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040B1 - 열전사 기록매체와 인쇄물 - Google Patents

열전사 기록매체와 인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040B1
KR100483040B1 KR10-2002-0033633A KR20020033633A KR100483040B1 KR 100483040 B1 KR100483040 B1 KR 100483040B1 KR 20020033633 A KR20020033633 A KR 20020033633A KR 100483040 B1 KR100483040 B1 KR 100483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heat
ink
glass tran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6942A (ko
Inventor
와시즈카준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8364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37046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54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8927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581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9484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760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7066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96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41M5/03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by sublimation or volatilisation of pre-printed design, e.g. subl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5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n intermediate recep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사 기록매체 및 이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인쇄물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를 주로 포함하는 보호층, Tg1≤T-80℃로 나타내는 유리 전이점(Tg1)을 갖는 접착층, 60℃≤Tg2≤Tg-50℃로 나타내는 유리 전이점(Tg2)으로 나타내는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16000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 Tg-80℃ 이하의 유리 전이점을 갖는 제 1 수지성분과 16000 이하의 수평균 분자량 및 Tg-50℃ 이상의 유리 전이점을 갖는 제 2 수지성분을 1:9~5:5의 중량비로 혼합된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전사 기록매체와 인쇄물{THERMAL TRANSFER RECORDING MEDIA AND PRINTED MATERIAL}
본 발명은 지지체 상에 설치된 수상층을 갖고, 열용융성 잉크 또는 승화성 열전사 잉크에 의해 화상을 형성할 수 있고, 그 후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의 기재표면에 열접착할 수 있는 열전사 기록매체 및 이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인쇄물에 관한 것이다.
면허증, 종업원증, 사원증 및 크레디트 카드 등의 개인인증용 얼굴화상이 들어간 화상표시체에 얼굴화상을 기록하는 방법으로서는 승화형(昇華型) 열전사 기록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승화형 열전사 기록방법은 지지시트 상에 승화성(또는 열이행성) 염료를 포함하는 잉크를 열전사 가능하게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승화성 잉크 리본과, 승화성 염료를 수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상층을 갖는 피기록매체를 서로 겹쳐서, 서멀 헤드 등에 의해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열전사 리본을 선택적으로 가열하고, 피기록매체에 원하는 화상을 승화형 열전사 기록하는 것이다. 이 방식에 의하면, 계조성이 풍부한 컬러화상을 쉽게 기록할 수 있는 것은 널리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승화형 열전사 기록방법에서는 열가소성 수지층의 표면 근방에 화상이 형성되기 때문에 화상에 손상이 생기기 쉽고, 또 염료가 재승화하여 화상농도가 경시적으로 저하하기 쉽고, 또한 자외선에 의해 염료가 분해되어 화상의 색조가 변화하는 등 카드의 내구성에 관련하는 과제가 있었다.
한편, 용융형 열전사 기록방법은 지지시트 상에 착색 안료 또는 염료를 수지나 왁스 등의 결합제로 분산시킨 열용융성 잉크를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열용융성 잉크 전사 리본과, 상기 열용융성 잉크 전사 리본을 수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상층을 갖는 피기록매체를 서로 겹쳐, 서멀헤드 등에 의해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열전사 리본을 선택적으로 가열하고, 피기록매체에 결합제를 포함하는 열용융성 잉크를 전사하고, 원하는 화상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 방식에 의하면, 착색재료로서 일반적으로 내광성이 좋다고 일컬어지는 무기 및 유기안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결합제에 이용하는 수지나 왁스 등을 연구함으로써 손상이 생기기 어렵고, 내용제성이 우수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형광안료나 자성체 등의 기능성 재료를 잉크에 혼입함으로써 보안성이 높은 특수 잉크로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상층은 결합제에 대한 접착성을 갖는 표면을 갖고 있는 피기록매체라면 무엇이라도 좋고, 폭이 넓은 피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등, 승화형 열전사방법에 대하여 이점이 있다.
또, 필름 기재 상에 설치한 투명한 전사형 수상층 상에 상기 승화형 열전사 기록방법 또는 용융형 열전사 기록방법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고, 화상을 기록한 전사형 수상층을 예를 들면 종이 등의 피기록매체 상에 열전사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전사형 수상층 자체가 전사 후에는 표면보호막으로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의 기계적 강도가 높고, 또한 전사형 수상층 표면의 평활도를 향상시키고, 잉크층과의 친화성이 좋아지도록 조정하면 용융형 열전사방식에 있어서도 계조성이 풍부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전사형 수상층을 형성한 인쇄물에 예를 들면 투명수지 커버 등에 사용되는 염화비닐수지 등의 가소성 재료를 포함한 필름을 접촉시켜 장기간 보관하면, 이 가소성 재료가 전사형 수상층으로 이행하고, 염화비닐수지 등과 융착하여 박리하면 전사형 수상층이 최종 기록매체로부터 벗겨져 떨어지게 되거나, 승화성 잉크 화상을 기록한 것으로는 승화성 염료가 확산하기 쉬운 상태가 되고, 화상의 윤곽이 흐릿해지거나, 색이 바래거나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즉, 종래의 방법으로 작성한 전사형 수상층에서는 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수지필름을 겹친 상태에서 장기간 보존할 수 없었다.
또, 용융형 열전사 기록방법은 기본적으로 잉크의 접착을 실시하고 있거나, 전사한 도트의 사이즈를 변화시켜 계조기록을 실시하는 도트면적 계조법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사해야 하는 기록매체의 요철에 상당히 민감하며, 요철이 있다면 전사불량을 일으키고, 도트사이즈를 잘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계조성이 부족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로 다공질 수상층을 갖는 피기록매체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것은 피기록매체의 수상층 중에 미소구멍을 설치하고, 그 미소구멍에 열용융성 잉크를 침투, 전사시킨다는 것이다. 이 방식에 의하면, 계조성이 풍부한 화상을 얻을 수 있지만, 다공질 수상층은 일반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낮고, 인쇄장치 내의 각종 로울러, 반송로 등과의 접촉에 의해 표면에 손상이 생기게 되고, 화상 결함의 원인이 된다.
그 외, 필름기재 상에 투명한 수상층겸 접착층을 설치한 수지층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화상을 부여해야 하는 종이 및 플라스틱 등의 기재에 상기 수상층겸 접착층을 열압착 또는 열전사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수용층에 미소구멍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의 기계적 강도가 높고, 또한 수지층 표면의 평활도를 향상시켜 잉크층과의 친화성이 좋아지도록 조정하면 용융형 열전사방식에 있어서도 계조성이 풍부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에서 수상층겸 접착층에 종이 또는 플라스틱으로의 접착성이 우수한 연화(軟化)온도가 낮은 수지를 이용하면, 동일 기록조건 하에서의 기록화상 농도의 재현성이 안정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전사된 잉크 화상을 구성하는 화점의 중앙부에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중앙 빠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각 화점의 중앙 빠짐이 출현하지 않도록 하는 데에는 수상층겸 접착층에 연화온도가 높은 수지를 이용하면 좋지만, 이 경우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의 기재로의 접착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방법으로 작성한 용융형 열전사 기록방식용 수상층에서는 중앙 빠짐을 출현하지 않도록 하는 것과, 종이 또는 플라스틱으로의 충분한 접착성을 확보하는 것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승화형 열전사 기록방법 또는 용융형 열전사 기록방법에 의한 인화특성이 양호한 수상층과 가소성재료를 포함하는 수지와 겹친 상태에서 보존하여도 이 수지와의 융착 및 화상의 열화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장기간 안정하게 보존할 수 있는 보호막을 갖는 열전사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승화형 열전사 기록방법 또는 용융형 열전사 기록방법에 의한 인화특성이 양호하며, 또한 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수지와 겹친 상태에서 보존하여도 이 수지와의 융착 및 화상의 열화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장기간 안정하게 보존할 수 있는 인쇄물을 얻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용융형 열전사 기록방법에 의한 인화특성이 양호하며 기록마다 안정한 화상 농도가 얻어지고, 계조성이 풍부하고 고화질인 화상을 형성할 수 있고, 기재로의 접착성이 충분한 열전사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첫째로 지지체, 지지체 상에 형성된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를 주로 포함하는 보호층, 및 보호층 상에 형성된 열접착 가능한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 및/또는 승화성 잉크 수상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둘째로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를 주로 포함하는 보호층, 보호층 상에 적층된 열접착 가능한 열용융성 잉크용 및/또는 승화성 잉크용의 수상층, 수상층 상에 수상된 열용융성 잉크 및/또는 승화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상, 및 화상을 통하여 수상층과 열접착된 기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째로 지지체, 지지체 상에 형성된 제 1 유리 전이점(Tg1)을 갖는 접착층, 및 접착층 상에 형성되어 제 1 유리 전이점(Tg1)보다 높은 제 2 유리 전이점(Tg2)을 갖는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구비하고,
열용융성 잉크의 유리 전이점을 "Tg"로 하고, 열접착온도를 "T"로 할 때,
제 1 유리 전이점(Tg1)은 Tg1≤T-80℃로 나타내고,
제 2 유리 전이점(Tg2)은 60℃≤Tg2≤Tg-50℃로 나타내는 열전사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넷째로 열용융성 잉크를 이용하여 기록하기 위한 열전사 기록매체로서, 지지체, 지지체 상에 설치되어 적어도 제 1 수지성분 및 제 2 수지성분을 포함하고, 제 1 수지성분은 16000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 및 열용융성 잉크의 유리 전이점을 "Tg"로 할 때 Tg-80℃ 이하의 유리 전이점을 갖고, 상기 제 2 수지성분은 16000 이하의 수평균 분자량 및 Tg-50℃ 이상의 유리 전이점을 갖고, 제 1 수지성분과 제 2 수지성분과의 중량혼합비가 1:9~5:5인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구비하는 열전사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섯번째로 기재, 열용융성 잉크 화상층, 및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구비하는 인쇄물에 있어서,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은 16000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 및 열용융성 잉크의 유리 전이점을 "Tg"로 할 때 Tg-80℃ 이하의 유리 전이점(Tg1)을 갖는 제 1 수지성분 및 16000 이하의 수평균 분자량 및 Tg-50℃ 이상의 유리 전이점(Tg2)을 갖는 제 2 수지성분을 포함하고, 제 1 수지성분과 상기 제 2 수지성분과의 중량혼합비가 1:9~5:5인 인쇄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이점은 다음의 설명에 따르고,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서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을 실행함으로써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이하에서 특히 강조되는 수단 및 결합에 의해 실현되고 얻어질 수 있다.
명세서에서 구체화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를 바로 도시하고, 상기한 개략적 설명 및 후술되는 적절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열전사 기록매체는 지지체 상에 보호층 및 열접착 가능한 열용융성 잉크 및/또는 승화성 잉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상층을 차례로 적층한 구성을 갖고, 보호층은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를 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인쇄물은 상기 열전사 기록매체의 수상층 상에 용융성 형(型) 또는 승화성 형 열전사 기록을 실시한 후, 이 수상층을 기재 상에 서로 맞닿고, 보호층과 함께 열전사하고 지지체를 박리 제거하여 얻어지는 인쇄물로서, 보호층, 보호층 상에 적층된 열접착 가능한 열용융성 잉크 및/또는 승화성 잉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상층, 수상층 상에 열용융성 잉크 및/또는 승화성 잉크에 의해 형성된 화상, 및 이 화상을 통하여 수상층과 열접착된 기재를 포함하고, 이 보호층은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를 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물을 형성하면, 화상 및 수상층은 기재와 보호층 사이에 개재하고, 보호층이 인쇄물 표면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 보호층이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를 주로 포함함으로써 염화비닐수지 등의 가소성 재료와의 융착 및 염료의 이행 등에 의한 화상 열화를 생기게 하는 일없이, 인쇄물을 장기간 충분히 보존할 수 있다.
보호층 중의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의 포함량은 5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미만이라면 가소성 재료와의 융착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이 포함량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 1 열전사 기록매체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열전사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의 지지체(1)와, 상기 지지체(1) 상에 설치된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층(2)과, 보호층(2) 상에 설치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실리콘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승화성 잉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상층(3)을 갖는다.
또,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열전사 기록매체 상에 승화성 잉크를 이용하여 승화형 열전사 기록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을 나타낸다.
우선, 잉크 리본 지지체(6)와 그 위에 형성된 승화성 잉크층(7)을 갖는 승화성 잉크 리본(8)을 준비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승화성 잉크층(7)을 승화성 잉크 수상층(3) 상에 적용하고, 잉크리본 지지체(6)측에서 예를 들면 서멀헤드(9)에 의해 화상신호에 따라서 승화형 열전사 기록을 실시함으로써 수상층(3)에 승화성 잉크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면 중, 부호 "4"는 수상층(3) 중의 승화성 잉크 화상영역을 나타낸다. 화상형성 후, 승화성 잉크 리본(8)은 승화성 잉크 수상층(3) 표면에서 제거된다.
도 3은 열용융성 잉크 화상을 갖는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형성된 본 발명의 제 1 인쇄물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인쇄물(10)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기재(5)와, 승화성 잉크 화상영역(4)이 수용되고, 이 승화성 잉크 화상영역(4)을 통하여 기재(5) 상에 열접착된 수상층(3)과 수상층(3) 상에 적층된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층(2)을 갖는다.
이러한 인쇄물(10)은 승화성 잉크 화상영역(4)이 형성된 열전사 기록매체의 수상층(3)을 기재(5) 상에 배치하고, 가열 가압함으로써 수상층(3)과 기재(5)를 열접착시키고 그 후 지지체(1)를 보호층(2)에서 박리 제거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열전사 기록매체의 다른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열전사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의 지지체(1)와, 이 지지체(1) 상에 설치된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층(2)과, 보호층(2) 상에 설치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페녹시수지로 이루어지는 열용융성 잉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상층(13)을 갖는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열전사 기록매체 상에 열용융성 잉크를 이용하여 열용융형 열전사 기록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을 나타낸다.
우선, 잉크 리본 지지체(6)와 그 위에 형성된 열용융성 잉크층(17)을 갖는 열융융성 잉크 리본(18)을 준비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열용융성 잉크층(17)을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13) 상에 적용하고, 잉크 리본 지지체(6)측에서 예를 들면 서멀헤드(9)에 의해 화상신호에 따라서 열용융형 열전사 기록을 실시함으로써 수상층(13)에 열용융성 잉크 화상층(14)을 형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후, 열용융성 잉크리본(18)은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13) 표면에서 제거된다.
또, 도 6은 열용융성 잉크 화상을 갖는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형성된 본 발명의 제 1 인쇄물의 다른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을 나타낸다.
이 인쇄물(20)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기재(5), 기재(5)에 설치된 열용융성 잉크 화상층(14), 상기 열용융성 잉크 화상층(4)을 통하여 기재(5) 상에 열접착된 수상층(13), 및 수상층(13) 상에 적층된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층(2)을 갖는다.
이 인쇄물(20)은 열용융성 잉크 화상층(14)이 형성된 열전사 기록매체의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13)을 기재(5) 상에 배치하여 가열 가압함으로써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13)과 기재(5)를 열용융성 잉크 화상층(14)을 통하여 열접착시키고, 그 후 지지체(1)를 보호층(2)에서 박리 제거함으로써 얻어진다.
보호층은 가소성 재료의 융착 및 이행을 방지하는 성능뿐만 아니라, 지지체와의 접착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력이 과도하게 크면, 열접착 후 지지체를 박리하기 어려워지고, 무리하게 힘을 걸리면, 기재 상에 보호층과 수상층이 함께 벗겨져 기재측에 남길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 접착력이 과도하게 작으면 열접착된 영역 이외의 원하지 않는 영역 내의 보호층과 수상층도 기재 상에 전사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적합한 접착력을 갖는 수지로서 본 발명에서는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가 사용된다.
보호층에 적합한 폴리비닐부티랄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상품명 에슬렉쿠 BL-1, 에슬렉쿠 BL-2, 에슬렉쿠 BL-3, 에슬렉쿠 BL-S, 에슬렉쿠 BX-L, 에슬렉쿠 BM-1, 에슬렉쿠 BM-1, 에슬렉쿠 BM-2, 에슬렉쿠 BM-5, 에슬렉쿠 BM-S, 에슬렉쿠 BH-3, 에슬렉쿠 BH-S, 에슬렉쿠 BX-1, 에슬렉쿠 BX-2, 에슬렉쿠 BX-5, 에슬렉쿠 BX-55, 덴키가가쿠(주)제 덴카부티랄#2000-L, 덴카부티랄#3000-1, 덴카부티랄#3000-2, 덴카부티랄#3000-4, 덴카부티랄#3000-K, 덴카부티랄#4000-1, 덴카부티랄#4000-2, 덴카부티랄#5000-A, 덴카부티랄#6000-C, 덴카부티랄#6000-EP 등을 들 수 있다.
보호층에 적합한 페녹시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상품명 유니온카바이드제 PKHH, PKHJ, PKHW-35, PKHW-35R, PXKS-6994, PXKS-7000, 도토가세이(주)제 YP-50, YP-50S, YP-40ASM40, YP-50EK35, YPB-40AM40 등을 들 수 있다.
보호층에 적합한 폴리비닐아세탈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상품명 에슬렉쿠KS-1, 에슬렉쿠KS-5, 에슬렉쿠KX-1, 에슬렉쿠KW-1 등을 들 수 있다.
또, 보호층에는 상기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수지 외, 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수지, 접착부여제 등을 소량 첨가할 수 있다. 예들 들면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첨가함으로써 기재로의 접착력을 크게 할 수 있고, 첨가량으로 박리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에폭시수지를 첨가함으로써 기재로의 접착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보호층은 단독이라도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층, 내용제층 등과 조합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층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기록화상의 퇴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내용제층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유기용제에 의한 파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수상층에 이용되는 수지로서는 승화성 잉크의 염료수용성 및/또는 열용융성 잉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의 기재와의 접착력에도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지로서는 초산비닐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페녹시수지 및 이들 각 수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승화성 잉크 수상층으로서는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페녹시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으로서는 초산비닐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페녹시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열용융성 잉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다면 상기 승화성 잉크 수상층도 사용할 수 있다.
초산비닐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덴키가카쿠고교(주) 상품명 사쿠놀 SN-04, 사쿠놀 SN-04S, 사쿠놀 SN-04D, 사쿠놀 SN-09A, 사쿠놀 SN-09T, 사쿠놀 SN-10, 사쿠놀 SN-10N, 사쿠놀 SN-17A, ASR CH-09, ASR CL-13, 클라리안토폴리머(주)제 모비닐 DC, 다이셀가세이힝(주)제 세비안A530, 세비안A700, 세비안A707, 세비안A710, 세비안A712 및 세비안A800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미츠이(三井), 듀퐁, 폴리케미컬(주)제 상품명 에바플렉쿠스45X, 에바플렉쿠스40, 에바플렉쿠스150, 에바플렉쿠스210, 에바플렉쿠스220, 에바플렉쿠스250, 에바플렉쿠스260, 에바플렉쿠스310, 에바플렉쿠스360, 에바플렉쿠스410, 에바플렉쿠스420, 에바플렉쿠스450, 에바플렉쿠스460, 에바플렉쿠스550, 에바플렉쿠스560, 클라리안토폴리머(주)제 모비닐081F, 스미토모가카구고교(주)제 에바테이토D3022, D3012, D4032, CV8030, 히로다인고교(주)제 히로다인1800-5, 히로다인1800-6, 히로다인1800-8, 히로다인3706, 히로다인4309, 코니시(주)제 본드CZ250, 본드CV3105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다이셀가세이힝(주)제 상품명 세비안 A45000, 세비안A45610, 세비안A46777, 세비안A4635, 미츠비시레이욘(주)제 다이야날BR-80, 다이야날BR-83, 다이야날BR-85, 다이야날BR-87, 다이야날BR-101, 다이야날BR-1002, 다이야날BR-105, 다이야날BR-106, 다이야날BR-50, 다이야날BR-52, 다이야날BR-60, 다이야날BR-73, 다이야날BR-75, 다이야날BR-77, 다이야날BR-80, 다이야날BR-82, 다이야날BR-83, 다이야날BR-85, 다이야날BR-87, 다이야날BR-88, 다이야날BR-95, 다이야날BR-100, 다이야날BR-108, 다이야날BR-113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도요보세키(주)제 바이론200, 바이론220, 바이론240, 바이론245, 바이론280, 바이론296, 바이론530, 바이론560, 바이론600, 바이론290, 바이로날MD1100, 바이로날MD1200, 바이로날MD1245, 바이로날MD1400, 바이로날GX-W27, 유니티카(주)제 에리테르UE-3300, 에리테르UE-3320, 에리테르UE-3350, 에리테르UE-3370, 에리테르UE-3380, 에리테르UE-3600, 에리테르UE-9600, 에리테르UE-3690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다이셀가세이힝(주)제 Solucote1051, Solucote1051-1, Solucote1054-1, Solucote1059 등을 들 수 있다.
수상층에 적합한 페녹시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유니온카바이드제 PKHH, PKHJ, PKHW-35, PKHW-35R, PXKS-6994, PXKS-7000, 동도화성(주)제 YP-50, YP-50S, YP-40ASM40, YP-50EK35, YPB-40AM40 등을 들 수 있다.
보호층 및 수상특성이 우수한 수상층은 각각 상술의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작성하고, 그라비어코팅, 리버스코팅, 다이코팅, 와이어바코팅, 핫멜트코팅 등의 방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열전사 기록매체는 기본적으로 지지체 상에 제 1 유리 전이점을 갖는 접착층 및 제 1 유리 전이점보다 높은 제 2 유리 전이점을 갖는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차례로 적층한 구성을 갖는다. 또, 열용융성 잉크의 유리 전이점을 "Tg"로 하고, 열접착온도를 "T"로 할 때, 제 1 유리 전이점(Tg1)은 Tg1≤T-80℃로 나타내고, 제 2 유리 전이점(Tg2)은 60℃≤Tg2≤Tg-50℃로 나타낸다.
여기에서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은 열용융성 잉크를 수용하고, 또한 예를 들면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임의의 기재 상에 접착할 수 있는 잉크 수용층겸 접착층으로서 기능한다. 또, 접착층은 열접착 시에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과 함께 접착 작용에 기여한다. 또, 지지체는 보호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 제 2 열전사 기록매체에서는 지지체와, 접착층과의 사이에 지지체와 박리 가능한 보호층을 설치할 수 있다. 단, 이 열전사 기록매체에서는 열접착 후, 지지체는 박리, 제거될 수 있다. 이 보호층으로서 예를 들면 상술의 제 1 열전사 기록매체에 관한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수지를 주로 포함하는 보호층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 보호층, 접착층 및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은 적용되는 기재가 불투명한 경우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열전사 기록매체에 의하면, 열용융성 잉크에 의한 화상 형성 시에는 제 1 유리 전이점(Tg1)보다 높고, 또한 60℃≤Tg2≤Tg-50℃로 나타내는 제 2 유리 전이점(Tg2)를 갖는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이 수용층으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중앙 빠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은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이 열용융성 잉크의 열전사 온도에서 적절한 접착력과 경도를 갖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제 2 열전사 기록매체를 원하는 기재에 열접착할 때에는 그 열접착 온도에서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과 함께 제 2 유리 전이점(Tg2)보다도 낮고, Tg1≤T-80℃로 나타내는 제 1 유리 전이점(Tg1)을 갖는 접착층도 용융하고, 열전사 기록매체의 기재로의 접착에 작용한다. 이 때문에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단독의 접착 작용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충분한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접착층의 유리 전이점이 열접착 온도 T-80℃보다 크면, 열접착 시에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고,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유리 전이점이 60℃미만이라면 고온 환경하에서의 보존 시에 필름끼리 융착한다. 또, 열용융성 잉크의 유리 전이점 Tg-50℃보다도 크면 열융착 잉크와의 접착력이 부족하게 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본 발명의 제 2 열전사 기록매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열전사 기록매체(30)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시트(31) 상에 Tg1≤T-80℃로 나타내는 유리 전이점(Tg1)을 갖는 접착층(32) 및 Tg1보다 높고, 또한 60℃≤Tg2≤Tg-50℃로 나타내는 제 2 유리 전이점(Tg2)을 갖는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33)이 차례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접착층 및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은 예를 들면 이 수지와 적합한 용제를 포함하는 수지도포액을 준비하고, 그라비어코팅, 리버스코팅, 다이코팅, 와이어바코팅, 핫멜트코팅 등 혼합수지를 도료화하여 도포·건조하는 방법 등등을 이용하여 도포액을 도포, 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열전사 기록매체(30)는 그 위에 열용융성 잉크에 의해 화상 형성한 후, 예를 들면 종이, 플라스틱 등의 기재에 열접착할 수 있다.
도 8에 열전사 기록매체(30)를 이용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제 2 인쇄물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인쇄물(37)은 예를 들면 종이로 이루어지는 기재(36) 상에 화상층(35),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33) 및 접착층(32)이 차례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인쇄물(37)은 예를 들면 열전사 기록매체(30)의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33) 표면에 임의의 패턴을 갖는 화상층(35)을 예를 들면 서멀헤드 등의 가열기록수단을 이용하여 열전사 기록하고, 다음에 열전사 기록매체(30)의 화상층(35) 상에 기재(36)를 배치하고 예를 들면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할 수 있는 히트로울러를 통하여 제 1 및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32, 33)을 전체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또는 원하는 패턴만 선택적으로 가열함으로써 기재(36) 상에 열전사 기록매체(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열접착할 수 있다. 그 후, 지지체(31)를 박리함으로써 불필요한 필름을 제거하고, 도 8에 도시한 인쇄물(37)이 얻어진다.
지지체(31)를 접착층으로부터 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지지체(31)와 접착층(32) 사이에 박리층을 설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열전사 기록매체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열전사 기록매체(40)는 지지체(31)와 접착층(32)과의 사이에 예를 들면 왁스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층(34)가 설치되어 있는 이외는 도 7에 도시한 열전사 기록매체(2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박리층(34)은 그라비어코팅, 리버스코팅, 다이코팅, 와이어바코팅, 핫멜트코팅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10에 열전사 기록매체(40)를 이용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제 2 인쇄물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인쇄물(47)은 접착층(32) 상에 박리층(34)이 설치되어 있는 이외는 도 8에 도시한 인쇄물(37)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인쇄물(47)에서는 지지체(31)가 박리되어 있지만, 지지체(31)를 박리시키지 않고서 보호층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인쇄물(47)에 있어서도 지지체(31)를 박리하지 않고서 보호층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이 경우에는 박리층(34) 대신에 이(易)접착층을 설치한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이접착층은 예를 들면 접착층 형성 시에 도포액의 용제에 의한 용해 또는 건조온도에서 지지체(31)를 접착층(32)에 충분히 접착할 수 있는 층을 말한다.
박리층에 이용하는 수지로서는 지지체와의 접착력이 적절하게 조절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력이 과도하게 크면, 열접착 후에 지지체가 박리하기 어렵게 되고, 원하는 제 1 및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의 기재 상에 남길 수 없게 된다. 또, 접착력이 과도하게 작으면, 지지체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지만, 열접착되지 않는 원하지 않는 제 1 및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도 남게 된다.
박리층에 적합한 적절한 접착력을 갖는 수지로서는 왁스수지, 초산비닐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수지, 아크릴수지, 실리콘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이들 각 수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왁스나 카르나바왁스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닛폰세이로(주)제 Hi-Mic-2065, Hi-Mic-1045, Hi-Mic-2045, PALVAX-1230, PALVAX-1330, PALVAX-1335, PALVAX-1430, BONTEX-0011, BONTEX-0100, BONTEX-2266 등을 들 수 있다.
초산비닐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덴키가가쿠고교(주) 사쿠놀SN-04, 사쿠놀SN-04S, 사쿠놀SN-04D, 사쿠놀SN-09A, 사쿠놀SN-09T, 사쿠놀SN-10, 사쿠놀SN-10N, 사쿠놀SN-17A, ASR CH-09, ASR CL-13, 클라리안토폴리머(주)제 모빌닐DC, 다이셀가세이힝(주)제 세비안A530, 세비안A700, 세비안A707, 세비안A710, 세비안A712, 세비안A800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미츠이듀퐁폴리케미컬(주)제 에바플렉쿠스45X, 에바플렉쿠스40, 에바플렉쿠스150, 에바플렉쿠스210, 에바플렉쿠스220, 에바플렉쿠스250, 에바플렉쿠스260, 에바플렉쿠스310, 에바플렉쿠스360, 에바플렉쿠스410, 에바플렉쿠스420, 에바플렉쿠스450, 에바플렉쿠스460, 에바플렉쿠스550, 에바플렉쿠스560, 클라리안토폴리머(주)제 모비닐081F, 스미토모가가쿠고교(주)제 에바테이트D3022, D3012, D4032, CV8030, 히로다인고교(주)제 히로다인1800-5, 히로다인1800-6, 히로다인1800-8, 히로다인3706, 히로다인4309, 코니시(주)제 본드CZ250, 본드CV3105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다이셀가세이힝(주)제 세비안A45000, 세비안A45610, 세비안A46777, 세비안A4635, 미츠비시레이욘(주)제 다이야날 BR-80, 다이야날 BR-83, 다이야날 BR-85, 다이야날 BR-87, 다이야날 BR-101, 다이야날 BR-102, 다이야날 BR-105, 다이야날 BR-106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도시바 실리콘(주)제 토스가도510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도요보세키(주) 바이론200, 바이론220, 바이론240, 바이론245, 바이론280, 바이론296, 바이론530, 바이론560, 바이론600, 바이로날MD1100, 바이로날MD1200, 바이로날MD1245, 바이로날MD1400, 바이로날GX-W27, 유니티카(주)제 에리테르UE-3300, 에리테르UE-3320, 에리테르UE-3350, 에리테르UE-3370, 에리테르UE-3380 등을 들 수 있다.
이접착층은 기재필름과 지지체와 접착층의 양쪽의 접착력이 우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지로서는 지지체와 접착층의 재질에 의해 바뀌지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이들 각 수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층의 재료로서는 열접착 온도(T)보다도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낮은 유리 전이점을 갖고, 또한 열접착의 대상이 되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의 기재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것이 선택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초산비닐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및 이들 각 수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수지로서는 상술의 박리층과 동일한 수지를 적정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미츠비시레이온(주)제 다이야날BR-53, 다이야날BR-64, 다이야날BR-79, 다이야날BR-90, 다이야날BR-93, 다이야날BR-101, 다이야날BR-102, 다이야날BR-105, 다이야날BR-106, 다이야날BR-107, 다이야날BR-112, 다이야날BR-115, 다이야날BR-116, 다이야날BR-117, 다이야날BR-118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도요보세키(주)제 바이론103, 바이론220, 바이론240, 바이론245, 바이론270, 바이론280, 바이론300, 바이론500, 바이론530, 바이론550, 바이론560, 바이론600, 바이론630, 바이론650, 유니티카(주) 에리테르UE-3300, 에리테르UE-3320, 에리테르UE-3350, 에리테르UE-3370 및 에리테르UE-3380 등을 들 수 있다.
초산비닐수지는 상술의 박리층에 사용되는 수지를 적정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다이셀가세이힝(주)제 Solucote1051, Solucote1051-1, Solucote1054-1, Solucote1059 등을 들 수 있다.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에 이용하는 수지로서는 접착층의 유리 전이점보다도 높고, 60℃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또한 열용융성 잉크의 유리 전이점보다도 50℃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낮은 유리 전이온도를 갖고, 또한 열용융성 잉크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것이 선택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수지로서는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페녹시수지 및 이들 각 수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수지는 구체적으로는 미츠비시 레이욘(주)제 다이야날BR-50, 다이야날BR-52, 다이야날BR-60, 다이야날BR-73, 다이야날BR-75, 다이야날BR-77, 다이야날BR-80, 다이야날BR-82, 다이야날BR-83, 다이야날BR-85, 다이야날BR-87, 다이야날BR-88, 다이야날BR-95, 다이야날BR-100, 다이야날BR-108, 다이야날BR-113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도요보세키(주)제 바이론290, 바이론296, 유니티카(주)제 에리테르UE-3600, 에리테르UE-9600, 에리테르UE-3690 등을 들 수 있다.
페녹시수지는 구체적으로는 유니온카바이드제 PKHH, PKHJ, PKHW-35, PKHW-35R, PXKS-6994, PXKS-700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열전사 기록매체는 지지체와, 지지체 상에 설치되어 제 1 수지성분 및 제 2 수지성분을 포함하는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구비한다.
제 1 수지성분은 16000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 및 열용융성 잉크의 유리 전이점을 "Tg"로 할 때 Tg-80℃ 이하의 유리 전이점(Tg1)을 갖는다.
제 2 수지성분은 16000 이하의 수평균 분자량 및 Tg-50℃ 이상의 유리 전이점(Tg2)을 갖는다.
제 1 수지성분과 제 2 수지성분과의 중량혼합비는 1:9~5:5이다.
이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에는 상기 유리 전이점(Tg)을 갖는 열용융성 잉크를 이용하여 화상층을 형성할 수 있다.
화상층이 형성된 열전사 기록매체를 기재 상에 전사하고, 지지체를 박리함으로써 기재와 기재 상에 설치되고, 유리 전이점(Tg)을 갖는 열용융성 잉크에 의해 형성된 화상층과, 화상층이 수상되고, 또한 화상층과 함께 기재 상에 접착된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갖는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지지체를 박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재, 기재 상에 설치되어 유리 전이점(Tg)을 갖는 열용융성 잉크에 의해 형성된 화상층, 화상층이 수상되고 또한 화상층과 함께 기재 상에 접착된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및 지지체를 갖는 인쇄물이 얻어진다. 이 지지체는 예를 들면 보호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 1 수지성분은 열접착 시에 제 2 수지성분과 함께 접착 작용에 기여한다. 이 때문에 제 1 수지성분 단독의 접착 작용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충분한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 수지성분은 또한 열용융성 잉크를 수용하는 기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수지성분과 상기 제 2 수지성분을 소정의 중량혼합비로 포함하는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이용함으로써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의 종이 등의 기재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하게 되고, 또한 화점의 중앙 빠짐 등을 발생하는 일 없이, 기록마다 화상농도가 안정하고 계조성이 풍부하며 고화질인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수지성분의 수평균 분자량이 16000 미만이며, 유리 전이점(Tg1)이 Tg-80℃를 넘으면,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의 기재에 대한 충분한 접착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제 1 수지성분은 그 수평균 분자량이 16000 내지 3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이 30000을 넘으면 충분한 접착 강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 제 1 수지성분은 그 유리 전이점이 -20℃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점이 -20℃ 미만이라면 화점 형상이 나빠지거나 계조특성이 나빠질 경향이 있다.
제 2 수지성분이 16000을 넘는 수평균 분자량 및 Tg-50℃ 미만의 유리 전이점(Tg2)을 가지면, 인화 시의 화점에서의 중앙 빠짐이 발생한다.
또, 제 2 수지성분은 그 수평균 분자량이 1500 내지 16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이 1500 미만이면 충분한 접착강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될 경향이 있다. 제 2 수지성분은 그 유리 전이점이 50 내지 1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점이 180℃를 넘으면 열접착 시에 막대한 열량이 필요하게 될 경향이 있다.
또한, 제 1 수지성분과 제 2 수지성분의 조합으로서는 각각 상술의 소정의 분자량 및 유리 전이점을 갖는 수지라면 서로 다른 유리 전이점 및 분자량을 갖는 동일한 종류의 수지의 조합 또는 다른 종류의 수지의 조합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에 본 발명의 제 3 열전사 기록매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열전사 기록매체(50)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시트(41) 상에 수평균 분자량이 16,000 이상, 16000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 및 열용융성 잉크의 유리 전이점을 "Tg"로 할 때 Tg-80℃ 이하의 유리 전이점을 갖는 제 1 성분과 제 2 수지성분이 수평균 분자량 16,000 이하인 동시에 유리 전이점 50℃ 이상이며, 상기 제 1 수지성분과 제 2 수지성분의 혼합비율이 1:9~5:5인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42)이 차례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이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42)은 예를 들면 이 수지와 적합한 용제를 포함하는 수지도포액을 조제하고, 이 수지도포액을 그라비어코팅, 리버스코팅, 다이코팅, 와이어바코팅 및 핫멜트코팅 등에 의해 도포 및 건조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도포액을 도포, 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열전사 기록매체(50)는 그 위에 열용융성 잉크에 의해 화상을 형성한 후, 예를 들면 종이, 플라스틱 등의 기재에 열접착할 수 있다.
도 12에 도 11에 도시한 열전사 기록매체(50)를 이용하여 얻어진 인쇄물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인쇄물(41)은 예를 들면 종이로 이루어지는 기재(44) 상에 열용융성 잉크에 의해 형성된 화상층(43) 및 적어도 2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층(42)이 차례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화상층(43)은 열전사 기록매체(50)의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42) 표면에 열용융성 잉크 리본을 적용하고, 예를 들면 서멀헤드 등의 가열기록수단을 이용하여 열전사 기록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화상층(43)의 형성 후, 화상층(43) 상에 종이로 이루어지는 기재(44)를 배치하고, 예를 들면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할 수 있는 히트로울러 등을 통하여,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42)을 전체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또는 예를 들면 핫스탬프기 등에 의해 원하는 패턴으로 선택적으로 가열함으로써 기재(44) 상에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42)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열접착할 수 있다. 그 후, 지지체(41)를 박리하면 도 12에 도시한 인쇄물(41)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3 열전사 기록매체에 있어서 지지체와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사이에 이접착층 및 박리층 중 하나의 중간층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기재 상에 열접착하고, 그 위에 설치된 지지체를 박리하여 제거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박리층을 설치함으로써 지지체와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과의 박리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지지체는 박리하지 않고서 보호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를 보호층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또한 이접착층을 설치함으로써 지지체와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과의 접착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지지체와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과의 사이, 박리층과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과의 사이, 지지체와 이접착층 사이에 추가로 보호층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으로서 예를 들면 제 1 열전사 기록매체에 사용되는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수지를 주로 포함하는 보호층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열전사 기록매체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열전사 기록매체(60)는 지지체(1)와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42)과의 사이에 예를 들면 왁스 및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층(45)이 설치되어 있는 이외는 도 11에 도시한 열전사 기록매체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박리층(45)은 예를 들면 그라비어코팅, 리버스코팅, 다이코팅, 와이어바코팅, 핫멜트코팅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 14에 도 13에 나타내는 열전사 기록매체(60)를 이용하여 얻어진 인쇄물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인쇄물(61)은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42) 상에 박리층(45)이 설치되어 있는 이외는 도 12에 도시한 인쇄물(5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여기에서는 박리층(45)이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42) 상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 박리층(45)은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42) 상에 부분적으로 잔류하여도 지지체(41)와 함께 박리 제거되어도 좋다. 제거되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인쇄물은 도 12에 도시한 인쇄물(5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열전사 기록매체의 또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열전사 기록매체(70)는 지지체(1)와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42) 사이에 예를 들면 에틸렌 초산 비닐수지 공중합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아크릴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접착층(45)이 설치되어 있는 이외는 도 11에 도시한 열전사 기록매체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박리층(45)은 예를 들면 그라비어코팅, 리버스코팅, 다이코팅, 와이어바코팅, 핫멜트코팅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 16에는, 도 13에 도시한 열전사 기록매체(60)를 이용하여 얻어진 인쇄물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인쇄물(71)은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42) 상에 박리층(46) 및 지지체(41)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는 이외는 도 12에 도시한 인쇄물(5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박리층에 이용하는 수지는 지지체와의 접착력이 적절하게 조절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력이 과도하게 크면, 열접착 후에 지지체를 박리하기 어려워진다. 또, 접착력이 과도하게 작으면, 지지체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지만,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에 열접착되지 않는 원하지 않는 수지층이 남는 경향이 있다.
박리층에 적합한 적절한 접착력을 갖는 재료로서는 왁스, 초산비닐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수지, 아크릴수지, 실리콘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이들 각 수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왁스나 카르나바왁스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닛폰세이로(주)제 Hi-Mic-2065, Hi-Mic-1045, Hi-Mic-2045, PALVAX-1230, PALVAX-1330, PALVAX-1335, PALVAX-1430, BONTEX-0011, BONTEX-0100, BONTEX-2266 등을 들 수 있다.
초산비닐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덴키가가쿠고교(주) 사쿠놀SN-04, 사쿠놀SN-04S, 사쿠놀SN-04D, 사쿠놀SN-09A, 사쿠놀SN-09T, 사쿠놀SN-10, 사쿠놀SN-10N, 사쿠놀SN-17A, ASR CH-09, ASR CL-13, 클라이안토폴리머(주)제 모비닐DC, 다이셀가세이힝(주)제 세비안A530, 세비안A700, 세비안A707, 세비안A710, 세비안A712, 세비안A800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미츠이듀퐁폴리케미컬(주)제 에바플렉쿠스45X, 에바플렉쿠스40, 에바플렉쿠스150, 에바플렉쿠스210, 에바플렉쿠스220, 에바플렉쿠스250, 에바플렉쿠스260, 에바플렉쿠스310, 에바플렉쿠스360, 에바플렉쿠스410, 에바플렉쿠스420, 에바플렉쿠스450, 에바플렉쿠스460, 에바플렉쿠스550, 에바플렉쿠스560, 클라리안토폴리머(주)제 모비닐081F, 스미토모가카쿠고교(주)제 에바테이트D3022, D3012, D4032, CV8030, 히로다인공업(주)제 히로다인1800-5, 히로다인1800-6, 히로다인1800-8, 히로다인3706, 히로다인4309, 코니시(주)제 본드CZ250, 본드CV 3105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다이셀가세이힝(주)제 세비안A45000, 세비안A45610, 세비안A46777, 세비안A4635, 미츠비시레이욘(주)제 다이야날BR-80, 다이야날BR-83, 다이야날BR-85, 다이야날BR-87, 다이야날BR-101, 다이야날BR-102, 다이야날BR-105, 다이야날BR-106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도시바실리콘(주)제 토스가도510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 도요보세키(주)제 바이론200, 바이론220, 바이론240, 바이론245, 바이론280, 바이론296, 바이론530, 바이론560, 바이론600, 바이로날MD1100, 바이로날MD1200, 바이로날MD1245, 바이로날MD1400, 바이로날GX-W27, 유니티카(주)제 에리테르UE-3300, 에리테르UE-3320, 에리테르UE-3350, 에리테르UE-3370, 에리테르UE-3380 등을 들 수 있다.
이접착층에는 기재필름과, 지지체와 수지층의 양쪽과의 충분한 접착력이 요구된다. 이 요구를 만족하는 재료로서는 지지체와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의 재료에 따라서 선택되고, 예를 들면 에틸렌-초산 비닐공중합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이들 각 수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수지로서는 미츠이·듀퐁·폴리케미컬(주)제 에바플렉쿠스45X, 에바플렉쿠스40, 에바플렉쿠스150, 에바플렉쿠스210, 에바플렉쿠스220, 에바플렉쿠스250, 에바플렉쿠스260, 에바플렉쿠스310, 에바플렉쿠스360, 에바플렉쿠스410, 에바플렉쿠스420, 에바플렉쿠스450, 에바플렉쿠스460, 에바플렉쿠스550, 에바플렉쿠스560, 클라이안토폴리머(주)제 모비닐081F, 스미토모가가쿠고교(주)제에바테이트D3022, D3012, D4032, CV8030, 히로다인고교(주)제 히로다인1800-5, 히로다인1800-6, 히로다인1800-8, 히로다인3706, 히로다인4309, 코니시(주)제 본드CZ250, 본드CV3105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수지로서는 미츠비시레이욘(주)제 다이야날BR-53, 다이야날BR-64, 다이야날BR-77, 다이야날BR-79, 다이야날BR-90, 다이야날BR-93, 다이야날BR-101, 다이야날BR-102, 다이야날BR-105, 다이야날BR-106, 다이야날BR-107, 다이야날BR-112, 다이야날BR-115, 다이야날BR-116, 다이야날BR-117, 다이야날BR-118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수지로서는 도요보세키(주)제 바이론103, 바이론220, 바이론240, 바이론245, 바이론270, 바이론280, 바이론300, 바이론500, 바이론530, 바이론550, 바이론560, 바이론600, 바이론630, 바이론650, 유니티카(주)제 에리테르UE-3300, 에리테르UE-3320, 에리테르UE-3350, 에리테르UE-3370, 에리테르UE-338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의 제 1 수지성분 및 제 2 수지성분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아크릴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수지성분과 제 2 수지성분의 조합이 아크릴수지와 폴리에스테르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폴리에스테르수지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폴리에스테르수지이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바이론300와 에리테르UE-3350이다.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에 이용되는 제 1 수지성분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미츠비시레이욘(주)제 다이야날BR-102, 다이야날BR-112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도요보세키(주)제 바이론300, 바이론500, 바이론530, 바이론550, 바이론560, 바이론630, 바이론650, 바이론GK130, 바이론GK330, 바이론BX1001, 바이론GM400, 바이론GM460, 바이론GM470, 바이론GM480, 바이론GM900, 바이론GM913, 바이론GM920, 바이론925, 바이론GM990, 바이론995, 바이론GA1300, 바이론GA3200, 바이론GA3410, 바이론GA5300, 바이론GA5410, 바이론GA6300, 바이론GA6400, 바이론30P, 바이론UR2300, 바이론UR3200, 바이론UR3210, 바이론UR8700, 바이론UR9500, 바이로날MD1930, 바이로날MD1985, 유니티카(주)제 에리테르UE-3220, 에리테르UE-3223, 에리테르UE-3230, 에리테르UE-3231, 에리테르UE-3400, 에리테르UE-3700 및 에리테르UE-3800 등을 들 수 있다.
제 2 수지성분에 이용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아크릴공중합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제 2 수지성분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도요보세키(주)제 바이론220, 바이론240, 바이론296, 바이론GK250, 바이로날MD1200, 바이로날MD1220, 바이로날MD1250, 바이로날MD1500, 유니티카(주)제 에리테르UE-9200, 에리테르UE-3690, 에리테르UE-3370, 에리테르UE-3380, 에리테르UE-3350, 에리테르UE-3300 등을 들 수 있다.
제 2 수지성분에 이용되는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수지로서는 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식회사제 에슬렉쿠PSE-0020, 에슬렉쿠PSE-0040, 에슬렉쿠PSE-0100, 에슬렉쿠PSE-0070, 에슬렉쿠PSE-1010 및 에슬렉쿠PSE-1035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폴리비닐부티랄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보호층을 갖는 열전사 기록매체의 예
실시예 1
지지체로서 두께가 25㎛의 투명 폴리에스테르필름(미츠비시화학폴리에스테르필름(주)제, 상품형번:다이아호일S100)을 준비하였다. 이 투명폴리에스테르필름의 한쪽면에 하기 조성의 보호층 도포액을 그라비어코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도막두께가 1㎛이 되도록 도포하였다. 그 후, 120℃에서 2분간, 가열 및 건조하여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보호층 도포액 1조성
메틸에틸케톤 92중량부
물 4중량부
폴리비닐부티랄수지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에슬렉쿠BL-3 4중량부
그 후, 얻어진 보호층 상에 하기 조성의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 도포액을 그라비어코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도막 두께가 6㎛이 되도록 도포하였다. 얻어진 도포막을 120℃에서 2분간, 가열, 건조하고,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을 형성하고, 열용융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를 얻었다.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 도포액 조성
메틸에틸케톤 40중량부
톨루엔 40중량부
도요보세키(주) 바이론240 20중량부
얻어진 열전사 기록매체의 수상층 상에 열용융성 잉크 리본을 이용하여 300dpi의 서멀헤드로 컬러화상을 기록하였다. 또한, 컬러화상이 형성된 수상층 상에 히가시레사제 카드기재를 맞닿게 하여 로울러온도 180도, 로울러 회전속도 1m/분으로 조정한 후지프라(주)제 라미네이터LPD2306City로 가열 가압함으로써 열접착하고, 그 후 지지체를 박리 제거함으로써 ID카드를 얻었다.
얻어진 ID카드에 대하여 각각 화점의 재현성과 염화비닐의 시트와의 융착성을 하기와 같이 시험, 평가하였다.
화점의 재현성 시험
화점의 재현성은 얻어진 ID카드의 컬러화상의 화점의 형상을 25배의 확대경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화점형상의 불균일이 작은 것을 ○, 화점형상의 불균일이 큰 것을 ×로 평가하였다.
염화비닐과의 융착성 시험
염화비닐과의 융착성은 얻어진 ID카드에 미츠비시가가쿠MKV(주)제 염화비닐 시트 알토론·올시즌#3300을 겹쳐, 15g/㎠의 하중을 가하고, 75℃로 조정된 항온조 내에서 24시간 보존한 후, 염화비닐시트와의 융착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염화비닐 시트와 ID가 융착한 것을 ○, 융착하지 않은 것을 ×로 평가하였다.
화점의 재현성 시험은 양호하였다.
또, 염화비닐과의 융착은 전혀 일어나지 않고, 융착성에 전혀 문제없었다.
이상의 평가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폴리비닐부티랄수지로서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에슬렉쿠BL-3 대신에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에슬렉쿠BL-S을 사용한 보호층 도포액(2)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ID카드를 얻었다.
얻어진 ID카드에 대하여 각각 화점의 재현성과 염화비닐의 시트와의 융착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 평가하였다.
화점의 재현성 시험은 양호하였다.
또, 염화비닐과의 융착은 전혀 일어나지 않고, 융착성에 전혀 문제없었다.
얻어진 평가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내지 4
하기 조성의 보호층 도포액 7 내지 10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건조 후의 도막 두께가 1㎛이 되는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보호층 도포액 9 내지 12조성
메틸에틸케톤 48중량부
톨루엔 48중량부
표 1에 기재된 각종 수지 4중량부
그 후, 얻어진 보호층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상층을 형성하고, 열용융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ID카드를 얻었다.
얻어진 ID카드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 평가를 실시한 결과, 화점의 재현성 시험은 양호하였지만 염화비닐과의 융착이 발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및 4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용 도요보세키(주)제 바이론240 대신에 승화성 잉크 수상층용 바이론200을 포함하는 승화성 잉크 수상층 도포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게 하여 보호층 상에 승화성 잉크 수상층을 형성하고, 각각 승화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를 얻었다.
열용융성 잉크 리본 대신에 승화성 잉크리본을 이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열전사 기록매체에 컬러화상을 형성하고, 각각 ID카드를 얻었다.
얻어진 각 ID카드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염화비닐의 융착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융착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또, 승화성 잉크에 의한 화상에 대하여 그 염료 확산시험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승화성 잉크의 염료확산시험
승화성 잉크의 염료확산은 얻어진 ID카드의 컬러화상의 염료의 확산상태를 25배의 확대경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화상이 시험 전과 변하지 않는 것을 "○", 염료가 확산하여 번져 보인 것을 "×"로 평가하였다.
얻어진 각 ID카드에는 염료의 확산은 보이지 않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내지 8
각각 상기 비교예 1 내지 4와 동일한 보호층 도포액을 사용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고 승화성 잉크 수상층을 형성하고, 승화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ID카드를 얻었다.
얻어진 ID카드에 대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 평가를 실시한 결과, 염화비닐과의 융착이 발생하고 염료의 확산이 보여졌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페녹시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보호층을 갖는 열전사 기록매체의 예
실시예 5
보호층 도포액(1) 대신에 하기 조성의 보호층 도포액(3)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ID카드를 얻었다.
얻어진 ID카드에 대하여 각각 화점의 재현성과 염화비닐의 시트와의 융착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 평가하였다.
화점의 재현성 시험은 양호하였다.
또, 염화비닐과의 융착은 전혀 일어나지 않고, 융착성에 전혀 문제없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6
페녹시수지로서 유니온카바이드사제 PKHH 대신에 유니온카바이드사제 PKHC를 사용한 보호층 도포액(2)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ID카드를 얻었다.
얻어진 ID카드에 대하여 각각 화점의 재현성과 염화비닐의 시트와의 융착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 평가하였다.
화점의 재현성 시험은 양호하였다.
또, 염화비닐과의 융착은 전혀 일어나지 않고, 융착성에 전혀 문제없었다.
얻어진 평가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및 8
실시예 3과 동일한 승화성 잉크 수상층 도포액을 사용하여 승화성 잉크 수상층을 형성하는 이외는 각각 실시예 5 및 6과 동일하게 승화성 잉크용 열전사기록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승화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컬러화상을 형성하고, ID카드를 얻었다.
얻어진 ID카드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염화비닐의 융착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융착은 일어나지 않았다.
또, 승화성 잉크에 의한 화상에 대하여 그 염료확산시험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한 결과, 염료의 확산에 의한 번짐은 보이지 않았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폴리비닐아세탈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보호층을 갖는 열전사 기록매체의 예
실시예 9
보호층 도포액(1) 대신에 하기 조성의 보호층 도포액(5)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ID카드를 얻었다.
보호층 도포액(5) 조성
메틸에틸케톤 92중량부
물 4중량부
폴리비닐아세탈수지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에슬렉쿠KS-1 4중량부
얻어진 ID카드에 대하여 각각 화점의 재현성과 염화비닐의 시트와의 융착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 평가하였다.
화점의 재현성 시험은 양호하였다.
또, 염화비닐과의 융착은 전혀 일어나지 않고, 융착성에 전혀 문제없었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폴리비닐아세탈수지로서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에슬렉쿠KS-1 대신에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에슬렉쿠KX-1을 사용한 보호층 도포액(6)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ID카드를 얻었다.
얻어진 ID카드에 대하여 각각 화점의 재현성과 염화비닐의 시트와의 융착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 평가하였다.
화점의 재현성 시험은 양호하였다.
또, 염화비닐과의 융착은 전혀 일어나지 않고, 융착성에 전혀 문제없었다.
얻어진 평가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및 12
각각 실시예 9 및 10과 동일한 보호층 도포액을 사용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승화성 잉크 수상층을 형성하고, 승화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ID카드를 얻었다.
얻어진 ID카드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염화비닐의 융착성 시험을 실시한 바 융착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또, 승화성 잉크에 의한 화상에 대하여 그 염료확산시험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한 결과, 염료의 확산에 의한 번짐은 보이지 않았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보호층용 수지 화점재현성 염화비닐과의 융착성
실시예 1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에슬렉쿠BL-3(폴리비닐부티랄수지)
2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에슬렉쿠BL-S(폴리비닐부티랄수지)
비교예 1 도요보세키(주)제 바이론290(폴리에스테르수지) ×
2 유니티카(주)제 에리테르UE-3320(폴리에스테르수지) ×
3 미츠비시레이욘(주)제 다이야날BR-87(아크릴수지) ×
4 덴키가가쿠고교(주)제 사쿠놀SN-09T(초산비닐수지) ×
보호층용 수지 염화비닐과의 융착성 염료의 확산
실시예 3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에슬렉쿠BL-3(폴리비닐부티랄수지)
4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에슬렉쿠BL-S(폴리비닐부티랄수지)
비교예 5 도요보세키(주)제 바이론290(폴리에스테르수지) ×
6 유니티카(주)제 에리테르UE-3320(폴리에스테르수지) ×
7 미츠비시레이욘(주)제 다이야날BR-87(아크릴수지) ×
8 덴키가가쿠고교(주)제 사쿠놀SN-09T(초산비닐수지) ×
보호층용 수지 화점재현성 염화비닐과의 융착성
실시예 5 유니온카바이드제 PKHH(페녹시수지)
6 유니온카바이드제 PKHC(페녹시수지)
보호층용 수지 염화비닐과의 융착성 염료의 확산
실시예 7 유니온카바이드제 PKHH(페녹시수지)
8 유니온카바이드제 PKHC(페녹시수지)
보호층용 수지 화점재현성 염화비닐과의 융착성
실시예 9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에슬렉쿠KS-1(폴리비닐아세탈수지)
10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에슬렉쿠KX-1(폴리비닐아세탈수지)
보호층용 수지 염화비닐과의 융착성 염료의 확산
실시예 11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에슬렉쿠KS-1(폴리비닐아세탈수지)
12 세키스이가가쿠(주)제 에슬렉쿠KX-1(폴리비닐아세탈수지)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원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부티랄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한 열용융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형성하면, 화점 재현성이 양호하며, 염화비닐과의 융착도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원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부티랄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한 승화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형성하면, 염료의 확산이 발생하지 않고, 염화비닐과의 융착도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원 발명에 관한 페녹시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한 열용융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형성하면, 화점 재현성이 양호하며, 염화비닐과의 융착도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원 발명에 관한 페녹시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한 승화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형성하면, 염료의 확산이 발생하지 않고, 염화비닐과의 융착도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원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한 열용융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형성하면, 화점 재현성이 양호하며, 염화비닐과의 융착도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원 발명에 관한 폴리비닐아세탈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한 승화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형성하면, 염료의 확산이 발생하지 않고 염화비닐과의 융착도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비교예 1 내지 4와 같이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수지 이외의 수지를 이용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열용융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형성하면, 염화비닐과의 융착이 발생하고, 장기 보존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상기 표 2에 나타내는 비교예 5 내지 8과 같이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수지 이외의 수지를 이용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승화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형성하면, 염화비닐과의 융착 및 염료의 확산이 발생하여 장기보존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수지를 주로 포함하는 보호층을 구비한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함으로써 염화비닐 등의 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수지와 겹쳐서 보존하여도 수지와의 융착 및 화상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고, 장기간 안정하게 보존 가능한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 내지 22, 비교예 9 내지 13
에슬렉쿠BL-3 4중량부 대신에 하기 표 7에 나타내는 중량비로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열용융성 잉크용 열전사 기록매체 및 ID카드를 얻었다.
얻어진 ID카드에 대하여 각각 화점의 재현성과 염화비닐의 시트와의 융착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험,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낸다.
보호층 수지 중량비 염화비닐과의융착성
제 1 성분 제 2 성분
실시예 13 유니온카바이드제PKHH(페녹시수지)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90(폴리에스테르수지) 8:2
14 상동 상동 5:5
15 상동 미츠비시레이욘(주)제다이야날BR-87(아크릴수지) 8:2
16 상동 상동 5:5
17 상동 덴키가카구고교(주)제사쿠놀SN-09T(초산비닐수지) 8:2
18 상동 상동 5:5
19 세키스이가가쿠(주)제에슬렉쿠BL-3(폴리비닐부티랄수지)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90(폴리에스테르수지) 8:2
20 상동 상동 5:5
21 세키스이가가쿠(주)제에슬렉쿠KS-1(폴리비닐아세탈수지)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90(폴리에스테르수지) 8:2
22 상동 상동 5:5
비교예 9 유니온카바이드제PKHH(페녹시수지)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90(폴리에스테르수지) 4:6 ×
10 상동 미츠비시레이욘(주)제다이야날BR-87(아크릴수지) 4:6 ×
11 상동 덴키가가쿠고교(주)제사쿠놀SN-09T(초산비닐수지) 4:6 ×
12 세키스이가가쿠(주)제에슬렉쿠BL-3(폴리비닐부티랄수지)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90(폴리에스테르수지) 4:6 ×
13 세키스이가가쿠(주)제에슬렉쿠KS-1(폴리비닐아세탈수지)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90(폴리에스테르수지) 4:6 ×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수지를 50중량%, 80중량% 포함하는 보호층은 가소성 재료와의 융착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지만, 50중량% 미만 예를 들면 40중량%이면 융착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상층과 접착층을 설치한 열전사 기록매체
실시예 23 및 24
이접착층이 형성된 두께 25㎛의 투명폴리에스테르필름(히가시레(주)제, 상품형번:루미라Q27)을 준비하고, 그 한쪽면에 하기 조성의 접착층 도포액을 그라비어코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도막두께가 6㎛가 되도록 도포하여 120℃에서 2분간, 가열·건조하여 열접착 온도(본 실시예에서는 약 150℃)보다 80도 이상 낮은 유리전이 온도를 갖는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접착층 도포액
메틸에틸케톤 40중량부
톨루엔 40중량부
하기 표 8에 기재된 각종 수지 20중량부
다음에 접착층 상에 다음 조성의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도포액을 그라비어코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도막 두께가 0.2㎛가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2분간, 가열·건조하고 60℃ 이상이며, 또한 열용융성 잉크의 유리 전이점보다도 50℃ 이상 낮은 유리 전이점을 갖는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형성하고, 열전사 기록매체를 얻었다.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도포액
메틸에틸케톤 48중량부
톨루엔 48중량부
표 8에 기재된 각종 수지 4중량부
이상과 같이 하여 얻은 열전사 기록매체의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상에 시판의 열용융형 잉크리본을 이용하여 600dpi의 서멀헤드로 컬러화상을 기록하였다.
그 후, 이 열전사 기록매체를 로울러 온도 180도, 로울러 회전속도 1m/분으로 조정한 후지프라(주)제 라미네이터 LPD2306City를 이용하여 시판의 PPC용지에 열접착함으로써 PPC용지에 최종적인 화상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화상에 대하여 화점형상, 기록화상 농도의 재현성과 접착강도를 비교하였다.
화점형상의 평가
얻어진 화상에 대하여 화점의 형상을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화점의 중앙빠짐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중앙빠짐이 없는 경우를 ○, 있는 경우를 ×로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낸다.
접착강도의 평가
열접착 후, 지지체를 박리하는 것으로는 접착 테이프에 의한 테이프 박리시험을, 지지체를 박리하지 않은 것으로는 강제적으로 지지체를 박리하는 필링시험을 실시함으로써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테이프 박리시험에서는 박리한 테이프에 수지층이 부착하고 있지 않다면 합격, 필링시험에서는 박리한 필름에 기재(종이)가 부착하고 있다면 합격이라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낸다.
비교예 14 내지 17
하기의 조성의 도포액을 각각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23과 동일하게 하여 건조 후의 도막 두께가 6㎛가 되도록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접착층 도포액
메틸에틸케톤 40중량부
톨루엔 40중량부
표 7에 기재된 각종 수지 20중량부
그 후, 하기 조성의 도포액을 각각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23과 동일하게 하여 건조 후의 도막 두께가 0.2㎛이 되는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도포액
메틸에틸케톤 48중량부
톨루엔 48중량부
표 7에 기재된 각종 수지 4중량부
실시예 25 및 26, 비교예 18 내지 21
두께가 25㎛의 투명 폴리에스테르필름(히가시레(주)제, 상품형번: 루미라S10)의 한쪽면에 다음 조성의 수지액을 그라비어코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도막 두께가 1㎛가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2분간, 가열·건조하고 박리층을 형성하였다.
박리층 도포액조성
메틸에틸케톤 35중량부
톨루엔 35중량부
초산비닐수지(다이셀가세이힝(주)제 상품명:세비안A700) 20중량부
폴리에스테르수지(도요보세키(주)제 상품명:바이론220) 10중량부
다음에, 이 박리층 상에 각각 실시예 23, 24, 비교예 14 내지 17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층 및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형성하고, 열전사 기록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하게 하여 PPC용지에 최종적인 화상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화상에 대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하게 하여 화점형상, 기록화상농도의 재현성과 접착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낸다.
제 1 층(기재필름측) 제 2 층(표면측) 중앙빠짐 접착강도
실시예 23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20(TG=53℃)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90 (TG=72℃) 없음
24 유니티카(주)제에리테르UE-3320(TG=40℃) 유니온카바이드(주)제PKHC(TG=100℃) 없음
비교예 14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90(TG=72℃)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20(TG=63℃) 있음
15 유니온카바이드(주)제PKHC(TG=100℃) 유니티카(주)제에리테르UE-3320(TG=40℃) 있음
16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90(TG=72℃) 없음 없음 ×
17 유니티카(주)제에리테르UE-3320(TG=40℃) 없음 있음
제 2 층(박리층측) 제 3 층(표면측) 중앙빠짐 접착강도
실시예 25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20(TG=53℃)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90 (TG=72℃) 없음
26 유니티카(주)제에리테르UE-3320(TG=40℃) 유니온카바이드(주)제PKHC(TG=100℃) 없음
비교예 18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90 (TG=72℃)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20(TG=53℃) 있음
19 유니온카바이드(주)제PKHC(TG=100℃) 유니티카(주)제에리테르UE-3320(TG=40℃) 있음
20 도요보세키(주)제바이론290(TG=72℃) 없음 없음 ×
21 유니티카(주)제에리테르UE-3320(TG=40℃) 없음 있음
상술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 열전사 기록매체에 의하면, 열용융 잉크로 기록한 화상의 화점의 중앙빠짐이 생기는 일 없이, 안정된 기록화상농도의 재현이 가능하고, 원하는 기재에 대하여 우수한 접착성을 갖는 열전사 기록매체를 얻을 수 있다.
제 1 수지성분과 제 2 수지성분을 포함하는 수상층겸 접착층을 갖는 열전사 기록매체의 예
실시예 27 내지 29, 비교예 22 내지 27
이접착층이 형성된 두께 25㎛의 투명 폴리에스테르필름(히가시레(주)제, 삼품형번:루미라-Q27)을 준비하고, 그 폴리에스테르필름 표면에 하기 조성의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도포액(1)을 그라비어코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도막두께가 6㎛가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2분간, 가열·건조하여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형성하고, 열전사 기록매체를 얻었다.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도포액 1
메틸에틸케톤 40중량부
톨루엔 40중량부
하기 표 10에 기재된 비율로 혼합된 제 1 및 제 2 수지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혼합수지 20중량부
얻어진 열전사 기록매체의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상에 시판의 열용융성 잉크리본을 적용하고, 600dpi의 서멀헤드로 컬러화상을 기록하고 화상층을 얻었다.
그 후, 이 화상층 상에 시판의 PPC용지를 적용하고, 로울러 온도 180도, 로울러 회전속도 1m/분으로 조정한 후지프라(주)제 라미네이터LPD2306City를 통하여열전사 기록매체와 PPC용지를 열접착하고 인쇄물을 얻었다.
얻어진 인쇄물에 대하여 화점형상, 열전사 기록매체와 PPC용지와의 접착강도를 실시예 23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접착층에 의해 지지체를 접착하여 인쇄물을 얻고 있지만 지지체를 박리하여 인쇄물을 얻는 경우에는 접착테이프에 의한 테이프박리시험을 대용할 수 있다. 테이프박리시험에서는 박리한 테이프에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이 부착하고 있지 않는 경우를 ○, 부착하고 있는 경우를 ×로 할 수 있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낸다.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비율 화점형상 접착강도
제 1 수지성분 제 2 수지성분
실시예 27 도요보세키제 바이론300수평균 분자량:23000유리 전이점:7℃ 도요보세키제 바이론220수평균 분자량:3000유리 전이점:53℃ 1:9
28 상동 상동 3:7
29 상동 상동 5:5
비교예 22 상동 상동 0.5:9.5 ×
23 상동 상동 6:4 ×
24 없음 상동 - ×
25 도요보세키제 바이론290수평균 분자량:22000유리 전이점:72℃ 상동 5:5 ×
26 도요보세키제 바이론300수평균 분자량:23000유리 전이점:7℃ 유니티카제UE3320수평균 분자량:1800유리 전이점:40℃ 5:5 ×
27 상동 도요보세키제 바이론290수평균 분자량:22000유리 전이점:72℃ 5:5 ×
실시예 30 내지 32, 비교예 28 내지 33
두께가 25㎛의 투명폴리에스테르필름(히가시레(주)제, 상품형번:루미라S10)을 준비하고, 그 한쪽면에 하기 조성의 박리층 도포액을 그라비어코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도막 두께가 1㎛가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2분간, 가열·건조하여 박리층을 형성하였다.
박리층 도포액 조성
메틸에틸케톤 35중량부
톨루엔 35중량부
초산비닐수지(다이셀가세이힝(주)제 상품명:세비안A700) 20중량부
폴리에스테르수지(도요보세키(주)제 상품명:바이론220) 10중량부
다음에 이 박리층 상에 각각 실시예 27 내지 29, 비교예 22 내지 27과 동일하게 하여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형성하고, 열전사 기록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27과 동일하게 하여 인쇄물을 얻었다.
얻어진 화상에 대하여 실시예 27과 동일하게 하여 화점형상 및 접착강도를 시험,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낸다.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비율 화점형상 접착강도
제 1 수지성분 제 2 수지성분
실시예 30 도요보세키제 바이론500수평균분자량:23000유리전이점:4℃ 도요보세키제 바이론296수평균분자량:14000유리전이점:71℃ 1:9
31 상동 상동 3:7
32 상동 상동 5:5
비교예 28 상동 상동 0.5:9.5 ×
29 상동 상동 6.4 ×
30 없음 상동 - ×
31 도요보세키제 바이론270수평균분자량:23000유리전이점:67℃ 상동 5:5 ×
32 도요보세키제 바이론500수평균분자량:23000유리전이점:4℃ 유니티카제 UE3320수평균분자량:8000유리전이점:45℃ 5:5 ×
33 상동 도요보세키제 바이론270수평균분자량:23000유리전이점:67℃ 5:5 ×
상기 표 10 및 표 11에서 알 수 있듯이,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에 이용되는 제 1 수지성분 및 제 2 수지성분의 분자량, 유리 전이점 및 그 혼합비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면, 화점형상에 중앙빠짐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기록화상 농도의 재현성이 양호해지며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비교예 22, 23, 28 및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수지성분이 너무 많으면, 접착강도가 저하하고, 제 2 수지성분이 너무 많아지면, 화점에 중앙빠짐을 생기게 하며 기록화상 농도의 재현성이 악화하였다. 또, 비교예 25 및 31과 같이 제 1 수지성분의 유리 전이점이 너무 높아지면 접착 강도가 저하하고, 비교예 26 및 32와 같이 제 2 수지성분의 분자량이 너무 낮아지면, 화점에 중앙빠짐을 생기게 하고 기록화상 농도의 재현성이 악화하였다. 또한, 비교예 22 및 28과 같이 제 2 수지성분의 분자량이 너무 높아지면, 접착강도가 저하하였다. 또한, 비교예 24 및 30과 같이 제 1 수지성분을 사용하지 않으면 접착강도가 저하하였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의 제 1 및 제 2 수지성분 중 어느 하나가 빠져 있어도, 또 제 1 및 제 2 수지성분의 분자량, 유리 전이점 및 그 혼합비 중 어느 하나라도 본 발명의 범위 외라면, 양호한 화점형상, 기록화상의 재현성 및 충분한 접착강도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추가적인 이점 및 변형예를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더 폭넓은 측면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상세 설명 및 대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및 그에 상당하는 것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형예가 만들어질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본 발명 제 3 열전사 기록매체, 열용융성 잉크로 기록한 화상의 화점의 중앙빠짐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안정된 기록화상 농도의 재현이 가능하고, 계조성이 풍부한 고화질인 화상을 형성할 수 있고, 또 기재로의 접착성이 충분하다.
또, 이 열전사기록매체를 이용함으로써 열용융성 잉크로 기록한 화상에서 화점의 중앙빠짐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안정된 기록화상 농도의 재현이 가능하며, 계조성이 풍부한 고화질한 화상을 갖는 본 발명의 제 3 인쇄물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열전사 기록매체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인쇄물의 일례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인쇄물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열전사 기록매체의 다른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인쇄물의 다른 일례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인쇄물의 다른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열전사 기록매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인쇄물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열전사 기록매체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인쇄물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열전사 기록매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열전사 기록매체(50)를 이용하여 얻어진 인쇄물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열전사 기록매체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얻어진 인쇄물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열전사 기록매체의 또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및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열전사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얻어진 인쇄물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지체 2: 보호층
3: 수상층 6: 잉크 리본 지지체
7: 승화성 잉크층 8: 잉크 리본
9: 서멀헤드 10: 인쇄물

Claims (22)

  1.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되어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수지를 주로 포함하는 보호층, 및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보호층 상에 열접착 가능하고 동시에 열용융성인 잉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화상을 수용하는 수상층(受像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에폭시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염화비닐에 대하여 내융착성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4.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되어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수지를 주로 포함하는 보호층, 및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보호층 상에 열접착 가능하고 동시에 승화성인 잉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화상을 수용하는 수상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에폭시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염화비닐에 대하여 내융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7.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수지를 주로 포함하는 보호층, 상기 보호층 상에 적층된 열접착 가능한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 상기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 상에 수상(受像)된 열용융성 잉크화상, 및 상기 열용융성 잉크화상을 통하여 상기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과 열접착된 기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에폭시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염화비닐에 대하여 내융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10.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수지를 주로 포함하는 보호층, 상기 보호층 상에 적층된 열접착 가능한 승화성 잉크 수상층, 상기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 상에 수상된 승화성 잉크화상, 및 상기 승화성 잉크화상을 통하여 상기 승화성 잉크 수상층과 열접착된 기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에폭시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염화비닐에 대하여 내융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13.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된 제 1 유리 전이점(Tg1)를 갖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되어 제 1 유리 전이점(Tg1)보다 높은 제 2 유리 전이점(Tg2)을 갖는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열용융성 잉크의 유리 전이점을 "Tg"로 하고, 열접착온도를 "T"로 할 때, 상기 제 1 유리 전이점(Tg1)은 Tg1≤T-80℃로 나타내고,
    상기 제 2 유리 전이점(Tg2)은 60℃≤Tg2≤Tg-50℃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접착층 사이에 이(易)접착층 또는 박리층에서 이루어지는 중간층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리 전이점(Tg1)은 T-100℃≤Tg1≤T-80℃로 나타내고, 상기 제 2 유리 전이점(Tg2)은 70℃≤Tg2≤Tg-60℃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16. 열용융성 잉크를 이용하여 기록하기 위한 열전사 기록매체로서,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에 설치되어 적어도 제 1 수지성분 및 제 2 수지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지성분은 16000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 및 상기 열용융성 잉크의 유리 전이점을 "Tg"로 할 때 Tg-80℃ 이하의 유리 전이점을 갖고, 상기 제 2 수지성분은 16000 이하의 수평균 분자량 및 Tg-50℃ 이상의 유리 전이점을 갖고, 제 1 수지성분과 제 2 수지성분과의 중량혼합비가 1:9~5:5인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성분은 그 수평균 분자량이 16000 내지 30000이며, 그 유리 전이점이 -20℃ 내지 20℃이며, 상기 제 2 수지성분은 그 수평균 분자량이 1500 내지 16000이며, 그 유리 전이점이 50 내지 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사이에 이접착층 및 박리층 중 하나의 중간층을 추가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아크릴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매체.
  20. 기재, 열용융성 잉크 화상층, 및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을 구비하는 인쇄물에 있어서,
    상기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은 16000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 및 열용융성 잉크의 유리 전이점을 "Tg"로 할 때 Tg-80℃ 이하의 유리 전이점(Tg1)을 갖는 제 1 수지성분 및 16000 이하의 수평균 분자량 및 Tg-50℃ 이상의 유리 전이점(Tg2)을 갖는 상기 제 2 수지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지성분과 제 2 수지성분과의 중량 혼합비가 1:9~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 상에 추가로 보호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22. 제 21 항에 있어서,
    열용융성 잉크 수상층겸 접착층과 보호층 사이에 추가로 이접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KR10-2002-0033633A 2001-06-18 2002-06-17 열전사 기록매체와 인쇄물 KR100483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83649A JP2002370464A (ja) 2001-06-18 2001-06-18 熱転写記録媒体
JPJP-P-2001-00183649 2001-06-18
JP2001285475A JP2003089278A (ja) 2001-09-19 2001-09-19 熱転写記録媒体及び印刷物
JPJP-P-2001-00285815 2001-09-19
JP2001285815A JP2003094844A (ja) 2001-09-19 2001-09-19 熱転写記録媒体及び印刷物
JPJP-P-2001-00285475 2001-09-19
JPJP-P-2001-00376039 2001-12-10
JP2001376039A JP2003170668A (ja) 2001-12-10 2001-12-10 熱転写記録媒体及び印刷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942A KR20020096942A (ko) 2002-12-31
KR100483040B1 true KR100483040B1 (ko) 2005-04-18

Family

ID=2748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633A KR100483040B1 (ko) 2001-06-18 2002-06-17 열전사 기록매체와 인쇄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30186031A1 (ko)
EP (2) EP1270256B1 (ko)
KR (1) KR100483040B1 (ko)
AT (2) ATE326355T1 (ko)
DE (2) DE60215478T2 (ko)
ES (2) ES2274158T3 (ko)
PT (2) PT1378370E (ko)
TW (1) TWI2211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04207C (zh) * 2001-10-01 2007-03-14 派拉迪格玛有限公司 制造片形介质的方法及其所得的片形介质和使所述片形介质着墨的方法
US7745065B2 (en) * 2005-06-02 2010-06-29 Dai Nippon Printing Co., Ltd. Volume hologram transfer foil, and volume hologram multilayer structure
AU2006275682A1 (en) * 2005-07-28 2007-02-08 High Voltage Graphics, Inc. Flocked articles incorporating a porous film
JP4468908B2 (ja) * 2006-02-28 2010-05-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熱転写受像シート製造用塗布組成物および感熱転写受像シート
GB0615650D0 (en) * 2006-08-07 2006-09-13 Sun Chemical Bv An etching or plating process and resist ink
WO2008101115A1 (en) 2007-02-14 2008-08-21 High Voltage Graphics, Inc. Sublimation dye printed textile
EP3409496B1 (en) * 2010-08-31 2020-03-11 Dai Nippon Printing Co., Ltd.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JP5655858B2 (ja) * 2010-09-16 2015-01-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及びテープ印字装置
JP5820266B2 (ja) * 2011-12-26 2015-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導波路形成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導波路
JP2016502470A (ja) 2012-10-12 2016-01-28 ハイ ボルテイジ グラフィ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High Voltage Graphics,Inc. 熱融着可能な可撓性の装飾品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EP4042221A4 (en) * 2019-10-02 2023-11-15 ChemImage Corporation FUSION OF MOLECULAR CHEMICAL IMAGING WITH RGB IMAGIN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754A (ko) * 1992-08-24 1994-03-12 나가이 야타로 승화형 감열성 전사 기록방법용 수상 시이트
JPH07156567A (ja) * 1993-12-10 1995-06-20 Dainippon Printing Co Ltd 保護層転写フィルム及び印画物
JPH07276802A (ja) * 1994-04-13 1995-10-24 Konica Corp 画像形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受像材料
JPH1111027A (ja) * 1997-06-25 1999-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受像シート
KR19990033135A (ko) * 1997-10-23 1999-05-15 장용균 열전사 기록 매체
JP2000309170A (ja) * 1999-02-25 2000-11-07 Oji Paper Co Ltd 熱転写受容シート
JP2001047750A (ja) * 1999-08-11 2001-02-20 Oji Paper Co Ltd 熱転写受容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0480A (en) * 1985-02-28 1988-01-19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Sheet for heat transference
US5270285A (en) * 1965-02-28 1993-12-14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Sheet for heat transference
US4837200A (en) * 1987-07-24 1989-06-06 Kanzaki Paper Manufacturing Co., Ltd. Image-receiving sheet for thermal transfer printing
US5169468A (en) * 1990-07-20 1992-12-08 Graphics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Acceptor sheet for wax thermal mass transfer printing
JP2884868B2 (ja) * 1991-12-27 1999-04-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熱転写記録方法及びその記録方法に使用される中間シート
US5580693A (en) * 1992-06-03 1996-12-03 Konica Corporation Light-heat converting type heat mode recording process wherein the recording material comprises a deformable layer, while the ink layer or the image receiving layer contains a matting agent
US5372987A (en) * 1992-09-17 1994-12-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ermal receptor sheet and process of use
US5395720A (en) * 1994-03-24 1995-03-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ye receptor sheet for thermal dye and mass transfer imaging
US5759954A (en) * 1994-10-20 1998-06-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fer member and thermal transfer printing method
JPH0911651A (ja) * 1995-06-30 1997-01-14 Fuji Photo Film Co Ltd 熱転写用受像シート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5821028A (en) * 1996-04-12 1998-10-13 Konica Corporation Thermal transfer image receiving material with backcoat
JP3649855B2 (ja) * 1996-05-29 2005-05-18 株式会社リコー 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754A (ko) * 1992-08-24 1994-03-12 나가이 야타로 승화형 감열성 전사 기록방법용 수상 시이트
JPH07156567A (ja) * 1993-12-10 1995-06-20 Dainippon Printing Co Ltd 保護層転写フィルム及び印画物
JPH07276802A (ja) * 1994-04-13 1995-10-24 Konica Corp 画像形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受像材料
JPH1111027A (ja) * 1997-06-25 1999-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受像シート
KR19990033135A (ko) * 1997-10-23 1999-05-15 장용균 열전사 기록 매체
JP2000309170A (ja) * 1999-02-25 2000-11-07 Oji Paper Co Ltd 熱転写受容シート
JP2001047750A (ja) * 1999-08-11 2001-02-20 Oji Paper Co Ltd 熱転写受容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15478D1 (de) 2006-11-30
PT1378370E (pt) 2006-12-29
DE60211417D1 (de) 2006-06-22
ATE342809T1 (de) 2006-11-15
US20050101483A1 (en) 2005-05-12
EP1270256B1 (en) 2006-05-17
EP1378370A3 (en) 2004-03-17
DE60211417T2 (de) 2006-11-09
ES2263708T3 (es) 2006-12-16
EP1378370B1 (en) 2006-10-18
US20030186031A1 (en) 2003-10-02
TWI221127B (en) 2004-09-21
ATE326355T1 (de) 2006-06-15
PT1270256E (pt) 2006-07-31
EP1378370A2 (en) 2004-01-07
EP1270256A3 (en) 2004-04-07
DE60211417T8 (de) 2007-02-15
KR20020096942A (ko) 2002-12-31
US7138359B2 (en) 2006-11-21
DE60215478T2 (de) 2007-06-14
ES2274158T3 (es) 2007-05-16
EP1270256A2 (en) 200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5524A (en) Heat transfer printing sheet
EP0500372B1 (en) Thermal transfer image recording material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US6890623B2 (en) Printed product and method for forming
KR100483040B1 (ko) 열전사 기록매체와 인쇄물
JPH0752522A (ja) 中間転写記録媒体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3800568B2 (ja) 保護層転写シート
JP4415514B2 (ja) 熱転写記録媒体とそれを用いた熱転写記録方法
JPH04344289A (ja) 画像記録体および画像記録体作成方法並びに画像記録体作成装置
JPS60225795A (ja) 感熱転写記録媒体
JP4469735B2 (ja) 熱転写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物
JP2007237516A (ja) 熱転写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物
JP4282347B2 (ja) 熱転写記録媒体及び印刷物
JP2006256266A (ja) 熱転写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物
JP2967538B2 (ja) 熱転写シート及びカードの製造方法
JP2002370464A (ja) 熱転写記録媒体
JP2006001045A (ja) 熱転写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物
JP2005178205A (ja) 熱転写記録媒体及び印刷物
JP2003094844A (ja) 熱転写記録媒体及び印刷物
JP2003089278A (ja) 熱転写記録媒体及び印刷物
JP2003326862A (ja) 熱転写記録媒体及び印刷物
JP2000108526A (ja) 感熱転写画像保護媒体
JPH07172074A (ja) 被転写体及び熱転写記録方法
JPH08282136A (ja) 昇華熱転写インクリボン
JP2003170668A (ja) 熱転写記録媒体及び印刷物
JP2017065069A (ja) 印画物の製造方法、及び、印画物の滲み抑制処理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