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590B1 - 범용 컴바인 - Google Patents

범용 컴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590B1
KR100469590B1 KR10-2000-7001954A KR20007001954A KR100469590B1 KR 100469590 B1 KR100469590 B1 KR 100469590B1 KR 20007001954 A KR20007001954 A KR 20007001954A KR 100469590 B1 KR100469590 B1 KR 100469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threshing
rotors
crop
convey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3319A (ko
Inventor
야마모토아키히토
하마다겐지
나카무라마사미
기리하타도시노리
데라시마쥰
다다노쥰이치
아라후쿠유이치
Original Assignee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918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5608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7624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036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7624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03653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0Threshing cylinders with ri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범용 컴바인은 탈곡부(5) 내에 제1 로터(rotor)(51) 및 제2 로터(52)를 좌우 방향 축심이 전후로 평행하게 병설하고 각 하방에 제1 수납망(receiving net)(55)과 제2 수납망(56)을 배설하여 제1 취급실(treating chamber)(D1)과 제2 취급실(D2)을 형성한다. 상기 탈곡부(5) 상방에 그레인 탱크(grain tank)(79)를 배설하고, 상기 그레인 탱크(79)의 외측부에 배출 오거(discharge auger)(83)의 기단을 배치하며, 상기 그레인 탱크(79) 후방에 엔진(84)을 배설하고 그 하방에 트랜스미션 케이싱(transmission casing)(85)을 배설한다. 상기 제1 로터(51)의 작물 입구(36)에 면하는 외주면에는 투스 바(tooth bar)(T1)를 심어 형성하는 동시에, 스크류 베인(screw vane)(53)의 피치(P)를 피더 하우징(feeder housing)(35) 후단 폭과 동일하게 한다. 2차 처리물(second product) 환원용의 환원 컨베이어(81)의 종단부를 제1 취급실(D1)에 연통시킨다.

Description

범용 컴바인 {GENERAL PURPOSE COMBINED HARVESTER AND THRESHER}
일반적으로 범용 컴바인은 주행 장치로부터 전방으로 수확부를 돌출시키고 이 수확부에 의해 수확한 작물을 후방으로 반송하여 탈곡부로 공급하고, 이 탈곡부에는 스크류 베인(screw vane)을 외주에 돌출 형성한 스크류형 로터를 전후 방향으로 배치하고 이 로터의 회전에 의해 탈곡을 행하며, 탈립(脫粒) 후의 배출할 지푸라기는 기체(機體) 후방의 포장면(圃場面)으로 방출되고, 수납망(receiving net)을 빠져나온 곡립(穀粒)이나 지푸라기나 먼지 등은 탈곡부 하방에 배치한 선별 장치에 의해 선별되어 지푸라기나 먼지 등은 기체 후부로부터 배출되고 정립(精粒)은 탈곡부의 측부에 배치한 그레인 탱크(grain tank)에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레인 탱크가 가득 차면, 그레인 탱크 상방으로 선회 및 승강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한 배출 오거(discharge auger)에 의해 트럭의 짐받이 등으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범용 컴바인은 수확 장치에 의해 작물을 받아들이고 밑 부분을 절단하여 후방으로 반송하고 이 반송 장치의 후부로부터 탈곡부의 로터 전단부(前端部)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 로터의 전단에 작물을 받아들여 탈곡부로 보내기 위한 인테이크 베인(intake vane)이 설치되어 있지만, 작물이 공급되는 반송 방향과 인테이크 베인의 회전축 방향이 대략 직선 방향이며, 또 탈곡부에서의 작물의 반송 방향과 로터의 회전 축선 방향이 평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탈곡부로 받아들이기가 어렵고 이로 인해 수확부 입구 부분에서 막힘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탈곡부에서는 수확부로부터 공급된 작물이 긴 채로 처리되기 때문에, 탈곡 처리 성능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 전측 로터와 그 하방의 수납망 사이에서 형성되는 제1 취급실(treating chamber)로부터 후측 로터와 그 하방의 수납망 사이에서 형성되는 제2 취급실로 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연통구(連通口)가 앞뒤의 수납망이 겹친 부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수납망을 탈곡 처리에 충분히 이용할 수 없어 탈곡 성능을 저하시킨다.
또 로터의 길이가 제한되어 수확 작물을 탈곡 처리하기 위한 반송 길이를 충분히 취할 수 없기 때문에, 미처리 부분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 수확부로부터 공급되는 작물의 양이 증대되면 수납망 상면에서 반송되는 작물의 층이 과도하게 두꺼워져 수납망에 접하는 작물만 탈곡되고 로터 측의 작물은 탈곡되지 않아 미처리 부분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단순히 탈곡부에 복수의 로터를 배치하여 수확 작물을 탈곡 처리하기 위한 반송 길이를 길게 한 것만으로는 탈곡에 필요한 동력이 커질 뿐, 처리 작물의 양이 증대되었을 때의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없어, 각 로터 사이에서 작물의 주고받음이 원활하지 못할 때의 작물의 막힘이나 미처리 부분, 로터의 유지 보수가 수고스럽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의 로터를 배설하여 탈곡부의 점유 스페이스가 커지기 때문에, 그레인 탱크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다음에 요동 선별부에서는, 여기에서 선별된 지경(枝梗, rachis-branch)을 가지는 2차 처리물을 충분히 탈립 처리할 수 없어 곡립의 손실이 발생하거나 제품으로서의 1차 처리물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또 종래에는 2차 처리물이 요동 선별부의 유곡판(流穀板, grain pan)의 중앙부에 환송되므로, 피선별물이 유곡판의 일측에 편재되어 선별 능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다음에 수확부, 탈곡부, 선별부 각각 및 그레인 탱크의 기체에서의 배치에 관해서 설명하면, 로터가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설되고 그 측방에 그레인 탱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의 중량 밸런스가 악화되는 것이다. 즉, 작업을 개시할 때는 그레인 탱크가 비어 있기 때문에 탈곡 장치나 선별 장치를 배치하고 있는 쪽으로 중량이 편중되어 있다. 한편, 수확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그레인 탱크에 곡립이 저장되어 가득 찰 무렵에는 그레인 탱크 측으로 중심이 이동한다. 따라서, 작업을 개시할 때와 작업이 진행된 후의 좌우 중량 밸런스가 상이하기 때문에 조종감이 나쁘게 느껴지고, 포장면이 부드러운 경우에는 좌우로 기체가 경사져 수확하는 높이가 좌우에서 상이한 경우도 있다.
또 그레인 탱크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것은 배출 오거에 의해 이루어지지만배출 오거는 그레인 탱크 상방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레인 탱크 하부의 배출 컨베이어로부터 배출 오거로의 반송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배출 오거를 선회시키기 위한 지지 구조도 강도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어 중량 증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스크류형 로터를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치한 범용(汎用) 컴바인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범용 컴바인의 탈곡부 내부 측면을 포함하는 전체 측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제1·제2 로터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의 동력 전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측면도이고,
도 3은 상기의 탈곡부의 내부 평면을 포함하는 전체 평면도이고,
도 4는 탈곡부의 측면도이고,
도 5는 상기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로터의 측면도이고,
도 7은 상기의 정면도이고,
도 8은 수납망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로터의 슬라이드 지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상기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상기의 로터를 외측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탈곡부의 작물 입구에 투스 바를 배설한 실시예에 의한 범용 컴바인의 탈곡부 내부 평면을 포함하는 전체 평면도이고,
도 13은 동일 실시예에서의 작물 입구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14는 상기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15는 제2 취급실(D2)의 하단을 제1 취급실(D1)의 하단보다 낮게 한 실시예에 의한 범용 컴바인의 탈곡부의 내부 측면을 포함하는 전체 측면도이고,
도 16은 제2 로터의 스크류 베인을 제1 로터의 스크류 베인보다 돌출시킨 실시예에 의한 범용 컴바인의 탈곡부의 내부 평면을 포함하는 전체 평면도이고,
도 17은 제1·제2 취급실의 외측에 작물 이송로를 형성한 실시예에 의한 범용 컴바인의 탈곡부의 내부 평면을 포함하는 전체 평면도이고,
도 18은 제1·제2 로터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실시예에 의한 범용 컴바인의 동력 전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측면도이고,
도 19는 상기의 탈곡부의 내부 평면을 포함하는 전체 평면도이고,
도 20은 환원 컨베이어의 종단부를 제1 취급실에 연통시키는 실시예에 의한 범용 컴바인의 탈곡부의 내부 측면을 포함하는 전체 측면도이고,
도 21은 상기의 제1·제2 취급실의 평면도이고,
도 22는 상기의 변형예의 제1·제2 취급실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환원 컨베이어의 종단부를 요동 선별부의 유곡판 상면에서 피더 하우징에 면하는 측의 반대측에 연통시킨 실시예에 의한 제1·제2 취급실의 평면도이고,
도 24는 수직 방향의 배출 컨베이어를 생략한 실시예에 의한 범용 컴바인의 탈곡부 내부 측면을 포함하는 전체 측면도이고,
도 25는 상기의 탈곡부의 내부 평면을 포함하는 전체 평면도이고,
도 26은 상기의 전체 정면 단면도이고,
도 27은 그레인 탱크의 하단을 제1·제2 로터 사이에 배치하는 실시예에 의한 범용 컴바인의 탈곡부의 내부 측면을 포함하는 전체 측면도이고,
도 28은 트랜스미션 케이싱을 기체 전부에 배치하는 경우의 동력 전달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범용 컴바인은 탈곡부에 스크류형 로터를 전후로 복수 개, 특히 2개를 병설함으로써 탈곡부에 반입된 작물을 이들 로터로 순차로 탈곡 처리함으로써 미처리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탈곡부에 배설되는 1개 이상(특히 2개)의 로터의 회전 축선을 기체의 진행 방향 즉 탈곡부로의 작물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여 배치하고 탈곡부에 반입된 작물이 최초의 로터 외주면의 스크류 베인에 직접 가압 접촉되도록 하여, 작물을 받아들이는 기능을 향상시키고, 또 기체의 전후 길이를 짧게 하고 있다. 또한 로터의 구동축이 요동 선별 장치의 컨베이어나 반송 장치의 구동축 등과 평행하게 되고 베벨 기어(bevel gear) 등을 사용하여 구동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동력 전달 시스템의 동일한 쪽에 배치하여 간소화하고 코스트 저감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탈곡부에 대략 구형상(矩形狀)의 슬라이드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끼우고 빼는 것이 가능하게 배설하고,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내부에 로터를 축 지지하여 로터를 슬라이드 프레임마다 기체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지 보수나 로터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로터를 2개 배설한 탈곡부에서는, 2개의 로터의 회전 방향을 상이하게 하여로터 사이의 작물을 주고받을 때 작물 층을 반전시키고 그때까지 로터에 접하여 탈립되지 않은 작물 층을 수납망에 가압 접촉시킴으로써, 처리 작물의 양이 증가해도 미처리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전측 로터의 외경을 크게 하고 후측 로터의 외경을 작게 하여 각 로터에 각각 별도의 역할을 분담시킨다. 즉, 전측 로터에는 주로 탈립을 행하게 하고, 탈곡부에 대량으로 반입되는 작물을 처리하고, 후측 로터에는 주로 배출할 지푸라기의 반송을 행하게 하며, 또 전측에서 처리하지 못한 작물에 부착된 곡립을 탈립시키도록 하여 소비 동력 절감과 탈곡부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
최전부(最前部)의 로터 외주면에서 피더 하우징(feeder housing)에 면하는 부분에는 투스 바(tooth bar)를 심어 형성하여 탈곡부에 반입되는 작물을 절단함으로써, 탈곡 처리 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또 최전부의 로터 외주면에서 피더 하우징에 면하는 부분의 스크류 베인의 피치를 피더 하우징 후단부의 횡폭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하여, 최전부의 로터 회전으로 피더 하우징으로부터의 작물을 해당 부분으로부터 다른 부분으로 이송하여 해당 부분에서의 작물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전측 로터 하방의 제1 취급실로부터 후측 로터 하방의 제2 취급실로 작물을 주고받는 반송에 관해서는 후측 로터의 회전 주속(周速)을 전측 로터의 회전 주속보다 빠르게 하고 후측 로터에서의 반송 속도를 높임으로써, 처리 작물의 층을 얇게 하고 박혀 있는 입자 등에 의한 곡립의 손실을 방지하고, 또 각 로터 사이에서 작물을 주고받을 때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전측 로터 하방의 수납망의 최하부를 후방 수납망의 최하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거나 또는 제1·제2 취급실의 외측에 작물 반송로를 설치하여 각 로터 사이에서 작물을 주고받는 것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또 후측 로터의 스크류 베인 높이를 전측 로터의 스크류 베인 높이보다 크게 하여 후측 로터의 작물 처리 스페이스를 확대함으로써 후측 로터에서의 작물의 분산을 양호하게 하여 박혀 있는 입자 등에 의한 곡립의 손실을 방지하고, 또 각 로터 사이에서 작물을 주고받을 때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환원 컨베이어에 관해 설명하면, 제1 취급실의 시단부(始端部)에 요동 선별부의 제2 홈통과 연통된 환원 컨베이어의 종단부를 연통시키고, 제2 홈통으로부터의 2차 처리물을 제1 로터에서 재처리함으로써, 지경을 가지는 2차 처리물의 탈립 처리를 행하여 제품으로서의 1차 처리물의 품질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또는 제2 홈통과 연통된 환원 컨베이어의 종단부를, 탈곡부의 요동 선별부의 유곡판 상면에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피더 하우징에 면하는 측의 반대측에 연통시키고 피선별물을 유곡판의 전체면에 균일하게 분포시켜 선별 능력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그레인 탱크에 관해서 설명하면, 탈곡부의 상방에 배설하여 기체의 좌우 폭에 맞춘 폭으로 형성할 수 있어 작물의 충전량의 변화에 관계없이 기체 중량이 좌우 방향에서 변동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그 저벽(底壁)을 전후 로터끼리 사이에 배치하여 전후 방향에서도 작물의 충전량의 변화에 따른 기체 중량의 변동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그레인 탱크의 측부에 배출 오거를 배치하고, 배출 오거의 시단부를 그레인 탱크 내에 설치한 배출 컨베이어와 연통시키며, 배출 오거의 종단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배치하여, 배출 컨베이어와 배출 오거 사이의 계승 거리를 단축하여 그 구동·반송 구성을 간소화하고 높이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동력 전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면, 엔진을 탈곡부 후방에 배치하여 운전부의 하방을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좌우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기체 후부의 좌우 대략 중앙에 배치할 수 있어, 좌우 중량 밸런스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방의 수확부에 대해 후방에 엔진이 배치됨으로써 전후의 중량 밸런스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엔진 하방에 트랜스미션 케이싱(transmission casing)을 배치함으로써, 마찬가지로 기체 전후의 중량 밸런스를 향상시키고, 또 엔진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싱로의 동력 전달 거리를 짧게 하고 있다.
그리고 엔진의 출력축을 좌우 일측으로 돌출시키고, 이 일측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싱, 탈곡부의 로터, 요동 선별부의 풍구(grain fan) 등, 수확부의 수확날 장치, 반송부, 또 각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것이며, 동력 전달 기구를 좌우 일측으로 배치할 수 있어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베벨 기어를 사용하여 구동 전달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범용 컴바인(A)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이 기본 실시예에 의한 범용 컴바인(A)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좌우 관계는 기체의 진행 방향에 대한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이 범용 컴바인(A)은 주행부(1)의 상방에 본체(B)를 탑재하고 이 본체(B)의 전방에 수확부(3)와 반송부(4)를 승강 가능하게 돌출 형성하고 있다. 이 승강용 액츄에이터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23에서, 유압식이나 공압식(空壓式) 등에 의한 승강용 실린더(140)를 주행부(1)와 피더 하우징(35) 사이에 설치한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주행부(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주행 프레임(11)의 전후 단부(端部)에 각각 종동륜(從動輪)(12)과 구동륜(13)을 축 지지하고 이 주행 프레임(11)의 하면에 복수의 전동륜(轉動輪)(14)을 축 지지하며 이들의 외주에 무한 궤도 밴드(15)를 감아 크롤러(crawler)식의 주행부(1)를 구성하고 있다.
또 본체(B)와 주행 프레임(11) 사이에 좌우 한 쌍의 경동(傾動) 기구(16)를 개재하여 설치한다. 이 경동 기구(16)는 본체(B)의 하면 전후부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신(延伸)된 추축(樞軸)(17, 17)을 가설하고 각 추축(17, 17)에 각각 대략 L자 형상의 승강 암(18, 18)의 굴절부를 회전 가능하게 피벗 장착하고, 각 승강 암(18·18)의 전단부를 주행 프레임(11)의 전후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피벗 장착하며, 또 각 승강 암(18, 18)의 상단부끼리 연결간(連結杆)(19)을 통하여 연결하여 본체(B)에 대해 주행부(1)를 평행 상태로 유지한 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1 승강 암(18)의 상단부와 본체(B) 사이에 유압식의 경동용 실린더(20)를개재하여 설치하고 이 경동용 실린더(20)의 신축 작동에 의해 좌우의 주행 프레임(11, 11)을 개별로 상하 이동시켜 한쪽 주행부(1)가 수렁같은 곳에 빠져도 본체(B)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경동용 실린더(20)는 유압식 이외에 공압식 등도 고려할 수 있다.
수확부(3)는 플랫폼(30)의 전단 에지에 수확날 장치(31)를 배치하고 이 수확날 장치(31)의 상방에 승강 링크(32)를 통하여 수거 릴(reel)(33)을 배치하여 수확날 장치(31)가 수확한 작물을 플랫폼(30) 내에 모으도록 하고 있다. 또 플랫폼(30)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신된 횡방향 이송 오거(34)를 축 지지하고, 이 횡방향 이송 오거(34)의 회전에 의해 플랫폼(30)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좌측 근방 위치에 수확 작물을 집적하도록 하고 있다. 도면에서 21은 분초판(分草板, divider)이다.
반송부(4)는 상기 수확부(3) 후면의 수확 작물 집적 위치에 피더 하우징(35)의 전단부를 연통 연결하고, 이 피더 하우징(35)의 후단부를 후술하는 탈곡부(5)의 작물 입구(36)에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연통 연결하며, 피더 하우징(35) 내부에 배설한 수확 작물 컨베이어(37)에 의해 피더 하우징(35) 내의 수확 작물을 탈곡부(5)에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또 피더 하우징(35) 하면과 본체(B) 사이에 승강용 유압 실린더를 개재하여 설치하고 이 승강용 유압 실린더의 신축 작동에 의해 수확부(3)와 반송부(4)를 승강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피더 하우징(35) 상방에는 내부에 운전석(39)이나 주행 핸들(40) 등을 수납한 캐빈(41)이 본체(B)에 고정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캐빈(41)이 본체(B)의전측 중앙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시계가 양호하고, 특히 수확부(3) 전방의 시계가 양호하기 때문에 수확 상태의 확인이 용이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피더 하우징(35)이 캐빈(41)에 대해 평면에서 보아 기체 진행 방향의 좌측 절반부에 배치되어 있다.
캐빈(41)의 후방에는 탈곡부(5)가 배설되어 있고, 이 탈곡부(5)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이 큰 제1 로터(51)와 직경이 작은 제2 로터(52)를 축심을 수평으로 하며 또한 진행 방향과 직교시켜 축 지지하고 있다. 단, 로터를 3개 이상 배치하여 탈곡 처리 거리를 길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로터(51, 52)의 외주면에는 각각 제1·제2 스크류 베인(53, 54)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제1·제2 로터(51, 52) 하방에는 각각 제1·제2 스크류 베인(53, 54)의 외측단으로부터 소정 간극을 두고 제1·제2 수납망(55, 56)을 배설하여 제1·제2 취급실(D1, D2)을 구성한다. 또 상기 제1·제2 로터(51, 52) 사이에 칸막이벽(57)을 설치하고 제2 로터(52)의 후방에 후벽(58)을 설치하며 상기 칸막이벽(57)의 우측 단부에 연통구(59)를 설치하고 후벽(58)의 좌측 단부에 지푸라기 배출구(60)를 설치하고 있다.
또 제1·제2 스크류 베인(53, 54)의 외주에는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취급용 투스(tooth)(53a)를 돌출 형성하여 작물을 효과적으로 절단하도록 하고 있다.
수납망에 관해서 설명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납망(55)의 그물눈을 제2 수납망(56)의 그물눈보다 가늘게 하여 지경을 가지는 곡립이 요동선별부(7)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탈곡 처리에 필요한 동력을 절감하도록 하고 있다.
로터와 수납망의 착탈 구조에 대해 도 9 내지 도 11에 의해 설명한다. 탈곡부(5)에 배설되며 내부에 제1 취급실(D1) 또는 제2 취급실(D2)을 형성하는 취급실 커버(120)의 전후부에, 각각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며 측면 단면에서 보아 ⊃자형인 전후 슬라이드 레일(121F, 121R)을 좌우 방향으로 연신시켜 가설하고, 전후 슬라이드 레일(121F, 121R)의 각 개구 내부에, 마찬가지로 각각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며 측면 단면에서 보아 ⊃자형인 중계(中繼) 슬라이드 프레임(123F, 123R)을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우고, 또 각 중계 슬라이드 프레임(123F, 123R)의 개구 내부에 평면에서 보아 대략 구형상인 슬라이드 프레임(122)의 전후 프레임부(122a, 122b)를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한다. 전후 프레임부(122a, 122b) 사이에는 측면에서 보아 U자형으로 수납망(55(56))을 가로질러 고정하고 있다.
이 슬라이드 프레임(122)의 좌우 프레임부(122c, 122d) 중앙부에는 각각 좌우 축받이(124L, 124R)를 설치하고 이 좌우 축받이(124L, 124R)로 로터(51(52))의 중심을 좌우 방향으로 통과한 로터 축(51a(52a))의 좌우 단부를 축 지지한다. 한편, 이 취급실 커버(120)의 일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좌측면)의 축받이(124L)에 대기하는 부분에 축받이(125)를 설치하고, 취급실 커버(120)의 외측으로부터, 로터 풀리(90(91))의 중심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뻗어나온 입력축(90a(91a))을 이 축받이(125) 및 (124L)에 끼우고 빼는 것이 가능하게 삽입하고 그 내측단을 이 로터 축(51a(52a))의 좌측단에 스플라인(spline) 결합한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프레임(122)의 우측 프레임부(122d)의 외측면에는 수직면 형상의 측판(側板)(126)을 일체의 형상으로 고착하고, 로터 축(51a(52a))과 입력축(90a(91a))을 결합하여 로터(51(52))를 취급실 커버(120) 내에 소정한 바대로 배설한 후 나사로 이 취급실 커버(120)의 우측면에 고정하는 것이다.
로터(51(52))는 나사를 빼고 측판(126)을 취급실 커버(120)로부터 분리한 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취급실 커버(120)의 우측면 개구로부터 슬라이드 레일(121F, 121R)을 따라 슬라이드 프레임(122)과 함께 횡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고, 이 취급실 커버(120)로부터 로터(51(52))를 전부 빼낸 상태가 되어도 슬라이드 프레임(122)의 전후 프레임부(122a, 122b)가 각각 중계 슬라이드 프레임(123F, 123R)을 통하여 슬라이드 레일(121F, 121R)에 걸려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한 후 신속하게 이 취급실 커버(120) 내로 슬라이드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전후 프레임부(122a, 122b)의 좌측 상단에는 각각 스토퍼 핀(stopper pin)(122e)을 부설하고, 이 중계 슬라이드 프레임(123F, 123R)의 좌측 상단에도 각각 스토퍼 핀(123a)을 부설하고 있고, 이 중계 슬라이드 프레임(123F, 123R)의 상단면과 이 슬라이드 레일(121F, 121R)의 상단면에는 각각 스토퍼 핀(122e, 123a)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프레임(122) 및 중계 슬라이드 레일(123F, 123R)이 각각 인출되는 방향의 슬라이드 종단 위치에 도달하면, 스토퍼 핀(122e, 123a)이 이 홈 끝에 접촉하여 정지하고, 이 슬라이드 프레임(122)이 이 중계 슬라이드 레일(123F, 123R)에 대해,또 이 중계 슬라이드 레일(123F, 123R)이 이 슬라이드 레일(121F, 121R)에 대해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취급실 커버(12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끼우고 빼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로터(51(52)) 및 수납망(55(56))의 장착 작업이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로터(51(52))의 지지 구조에서 좌우 관계를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로터 풀리(rotor pulley)(90(91))를 로터(51(52))의 우측에 배치하고 이 로터(50(51))를 취급실 커버(120)의 좌측 개구로부터 끼우고 빼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로터(51, 52) 및 수납망(55, 56)으로 취급실(D1, D2)을 형성한 탈곡부(5)에 대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진행 방향인 좌측 근방 측으로 배치되는 피더 하우징(35)으로부터 작물 입구(36)를 통하여 공급된 수확 작물을 제1 로터(51)의 회전에 의해 제1 수납망(55) 상에 끌어넣고, 제1 수납망(55) 상에서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탈곡 처리하고, 연통구(59)를 통하여 제2 수납망(56) 상으로 보내고, 제2 로터(52)의 회전에 의해 수확 작물을 되돌려 좌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탈곡 처리하고, 제1·제2 수납망(55·56)을 통과한 지푸라기 섞인 곡립을 후술하는 요동 선별부(7)에 낙하시키고, 제1·제2 수납망(55, 56) 상에 잔류된 지푸라기를 지푸라기 배출구(60)로부터 기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즉, 작물 입구(36)로부터 제1 수납망(55, 56)을 통하여 지푸라기 배출구(60)에 도달할 때까지의 탈곡 처리로(61)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동력 전달 구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제1·제2 로터(51, 52)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이 관계에 따라 스크류 베인(53, 54)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로터(51, 52)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긴 상태로 하여 상기의 작물의 좌우로 되돌리는 반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탈곡부(5)에서 제1·제2 로터(51, 52)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기체 좌측으로 치우친 작물 입구(36)로부터 반입된 수확 작물은 후술하는 로터의 외형이나 회전 속도에 관한 구조와 더불어, 제1 로터(51)로부터 제2 로터(52)로 차례로 원활하게 계승되고, 따라서 작물 입구(36)로부터 반입된 수확 작물은 막힘을 발생시키지 않고 제1 수납망(55) 상에 원활하게 공급된다.
탈곡부(5)에서는 제1·제2 로터(51, 52)에 의해 수확 작물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동안에 2단계로 처리되어 탈곡 처리가 완전하게 행해진다. 즉, 제1·제2 로터(51, 52)의 외경을 상이하게 하여 탈곡 처리의 역할을 분담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 로터(51)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작물의 받아들이는 것과 탈곡을 주로 행하게 하고 제2 로터(52)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여 지푸라기 배출을 주로 행하게 하는 등의 역할 분담을 행하게 하여, 탈곡 처리에 필요한 동력을 절감하고 탈곡부(5)를 소형 경량화하여 범용 컴바인(A) 전체의 레이아웃을 컴팩트하게 정리할 수 있다.
또 제2 로터(52)를 고속 회전시켜 이 제2 로터(52)의 회전 주속도를 제1 로터(51)의 회전 주속도보다 고속으로 하여 미처리 부분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제2 로터(52)의 작물 반송 속도를 빠르게 하고 반송물 층을 얇게 하여 박히는 입자를해소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로터(51)의 회전 주속도를 고속으로 하면, 껍질이 벗겨지는 탈부립이 발생하여 탈곡물의 품질이 저하되므로 제1 로터(51)의 회전 주속도를 그다지 고속으로 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탈곡부(5)에 제1·제2 로터(51, 52)를 배치하고 반입된 작물을 순차로 탈곡 처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미처리 부분 등에 의한 곡립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제2 로터(51, 52)를 진행 방향에 대해 직교하여 배치하고 있으므로 탈곡 처리 길이를 길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체의 전후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직경이 큰 제1 로터(51)가 피더 하우징(35)으로부터의 수확 작물의 반입 방향과 직교하고 있으므로 작물이 탈곡부(5)로 양호하게 공급되고, 제2 로터(52)의 직경을 작게 하므로 박혀 있는 입자 등의 미처리 부분까지 완전하게 탈곡 처리할 수 있어 지푸라기에 혼입되어 곡립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동 선별부(7)는 탈곡부(5) 하방에 배설되어 있다. 이 요동 선별부(7)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기구(71)에 의해 일체적으로 요동하는 유곡판(72)이나 그레인 시브(grain sheave)(73)나 채프 시브(chaff sheave)(74) 등과, 유곡판(72)의 하방에 배설한 풍구(75)로 구성되어 있고, 탈곡부(5)로부터 유곡판(72) 상에 낙하한 지푸라기가 혼입된 곡립으로부터 그레인 시브(73)에 의해 지푸라기가 섞인 곡립을 분리하고 지푸라기를 지푸라기 배출구(60)로부터 기계 외부로 배출하고, 미진(微塵)이 섞인 곡립을 그레인 시브(73)와 채프 시브(74) 하면을 따라 흐르는 풍구(75)로부터 선별을 위한 바람에 의해 곡립과 미진으로 분리하고 미진을 지푸라기 배출구(60)로부터 기계 외부로 배출한다. 그레인 시브(73) 하방에는 제1 홈통(76)을 좌우 방향으로 형성하고 그 안에 스크류형 제1 컨베이어(77)를 배설하고, 제1 홈통(76)의 종단으로부터 그레인 탱크(79) 내를 향하여 곡립 픽업 통 내에 제1 컨베이어(77)로부터 연동되는 스크류를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픽업 컨베이어(78)를 상방으로 연장 형성하며, 곡립 중 1차 처리물을 제1 컨베이어(77) 및 픽업 컨베이어(78)를 통하여 그레인 탱크(79)에 이송·저장한다. 그레인 시브(73)로부터 후방의 채프 시브(74)의 하방에는 제2 홈통(80)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제2 홈통(80) 내에 스크류형 제2 컨베이어(80a)가 배설되며, 이 제2 홈통(80)의 종단부로부터 제2 컨베이어(80a)에 연동하는 환원 컨베이어(81)를 연장 형성하고 그 종단부를 요동 선별부(7)의 전부(前部), 즉 유곡판(72) 상면에 배치하고 있고, 곡립 중 2차 처리물을 제2 컨베이어(80a) 및 환원 컨베이어(81)를 통하여 요동 선별부(7)의 전부(유곡판(72) 상)에 환류(還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레인 탱크(79)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대략 역삼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로터(52)의 전단 상방으로부터 요동 선별부(7)의 후단 상방에 걸쳐 배치된다. 이 그레인 탱크(79) 내의 최하부에는 배출 컨베이어(82a)를 좌우 방향으로 연신시켜 배치하고, 또한 이 배출 컨베이어(82a)의 종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배출 컨베이어(82b)를 연장 형성하여 배출 컨베이어(82)를 구성하며, 이 배출 컨베이어(82b)의 종단에 배출 오거(83)의 시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통 연결하고, 이 배출 오거(83)의 종단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레인 탱크(79) 속의 곡립을 트럭의 짐받이 등에 이송할 때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평상시에는 배출 오거(83)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그레인 탱크(79)의 폭은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탈곡부(5)의 폭과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넓게 함으로써, 탱크 내에 벼가 충전되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중심 밸런스가 변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레인 탱크(79)의 후방, 즉 탈곡부(5)의 후방에는 엔진(84)을 배설하고 이 엔진(84) 하방에 트랜스미션 케이싱(85)을 배설하고 있다. 엔진(84)을 탈곡부(5)의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운전부인 캐빈(41)의 하방을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캐빈(41) 및 엔진(84)이 좌우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기체의 좌우 대략 중앙에 배치할 수 있어 좌우의 중량 밸런스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방의 수확부(3)에 대해 후방에 엔진(84)이 배치됨으로써 전후의 중량 밸런스도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엔진 하방에 트랜스미션 케이싱(85)을 배치함으로써, 마찬가지로 기체 전후의 중량 밸런스를 향상시키고, 또 엔진(84)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싱(85)으로의 동력 전달 거리를 짧게 하고 있다.
다음에, 이 기본 실시예의 범용 컴바인(A)에서의 엔진(84)으로부터의 동력 전달에 대해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엔진(84)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으로 돌출된 출력축(86)에는 다연(多連, multiple string) 풀리인 엔진 출력 풀리(87)를 고정 설치하고, 같은 쪽으로 제1 로터(51)의 회전축과 제2 로터(52)의 회전축에 각각 다연 풀리인 제1 로터 풀리(90) 및 제2 로터 풀리(91)를 고정 설치하고, 또 제2 로터 풀리(92)와 상기 엔진 출력 풀리(87)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다연 풀리인 중계 풀리(89)를 배치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엔진 출력 풀리(87)와 중계 풀리(89) 사이, 중계 풀리(89)와 제2 로터 풀리(91) 사이, 또 제2 로터 풀리(92)와 제1 로터 풀리(91) 사이에 각각 로터 구동 벨트(88a, 88b) 및 로터 사이 연동 벨트(92)를 비스듬하게 걸쳐 감아 제1·제2 로터(51, 52)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또한, 제1 로터 풀리(90)와 피더 하우징(35)의 종단부에 축 지지한 수확 반송 구동축(93)에 축 지지된 수확 반송부 입력 풀리(94) 사이에 수확 반송 구동 벨트(95)를 감아, 제1·제2 로터(51, 52)의 구동에 대해 수확부(3)의 수확날 장치(31) 및 횡방향 이송 오거(34), 또 반송부(4)의 수확 작물 컨베이어(37)를 종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제2 로터 풀리(91)와 제1 컨베이어 구동 풀리(96)와 제2 컨베이어 구동 풀리(97)에 컨베이어 구동 벨트(98)를 감아, 제1 컨베이어 구동 풀리(96)의 구동으로 제1 컨베이어(77)와 픽업 컨베이어(78)를, 제2 컨베이어 구동 풀리(97)의 구동으로 제2 컨베이어(80a)와 환원 컨베이어(81)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 로터 풀리(90)와 요동 선별부(7)의 선별부 입력 풀리(99)를 요동 선별부 구동 벨트(100)를 통하여 연동 연결하여 요동 선별부(7)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즉, 풍구(75)를 회전 구동하고 유곡판(72)과 그레인 시브(73)와 채프 시브(74)를 일체로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71)를 구동하는 것이다.
또 엔진 출력 풀리(87)와 곡립 배출 구동 풀리(101) 사이에 곡립 배출 구동 벨트(102)를 감아 엔진(84)의 출력에 배출 컨베이어(82)를 연동시키는 동시에, 이엔진 출력 풀리(87)와 트랜스미션 케이싱(85)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주행부 입력 풀리(104) 사이에 주행 구동 벨트(103)를 감아 주행부(1)의 구동륜(13)을 회전 구동한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105는 텐션 클러치(tension clutch), 참조 부호 106은 텐션 풀리(tension pulley)이고, 이 텐션 클러치(105)의 단접(斷接)에 의해 범용 컴바인(A)의 주행 작동과, 수확·탈곡·선별 작동과, 곡립 배출 작동을 개별로 행하게 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동력 전달 기구는 풀리를 스프로켓으로, 벨트를 체인으로 대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엔진(84)의 출력축(86)으로부터 같은 쪽(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 배치한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수확부(3), 수확 작물 컨베이어(37), 탈곡부(5), 요동 선별부(7), 지푸라기 배출용 장치 및 주행 구동 시스템에 동력을 전달하고 있으며, 베벨 기어를 사용하여 구동이나 전달 방향을 변경하지 않아 구동 구성이 간단하게 되며 구동 손실도 감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은 범용 컴바인(A)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하 컴바인의 탈곡부, 그레인 탱크, 컨베이어 등의 각 부에 대한 변형예인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먼저 탈곡부(5)에 관해 도 12 내지 도 19에 개시된 각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탈곡부(5)의 제1 취급실(D1) 근방의 작물 입구(36)에 탈곡부(5)에서의 작물의 반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막힘 방지 구조를 설치한 것이다. 먼저, 제1 로터(51) 외주면이 피더 하우징(35)에 면하는 부분, 즉 작물 입구(36)에 면하는 부분에 대략 빗 형상의 투스 바(T1)를 심어 형성하는 동시에, 이 작물 입구(36)의 하단 에지에 대략 빗 형상의 고정 투스(T2)를 형성하여 각 투스(T1, T2)를 겹치고, 제1 로터(51)의 회전에 의해 피더 하우징(35)으로부터 반입되는 작물을 가늘게 절단하여 탈곡 처리 능력을 높이는 동시에 탈곡 처리 중의 작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또 도 12 및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로터(51) 외주면에서 피더 하우징(35)에 면하는 부분, 즉 작물 입구(36)에 면하는 부분의 제1 스크류 베인(53)의 피치(P)를 탈곡부(5)에서 피더 하우징(35)에 면하는 부분, 즉 작물 입구(36)에 면하는 부분의 횡폭과 동일 치수로 함으로써, 제1 로터(51)의 1회전으로 작물 입구(36)로부터의 작물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이 부분에서의 작물의 막힘을 방지하고 있다.
도 15는 제1 취급실(D1)로부터 제2 취급실(D2)로의 작물 반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수납망(55)의 하면 최하부의 위치를 높게, 제2 수납망(56)의 하면 최하부의 위치를 낮게 하여 고저차(h)를 설정함으로써 제1 로터(51)로부터 제2 로터(52)로의 작물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도 16은 제2 취급실(D2)에서의 탈곡 성능을 높이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로터(52)의 제2 스크류 베인(54)의 돌출량(h2)을 제1로터(51)의 제1 스크류 베인(53)의 돌출량(h1)보다 크게 하고, 제2 로터(52)와 제2 수납망(56)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확대하여 작물의 분산을 양호하게 하여 작물과 곡립의 분리를 양호하게 하여 곡립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17은 탈곡 처리 능력을 높이기 위해 제1·제2 취급실(D1, D2)을 연장하는 실시예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제2 취급실(D1, D2)의 우측 외부에 작물 이송로(D3)를 설치하여 제1·제2 수납망(55, 56)을 충분히 탈곡 처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작물 이송로(D3)는 취급실 측이 개구되며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제2 취급실(D1, D2)의 우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제2 로터(51, 52)의 우측 단부를 제1·제2 수납망(55, 56)의 우측단을 지나 상기 작물 이송로(D3)의 내부까지 연장시키고 제1·제2 취급실(D1, D2) 사이의 작물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도 18 및 도 19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로터 풀리(91)의 풀리 축을 제2 로터(52)의 회전축으로부터 비키게 하고 양 축끼리 역전(逆轉) 기어 박스(110)를 통하여 연동 연결함으로써, 제2 로터(52)를 제2 로터 풀리(91)의 회전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로터 풀리(90)와 제2 로터 풀리(91) 사이에는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게 로터 사이 연동 풀리(92)를 감아 양 풀리(90, 91)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결과 제1·제2 로터(51, 52)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수확 작물의 공급량이 증가하여 제1 로터(51)와 제1 수납망(55) 사이의 작물 층이 두꺼워져 제1 수납망(55)에 접한 부분만이 탈립되고 제1 로터(51)에 접하는 부분이 탈립되지 않은 경우에도, 제2 로터(52)가 역회전하고 있으므로 작물층이 반전되어 그때까지 제1 로터(51)에 접하고 있던 부분이 제2 수납망(56)에 접하게 되어 미처리 부분이 없는 완전한 탈곡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환원 컨베이어(81)의 배치에 관해 도 20 내지 도 23에 개시된 각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1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환원 컨베이어(81)의 종단부를 제1 취급실(D1)의 좌측 방향으로 배치하고, 환원구(D4)를 통하여 제1 취급실(D1)의 좌측면에 연통시켜 제2 홈통(80)으로부터의 2차 처리물을 제1 취급실(D1)의 좌측부로 환원되도록 하고 있다.
도 22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며, 제1 취급실(D1)과 제1 로터(51)를 좌측 방향으로 연장하여 이 연장부의 후측면에 환원 컨베이어(81)의 종단부를 연통시켜 제2 홈통(80)으로부터의 2차 처리물을 제1 취급실(D1)의 좌측부로 환원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홈통(80)으로부터의 2차 처리물을 제1 취급실(D1)로 환원시켜 재차 탈곡 처리함으로써 지경을 가지는 2차 처리물을 완전하게 탈립하여 제품으로서의 1차 처리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23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게 환원 컨베이어(81)의 종단부를 요동 선별부(7)의 유곡판(72)의 상면에 배치하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이 종단부를 요동 선별부(7)의 유곡판(72)의 상면 우측부, 즉 탈곡부(5)의 피더 하우징(35)에 면하는 부분의 반대측 부분에 연통시키고 있다. 그리고 유곡판(72)은 제1 취급실(D1)로부터의 탈립이 피더 하우징(35) 근방의 한쪽(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 많고, 다른 쪽(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으로 갈수록 적어지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 다른 쪽에 환원 컨베이어(81)로부터의 2차 처리물이 보전(補塡)되어 유곡판(72) 상에 피선별물이 균일하게 분포되게 되어 선별 능력을 높이는 것이다.
다음에, 그레인 탱크(79), 배출 컨베이어(82) 및 배출 오거(83)에 관해 도 24 및 도 27에 개시된 각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도 24 내지 도 26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그레인 탱크(79)의 전부를 제1 로터(51)의 상방까지 연장시켜 용량 증대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부(5)의 폭과 대략 동일하거나 그보다 넓게 함으로써 용량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탱크 내에 벼가 충전되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중심 밸런스가 변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도 1 등에 도시된 수직 방향의 배출 컨베이어(82b)를 설치하지 않고, 배출 오거(83)의 시단을 그레인 탱크(79)의 저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설한 배출 컨베이어(82a)의 종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통시키도록 하며 평상시의 배출 오거(83)는 그 종단을 전측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수직 방향의 배출 컨베이어(82b)를 없앰으로써 배출 컨베이어(83)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코스트 저감화 및 경량화로 이어지고 그레인 탱크(79)의 용량 증대에도 공헌한다.
또한 도 27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그레인 탱크(79)의 전부를 제1 로터(51)의 상방까지 연장시키는 동시에 그 저벽(79a)을 측면에서 보아 대략 역삼각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최하부를 제1·제2 로터(51, 52)에 의해 측면에서 보아 대략 역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그레인 탱크(79)는 그 좌우 폭을 탈곡부(5)의 폭과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함으로써, 탱크 내에 벼가 충전되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에 기체의 좌우 방향에서 중심 밸런스가 변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고,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그레인 탱크(79)의 하단부를 기체의 전후 방향에서 대략 중앙에 위치시킴으로써, 탱크 내에 벼가 충전되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에 기체의 전후 방향에서도 중심 밸런스가 변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그레인 탱크(79) 내의 벼의 충전량에 관계없이, 기체의 중심 위치는 거의 변하지 않아 중량 밸런스가 깨지지 않으므로 안정되게 수확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7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도, 배출 컨베이어(82)는 그레인 탱크(79) 저부의 수평 방향의 배출 컨베이어(82a)만으로 형성하고, 수직 방향의 배출 컨베이어(82b)를 설치하지 않고 배출 오거(83)의 시단을 배출 컨베이어(82a)의 종단에 연결하여 그 종단을 전측 상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이 그레인 탱크(79), 배출 컨베이어(82) 및 배출 오거(83)의 구조는 상기 도 15에 도시한 실시예에도 채용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동력 전달 시스템, 특히 주행 구동 시스템에 관한 도 28에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등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주행부(1)의 구동륜(13)을 후단에 배치하고 있는데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이것을 전단에 배치하고 있으며(따라서, 종동륜(12)을 후단에 축 지지하고 있고), 트랜스미션 케이싱(85)도 이에 따라 수확부(3)의 후측 하방(탈곡부(5)의 전단부)에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 출력 풀리(87)로부터 제1 주행 구동 벨트(103a), 다연 풀리인 중계 풀리(130), 제2 주행 구동 벨트(103b)를 통하여 트랜스미션 케이싱(85)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주행부 입력 풀리(10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주행 구동 시스템 이외의 구동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로터 풀리(91)에 대해 엔진 출력 풀리(87)로부터 중계 풀리(89)를 개재시키지 않고 1개의 로터 구동 벨트(88)를 감는다. 또한 기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로터 풀리(91)와 제1 로터 풀리(90) 사이에 로터 연동 풀리(92)를 감고, 또 제2 로터 풀리(91)와 수확 반송부 구동 풀리(94) 사이에 수확 반송부 구동 벨트(95)를 감으며, 또 엔진 출력 풀리(87)와 곡립 배출 구동 풀리(101) 사이에는 곡립 배출 구동 벨트(102)를 감는다. 또 제1 컨베이어(77) 및 환원 컨베이어(81)의 구동용으로 제2 로터 풀리(91)와 제1 컨베이어 구동 풀리(96)와 제2 컨베이어 구동 풀리(97)에 컨베이어 구동 벨트(98)를 감는다.
요동 선별부(7)는 트랜스미션 케이싱(85)을 기체 전부에 배설하는 관계상, 요동 기구(71)를 요동 선별부(7)의 후단부에 배설하고 있으므로, 요동 선별부(7)의 전부에 배설되는 풍구(75)로부터 멀어진다. 이로 인해, 기본 실시예와 같이 동일한 벨트에 의한 구동은 곤란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컨베이어 구동 풀리(96) 및 제2 컨베이어 구동 풀리(97)의 각 동축상에 스프로켓을 설치하고, 요동 기구(71) 구동용 편심축(71a)과 동축상에 배설한 스프로켓 사이에서 요동 구동 체인(131)을 감아 제2 로터(52)(및 제1 로터(51))와 각 컨베이어(77, 78, 80a, 81)의 구동에 요동 선별부(7)의 요동 기구(71)를 연동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컨베이어 구동 벨트(98)를 다연 풀리(132)에 걸고, 이 다연 풀리(132)와 풍구 구동 풀리(133) 사이에 풍구 구동 벨트(134)를 감는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 구동 벨트(98)보다 후부에 위치하는 요동 기구(71)에 대해서는 요동 구동 체인(131)을 개재 장착하고, 그보다 전부에 위치하는 풍구(75)에 대해서는 풍구 구동 벨트(134)를 개재 장착하여 이 요동 기구(71) 및 풍구(75)를 제2 로터(52) 및 컨베이어(77, 78, 80a, 81)의 구동에 연동시키고 있다. 그리고, 풍구 구동 풀리(133)에 대해 제1 로터 풀리(90)로부터 벨트를 감아 제1 로터(51)에 풍구(75)를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풀리 및 벨트(체인·스프로켓을 포함함)로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기구도 엔진(84)의 출력축(86)으로부터 같은 쪽에 배치하고 있고 베벨 기어를 사용하여 구동이나 전달 방향을 변경하지 않아 구동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구동 손실도 감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쌀이나 보리 등 다양한 곡립을 수확하고 탈곡하여 곡립을 저장하고 적당히 배출하는 범용 컴바인으로서, 고도의 탈곡 처리 능력이나 조작성, 또 기체의 컴팩트성이나 중량 밸런스의 안정성을 가지는 범용 컴바인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31)

  1. 삭제
  2. 탈곡부 내에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 방향의 회전 축심을 가지는 복수 개의 스크류형 로터를 전후로 병설하고, 각 로터의 회전 축심을 따라 기체(機體) 좌우 방향의 작물 반송로(搬送路)가 형성되며, 직전 직후끼리의 각 로터를 따른 작물 반송로의 반송 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고 직전의 작물 반송로의 종단(終端)과 직후의 작물 반송로의 시단(始端)끼리를 연통시켜 전단 로터로부터 후단 로터까지 연속된 형태의 작물 반송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터의 직경을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터 중 적어도 한쌍의 전후끼리의 로터에 대해 전측 로터의 직경을 후측 로터의 직경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부의 전부(前部) 및 후부(後部)에 각각 진행 방향에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연신된 슬라이드 레일을 가설(架設)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프레임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각 로터를 축 지지하는 동시에, 각 로터의 회전 구동용 풀리에 대해 각 로터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부에 수확 작물을 반송하는 피더 하우징(feeder housing)을 연통시키고, 상기 로터의 외주면에서 피더 하우징에 면하는 부분에 투스 바(tooth bar)를 심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부에 수확 작물을 반송하는 피더 하우징을 연통시키고, 상기 로터의 외주면에서 피더 하우징에 면하는 부분의 스크류 베인(screw vane)의 피치와 상기 피더 하우징 후단부의 횡폭을 대략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부의 상방에 상기 탈곡부의 좌우 폭과 대략 동일한 좌우 폭을 가지는 그레인 탱크(grain tank)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9. 제2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터끼리 사이의 공간에 상기 그레인 탱크 내의 곡립(穀粒)을 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의 측부에 배출 오거(discharge auger)를 배치하고, 상기 배출 오거의 기부(基部)를 그레인 탱크 내에 설치한 배출 컨베이어와 연통시키며, 상기 배출 오거를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의 측부에 배출 오거(discharge auger)를 배치하고, 상기 배출 오거의 기부(基部)를 그레인 탱크 내에 설치한 배출 컨베이어와 연통시키며, 상기 배출 오거를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부의 후부에 엔진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부의 후부에 엔진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부의 후부에 엔진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하방에 트랜스미션 케이싱(transmission casing)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출력축을 좌우 일측에 돌출시키고, 상기 일측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싱 및 상기 로터 및 선별 장치 및 수확 장치·반송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출력축을 좌우 일측에 돌출시키고, 상기 일측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싱 및 상기 로터 및 선별 장치 및 수확 장치·반송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출력축을 좌우 일측에 돌출시키고, 상기 일측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싱 및 상기 로터 및 선별 장치 및 수확 장치·반송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출력축을 좌우 일측에 돌출시키고, 상기 일측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싱 및 상기 로터 및 선별 장치 및 수확 장치·반송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20. 탈곡부 내에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 방향의 회전 축심을 가지며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스크류형 로터를 전후로 병설하고, 각 로터의 회전 축심을 따라 기체 좌우 방향의 작물 반송로가 형성되며, 각 로터에 따른 작물 반송로의 반송 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고 전측 작물 반송로의 종단과 후측 작물 반송로의 시단끼리를 연통시켜 전측 로터로부터 후측 로터까지 연속된 형태의 작물 반송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21. 탈곡부 내에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 방향의 회전 축심을 가지며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스크류형 로터를 전후로 병설하고, 각 로터의 회전 축심을 따라 기체 좌우 방향의 작물 반송로가 형성되며, 각 로터에 따른 작물 반송로의 반송 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고 전측 작물 반송로의 종단과 후측 작물 반송로의 시단끼리를 연통시켜 전측 로터로부터 후측 로터까지 연속된 형태의 작물 반송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중 후측 로터의 회전 주속도(周速度)를 전측 로터의 회전 주속도보다 고속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로터 중 전측 로터의 직경을 후측 로터의 직경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양 로터 중 전측 로터의 직경을 후측 로터의 직경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25. 탈곡부 내에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 방향의 회전 축심을 가지는 2개의 스크류형 로터를 전후로 병설하고, 각 로터 하방에 각각 수납망(receiving net)을 배치하여 각 수납망에 의해 각 로터의 회전 축심을 따라 기체 좌우 방향의 작물 반송로를 형성하며, 양 작물 반송로의 반송 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고 전측 작물 반송로의 종단과 후측 작물 반송로의 시단끼리를 연통시켜 전측 로터로부터 후측 로터까지 연속된 형태의 작물 반송로를 구성하는 동시에, 전측 수납망의 최하부를 후측 수납망의 최하부보다 높은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26. 탈곡부 내에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스크류형 로터를 전후로 병설하고, 후측 로터에 돌출 형성된 스크류 베인의 돌출량을 전측 로터에 돌출 형성된 스크류 베인의 돌출량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27. 탈곡부 내에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스크류형 로터를 전후로 병설하고, 각 로터의 하방에 각각 수납망을 배치하며, 이들 상기 수납망의 그물눈 크기를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망 중 전측 로터 하방의 수납망의 그물눈을 후측 로터 하방의 수납망의 그물눈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29. 탈곡부 내에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 방향의 회전 축심을 가지는 2개의 스크류형 로터를 전후로 병설하고, 각 로터의 회전 축심을 따라 기체 좌우 방향의 작물 반송로가 형성되며, 양 작물 반송로의 반송 방향은 서로 역방향으로 하고, 좌우 방향의 칸막이부에서 전후로 구획되며, 상기 칸막이부의 좌우 일단의 외측에서 전측 작물 반송로의 종단과 후측 작물 반송로의 시단끼리를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형성하고, 전측 로터로부터 후측 로터까지 연속된 형태의 작물 반송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와는 반대측의 상기 칸막이부의 좌우 일단의 외측에서 요동 선별부의 제2 홈통과 연통된 환원 컨베이어의 종단부를 상기 전측 작물 반송로의 시단부에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31. 탈곡부 내에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스크류형 로터를 전후로 병설하고, 각 로터 하방에 각각 수납망을 배치하며, 요동 선별부의 제2 홈통과 연통하는 환원 컨베이어의 종단부를, 상기 탈곡부에서 상기 요동 선별부의 유곡판(流穀板) 상면에 맞닿는 부분으로서 상기 탈곡부가 피더 하우징에 면하는 측의 반대측 부분에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컴바인.
KR10-2000-7001954A 1997-08-26 1998-08-24 범용 컴바인 KR100469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918497A JPH1156086A (ja) 1997-08-26 1997-08-26 汎用コンバイン
JP97-229184 1997-08-26
JP27624497A JPH11103654A (ja) 1997-10-08 1997-10-08 汎用コンバイン
JP97-276243 1997-10-08
JP97-276244 1997-10-08
JP27624397A JPH11103653A (ja) 1997-10-08 1997-10-08 汎用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319A KR20010023319A (ko) 2001-03-26
KR100469590B1 true KR100469590B1 (ko) 2005-02-02

Family

ID=2733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954A KR100469590B1 (ko) 1997-08-26 1998-08-24 범용 컴바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33071A4 (ko)
KR (1) KR100469590B1 (ko)
CN (1) CN1226912C (ko)
AU (1) AU8750098A (ko)
WO (1) WO19990098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3919A (zh) * 2016-04-18 2016-07-06 鹤岗市今时农机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联合收割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1344B (zh) * 2011-09-06 2016-05-18 洋马株式会社 联合收割机
CN103703920A (zh) * 2012-09-28 2014-04-09 克拉斯印度莫林达私人有限公司 联合收割机
DE102016103204A1 (de) * 2016-02-24 2017-08-24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Antriebsanordnung für einen Mähdrescher
BE1023990B1 (nl) * 2016-03-29 2017-10-25 Cnh Industrial Belgium Nv Dors- en scheidingssysteem voor een oogstmachine
CN109121662A (zh) * 2018-07-26 2019-01-04 山西省农业科学院作物科学研究所 一种电动智能绿豆收获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19065A (de) * 1939-09-29 1942-01-31 Heinrich Lanz Ag Dreschmaschine mit mehreren hintereinander angeordneten Dreschvorrichtungen.
JPS5637551Y2 (ko) * 1976-08-03 1981-09-02
IT1134171B (it) * 1979-11-14 1986-07-31 Sperry Nv Mietitrebbia
JPS58117826U (ja) * 1982-02-04 1983-08-1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S58193616A (ja) * 1982-05-06 1983-11-11 株式会社クボタ 直流形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装置
JPS59122035U (ja) * 1983-02-07 1984-08-17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直流形コンバインにおける刈取搬送装置
JPS59139031U (ja) * 1983-03-09 1984-09-17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DE3322805A1 (de) * 1983-06-24 1985-01-03 Claas Ohg, 4834 Harsewinkel Selbstfahrender maehdrescher nach dem axialflusssystem
JPS6036041U (ja) * 1983-08-19 1985-03-1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S6051940U (ja) * 1983-09-16 1985-04-12 高山 和義 コンバインにおける移送装置
JPH0339007Y2 (ko) * 1985-06-20 1991-08-16
DE3850570T2 (de) * 1988-04-26 1994-10-20 Ford New Holland N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örnerverlustmessung an Dreschmaschinen.
JPH07298769A (ja) * 1994-05-02 1995-11-14 Kubota Corp コンバイン
GB2293080A (en) * 1994-09-17 1996-03-20 New Holland Belguim Nv Grain cleaner for combine harves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3919A (zh) * 2016-04-18 2016-07-06 鹤岗市今时农机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联合收割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3071A4 (en) 2002-07-03
KR20010023319A (ko) 2001-03-26
AU8750098A (en) 1999-03-16
WO1999009807A1 (fr) 1999-03-04
EP1033071A1 (en) 2000-09-06
CN1268023A (zh) 2000-09-27
CN1226912C (zh)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250751A (ja) 普通型コンバイン
CN102469767B (zh) 联合收割机
KR100469590B1 (ko) 범용 컴바인
US6361435B1 (en) General purpose combined harvester and thresher
CN203136581U (zh) 联合收割机
JP2011250750A (ja) 普通型コンバイン
CN1248566C (zh) 联合收割机
JP3851159B2 (ja) コンバイン
JP2000037130A (ja) 普通形コンバイン
JP4042831B2 (ja) 普通形コンバイン
JP3989096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2011250752A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00037124A (ja) 汎用コンバイン
JPH1156086A (ja) 汎用コンバイン
JP2003180134A (ja) コンバイン
JP2001352825A (ja) コンバイン
JP3821770B2 (ja) コンバイン
JP2001061338A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排ワラ搬送装置駆動構造
JP4427638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部構造
JPS6040090Y2 (ja) コンバイン
KR0130872B1 (ko) 탈곡 장치
JP3412230B2 (ja) 脱穀装置
JP3446283B2 (ja) 脱穀装置
JPH1084762A (ja)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JPH11103653A (ja) 汎用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