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837B1 -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및 그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및 그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837B1
KR100447837B1 KR10-2002-0010080A KR20020010080A KR100447837B1 KR 100447837 B1 KR100447837 B1 KR 100447837B1 KR 20020010080 A KR20020010080 A KR 20020010080A KR 100447837 B1 KR100447837 B1 KR 100447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binet
electrical
view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0819A (ko
Inventor
스즈끼가즈마사
스즈끼시노부
무라따사또시
Original Assignee
닛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564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6147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7806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807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2294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31977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0472A external-priority patent/JP4129945B2/ja
Application filed by 닛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8Mounting of cabinets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67Rigid angl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3Profiles for cabinet fra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4Corner connections for frame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4Branch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4Branched
    • Y10T403/341Three or more radiating members
    • Y10T403/345Coplan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4Three or more members connected at single loc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4Three or more members connected at single locus
    • Y10T403/447Mutually conta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7Molded joint
    • Y10T403/477Fusion bond, e.g., weld,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프레임의 단부형상을 단순화하여 복잡한 커트를 필요 없게 하고, 우수한 강도 및 방수성을 얻을 수 있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캐비닛의 골격을 구성하는 서로 직교하는 3 개의 프레임 (1a, 1b, 1c) 의 외측면 (4) 의 단부를 다른 2 개의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는 평면에 대해 ±45°의 2 평면에서 절단된 뾰족한 형상으로 한다. 이들 단부끼리를 직접 또는 상기 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코너부재 (20) 를 통해 결합하여 강고한 코너부를 구성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한다.

Description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및 그 결합구조 {FRAME OF CABINET FOR CONTAINING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S AND JOINING CONSTR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수직방향, 폭방향, 안길이방향의 프레임을 조합하여 직육면체형상의 골격을 구성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및 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어반 박스, 통신반 박스, 고압 수전 박스와 같은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은, 단면이 사각형인 중공 프레임을 12 개 조합하여 직육면체형상의 골격을 구성한 것이 보통이다. 각 프레임의 단부는 그 길이방향에 대해 90°로 커트되고, 서로 직교하는 3 개의 아암을 갖는 코너부재를 각 프레임의 단부에 끼워넣거나 연결부재를 이용해서 단부끼리 결합하였다.
프레임의 주위에는, 측판이나 도어 등의 캐비닛 외벽을 장착하여 구성되고, 그리고 프레임에 형성된 기기장착구멍을 이용하여 기기장착레일이나 내부기기가 장착된다. 이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으로서는 단면이 정사각형이나 삼각형인 중공 프레임과, 강판을 구부린 오픈 프레임이 종래부터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중공 프레임 중 적어도 캐비닛의 4 모서리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종 프레임으로서는, 중공의 프레임 본체에서 L 자형상 또는 평판상의 물빠짐변이 돌출형성되고,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이나 도어 등의 패킹에 맞닿아 방수 시일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이들 종래 구조 중 각 프레임의 단면이 단순한 사각형상인 것은 특별히 문제가 없다. 그러나, 실제로는 강도나 방수를 고려하여 각 프레임에 오목부나 방수변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프레임 단부를 복잡하게 커트하거나 프레임 단부의 형상에 대응시킨 코너부재를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2) 중공 프레임은 강도를 확보하기 쉬운 이점이 있다. 그러나, 중공 프레임에 기기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내부에 손을 넣을 수 없기 때문에, 특수 너트를 사용하거나 특수한 구조로 기기를 장착해야 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중공부를 갖지 않는 오픈 프레임은 특수 너트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쉽게 기기를 장착할 수 있으나,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3) 종래의 종 프레임 중 예컨대 L 자형상의 물빠짐변을 구비한 것은, 그 굴곡된 평면에서 패킹과 닿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면적이 크고, 전체면에 걸쳐 확실하게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큰 접촉력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4) 한편, 평판형상의 물빠짐변을 구비한 것은 선단의 좁은 면적으로 패킹과 접촉하기 때문에 작은 접촉력으로 확실한 시일을 얻을 수 있으나, 물을 저장하는 부분 (종 프레임내의 물의 유로가 되는 부분) 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캐비닛끼리 연결하는 경우에는 각 캐비닛의 양 프레임 사이에 연결 프레임을 나사고정하였다. 그러나, 내진성 (耐震性) 의 면에서 볼 때 각 캐비닛의 하중이 나사부에만 가해지기 때문에 강도 향상을 저하하는 것이었다.
(5) 종래, 이를 위한 프레임 결합구조로서는, 3 방향에 돌기를 구비한 주물제 코너 피스를 사용하고, 프레임의 단부를 각 돌기에 끼워 넣은 후에 나사고정 결합한 것이나, 프레임의 단부를 입체적으로 조합하도록 복잡하게 커트한 후에 프레임의 단부끼리를 직접 접속한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었다.
(6) 그런데, 모든 프레임 단부를 코너 피스에 나사고정 결합한 프레임 결합구조에서는, 충분한 강도나 강성을 얻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모든 프레임 단부를 서로 용접한 프레임 결합구조는 충분한 강도나 강성을 얻을 수는 있으나, 용접부의 샌딩처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고, 많은 수고와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여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의 단면형상은 매우 복잡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프레임 표면에 용접부 후처리용 샌더가 들어가기 어려운 부분이 생겨서 외관이 나빠질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기 여러 점에 있다.
(A) 프레임의 단부형상을 단순화하여 복잡한 커트를 필요 없게 하고, 또한 우수한 강도 및 방수성을 얻을 수 있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
(B)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기기의 장착이 용이한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
(C) 작은 접촉력으로 외벽과의 사이에서 확실한 시일을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종 프레임내에 물의 유로가 되는 부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연결이나 외벽의 장착강도가 높은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종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
(D) 충분한 강도나 강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조립 작업 시간의 단축, 비용절감, 외관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
도 1 의 (a) 는 본 발명의 프레임 결합구조를 갖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전체사시도이고, (b) 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2 의 (a) 는 청구항 1 의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b) 는 시점을 변경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 은 단부의 절단방향 및 조립상태를 명시하기 위해 물빠짐부를 생략하여 묘사한 3 면도로서, (a) 는 평면도, (b) 는 정면도, (c) 는 우측면도이다.
도 4 는 청구항 1 의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는 청구항 2 의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 의 (a) 는 청구항 2 의 발명의 실시형태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b) 는 부분확대도, (c) 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7 의 (a) 는 청구항 3 의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b) 는 부분확대도, (c) 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8 은 제 1 실시예의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프레임을 사용한 캐비닛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2 실시예의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프레임을 사용한 캐비닛을 연결한 상태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3 실시예의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의 프레임을 사용한 캐비닛을 연결한 상태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14 는 기대금구 (基臺金具) 를 장착한 캐비닛의 골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4 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16 은 기대금구를 장착하기 전의 캐비닛의 골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6 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18 은 기대금구를 장착한 캐비닛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19 는 도 18 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20 은 내측은 원형이고 외측은 사각형인 기기장착구멍을 갖는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 는 측면도, (b) 는 평면도, (c) 는 정면도, (d) 는 저면도이다.
도 21 은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골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 는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캐비닛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23 은 도 22 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24 는 제 2 실시예의 종(縱)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25 는 사용예를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26 은 제 3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27 은 제 4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28 은 제 5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29 는 제 6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30 은 제 7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31 은 제 8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32 는 제 9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33 은 제 10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34 는 제 11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35 는 제 12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36 은 제 13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37 은 제 14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38 은 제 15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39 은 제 16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40 은 제 15 실시예의 종 프레임을 연결하였을 때의 수평단면 확대도이다.
도 41 은 제 1 실시예의 코너부를 캐비닛의 외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2 는 제 1 실시예의 코너부의 평면도이다.
도 43 은 도 42 의 A-A 단면도이다.
도 44 는 코너부를 캐비닛의 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5 는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46 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7 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8 은 코너 피스의 도면으로서, (a) 는 정면도, (b) 는 평면도, (c) 는 저면도, (d) 는 우측면도, (e) 는 좌측면도이다.
도 49 는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0 은 기대 연결금구의 도면으로서, (a) 는 사시도, (b) 는 정면도, (c) 는 측면도, (d) 는 저면도이다.
도 51 은 제 2 실시예의 코너부를 캐비닛의 외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2 는 제 2 실시예의 코너 피스의 도면으로서, (a) 는 정면도, (b) 는 평면도, (c) 는 저면도, (d) 는 우측면도, (e) 는 좌측면도이다.
도 53 은 제 3 실시예의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4 는 제 4 실시예의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5 는 제 5 실시예의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6 은 제 6 실시예의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7 은 제 7 실시예의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8 은 제 8 실시예의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9 는 제 9 실시예의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60 은 제 10 실시예의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61 는 제 11 실시예의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62 는 제 12 실시예의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63 은 제 13 실시예의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64 는 리벳의 일례로서, 펀칭 리벳을 예시하는 도면으로, (a) 는 리벳을 도시하고, (b) 는 리벳을 체결 툴에 장착하여 리벳 하단의 좌굴이 시작된 상태를 도시하고, (c) 는 좌굴이 완료되어 리벳의 상단이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프레임 1a : 수직 프레임
1b : 폭 프레임 1c : 안길이 프레임
2, 3 : 각 프레임의 직각인 면 4 : 경사진 외측면
5 : 물빠짐부 7 : 중앙 정점
8, 9 : 수직 프레임의 단부 10, 11 : 폭 프레임의 단부
12, 13 : 안길이 프레임의 단부 14 : 수평면
15 : 코너부재
(1) 상기 과제 (A) 에 대해 :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골격을 구성하는 서로 직교하는 3 개의 프레임의 외측면의 단부를 다른 2 개의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는 평면에 대해 ±45°의 2 평면에서 절단된 형상으로 하고, 이들 단부끼리를 결합하여 코너부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코너부에 3 개의 프레임의 외측면의 단부에 의해 덮이는 코너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3 개의 프레임의 외측면의 단부의 형상을 외측으로 노출되는 삼각추형상의 코너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3 개의 프레임의 외측면의 양측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빠짐부를 형성하고, 코너부에 있어서 이들 물빠짐부를 서로 접합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프레임의 단부형상을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고, 전후, 상하, 좌우 강도의 편차를 없앨 수 있다. 또한, 각 프레임에 물빠짐부를 형성한 경우에도 그 단부끼리를 단순하게 접합하여 우수한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제 2 과제 (B) 에 대해 :
캐비닛의 프레임을 막대형상의 프레임으로 하고, 중공부와, 이것에 접속된 직교하는 판형상의 기기장착변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그리고, 판형상의 기기장착변을 중공부의 캐비닛 내측 코너부에서 연장시킨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공부가 단면 삼각형이고, 그 양 캐비닛 외벽측에 캐비닛 외벽에 비스듬하게 맞닿는 물빠짐부를 형성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형상의 기기장착변에 내측은 원형이고 외측은 사각형인 기기장착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물빠짐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캐비닛 외벽에 평행한 성형변을 형성한 구조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은, 중공부와, 이것에 접속된 직교하는 판형상의 기기장착변을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중공부에 의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직교하는 판형상의 기기장착변을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특수 너트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2 방향으로 쉽게 기기를 장착할 수 있다.
(3) 제 3 과제 (C) 에 대해 :
캐비닛의 외벽을 지지하는 종 프레임에 있어서, 그 프레임 본체가 외벽에 대해 비스듬하게 맞닿는 물빠짐변을 구비함과 동시에 물빠짐변보다 내측에 위치하면서 외벽에 평행한 성형변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또한, 물빠짐변이 좌우에 있고, 이들 사이에 외측을 향해 팽창되는 경사변을 형성한 구조로 해도 된다.
종 프레임 본체에 외벽에 대해 비스듬하게 맞닿는 물빠짐변을 형성하여 비스듬한 맞닿음이 접압을 작게 하고, 물을 저장하는 부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작은 힘으로 확실한 방수 시일을 할 수 있고, 외벽에 평행한 성형변을 구비하여 연결이나 외벽의 장착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4) 제 4 과제 (D) 에 대해 :
캐비닛의 코너부분에 있어서, 프레임의 단부 사이를 용접과 고정구에 의해 결합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프레임 중 도어, 측패널, 천정 등과의 맞닿음부보다 캐비닛 내측의 프레임 내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용접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맞닿음부보다 캐비닛 외측의 프레임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구에 의해 결합한 구조로 하거나, 반대로 프레임 중 도어, 측패널, 천정 등과의 맞닿음부보다 캐비닛내측의 프레임 내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구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맞닿음부보다 캐비닛 외측의 프레임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용접에 의해 결합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이 중공부와 오목부를 갖는 것으로서, 이 오목부를 고정구의 일종인 리벳에 의해 고착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목부를 프레임 내측부와 프레임 외측부에 각각 형성한 구조로 하거나, 프레임 외측부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물빠짐부로 하고, 그 바닥부를 리벳에 의해 고착함과 동시에 그 측벽을 용접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용접에 의해 강도나 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샌딩처리를 실시하기 어려워 작업성이 나쁜 부분에는 리벳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함으로써 용접부분을 줄여서 비용절감과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각 과제 (A) ∼ (D) 에 대한 각 해결수단인 (1) ∼ (4) 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1) : 발명의 실시형태 (A) 에 관해 :
도 1 은 본 발명의 프레임 결합구조를 구비한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전체도, 도 2 는 청구항 1 의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직육면체형상의 골격은 12 개의 프레임 (1)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코너는 서로 직교하는 3 개의 프레임 (수직 프레임 (1a), 폭 프레임 (1b), 안길이 프레임 (1c)) 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실시형태에서는 3 개의 프레임 (1) 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갖는 것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프레임 (1) 은 직각인 2 면 (2, 3) 과 경사진 외측면 (4) 을 구비하고 있다. 직각인 2 면 (2, 3) 은 캐비닛의 내측에 면하고, 종래와 마찬가지로 기기장착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측면 (4) 의 상하 양측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빠짐부 (5, 5) 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1) 은 이와 같은 단면형상을 유지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각 프레임 (1) 의 외측면 (4) 의 단부는 비스듬한 방향의 2 면에서 절단된 형상을 하고 있다. 도 3 은 이 단부의 절단방향 및 조립상태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물빠짐부 (5, 5) 를 생략하여 그린 3 면도이다.
예컨대, 수직 프레임 (1a) 의 외측면 (4) 의 상단은, 이 프레임 (1a) 과 직교하는 다른 2 개의 프레임 (1b, 1c) 에 의해 구성되는 평면 (bc) (수평면) 에 대해 ±45°의 2 평면에서 절단되고, 중앙 정점 (7) 의 양측에 단부 (8, 9) 를 갖는 뾰족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폭 프레임 (1b) 의 외측면 (4) 의 단부도 마찬가지로, 다른 2 개의 프레임 (1c, 1a) 에 의해 구성되는 평면 (ca) (안길이 방향의 수직면) 에 대해 ±45°의 2 평면에서 절단되고, 중앙 정점 (7) 의 양측에 단부 (10, 11) 를 갖는 뾰족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면 (4) 에서 연장된 중앙 정점 (7) 의 양측 단부 (10, 11) 가, 그 배후에 있는 직각인 2 개의 면 (2, 3) 의 가장자리를 덮어 감추고 있다. 이 상태는 도 2 의 사시도에서도 마찬가지로 면 (2, 3) 의 가장자리는 외측면 (4) 의 중앙 정점 (7) 및 그 양측의 단부 (10, 11) 와 겹쳐서 잘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프레임 (1b) 의 중앙 정점 (7) 의 부분시점을 변경하고 또한 부분확대한 도면을 도 2 의 (b) 에 예시한다. 이 시점변경, 부분확대도에 의하면, 면 (2, 3) 의 가장자리와 외측면 (4) 사이에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중공부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안길이 프레임 (1c) 의 외측면 (4) 의 단부도 마찬가지로, 다른 2 개의 프레임 (1a, 1b) 에 의해 구성되는 평면 (ab) (폭방향의 수직면) 에 대해 ±45°의 2 평면에서 절단되고, 중앙 정점 (7) 의 양측에 단부 (12, 13) 를 갖는 뾰족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각 프레임의 코너에 있어서의 절단은, 수직 프레임 (1a) 의 단부와 폭 프레임 (1b) 의 단부가 대응하도록 수직 프레임 (1a) 과 폭 프레임 (1b) 의 양측에 45°가 되는 평면에서 절단하여 액자 (띠형상의 사각형) 형상의 틀이 생기도록 구성하고, 또한 폭 프레임 (1b) 과 안길이 프레임 (1c) 의 단부가 대응하도록 폭 프레임 (1b) 과 안길이 프레임 (1c) 의 양측에 45° 가 되는 평면에서 절단하여 액자 (띠형상의 사각형) 형상의 틀이 생기도록 구성하고, 또한 안길이 프레임 (1c) 과 수직 프레임 (1a) 의 단부가 대응하도록 안길이 프레임 (1c) 과 수직 프레임 (1a) 의 양측에 45°가 되는 평면에서 절단하여 액자 (띠형상의 사각형) 형상의 틀이 생기도록 구성하여 각 프레임끼리는 대등하게 코너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경사각도를 45°로 한 결과, 도 3 과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는 수직 프레임 (1a) 의 단부 (8) 와 폭 프레임 (1b) 의 단부 (11), 수직 프레임 (1a) 의단부 (9) 와 안길이 프레임 (1c) 의 단부 (12), 폭 프레임 (1b) 의 단부 (10) 와 안길이 프레임 (1c) 의 단부 (13) 는 각각 인접해서 일치한다. 따라서, 이들 단부끼리를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하여 코너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 경사각도 45°란 수°의 오차나 변경을 허용범위로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그 당연한 결과로서, 수직 프레임 (1a) 의 단부 (9) 와 폭 프레임 (1b) 의 단부 (10) 는 안길이 프레임 (1c) 의 외측면 (4) 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폭 프레임 (1b) 의 단부 (11) 와 안길이 프레임 (1c) 의 단부 (12) 는 수직 프레임 (1a) 의 외측면 (4) 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수직 프레임 (1a) 의 단부 (8) 와 안길이 프레임 (1c) 의 단부 (13) 는 폭 프레임 (1b) 의 외측면 (4) 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프레임 (1a, 1b, 1c) 의 단부의 형상을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고 또한 전후, 상하, 좌우 강도의 편차가 없는 강고한 프레임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각 프레임의 물빠짐부 (5) 도 그 단부끼리를 단순하게 접합해서 우수한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4 는 청구항 1, 4, 5, 6 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 (1a) 은 외측면 (4) 의 양측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빠짐부 (5,5) 를 구비하고 있으나, 폭 프레임 (1b) 과 안길이 프레임 (1c) 은 외측면 (4) 의 하측에만 물빠짐부 (5) 를 구비하고, 외측면 (4) 의 상측에 수평면 (14) 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 두면 캐비닛의 윗면, 바닥면에 대한 패널의 설치가 쉬워진다. 그러나, 단부의 형상 및 결합구조는 도 2 의 것과 동일하다.
도 5 와 도 6 은 청구항 2 의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청구항 2 의 발명에서는 도 5 의 중앙에 도시되는 코너부재 (20) 가 코너부에 사용되고 있다. 이 코너부재 (20) 는 상기한 3 개의 프레임 (1a, 1b, 1c) 에 의해 구성되는 코너부와 동일형상을 구비하며 코너부에 매설되어 있다. 그리고, 그 표면은 3 개의 프레임 (1a, 1b, 1c) 의 외측면 (4) 의 단부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청구항 2 의 발명과 같은 코너부재 (20) 를 사용하면,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프레임 (1a, 1b, 1c) 의 단부의 능선부분만을 코너부재 (20) 에 대해 용접하면 되므로 용접거리가 짧아도 되고, 양측의 프레임과 코너부재 (20) 를 한번에 용접할 수 있으므로 코너부가 보강되고, 따라서 방수성능과 강도가 모두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령 단부의 커트 정밀도에 다소의 오차가 있어도, 내부에 코너부재 (20) 가 있기 때문에 지장이 없다. 그리고, 각 프레임의 물빠짐부 (5) 는 그 단부끼리를 접합하여 연속된 수류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3 개의 프레임 (1a, 1b, 1c) 의 외측면의 단부끼리를 직접 결합하여 코너부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도 7 에 도시한 청구항 3 의 발명에서는 각 프레임 (1a, 1b, 1c) 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45°의 2 평면에서 절단한 후, 외측면의 단부만을 그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절단하여 청구항 2 의 발명의 코너부재 (20) 의 중앙부가 노출되어 있다. 즉, 청구항 3 의 발명은 상기한 외측면 (4) 의 단부 형상을 외측으로 노출되는 삼각추형상의 코너부재(20) 에 의해 구성한 것이다.
이 청구항 3 의 발명은, 청구항 2 의 발명에 사용한 코너부재 (20) 의 중앙부를 노출시켰기 때문에, 각 프레임 (1a, 1b, 1c) 의 외측면의 단부는 삼각형상으로 코너부재 (20) 에 용접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코너부재 (20) 에 의해 코너부가 보강되기 때문에 방수성능과 강도가 모두 향상되어 엄밀한 커트치수가 요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경사각도 45°는 수°의 오차나 변경은 허용범위에 포함하는 것이다.
(2) 발명의 실시형태 (B) 에 관해 :
도 8 은 이 실시형태의 실시예 1 의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프레임은 금속판을 구부리거나 용접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모두 중공부 (B1) 와, 이 중공부 (B1) 에 접속된 서로 직교하는 판형상의 기기장착변 (B2, B3) 으로 이루어진다. 중공부 (B1) 의 단면형상은 임의이며 예컨대 원형이어도 되는데, 이 제 B1 실시형태에서는 중공부 (B1) 는 3 개의 판형상부 (B4, B5, B6) 로 이루어진 직각삼각형상의 것이다. 판형상의 기기장착변 (B2, B3) 에는 각각 기기장착구멍 (B7) 이 소정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프레임은 중공부 (B1) 의 직각부가 캐비닛의 내측 코너부 (B8) 가 되도록 사용된다. 따라서, 판형상의 기기장착변 (B3) 을 중공부 (B1) 의 캐비닛 내측 코너부 (B8) 에서 연장시킨 구조로 된다. 또한, 중공부 (B1) 의 캐비닛 외벽측이 되는 양측에는 캐비닛 외벽 (B10) 에 비스듬하게 맞닿는 물빠짐부 (B9, B9) 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도 8 의 프레임은, 중공부 (B1) 를 갖기 때문에 강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판형상의 기기장착변 (B2, B3) 의 뒷쪽의 개구부를 통해 볼트를 끼울 수 있기 때문에, 특수한 볼트·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기기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추가로, 중공부 (B1) 의 판형상부 (B6) 에도 기기장착구멍 (B7) 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내부기기의 장착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장착변 (B2, B3) 을 이중으로 해 둠으로써, 장착부의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제조시에 스폿용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쉽고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0 에 도시한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를 변형시키고, 일측 물빠짐부 (B9) 에 연이어 형성되며 캐비닛 외벽에 평행한 성형변 (B11) 을 형성한 것이다. 이 성형변 (B11) 이 캐비닛의 측변에 오도록 배치하면, 측면의 연결이 쉽고 정면과 배면이 넓은 개구로 된 캐비닛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1 은 이 제 1 실시예의 프레임을 사용한 캐비닛끼리를 연결한 상태의 수평단면도이다. 연결금구 (B12) 는 양 프레임의 기기장착변 (B2, B3) 의 개구에 수납되게 이루어져서 면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강고한 고정이 가능하므로 캐비닛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연결금구 (B12) 는 이와 같은 장착 이외에 기기장착변 (B2, B3) 의 개구의 외측에 장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1 에 도시된 B13 은 패킹, B31 은 패킹 지지부재이다.
도 12 에 도시한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를 변형시켜, 일측 물빠짐부 (B9) 의 선단에 연이어 형성되며 캐비닛 외벽에 평행한 성형변 (B11) 을 형성하고, 서로 직교하는 판형상의 기기장착변 (B2, B3) 을 1 겹으로 한 것이다. 도 8, 도10 과 같은 기기장착변 (B2, B3) 을 2 겹으로 한 것에서는, 판재의 상태로 기기장착구멍 (B7) 을 뚫어 놓고 롤 성형을 실시하기 때문에, 서로 겹치는 기기장착구멍 (B7, B7) 이 합치되도록 하는 고도의 가공정밀도가 필요하나, 도 12 에 도시한 제 3 실시예의 것에서는 고도의 가공정밀도는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물빠짐부 (B9) 및 성형변 (B11) 에 의해 대략 중공형상으로서 프레임에 큰 직각삼각형상과 작은 직각삼각형상에 의한 복수의 중공부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에 복수의 중공부를 형성한 것에서는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각 중공부는 연결되어 있지만, 약간 벌어진 대략 중공형상의 것이어도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3 은 이 제 3 실시예의 프레임을 사용한 캐비닛끼리를 연결한 상태의 수평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것에서는 중앙부의 패킹 (13) 을 성형변 (B11) 에 맞닿도록 설치하면 되므로, 자연히 패킹 지지부재가 필요 없어져서 패킹처리가 간단해지고 캐비닛의 연결이 쉬워진다. 그리고, 연결금구 (B12) 는 도 4 와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종 프레임, 횡 프레임, 안길이 프레임의 모두에 도 8 에 도시한 제 1 실시형태의 프레임을 사용한 캐비닛의 연결 및 기대 금구의 조립에 대해 도 14 ∼ 도 20 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4 는 기대 금구 (B23) 를 장착한 캐비닛의 골조의 사시도이고, 도 15 는 그 요부 확대도이다. 이러한 종류의 옥외용 캐비닛은 코너부에 기대 금구 (B23) 를 구비하고, 도시하지 않은 볼트에 의해 설치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이와 같은 기대 금구 (B23) 는 저판측에서 도시하지 않은 고정 볼트로 설치장소에 고정하고, 상판측에서는 리프팅 금구가 부착된 도시하지 않은 볼트가 장착된다.
도 16 은 기대 금구 (B23) 를 장착하기 전의 캐비닛의 골조의 사시도이고, 도 17 은 그 요부 확대도이다. 우선 캐비닛의 프레임끼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하 양측, 측면측, 전후 양측에 각각 액자형상의 틀이 형성되도록 각각의 프레임의 각을 45°씩 커트하고, 도 8 의 기기장착변 (B2, B3) 을 종 프레임 (B24) 과 횡 프레임 (B25) 사이에서 액자와 같이 대응시키고 있다.
이 프레임은 프레임 대각선에 관해 대칭은 아니기 때문에, 나머지 1 방향인 폭 프레임의 기기장착변 (B2, B3) 은 대응하지 않게 되는데, 폭 프레임 (B26) 의 양단인 이 부분에 기대 금구 (B23) 를 장착하기 위한 절결부 (B27) 를 형성하고 있다. 이 기기장착변 (B2, B3) 은 중공부 (B1) 에서 판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스 등으로 간단히 잘라낼 수 있다.
그 결과, 도 18 의 캐비닛의 수평단면도 및 도 19 의 요부 확대도에 도시한 절결부 (B27) 의 치수 (A) 만큼, 기대 금구 (B23) 를 코너측으로 근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4 개의 기대 금구 (B23) 의 간격이 넓으면 넓을수록 캐비닛을 강고하게 설치장소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기기장착변 (B2, B3) 을 판형상이 아니라 중공형상으로 하였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일부를 절결부 (B27) 로 할 수 없고, 4 개의 기대 금구 (B23) 는 도 18, 도 19 에 도시한 치수 (A) 만큼 내측으로 가까와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판형상의 기기장착변 (B2, B3) 에 형성되는 기기장착구멍 (B7) 의형상은 통상은 둥근 구멍인데, 도 2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은 원형이고 외측은 사각형인 기기장착구멍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해 두면 통상의 볼트 너트에 의한 기기장착이 가능함은 물론, 머리 밑에 사각형부를 갖는 근각볼트 (B30) 를 외측에서 삽입하면, 사각형의 기기장착구멍에 끼워넣어짐으로써 회전방지 효과를 발휘하여 볼트를 뒷쪽에서 공구로 누르지 않아도 너트의 체결을 쉽게 할 수 있다.
(3) : 발명의 실시형태 (C) 에 관해 :
도 21 은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골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4 개의 종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실시형태 (C) 의 종 프레임의 주요 특징은 그 단면형상에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오직 그 수평 단면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2 는 실시형태 (C) 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4 모서리에 본 발명의 종 프레임을 구비한 2 개의 유닛이 연결되어 1 개의 캐비닛을 구성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종 프레임의 단면형상은 도 23 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 제 1 실시예의 종프레임은 금속판을 구부려 가공하거나 다이에서 압출성형된 중공단면형상의 것이다.
도 22, 도 2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종 프레임의 프레임 본체는 직교하는 2 개의 변 (C1, C2) 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들 변 (C1, C2) 의 교점 (C3) 이 캐비닛의 내측이 되도록 사용된다. 변 (C1, C2) 에는 기기장착레일을 장착하기 위한 구멍 열이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변 (C1, C2) 의 교점 (C3) 과 반대측 단부에는 짧은 성형변 (C4, C5) 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성형변 (C4, C5) 의 선단에는 변 (C1, C2) 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빠짐변 (C6, C7) 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좌우의 물빠짐변 (C6, C7) 의 내측은 상기 교점 (C3) 측으로 상기 성형변 (C4, C5) 의 결합점보다 더욱 깊게 들어간 후에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변 (C8)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도 2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빠짐변 (C6) 은 캐비닛의 외벽 (C9) (여기에서는 배면 패널) 의 선단부 내측에 설치된 패킹 (C10) 과 맞닿아 시일작용을 발휘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물빠짐변 (C6) 은 외벽 (C9) 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은 패킹 (C10) 에 대해 비스듬하게 맞닿는다. 따라서, 압접을 작게 할 수 있고, 작은 힘으로 확실한 방수 시일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물빠짐변 (C6, C7) 을 비스듬하게 함으로써 물을 저장하는 부분 (C20) 을 확보할 수 있고, 이 부분 (C20) 을 수직 유로로 하여 빗물을 아래로 흘려보내기 쉬운 이점을 발휘한다.
또한, 성형변 (C4, C5) 은 물빠짐변 (C6, C7) 보다 캐비닛의 내측 (외측 코너 포인트 (P) 보다 먼 쪽) 에 위치하고, 또한 외벽 (C9) 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2, 도 2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변 (C4, C4) 을 이용하여 연결금구 (C11) 가 장착되어 있다. 이 연결금구 (C11) 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나사고정하는 것인데, 인접하는 프레임의 성형변 (C4, C4) 에 대응하도록 보강판부 (C17, C17) 를 구부려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 두면, 지진 발생시에 인접하는 프레임은 연결금구 (C11) 의 보강판부 (C17, C17) 가 맞닿는 성형변 (C4, C4) 에 의해 강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타측 성형변 (C5, C5) 은 금구 (C12) 에 의한 외벽 (C9) 의 장착에 이용되고 있다. 이 금구 (C12) 의 맞닿음부 (C18) 는 종 프레임의 성형변 (C5) 에 맞닿아 있고, 외벽 (C9) 에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연결금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레임의 면에서 힘을 받을 수 있어 나사부에서 힘을 받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강고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물빠짐변 (C6, C7) 보다 내측에 위치하면서 외벽에 평행한 성형변 (C4, C5) 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금구 (C11) 나 외벽 등의 하중을 종래와 같이 나사부에서 받지 않고, 프레임의 성형변에서 받으므로 강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24 이하는 단면형상의 여러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24 는 좌우 물빠짐변 (C6, C7) 사이에 형성된 경사변 (C8) 을 외측을 향해 팽창시킨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경사변 (C8) 을 외측을 향해 팽창시킴으로써, 리브 효과를 발휘하여 강도가 증가되고, 또한 도 2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 (C1, C2) 에 기기장착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길이의 볼트 (C13) 를 장착한 경우에도 경사변 (C8) 과의 간섭을 일으키기 어려운 이점이 있다.
도 26 에 도시한 제 3 실시예의 종 프레임은, 변 (C1, C2) 에 단부 (C14) 를 형성한 것이다. 모든 실시예의 종 프레임이 청구항 1 의 발명의 구성을 모두 구비하고 있음은 물론이고,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7 ∼ 도 30 에 도시한 제 4 ∼ 제 7 실시예의 종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를 형성하는 변 (C1, C2) 을 캐비닛의 외측을 향해 오목하게 한 것이다.
도 31, 도 32 에 도시한 제 8 과 제 9 실시예의 종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를형성하는 변 (C1, C2) 의 일측에 연장부 (15) 를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강도증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27, 도 31 에 도시한 제 4 ∼ 제 8 실시예의 종 프레임에 절첩변부 (C16)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기기장착레일 등은 변 (C1, C2) 의 구멍 열에 나사고정하는 것인데, 여기에서는 2 겹의 판부에 볼트와 너트로 양측에서 체결하도록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강고한 장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본체는 모두 중공단면형상을 구비하였으나, 도 33 ∼ 도 36 에 도시한 제 8 ∼ 제 11 실시예의 종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가 비중공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들은 강도적으로는 불리하지만, 굽힘성형이 용이하기 때문에 그다지 강도를 요구하지 않는 소형이나 중형의 캐비닛에 적합한 것으로 된다.
도 37 에 도시한 제 14 실시예의 종 프레임은, 물빠짐변 (C6) 의 기부에서 1 단 들어간 위치에 성형변 (C4) 을 구비한 중공 프레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종 프레임에서는 기기장착면이 3 면 있고, 또한 변 (C1) 을 안길이 방향으로 하고, 변 (C2) 을 도어 개구방향으로 하면, 깊이방향으로 중공 프레임을 신장시킴으로써 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도어 개구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도 38 은 제 15 실시예의 종 프레임으로서, 이 종 프레임은 중공 삼각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성형변 (C4) 을 포함한 2 변에 구멍 열을 구비한 판형상의 직교 기기장착부 (C22) 를 상기 중공 삼각부에서 연장시키고, 중공부와 판형상의 직교 기기장착부 (C22) 를 별도로 배치한 것이다. 이 종 프레임에서는 강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판형상의 직교 기기장착부 (C22) 의 개구 (C21) 측에서 볼트를 끼울 수 있기 때문에, 특수한 볼트,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기기를 장착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삼각 중공부에도 기기장착용 구멍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내부수납기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기기장착부 (C22) 의 판두께가 2 겹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부의 강도가 우수하고, 스폿용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며 비용절감이 된다. 그리고 도 39 의 제 16 실시예의 종 프레임은, 제 15 실시예의 종 프레임의 변형으로 일측의 물빠짐변 (C6) 측에 성형변 (C4) 을 형성한 것으로서, 이 성형변 (C4) 이 캐비닛의 측부측에 오도록 배치하면, 측면의 연결이 쉽고 도어 개구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40 은 이 종 프레임의 캐비닛을 연결하였을 때의 수평단면 확대도로서, 연결금구 (C11) 는 양측의 종 프레임의 직교 기기장착부 (C22) 의 개구 (C21) 에 수납되게 되어 면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캐비닛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연결금구는 이와 같은 장착 이외에도 개구 (C21) 의 외측에 장착할 수도 있다.
(4) : 발명의 실시형태 (D) 에 관해 :
도 41 ∼ 도 49 는 실시형태 (D) 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1 은 코너부를 캐비닛의 외측에서 본 사시도, 도 42 는 코너부의 평면도, 도 43 은 단면도, 도 44 는 코너부를 캐비닛의 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는 종방향, 횡방향, 안길이 방향의 서로 직교하는 3 개의프레임 (D1) 의 단부끼리를 결합한 것이다.
이 제 1 실시예의 프레임 (D1) 은 도 45 ∼ 도 4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을 굽힘성형한 동일 단면형상의 것이다. 즉, 각 프레임 (D1) 은 직각삼각형상의 중공부 (D2) 의 경사변 (D3) 의 양단에 코너를 향하는 측벽 (D32, D32) 에서 대략 중공형상의 돌부 (D4, D4) 를 돌출형성함으로써 물빠짐부로 되는 오목부 (D5) 를 형성하고, 또한 중공부 (D2) 에서 연장되는 연장변 (D6) 의 선단에 직각 굽힘변 (D7) 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돌부 (D4, D4) 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도어, 측패널, 천정 (D40) 등과의 맞닿음부가 된다.
도 45 에 있어서 이들 맞닿음부보다 오른쪽 아래부분이 캐비닛 내측으로 되고, 오목부 (D5) 가 있는 왼쪽 윗부분이 캐비닛 외측으로 된다. 캐비닛 내측으로 되는 프레임 내측부 중 중공부 (D2) 의 직교변 (D8, D9), 연장변 (D6), 직각 굽힘변 (D7) 등에는 기기장착용 구멍열 (D10) 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 물빠짐부가 되는 오목부 (D5) 를 형성하기 위한 돌부 (D4, D4) 를 대략 중공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프레임에 큰 직각삼각형상이 1 개와, 작은 직각형상이 2 개인 3 개의 중공부가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중공부에서 돌출되는 판형상 또는 L 자형상의 물빠짐변에 비하여 물빠짐부가 중공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물빠짐부 자체로도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돌부 (D4) 는 연결되어 있으나, 약간 벌어진 대략 중공형상의 것이어도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3 개의 프레임 (D1) 을 입체적으로 직교시키고,경사변 (D3) 의 단면 사이에 형성되는 정삼각형상의 공간에 도 48 에 도시되는 코너 피스 (D11) 를 끼워넣고 있다. 이 코너 피스 (D11) 는 정삼각형의 평판 (D12) 의 각 변에 소정 각도 (135°) 를 갖는 결합변 (D13) 을 돌출형성한 것으로서, 각 결합변 (D13) 에는 리벳 (D14) 의 삽통구멍 (D15)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D1) 의 경사변 (D3) 의 단부 부근에도 리벳 (D14) 의 삽통구멍 (D15) 을 형성해 두고, 코너 피스 (D11) 의 각 결합변 (D13) 을 3 개의 프레임 (D1) 의 중공부 (D2) 에 삽입하고, 도 41, 도 4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벳 (D14) 를 박아 넣음으로써 3 개의 프레임 (1) 을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 (D1) 의 경사변 (D3) 끼리는 코너 피스 (D11) 를 통해 고정구의 일종인 리벳 (D14) 에 의해 결합되는데, 프레임 (D1) 의 그 외의 각 변은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도 49 에 용접부 (D17) 를 해칭으로 나타냈다. 이와 같이 고정구에 의한 고정과 용접을 조합함으로써,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구로서는 리벳 (D14) 외에 나사나 부싱 등을 들 수 있다.
코너부의 내측은 도 4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가 절결되어 기대 연결금구 (D20) 가 리벳 (D21) 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기대 연결금구 (D20) 자체의 형상은 도 50 에 도시한 바와 같다. 기대 연결금구 (D20) 의 면 (D22) 에는 기대 연결볼트 삽통구멍 (D23) 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을 기초에 고정하거나 프레임에 캐비닛 리프팅용 리프팅 볼트가 끼워 통해진다.
상기한 제 1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외측부에 위치하는 물빠짐부가 되는 오목부 (D5) 를 고정구에 의해 결합하였다. 이 오목부 (D5) 의 바닥면으로 되는 경사변 (D3) 부분은 양측 돌부 (D4, D4) 가 방해물로 되어 샌더가 들어가기가 어려운데, 결합에 고정구를 사용함으로써 조립 작업성이 좋아짐과 동시에 외관도 향상된다. 또한, 측벽을 포함한 그 외의 부분은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와 함께 방수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물빠짐부로 되는 오목부 (D5) 의 경사변 (D3) 은 용접되어 있지 않으나, 리벳 등에 의해 강고하게 고착하면 실용상 충분하고 간편한 방수성을 얻을 수 있고, 패킹을 개재시키면 더욱 방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립시에는 우선 고정구에 의한 임시고정을 실시하고, 그 후에 용접을 실시하도록 하면 작업성이 개선된다. 또한 용접부분도 감소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도 51 은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앙이 뾰족한 삼각추형상의 코너 피스 (D18) 를 사용한 점만이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53 이하에 프레임 (1) 의 단면형상을 변화시킨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3 과 도 54 는 도 45 와 도 49 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프레임 단면을 약간 변화시킨 제 3,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오목부 (D5) 내측의 경사변 (D3) 부분이 코너 피스 (D11) 를 통해 리벳 (D14) 에 의해 결합되고, 해칭된 그 외의 부분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리벳이란, 일단에 머리가 부착된 짧은 못으로서, 결합해야 할 부품을 겹쳐서 뚫은 구멍을 통과시키고, 머리가 없는 쪽을 프레스 또는 해머로 쳐서 찌부러뜨려서 머리를 만들어 결합하는 것으로서, 각 도면에 도시한 리벳 (D14) 은 일반적인 것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것임에 유의하기 바란다.
머리가 없는 쪽을 쳐서 찌부러뜨리기 위해서는, 결합해야 할 부품의 뒷쪽에서 프레스 또는 해머로 찌부러뜨리는 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할 수 있는 뒷쪽으로부터의 작업을 필요 없게 하는 리벳이 있으므로 이것을 이용해도 된다.
그 일례로서 「펀칭 리벳」을 도 64 에서 소개한다. 도 64 의 (a) 는 "Bulbing Fastener" (등록상표) 라 불리는 리벳·보디 (D40) 와 리벳·맨드릴 (D41) 로 구성되는, 소위 펀칭 리벳을 도시한다. 도 64 의 (a) 에 도시한 리벳을 도 64 의 (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툴 (D42) 에 장착하여 리벳의 선단을 목적하는 구멍에 삽입한다. 그리고, 맨드릴 (D41) 을 뽑아냄으로써 리벳·보디 (D40) 의 하단 (D43) 이 좌굴되어, 쳐서 찌부러뜨리는 것과 동일하게 체결된다. 그 후에도 계속 뽑아내면, 도 64 의 (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드릴 (D41) 이 파단되어 체결작업이 완료된다.
도 55 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에서는, 경사변 (D3) 이 산형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장변 (D6), 직각 굽힘변 (D7) 이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사변 (3) 이 산형인 경우에도 리벳 (D14) 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하면 간편한 방수구조로 할 수 있다.
도 56 에 도시한 제 6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직각삼각형상의 중공부 (D2) 가 없어지고, 중공부 (D2) 의 직교변 (D8, D9) 이 내측을 향한 직각의 오목부 (D30) 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오목부 (D5) 내측의 경사변 (D3) 이 리벳 (D14) 에 의해 체결되고, 그 외의 해칭부분이 용접되어 있는 것은 동일하다.
도 57 ∼ 도 60 에 도시한 제 7 ∼ 제 10 실시예에서는, 도어, 측 패널, 천정 (D40) 등과의 맞닿음부보다 프레임 내측부의 오목부 (D30) 에도 리벳 (D14) 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목부 (D5), 오목부 (D30) 의 내부에는 샌더가 들어가지 못해서 용접에는 부적당하기 때문에, 이들 오목부 (D5), 오목부 (D30) 를 고정구에 의한 결합으로 한 것이다. 그 외의 해칭부분이 용접되어 있는 것은 동일하다. 그리고, 이들 실시예에서는 도 59 를 제외하고 2 장의 코너 피스 (D11, D31) 가 사용되고 있다.
도 61 에 도시한 제 11 실시예에서는 복잡하게 구부러진 코너 피스 (D31) 가 사용되었으나, 프레임 외측부의 오목부 (5) 만 리벳 (D14) 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점에서 도 57 ∼ 도 60 에 도시한 것과 상이하다. 도 62 에 도시한 제 12 실시예에서는 중공부 (D2) 가 없는 프레임이 사용되고 있다.
도 63 에 도시한 제 13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내측부에만 오목부 (D30) 를 형성한 중공의 프레임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 내측부가 복잡하게 구부러진 코너 피스 (D31) 를 통해 리벳 (D14) 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외측부가 평면이고, 용접이 프레임 외측부에만 이루어져 있는 점에서 다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프레임 내측부에 오목부 (D30) 를 형성함으로써, 프레임의 강도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오목부 (D30) 내에 기기장착용 레일을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1) : 실시형태 (A) 의 효과 :
프레임의 단부형상을 단순화하여 복잡한 커트를 필요 없게 하고, 우수한 강도 및 방수성을 갖는 프레임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2) : 실시형태 (B) 의 효과 :
이 캐비닛의 프레임은, 중공부에서 직교하는 판형상의 기기장착변을 돌출시킨 것이기 때문에, 중공부에 의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직교하는 판형상의 기기장착변을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그 개구측을 통해 볼트를 넣을 수 있으므로 특수 너트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2 방향에 쉽게 기기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코너부에 장착되는 기대 금구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내진성이 우수한 캐비닛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 의 발명에서는, 단면이 삼각형인 중공부의 양측에 캐비닛 외벽에 비스듬하게 맞닿는 물빠짐부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 부분에 패킹을 개재시킴으로써 도어나 측판 등의 캐비닛 외벽의 사이에서 물빠짐부 시일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10 의 발명에서는, 판형상의 기기장착변에 내측은 원형이고 외측은 사각형인 기기장착구멍을 형성함으로서, 근각볼트를 사용한 기기장착이 쉬워진다. 또한, 청구항 11 의 발명에서는 캐비닛의 연결이 쉬워진다.
(3) : 실시형태 (C) 의 효과 :
청구항 12 의 발명의 종 프레임은, 외벽에 대해 비스듬하게 맞닿는 물빠짐변을 형성한 것으로서, 접압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작은 힘으로 확실한 방수시일을 실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물을 저장하는 부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물빠짐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면서 외벽에 평행한 성형변을 형성함으로써, 연결금구나 외벽 등의 장착이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13 의 발명에 의하면, 외측을 향해 팽창되는 경사변을 형성함으로써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프레임 본체에 볼트 등을 장착하였을 때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이점이 있다.
(4) : 실시형태 (D) 의 효과 :
청구항 14, 15 의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의 단부 사이를 용접과 고정구에 의해 결합하였기 때문에, 강도를 부여하면서 용접부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6 의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외측부를 용접에 의해 결합하기 때문에 방수성능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7, 18 의 발명에 의하면, 용접부 후처리를 위한 샌더가 들어가기 어려운 프레임의 오목부를 리벳에 의해 고착하였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아진다. 청구항 19, 20 의 발명에 의하면, 오목부를 프레임 내측부와 프레임 외측부에 각각 형성한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강도의 향상과 용접부의 삭감을 양립시킬 수 있다.
청구항 21, 22 의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외측부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물빠짐부로 하고, 그 바닥부를 리벳에 의해 고착함과 동시에 그 측벽을 용접하였기 때문에 작업성과 방수성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2)

  1.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골격을 구성하는 서로 직교하는 3 개의 프레임의 외측면의 단부를 다른 2 개의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는 평면에 대해 ±45°의 2 평면에서 절단된 형상으로 하고, 이들 단부끼리를 결합하여 코너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코너부에 3 개의 프레임의 외측면의 단부에 의해 덮이는 코너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3 개의 프레임의 외측면의 단부의 형상을 외측으로 노출되는 삼각추형상의 코너부재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3 개의 프레임의 외측면의 양측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빠짐부 (5) 를 형성하고, 코너부에 있어서 이들 물빠짐부를 서로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3 개의 프레임의 외측면의 양측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빠짐부 (5) 를 형성하고, 코너부에 있어서 이들 물빠짐부를 서로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6. 제 3 항에 있어서, 3 개의 프레임의 외측면의 양측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빠짐부 (5) 를 형성하고, 코너부에 있어서 이들 물빠짐부를 서로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막대형상으로서, 중공부와 이것에 접속된 직교하는 판형상의 기기장착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의 기기장착변을 중고부의 캐비닛 내측 코너부에서 연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가 단면 삼각형이고, 그 양 캐비닛 외벽측에 캐비닛 외벽에 비스듬하게 맞닿는 물빠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의 기기장착변에 내측은 원형이고 외측은 사각형인 기기장착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물빠짐부 (B9) 에 연이어 형성되고, 캐비닛 외벽에 평행한 성형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12.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외벽을 지지하는 종 프레임으로서, 그 프레임 본체가 외벽에 대해 비스듬하게 맞닿는 물빠짐변 (C6, C7) 을 구비함과 동시에 물빠짐변보다 내측에 위치하면서 외벽에 평행한 성형변 (C4, C5)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종 프레임.
  13. 제 12 항에 있어서, 물빠짐변이 좌우에 있고, 이들 사이에 외측을 향해 팽창되는 경사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종 프레임.
  14.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 코너부분의 프레임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구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오목부를 제외한 프레임의 일부를 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15. 제 14 항에 있어서, 프레임 중 도어, 측패널, 천정 등과의 맞닿음부보다 캐비닛 내측의 프레임 내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용접 (D17) 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맞닿음부보다 캐비닛 외측의 프레임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구에 의해 결합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16. 제 14 항에 있어서, 프레임 중 도어, 측패널, 천정 등과의 맞닿음부보다 캐비닛 내측의 프레임 내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구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맞닿음부보다 캐비닛 외측의 프레임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용접 (D17) 에 의해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또한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구는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18. 삭제
  19. 제 14 항에 있어서, 오목부 (D5) 를 프레임 내측부와 프레임 외측부에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20. 삭제
  21. 제 19 항에 있어서, 프레임 외측부에 형성되는 오목부 (D5) 를 물빠짐부로 하고, 그 바닥부를 리벳에 의해 고착함과 동시에 그 측벽을 용접 (D17)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결합구조.
  22. 삭제
KR10-2002-0010080A 2001-03-01 2002-02-26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및 그 결합구조 KR100447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56468A JP2002261473A (ja) 2001-03-01 2001-03-01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フレーム結合構造
JPJP-P-2001-00056468 2001-03-01
JP2001078067A JP2002280770A (ja) 2001-03-19 2001-03-19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縦フレーム
JPJP-P-2001-00078067 2001-03-19
JP2001122942A JP2002319778A (ja) 2001-04-20 2001-04-20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フレーム
JPJP-P-2001-00122942 2001-04-20
JP2001270472A JP4129945B2 (ja) 2001-09-06 2001-09-06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フレーム結合構造
JPJP-P-2001-00270472 2001-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819A KR20020070819A (ko) 2002-09-11
KR100447837B1 true KR100447837B1 (ko) 2004-09-08

Family

ID=2748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080A KR100447837B1 (ko) 2001-03-01 2002-02-26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및 그 결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65075B2 (ko)
KR (1) KR100447837B1 (ko)
CN (2) CN1321553C (ko)
DE (1) DE10207364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699B1 (ko) 2009-11-12 2011-05-06 (주)태경산전 조립식 배전반
KR101420106B1 (ko) 2011-12-22 2014-07-16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기기 수납용 래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1404B2 (en) * 2003-01-31 2007-06-12 Nokia Corporation Datacast file transmission with meta-data retention
US7306299B2 (en) * 2003-03-07 2007-12-11 Masterbrand Cabinets, Inc. Semi-frameless cabine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NO331601B1 (no) * 2005-09-29 2012-02-06 Hager Electro Gmbh Profilmateriale for koblingsskap
EP2259332B1 (en) 2008-03-26 2016-01-06 Kyocera Corporation Solar cell module
DE102009009639B4 (de) * 2009-02-19 2015-04-23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 oder Rack
US8403431B2 (en) * 2009-09-01 2013-03-26 Emerson Network Power, Energy Systems, North America, Inc. Telecommunications enclosures
US20110136081A1 (en) * 2009-12-08 2011-06-09 Micali Annmarie Gum saver toothbrush system
CN102137553A (zh) * 2010-01-25 2011-07-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机柜及其装配方法
CN101913059A (zh) * 2010-07-29 2010-12-15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电缆桥架鸭脖弯头制作方法
DE102010044761A1 (de) * 2010-09-08 2012-03-08 Abb Ag Elektrischer Schaltschrank
TR201007656A2 (tr) 2010-09-20 2012-04-24 Kiraç Metal Ürünleri̇ San. Ve Ti̇c. Ltd. Şti̇ Elektrik panosu yapılarında yenilik
US8562084B2 (en) * 2010-09-22 2013-10-22 Emerson Network Power, Energy Systems, North America, Inc. Enclosure corner seals and assemblies
US9121188B2 (en) * 2010-10-05 2015-09-01 Lifeguard Structures Llc Personal protective structure
CN102208828B (zh) * 2011-05-20 2013-08-28 中国广东核电集团有限公司 核电站应急动力电源换流装置及控制方法
DE102011117259A1 (de) * 2011-10-27 2013-05-02 C E S Control Enclosure Systems Gmbh Eckverstärkungseinsatz
KR101273159B1 (ko) * 2011-12-12 2013-06-17 황정식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
JP5632867B2 (ja) * 2012-03-21 2014-1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変換器用筐体
US9393972B2 (en) * 2012-05-09 2016-07-19 Wabtec Holding Corp. Modular support frame for railway vehicle equipment
DE102013110670A1 (de) * 2013-09-26 2015-03-26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system
US9103110B1 (en) * 2013-10-30 2015-08-11 Scott L. Gerber Geo shelter
DE102014101401A1 (de) * 2014-02-05 2015-08-06 Rittal Gmbh & Co. Kg Anreih-Schaltschranksystem
DE102014101404B4 (de) * 2014-02-05 2017-11-16 Rittal Gmbh & Co. Kg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 oder Verteilerschrank
GB2529827B (en) * 2014-09-02 2017-01-04 Cp Cases Ltd Electronic rack and mounting chassis
DE102015121193B4 (de) * 2015-12-04 2017-07-13 Rittal Gmbh & Co. Kg Rahmengestell für eine Schaltschrankanordnung
DE102015121192B4 (de) * 2015-12-04 2019-09-19 Rittal Gmbh & Co. Kg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schrank
USD801084S1 (en) * 2016-05-19 2017-10-31 Suncast Technologies, Llc Storage locker
BR102019010953A2 (pt) * 2019-05-28 2020-12-08 Melquisedec Francisquini Quadro soldado e estrutura para armário elétrico
BR102019010955B1 (pt) * 2019-05-28 2023-04-11 Melquisedec Francisquini Perfil estrutural para armário elétrico
FR3097714B1 (fr) * 2019-06-24 2023-02-10 Schneider Electric Ind Sas Armature pour une armoire électrique, armoire électrique comportant une telle armature
CN112399766A (zh) * 2020-10-29 2021-02-23 涅申(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安装面的双联腔体机柜型材及其相应的机架
CN113803570B (zh) * 2021-09-26 2023-03-14 中船重工中南装备有限责任公司 剖分组装式防护罩
CN114614176A (zh) * 2022-03-25 2022-06-10 中创新航科技股份有限公司 储能机架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593A (ja) * 1989-06-05 1991-01-30 Merlin Gerin 電気的スイッチ装置用キャビネット
JPH05276613A (ja) * 1991-10-24 1993-10-22 Rittal Werk Rudolf Loh Gmbh & Co Kg 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に用いられる枠組
JPH05284615A (ja) * 1991-12-12 1993-10-29 Rittal Werk Rudolf Loh Gmbh & Co Kg 配電盤キャビネット用の枠組
JPH0767219A (ja) * 1993-08-25 1995-03-10 Toei Denki Kk 筐体製造方法および筐体
KR970706717A (ko) * 1994-11-05 1997-11-03 노버트 뮐러 스위치기어 캐비넷 프레임용 프레임 부재(Frame Member for a Switchgear Cabinet Frame)
KR20000057146A (ko) * 1996-11-19 2000-09-15 뮬러 노베르트 스위칭 캐비닛
JP2001054213A (ja) * 1999-07-10 2001-02-23 Rittal Werk Rudolf Loh Gmbh & Co Kg 配電盤キャビネット用のフレーム架構
JP2001284833A (ja) * 2000-03-31 2001-10-12 Nitto Electric Works Ltd 電気電子機器用筐体のフレーム脚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24850U (de) * 1965-08-11 1965-10-07 Rhode & Schwarz Rahmen fuer geraeteeinschuebe u. dgl.
US4078847A (en) * 1976-05-11 1978-03-14 Presnick Michael C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
DE7621185U1 (de) * 1976-07-05 1977-10-27 Hartmann & Braun Ag, 6000 Frankfurt Aus Hohlprofilschienen mit rechteck-C-förmigem Querschnitt in Gerüstform aufgebaute Gestell-, Schrank- oder Tafelkonstruktion
US4473315A (en) * 1981-09-22 1984-09-25 Latchinian Jim S Furniture edge assembly
US4684282A (en) * 1984-11-20 1987-08-04 Lever Robert J A B Structural element for three dimensional objects, e.g. furniture
US5066161A (en) * 1989-05-08 1991-11-19 Pinney Richard C Framework for cabinet structure
DE3939421C1 (ko) * 1989-11-29 1990-10-25 Eldon N.V., Drachten, Nl
FR2681402B1 (fr) * 1991-09-18 1993-12-10 Legrand Profiles d'ossature, notamment pour armoire pour appareillages electriques, et accessoires susceptibles d'etre associes a un tel profile d'ossature.
DE4227532C3 (de) * 1992-08-20 1999-01-14 Thielmann Ag Kg Rahmenprofil für das Rahmengestell eines Schaltschrankes
DE4336187C2 (de) * 1993-10-23 1996-12-12 Loh Kg Rittal Werk Rahmenschenkel für ein Rahmengestell eines Schaltschrankes
DE19529270C1 (de) * 1995-08-09 1996-10-02 Schroff Gmbh Eckverbindungselement
JPH09112524A (ja) * 1995-10-18 1997-05-02 Nissan Diesel Motor Co Ltd 車両部材の締結機構
US5901033A (en) * 1997-05-13 1999-05-04 Reltec Corporation Multisided communication distribution cabinet
RU2203602C2 (ru) * 1998-03-18 2003-05-10 Ритталь-Верк Рудольф Ло Гмбх Унд Ко. Кг Рамный каркас дл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шкафа
DE19818603A1 (de) * 1998-04-20 1999-10-21 Loh Kg Rittal Werk Rahmenschenkel für ein Rahmengestell eines Schaltschrankes
FR2796519B1 (fr) * 1999-07-16 2003-04-11 Socomec Sa Armoire, notamment armoire electronique de commande et armoires juxtaposee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593A (ja) * 1989-06-05 1991-01-30 Merlin Gerin 電気的スイッチ装置用キャビネット
JPH05276613A (ja) * 1991-10-24 1993-10-22 Rittal Werk Rudolf Loh Gmbh & Co Kg 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に用いられる枠組
JPH05284615A (ja) * 1991-12-12 1993-10-29 Rittal Werk Rudolf Loh Gmbh & Co Kg 配電盤キャビネット用の枠組
JPH0767219A (ja) * 1993-08-25 1995-03-10 Toei Denki Kk 筐体製造方法および筐体
KR970706717A (ko) * 1994-11-05 1997-11-03 노버트 뮐러 스위치기어 캐비넷 프레임용 프레임 부재(Frame Member for a Switchgear Cabinet Frame)
KR20000057146A (ko) * 1996-11-19 2000-09-15 뮬러 노베르트 스위칭 캐비닛
JP2001054213A (ja) * 1999-07-10 2001-02-23 Rittal Werk Rudolf Loh Gmbh & Co Kg 配電盤キャビネット用のフレーム架構
JP2001284833A (ja) * 2000-03-31 2001-10-12 Nitto Electric Works Ltd 電気電子機器用筐体のフレーム脚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699B1 (ko) 2009-11-12 2011-05-06 (주)태경산전 조립식 배전반
KR101420106B1 (ko) 2011-12-22 2014-07-16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기기 수납용 래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819A (ko) 2002-09-11
DE10207364A1 (de) 2002-09-19
CN1321553C (zh) 2007-06-13
US6965075B2 (en) 2005-11-15
CN1207951C (zh) 2005-06-22
US20020121387A1 (en) 2002-09-05
CN1606402A (zh) 2005-04-13
CN1374829A (zh) 2002-10-16
DE10207364B4 (de)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7837B1 (ko) 전기전자기기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및 그 결합구조
KR200303366Y1 (ko) 케이블트레이 연결구조
KR100880692B1 (ko) 선재 연결 금속 부품, 취부체 고정 부품 및 취부체
JP4129945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フレーム結合構造
JP4059638B2 (ja) ボックス形鋼製建材の接合構造
JP4158722B2 (ja) 間仕切壁の立設構造および間仕切壁用台座ならびに間仕切壁施工方法
JP2899937B2 (ja) 柱、梁、土台等の各部材を連結する連結体及び木造家屋の構築方法
KR200239503Y1 (ko) 조립식 암거
JP2010106626A (ja) 柱と梁の接合部構造
JP3927931B2 (ja) 木材のコーナー固定金具
JP4202242B2 (ja) 木造建築部材の連結金具
KR20190083709A (ko) 케이블 트레이
JP4306495B2 (ja) 筐体構造
JP2001207693A (ja) フェンス
JPH11336288A (ja) パネル接合金具および壁構造
JP2004137831A (ja) メッシュフェンス用のストレート継手並びにコーナ継手及び継手座金
JP2000319992A (ja) 柱と梁の接合構造
JP4062274B2 (ja) 柱梁用接合構造
JP2023039077A (ja) 連結具及び什器
JPS6324753Y2 (ko)
JP3458786B2 (ja) ケーブルラック
JP3961120B2 (ja)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22165871A (ja) ブレース固定金具及びブレースの取付構造
KR0138997Y1 (ko) 조립식 구조물의 연결부재
JP2786590B2 (ja) デ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