파수(fc)의 범위를 용이하게 실용적인 주파수대인 20OMHz≤fc≤2GHz의 범위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의 감쇠곡선의 기울기는 전송선로(3)의 길이치수(L)에 비례해서 커짐과 아울러, √(μr-1)에 반비례해서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자성체 시트(2b,2c)의 비투자율(μr)을 4≤μr≤30의 범위로 설정하고, 정수(C)를 3mm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노이즈의 감쇠곡선의 기울기를 예를 들면 20dB/dec.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신호와 노이즈의 감쇠량의 차이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를 감쇠시키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노이즈를 확실하게 감쇠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노이즈필터를 나타내며, 본 실시형태에 따른 노이즈 필터의 특징은, 자성체 시트의 최상층과 최하층이 접지도체가 되도록 상기 자성체 시트사이에 전송선로와 상기 접지도체를 교대로 겹치고, 복수층의 전송선로를 직렬접속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노이즈 필터(11)는, 후술하는 자성체 시트(12a∼12n), 전송선로(13∼18), 접지도체(19), 관통선로(20∼24), 신호용 전극(25), 접지용 전극(2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적층체(12)는 노이즈 필터(11)의 외형을 구성하는 대략 각기둥상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적층체(12)는, 예를 들면 14장의 자성체 시트(12a∼12n)를 겹쳐서 적층한 상태에서 프레스한 후, 이들 자성체 시트(12a∼12n)를 소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성체 시트(12a∼12n)는, 대략 4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페라이트 등의 자성특성을 갖는 세라믹스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전송선로(13∼18)는, 각 조의 자성체 시트(12b,12c)사이, 자성체 시트(12d,12e)사이, 자성체 시트(12f,12g)사이, 자성체 시트(12h,12i)사이, 자성체 시트(12j,12k)사이, 자성체 시트(121,12m)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각 전송선로(13∼18)는, 도전성 금속재료에 의해 꺾임부를 갖는 대략 ㄷ자상 또는 원호상을 이루어 형성되며, 이들이 직렬접속되는 것에 의해 적층체(12)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대략 4각형 또는 원형의 개구를 갖는 프레임형의 코일형상을 이루고 있다.
여기에서, 상층측에 위치하는 자성체 시트(12b,12c)사이의 전송선로(13)는, 그 일단측이 적층체(12)의 길이방향 일단측을 향해서 연장된 전극부(13A)를 이루고, 후술하는 신호용 전극(25)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타단측에는 자성체 시트(12c,12d)를 관통하는 관통구멍(1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성체 시트(12d,12e)사이의 전송선로(14)는, 그 일단측에 관통구멍(13B)을 통과해서 전송선로(13)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14A)가 형성되며, 타단측에는 자성체 시트(12e,12f)를 관통하는 관통구멍(14B)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자성체 시트(12f,12g)사이의 전송선로(15)도, 그 일단측에 접속부(15A)가 형성되며, 타단측에는 관통구멍(15B)이 형성되어 있다. 자성체 시트(12h,12t)사이의 전송선로(16)도, 그 일단측에 접속부(16A)가 형성되며, 타단측에는 관통구멍(6B)이 형성되어 있다. 자성체 시트(12i,12k)사이의 전송선로(17)도, 그 일단측에 접속부(17A)가 형성되며, 타단측에는 관통구멍(17B)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하층측에 위치하는 자성체 시트(12l,12m)사이의 전송선로(18)는, 그 일단측에 관통구멍(17B)을 통과해서 전송선로(17)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18A)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타단측이 적층체(12)의 길이방향 타단측을 향해서 연장된 전극부(18B)를 이루며, 후술하는 신호용 전극(2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송선로(13∼18)의 특성 임피던스는, 제1실시형태에 의한 전송선로(3)와 마찬가지로 전송선로(13∼18)의 폭치수, 이웃하는 접지도체(19)사이의 거리치수, 적층체(12)의 투자율, 유전율에 의해 결정된다. 이 때문에, 전송선로(13∼18)의 폭치수를 거의 동일한 값으로 설정함과 아울러, 자성체 시트(12b∼12m)의 두께치수를 거의 동일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전송선로(13∼18)의 전체길이에 걸쳐 특성 임피던스를 일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접지도체(19)는, 각 층의 전송선로(13∼18)를 사이에 두도록 자성체 시트(12a∼12n)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각 접지도체(19)는, 자성체 시트(12b∼12m)의 최상층과 최하층에 각각 배치됨과 아울러, 자성체 시트(12b∼12m)사이에 전송선로(13∼18)와 교대로 겹쳐져 있다. 그리고, 접지도체(19)는, 도전성 금속재료를 이용해서 대략 4각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되며, 자성체 시트(12b∼12m)를 거의 전면에 걸쳐서 덮고 있다. 또한, 접지도체(19)에는 제1실시형태에 의한 접지도체(4)와 대략 마찬가지로 폭방향 양단측을 향해서 돌출한 전극부(19A)가 형성되며, 상기 전극부(19A)는, 후술하는 접지용 전극(26)에 접속되어 있다.
관통선로(20∼24)는, 전송선로(13∼18)를 직렬접속하는 도체이며, 상기 관통선로(20∼24)는 관통구멍(13B∼17B)안에 은페이스트, 팔라듐 등의 도전성 금속재료를 충전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신호용 전극(25)은, 적층체(12)(자성체 시트(12a∼12n))의 길이방향 양단측에 각각 형성된 전극이며, 상기 신호용 전극(25)은, 제1실시형태에 의한 신호용 전극(5)과 마찬가지로 적층체(12)의 끝면을 덮음과 아울러, 그 표면, 이면 및 측면을 통형상으로 덮고 있다. 그리고, 신호용 전극(25)은, 도전성 금속재료를 도포한 후에, 소성함으로써 형성되며, 전송선로(13,18)의 전극부(13A,18B)에 접속되어 있다.
접지용 전극(26)은, 적층체(12)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서 폭방향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지용 전극(26)은, 대략 ㄷ자형상을 이루며, 적층체(12)의 측면에 두께방향을 따라서 띠형상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그 일부가 적층체(12)의 표면과 이면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접지용 전극(26)은, 예를 들면 적층체(12)의 측면측에 도전성 금속재료를 도포한 후에, 소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접지도체(19)의 전극부(19A)에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1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자성체 시트(12c∼12l)를 관통해서 형성한 관통선로(20∼24)에 의해 6층의 전송선로(13∼18)를 직렬접속했기 때문에, 전송선로(13∼18)의 전체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전송선로(13∼18)을 통과하는 노이즈에 대한 열손실을 증대시켜, 그 감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송선로(13∼18)의 폭치수, 자성체 시트(12b∼12m)의 두께치수를 모두 거의 같은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적층된 각 층의 전송선로(13∼18)에서의 특성 임피던스를 서로 거의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송선로(13∼18)의 도중에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되는 일이 없고, 외부회로와의 사이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인 취할 수 있다.
또한, 전송선로(13∼18)는 대략 ㄷ자형상 또는 원호상을 이루며, 이들 전체에 의해 두께방향에 대하여 코일형상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노이즈 필터(11)의 두께치수는 증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노이즈 필터(11)의 바닥면적을 코일형상을 이루는 전송선로(13∼18)의 개구면적과 같은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좁은 설치장소에 대해서도 노이즈 필터(11)를 배치할 수 있고, 노이즈 필터(11)의 형성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전송선로(3)를 직선상으로 연장시키는 구성으로 했지만, 도16에 나타낸 제1변형예와 같이 적층체(2)의 폭방향으로 왕복해서 구불구불한 지그재그형상의 전송선로(3')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적층체(2)의 길이방향으로 왕복해서 구불구불한 지그재그형상의 전송선로(도시생략)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전송선로(3')를 구불구불한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제1실시형태와 같이 전송선로(3)를 직선상으로 형성한 경우에 비해, 그 길이치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노이즈의 감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전송선로(13∼18)를 대략 ㄷ자형상 또는 원호상으로 형성했지만, 제1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나선형상 등으로 형성해도 좋다.
다음에, 도17 및 도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노이즈 필터를 나타내며, 본 실시형태에 의한 노이즈 필터의 특징은, 자성체 시트사이에는 동일층에 위치해서 제1전송선로와 제2전송선로를 형성하고, 이들 제1,제2전송선로와 접지도체를 자성체 시트사이에 서로 겹치고, 복수층의 제1전송선로를 직렬접속함과 아울러, 이들 제1전송선로와는 독립해서 복수층의 제2전송선로를 직렬접속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노이즈 필터(31)은 후술하는 자성체 시트(32a∼32i), 제1전송선로(33∼36), 제2전송선로(37∼40), 접지도체(41), 관통선로(도시생략), 제1신호용 전극(42), 제2신호용 전극(43), 접지용 전극(4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적층체(32)는 노이즈 필터(31)의 외형을 구성하는 대략 각기둥상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적층체(32)는 예를 들면 10장의 자성체 시트(32a∼32j)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성체 시트(32a∼32j)는, 대략 4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페라이트 등의 자성특성을 갖는 세라믹스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전송선로(33∼36)는 각 조의 자성체 시트(32b,32c)사이, 자성체 시트(32d,32e)사이, 자성체 시트(32f,32g)사이, 자성체 시트(32h,32i)사이에 각각 위치해서 합계 4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전송선로(33∼36)는, 도전성 금속재료에 의해 나선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적층체(32)의 두께방향에 대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송선로(33)의 일단측은, 적층체(32)의 길이방향(도18중의 좌,우방향)일단측을 향해서 연장된 전극부(33A)를 이루고, 전송선로(33)의 타단측은, 나선형상의 중심측에 위치해서 자성체 시트(32c,32d)를 관통하는 관통구멍(3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송선로(34)의 일단측은, 나선형상의 중심측에 위치해서 관통구멍(33B)을 통과해서 전송선로(33)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34A)가 형성되며, 전송선로(34)의 타단측은 소용돌이의 외주측에 위치해서 자성체 시트(32e,32f)를 관통하는 관통구멍(34B)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전송선로(35)의 일단측은, 소용돌이의 외주측에 위치해서 접속부(35A)가 형성되며, 전송선로(35)의 타단측은, 나선형상의 중심측에 위치해서 관통구멍(35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전송선로(36)의 일단측은, 나선형상의 중심측에 위치해서 관통구멍(35B)을 통과해서 전송선로(35)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36A)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송선로(36)의 타단측은 소용돌이의 외주측에 위치해서 적층체(32)의 길이방향 타단측을 향해서 연장된 전극부(36B)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관통구멍(33B,34B,35B)안에는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관통선로(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송선로(33∼36)는 관통선로를 이용해서 서로 직렬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송선로(33∼36)의 폭치수는 거의 같은 값으로 설정됨과 아울러, 자성체 시트(32b∼32i)의 두께치수는 거의 같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송선로(33∼36)의 특성 임피던스는, 그 전체길이에 걸쳐 거의 일정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2전송선로(37∼40)는, 각 조의 자성체 시트(32b,32c)사이, 자성체 시트(32d,32e)사이, 자성체 시트(32f,32g)사이, 자성체 시트(32h,32i)사이에 각각 위치해서 합계 4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전송선로(37∼40)는 제1전송선로(33∼36)와 다른 위치로서 제1전송선로(33∼36)로부터 적층체(32)의 폭방향(도18중 전,후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서 배치되며, 제1전송선로(33∼36)에 대하여 절연되어 있다. 또한, 전송선로(37∼40)는, 도전성 금속재료에 의해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적층체(32)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전송선로(37∼40)는, 제1전송선로(33∼36)와 거의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송선로(37)의 일단측에는 전극부(37A)가 형성되며, 전송선로(37)의 타단측에는 관통구멍(37B)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전송선로(38,39)의 일단측에는 접속부(38A,39A)가 형성되며, 전송선로(38,39)의 타단측에는 관통구멍(38B,39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송선로(40)의 일단측에는 접속부(40A)가 형성되며, 전송선로(40)의 타단측에는 전극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구멍(37B,38B,39B)내에는 도전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관통선로(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송선로(37∼40)는 관통선로에 의해 서로 직렬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송선로(37∼40)의 폭치수는 거의 같은 값으로 설정됨과 아울러, 자성체 시트(32b∼32i)의 두께치수는 거의 같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송선로(37∼40)의 특성 임피던스는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거의 일정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접지도체(41)는, 제1전송선로(33∼36) 및 제2전송선로(37∼40)를 각 층마다 사이에 끼우도록 자성체 시트(32a∼32j)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각 접지도체(41)는 자성체 시트(32b∼32l)의 최상층과 최하층에 각각 배치됨과 아울러, 자성체 시트(32b∼32i)사이에 제1,제2전송선로(33∼36,37∼40)와 교대로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접지도체(41)는 도전성 금속재료를 이용해서 대략 4각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되며, 자성체 시트(32b∼32i)를 대략 전면에 걸쳐 덮고 있다. 그리고, 접지도체(41)에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접지도체(4)와 대략 같은 폭방향 양단측을 향해서 돌출한 전극부(41A)가 형성되며, 상기 전극부(41A)는 후술하는 접지용 전극(44)에 접속되어 있다.
제1신호용 전극(42)은, 적층체(32)(자성체 시트(32a∼32j))의 길이방향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신호용 전극(42)은, 도전성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신호용 배선에 접속되는 전극이 된다. 또한, 한 쪽의 신호용 전극(42)은, 전송선로(33)의 전극부(33A)에 접속됨과 아울러, 다른 쪽의 신호용 전극(42)은, 전송선로(36)의 전극부(36B)에 접속되어 있다.
제2신호용 전극(43)은, 적층체(32)(자성체 시트(32a∼32j))의 길이방향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신호용 전극(43)은, 도전성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제1신호용 전극(42)에 대하여 적층체(32)의 폭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서 형성되며, 제1신호용 전극(42)에 대하여 절연되어 있다. 또한, 한 쪽의 신호용 전극(43)은, 전송선로(37)의 전극부(37A)에 접속됨과 아울러, 다른 쪽의 신호용 전극(43)은 전송선로(40)의 전극부(40B)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한 쪽의 신호용 전극(42,43)은 신호입력용 전극을 이루며, 다른 쪽의 신호용 전극(42,43)은 신호출력용 전극을 이루고 있다. 또, 한 쪽의 신호용 전극(42,43)을 신호출력용으로 이용하고, 신호용 전극(42,43)을 신호입력용으로 이용해도 좋다.
접지용 전극(44), 적층체(32)의 폭방향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지용 전극(44)은, 도전성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접지도체(41)의 전극부(41A)에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1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전송선로(33∼36)를 직렬접속함과 아울러, 제2전송선로(37∼40)를 직렬접속했기 때문에, 제1,제2전송선로(33∼36,37∼40)의 전체길이를 각각 길게 할 수 있고, 노이즈의 감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제2전송선로(33∼36,37∼40)를 각각 독립해서 형성했기 때문에, 단일의 적층체(32)안에 제1전송선로(33∼36)로 이루어지는 로우패스 필터와 제2전송선로(37∼40)로 이루어지는 로우패스 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노이즈 필터(31)는, 전체적으로 2개의 로우패스 필터를 갖는 노이즈 필터 어레이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로우패스 필터를 개별로 형성한 경우에 비해, 접지도체(41), 접지용 전극(44) 등을 공용할 수 있어 노이즈 필터(3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다음에, 도19 내지 도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한 노이즈 필터를 나타내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노이즈 필터의 특징은, 자성체 시트의 최상층과 최하층이 접지도체가 되도록 상기 자성체 시트사이에 전송선로와 상기 접지도체를 교대로 겹치고, 복수층의 전송선로의 일단측은 서로 다른 신호입력용 전극에 접속하고, 복수층의 전송선로의 타단측은 서로 다른 신호출력용 전극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노이즈 필터(51)는 후술하는 자성체 시트(52a∼52j), 제1∼제4의 전송선로(53∼56), 접지도체(57), 제1∼제4신호용 전극(58∼61), 접지용 전극(62)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적층체(52)는, 노이즈 필터(51)의 외형을 구성하는 대략 각기둥상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적층체(32)는, 예를 들면 10장의 자성체 시트(52a∼52j)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성체 시트(52a∼52j)는, 대략 4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페라이트 등의 자성특성을 갖는 세라믹스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전송선로(53)는, 자성체 시트(52b,52c)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송선로(53)는 도전성 금속재료를 이용해서 가는 띠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적층체(52)의 폭방향(도20중 전,후방향)으로 복수회에 걸쳐서 구불구불한 지그재그형상 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전송선로(53)의 양단측에는 적층체(52)의 길이방향(도20중의 좌,우방향)양단측을 향해서 각각 연장된 전극부(53A)가 형성되며, 이들 전극부(53A)는, 예를 들면 적층체(52)의 폭방향 일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전송선로(54)은, 자성체 시트(52d,52e)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송선로(54)는 제1전송선로(53)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금속재료를 이용해서 구불구불한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측에는 적층체(52)의 길이방향 양단측을 향해서 각각 연장한 전극부(5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전극부(54A)는, 제1전극부(53A)와는 다른 위치로서 예를 들면 적층체(52)의 폭방향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전송선로(55)는, 자성체 시트(52f,52g)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송선로(55)는 제1전송선로(53)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금속재료를 이용해서 구불구불한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측에는 적층체(52)의 길이방향 양단측을 향해서 각각 연장된 전극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전극부(55A)는 제1,제2전극부(53A,54A)와는 다른 위치로서 예를 들면 제2전극부(54A)와 적층체(52)의 폭방향 타단의 중간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4전송선로(56)는 자성체 시트(52h,52i)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송선로(56)는 제1전송선로(53)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금속재료를 이용해서 구불구불한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측에는 적층체(52)의 길이방향 양단측을 향해서 각각 연장된 전극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전극부(56A)는, 제1∼제3전극부(53A∼55A)와는 다른 위치로서 예를 들면 적층체(52)의 폭방향 타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접지도체(57)는 제1∼제4전송선로(53∼56)를 사이에 두도록 자성체 시트(52a∼52i)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각 접지도체(57)는 자성체 시트(52b∼52i)의 최상층과 최하층에 각각 배치됨과 아울러, 자성체 시트(52b∼52i)사이에 전송선로(53∼56)와 교대로 겹쳐져 있다. 그리고, 접지도체(57)는, 도전성 금속재료를 이용해서 대략 4각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되며, 자성체 시트(52b∼52i)를 거의 전면에 걸쳐서 덮고 있다. 또한, 접지도체(57)에는 제1실시형태에 의한 접지도체(4)와 거의 마찬가지로 폭방향양단측을 향해서 돌출한 전극부(57A)가 형성되며, 상기 전극부(57A)는 후술하는 접지용 전극(62)에 접속되어 있다.
제1∼제4신호용 전극(58∼61)은, 도전성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제4신호용 전극(58∼61)은 적층체(52)의 길이방향 양단측의 측면에 위치해서 각각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제4신호용 전극(58∼61)은, 적층체(52)의 폭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위치로서 예를 들면 적층체(52)의 폭방향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해서 순차 배치되어, 서로의 사이가 절연되어 있다.
또, 제1신호용 전극(58)은, 제1전송선로(53)의 전극부(53A)에 접속되며, 제2신호용 전극(59)은, 제2전송선로(54)의 전극부(54A)에 접속되며, 제3신호용 전극(60)은 제3전송선로(55)의 전극부(55A)에 접속됨과 아울러, 제4신호용 전극(61)은 제4전송선로(56)의 전극부(56A)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씩 형성된 제1∼제4신호용 전극(58∼61) 중 한 쪽의 신호용 전극(58∼61)은 신호입력용 전극을 이루며, 다른 쪽의 신호용 전극(58∼61)은 신호출력용 전극을 이루고 있다.
접지용 전극(62)은, 적층체(52)의 폭방향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지용 전극(62)은 도전성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접지도체(57)의 전극부(57A)에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1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층의 전송선로(53∼56)는 서로 다른 신호용 전극(58∼61)에 접속하기 때문에, 복수층의 전송선로(53∼56)를 각각 개별로 로우패스 필터로서 작동시킬 수 있고, 전체로서 노이즈 필터 어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형태와 같이 동일층에 복수의 전송선로(33∼36,37∼40)를 형성하고, 이들 복수층의 전송선로(33∼36,37∼40)를 접속한 경우에는, 로우패스 필터의 개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자성체 시트(32a∼32j)의 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노이즈 필터(31)에 다수의 로우패스 필터를 형성한 경우에는 노이즈 필터(31)는 대형화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층의 전송선로(53∼56)는 각 층마다 각각 독립된 로우패스 필터를 구성하기 때문에, 로우패스 필터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서도, 자성체 시트(52a∼52j)의 매수를 증가하면 충분하다. 이 때문에, 노이즈 필터(51)안에 다수의 로우패스 필터를 형성한 경우에서도 노이즈 필터(5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층의 전송선로(33∼36,37∼40)를 관통구멍(33B∼35B,37B∼39B)(관통선로)을 이용해서 접속한 경우에는, 불연속점이 되는 관통구멍(33B∼35B,37B∼39B)근방에서 임피던스의 부정합이 생기기 쉽다. 또한, 관통구멍(33B∼35B,37B∼39B)의 구멍가공이나 관통선로용 도전성 페이스트의 충전 등을 행할 필요가 있으며, 제조공정이 증가하고, 제조비용이 비싸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층의 전송선로(53∼56)는 각 층마다 각각 독립된 로우패스 필터로서 작동하기 때문에, 전송선로(53∼56)의 도중에 임피던스의 부정합이 생기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전송선로(53∼56)의 도중에 노이즈에 반사가 생기는 일이 없고, 노이즈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회로에 대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구멍의 구멍가공 등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3실시형태와 비교해서,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형태와 같이 , 동일층에 복수의 전송선로(33∼36,37∼40)를 형성한 경우에는, 이웃하는 전송선로(33∼36,37∼40)사이에서 크로스 토크가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으며, 신호가 열화하기 쉽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송선로(53∼56)사이에는 접지도체(5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도체(57)에 의해 이웃하는 전송선로(53∼56)사이에서의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고, 신호를 확실하게 전파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층의 전송선로(33∼36,37∼40)를 관통구멍(33B∼35B,37B∼39B)(관통선로)을 이용해서 접속한 경우에는, 관통선로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 접지도체(41)에도 관통구멍(33B∼35B,37B∼39B)을 중심으로 해서 지름100μm정도의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구멍의 주위에는 전송선로를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1장의 자성체 시트에 대하여 전송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면적이 감소하고, 전송선로가 짧아져, 노이즈의 감쇠량이 저하하기 쉽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성체 시트(52a∼52j)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송선로(53∼56)는 자성체 시트(52a∼52i)의 전면에 걸쳐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송선로(53∼56)의 길이치수를 길게 할 수 있고, 노이즈의 감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제3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층의 전송선로(33∼36,37∼40)를 적층체(32)의 두께방향으로 접속한 경우에는, 전송선로(33∼36,37∼40)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입력용 신호용 전극(42)과 출력용 신호용 전극(42)은 서로 대향한 위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음과 아울러, 입력용의 신호용 전극(43)과 출력용의 신호용 전극(43)도 서로 대향한 위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층의 전송선로(53∼56)는 각 층마다 각각 독립하고 있기 때문에, 입력용의 신호용 전극(58∼61)과 출력용의 신호용 전극(58∼61은 서로 대향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입력용의 신호용 전극(58∼61)을 적층체(52)의 폭방향의 일측에서 다른 측을 향해서 순차 배치하는 것에 반해, 입력용의 신호용 전극(58∼61)을 적층체(52)의 폭방향의 다른 측에서 1측을 향해서 순차 배치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입력용의 신호용 전극(58∼61)과 출력용의 신호용 전극(58∼61)은 독립해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층의 전송선로(53∼56)는 각 층마다 각각 독립된 로우패스 필터를 구성하기 때문에, 자성체 시트(52b∼52i)의 두께치수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로우패스 필터의 특성 임피던스를 쉽게 차이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노이즈 필터(51)는 복수종류의 특성 임피던스를 가진 배선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제4실시형태에서는, 전송선로(53∼56)를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22에 나타낸 제2변형예와 같이 양단측이 전극부(71A)로 된 나선형상의 전송선로(71)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차단주파수가 높은 경우와 같이, 전송선로의 길이치수가 짧은 경우에는, 도23에 나타내는 제3변형예와 같이, 직선상의 전송선로(53'∼56')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24에 나타내는 제4변형예와 같이 접지도체(4")의 두께치수(T1)를 전송선로(3")의 두께치수(T2)보다 얇게 형성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노이즈 필터(1)전체의 두께치수를 얇게 할 수 있어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전송선로(3")의 두께치수(T2)를 접지도체(4")의 두께치수(T1)에 비해 두껍게 할 수 있으므로, 전송선로(3")의 직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보다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자성체 시트(2a∼2d,12a∼12n,32a∼32j,52a∼52j)를 페라이트 등의 세라믹스재료에 의해 형성하고, 이들을 소성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성체 시트를 수지재료에 카르보닐 철 등의 자성분말을 혼입해서 형성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자성체 시트를 접착제를 이용해서 접합함으로써, 노이즈 필터를 형성할 수 있고, 소성 등의 제조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경우, 노이즈필터를 차단주파수는 혼입하는 자성분말의 조성 및 수지재료와 자성분말의 비율 및 전송선로의 길이치수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는, 노이즈의 공진을 막을 수 있고, 소형이며 저렴하며, 특히 신호주파수가 1OOMHz를 초과하고 있는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노이즈 필터로서 유용하다.

Claims (12)

  1. 서로 겹쳐지는 2장의 자성체 시트를 갖고, 상기 2장의 자성체 시트사이에 전송선로를 배치하고, 상기 2장의 자성체 시트를 2장의 접지도체에 의해 상, 하에서 끼우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노이즈 필터로서,
    차단주파수가 20OMHz부터 2GHz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자성체 시트의 비투자율을 μr, 상기 전송선로의 길이치수를 L[mm]로 했을 때, 4≤μr≤30의 범위에 있으며, L/√(μr-1)≥3mm로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2. 서로 겹쳐지는 복수장의 자성체 시트를 갖고, 이들 각 자성체 시트의 최상층과 최하층에 접지도체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체 시트사이에 전송선로와 접지도체를 교대로 겹쳐 쌓고, 복수층의 전송선로를 상기 각 자성체 시트를 관통해서 형성된 관통선로에 의해 직렬접속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노이즈 필터로서,
    차단주파수가 20OMHz부터 2GHz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자성체 시트의 비투자율을 μr, 상기 전송선로의 길이치수를 L[mm]로 했을 때, 4≤μr≤30의 범위에 있으며, L/√(μr-1)≥3mm로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로는 꺾임부를 갖는 대략 원호상 또는 ㄷ자상을 이루며, 이들의 전체에 의해 두께방향에 대해서 코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로는 구불구불한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시트는 자성특성을 갖는 세라믹스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시트는 자성분말을 혼입한 수지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시트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 시트의 길이방향 양단측에는 상기 전송선로의 양단에 접속된 신호용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자성체 시트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는 상기 접지도체에 접속된 접지용 전극을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8. 서로 겹쳐지는 복수장의 자성체 시트를 갖고, 이들 각 자성체 시트의 최상층과 최하층에 접지도체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체 시트사이에 전송선로와 접지도체를 교대로 겹쳐 쌓고, 복수층의 전송선로의 일단측은 서로 다른 신호입력용 전극에 접속하고, 복수층의 전송선로의 타단측은 서로 다른 신호출력용 전극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노이즈 필터로서,
    차단주파수가 20OMHz부터 2GHz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자성체 시트의 비투자율을 μr, 상기 전송선로의 길이치수를 L[mm]로 했을 때, 4≤μr≤30의 범위에 있으며, L/√(μr-1)≥3mm로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로는 구불구불한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로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11. 삭제
  12. 제1항, 제2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도체의 두께치수는 상기 전송선로의 두께치수보다 얇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필터.
KR10-2003-7002282A 2001-06-21 2002-06-12 노이즈 필터 KR100516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88483 2001-06-21
JPJP-P-2001-00188483 2001-06-21
JPJP-P-2002-00137197 2002-05-13
JP2002137197 2002-05-13
PCT/JP2002/005864 WO2003001665A1 (fr) 2001-06-21 2002-06-12 Filtre antiparasi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881A KR20030024881A (ko) 2003-03-26
KR100516539B1 true KR100516539B1 (ko) 2005-09-22

Family

ID=2661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282A KR100516539B1 (ko) 2001-06-21 2002-06-12 노이즈 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91800B2 (ko)
KR (1) KR100516539B1 (ko)
CN (1) CN1220328C (ko)
GB (1) GB2383198B (ko)
WO (1) WO20030016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6784A (ja) * 2003-01-10 2004-09-24 Murata Mfg Co Ltd ノイズフィルタ
JP3942565B2 (ja) * 2003-08-29 2007-07-11 Tdk株式会社 ノイズフィルタ
TWI281781B (en) * 2004-08-25 2007-05-21 Murata Manufacturing Co Noise filter and noise filter array
JP2007129565A (ja) * 2005-11-04 2007-05-24 Alps Electric Co Ltd ローパスフィルタ
US20120229986A1 (en) * 2011-03-09 2012-09-13 Muzahid Bin Huda Power conversion system using ferromagnetic enclosure with embedded winding to serve as magnetic component
KR101554333B1 (ko) * 2014-03-28 2015-09-21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회로 보호 소자
EP3214629B1 (en) * 2014-10-30 2021-05-1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Laminated capacitor and in-vehicle control device
KR101617003B1 (ko) * 2016-01-04 2016-04-29 씨유테크 주식회사 노이즈 필터용 비드
KR20170104366A (ko) * 2016-03-07 2017-09-15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회로 보호 소자
TWI630894B (zh) * 2016-04-22 2018-08-01 三菱化學可菱水股份有限公司 淋浴頭
US10763031B2 (en) 2016-08-30 2020-09-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ductor
KR102122026B1 (ko) * 2017-11-30 2020-06-11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적층형 필터
KR20230155855A (ko) * 2022-05-04 2023-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적층 구조를 갖는 필터
KR20240043296A (ko) * 2022-09-27 2024-04-03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119A (en) * 1892-07-05 Copying machine
US745477A (en) * 1903-07-03 1903-12-01 George C Bartram Bottle-stopper.
GB2133843B (en) 1983-01-19 1986-05-08 Automotive Products Plc Friction clutch also driving a secondary output
JPS59137622U (ja) * 1983-03-03 1984-09-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ノイズフイルタ
JPS6424975A (en) 1987-07-20 1989-01-26 Nippon Kokan Kk Manufacture of ball made of steel pipe having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JPS6424975U (ko) 1987-08-06 1989-02-10
JPH0693589B2 (ja) * 1989-03-23 1994-11-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Lcフィルター
JP2663300B2 (ja) * 1989-07-07 1997-10-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ノイズフイルタ
EP0428907B1 (en) * 1989-10-26 1995-08-16 Takeshi Ikeda LC Noise filter
JPH0478119A (ja) 1990-07-20 1992-03-12 Mitsubishi Materials Corp 積層型貫通コンデンサ
DE4203961C2 (de) * 1991-02-15 1995-05-24 Murata Manufacturing Co Bandpaßfilter
JPH0580010A (ja) 1991-09-25 1993-03-30 Kubota Corp 気体中の炭酸ガス濃度測定方法
JP3042800B2 (ja) * 1991-10-19 2000-05-22 三信工業株式会社 船舶推進機
JPH05275958A (ja) * 1992-03-25 1993-10-22 Murata Mfg Co Ltd ノイズフィルタ
JPH0580010U (ja) 1992-03-31 1993-10-29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ストリップライン
JP2976696B2 (ja) 1992-04-16 1999-11-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用ローパスフィルタ
DE69320521T2 (de) 1992-04-16 1999-02-25 Murata Manufacturing Co Tiefpass-Hochfrequenzfilter
JP3075003B2 (ja) * 1993-03-19 2000-08-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ノイズフィルタ
KR970008188B1 (ko) * 1993-04-08 1997-05-21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플래시메모리의 제어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정보처리장치
JPH0745477A (ja) 1993-07-26 1995-02-14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93955B (ko) * 1994-02-09 1996-12-21 Mitsubishi Materials Corp
JPH07263280A (ja) * 1994-03-25 1995-10-13 Mitsubishi Materials Corp チップ型lc複合部品
US5594397A (en) * 1994-09-02 1997-01-14 Tdk Corporation Electronic filtering part using a material with microwave absorbing properties
JPH09214273A (ja) 1995-11-28 1997-08-15 Hitachi Metals Ltd 積層型高周波ローパスフィルタ
US6133809A (en) * 1996-04-22 2000-10-1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LC filter with a parallel ground electrode
DE19724473A1 (de) 1996-06-10 1997-12-11 Fuji Electric Co Ltd Entstörfilteranordnung für Stromrichter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H10322156A (ja) * 1996-06-10 1998-12-04 Fuji Electric Co Ltd 電力変換器用ノイズフィルタ
JPH1032429A (ja) * 1996-07-18 1998-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圧制御共振器およびその調整方法
JPH10154632A (ja) 1996-11-22 1998-06-09 Murata Mfg Co Ltd 3端子コンデンサ
JP3481069B2 (ja) * 1997-02-26 2003-12-22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トリミングコンデンサ付積層回路
JPH11186040A (ja) 1997-12-22 1999-07-09 Tdk Corp 積層型ノイズフィルタ
JP2976960B2 (ja) 1998-01-28 1999-11-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3端子コンデンサアレイ
JPH11251857A (ja) 1998-03-02 1999-09-17 Tdk Corp 積層型フィルタ
JP2000124068A (ja) 1998-10-16 2000-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型ノイズフィルタ
JP2000323901A (ja) * 1999-05-07 2000-11-24 Murata Mfg Co Ltd 積層型lcフィルタ
JP2000348944A (ja) 1999-06-09 2000-12-15 Kankyo Denji Gijutsu Kenkyusho:Kk 貫通型emi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アレイ
JP2000353619A (ja) 1999-06-10 2000-12-19 Murata Mfg Co Ltd インダクタアレイ
JP4993800B2 (ja) 1999-06-15 2012-08-08 キャラハン セルラー エルエルシー 電子部品
JP2001035249A (ja) * 1999-07-23 2001-02-09 Philips Japan Ltd 導電性部材
JP2001111302A (ja) 1999-10-12 2001-04-20 Murata Mfg Co Ltd ローパス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JP2001160510A (ja) 1999-12-01 2001-06-12 Tdk Corp コイル装置
JP2002252534A (ja) * 2001-02-26 2002-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91800B2 (en) 2006-08-15
GB2383198B (en) 2005-05-25
KR20030024881A (ko) 2003-03-26
US20040027770A1 (en) 2004-02-12
WO2003001665A1 (fr) 2003-01-03
CN1465131A (zh) 2003-12-31
GB0303851D0 (en) 2003-03-26
GB2383198A (en) 2003-06-18
CN1220328C (zh)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539B1 (ko) 노이즈 필터
US6853268B2 (en) Noise filter
EP1104098A2 (en) Multi-layered LC composite component
EP0836277A2 (en) LC composite part
US6359531B1 (en) Multilayer filter with electrode patterns connected on different side surfaces to side electrodes and input/output electrodes
EP1098386B1 (en) Nonreciprocal device with lumped elements
JP2004266784A (ja) ノイズフィルタ
JPH10290108A (ja) 方向性結合器
US6806794B2 (en) Noise filter
US6911890B2 (en) High frequency laminated device
US6222430B1 (en) Dielectric filter
JP3067612B2 (ja) 積層型バンドパスフィルタ
US6335663B1 (en) Multiplexer/branching filter
JP3664358B2 (ja) 方向性結合器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
JP6315347B2 (ja) 方向性結合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モジュール
JP2004048090A (ja) ノイズフィルタ
EP0903800A2 (en) High-frequency component
JP4182159B2 (ja) 電子部品
JP3644619B2 (ja) 高周波伝送線路を有した電子部品
JP3464820B2 (ja) 誘電体積層共振器および誘電体フィルタ
CN112997356B (zh) 滤波器
JP3835472B2 (ja) 高周波伝送線路部品
JP3676885B2 (ja) チップ型積層フィルタ
JP2004207902A (ja) ノイズフィルタ
JPH11127005A (ja) 積層型方向性結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