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496B1 - 과급유 방지 밸브 - Google Patents

과급유 방지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496B1
KR100513496B1 KR10-2003-0000813A KR20030000813A KR100513496B1 KR 100513496 B1 KR100513496 B1 KR 100513496B1 KR 20030000813 A KR20030000813 A KR 20030000813A KR 100513496 B1 KR100513496 B1 KR 100513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lower chamber
chamber
float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0179A (ko
Inventor
구리하라가즈마사
고바야시야스토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3008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61Venting means working at specific times
    • B60K2015/03576Venting during filling the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753Control by change of position or inertia of system
    • Y10T137/0874Vent opening or closing on tipping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84Discriminating outlet for gas
    • Y10T137/309Fluid sensing valve
    • Y10T137/3099Float responsive

Abstract

(과제) 만탱크에 도달하는 분량의 급유가 이루어진 단계에서 정확하게 급유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한다.
(해결 수단) 캐니스터로의 통기로(P)에 연통시킨 상부공간(1)과, 연료탱크(T) 내에 배치되는 하부실(2)과, 상부공간(1)과 하부실(2)을 연통시키는 연통부(3)와, 상기 하부실(2)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하부실(2)측에서 연통부(3)를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2)에 수납된 플로트체(4)를 가지는 밸브이다.
하부실(2)은, 그 바닥부(2b)에 하부실(2)측으로부터의 연료의 유출만을 허용하는 원웨이 밸브(5)를 가짐과 아울러, 그 측부(2a)에만 연료의 유입부(2c)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유입부(2c)에 도달한 후의 하부실(2)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연료탱크(T)의 내압을 상승시켜, 급유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과급유 방지 밸브{FUEL EXCESSIVE FEED PREVENTING VALVE}
본 발명은, 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일정 레벨에 도달한 단계에서, 캐니스터의 통기로로의 통기를 차단 또는 감소시켜 연료탱크의 내압을 상승시키고, 이 내압의 상승에 의해서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상승시켜 급유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하며, 이로써 과급유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밸브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연료탱크와 캐니스터로의 통기로의 연통부를, 연료탱크 내에 있어서 주회(周回)형상으로 측방에서 덮는 동시에, 하측에 있어서 개방된 스커트부를 구비하며, 이 스커트부의 개방된 하단에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도달한 단계에서 연료탱크의 내압을 상승시키고, 이 내압의 상승에 의해서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상승시켜 급유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하며, 이로써 과급유를 방지하는 밸브가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표특허공보 평10-500088호 참조).
그러나, 연료탱크로의 급유는 상기 급유노즐에 의해서 급속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급유시에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이 흔들리거나 물결치게 되어 일정하지 않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은 스커트부에 의해서 만탱크를 검지하게 하도록 한 경우, 이러한 액면의 흔들림 등에 의해서, 실제로는 만탱크에 도달하지 않는 분량의 급유밖에 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스커트부의 개방된 하단이 흔들린 액면에 접함으로써 급유노즐이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해버릴 가능성이 적지않게 예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급유에 의해서, 급유를 하는 동안 상기 통기부를 큰 유량의 연료탱크 내의 기체가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스커트부에 의해서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한 경우, 상기 스커트부의 개방된 하단이 상기 액면에 접하기 직전에 이와 같이 통과하는 기체에 의해서 비말화(飛沫化) 된 연료가 함께 캐니스터측으로 보내져, 캐니스터의 수명저하를 적지않게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밸브에 있어서, 만탱크에 도달하는 분량의 급유가 이루어진 단계에서 정확하게 급유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의 하나로 하고 있다.
또 연료의 비말이 캐니스터로의 통기로에 들어가는 것을 가급적 방지하는 것을 또한 주된 목적의 하나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니스터로의 통기로에 연통시킨 상부공간과,연료탱크 내에 배치되는 하부실과, 상부공간과 하부실을 연통시키는 연통부와,상기 하부실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하부실측에서 상기 연통부를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에 수납된 플로트체를 가지는 밸브로서, 하부실은, 그 바닥부에, 바닥부 오리피스 또는 하부실측으로부터의 연료의 유출만을 허용하는 원웨이 밸브를 가짐과 아울러,그 측부에만 연료의 주유입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주유입부에 도달한 후의 하부실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연료탱크의 내압을 상승시켜, 급유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하고,연통부가, 제 1 연통구멍과, 이 제 1 연통구멍보다 작은 제 2 연통구멍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하부실이, 제 1 연통구멍에 의해서 상부공간에 연통된 제 1 실과, 제 2 연통구멍에 의해서 상부공간에 연통된 제 2 실로 구분되어 있으며, 주유입부가, 제 1 실의 측부에 형성된 제 1 유입구와, 제 2 실의 측부에 형성된 제 2 유입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제 1 실의 측부에 형성된 제 1 유입구의 하측 가장자리보다, 제 2 실의 측부에 형성된 제 2 유입구의 하측 가장자리가 상측에 위치되어 있으며,플로트체가, 제 1 실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제 1 실 측에서 제 1 연통구멍을 폐색하도록 상기 제 1 실에 수납된 제 1 플로트와, 제 2 실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제 2 실측에서 제 2 연통구멍을 폐색하도록 상기 제 2 실에 수납된 제 2 플로트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상기 하부실의 측부에 형성된 주유입부에 도달한 경우에야 비로소 이 하부실 내에 연료를 받아들이고, 이로써 연료탱크의 내압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급유시에 발생하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의 흔들림 등에 의해서 실제로는 만탱크에 도달하지 않는 분량의 급유밖에 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하부실 내로 이러한 흔들림 등에 의해서 연료가 들어가, 캐니스터의 통기로로의 통기를 차단 또는 감소시켜 연료탱크의 내압을 상승시키고, 이 내압의 상승에 의해서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상승시켜서 급유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해 버리도록 하는 사태가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 주유입부는 하부실의 측부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트체가 연통부를 막기까지의 동안, 연료의 비말이 연통부에서 상부공간측으로, 즉, 캐니스터의 통기로측으로 들어가 버리는 사태를 가급적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탱크에 도달하는 분량의 급유가 이루어진 단계에서는, 최종적으로는, 상기 플로트체에 의해서 상기 연통부를 폐색하여, 이 단계에서의 급유노즐에 의한 급유를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이하, 이 만탱크에 도달하는 분량의 급유가 이루어진 계단계에서의 상기 주유입부로의 연료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제 1 액면레벨이라 칭한다).
또한, 연료가 소비되어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내려간 경우에는, 상기 바닥부 오리피스 또는 원웨이 밸브에 의해서 하부실 내의 연료를 그 바닥부로부터 유출시켜서 플로트체에 의한 상기 연통부의 폐색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하부실의 바닥부에 바닥부 오리피스를 설치한 경우, 이 하부실의 바닥부에 연료의 액면레벨이 도달하여, 상기 제 1 액면레벨이 되기 전에 하부실로 연료가 유입되게 되지만, 이 바닥부 오리피스로부터의 하부실로의 연료의 유입은 조금씩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에도 연료탱크의 내압은, 상기 주유입부로의 연료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액면레벨에 도달한 단계에서 상승된다. 즉, 상기 바닥부 오리피스는 상기 원웨이 밸브과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이 제 1 유입구에 도달하는 제 1 액면레벨이 되면 제 1 실로 연료가 들어가지만, 이 단계에서는 제 2 유입구로부터 제 2 실로는 연료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제 1 플로트만이 상승하여 제 1 연통구멍이 폐색된다. 이것에 의해서 연료탱크와 통기로의 연통부분이, 제 2 실의 제 2 연통구멍만이 되기 때문에, 연료탱크 내의 내압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상승하여, 연료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검지에 의해서 연료노즐에 의한 급유가 일단 정지되면, 제 2 실의 제 2 연통구멍을 통한 통기에 의해서 연료탱크의 내압은 저하하고, 이에 따라,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하강하여, 연료노즐측의 센서의 만탱크 검지가 해제된다.
여기서 추가급유를 하고, 이 추가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이 제 2 유입구에 도달하는 제 2 액면레벨(상기 제 1 액면레벨보다 높은 액면레벨로서 추가급유의 허용한계가 되는 액면레벨, 이하 동일)이 되면 제 2 실로 연료가 들어가고, 제 2 플로트가 상승하여 제 2 연통구멍이 폐색된다. 이것에 의해서 연료탱크와 통기로를 연통부분이 없어지므로, 연료탱크 내의 내압은 재상승하고, 이로써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다시 상승하여, 연료노즐측의 센서가 다시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과급유 방지밸브에 있어서의 연통부가, 제 1 연통구멍과, 이 제 1 연통구멍보다 작은 제 2 연통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주유입부가, 하부실의 측부에 형성된 유입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유입구의 하측 가장자리보다 상측에 측부 오리피스가 형성되고 있으며,
플로트체가, 하부실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하부실측에서 제 1 연통구멍을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에 수납된 제 1 플로트와,
하부실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하부실측에서 제 2 연통구멍을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에 수납된 제 2 플로트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 2 플로트는, 제 1 플로트에 의해서 제 1 연통구멍이 폐색된 후의 추가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측부 오리피스에 도달한 후에 제 2 연통구멍을 폐색하는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이 유입구에 도달하는 제 1 액면레벨이 되면 하부실로 연료가 들어가지만, 이 단계에서는 제 2 플로트는 상승하지 않고 제 1 플로트만이 상승하기 때문에, 이 제 1 플로트에 의해서 제 1 연통구멍이 폐색된다. 이것에 의해서 연료탱크와 통기로의 연통부분이, 제 2 연통구멍만이 되기 때문에, 연료탱크 내의 내압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상승하여, 연료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검지에 의해서 연료노즐에 의한 급유가 일단 정지되면, 측부 오리피스를 통한 통기에 의해서 연료탱크의 내압은 저하하고, 이에 따라,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하강하여, 연료노즐측의 센서의 만탱크 검지가 해제된다.
여기서 추가급유를 하여, 이 추가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이 측부 오리피스에 도달하는 제 2 액면레벨이 되면 연료탱크의 내압이 상승하고, 제 2 플로트를 상승시키는 레벨까지 하부실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높아지며 이로써 제 2 연통구멍이 폐색된다. 이것에 의해서 연료탱크와 통기로의 연통부분이 없어진다.
즉, 본 예에서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이 측부 오리피스에 도달하는 제 2 액면레벨이 된 단계에서 연료탱크 내의 내압을 다시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다시 상승시켜, 연료노즐측의 센서가 다시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과급유 방지밸브에 있어서의 하부실이, 하단을 개방시킨 케이싱체와 상면을 개방시킨 컵체를, 이 케이싱체의 하단 가장자리가 컵체의 입상부(立上部)의 상단 가장자리와 같은 레벨에 위치되거나, 또는, 케이싱체의 하단 가장자리가 컵체의 입상부의 상단 가장자리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편성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체의 입상부의 상단 가장자리와 케이싱체의 하단 가장자리와의 사이가 주유입부가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주유입부보다 상측에 측부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이 주유입부에 도달하는 제 1 액면레벨이 되면 하부실로 연료가 들어감과 아울러, 이 연료에 의해 상기 주유입부가 막히고, 하부실은 측부 오리피스에 의해서만 연료탱크 내에 있어서의 연료의 액면보다 상측의 공간에 연통된다. 이 때문에, 연료탱크의 내압이 상승하고, 하부실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높아져서 플로트체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높아져, 연료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플로트체에 의해서 연통구멍이 폐색된다.
상기 검지에 의해서 연료노즐에 의한 급유가 일단 정지되면, 측부 오리피스를 통해서 연료탱크 내의 기체가 하부실 내로 서서히 들어가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하부실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은 서서히 내려가고, 플로트체가 하강하여 연통구멍이 개방됨과 아울러, 이 하부실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측부 오리피스보다 하측이 된 단계에서의 통기에 의해서 연료탱크의 내압은 저하하며, 이에 따라,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하강하여, 연료노즐측의 센서의 만탱크 검지가 해제된다.
여기서 추가급유를 하고, 이 추가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이 측부 오리피스에 도달하는 제 2 액면레벨이 되면 연료탱크의 내압이 상승하고, 플로트체를 상승시키는 레벨까지 하부실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다시 높아지며 이로써 연통구멍이 폐색된다. 이것에 의해서 연료탱크와 통기로의 연통부분이 없어진다.
즉, 본 예에서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이 측부 오리피스에 도달하는 제 2 액면레벨이 된 단계에서 연료탱크 내의 내압을 다시 상승시킬 수 있고, 이로써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다시 상승시켜, 연료노즐측의 센서가 다시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는, 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일정 레벨(이하, 제 1 액면레벨(Ll)이라 함)에 도달한 단계에서, 캐니스터의 통기로(P)로의 통기를 차단 또는 감소시켜 연료탱크(T)의 내압을 상승시키고, 이 내압의 상승에 의해서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상승시켜 급유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하며, 이로써 과급유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술하는 각 실시예에 관한 밸브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단 급유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하여 이 급유노즐에 의한 자동급유를 정지시킨 후, 연료탱크(T)의 내압의 저하에 따라서 허용되는 추가급유(일반적으로 급유노즐을 수동조작하여 이루어짐)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상기 제 1 액면레벨(L1)보다 높은 일정 레벨(이하, 제 2 액면레벨(L2)이라 함)에 도달한 단계에서, 다시 캐니스터의 통기로(P)로의 통기를 차단시켜 연료탱크(T)의 내압을 상승시키며, 이 내압의 상승에 의해서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다시 상승시켜서 급유노즐측의 센서가 다시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하며, 이로써 이 추가급유에 있어서의 과급유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밸브는, 캐니스터로의 통기로(P)에 연통된 상부공간(1)과, 연료탱크(T) 내에 배치되는 하부실(2)과, 이 상부공간(1)과 하부실(2)을 연통시키는 연통부(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밸브는, 전체가 연료탱크(T) 내에 삽입된 상태로, 혹은 하부실(2)측이 연료탱크(T) 내에 삽입된 상태로, 연료탱크(T)에 부착된다.
후술하는 각 실시예에 관한 밸브는, 그 상부에 외향(外向)의 플랜지(6)를 가지고 있으며, 연료탱크(T)에 관통상태로 형성된 부착구멍(Ta)에 대해서, 상기 플랜지(6)보다 하측의 부분을 삽입하고, 또한 연료탱크(T)의 외면부에 상기 플랜지(6)의 바깥둘레부(6a)를 용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연료탱크(T)에 부착되도록 하고 있다. 즉, 이들 각 실시예에 관한 밸브는, 하부실(2)측을 연료탱크(T)에 삽입시킨 상태로 연료탱크(T)에 부착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밸브는, 상기 하부실(2)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하부실(2)측에서 상기 연통부(3)를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2)에 수납된 플로트체(4)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하부실(2)은, 그 바닥부(2b)에 하부실(2)측으로부터의 연료의 유출만을 허용하는 원웨이 밸브(5)를 가짐과 아울러, 그 측부(2a)에만 연료의 주유입부(2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밸브는,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주유입부(2c)에 도달한 후의 하부실(2)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연료탱크(T)의 내압을 상승시켜, 급유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에 있어서는,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상기 하부실(2)의 측부(2a)에 형성된 주유입부(2c)에 도달한 경우에야 비로소, 이 하부실(2) 내로 연료를 받아들이고, 이것에 의해서 연료탱크(T)의 내압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급유시에 생기는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의 흔들림 등에 의해서 실제로는 상기 제 1 액면레벨(L1)에 도달하지 않는 분량의 급유밖에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하부실(2) 내에 이러한 흔들림 등에 의해서 연료가 들어가, 캐니스터의 통기로(P)로의 통기를 차단 또는 감소시켜서 연료탱크(T)의 내압을 상승시키고, 이 내압의 상승에 의해서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상승시켜 급유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해 버리는 사태가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주유입부(2c)는 하부실(2)의 측부(2a)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트체(4)가 연통부(3)를 막기까지의 동안에, 연료의 비말이 연통부(3)로부터 상부공간(1)측으로 들어가 버리는 사태를 가급적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액면레벨(L1)에 도달하는 분량의 급유가 이루어진 단계에서는, 최종적으로는, 상기 플로트체(4)에 의해서 상기 연통부(3)를 폐색하여, 이 단계에서의 급유노즐에 의한 급유를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연료가 소비되어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내려간 경우에는, 상기 원웨이 밸브(5)에 의해서 하부실(2) 내의 연료를 그 바닥부(2b)로부터 유출시켜, 플로트체(4)에 의한 상기 연통부(3)의 폐색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후술할 각 실시예에 관한 밸브에 있어서는, 상기 원웨이 밸브(5)는, 하부실(2)의 바닥부(2b)에 관통상태로 형성된 유출구멍(2d)을 하측에서 막는 크기를 구비하는 밸브판체(5a)와, 이 밸브판체(5a)의 측부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틀체(5b)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판체(5a)는, 그 상승위치에서 상기 유출구멍(2d)을 하측에서 막는다.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밸브판체(5a)의 하면에 도달하면 밸브판체(5a)는 밀어올려져 상승하여 유출구멍(2d)을 막는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제 1 액면레벨(L1)에 도달하는 동안의 사이에 하부실(2) 내로 그 바닥부(2b)로부터 연료가 들어가는 일은 없다. 한편,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저하되면, 밸브판체(5a)는 하부실(2) 내의 연료에 의해서 하측으로 눌러내려져 하강하여 유출구멍(2d)이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내려간 경우에 하부실(2) 내의 연료를 그 바닥부(2b)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각 실시예에 관한 밸브는, 상부공간(1)에 연통되는 횡방향의 관부(7)를 그 상부에 가지고 있으며, 이 관부(7)에 캐니스터로의 통기로(P)를 형성하는 튜브(Pa) 등을 끼워붙여서, 이 상부공간(1)을 상기 통기로(P)에 연통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은,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밸브의 구체적인 적용예의 하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밸브에 연료가 도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 2는 연료가 제 1 액면레벨(L1)에 도달된 상태를, 도 3은 연료가 제 2 액면레벨(L2)에 도달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1) 상기 밸브에 있어서는, 연통부(3)는 제 1 연통구멍(109)과, 이 제 1 연통구멍(109)보다 작은 제 2 연통구멍(11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2) 또한 상기 밸브에서 하부실(2)은, 제 1 연통구멍(109)에 의해서 상부공간(1)에 연통된 제 1 실(100)과, 제 2 연통구멍(110)에 의해서 상부공간(1)에 연통된 제 2 실(101)로 구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실(2)은 통형상체(10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통형상체(102)의 상단은 상부 칸막이판(103)을 통해서 상부공간(1)을 구성하는 상부 구성체(1')에 대체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부 칸막이판(103)에 상기 제 1 연통구멍(109)과 제 2 연통구멍(110)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체(102)의 하단은 바닥판(104)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닥판(104)에 상기 원웨이 밸브(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실(2) 내에는, 상기 상부 칸막이판(103)과 바닥판(104)의 사이에 이르는 세로 칸막이판(10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세로 칸막이판(105)에 의해서 제 1 실(100)과 제 2 실(101)은 액밀(液密)상태로 칸막이되어 있다.
(3) 또한 상기 밸브에 있어서는, 주유입부(2c)는, 제 1 실(100)의 측부에 형성된 제 1 유입구(106)와, 제 2 실(101)의 측부에 형성된 제 2 유입구(107)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아울러, 제 1 실(100)의 측부에 형성된 제 1 유입구(106)의 하측 가장자리(106a)보다, 제 2 실(101)의 측부에 형성된 제 2 유입구(107)의 하측 가장자리(107a)가 상측에 위치되어 있다.
도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유입구(107)의 상측 가장자리의 상측이며, 또한 상기 상부 칸막이판(103)의 형성위치보다 하측이 되는 상기 통형상체(102)의 측부에, 제 1 실(100)측 및 제 2 실(101)측의 쌍방에 있어서 통기구멍(108)이 형성되어 있다.
(4) 또한 상기 밸브에 있어서는, 플로트체(4)는, 제 1 실(100)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제 1 실(100)측에서 제 1 연통구멍(109)을 폐색하도록 상기 제 1 실(100)에 수납된 제 1 플로트(111)와, 제 2 실(101)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제 2 실(101)측에서 제 2 연통구멍(110)을 폐색하도록 상기 제 2 실(101)에 수납된 제 2 플로트(11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제 1 연통구멍(109)쪽이 제 2 연통구멍(110)보다 크기 때문에, 제 1 플로트(111)는 제 2 플로트(112)보다 굵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플로트(111) 및 제 2 플로트(112)의 쌍방 모두, 그 상단에 형성된 밸브체부(111a, 112a)에 의해서, 제 1 플로트(111)에 있어서는 제 1 연통구멍(109)을, 제 2 플로트(112)에 있어서는 제 2 연통구멍(110)을, 그 상승위치에 있어서 하측에서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플로트(111) 및 제 2 플로트(112)의 쌍방 모두, 그 하부측과 하부실(2)의 바닥판(104)과의 사이에 설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113)에 의해서 하강위치에서도 상향으로의 일정 탄지력을 항시 작용받고 있다.
또한 제 1 플로트(111) 및 제 2 플로트(112)의 쌍방 모두, 제 1 플로트(111)에 있어서는 제 1 실(100)의 내면과의 사이에 항시 틈을 만드는 굵기를 갖도록, 제 2 플로트(112)에 있어서는 제 2 실(101)의 내면과의 사이에 항시 틈을 만드는 굵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하강위치에 있어서는, 제 1 유입구(106), 제 2 유입구(107) 및 상기 통기구멍(108)을 통해서 하부실(2) 내로 들어가는 연료탱크(T)내의 기체가, 제 1 연통구멍(109), 제 2 연통구멍(110)을 통해서 상부공간(1)으로 빠져나가게 되어 있다.
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이 제 1 유입구(106)에 도달하는 제 1 액면레벨(Ll)이 되면 제 1 실(100)로 연료가 들어지만, 이 단계에서는 제 2 유입구(107)로부터 제 2 실(101)로는 연료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제 1 플로트(111)만이 상승하여 제 1 연통구멍(109)이 폐색된다(도 2). 이것에 의해서 연료탱크(T)와 통기로(P)의 연통부분이, 제 2 실(101)의 제 2 연통구멍(110)만이 되기 때문에, 연료탱크(T) 내의 내압은 상승하며, 이에 따라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상승하여 연료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검지에 의해서 연료노즐에 의한 급유가 일단 정지되면, 제 2 실(101)의 제 2 연통구멍(110)을 통한 통기에 의해서 연료탱크(T)의 내압은 저하하고, 이에 따라,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하강하여, 연료노즐측의 센서에 의한 만탱크 검지가 해제된다.
여기서 추가급유를 하고, 이 추가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이 제 2 유입구(107)에 도달하는 제 2 액면레벨(L2)이 되면 제 2 실(101)에 연료가 들어가고, 제 2 플로트(112)가 상승하여 제 2 연통구멍(110)이 폐색된다(도 3). 이것에 의해서 연료탱크(T)와 통기로(P)의 연통부분이 없어지게 되기 때문에, 연료탱크(T) 내의 내압은 다시 상승하며, 이에 따라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다시 상승하여, 연료노즐측의 센서가 다시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연료의 소비에 의해서 저하되면, 원웨이 밸브(5)에 의해서 하부실(2) 내의 연료가 유출되고, 이것에 의해서 제 1 플로트(111) 및 제 2 플로트(112)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여, 제 1 연통구멍(109), 제 2 연통구멍(110) 모두 개방된다. 또한, 상부공간(1)측이 하부실(2), 즉, 연료탱크(T) 내보다 저압이 되어 있고, 이 때문에 이와 같이 하부실(2) 내의 연료가 유출된 경우에도 이들 플로트(111, 112)의 밸브체부(111a, 112a)가 이들 연 통구멍(109, 110)에 붙는 듯한 힘이 작용되어 있더라도, 제 2 연통구멍(110)은 제 1 연통구멍(109)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제 2 연통구멍(110)을 막는 제 2 플로트(112)의 밸브체부(112a)에 작용되는 이와 같은 힘은 제 1 연통구멍(109)을 막는 제 1 플로트(111)의 밸브체부(111a)에 작용되는 이와 같은 힘보다 작기 때문에, 제 2 플로트(112)가 우선 하강하고, 이것에 의한 연료탱크(T)의 내압의 저하에 의해서 제 1 플로트(111)도 지장없이 하강한다. 즉, 본 예에서는, 제 1 플로트(111)에 의해서 폐색되는 제 1 연통구멍(109)을 연료의 효율적인 급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지름으로 구성하면서도, 연료의 액면레벨의 저하시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플로트(111)의 강하를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유입구(106) 및 제 2 유입구(107)의 형성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검지해야할 제 1 액면레벨(L1) 및 제 2 액면레벨(L2)을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제 2 실시예)
도 4 내지 도 6은,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밸브의 구체적인 적용예의 다른 하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밸브에 연료가 도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 5는 연료가 제 1 액면레벨(L1)에 도달된 상태를, 도 6은 연료가 제 2 액면레벨(L2)에 도달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1) 상기 밸브에 있어서는, 연통부(3)는, 제 1 연통구멍(210)과, 이 제 1 연통구멍(210)보다 작은 제 2 연통구멍(211)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2) 또한 이러한 밸브에 있어서는, 주유입부(2c)는, 하부실(2)의 측부(2a)에 형성된 유입구(20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3) 또한 하부실(2)의 측부(2a)에는 측부 오리피스(201)가 형성하어 있음과 아울러, 유입구(200)의 하측 가장자리(200a)보다, 이 측부 오리피스(201)가 상측에 위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실(2)은 통형상체(20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통형상체(202)의 상단은 상부 칸막이판(203)을 통해서 상부공간(1)을 구성하는 상부 구성체(1')에 대체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부 칸막이판(203)에 상기 제 1 연통구멍(210)과 제 2 연통구멍(211)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체(202)의 하단은 바닥판(204)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닥판(204)에 상기 원웨이 밸브(5)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실(2) 내에는, 상기 상부 칸막이판(203)에 상단을 대체로 접합시켜서 연장되는 세로 칸막이판(20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세로 칸막이판(205)에 의해서 하부실(2)은, 후술하는 제 1 플로트(212)가 수납되는 제 1 실(206)과 제 2 플로트(213)가 수납되는 제 2 실(207)로 칸막이되어 있는데, 이 세로 칸막이판(205)의 하단과 바닥판(204)과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실(206)과 제 2 실(207)은 하부실(2)의 바닥부(2b)측에서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실(206)의 측부에 상기 유입구(200)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 2 실(207)의 측부에 상기 측부 오리피스(201)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예에 있어서는, 유입구(200)의 상측 가장자리의 상측이고, 또한 상기 상부 칸막이판(203)의 형성위치보다 하측이 되는 상기 통상체(202)의 측부에, 제 1 실(206)측에 있어서 통기구멍(208)이 형성되어 있다.
(3) 또 상기 밸브에 있어서는, 플로트체(4)는, 하부실(2)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하부실(2)측에서 제 1 연통구멍(210)을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2)에 수납된 제 1 플로트(212)와,
하부실(2)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하부실(2)측에서 제 2 연통구멍(211)을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2)에 수납된 제 2 플로트(21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 2 플로트(213)는, 제 1 플로트(212)에 의해서 제 1 연통구멍(210)이 폐색된 후의 추가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측부 오리피스(201)에 도달한 후에 제 2 연통구멍(211)을 폐색하는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하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제 1 연통구멍(210)쪽이 제 2 연통구멍(211)보다 크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제 1 플로트(212)는 제 2 플로트(213)보다 굵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플로트(212) 및 제 2 플로트(213)의 쌍방 모두, 그 상단에 형성된 밸브체부(212a, 213a)에 의해서 제 1 플로트(212)에 있어서는 제 1 연통구멍(210)을, 제 2 플로트(213)에 있어서는 제 2 연통구멍(211)을, 그 상승위치에 있어서 하측에서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플로트(212)는, 그 하부측과 하부실(2)의 바닥판(204)과의 사이에 설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214)에 의해서 하강위치에 있어서도 상향으로의 일정 탄지력을 항시 작용받고 있다.
또 제 2 플로트(213)는, 그 하부측과 하부실(2)의 바닥판(204)으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지주부(209)의 상단과의 사이에 설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214)에 의해서 하강위치에서도 상향으로의 일정 탄지력을 항시 작용받고 있다.
또 제 1 플로트(212) 및 제 2 플로트(213)의 쌍방 모두, 제 1 플로트(212)에 있어서는 제 1 실(206)의 내면과의 사이에 항시 틈을 형성하는 굵기를 갖도록, 제 2 플로트(213)에 있어서는 제 2 실(207)의 내면과의 사이에 항시 틈을 형성하는 굵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어, 그 하강위치에 있어서는, 유입구(200), 측부 오리피스(201) 및 상기 통기구멍(208)을 통해서 하부실(2) 내에 들어가는 연료탱크(T) 내의 기체가, 제 1 연통구멍(210), 제 2 연통구멍(211)을 통해서 상부공간(1)으로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다.
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이 유입구(200)에 도달하는 제 1 액면레벨(L1)이 되면 하부실(2)로 연료가 들어가지만, 이 단계에서는 제 2 플로트(213)은 상승하지 않고 제 1 플로트(212)만이 상승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플로트(212)에 의해서 제 1 연통구멍(210)이 폐색된다(도 5). 이것에 의해서 연료탱크(T)와 통기로(P)의 연통부분이, 제 2 실(207)의 제 2 연통구멍(211)만이 되기 때문에, 연료탱크(T) 내의 내압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상승하여, 연료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검지에 의해서 연료노즐에 의한 급유가 일단 정지되면, 제 2 실(207)의 측부 오리피스(201)을 통한 통기에 의해서 연료탱크(T)의 내압은 저하하고, 이에 따라,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하강하여, 연료노즐측의 센서에 의한 만탱크 검지가 해제된다.
여기서 추가급유를 하고, 이 추가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이 측부 오리피스(201)에 도달하는 제 2 액면레벨(L2)이 되면 연료탱크(T)의 내압이 상승하고, 제 2 플로트(213)를 상승시키는 레벨까지 하부실(2)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높아져 이것에 의해서 제 2 연통구멍(211)이 폐색된다(도 6). 이로써 연료탱크(T)와 통기로(P)의 연통부분이 없어진다.
즉, 본 예에서는,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이 측부 오리피스(201)에 도달하는 제 2 액면레벨(L2)이 된 단계에서 연료탱크(T) 내의 내압을 다시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다시 상승시켜, 연료노즐측의 센서가 다시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연료의 소비에 의해서 저하되면, 원웨이 밸브(5)에 의해서 하부실(2) 내의 연료가 유출되고, 이것에 의해서 제 1 플로트(212) 및 제 2 플로트(213)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제 1 연통구멍(210)과 제 2 연통구멍(211)이 모두 개방된다. 또한, 상부공간(1)측이 하부실(2), 즉, 연료탱크(T) 내보다 저압이 되어 있고, 이 때문에 이와 같이 하부실(2) 내의 연료가 유출된 경우에도 이들 플로트(212, 213)의 밸브체부(212a, 213a)가 이들 연통구멍(210, 211)에 붙는 듯한 힘이 작용되어 있더라도, 제 2 연통구멍(211)은 제 1 연통구멍(210)보다 작고 이 때문에 상기 제 2 연통구멍(211)을 막는 제 2 플로트(213)의 밸브체부(213a)에 작용되는 이와 같은 힘은 제 1 연통구멍(210)을 막는 제 1 플로트(212)의 밸브체부(212a)에 작용되는 이와 같은 힘보다 작으므로, 제 2 플로트(213)가 우선 하강하고, 이것에 의한 연료탱크(T)의 내압의 저하에 의해서 제 1 플로트(212)도 지장없이 하강한다. 즉, 본 예에서는, 제 1 플로트(212)에 의해서 폐색되는 제 1 연통구멍(210)을 연료의 효율적인 급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지름으로 구성하면서, 연료의 액면레벨의 저하시에 있어서의 제 1 플로트(212)의 강하가 부드럽게 이루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도, 상기 유입구(200) 및 측부 오리피스(201)의 형성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검지시켜야할 제 1 액면레벨(L1) 및 제 2 액면레벨(L2)을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제 3 실시예)
도 7 내지 도 10은,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밸브의 구체적인 적용예의 또 다른 하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밸브에 연료가 도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 8은 연료가 제 1 액면레벨(Ll)에 도달된 상태를, 도 9는 추가급유가 개시되는 직전의 상태를, 도 10은 연료가 제 2 액면레벨(L2)에 도달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밸브에 있어서는, 하부실(2)이, 하단을 개방시킨 케이싱체(300)와 표면을 개방시킨 컵체(301)를, 이 케이싱체(300)의 하단 가장자리(300a)가 컵체(301)의 입상부(301a)의 상단 가장자리(301b)와 같은 레벨에 위치되거나, 또는, 케이싱체(300)의 하단 가장자리(300a)가 컵체(301)의 입상부(301a)의 상단 가장자리(301b)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편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케이싱체(300)의 하단 가장자리(300a)가 컵체(301)의 입상부(301a)의 상단 가장자리(301b)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체(300)는, 하단을 개방시킨 통형상체(300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통형상체(300b)의 상단은 상부 칸막이판(302)을 통해 상부공간(1)을 구성하는 상부 구성체(1')에 대체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부 칸막이판(302)에 연통부(3)가 되는 하나의 연통구멍(304)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컵체(301)는, 바닥판(301c)과, 이 바닥판(301c)의 바깥둘레부를 빙둘러 이 바깥둘레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는 입상부(301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컵체(301)의 입상부(301a)의 내경은, 케이싱체(300)의 외경보다 크고, 케이싱체(300)은 개방된 하단을 상기 컵체(301)의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컵체(301)에 의해서 개방된 하단이 하측에서 덮힌 상태로 상기 컵체(301)와 조립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체(300)의 하단과 컵체(301)의 바닥판(301c)과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컵체(301)의 입상부(301a)와 케이싱체(300)의 측부와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컵체(301)의 입상부(301a)의 상단 가장자리(301b)와 케이싱체(300)의 하단 가장자리(300a)와의 사이에 주유입부(2c)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예에서는, 주유입부(2c)는, 하부실(2)의 측부(2a)에 있어서 상측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컵체(301)의 바닥판(301c)에 상기 원웨이 밸브(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 주유입부(2c)보다 상측에 측부 오리피스(3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에 있어서는, 플로트체(4)는, 하부실(2)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하부실(2)측에서 상기 연통구멍(304)를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2)에 수납된 1개의 플로트(30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305)는, 그 상단에 형성된 밸브체부(306)에 의해서 상기 연통구멍(304)을, 그 상승위치에 있어서 하측에서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305)는, 그 하부측과, 컵체(301)의 바닥판(301c)의 거의 중앙에 형성된 융기부의 상단과의 사이에 장착된 압축 코일 스프링(307)에 의해서 하강위치에서도 상향으로의 일정 탄지력을 항시 작용받고 있다.
또 상기 플로트(305)는, 하부실(2)의 내면과의 사이에 항시 틈을 형성하는 굵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하강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주유입부(2c) 및 측부 오리피스(303)를 통해서 하부실(2) 내로 들어가는 연료탱크(T) 내의 기체가 상기 연통구멍(304)을 통해서 상부공간(1)으로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다.
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이 주유입부(2c)에 도달하는 제 1 액면레벨(L1)이 되면 하부실(2)로 연료가 들어감과 아울러, 이 연료에 의해서 상기 주유입부(2c)가 막혀, 하부실(2)은 측부 오리피스(303)에 의해서만 연료탱크(T) 내에서의 연료의 액면보다 상향의 공간에 연통된다. 이 때문에, 연료탱크(T)의 내압이 상승하고, 하부실(2)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높아져 플로트(305)를 상승하게 함과 아울러,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높아져, 연료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플로트(305)에 의해서 연통구멍(304)이 폐색된다(도 8).
이 검지에 의해서 연료노즐에 의한 급유가 일단 정지되면, 측부 오리피스(303)를 통해 연료탱크(T) 내의 기체가 하부실(2) 내로 서서히 들어가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하부실(2)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은 서서히 내려가고, 플로트(305)가 하강하여 연통구멍(304)이 개방됨과 아울러, 이 하부실(2)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측부 오리피스(303)보다 하측이 된 단계에서의 통기에 의해서 연료탱크(T)의 내압은 저하하고, 이에 따라,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하강하여, 연료노즐측의 센서에 의한 만탱크 검지가 해제된다(도 9).
그래서 추가급유를 하고, 이 추가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이 측부 오리피스(303)에 도달하는 제 2 액면레벨(L2)이 되면 연료탱크(T)의 내압이 상승하고, 플로트(305)를 상승시키는 레벨까지 하부실(2)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다시 높아져 이것에 의해서 연통구멍(304)이 폐색된다(도 10). 이로써 연료탱크(T)와 통기로(P)의 연통부분이 없어진다.
즉, 본 예에서는,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이 측부 오리피스(303)에 도달하는 제 2 액면레벨(L2)이 된 단계에서 연료탱크(T) 내의 내압을 다시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다시 상승시켜, 연료노즐측의 센서가 다시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연료의 소비에 의해서 저하되면, 원웨이 밸브(5)에 의해서 하부실(2) 내의 연료가 유출되고, 이것에 의해서 플로트(305)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여, 연통구멍(304)은 개방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컵체(301)의 입상부(301a)의 치수를 변화시킴과 아울러, 그것에 의해서 위치가 변하는 주유입부(2c)의 상측에 측부 오리피스(303)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검지하게 해야 할 제 1 액면레벨(L1)과 제 2 액면레벨(L2)을 조정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점에서 특히, 하부실(2) 전체의 치수를 줄이기 쉽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 4 실시예)
도 11 내지 도 14는,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밸브의 구체적인 적용예의 또 다른 하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밸브에 연료가 도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 12는 연료가 제 1 액면레벨(L1)에 도달된 상태를, 도 13은 추가급유가 개시되는 직전의 상태를, 도 14는 연료가 제 2 액면레벨(L2)에 도달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밸브에 있어서는, 하부실(2)이, 하단을 개방시킨 케이싱체(400)와 상면을 개방시킨 컵체(401)를, 이 케이싱체(400)의 하단 가장자리(400a)가 컵체(401)의 입상부(401a)의 상단 가장자리(401b)와 같은 레벨에 위치되거나, 또는, 케이싱체(400)의 하단 가장자리(400a)가 컵체(401)의 입상부(4Ola)의 상단 가장자리(401b)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편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케이싱체(400)의 하단 가장자리(400a)가 컵체(401)의 입상부(401a)의 상단 가장자리(401b)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체(400)는 하단을 개방시킨 통형상체(400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통형상 체(400b)의 상단은 상부 칸막이판(402)을 통해서 상부공간(1)을 구성하는 상부 구성체(1')에 대체로 접합되어 있다.
또 상기 밸브에 있어서는, 연통부(3)는, 제 1 연통구멍(405)과, 이 제 1 연통구멍(405)보다 작은 제 2 연통구멍(406)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칸막이판(402)에 상기 제 1 연통구멍(405)과 제 2 연통구멍(406)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예에 있어서는, 컵체(401)는, 케이싱체(400)의 개방된 하단에서 케이싱체(400)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403)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컵체(401)는, 상기 삽입부(403)의 일측부에 일단을 일체로 연접시킨 바닥판(401c)과, 이 바닥판(401c)에 있어서의 삽입부(403)와의 연접측의 반대측 가장자리부와 이 삽입부(403)측과의 사이에 이르는 가장자리부에 걸쳐서 상측으로 돌출하는 입상부(401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예에 있어서는, 삽입부(403)를 케이싱체(400)에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컵체(401)의 입상부(401a)가 케이싱체(400)의 측부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케이싱체(400)의 하단과 컵체(401)의 바닥판(401c)과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컵체(401)의 입상부(401a)와 케이싱체(400)의 측부(2a)와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서 상기 컵체(401)의 입상부(401a)의 상단 가장자리(401b)와 케이싱체(400)의 하단 가장자리(400a)의 사이에 주유입부(2c)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예에서는,주유입부(2c)는, 하부실(2)의 측부(2a)에 있어서 상측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다.
또 삽입부(403)는, 컵체(401)의 형성측에 있어서는 케이싱체(400)의 내면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 주유입부(2c)로부터의 연료의 유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그 외의 개소에서는 케이싱체(400)에 대해서 액밀상태로 끼워지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상기 컵체(401)의 바닥판(401c)에 상기 원웨이 밸브(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 주유입부(2c)의 직상(直上)의 위치에 측부 오리피스(4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에 있어서는, 플로트체(4)는, 하부실(2)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이 하부실(2)측에서 제 1 연통구멍(405)을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2)에 수납된 제 1 플로트(407)와, 하부실(2)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이 하부실(2)측에서 제 2 연통구멍(406)을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2)에 수납된 제 2 플로트(408)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제 1 연통구멍(405)쪽이 제 2 연통구멍(406)보다 크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제 1 플로트(407)는 제 2 플로트(408)보다 굵게 구성되어 있다.
또 도시예에서는, 상단을 상기 칸막이판(401a)에 대체로 연접시킴과 아울러, 하단과 상기 삽입부(403)의 상부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세로 칸막이판에 의해서 하부실(2)은 구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구분된 일측의 공간에 상기 제 1 플로트(407)가 수납되고, 타측의 공간에 상기 제 2 플로트(408)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제 1 플로트(407) 및 제 2 플로트(408)의 쌍방 모두, 그 상단에 형성된 밸브체부(407a, 408a)에 의해서 제 1 플로트(407)에 있어서는 제 1 연통구멍(405)을, 제 2 플로트(408)에 있어서는 제 2 연통구멍(406)을, 그 상승위치에 있어서 하측에서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플로트(407) 및 제 2 플로트(408)는 모두, 그 하부측과 삽입부(403)의 상부와의 사이에 장착된 압축 코일 스프링(409)에 의해서 하강위치에서도 상향으로의 일정 탄지력을 항시 작용받고 있다.
또 제 1 플로트(407) 및 제 2 플로트(408)의 쌍방 모두, 하부실(2)의 내면과의 사이에 항시 틈을 형성하는 굵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어, 그 하강위치에 있어서는, 주유입부(2c) 및 측부 오리피스(404)를 통해서 하부실(2) 내로 들어가는 연료탱크(T) 내의 기체가 제 1 연통구멍(405), 제 2 연통구멍(406)을 통해서 상부공간(1)으로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다.
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이 주유입부(2c)에 도달하는 제 1 액면레벨(L1)이 되면 하부실(2)로 연료가 들어감과 아울러, 이 연료에 의해서 상기 주유입부(2c)가 막혀, 하부실(2)은 측부 오리피스(404)에 의해서만 연료탱크(T) 내에서의 연료의 액면보다 상측의 공간에 연통된다. 이 때문에, 연료탱크(T)의 내압이 상승하고, 하부실(2)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높아져 제 1 플로트(407) 및 제 2 플로트(408)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높아져, 연료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제 1 플로트(407)에 의해서 제 1 연통구멍(405)이 폐색됨과 아울러, 제 2 플로트(408)에 의해서 제 2 연통구멍(406)이 폐색된다(도 12).
이 검지에 의해서 연료노즐에 의한 급유가 일단 정지되면, 측부 오리피스(404)를 통해서 연료탱크(T) 내의 기체가 하부실(2) 내로 서서히 들어가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하부실(2)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은 서서히 내려가고, 제 1 플로트(407) 및 제 2 플로트(408)가 하강하여 연통구멍(405,406)이 개방됨과 아울러, 이 하부실(2)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측부 오리피스(404)보다 하측이 된 단계에서의 통기에 의해서 연료탱크(T)의 내압은 저하되고, 이것에 따라,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도 하강하고, 연료노즐측의 센서의 만탱크 검지가 해제된다(도 13).
여기서 추가급유를 하고, 이 추가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이 측부 오리피스(404)에 도달하는 제 2 액면레벨(L2)이 되면 연료탱크(T)의 내압이 상승하고, 제 1 플로트(407) 및 제 2 플로트(408)를 상승시키는 레벨까지 하부실(2)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다시 높아져 이것에 의해서 제 1 연통구멍(405) 및 제 2 연통구멍(406)이 폐색된다(도 14). 이것에 의해서 연료탱크(T)와 통기로(P)의 연통부분이 없어진다.
즉, 본 예에서는,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이 측부 오리피스(404)에 도달하는 제 2 액면레벨(L2)이 된 단계에서 연료탱크(T) 내의 내압을 다시 상승시킬 수 있고, 이로써 필러튜브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다시 상승시켜, 연료 노즐측의 센서가 다시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연료의 소비에 의해서 저하되면, 원웨이 밸브(5)에 의해서 하부실(2) 내의 연료가 유출되고, 이것에 의해서 제 1 플로트(407) 및 제 2 플로트(408)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여, 제 1 연통구멍(405) 및 제 2 연통구멍(406)은 개방된다.
또한, 상부공간(1)측이 하부실(2), 즉, 연료탱크(T) 내보다 저압이 되어 있고, 이 때문에 이와 같이 하부실(2) 내의 연료가 유출된 경우라도 이들 플로트(407, 408)의 밸브체부(407a, 408a)가 이들 연통구멍(405, 406)에 붙는 듯한 힘이 작용되어 있더라도, 제 2 연통구멍(406)은 제 1 연통구멍(405)보다 작기 때문에 이 제 2 연통구멍(406)을 막는 제 2 플로트(408)의 밸브체부(408a)에 작용되는 이와 같은 힘은 제 1 통 구멍(405)을 막는 제 1 플로트(407)의 밸브체부(407a)에 작용되는 이와 같은 힘보다 작으므로, 제 2 플로트(408)가 우선 하강하고, 이것에 의한 연료탱크(T)의 내압의 저하에 의해서 제 1 플로트(407)도 지장없이 하강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컵체(401)의 입상부(401a)의 치수를 변화시킴과 아울러, 이에 따라 위치가 변화된 주유입부(2c)의 상측에 측부 오리피스(404)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검지하게 해야 할 제 1 액면레벨(L1)과 제 2 액면레벨(L2)을 조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점에서 특히, 하부실(2) 전체의 치수를 쉽게 줄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과급유 방지밸브에 의하면, 만탱크에 도달하는 분량의 급유가 이루어진 단계에서 정확하게 급유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료의 비말이 캐니스터의 통기로로 들어가 버리는 사태를 가급적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밸브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밸브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밸브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밸브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밸브의 단면 구성도
도 6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밸브의 단면 구성도
도 7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밸브의 단면 구성도
도 8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밸브의 단면 구성도(또한, 본 도면에 있어서 원형의 도형은 측부 오리피스(303)로부터 들어가는 기체를 표현한 것이다.)
도 9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밸브의 단면 구성도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밸브의 단면 구성도
도 11은 제 4 실시예에 관한 밸브의 단면 구성도
도 12는 제 4 실시예에 관한 밸브의 단면 구성도(또한, 본 도면에 있어서 원형의 도형은 측부 오리피스(404)로부터 들어가는 기체를 표현한 것이다.)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관한 밸브의 단면 구성도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관한 밸브의 단면 구성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연료탱크 P - 통기로
1 - 상부공간 2 - 하부실
2a - 측부 2b - 바닥부
2c - 주유입부 3 - 연통부
4 - 플로트체 5 - 원웨이 밸브

Claims (4)

  1. 삭제
  2. 캐니스터로의 통기로에 연통시킨 상부공간과,
    연료탱크 내에 배치되는 하부실과,
    상부공간과 하부실을 연통시키는 연통부와,
    상기 하부실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하부실측에서 상기 연통부를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에 수납된 플로트체를 가지는 밸브로서,
    하부실은,
    그 바닥부에, 바닥부 오리피스 또는 하부실측으로부터의 연료의 유출만을 허용하는 원웨이 밸브를 가짐과 아울러,
    그 측부에만 연료의 주유입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주유입부에 도달한 후의 하부실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연료탱크의 내압을 상승시켜, 급유노즐측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도록 하고,
    연통부가, 제 1 연통구멍과, 이 제 1 연통구멍보다 작은 제 2 연통구멍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실이, 제 1 연통구멍에 의해서 상부공간에 연통된 제 1 실과, 제 2 연통구멍에 의해서 상부공간에 연통된 제 2 실로 구분되어 있으며,
    주유입부가, 제 1 실의 측부에 형성된 제 1 유입구와, 제 2 실의 측부에 형성된 제 2 유입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 1 실의 측부에 형성된 제 1 유입구의 하측 가장자리보다, 제 2 실의 측부에 형성된 제 2 유입구의 하측 가장자리가 상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플로트체가, 제 1 실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제 1 실 측에서 제 1 연통구멍을 폐색하도록 상기 제 1 실에 수납된 제 1 플로트와,
    제 2 실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제 2 실측에서 제 2 연통구멍을 폐색하도록 상기 제 2 실에 수납된 제 2 플로트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급유 방지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연통부가, 제 1 연통구멍과, 이 제 1 연통구멍보다 작은 제 2 연통구멍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주유입부가, 하부실의 측부에 형성된 유입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유입구의 하측 가장자리보다 상측에 측부 오리피스가 형성되고 있으며,
    플로트체가, 하부실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하부실측에서 제 1 연통구멍을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에 수납된 제 1 플로트와,
    하부실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하여 상기 하부실측에서 제 2 연통구멍을 폐색하도록 상기 하부실에 수납된 제 2 플로트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 2 플로트는, 제 1 플로트에 의해서 제 1 연통구멍이 폐색된 후의 추가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측부 오리피스에 도달한 후에 제 2 연통구멍을 폐색하는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급유 방지밸브.
  4.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부실이, 하단을 개방시킨 케이싱체와 상면을 개방시킨 컵체를, 이 케이싱체의 하단 가장자리가 컵체의 입상부의 상단 가장자리와 같은 레벨에 위치되거나, 또는, 케이싱체의 하단 가장자리가 컵체의 입상부의 상단 가장자리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편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체의 입상부의 상단 가장자리와 케이싱체의 하단 가장자리의 사이가 주유입부가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주유입부보다 상측에 측부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급유 방지밸브.
KR10-2003-0000813A 2002-04-05 2003-01-07 과급유 방지 밸브 KR100513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04279 2002-04-05
JP2002104279A JP3911185B2 (ja) 2002-04-05 2002-04-05 過給油防止バル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179A KR20030080179A (ko) 2003-10-11
KR100513496B1 true KR100513496B1 (ko) 2005-09-09

Family

ID=1919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813A KR100513496B1 (ko) 2002-04-05 2003-01-07 과급유 방지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959720B2 (ko)
JP (1) JP3911185B2 (ko)
KR (1) KR100513496B1 (ko)
GB (1) GB23886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1185B2 (ja) * 2002-04-05 2007-05-09 株式会社ニフコ 過給油防止バルブ
JP2005138763A (ja) * 2003-11-07 2005-06-02 Nissan Motor Co Ltd 追加給油量制御ユニット
US6918405B2 (en) 2003-12-04 2005-07-19 Alfmeier Corporation Fill limit vent valve
JP4394508B2 (ja) * 2004-04-14 2010-01-06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バルブ
AU2005254972B2 (en) 2004-06-09 2010-11-0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Rapid production of oligonucleotides
US7147017B2 (en) 2004-06-28 2006-12-12 Alfmeier Corporation Fill limit vent valve assembly
US7207347B2 (en) * 2004-08-23 2007-04-24 Raval A.S.C. Ltd. Dual function valve for fuel tank
JP4415888B2 (ja) * 2005-03-22 2010-02-17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DE102005036932B8 (de) * 2005-08-05 2008-07-03 Alfmeier Prä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ösungen Entlüftungsventil für den Kraftstoffbehälter von Kraftfahrzeugen
FR2896568B1 (fr) * 2006-01-26 2008-03-14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Dispositif pour circuit de mise a l'air d'un reservoir a liquide et clapet integrant ledit dispositif
EP1829726A1 (en) * 2006-03-03 2007-09-05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A) Method for recovering vapor during an onboard refueling operation
EP2066937B1 (en) * 2006-09-13 2011-11-09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 Liquid tank venting system
DE102007050970B4 (de) * 2007-06-27 2010-10-07 Alfmeier Prä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ösungen Entlüftungsvorrichtung für den Kraftstofftank eines Kraftfahrzeugs
JP2009202703A (ja) * 2008-02-27 2009-09-10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JP2010173467A (ja) * 2009-01-29 2010-08-12 Yachiyo Industry Co Ltd 通気制御バルブ
BRPI1011689B1 (pt) 2009-03-11 2019-12-17 Sakura Finetek Usa Inc método de autofocalização e dispositivo de autofocalização
US10139613B2 (en) 2010-08-20 2018-11-27 Sakura Finetek U.S.A., Inc. Digital microscope and method of sensing an image of a tissue sample
JP5801086B2 (ja) * 2011-04-04 2015-10-28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KR101183036B1 (ko) * 2012-03-19 2012-09-20 주식회사 유니크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WO2014011234A1 (en) * 2012-07-12 2014-01-16 Eaton Corporation Textured closure surface for fuel vapor valve
JP5874601B2 (ja) * 2012-10-31 2016-03-02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RU2659705C2 (ru) 2013-03-13 2018-07-03 А.Р.И. Флоу Контрол Аксессориз Лтд. Клапан текучей среды
DE102013103971A1 (de) 2013-04-19 2014-11-06 Sensovation Ag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aus mehreren Teilbildern zusammengesetzten Gesamtbilds eines Objekts
JP6070453B2 (ja) * 2013-07-18 2017-02-01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装置
JP6153850B2 (ja) * 2013-11-01 2017-06-28 八千代工業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US10007102B2 (en) 2013-12-23 2018-06-26 Sakura Finetek U.S.A., Inc. Microscope with slide clamping assembly
US10035091B2 (en) * 2014-03-17 2018-07-31 Kyosan Denki Co., Ltd. Liquid fuel catcher
FR3025752B1 (fr) * 2014-09-15 2016-09-0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Reservoir equipe d'un limiteur de remplissage
DE102016204770A1 (de) * 2016-03-22 2017-09-28 Kautex Textron Gmbh & Co. Kg Ent- und/oder Belüftungsventil für einen Betriebsflüssigkeitsbehälter
JP2017202804A (ja) * 2016-05-13 2017-11-16 京三電機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フロート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932944B2 (en) * 2016-06-13 2018-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 for an integrated fuel level and pressure sensor of a fuel tank
KR101784622B1 (ko) * 2016-08-18 2017-10-1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연료탱크용 과충전 방지 도출밸브
US11280803B2 (en) 2016-11-22 2022-03-22 Sakura Finetek U.S.A., Inc. Slide management system
JP6513631B2 (ja) * 2016-12-28 2019-05-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気液セパレータ配置構造
CN106917701A (zh) * 2017-04-20 2017-07-04 苏州欧迪科汽车设计有限公司 一种多功能控制阀
JP6841251B2 (ja) * 2018-02-23 2021-03-10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バルブ
JP2020016210A (ja) * 2018-07-27 2020-01-30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6967030B2 (ja) * 2019-03-28 2021-11-17 八千代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69375A (en) * 1992-08-08 1994-02-09 Ford Motor Co A vent valve for a vehicle fuel tank
JP2707396B2 (ja) * 1993-04-09 1998-0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蒸発燃料排出規制装置
JP3284746B2 (ja) 1994-04-28 2002-05-20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フロートバルブ
US5687756A (en) * 1995-11-08 1997-11-18 Borg-Warner Automotive, Inc. Vehicle refueling valve
JP3777214B2 (ja) * 1996-01-08 2006-05-24 株式会社ニフコ 燃料流出防止弁装置
US5960817A (en) 1997-11-03 1999-10-05 Walbro Corporation Control valve and system for fuel vapor recovery
JP3788706B2 (ja) 1998-07-13 2006-06-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タンク装置
US6311675B2 (en) * 1999-04-28 2001-11-06 Walbro Corporation Vent valve and fuel pump module
JP2001182633A (ja) 1999-12-27 2001-07-06 Kyosan Denki Kk 燃料蒸発ガス処理装置
IL134535A0 (en) * 2000-02-14 2001-04-30 Raviv Prec Injection Molding Improved filling valve
JP2002061765A (ja) * 2000-06-08 2002-02-28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JP2002285929A (ja) 2001-03-26 2002-10-03 Nifco Inc 過給油防止バルブ
US6701950B2 (en) * 2001-04-09 2004-03-09 Stant Manufacturing Inc. Fuel tank vent system
JP3911185B2 (ja) * 2002-04-05 2007-05-09 株式会社ニフコ 過給油防止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304410D0 (en) 2003-04-02
US7114513B2 (en) 2006-10-03
JP3911185B2 (ja) 2007-05-09
KR20030080179A (ko) 2003-10-11
GB2388646B (en) 2005-11-16
US20050257831A1 (en) 2005-11-24
US6959720B2 (en) 2005-11-01
JP2003293876A (ja) 2003-10-15
GB2388646A (en) 2003-11-19
US20030189110A1 (en) 200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496B1 (ko) 과급유 방지 밸브
US6591855B2 (en) Fuel cutoff valve
JP4467134B2 (ja) 車輛用燃料供給バルブ
JP4494572B2 (ja) 液体タンクの通気システム
JP2006097674A (ja) 燃料遮断弁
KR100765102B1 (ko) 연료탱크용 밸브
US7784484B2 (en) Fuel leakage preventing valve
US7886759B2 (en) Fuel cutoff valve
JP2018013087A (ja) 燃料タンク用通気制御弁
CN211230663U (zh) 燃料箱用阀装置
JP4555209B2 (ja) 燃料漏れ防止弁
JP4078134B2 (ja) 燃料タンク用統合バルブ
JP4078142B2 (ja) 過給油防止バルブ
JP2005138677A (ja) 満タン検知バルブ
US11186166B2 (en) Fuel tank ventilation valve
JP6487750B2 (ja) 燃料供給装置
JP3994273B2 (ja) 燃料タンクの液面検知バルブ
WO2012118118A1 (ja) 燃料遮断弁
JPH0625658Y2 (ja) 燃料供給装置
JPH10238429A (ja) 燃料タンクの燃料遮断装置
JP5065074B2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H05338449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JP3194106B2 (ja) 空気弁
KR200246243Y1 (ko) 수위 조절용 밸브장치
JP3994286B2 (ja) 燃料タンクの液面検知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