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584B1 - 탈모장치 - Google Patents

탈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584B1
KR100452584B1 KR10-2001-0071259A KR20010071259A KR100452584B1 KR 100452584 B1 KR100452584 B1 KR 100452584B1 KR 20010071259 A KR20010071259 A KR 20010071259A KR 100452584 B1 KR100452584 B1 KR 100452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ear
hair loss
body housing
over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490A (ko
Inventor
야마구치나오키
타케우치토시히로
무라키켄이치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6/0023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with rotating clamping elements
    • A45D26/0028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with rotating clamping elements with rotating discs or blades

Abstract

구동원을 내장하는 본체 하우징(1)과, 본체 하우징(1)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된 헤드(2) 내에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실린더(2)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실린더(4)에 개폐구동되는 탈모용 손톱부을 설치하여, 상기 손톱부로 끼운 털을 회전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뽑는 탈모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1) 안에서의 헤드(2)측으로의 동력전달용 출력부와 구동원(3) 사이에 과부하시에 동력전달을 차단하는 과부하 클러치(18)가 설치되므로, 과부하 클러치(18)가 전달해야만 하는 토크를 작게 할 수 있고, 안정한 동작을 얻을 수 있는 과부하 클러치를 구비한 것을 저 코스트로 얻는다.

Description

탈모장치{Epilating Device}
본 발명은, 미용 등의 목적을 위해 체모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탈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회전구동하여 털을 사이에 끼우고, 털을 뽑는 탈모장치가 특허공개 2000-125925호 공보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구동원을 내장한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탈모용 회전실린더를 구비한 헤드가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탈모장치에서는, 과부하시에 회전실린더에 다다르는 동력을 전달하는 과부하 클러치를 설치하지만, 상기 공보에 나타내어진 것에서는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된 헤드 내의 동력전달계 중에 과부하 클러치를 배치하고 있었다.
여기에서, 본체 하우징 내의 구동원의 회전이 크게 감속된 상태에서 헤드 내의 회전실린더에 전달하여 회전실린더를 큰 토크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지만, 감속계에서의 최종 출력부인 회전실린더에 가까운 곳에 과부하 클러치가 존재한다는 것은, 이 과부하 클러치로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만 되므로, 이 경우, 구성 부품의 강도 확보면 등의 관점에서 과부하 클러치도 코스트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과부하 클러치의 수용 스페이스의 확보면의 관점에서 헤드 그 자체도 커지게 된다.
더욱이, 대상이 되는 체모에 각각 알맞은 복수 종류의 헤드를 본체 하우징에선택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경우, 각 헤드 내부에 각각 과부하 클러치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부품수가 아무래도 많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안정된 동작을 얻을 수 있는 과부하 클러치를 구비한 것을 낮은 코스트로 얻을 수 있는 탈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또 다른 목적은, 복수 종류의 헤드가 선택적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과부하 클러치를 헤드마다 마련할 필요가 없는 탈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탈모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회전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본체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본체 케이싱 내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기초 블록 및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탈모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탈모 블록의 다른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기초 블록의 기초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과부하 클러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회전실린더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의 회전실린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의 회전실린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의 탈모 주체부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의 개폐 레버와 복귀 스프링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의 회전실린더의 분해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의 회전실린더 표면의 전개도이다.
도 21은, 도 1의 회전실린더의 횡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의 회전실린더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3은, 도 1의 회전실린더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4는, 과부하 클러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서 다른 헤드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에서 다른 헤드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 본체 하우징
2... 탈모헤드
3... 모터
4... 회전실린더
18... 과부하 클러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탈모장치는, 구동원을 내장하는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된 헤드 내에 상기 구동원으로 회전구동되는 회전실린더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실린더에 개폐 구동되는 탈모용의 손톱부를 설치하고, 상기 손톱부에서 사이에 끼워진 털을 회전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뽑는 탈모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내에서의 헤드측으로의 동력전달용 출력부와 구동원과의 사이에 과부하시에 동력전달을 차단하는 과부하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때,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헤드가 선택적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과부하 클러치는 과부하 해소와 함께 복귀하는 자동 복귀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동력전달용 기어가 작동부재로 되어 있는 것, 특히 동력전달계에서의 구동원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기어가 작동부재로 되어 있는 것이나 축방향으로 스프링력을 받는 정면 기어(face gear)가 작동부재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과부하 클러치의 부하측에서 본 동작부하가 가변으로 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특히,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된 복수 종류의 날 헤드(head)에 따라서 부하측에서 본 동작부하가 가변으로 되어 있거나, 본체 하우징에는 복수 종류의 날 헤드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에 복수 종류의 날 헤드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복수개의 과부하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도면에 나타내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도시된 예의 탈모장치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구동원인 모터(3)를 내장하고 있는 본체 케이싱(1) 상에 회전실린더(4)를 구비한 탈모헤드(2)를 설치한 것으로서, 회전실린더(4)에는 개폐하여 털을 사이에 끼우는 복수의 손톱부(5a)(6a)(36)(37)로 구성된 탈모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실린더(4)의 축 둘레 회전에 따라 탈모수단이 털을 사이에 끼워서 뽑게 되어 있다.
앞면에 스위치(S)가 배치되어 있는 본체 케이싱(1)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2개로 나뉜 반쪽 케이싱(7)(7)을 나사(7n)에 의해 접합한 것으로서, 상단 개구부는 모터(3)나 구동전달수단을 지지하고 본체 케이싱(1) 내에 수용된 기초대(8)의 상면부에 의해 닫혀져 있고, 본체 케이싱(1)의 하단에는 급전용(給電用)의 플러그(9)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체 케이싱(1)에 전원인 전지(電池)를 내장한 것이어도 좋다.
상면부에 후크 연결부(10)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기초대(8)는, 모터 내장용 기초대(12)와 이것의 옆쪽 개구부에 나사(131n)에 의해 고정되는 커버(1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모터 내장용 기초대(12) 하부의 모터 내장부(12a)의 아래쪽으로부터 모터(3)가 끼워넣어져 있다. 그리고, 커버(13)에 의해 옆쪽 개구부가 덮여진 모터 내장용 기초대(12)의 상부 안쪽 공간(16)에는 과부하 클러치(18) 및 기어(19)가 수용되어 있고, 반쪽 케이싱(7)(7) 내의 돌기(7d)(7e) 사이에 모터 내장용 기초대(12)의 지지틀(25)이 끼워넣어짐으로써 본체 케이싱(1)의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기초대(8)에 축(18j)에 의해 설치된 과부하 클러치(18)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 기어(181)와 소(小) 기어(180)와 클러치 스프링(18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소 기어(180)는 그 일단부에 끼움부(180a)와 플랜지부(180b)를 구비하는 동시에, 끼움부(180a)의 끝면에 위치결정돌기(180c)와 나사결합구멍(180d)을 구비하고 있다. 정면 기어(181)는 소 기어(180)의 끼움부(180a)가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지는 구멍(181a)을 구비한 것으로서, 구멍(181a)의 주위에는 홈형(溝型)의 걸림부(181b)가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스프링(182)은, 주위의 복수 개소에서 스프링 아암편(182a)을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한 판스프링이고, 중앙부에는 위치결정구멍(182c)과 나사삽입구멍(182d)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스프링 아암편(182a)의 선단부에는 걸어맞춤돌기(182b)를 구비하고 있다.
소 기어(180)의 끼움부(180a)를 정면 기어(181)의 구멍(181a)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넣는 동시에 플랜지부(180b)를 구멍(181a)의 바깥쪽에서 정면 기어(181)의 외면에 맞닿게 하고, 이 상태에서, 끼움부(180a) 끝면의 위치결정돌기(180c)에 판스프링(182)의 위치결정구멍(182c)을 끼워넣어서 위치를 결정하며, 나사삽입구멍(182d)으로부터 나사(183)를 삽입하여 소 기어(180)의 나사결합구멍(180d)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클러치 스프링(182)을 소 기어(180)에 설치하고, 클러치 스프링(182)의 걸어맞춤돌기(182b)를 걸림부(181b)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하면, 정면 기어(181)에 전달된 회전은 클러치 스프링(182)을 통해 소 기어(180)에 전달된다. 그리고, 어떤 설정된 토크 이상의 동력이 전달될 때에는, 클러치 스프링(182)에 설치된 걸어맞춤돌기(182b)가 걸림부(181b)에서 빠져서 소 기어(180)에 대하여 정면 기어(181)가 공회전하게 되며, 이 때문에 기어에 털이 끼거나 이물이 물려들어가 정지할 때에, 모터(3)의 토크를 도중에서 차단할 수가 있으므로 구동전달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모터 내장부(12a)에 장착된 모터(3)의 출력축(3a)은 모터 내장용 기초대(12)의 구멍(12b)를 통하여 공간(16) 내에 위치하며, 이 부분에 피니언(17)이 고착되고, 상기 피니언(17)이 상기 정면 기어(181)에 맞물려 있다. 또한, 축(19j)에 의해 축지지되어 기초대(8)의 상면부에 면하고 있는 기어(19)는 상기 소 기어(180)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모터(3)의 회전은 피니언(17) 및 과부하 클러치(18)를 통해기어(19)에 전달되고, 이 기어(19)를 통하여 후술하는 탈모헤드(2)의 회전실린더(4)의 구동 등이 이루어진다.
기초대(8) 표면의 후크 연결부(10)는, 모터 내장용 기초대(12)의 상면부 중앙부에 설치된 터널용 돌출부(10a)와, 한쌍의 슬라이드틀(26)(26)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터널 통로를 가지고 있는 터널용 돌출부(10a)의 상면부에는 구멍(15b)이 형성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을 한 각 슬라이드틀(26)은, 그 바깥쪽 편부(片部)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조작부(26a)가 돌출 설치되며, 안쪽 편부의 안쪽면에 지지 후크(261b)가 돌출 설치되고, 안쪽 편부의 위쪽에 스톱퍼용 돌출부(26b)가 위쪽을 향하여 돌출된 것으로서, 터널용 돌출부(10a)의 터널 통로내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끼워넣어지는 동시에 스톱퍼용 돌출부(26b)가 구멍(15b) 내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걸어맞춰짐으로써 터널용 돌출부(10a)에 장착된다. 스톱퍼용 돌출부(26b)가 구멍(15b)의 테두리에 맞닿음으로써 빠지는 것이 방지된 한쌍의 슬라이드틀(26)(26) 사이에는, 터널 통로내에서 스프링(26d)이 끼워져 있고, 상기 스프링(26d)에 의해서 양 슬라이드틀(26)(26)이 바깥쪽으로 향하여 탄성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양 슬라이드틀(26)의 조작부(26a)는 본체 케이싱(1)에 형성된 구멍(7f)을 통해 본체 케이싱(1)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다음으로, 기초대 블록(15)과 탈모 블록(24)으로 이루어지는 탈모헤드(2)에 관해서 설명하면, 탈모 블록(24)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모수단을 갖춘 회전실린더(4)와, 이 회전실린더(4)를 지지하는 실린더 부착 기초대(27)및 실린더 커버(28)와, 캠(29), 유지스프링(30), 헤드 프레임(31),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베이스(300)로 이루어진다.
실린더 부착 기초대(27)와 그 일단부에 설치되는 실린더 커버(28)는, 각각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시킨 돌출 지지부(27a)(28a)에 설치되어 있는 축구멍부(28b)에 의해서, 회전실린더(4)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축(4b)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회전실린더(4)를 그 축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고 있는 것이고, 상기 돌출 지지부(27a)(28a)에는 각각 각(角) 구멍형상을 한 캠 삽입구멍(27c)(28c)과, 캠 삽입구멍(27c)(28c)의 상하 테두리부에 위치하는 축지지홈(27d)(28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울러형의 캠(29)을 각각 캠 삽입구멍(27c)(28c)에 끼워넣는 동시에, 각 캠(29)에 삽입한 로울러축(29a)의 상하양단부를 축지지홈(27d)(28d)에 끼워넣어, 캠(29)을 수평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있다. 또, 캠(29)의 일부는 캠 삽입구멍(27c)(28c)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돌출 지지부(27a)(28a)의 바깥쪽에는 유지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다. 유지스프링(30)은, 기초부의 구멍(30a)으로 삽입 통과하는 나사(301)에 의해 실린더 부착 기초대(27)와 실린더 커버(28)에 고정한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구멍부(30b)를 구비하고 있고, 이 구멍부(30b)의 상하 테두리부에서 상기 로울러축(29a)의 상하 양단을 탄성적으로 누르고 있다. 구멍부(30b)는 캠(29)에 대응시킨 것으로서, 캠(29)이 유지스프링(30)에 접촉하는 경우가 없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300)의 상면에 나사(301)로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 부착 기초대(27)와 실린더 커버(28)의 양단 바깥면에는, 스프링(280)에 의해서 바깥쪽으로 힘이 가해진 버튼(28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버튼(281)은, 프레임(31)을 착탈하기 위한 후크(281a)를 구비한 것으로서, 버튼(281)을 누르면 후크(281a)가 프레임(31)의 후크 걸림부(31a)로부터 빠져 프레임(31)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부착 기초대(27)의 실린더 커버(28) 쪽에는 오목부(27i)가 형성되고, 여기에 구동용 기어(40)가 배치되어 있다. 양단부가 실린더 부착 기초대(27)와 실린더 커버(28)에서 축지지되는 축(40j)에 의해 지지된 상기 구동용 기어(40)는, 회전실린더(4)가 구비하는 기어(41g)와 맞물리는 동시에, 기초대 블록(15)이 구비하는 기어(15c)와 맞물린다.
기초대 블록(15)은, 도 9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대 블록커버(155)에 내장된 기초대 본체(15a)와, 기초대 본체(15a)의 외주를 둘러싸는 기초대 커버(155)와, 기초대 본체(15a)의 위쪽에 개구된 오목부(15h) 내에 배치된 기어(15c) 및 기어(15e)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하 방향의 축(15f)에 의해서 지지된 기어(15e)는 수평방향의 축(105j)에 의해서 지지된 기어(15c)가 구비하고 있는 정면 기어부에 맞물리며, 편심캠(15g)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탈모 블록(24)은 이 기초대 블록(2)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탈모 블록의 베이스(300)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오목부(15h) 내에 위치하는 리브(27A)가 구비하는 구멍(27Ab)에 기초대 본체(15a)를 관통하는 슬라이드 가이드축(15j)이 삽입 통과하며, 베이스(300), 요컨대 탈모 블록(24)은 슬라이드 가이드축(15j)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리브(27A)에 형성된 스프링받이(27Aa)와 오목부(15h)의 양단부 내면의 사이에 스프링(15k)(15k)이 각각 끼워져 있고, 이 때문에 탈모 블록(24)은 기초대 블록(15)에 대하여 회전실린더(4)의 축방향으로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동시에, 양쪽 스프링(15k)에 의한 스프링력에 의해 탈모 블록(24)은 기초대 블록(15)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또, 베이스(300) 하면의 중앙에는 오목부(27B)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오목부(27B)에는 편심캠(15g)이 걸린다. 편심캠(15g)이 편심 회전할 때, 편심캠(15g)은 오목부(27B)의 안쪽면을 눌러서 스프링(15k)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기초대 블록(15)을 왕복동시키게 되며, 이를 위해 오목부(27B)의 회전실린더(4)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은 편심캠(15g) 편심량의 배이상으로 하여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편심캠(15g)의 회전에 의해 주기적으로 왕복동하는 탈모 블록(24)에 힘을 가하고 있는 양측 스프링(15k)(15k)은, 왕복운동의 끝점에서의 관성력을 흡수하게 되고 충돌을 막아 충돌음 등의 소음을 작게 한다.
이와 같이, 기초대 블록(15)에 대하여 회전실린더(4)의 축방향으로 탈모 블록(24)이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탈모헤드(2)는, 기초대 블록(15)의 기초대 본체(15a) 하면에 설치된 후크(11)(11)를 본체 케이싱(1)의 후크 연결부(10)에 연결함으로써 본체 케이싱(1)에 부착된다. 이 부착은, 조작부(26a)를 누른 상태에서 탈모헤드(2) 하면의 한쌍의 후크(11)를 각각 양 슬라이드틀(26)의 직사각형 형상을 한 개구 내에 끼워넣고, 이 상태에서 조작부(26a)의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스프링(26d)의 스프링력에 의해 양 슬라이드틀(26)이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지지 후크(261b)를 상기 후크(11)에 걸리게 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와 같이 탈모헤드(2)를 본체 케이싱(1)에 대하여 설치한 상태에서는 대(大) 기어부와 소 기어부를 가지고 있는 기어(19)의 소 기어부가 기어(15c)에 맞물린다. 탈모헤드(2)를 떼어낼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조작부(26a)를 누름으로써 지지 후크(261b)를 후크(11)로부터 뺄 수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탈모헤드(2)를 떼어 놓으면 된다.
다음으로, 탈모 블록(24)에서의 회전실린더(4)에 관해서 설명하면, 이 회전실린더(4)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대략 원통부재(41a)(41b)를 축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 개소(도시된 예에서는 45°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8개소)의 오목부(4a)를 구비하며, 각 오목부(4a) 내에 탈모용 주체(主體) 유니트(32)가 끼워넣어져 있다.
여기서의 탈모용 주체 유닛(32)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점판(支点板)(33)과, 복수(도시된 예에서는 4장)의 가동 손톱부(5a)(6a)와, 지점멈춤부재(34)(35)와, 고정 손톱부(36)(37)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 고정 손톱부(36)(37)는 각각 2장을 한 조(組)로 하여 일체로 형성되게 되어 있다.
지점판(33)은 지점멈춤부재(34)(35)의 끼워넣음용의 각(角) 구멍(33a)(33b)과, 가동 손톱부 끼움용의 각 구멍(33c)을 구비하고 있고, 지점멈춤부재(34)(35)의하면(下面)에 설치한 돌기(34a)(35a)를 고정 손톱부(36)(37)에 형성된 구멍(36a)(37a)을 통하여 지점판(33)의 각 구멍(33a)(33b)에 압입 고정하는 것으로 고정 손톱부(36)(37)의 고정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고정 손톱부(36)(37)를 2개 1조로 함으로써 조립을 간단히 하게 되어 있으며, 특히 회전실린더(4)의 둘레방향으로 탈모용 주체 유닛(32)을 복수 배치하는 경우, 회전축과 직교하는 길이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실린더(4)의 외경도 작게 할 수 있다.
가동 손톱부(5a)(6a)는 양단의 돌기(5b)(6b)가 지점멈춤부재(34)(35)의 양단에 설치한 리브(34c)(35c)에 후크 걸림으로써 고정 손톱부(36)(37)의 옆구리부분에 맞붙어져 있다. 이 때, 2장 1조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 손톱부(36)(37)에 대하여, 가동 손톱부(5a)(6a)는 1장씩 독립된 것을 사용하는 동시에, 일체로 되어 있는 2장의 고정 손톱부(36)(37)에 대해서는, 같은 쪽에 가동 손톱부(5a)(6a)가 위치하도록, 1장의 가동 손톱부(5a)(6a)는 고정 손톱부(36)(37)의 구멍(36a)(37a) 내부에 위치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1개의 유닛으로서 조립된 탈모용 주체 유닛(32)은, 회전실린더(4)의 각 오목부(4a)에 끼워넣어지는 동시에, 오목부(4a)의 한쪽 끝에 형성된 구멍(4b)으로부터 삽입한 축(41)을, 지점멈춤부재(34)(35)의 구멍(34d)(35d)과 4장의 가동 손톱부(5a)(6a)의 각 구멍(5a1)(6a1)으로 삽입 통과하여, 상기 축(41)의 선단부를 타단의 회전실린더(41b)의 구멍(4b1)에 끼워넣으므로써 오목부(4a)에 장착된다.
또한, 회전실린더(4)에서의 한쪽의 회전실린더(41a)의 축방향 끝면에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구멍(4c)을 형성하고, 이들에 개폐 레버(38a)(38b)(38c)(38d)와 개폐 레버(39a)(39b)(39c)(39d)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삽입되어 있다. 또, 개폐 레버(38a)(38b)(38c)(38d) 단부(端部)의 누름부(381a)(381b)(381c)(381d)는, 개폐 레버(39a)(39b)(39c)(39d) 단부의 누름부(391a)(391b)(391c)(391d)보다 회전실린더(4)의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둘레방향에서 양단부가 각각 누름부(391a)(391b)(391c)(391d)의 단부와 겹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타단의 회전실린더(41b)에도,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멍(4c)이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어, 개폐 레버(39a)(39b)(39c)(39d)와 개폐 레버(38a)(38b)(38c)(38d)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교대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개폐 레버(38a)(38b)(38c)(38d)(39a)(39b)(39c)(39d)에는, 회전실린더(4)의 각 오목부(4a)에 탈모용 주체 유닛(32)을 장착할 때, 가동 손톱부(5a)(6a)의 돌출편(5c)(6c)을 걸어맞추게 되는 홈(382a)(382b)(382c)(382d) (392a)(392b)(392c)(392d)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회전실린더(41a)측으로부터 삽입된 개폐 레버는 가동 손톱부(6a)의 돌출편(6c)과 걸어맞춰지고, 회전실린더(41b)측에서 삽입한 개폐 레버는 가동 손톱부(5a)의 돌출편(5c)과 걸어맞춰진다.
또한, 회전실린더(4) 축방향의 양단면과 개폐 레버(38a)(38b)(38c)(38d) (39a)(39b)(39c)(39d)의 누름부의 사이에는, 판스프링으로 형성한 복귀스프링(370)이 배치되어 있다. 회전실린더(41a)(41b)의 중심부에 설치된 돌기(4d)와 걸어맞춰지는 위치 결정용 구멍을 중심부에 구비한 상기 복귀스프링(370)은, 도 15, 16 및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コ'자 형상을 한 4개의 스프링편(370a)를 일체로 구비하여, 이들 스프링편(370a)이 개폐 레버(38a)(38b)(38c)(38d)(39a)(39b)(39c) (39d)에 회전실린더(4)의 축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힘을 가하고 있다.
스프링편(380a)을 대략 'コ'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프링의 유효길이를 크게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 레버를 상기 캠(29)으로 누를 때의 스프링 반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저부하로 효율이 좋은 회전실린더(4)로 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스프링편(370a)은 근원으로부터 선단에 걸쳐서 개폐 레버쪽에 나선 형상으로 굽어져 있어, 개폐 레버의 이동량을 크게 잡을 수 있고 가동 손톱부(5a)(6a)의 고정 손톱부(36)(37)에 대한 열림량도 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1개의 스프링편(370a)은 이웃하는 2개의 개폐 레버(38b)(39d)를 바깥쪽으로 누르고, 다른 스프링편(370a)은 개폐 레버(38c)(39a)를 누르기 때문에, 4개의 스프링편(370a)를 일체로 가지고 있는 복귀스프링(370)에 의해, 조립된 모든 개폐 레버(38a)(38b)(38c)(38d)(39a)(39b)(39c)(39d)에 바깥쪽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레버를 바깥쪽으로부터 누르는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 가동 손톱부(5a)(6a)는 그 돌출편(5c)(6c)이 바깥쪽으로 눌림으로써 지점판(33)의 각(角) 구멍(33c)의 구멍 테두리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回動)하여 지점멈춤부재(34)에 위치 결정된 고정 손톱부(37)(36)로부터 떨어지며, 또한, 개폐 레버의 누름부(381a)(381b)(381c)(381d)(391a)(391b)(391c)(391d)에 바깥쪽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면, 가동 손톱부(5a)(6a)는 그 돌출편(5c)(6c)이 안쪽으로 눌려짐으로써지점판(33)의 각(角) 구멍(33c)의 구멍 테두리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여 고정 손톱부(36)(37)로 밀어 부쳐진다. 이와 같이, 회전실린더(4)의 축방향 끝면에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스프링(370)을 배치하고, 모든 개폐 레버가 복귀스프링(370)에 의해 바깥쪽으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도 염가인 회전실린더(4)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탈모용 주체 유닛(32)은, 2조 4장의 고정 손톱부(36)(37)와 4장의 가동 손톱부(5a)(6a)에 의해, 털을 끼워서 뽑기 위한 탈모 손톱부을 전체 4개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2조 4장의 고정 손톱부(36)(37)는 도 6 및 도 19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회전실린더(4)의 축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털을 끼울 때의 위치 밸런스가 좋고 탈모 효율이 높아지게 되어 있으며, 또한 회전실린더(4)의 둘레방향으로 설치된 각 손톱부 열(列)의 탈모 손톱부의 파지 위치가 등간격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겨냥한 털이 빠지기 쉽고 탈모 효율이 좋은 회전실린더(4)로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나타낸 구성은, 개폐 레버의 이동으로 총4개의 탈모 손톱부의 가동 손톱부(5a)(6a)를 고정 손톱부(36)(37)에 대하여 동시에 접근ㆍ이간시킬 수 있지만, 부품구성은 간단하고 조립성도 양호하다.
더욱이, 2장 1조로 되어 있는 각 고정 손톱부(36)(37)는 각각 같은 개폐 레버에 걸어맞추는 가동 손톱부(5a)(6a) 사이에서 개폐 동작을 하지만, 각 고정 손톱부(36)(37)는 탄성부(36b)(37b)(도 17 참조)를 각각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손톱부(5a)(6a)가 고정 손톱부(36)(37)에 눌릴 때 부품 정밀도에 따른 파지 강도의격차가 적게 되어 있다. 즉, 가동 손톱부(6a)의 한쪽의 파지 강도가 강하더라도, 고정 손톱부(36)가 누름 방향에서 탄성 변형함으로써, 다른 쪽 가동 손톱부(6a)의 파지 강도와 맞춰지게 되고, 그 결과, 뽑히다 마는 경우가 없어 탈모 효율이 좋게 되어 있다. 이 때, 2개 1조의 고정 손톱부(36)(37)를 탄성이 있는 금속부품으로 형성하면, 염가이며 털의 파지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회전실린더(4)에 설치한 각 오목부(4a)는, 축방향에서 모두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4a)에 끼워 넣은 탈모용 주체 유닛(32)도 축방향에서 모두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이 때문에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모 손톱부(개폐되는 고정 손톱부(36)(37)와 가동 손톱부(5a)(6a)의 쌍)도, 둘레방향에서 일직선상에 나란히 서는 것은 아니고 축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1회전에서의 파지 위치가 등간격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뽑히다 마는 경우가 없는 탈모 효율이 좋은 회전실린더(4)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점멈춤부재(34)(35)는 피부 보호부재로서의 역할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그 상면부에 가동 손톱부(5a)(6a) 및 고정 손톱부(36)(37)가 직접 피부에 닿는 것을 막는 반원 형상의 원호부(34b)(35b)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손톱부(5a)(6a) 및 고정 손톱부(36)(37)가 직접 닿아서 생기는 피부의 깎임 등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시예의 탈모장치에서는, 탈모헤드(2)를 본체 케이싱(1)에 설치한 상태에서 모터(3)를 구동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과부하 클러치(18)와 기어(19)를 매개로 기어(15c)에 회전이 전달되며, 더욱이 기어(15c)의 회전이 구동용 기어(40)를 매개로 기어(41g)에 전달되어 회전실린더(4)가 회전한다.
회전실린더(4)가 회전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29)의 위치에 온 개폐 레버(38a)(38b)(38c)(38d)(39a)(39b)(39c)(39d)는, 캠(29)에 의해 눌려지고 복귀스프링(370a)에 대항하여 안쪽으로 눌려져, 개폐 레버는 가동 손톱부(5a)(6a) 하부의 돌출편(5c)(6c)을 안쪽으로 누른다.
하단부가 안쪽으로 눌려져 회전하는 4장의 가동 손톱부(5a)(6a)는, 각각 고정 손톱부(36)(37)로 눌려 접하게 되어, 가동 손톱부(5a)(6a)와 고정 손톱부(36)(37) 사이에 도입된 털이 끼워진다. 그리고, 이 털을 끼운 상태에서 회전실린더(4)가 더 회전함으로써 털이 뽑힌다. 또한, 회전실린더(4)의 회전에 의해 다음 개폐 레버가 캠(29)의 장소에 이르러 캠(29)에 의해 눌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털을 끼워서 뽑는다.
여기서, 도 14, 도 17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손톱부(36)(37)의 회전방향 선단부(36c)(37c)는 축방향에서 바깥쪽으로 구부려져 있고, 가동 손톱부(5a)(6a)의 회전방향 선단부(5d)(6d)는 고정 손톱부(36)(37)의 선단부(36c)(37c)와는 대칭으로 구부려져 있기 때문에, 특히 긴 털을 협지부(挾持部)로 도입하기 쉽게 되어 있고, 도입 효율이 높아 뽑히다 만 털이 적어지게 된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손톱부(5a)(6a)의 선단부(5d)(6d)와 고정 손톱부(36)(37)의 선단부(36c)(37c)는 회전실린더(4)의 회전 반경(Ra)보다 작게 되어 있어, 지나치게 눌러부치거나 한 경우에 있어서도, 가동 손톱부(5a)(6a)의 선단부(5d)(6d)와 고정 손톱부(36)(37)의 선단부(36c)(37c)에 의한 피부의 깎임 등을 방지할 수가 있고, 이 때문에 피부 촉감이 좋고 안정성이 높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점멈춤부재(34)(35)의 피부보호부재로서의 역할을 해내고 있는 원호부(34b)(35b)도 회전실린더(4)의 회전 반경(Ra)보다 작은 지름(Rb)으로서, 피부면에 대하여 점 또는 선접촉하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피부와 회전실린더(4)와의 마찰저항이 작게 되므로, 지나친 눌러부침으로 토크가 커지는 것에 의한 회전수의 저하나, 피부와의 접촉마찰에 의한 피부의 깍임 등이 방지되고 있다.
더욱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1개 걸러 설치된 개폐 레버(38a)(38b)(38c)(38d)의 누름부(381a)(381b)(381c)(381d)의 양단부가 개폐 레버(39a)(39b)(39c)(39d)의 누름부(391a)(391b)(391c)(391d)의 단부(端部)와 둘레방향으로 겹쳐져 있기 때문에, 털을 사이에 끼우는데 기여한 개폐 레버의 누름부의 회전방향 후단부를 캠(29)이 누르고 있을 때, 다음 개폐 레버의 누름부 전단부도 캠(29)으로 동시에 누르게 되고, 이 때문에, 손톱부(5a)(6a)(36)(37)를 회전실린더(4)의 둘레방향으로 복수 배치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털을 사이에 끼워 뽑는 거리가 길어진다.
또한, 개폐 레버(38a)(38b)(38c)(38d)의 누름부(381a)(381b)(381c)(381d)와 개폐 레버(39a)(39b)(39c)(39d)의 누름부(391a)(391b)(391c)(391d)의 회전방향의 양단에는 경사면(388a)(399a)을 설치하고, 이웃하는 개폐 레버의 경사면(388a)(399a)을 교차시키고 있기 때문에, 부하 변동을 억제할 수 있고, 회전실린더(4)의 회전에 의한 소음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이, 회전실린더(4)가 회전하여 탈모하고 있을 때, 기어(15c)로부터 기어(15e)에도 회전이 전달되어 편심캠(15g)이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탈모 블록(24)이 기초대 블록(15)에 대하여 회전실린더(4)의 축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 왕복이동에 의해, 탈모 블록(24)의 회전실린더(4)에 설치한 고정 손톱부(36)(37)와 가동 손톱부(5a)(6a)에 의한 털의 끼움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피부 전면(全面)의 털을 뽑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과부하 클러치(18)가 본체 하우징(1) 쪽에 있다는 것은, 회전실린더(4)에 다다를 때까지 큰 감속이 이루어지는 이런 종류에 있어서는, 과부하 클러치(18)가 전달해야 할 토크가 작아지게 된다. 요컨대, 클러치 스프링(182)의 스프링력을 강하게 설정하지 않더라도 좋은데다가, 걸림부(181b)의 강도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과부하 클러치(18)의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과부하 클러치(18)를 경유하여 회전이 전달되는 동시에 탈모헤드(2)에 대한 최종 출력부가 되는 기어(19)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 기어부와 소 기어부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탈모헤드(2)에서는 기어(19)의 소 기어를 통하여 회전을 받도록 하고 있지만, 기어(19)의 대 기어를 통해 회전을 받도록 하더라도 좋은 것이다. 그리고, 기어(19)의 소 기어를 통하여 회전을 받는 탈모헤드(2)와, 기어(19)의 대 기어(19)를 통해 회전을 받는 탈모헤드를 설치하여, 이들을 선택적으로 본체 하우징(1)에 설치되도록 해놓으면, 양(兩) 탈모헤드에서, 과부하 클러치의 부하측에서 바라본 동작 부하가 다르게 되는데다가, 장착되는 탈모헤드에 따라서 동작 부하가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양 탈모헤드에서 다른 클러치 토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전달해야 할 토크가 작게 된다는 점에서 본다면, 모터(3)의 출력축의 장소에 과부하 클러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점에서 본다면,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3)의 출력축(3a)에 널링부(knurling part)(3b)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출력축(3a)의 외주에 장착되는 피니언(17-2)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클릭편(17-2a)을 설치하여, 상기 클릭(17-2a)이 상기 널링부(3b)와 맞물림으로써 모터(3)로부터 피니언(17-2)으로의 회전을 전달하며, 과부하 상태로 된 때에는 클릭편(17-2)을 휘어서 출력축(3a)만이 회전하고, 피니언(17-2)에는 회전이 전해지는 경우가 없도록 한 것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25∼도 27에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것은 모터(3)의 출력축(3a)에 설치된 피니언(17)과 맞물리는 2개의 과부하 클러치(18-1)(18-2)를 설치하는 동시에, 과부하 클러치(18-1)는 기어(19)를 매개로 탈모헤드(2) 쪽에 동력을 전달하며, 과부하 클러치(18-2)는 기어(19-2)를 매개로 탈모헤드(2) 쪽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과부하 클러치(18-1)(18-2)는 어느 것이나 전술한 과부하 클러치(18)와 동일한 구성이며, 도면 중 18-3은 세퍼레이터(separator)이다. 기어(19)는 상기 기어(19)와 마찬가지로 대 기어부와 소 기어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19)의 소 기어를 통하여 탈모헤드(2) 쪽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를 얻을 수 있는데다가, 기어(19)의 대 기어부를 통하여동력을 전달하는 상태, 및 기어(19-2)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의 3가지 상태를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도 26은 쉐이버 헤드(SH)를 본체 하우징(1)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는 과부하 클러치(18-1)로부터 기어(19)에 전달된 회전이, 기어(19)의 대 기어부에 맞물리는 기어(S7)로부터 기어(S6)를 통해 회전체(S5)에 전달되고, 더욱이 회전대(S5)에 설치된 편심축(S4)이 왕복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구동자(S3)를 왕복동시켜서, 바깥 날(S1)의 내면에 접해 있는 안쪽 날 블록(S2)을 왕복 미끄럼 운동시킨다.
또한, 도 27은 경계판(A5)의 전후에 각기 탈모용 회전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한 탈모헤드(AH)를 본체 하우징(1)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축(19k)에서 지지되어 있는 기어(19-2)가 기어(A1)와 맞물려 있으며, 기어(A1)의 회전이 기어(A2)(A3)(A4) 등을 통해 상기 2개의 회전실린더에 전달되도록 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구동원을 내장하는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된 헤드 안에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실린더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실린더에 개폐 구동되는 탈모용 손톱부을 설치하여, 상기 손톱부에 의해 끼운 털을 회전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뽑는 탈모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안에서의 헤드쪽으로의 동력 전달용 출력부와 구동원 사이에 과부하시에 동력전달을 차단하는 과부하 클러치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부하 클러치에 의해 전달해야만 하는 토크가 작아지게 되고, 과부하 클러치의 구성 부품에 그다지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아 과부하 클러치의 코스트를 내릴 수 있게 되며, 더욱이 과부하 클러치의 수용 스페이스를 헤드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헤드를 작게 할 수가 있고 사용 편리성이 좋은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헤드가 선택적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는, 본체 하우징에 설치된 과부하 클러치가 전(全) 헤드에 대하여 유효하게 되어, 복수 종류의 헤드 모두에 과부하 클러치를 내장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전체적인 코스트를 크게 낮출 수 있다.
또한, 과부하 클러치는 과부하 해소와 함께 복귀하는 자동 복귀형인 것이, 이런 종류의 가정용품의 경우, 사용의 편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동력전달용의 기어를 작동부재로 하고 있는 것, 특히 동력전달계에서의 구동원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기어를 작동부재로 하고 있는 것이나 축방향으로 스프링력이 부가된 정면 기어를 작동부재로 하고 있는 것이, 과부하 클러치의 구성부재의 삭감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더욱이, 과부하 클러치의 부하측에서 본 동작부하가 가변으로 되어 있으면, 특히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된 복수 종류의 날 헤드에 따라서 부하측에서 본 동작부하가 가변으로 되어 있으면, 상기 복수 종류의 헤드에서 다른 동작부하를 설정할 수 있어, 본체 하우징측에 과부하 클러치를 내장시키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각 헤드에 따른 동작부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 하우징에는 복수 종류의 날 헤드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다가, 본체 하우징에 복수 종류의 날 헤드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복수개의 과부하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Claims (10)

  1. 구동원을 내장하는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된 헤드 내에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실린더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실린더에 개폐구동되는 탈모용 손톱부을 설치하여, 상기 손톱부로 끼운 털을 회전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뽑는 탈모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안에서의 헤드측으로의 동력전달용 출력부와 구동원 사이에 과부하시에 동력전달을 차단하는 과부하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헤드가 선택적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과부하 클러치는 과부하 해소에 따라 복귀하는 자동 복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부하 클러치는 동력전달용 기어를 작동부재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동력전달계에서의 구동원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기어를 작동부재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스프링력이 가해진 정면 기어를 작동부재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부하 클러치의 부하측에서 본 동작부하를 가변(可變)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된 복수 종류의 날 헤드에 따라서 부하측에서 본 동작부하가 가변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에는 복수 종류의 날 헤드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에 복수 종류의 날 헤드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복수개의 과부하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KR10-2001-0071259A 2000-11-27 2001-11-16 탈모장치 KR100452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60243 2000-11-27
JP2000360243A JP2002159327A (ja) 2000-11-27 2000-11-27 脱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490A KR20020063490A (ko) 2002-08-03
KR100452584B1 true KR100452584B1 (ko) 2004-10-12

Family

ID=1883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259A KR100452584B1 (ko) 2000-11-27 2001-11-16 탈모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730100B2 (ko)
EP (1) EP1212960B1 (ko)
JP (1) JP2002159327A (ko)
KR (1) KR100452584B1 (ko)
CN (1) CN1205888C (ko)
AT (1) ATE274314T1 (ko)
DE (1) DE60105112T2 (ko)
ES (1) ES2227047T3 (ko)
TW (1) TW5442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57208B (en) * 2001-05-28 2003-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olting apparatus
JP4120247B2 (ja) 2002-03-26 2008-07-16 松下電工株式会社 美容器具
DE10318749A1 (de) * 2003-04-25 2004-11-18 Braun Gmbh Epilationskopf für ein Epilationsgerät
AT7596U1 (de) * 2003-07-01 2005-06-27 Payer Int Technologies Gmbh Epilationsgerät
DE602004012153T2 (de) * 2003-11-25 2009-02-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asi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er vorrichtungen
JP2006175072A (ja) * 2004-12-22 2006-07-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脱毛装置
FR2892902B1 (fr) * 2005-11-07 2007-12-14 Seb Sa Appareil a epiler comportant un dispositif de coupe des poils.
DE102005059572A1 (de) 2005-12-14 2007-06-28 Braun Gmbh Haarentfernungsgerät
DE102006027527A1 (de) * 2006-06-14 2007-12-27 Braun Gmbh Haarentfernungsvorrichtung
DE102006048731A1 (de) * 2006-09-07 2008-03-27 Braun Gmbh Haarentfernungsgerät
US20080184562A1 (en) * 2007-02-02 2008-08-07 Ching-Tien Pi Electric shaver with nose hair trimmer
JP4265666B2 (ja) * 2007-02-23 2009-05-2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脱毛装置
FR2923685B1 (fr) * 2007-11-16 2010-02-26 Seb Sa Tete d'epilation pour un appareil a epiler a pinces d'arrachage
JP4720886B2 (ja) * 2008-09-22 2011-07-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脱毛装置
JP4720887B2 (ja) * 2008-09-22 2011-07-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脱毛装置
US9198623B2 (en) 2010-04-22 2015-12-01 Abbott Diabetes Care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analyte monitoring and management
EP3583901A3 (en) 2011-02-28 2020-01-15 Abbott Diabetes Care,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analyte monitoring devices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EP2967344A4 (en) 2013-03-15 2016-11-23 Abbott Diabetes Care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ANALYTICAL MONITORING DEVICES AND DEVICES THEREWITH
EP3183992B1 (en) * 2015-12-22 2019-08-07 Braun GmbH Skin treatment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9741A (en) * 1975-12-09 1978-03-21 Yair Daar Hair plucking device
JPH0856742A (ja) * 1994-08-26 1996-03-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脱毛装置
EP0950365A1 (en) * 1998-04-15 1999-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pilating device for removal of body hair
JP2000125925A (ja) * 1998-10-26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脱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3722A (en) * 1990-07-23 1992-07-28 Elecsys Ltd Method and device for plucking hair
DE4428892A1 (de) * 1994-08-18 1996-02-22 Braun Ag Epilationsgerät mit einem mehrschaligen Gehäuse
DE19744918A1 (de) 1997-10-10 1999-04-15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Amplitudenbegrenzung einer Wechselspannung
JP3846067B2 (ja) 1998-10-26 2006-11-15 松下電工株式会社 脱毛装置
US6436106B2 (en) * 1998-07-09 2002-08-20 Soft Lines, Ltd. Hair removal device with disc, vibration, and light assembli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9741A (en) * 1975-12-09 1978-03-21 Yair Daar Hair plucking device
JPH0856742A (ja) * 1994-08-26 1996-03-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脱毛装置
EP0950365A1 (en) * 1998-04-15 1999-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pilating device for removal of body hair
KR19990083206A (ko) * 1998-04-15 1999-11-25 이마이 기요스케 체모 제거를 위한 탈모장치
JP2000125925A (ja) * 1998-10-26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脱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490A (ko) 2002-08-03
DE60105112T2 (de) 2005-08-11
CN1356081A (zh) 2002-07-03
US20020065522A1 (en) 2002-05-30
US6730100B2 (en) 2004-05-04
EP1212960A1 (en) 2002-06-12
DE60105112D1 (de) 2004-09-30
ATE274314T1 (de) 2004-09-15
ES2227047T3 (es) 2005-04-01
CN1205888C (zh) 2005-06-15
EP1212960B1 (en) 2004-08-25
TW544295B (en) 2003-08-01
JP2002159327A (ja) 200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2584B1 (ko) 탈모장치
JP3925071B2 (ja) 脱毛装置
JP2992356B2 (ja) 脱毛装置
EP2234561B1 (en) A brushhead/handle interface for a power toothbrush
EP1487296B1 (en) Hair removing device
EP2792269B1 (en) Attachment for epilator and epilator
CN111419246B (zh) 采血笔
JP2798498B2 (ja) 脱毛器具
EP1673996A1 (en) Epilating apparatus
KR100486752B1 (ko) 탈모장치
KR100541768B1 (ko) 시트 형상물의 감기기구
JP3925072B2 (ja) 脱毛装置
JP3885481B2 (ja) 脱毛装置
JP3885488B2 (ja) 脱毛装置
JP3931621B2 (ja) 除毛装置
JP3925034B2 (ja) 脱毛装置
JP4026564B2 (ja) 脱毛装置
JP2001204540A (ja) 脱毛装置
JP3846068B2 (ja) 脱毛装置
JP2000201725A (ja) 脱毛装置
JP2000125922A (ja) 脱毛装置
JP3131258B2 (ja) 脱毛装置
JP3899695B2 (ja) 脱毛装置
JP2001037532A (ja) 脱毛装置
JPH0556812A (ja) 脱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