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283B1 - 화상 통신 장치,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통신 방법, 화상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통신 장치,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통신 방법, 화상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283B1
KR100477283B1 KR10-2002-0031038A KR20020031038A KR100477283B1 KR 100477283 B1 KR100477283 B1 KR 100477283B1 KR 20020031038 A KR20020031038 A KR 20020031038A KR 100477283 B1 KR100477283 B1 KR 100477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ion
image
transmission
processing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813A (ko
Inventor
모리따히로야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2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14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12Attaching image data to computer messages, e.g. to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14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transmission
    • H04N1/00217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transmission only involving computer data transmission protocols, e.g. SMTP, WAP or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통신 장치,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통신 방법,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환 전 화상에 대응하는 변환 결과 화상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변환 전 화상에 대한 어떠한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함이 없이도 이러한 변환 결과 화상을 전송하도록 제어된다.

Description

화상 통신 장치,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통신 방법,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OMMUNICATION METHO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입력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변환 처리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통신 장치,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통신 방법, 및 화상 처리 방법, 그리고 그 화상 통신 방법 및 화상 처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스캐너 기능, 프린터 기능, 카피 기능, 팩스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화상 입력/출력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또한, 그런 종류의 화상 처리 장치, 다른 종류의 화상 처리 장치, 및 PC(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컴퓨터 등이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화상 처리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다. 그런 종류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서, 하나의 화상 처리 장치의 화상 입력 기능에 의한 화상입력은 이 시스템의 다른 장치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화상이 출력될 때, 출력되는 화상은 화상 처리 장치 안에 제공된 화상 변환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화상 변환 처리가 행해지게 되고, 그후에 화상 변환 처리에 의해 얻어진 그 화상이 출력될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 디지털 다기능 장치(간략하게, 이후 다기능 장치라 칭함)가 있다. 여기서, 다기능 장치는 스캐너로서 원본을 판독함으로써 얻어진 화상 또는 외부적으로 수신된 화상을 전송 또는 프린트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기능 장치가 이 기능을 실행할 때, 원본 화상은 화상 변환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변환 처리가 행해지게 되고, 그후에 변환 처리에 의해 얻어진 화상이 전송되거나 프린트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다기능 장치의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화상 전송이 수행될 때, 제어기 내에 제공된 CPU(중앙 처리 장치)는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프린팅이 수행될 때, CPU는 카피(프린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스캐너에 의해서 판독된 문서가 전송될 때, CPU는 판독된 문서에 대한 화소의 수, 해상도, 방향 등에 관련된 변환 처리를 수행하여, 이에 의해, 전송 목적지에 알맞은 화상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CPU는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스캐너, 하드 디스크, 송신 I/F(인터페이스) 등을 제어한다. 반면, CPU는 화상 처리 하드웨어, 메모리 등을 이용함으로써 변환 처리를 제어한다. 이 변환 처리는 각각의 페이지에 대하여 수행되고, 전송되어 더이상 필요없는 페이지의 화상은 디스크로부터 말소(cancel)된다.
최근, 복수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지털 다기능 장치가 제안된다. 이 디지털 다기능 장치에서는, 각각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전송될 화상에 대하여, 각 페이지에 대해 화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그후에 처리된 화상의 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전자 메일에 의해 화상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다른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를 기초로 하여 파일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화상이 복수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송될때, 동일한 화상 변환 처리가 그 하나의 화상에 대하여 수행되어야 하고, 그 처리된 화상이 이들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조합에 따라서 전송되는 경우, 예를 들어, 그 동일한 변환 전 화상(former image)이 복수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에 의해 각각 복수의 목적지로 전송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화상 변환 처리와 그 변환된 화상의 전송, 불필요한 화상의 말소를 다른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독립하여 수행한다. 이 때문에, 동일한 변환 전 화상이 복수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각각 복수의 목적지로 전송될 지라도, 각각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동일한 화상 변환을 동일한 변환 전 화상의 모든 페이지에 대하여 수행한다. 이는 동일한 화상 변환 처리가 복수회에 걸쳐 중복적으로 수행됨을 의미하며, 이에 의해 CPU 리소스가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CPU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화상 전송 처리의 수행을 개선하는 화상 통신 장치, 상기 화상 통신 장치에 적용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 및 상기 화상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화상 기억을 위한 기억 수단; 입력 변환 전 화상에 대해 소정의 변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변환 수단;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을 소정의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 수단; 변환 전 화상에 관한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 전 화상에 대응하는 변환 결과 화상이 기억 수단에 기억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판정 수단에 의하여 변환 전 화상에 대응하는 변환 결과 화상이 기억 수단에 기억되었다고 판정될 경우에, 변환 전 화상에 대하여 변환 처리를 수행함이 없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대응하는 변환 결과 화상을 변환 수단 및 송신 수단이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CPU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동보 송신 처리(예를 들어, 멀티캐스팅 처리)의 수행을 개선하는 화상 통신 장치, 상기 화상 통신 장치에 적용가능한 화상 통신 방법, 및 상기 화상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화상 기억을 위한 기억 수단; 입력 변환 전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변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변환 수단;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을 소정의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송신 수단; 복수의 송신 수단을 이용하여 복수의 목적지로 변환 전 화상에 대한 동보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변환 수단 및 송신 수단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하나의 목적지에 대한 변환 결과 화상을 변환 전 화상에 관한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목적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CPU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화상 출력 처리의 수행을 개선하는 화상 처리 장치,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적용가능한 화상 처리 방법, 및 상기 화상 처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입력 변환 전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변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변환 수단을 포함하고, 변환 처리에 의해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며,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 소정의 요청 소스로부터의 변환 전 화상에 대한 변환 처리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수신된 변환 처리 요청 및 변환 전 화상의 변환에 의해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이 기억 수단에 기억되었는지를 수신된 변환 처리 요청에 기초하여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변환 전 화상의 변환 결과를 소정의 요청 소스에게 통지하기 위한 통지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판정 수단에 의해 변환 처리 요청 및 변환 결과 화상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 변환 수단이 변환 전 화상에 대하여 변환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통지 수단이 소정의 요청 소스에 변환 처리가 변환 전 화상에 대하여 수행되었다고 통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공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CPU 리소스 및 기억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화상 출력 처리의 수행을 개선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적용가능한 화상 처리 방법, 및 상기 화상 처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입력 변환 전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변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변환 수단을 포함하고, 변환 처리에 의해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며, 화상 처리 장치는, 변환 결과 화상을 기억하기 위한 제1 기억 수단; 입력 변환 전 화상에 대응하는 변환 결과 화상이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경우에, 변환 전 화상에 대한 변환 처리 수행없이, 대응하는 변환 결과 화상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 제어 수단;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각각의 변환 결과 화상에 대한 참조 횟수, 및 출력 제어 수단에 의해 화상 출력을 위해 사용된 참조 횟수를 기억하기 위한 제2 기억 수단; 변환 결과 화상을 참조횟수에 기초하여 제1 기억 수단에 대한 기입, 삭제를 제어하기 위한 기억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
이제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지털 다기능 장치(이하 간단히, 다기능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치는 화상 형성(formation) 유닛(101), 제어 유닛(또는 제어기)(102), 피니셔(finishier)(103), 스캐너 유닛(104), 오퍼레이션 유닛(105), 수신(reception) I/F(106), 및 송신 I/F(107)로 구성되며, 각 구성요소들(101, 102, 103, 104, 105, 106, 107)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 유닛(102)에 접속되어 있다.
화상 형성 유닛(101)은 제어 유닛(102)으로부터 보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전자사진 시스템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시스템으로서 적용되긴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잉크젯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시스템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제어 유닛(102)은 다기능 장치의 구성요소(101, 103 내지 107)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 유닛(102)은 화상 입력 처리, 화상 출력 처리, 및 화상 변환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 유닛(102)의 주요부는 CPU(108), 기억 장치(109) 및 화상 변환 유닛(110)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피니셔(103)는 화상 형성 유닛(101)으로부터의 기록 매체 출력에 대하여 스테이플링(stapling) 처리등과 같은 후처리(postprocess)(예를 들어, 상기 화상 데이터 처리와 같은 처리 이후에 수행되는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후처리의 설정과 제어는 제어 유닛(102)에 의해 수행된다.
스캐너 유닛(104)은 원본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판독된 원본 화상을 전자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캐너 유닛(104)에 의해 디지털화된 화상 데이터와 제어 유닛(102)으로의 입력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오퍼레이션 유닛(105)에는 다기능 장치의 상태, 작동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도시하지 않은 LCD(액정 표시장치), 및 오퍼레이터가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도시하지 않은 작동 패널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이후 설명될 화상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의 설정, 명령 등이 오퍼레이션 유닛(105)에서 수행된다.
수신 I/F(106)는 소정의 LAN(근거리 통신망) 및 공중 회선(public line)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수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 인터페이스는 LAN 상의 PC 및 다른 다기능 장치로부터 다양한 처리 요구 및 화상을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수신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전송 소스(예를 들어, 팩스 화상 전송기)로부터 팩스 화상을 수신할 수 있는 공중 회선에 접속되어 있다.
송신 I/F(107)는 소정의 LAN 및 공중 회선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송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인터페이스는 LAN 상의 PC 및 다른 다기능 장치로 화상 및 다양한 처리 요구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전송 목적지로 팩스 화상을 전송할 수 있는 공중 회선에 접속되어 있다.
CPU(108)는 이후에 설명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111)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입력 처리와 화상 출력 처리를 제어한다. 또한, CPU(108)는 화상 변환 유닛(110)내의 화상 변환 처리, 기억 장치(109)로의 액세스 등을 제어한다. 또한, CPU(108)는 프로그램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111)을 실행하기 위한 전용 기억 영역을 포함하며, 화상 변환 유닛(110)이 이 전용 기억 영역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 전용 기억 영역은 다기능 장치에 제공되어 있는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확보되어있다.
기억 장치(109)는 화상 변환이 수행된 이후에 얻어지는 화상과, 이후에 설명될 캐시 정보 테이블을 기억한다. 예를 들어, 기억 장치(109)는 다기능 장치에 제공되어 있는 RAM, HDD 등으로 구성된다.
화상 변환 유닛(110)은 화상 변환 처리에 관한 정보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111)으로/으로부터 전송 수신하여 화상 변환 처리를 수행한다. 화상 변환 유닛(110)의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화상 입력/출력 처리 기능이 설명될 것이다.
(1) 화상 전송 기능
이 기능은 또한 유니버셜 전송 기능(Universal Send Function)이라고 불린다. 화상 전송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스캐너 유닛(104)에 의해 판독된 화상 및 기억 장치(109) 내에 기억된 화상이 송신 I/F(107)를 통해서 LAN 상의 PC 및 다른 디지털 다기능 장치로 전송된다(보내진다). 또한 스캐너 유닛(104)에 의해 판독된 화상 및 기억 장치(109) 내에 기억된 화상은, 송신 I/F(107)내에 포함되어 있는 라인 접속 유닛을 통해서 공중 회선에 접속되어 있고 팩스 기능을 갖는 다른 장치로 전송된다. 또한, 화상은 전자 메일에 첨부되고 따라서 메일 서버로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화상은 전자 메일을 이용하는 인터넷 팩스 기능에 의해 팩스 기계로 전송된다.
(2) 프린터 기능
프린터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수신 I/F(106)를 통한 LAN 상의 PC 등으로부터 수신된 프린트 요구 또는 오퍼레이션 유닛(105)으로부터의 프린트 요청 입력에 기초하여, 그 얻어진 프린트 요청에 대응하는 화상이 형성된다.
(3) 카피 기능
카피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스캐너 유닛(104)로부터의 화상 입력이 화상 형성 유닛(101)에 의해서 실제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스캐너 유닛(104)로부터의 화상 입력은 송신 I/F(107)를 통해서 LAN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디지털 다기능 장치 및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 출력 장치로 출력된다. 이때, 입력 화상이 하나의 화상 출력 장치로 출력되는 동작은 원격 카피로 불리는 한편, 입력 화상이 복수의 화상 출력 장치로 출력되는 동작은 케스케이드 카피로 불린다.
본 실시예에서, CPU(108)가 상기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111)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으로 즉, CPU(108)가 전송(화상 전송 기능) 어플리케이션, 프린트 어플리케이션, 카피 어플리케이션 등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화상 변환 처리가 설명된다. 상기 화상 입력 및 출력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어 유닛((102)은 입력 화상에 대하여 다양한 이미지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그 변환된 화상을 출력한다.
제어 유닛(102)은 각 페이지에 대하여 화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변환 유닛(1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변환 유닛(110)은 입력 화상의 해상도(예를 들어, 화소의 개수)를 변환하기 위한 해상도 변환 유닛, 입력 화상의 방향을 변환하기 위한 회전 유닛, 및 입력 화상의 압축 및 압축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엔코딩 유닛이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화상 변환 처리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2진/다치 변환 처리, 컬러 변환 처리, 파일 포맷 변환(예를 들어, TIFF(Tagged image file format) 변환) 처리 등과 같은 다른 화상 변환 처리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화상 변환 유닛(110)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111)으로부터 화상 변환 처리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화상 변환 처리 요청에 기초하여 화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그후에 각각의 화상 변환 처리의 결과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111)에 통지한다.
또한, 화상 변환 유닛(110)은 해상도 변환 유닛, 회전 유닛, 및 각각의 어플리케이션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유닛을 소프트웨어로서 포함한다. 즉, 화상 변환 유닛(110)은 전용 메모리 및 기억 장치(109) 내의 기억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비트맵 데이터 등의 좌표(coordinate) 변환을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즉, 해상도 변환 유닛 및 회전 유닛은 전용 하드웨어 구성요소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화상 변환 유닛(110)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111)에 의해 요청된 순서에 따라, 화상 변환 처리를 하나씩 수행한다. 그리고, 화상 변환 유닛(110)이 각 어플리케이션(111)에 변환된 결과가 "성공"이라고 통지한 후에, 그런 어플리케이션은 그 변환된 화상에 관한 소정의 화상 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이런 이유로, 하나의 화상 변환 처리 요청에 기초한 화상 변환 처리가 화상 변환 유닛(110)에 의해 수행되는 동안, 다음의 화상 변환 처리 요구는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한 화상 변환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동안, 화상 변환 처리 요구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주어지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요청된 화상 변환 처리를 대기해야 하는 시간 요구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화상 출력 동작의 성능은 심각하게 저하된다. 그러나, 이후 설명될 과정에 따라 화상 변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화상 출력 동작의 성능의 그와 같은 저하는 억제가 가능하다.
이후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변환 처리가 화상 전송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의 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화상 전송 기능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스캐너 유닛(104)에 원본을 위치설정하거나, 오퍼레이션 유닛(105)으로부터 기억 유닛(109)에 이전에 기억된 문서 등을 지정한다. 그 후에,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션 유닛(105)으로부터 전송 목적지를 선택하고, 그 위치설정 또는 지정된 화상의 선택된 목적지로의 전송을 지시한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111)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전송 어플리케이션(즉, 송신 어플리케이션)은 오퍼레이터의 선택 및 지시에 따라, 전송 작업(즉, 송신 작업)을 생성한다. 그 후에, 화상 전송의 경우에,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생성된 전송 작업에 기초하여 화상 변환 유닛(110)으로 하여금 각 작업에 필요한 화상 변환 처리를 수행하도록 요청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실행될 화상 전송 기능은 화상을 메일에 첨부하여 화상이 첨부된 그 메일을 전송하는 공지된 전자 메일 전송 기능, 및 FTP에 기초한 파일 전송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화상 변환 처리를 동일한 화상에 대해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두개의 변환 결과 화상은 전자 메일 및 FTP 전송에 의해 각각 동일한 목적지 또는 다른 목적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두개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데, 즉, 하나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전자 메일 기능에 의한 화상 전송이 수행되는 반면, FTP에 따른 파일 전송은 다른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 변환 유닛(110)은 한 번에 단지 하나의 요청의 화상 변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속도가 보다 고속인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FTP에 따른 파일 전송)이 화상 변환 처리를 완료한다. 그러므로, 전송 속도가 보다 저속인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전자 메일 전송)의 경우 소정 시간 동안 화상 변환 처리를 대기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변환 유닛(110)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처리 절차는 CPU(108)에 의해 제어되고 도 2에 도시된 참조 번호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먼저, 시스템으로부터의 전송 어플리케이션 또는 전송 작업에 기초한 처리 요청이 수신되고(단계 S201), 그 후, CPU(108)의 제어하에, 수신된 요청이 화상 변환 처리 요청인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202).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변환 처리 요청은 전송 작업 정보, 변환 전 화상 정보(즉, 변환 이전의 화상을 나타내는 정보), 화상 변환 유닛(110)에서 처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변환 파라미터, 변환 작업 ID 등을 포함한다.
단계 S202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기억 장치(109) 상에 제공된 화상 처리 작업 큐에 대한 큐잉이 가능한지 여부가 또한 판정된다(단계 S203). 단계 S203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단계 S201에서 수신된 화상 변환 처리 요청이 화상 처리 작업 큐에 부가된다(단계 S204). 반면에, 단계 S203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처리는 새로운 요청 대기 상태로 되며 단계 S201로 복귀된다.
단계 S204에서의 처리가 종료된 후, 처리 대기 상태에 있는 작업이 화상 처리 작업 큐에 존재하는지 여부가 CPU(108)에 의해 판정된다(단계 S205). 단계 S205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CPU(108)의 제어하에, 화상 변환 처리가 가능한지 여부가 또한 판정된다(단계 S206). 단계 S205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처리는 새로운 요청 대기 상태로 되며 단계 S201로 복귀된다. 이와 유사하게, 단계 S206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처리는 새로운 요청 대기 상태로 되며 단계 S201로 복귀된다.
반면에, 단계 S206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CPU(108)의 제어하에, 지시된 변환 전 화상은 화상 변환 처리 요청에 따라 지시된 변환 파라미터로 설명된 화상으로 변환되며, 처리 요청 소스인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변환 결과가 통지된다(단계 S207). 그 후, 단계 S207에서 처리된 작업이 화상 처리 작업 큐에서 삭제되며(단계 S208), 처리는 단계 S205로 복귀된다.
반면에, 단계 S202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CPU(108)의 제어하에, 단계 S201에서 수신된 처리 요청이 페이지 삭제 요청인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209). 여기서, 페이지 삭제 요청은 오퍼레이터의 화상 지정에 따라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발생되며, 페이지 삭제 요청은 삭제될 화상을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 후, 단계 S209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페이지 삭제 처리가 수행되고(단계 S210), 처리는 단계 S205로 진행된다.
반면에, 단계 S209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CPU(108)의 제어하에, 단계 S201에서 수신된 처리 요청이 캐시 클리어 요청인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211).
단계 S211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CPU(108)의 제어하에, 기억 장치(109) 상의 삭제될 페이지가 모두 검색되고(단계 S212), 타겟 페이지가 삭제되며(단계 S213), 기억 장치(109) 상의 캐시 정보가 삭제된다(단계 S214). 그 후, 처리는 새로운 요청 대기 상태로 되며 단계 S201로 복귀된다.
반면에, 단계 S211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CPU(108)의 제어하에, 단계 S201에서 수신된 처리 요청이 처리 종료 요청인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215).
단계 S215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처리는 종료되며,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처리는 새로운 요청 대기 상태로 되며 단계 S201로 복귀된다.
도 3은 도 2의 단계 S207에서 수행되는 화상 변환 처리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처리 절차는 CPU(108)에 의해 제어되며 도 3에 도시된 참조 번호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먼저, 화상 변환 처리를 개시하도록 하는 화상 변환 처리 요청이 화상 변환 처리 요청 소스로부터 수신되며(단계 S301), 기억 장치(109) 상에 제공된 캐시 정보 테이블이 참조된다(단계 S302). 그 후, CPU(108)의 제어하에, 변환 전 화상 및 단계 S301에서 수신된 화상 변환 처리 요청에 의해 지시된 변환 파라미터의 조합을 포함하는 작업 정보가 캐시 정보 테이블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303). 즉, 변환 결과 화상이 기억 장치(109)에 이미 보유되어 있는지 여부가 단계 S303에서 판정된다.
단계 S303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단계 S301에서 수신된 요청에 기초한 화상 변환 처리 결과에 대응하며 기억 장치(109)에 이미 보유되어 있는 화상이, 화상 변환 처리 요청 소스의 어플리케이션에 통지해야 하는 변환 결과 화상으로 설정된다(단계 S304). 더욱이, 통지해야 하는 변환 결과는 "성공"으로 설정된다(단계 S305). 그 후, 캐시 정보 테이블 상의 대응 화상 변환 처리 정보의 참조 카운터가 1만큼 증가되며(단계 S306), 이러한 계수는 변환 처리가 요청되는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결과로서 통지되고(단계 S307), 그 후 처리는 종료된다.
반면에, 단계 S303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CPU(108)의 제어하에, 기억 장치(109) 상에 제공된 캐시 정보 테이블의 구성 요소의 갯수가 시스템에 의해 정해진 규정 갯수와 비교되어 캐시 정보 테이블에 블랭크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308).
단계 S308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CPU(108)의 제어하에, 단계 S301에서 수신된 화상 변환 처리 요청에 따라 변환 전 화상에 대해 화상 변환 파라미터에 의해 지정된 변환 처리가 수행된다(단계 S309).
단계 S309에서 처리가 종료된 후, CPU(108)의 제어하에, 단계 S309에서의 변환 처리가 계속되는지 여부가 또한 판정된다(단계 S310). 단계 S310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단계 S301에서 수신된 화상 변환 처리 요청 정보 및 단계 S309에서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 정보가, 기억 장치(109) 상에 제공되는 캐시 정보 테이블 내에 작업 정보로서 기억된다(단계 S311). 그 후, 단계 S309에서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또한 포스트-변환 화상이라 칭함)이, 단계 S301에서 수신된 요청에 기초한 화상 변환 처리의 결과에 대응하는 화상으로서 설정되며(단계 S312), 통지될 변환 결과가 "성공"으로 설정되며(단계 S313), 처리는 단계 S307로 진행된다. 반면에, 단계 S310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통지될 변환 결과는 "오류(또는 실패)"로 설정된다(단계 S314).
단계 S310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기억 장치(109) 상에 제공된 캐시 정보 테이블 내의 작업 정보가 참조되며, 참조 계수가 "0"인 가장 오래된 변환 결과 화상이 삭제된다(단계 S315).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참조 횟수가 "0"인 변환 결과 화상이 삭제된다. 여기서, 참조 횟수가 "1" 이상인 변환 결과 화상은, 이 화상이 여러 종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러한 변환 결과 화상이 삭제되면, 처리가 불가능할 것이 염려된다. 이것이 참조 횟수가 "1" 이상인 변환 결과 화상이 삭제되지 않는 이유이다. 그러므로, 참조 횟수가 "0"인 변환 결과 화상만을 삭제함으로써, 장치의 오동작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309로 진행된다.
도 4는 도 2의 단계 S210에서 수행될 페이지 삭제 요청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처리 절차는 CPU(108)에 의해 제어되며, 도 4에 도시된 참조 번호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먼저, 페이지 삭제 요청이 수신되며(단계 S401) 기억 장치(109) 상에 제공된 캐시 정보 테이블 내의 작업 정보가 참조된다(단계 S402). 그 후, CPU(108)의 제어하에, 단계 S401에서 삭제 요청된 페이지가 캐시 정보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403).
단계 S403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해당 페이지의 캐시 정보의 참조 계수가 1만큼 감소되고(단계 S404), 단계 S401에서 삭제 처리를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에 처리 결과가 통지되고(단계 S405), 처리는 종료된다.
반면에, 단계 S403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삭제가 요청된 페이지의 화상이 기억 장치(109)로부터 삭제되고(단계 S406) 처리는 단계 S405로 진행된다.
그 후, 어플리케이션(요청 소스)에 처리 결과를 통지함으로써, 일련의 페이지 삭제 처리가 종료된다.
도 5의 (a), (b) 및 (c)는 기억 장치(109)에 기억되는 캐시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b)에 도시된 캐시 정보 테이블에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된 변환 처리 요청 정보(전송 작업 정보, 변환 전 화상 정보 및 변환 파라미터) 및 단계 S309에서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 정보(변환 작업 ID 및 변환 결과 화상 정보)가, 도 5의 (a)에 도시된 작업 정보 세트로서 기억되며 또한 복수의 작업 정보 세트가 큐잉된다. 그러므로, 변환 전 화상, 변환 결과 화상 및 화상 변환 파라미터가 고유하게 특정될 수 있다. 더욱이, 참조 횟수가 작업 정보에 포함된다. 여기서, 참조 횟수는 작업 정보에 포함된 변환 결과 화상이 얼마나 여러번 참조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수임에 유의해야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참조 횟수에 기초하여, 화상 기억 및 화상 삭제가 수행된다.
그 후, 도 5의 (c)는 작업 정보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 5의 (c)의 예에서, 수신 번호 = 72가 전송 작업 정보로서 포함된다. 더욱이, 폴더 ID=120, 문서 ID=4 및 페이지 ID=1이 변환 전 화상 정보로서 포함된다. 더욱이, MMR(Modified Modified Read(Relative Element Address)) 압축, +120% 확대 및 +270°회전이 변환 파라미터로서 포함되고 화상 변환 ID=80030200이 변환 작업 ID로서 포함된다. 더욱이, 폴더 ID=110, 문서 ID=1 및 페이지 ID=1이 변환 결과 화상 정보로서 포함되고 번호=1이 실제 참조 횟수로서 포함된다.
그러므로, 도 3의 단계 S303에서, 도 5의 (c)에 도시된 작업 정보는 캐시 정보 테이블에 이미 기억되어 있으며, 수신된 변환 처리 요청은 변환 전 화상 정보로서 폴더 ID=120, 문서 ID=4 및 페이지 ID=1임을 나타내며, 또한 변환 파라미터로서 MMR 압축, +120% 확대 및 +270° 회전을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단계 S303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로 주어진다. 그 후, 단계 S304에서 기억 장치(109)에 이미 보유되어 있는 화상은 변환 결과 화상 정보(폴더 ID=110, 문서 ID=1 및 페이지 ID =1)를 기초로 설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작업 정보의 일례 및 작업 정보를 기초로 한 일련의 처리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예, 즉 변환 전 화상 정보, 변환 파라미터 등에만 국한되지 않고 시스템의 기능 및 용도에 따라 여러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다기능 장치의 스캐너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원본 화상에 대해, 해상도 변환, 회전 처리 등과 같은 변환 처리를 수행한 후 변환 처리된 화상을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화상 전송 기능이 설명되었다.
화상 전송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전송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며 변환 전 화상 및 변환 파라미터의 조합을 갖는 작업 정보가 캐시 정보 테이블에 존재하면, 변환 전 화상은 변환되지 않고, 변환 전 화상이 변환되었다는 것과 관련된 정보가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통지된다. 그러므로, CPU 리소스 및 화상 처리 하드웨어가 비경제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속의 효율적인 화상 전송이 달성될 수 있으므로, 화상 전송 성능이 향상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치는 전자 메일 전송, FTP에 따른 파일 전송 등과 같은 복수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구조가 전제가 된다. 이 경우, 전송 속도가 고속인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FTP에 따른 파일 전송)은 먼저 화상 변환 처리를 완료함으로써, 전송 속도가 저속인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전자 메일 전송)에서는 실제 화상 처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동안 화상 변환 처리를 대기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단일 어플리케이션이 전송만을 수행하는 경우보다 성능이 향상된 전송이 수행될 수 있으리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치에서는, 기억 장치에 기억된 변환 결과 화상 전송시에 각 화상에 대한 참조 횟수가 캐시 정보 테이블내에 기억된다. 그 후, 수신된 변환 전 화상에 대응하는 변환 결과 화상이 다기능 장치의 기억 장치 내에 기억되지 않으면, 변환 결과 화상이 기억 장치에 새롭게 기억될 수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변환 결과 화상이 기억 장치에 기억될 수 없다고 판정되면, 캐시 정보 테이블 내에 기억된 참조 횟수에 기초하여, 참조 횟수가 최소인 다른 변환 결과 화상이 기억 장치로부터 삭제됨으로써, 변환 처리가 수행된 후에 새롭게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이 기억 장치에 기억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주 전송되는 화상이 기억 장치에 우선적으로 기억될 수 있으므로, 고속의 효율적인 화상 전송이 달성될 수 있으므로 화상 전송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더욱이, 화상 변환 유닛에 의해 페이지 삭제 요청이 수신되고 수신된 페이지 삭제 요청에 대응하는 변환 결과 화상을 특정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가 캐시 정보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변환 결과 화상이 삭제되지 않으며 대응하는 변환 결과 화상에 대한 참조 횟수가 감소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재전송될 가능성이 높은 변환 결과 화상이 보유되거나 유지될 수 있으므로, 고속의 효율적인 화상 전송이 달성될 수 있으므로 화상 전송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디지털 다기능 장치에서, 스캐너 유닛에 의해 판독된 화상이 송신 I/F로부터 인터넷, 인트라넷 또는 전화 회선을 통해 여러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더욱이, 디지털 다기능 장치가 복수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목적지에 단일 화상을 동시에 전송하는 소위 동보 송신 기능(또는 멀티캐스팅 기능)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 유닛에 의해 판독된 하나의 화상이 팩스 전송 또는 전자 메일 전송에 의해 복수의 목적지로 전송되는 동안, 이러한 화상은 LAN을 통해 접속된 파일 서버 내에 기억될 수 있다. 물론, 동시에, 이러한 화상이 용지, 시트 등과 같은 기록 매체 상에 인쇄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다기능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동보 송신 기능에 적용하는 경우가 후술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전송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처리 절차는 CPU(108)에 의해 제어되며 도 6에 도시된 참조 번호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먼저, 오퍼레이터에 의해 스캐너 유닛(104) 상에 세트된 원본이 판독되거나 기억 장치(109) 내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문서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오퍼레이션 유닛(105)으로부터 지정된다. 따라서, 전송될 변환 전 화상이 설정된다. 그 후, CPU(108)는 변환 전 화상을 오퍼레이션 유닛(105)에서 선택된 전송 목적지로 전송하도록 하는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단계 S601).
그 후, 단계 S601에서 수신된 전송 요청에 따라, 송신 I/F(107)을 통해 전송 목적지와의 통신 접속이 설정된다(단계 S602).
그 후, 단계 S602에서의 접속 설정 처리가 계속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603). 단계 S603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단계 S601에서 수신된 전송 요청으로부터, 의도된 참조 횟수가 캡쳐된다(단계 S604). 여기서, 의도된 참조 횟수는 하나의 원본 화상이 동시에 전송되는 목적지의 수와 같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반면에, 단계 S603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처리는 종료된다.
그 후, 단계 S601에서 수신된 전송 요청에 따라 전송 작업이 생성된다. 그 후, 변환 전 화상을 식별하기 위한 변환 전 화상 정보, 화상 변환에 필요한 화상 변환 파라미터 및 단계 S604에서 캡쳐된 의도된 참조 횟수가, 화상 변환을 요청하는 경우 파라미터로서 전송 작업에 설정된다(단계 S605). 여기서, 스캐너 유닛(10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은 기억 장치(109)에 일단 기억되고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된 변환 전 화상 정보는 기억 화상에 부가된다고 가정한다.
그 후, CPU(108)는 화상 변환 유닛(110)에 전송 작업을 기초로 변환 처리를 수행하도록 요청한다(단계 S606). 여기서, 화상 변환 유닛(110)은 도 3의 흐름도로 도시된 처리를 수행한다. 그러므로, 변환 전 화상 및 수신된 화상 변환 처리 요청에 의해 지시된 변환 파라미터의 조합을 포함하는 작업 정보가 캐시 정보 테이블에 존재하고 변환 결과 화상이 기억 장치(109)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기억 장치(109)에 이미 보유되어 있는 변환 결과 화상이, 화상 변환 처리 요청 소스의 CPU(108)(전송 어플리케이션)에 통지될 변환 결과 화상으로서 설정된다. 그 후, CPU(108)에 통지될 변환 결과가 "성공"으로 설정된다.
그 후, 단계 S606에서 요청된 변환 처리가 계속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607).
단계 S607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은, 단계 S602에서 통신 접속이 설정된 전송 목적지에 전송되고(단계 S608), 변환 결과 화상의 사용 종료가 화상 변환 유닛(110)에 통지된다(단계 S609). 반면에, 단계 S607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단계 S602에서 설정된 통신 접속이 단절되며(단계 S611),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609에서의 처리가 종료된 후, 단계 S601에서 수신된 전송 요청된 문서의 모든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610). 단계 S610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처리는 단계 S605로 복귀되어 문서의 다음 페이지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반면에, 단계 S610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처리는 단계 S611로 진행되어 단계 S602에서 설정된 통신 접속을 단절시킨 후, 처리가 종료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보 송신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복수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도 6의 흐름도에 따라 처리를 수행할 때 본 실시예에서의 동보 송신 처리가 달성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도 7에 도시된 처리 절차는 CPU(108)에 의해 제어되며 도 7에 도시된 참조 번호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먼저, 오퍼레이터에 의해 스캐너 유닛(104) 상에 세트된 원본이 판독되거나, 기억 장치(109)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문서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오퍼레이션 유닛(105)으로부터 지정된다. 따라서, 전송될 변환 전 화상이 설정된다. 그 후, CPU(108)는 변환 전 화상을 오퍼레이션 유닛(105)에서 선택된 복수의 전송 목적지로 전송하도록 하는 동보 송신 요청을 수신한다(단계 S701).
그 후, 단계 S701에서 지시된 전송 목적지가 처리될 각 전송 어플리케이션마다 분류되고(단계 S702), 단계 S701에서 지시된 모든 전송 목적지가 처리될 전송 어플리케이션마다 분류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703).
단계 S703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처리는 단계 S702로 복귀되어 계속하여 전송 목적지를 분류한다. 반면에, 단계 S703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CPU(108)는 각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단계 S702에서 얻어진 분류 결과에 따라 의도된 전송 목적지로의 전송 처리를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단계 S704). 여기서, 각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요청에 관하여 도 6의 단계 S602 및 후속 단계들에서의 처리를 수행한다.
그 후, CPU(108)는 전송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전송 결과를 수신하며(단계 S705) 수신된 전송 결과를 기억 장치(109)에 기록한다(단계 S706). 그 후, 단계 S704에서 전송 요청된 모든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전송 처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707).
단계 S707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처리는 단계 S705로 복귀된다. 반면에, 단계 S707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이면, CPU(108)는 화상 변환 유닛(110)에 캐시 화상을 클리어할 것을 요청하며(단계 S708), 그 후 동보 송신 처리가 종료된다.
이하, 도 8에 도시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에 기초한 동보 송신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를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참조 부호(801)는 제1 실시예 및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전송 처리를 행할 수 있는 디지털 다기능 장치를 가리킨다. 여기서, 디지털 다기능 장치(801)는 LAN(802), 공중 회선(PSTN: 공중 교환 전화망) 또는 ISDN(종합 정보 통신망; 803), 라우터(804), 및 인터넷/인트라넷(805)을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참조 부호(806)는 디지털 다기능 장치(80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다른 디지털 다기능 장치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807)는 파일 서버를, 참조 부호(808)는 프린터를, 참조 부호(809)는 팩시밀리기를, 참조 부호(810)는 클라이언트 PC를, 참조 부호(811)는 전자 메일 서버를 가리킨다. 이외에, 참조 부호(812 및 813) 각각은 모두 인터넷/인트라넷(805)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파일 서버와 전자 메일 서버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814)는 인터넷/인트라넷(805)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인터넷 팩시밀리기(이하에서는 I-FAX라 칭함)를 가리키고, 참조 부호(815)는 디지털 다기능 장치(801)에 직접 접속되어 여러 가지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박스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다기능 장치(801)는 스캐너 유닛(104)에 의해 판독되어 일단 기억 장치(109)에 기억된 변환 전 화상에 대해 4개 목적지, 즉 I-FAX(814), 파일 서버(807), 클라이언트 PC(810), 및 전자 메일 서버(811)로의 동보 송신을 행한다.
이어서, CPU(108)는 후술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전송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전송 요청을 배분한다. 따라서, 각각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배분된 전송 요청에 기초하여 전송 작업을 실행한다.
(1) 제1 전송 어플리케이션
제1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I-FAX 전송을 행하도록 배분된 전송 요청에 의해 요구되어진다. 즉, 제1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변환 전 화상에 대해 MMR 압축 처리 및 +120% 확대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에 대해 공중 회선(PSTN 또는 ISDN)(803)을 통해 팩시밀리기(809)로의 I-FAX 전송을 행하는 I-FAX 전송 작업을 실행한다.
(2) 제2 전송 어플리케이션
제2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서버로의) 파일 전송을 행하도록 배분된 전송 요청에 의해 요구되어 진다. 즉, 제2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변환 전 화상을 MMR 압축 처리와 +90°회전을 행하여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에 대해 LAN(802)을 통해 파일 서버(807)로의 파일 전송을 행하는 파일 전송 작업을 실행한다.
(3) 제3 전송 어플리케이션
제3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PC로의) 파일 전송을 행하도록 배분된 전송 요청에 의해 요구되어 진다. 즉, 제3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변환 전 화상을 MMR 압축 처리와 +90°회전을 행하여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에 대해 LAN(802)을 통해 클라이언트 PC(810)로의 파일 전송을 행하는 파일 전송 작업을 실행한다.
(4) 제4 전송 어플리케이션
제4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메일 전송을 행하도록 배분된 전송 요청에 의해 요구되어 진다. 즉, 제4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변환 전 화상을 MMR 압축 처리와 +90°회전을 행하여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에 대해 인터넷/인트라넷(805)을 통해 메일 서버(813)로의 전자 메일 전송을 행하는 전자 메일 전송 작업을 실행한다.
여기서, 단계(S704)에서의 요구에 따른 도 6의 전송 처리는 제1, 제2, 제3, 및 제4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순서로 행해진다. 따라서, I-FAX 전송 작업(901)의 정보, (파일 서버로의) 파일 전송 작업(902)의 정보, (PC로의) 파일 전송 작업(903)의 정보, 및 메일 전송 작업(904)의 정보가 적정(due) 순서로 기억되도록 작업 정보가 캐시 정보 테이블에 기억된다.
도 9a 및 도 9b로 구성되는 도 9는 상기 4 개의 작업 중에서, I-FAX 전송 작업(901), (파일 서버로의) 파일 전송 작업(902), 및 (PC로의) 파일 전송 작업(903)이 적정 순서대로 실행(즉, 메일 전송 작업(904)은 아직 실행되지 않음)되었을 때의 시점에서의 캐시 정보 테이블의 상태도이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어진 I-FAX 전송 작업(901)의 작업 정보와, I-FAX 전송 작업(901)에 기초한 변환 결과 화상이 기억 장치(109)에 기억되어 있다.
다음에, 제2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어진 (파일 서버로의) 파일 전송 작업(902)의 작업 정보와 파일 전송 작업(902)에 기초한 변환 결과 화상이 기억 장치(109)에 기억된다. 여기서, (파일 서버로의) 파일 전송 작업(902)의 변환 전 화상 정보는 I-FAX 전송 작업(901)의 변환 전 화상 정보와 일치하지만, 이들 작업의 변환 파라미터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제2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파일 서버로의) 파일 전송 작업(902)을 실행할 때, 제2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새로이 생성된 변환 결과 화상(2)도 전송한다. 그러므로, (파일 서버로의) 파일 전송 작업(902)이 실행될 때, 화상 변환 유닛(110)은 변환 전 화상에 대해 MMR 압축 처리와 +90°회전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제3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어진 (PC로의) 파일 전송 작업(903)의 작업 정보와 파일 전송 작업(903)에 기초한 변환 결과 화상이 기억 장치(109)에 기억된다. 여기서, (PC로의) 파일 전송 작업(903)의 변환 전 화상 정보 및 변환 파라미터 각각은 (파일 서버용의) 파일 전송 작업(902)의 변환 전 화상 정보 및 변환 파라미터와 일치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제3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PC로의) 파일 전송 작업(903)을 실행할 때, 제3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서버로의) 파일 전송 작업(902)에 대해 이미 전송되어진 변환 결과 화상(2)을 재전송한다. 그러므로, (PC로의) 파일 전송 작업(903)이 실행될 때, 화상 변환 유닛(110)은 변환 전 화상에 대해 MMR 압축 처리와 +90°회전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4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이후에 실행되어질 메일 전송 작업(904)에 대해, 메일 전송 작업(904)의 변환 전 화상 정보 및 변환 파라미터 각각이 (PC용의) 파일 전송 작업(903)의 변환 전 화상 정보 및 변환 파라미터와 일치한다. 그러므로, 제4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메일 전송 작업을 실행할 때, 제4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기억된 변환 결과 화상(2)을 재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흐름도에 따른 동보 송신 처리가 행해지면, 각 전송 작업마다 총 4번 행해져야 하는 화상 변환 처리가 단지 두 번만 행해지면 된다. 즉, 중복 화상 변환 처리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동보 송신 처리 속도를 향샹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변환 결과 화상을 기억하기 위해 필요한 기억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부수적으로,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동보 송신 처리는 상기 예에서와 같은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순서와 조합에 기초하는 처리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닌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동보 송신 처리는 다른 디지털 다기능 장치(806), 팩시밀리기(809) 등으로의 동보 송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보 송신 처리, 박스(815)로의 데이터 기억 처리, 그 자신의 장치에 의한 복사 처리, 및 프린터(808)에 의한 인쇄 처리가 적절히 조합되어진 동시성 다기능 처리에 적용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스템 상에서 다수의 목적지로의 동보 송신에 적용가능하며, 각각의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캐시 정보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이미 실행된 전송 작업의 변환 전 화상 정보 및 변환 파라미터가 각각 그 다음 전송 작업의 변환 전 화상 정보 및 변환 파라미터와 일치하는 경우에 통신 파트너에게 기억된 변환 결과 화상 전송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변환 결과 화상을 다수의 목적지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소용없는 변환 처리를 행하는 것이 불필요하며, 또한 동보 송신에 필요한 기억 영역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고속이며 효율적인 동보 송신 처리를 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상 전송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경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팩시밀리 기능, 복사 기능 또는 인쇄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와, 이들 기능의 조합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사항은 이들 각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기능 각각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교체된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변환 처리는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된 처리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칼라 변환 처리, 감마 변환 처리, 2진/다치 변환 처리, 트리밍 처리, 마스킹 처리 등의 다른 변환 처리에도 적용가능하다. 게다가, 파일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FTP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SMB(서버 메시지 블럭) 전송 프로토콜, NetWare 전송 프로토콜 등의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다기능 장치를 일례로 화상 처리 장치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팩시밀리기 등의 다른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각 기능 제어의 제어 일부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는 파라미터 등을 입력하여 화상 변환 처리 요구를 발행할 수 있고, 화상 변환 유닛은 발행된 화상 변환 처리 요구에 따른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가 직접적으로 화상 변환 처리를 상세히 처리 및 제어는 하지만, 화상 변환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용없는 어떠한 화상 변환 처리도 행하지 않으므로, 오퍼레이터가 오퍼레이션 유닛으로부터 화상 변환 처리에 필요한 셋팅 등을 여러 번 행할 필요가 없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부수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가 시스템 또는 장치에 제공되어,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가 기억 매체(예를 들어, 상시 실시예에서의 기억 장치(109))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하는 경우에도 달성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달성함으로써,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할 수 있는 기억 매체로서는,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 CD-R(기록가능 콤팩트 디스크), 자기 테이프,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ROM(판독 전용 메모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기능이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달성되는 경우뿐 아니라, 컴퓨터 상에서 기능하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이 프로그램 코드의 명령어에 따라 모든 프로세스 또는 그 일부를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의 기능을 달성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되는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내장된 기능 확장 보드 또는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제공된 메모리에 일단 기억되고, 기능 확장 보드 또는 기능 확장 유닛에 제공된 CPU 등이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의 명령어에 따라 모든 프로세스 또는 그 일부를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달성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비록 본 발명을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모든 변형 및 수정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 장치, 화상 통신 방법, 및 상기 화상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CPU 리소스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해지며, 화상 전송 처리의 수행이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지털 다기능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변환 유닛(110)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도 2의 단계 S207에서 수행되는 화상 변환 처리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도 2의 단계 S210에서 수행되는 페이지 삭제 요구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5의 (a), (b) 및 (c)는 기억 장치(109)에 기억되는 캐시 정보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전송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보 송신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9a, 9b로 구성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시 정보 테이블의 상태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01 : 화상 형성 유닛102 : 제어 유닛104 : 스캐너 유닛105 : 오퍼레이션 유닛108 : CPU109 : 기억 장치

Claims (13)

  1. 화상 통신 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109)과,
    입력된 변환 전 화상에 대해 소정의 변환 처리를 행하기 위한 변환 수단(110)과,
    상기 변환 수단(110)에 의해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을 소정의 목적지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111)과,
    상기 변환 전 화상에 관한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한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한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이 이미 상기 기억 수단(109)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108)과,
    상기 변환 수단(110) 및 상기 송신 수단(11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108)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한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한 변환 결과 화상이 이미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한 변환을 스킵하고,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응하는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을 송신하도록 상기 변환 수단 및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화상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111)에 의해 실행되어질 송신 기능은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을 전자 메일에 첨부한 후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이 첨부되어진 상기 전자 메일을 송신하는 기능과, 소정의 파일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을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화상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정보는 상기 변환 전 화상의 변환 처리 및 판별 정보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는 엔코딩 처리, 해상도 변환 처리, 및 회전 처리의 3개 변환 처리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파라미터인 화상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송신 수단(111)을 사용하여 상기 변환 전 화상을 복수의 목적지로 동보 송신을 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 수단(108)은 상기 변환 수단(110) 및 상기 송신 수단(111) 각각이 상기 기억 수단(109)에 기억된 한 목적지에 대한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을 다른 목적지로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108)은 상기 송신 수단(111)으로부터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한 변환 처리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108)과, 상기 변환 수단(110)에 의해 얻어진 상기 변환 전 화상의 변환 결과를 상기 송신 수단(111)에 통지하기 위한 통지 수단(108)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 처리 요구 및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이 상기 기억 수단(109)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판정 수단(108)에 의해 판정된 경우, 상기 통지 수단(108)은 상기 변환 수단(110)에 의해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해 상기 변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더라도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해 상기 변환 처리가 행해진 것을 상기 송신 수단(111)에게 통지하는 화상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108)은 상기 송신 수단(111)에 의한 송신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수단(109)에 대한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의 기록 및 삭제를 제어하기 위한 기억 제어 수단(108)을 더 포함하는 화상 통신 장치.
  7. 화상 통신 방법에 있어서,
    기억 수단에 화상을 기억시키는 기억 단계(109)와,
    입력된 변환 전 화상에 대해 소정의 변환 처리를 행하는 변환 단계(110)와,
    상기 변환 단계(110)에서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을 소정의 목적지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111)와,
    상기 변환 전 화상에 관한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한 상기 변환 단계에 의한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이 이미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108)와,
    상기 변환 단계 및 상기 송신 단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단계(108)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판정 단계에 의해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한 상기 변환 단계에 의한 변환 결과 화상이 이미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변환 단계에 의한 변환을 스킵하고,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응하는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을 송신하도록 상기 변환 단계 및 상기 송신 단계를 제어하는 화상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계에서 실행되어질 송신 기능은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을 전자 메일에 첨부한 후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이 첨부되어진 상기 전자 메일을 송신하는 기능과, 소정의 파일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을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화상 통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정보는 상기 변환 전 화상의 변환 처리 및 판별 정보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는 엔코딩 처리, 해상도 변환 처리, 및 회전 처리의 3개 변환 처리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파라미터인 화상 통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계에서 상기 변환 전 화상을 복수의 목적지로 동보 송신을 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변환 단계 및 상기 송신 단계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한 목적지에 대한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을 다른 목적지로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통신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송신 단계에서 송신되어진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한 변환 처리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108)와, 상기 변환 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변환 전 화상의 변환 결과를 상기 송신 단계의 송신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단계(108)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처리 요구 및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판정 단계에서 판정된 경우, 상기 통지 단계는 상기 변환 단계에서 상기 변환 처리가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해 행해지지 않았더라도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해 상기 변환 처리가 행해진 것을 상기 송신 단계의 상기 송신자에게 통지하는 화상 통신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송신 단계에서의 송신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대한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의 기록 및 삭제를 제어하기 위한 기억 제어 단계(108)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신 방법.
  13. 화상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기억 수단에 화상을 기억시키는 기억 단계(109)와,
    입력된 변환 전 화상에 대해 소정의 변환 처리를 행하는 변환 단계(110)와,
    상기 변환 단계(110)에서 얻어진 변환 결과 화상을 소정의 목적지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111)와,
    상기 변환 전 화상에 관한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한 상기 변환 단계에 의한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이 이미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108)와,
    상기 변환 단계 및 상기 송신 단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단계(108)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판정 단계에 의해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한 상기 변환 단계에 의한 변환 결과 화상이 이미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변환 단계에 의한 변환을 스킵하고,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변환 전 화상에 대응하는 상기 변환 결과 화상을 송신하도록 상기 변환 단계 및 상기 송신 단계를 제어하는 화상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02-0031038A 2001-06-04 2002-06-03 화상 통신 장치,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통신 방법, 화상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0477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68076 2001-06-04
JP2001168076 2001-06-04
JPJP-P-2002-00140115 2002-05-15
JP2002140115A JP2003060839A (ja) 2001-06-04 2002-05-15 画像通信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通信方法、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813A KR20020092813A (ko) 2002-12-12
KR100477283B1 true KR100477283B1 (ko) 2005-03-18

Family

ID=2661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038A KR100477283B1 (ko) 2001-06-04 2002-06-03 화상 통신 장치,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통신 방법, 화상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21469B2 (ko)
EP (1) EP1265431B1 (ko)
JP (1) JP2003060839A (ko)
KR (1) KR100477283B1 (ko)
CN (1) CN120055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7152B2 (ja) * 2002-05-20 2006-09-27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読取画像の送信方法
US7505158B2 (en) * 2003-03-25 2009-03-17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JP3874738B2 (ja) * 2003-04-14 2007-01-3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458929B2 (ja) * 2003-07-16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間通信装置、プログラム間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057395A (ja) * 2003-07-31 2005-03-03 Sharp Corp 通信装置
JP2005167938A (ja) * 2003-12-05 2005-06-23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3823995B2 (ja) * 2004-10-14 2006-09-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65574B2 (ja) * 2005-03-23 2011-04-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622832B2 (ja) * 2005-12-05 2011-02-02 日本電気株式会社 キャッシュ管理システム、キャッシュ管理方法、キャッシュ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キャッシュ管理サーバ
US7327859B1 (en) * 2007-02-14 2008-02-05 Lam Ko Chau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fingerprint recognition
JP5057800B2 (ja) * 2007-03-07 2012-10-2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921323B2 (ja) 2007-11-21 2012-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218442A (ja) * 2009-03-18 2010-09-30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003795B2 (ja) * 2013-05-07 2016-10-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46481B2 (ja) 2014-03-25 2018-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送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68336A (ja) 2017-10-03 2019-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085A (ko) * 1992-11-12 1994-06-25 이헌조 팩시밀리의 화상 데이타 처리방법
JPH1141435A (ja) * 1997-07-15 1999-02-12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90072144A (ko) * 1995-12-14 1999-09-27 가타야마 준키치 화상 통신 장치
KR20000019772A (ko) * 1998-09-15 2000-04-15 윤종용 팩시밀리의 송신결과 확인리스트 출력방법
KR20000045096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팩시밀리의 문서 스캐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5242A (en) 1978-09-25 1980-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torage-type facsimile unit
JPS60160A (ja) 1983-06-15 1985-01-05 Fujitsu Ltd フアクシミリ同報方式
JPH0479543A (ja) 1990-07-23 1992-03-12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蓄積交換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US5499109A (en) 1994-02-18 1996-03-1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transferring messages between input and output devices in a communication device
JPH07288631A (ja) 1994-04-14 1995-10-31 Canon Inc 画像メール装置
JPH07336462A (ja) * 1994-06-03 1995-12-22 Canon Inc 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3160177B2 (ja) 1995-03-06 2001-04-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型電子メール装置
JP3140366B2 (ja) * 1996-04-18 2001-03-05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用電子メール変換装置
JPH10107980A (ja) 1996-09-30 1998-04-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ァクシミリサーバ装置
US7019853B1 (en) 1998-04-10 2006-03-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3416552B2 (ja) 1999-01-25 2003-06-16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サーバ装置、および通信端末能力交換方法
JP2001007972A (ja) 1999-06-22 2001-01-12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1024868A (ja) 1999-07-08 2001-01-26 Cano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そのデータ送信方法ならびに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085A (ko) * 1992-11-12 1994-06-25 이헌조 팩시밀리의 화상 데이타 처리방법
KR19990072144A (ko) * 1995-12-14 1999-09-27 가타야마 준키치 화상 통신 장치
JPH1141435A (ja) * 1997-07-15 1999-02-12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KR20000019772A (ko) * 1998-09-15 2000-04-15 윤종용 팩시밀리의 송신결과 확인리스트 출력방법
KR20000045096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팩시밀리의 문서 스캐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65431B1 (en) 2011-08-31
EP1265431A2 (en) 2002-12-11
US20020181004A1 (en) 2002-12-05
CN1200554C (zh) 2005-05-04
CN1390036A (zh) 2003-01-08
EP1265431A3 (en) 2005-03-02
US7221469B2 (en) 2007-05-22
JP2003060839A (ja) 2003-02-28
KR20020092813A (ko) 200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283B1 (ko) 화상 통신 장치,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통신 방법, 화상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JP496576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25893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5764866A (en) Scanner, network scanner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scanner system
US6587735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or selection method
JP3880277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362456B2 (en) Print job substitution in a copy job
CN101068301B (zh) 图像处理装置、信息管理装置、信息管理系统以及信息管理方法
US7376637B2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which transmits image data as an image file or a plurality of image files
JP2000358144A (ja) 画像入出力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283441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読取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3244379A (ja) データ送信装置
JP2002290647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が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が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0015187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H1017389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3747898B2 (ja) 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1355494A (ja) 画像入出力装置と画像データの出力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H11149358A (ja) 画像入出力制御装置、画像入出力システム、最適用紙サイズ印刷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4124187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06270636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サムネイル画像処理方法
JP3062051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126539A (ja) ネットワークファクシミリ送信システム
JP200519167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6165622A (ja) 同報送信制御装置
JP2007088924A (ja) 画像配信装置、画像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