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997Y1 - 조립식 구조물의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구조물의 연결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8997Y1 KR0138997Y1 KR2019960018533U KR19960018533U KR0138997Y1 KR 0138997 Y1 KR0138997 Y1 KR 0138997Y1 KR 2019960018533 U KR2019960018533 U KR 2019960018533U KR 19960018533 U KR19960018533 U KR 19960018533U KR 0138997 Y1 KR0138997 Y1 KR 01389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eleton
- assembly
- connecting member
- assembled
- right sid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4—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designed for being joined to similar members in various relative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봉재나 각형봉재 및 띠형골격으로 된 조립골격을 사용하여 직육면체 형상의 진열장 또는 트러스(truss)구조의 조형물 등의 여러 형태의 구조물을 조립할 때 사용되는 조립식 구조물의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팔각형 모양으로 연결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는 비어 있게 하고, 평면을 이루는 상,하면을 기준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전후좌우측면들과, 상기 전후좌우측면들의 각 사이는 터진 상태로서 보울트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면과 전후좌우측면 각각의 3면에는 조립골격을 보울트로서 체결할 수 있는 연결공을 형성하여 조립골격을 직육면체 형상이나 트러스 구조로 연결조립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및 평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으로 조립식 구조물의 연결부재에 조립부재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완성상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부재 2,3 : 상,하면
4,5,6,7 : 전,후,좌,우측면 8 : 연결공
9 : 공간부 10 : 조립골격
본 고안은 원형봉재나 각형봉재 및 띠형골격으로 된 조립골격을 사용하여 직육면체 형상의 진열장 또는 트러스(truss)구조의 조형물 등의 여러 형태의 구조물을 조립할 때 사용되는 조립식 구조물의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봉재나 각형봉재를 조립골격으로 사용하여 직육면체 형상의 조립식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연결부재로서는 실용신안공보 제376호에 게재된 공고번호 제78-982호와 같은 것들이 소개된 바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연결부재는 중심부의 몸체에서 사방으로 돌출된 연결부를 원형 또는 각형으로 된 조립골격에 삽입시키는 구조로서 조립골격을 직육면체상으로 연결,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연결부재는 사방으로 돌출된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는 파이프 구조의 연결부재에 한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파이프 구조가 아닌 판상의 조립골격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종래의 연결부재는 그 몸체에서 돌출된 연결부를 삽입시키는 수단으로 조립골격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점에 대하여서는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상기 연결부가 조립골격에 끼이는 작용만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상태가 강고하지 못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조립하였을시 연결부재의 연결부와 파이프상의 조립골격이 이완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에 의하여 조립식 구조물에 적용하기에는 미흡점이 있어 채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종래 기술의 연결부재는 조립골격을 반드시 직육면체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각형안에 조립골격을 삼각형으로 연결시켜서 되는 이른바 트러스 구조로는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조립식 구조물 자체를 튼튼하게 조립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원형봉재나 각형봉재 및 띠형골격을 직육면체 형상으로 연속해서 연결조립할 수 있도록 하되, 사각형으로 조립된 조립골격들 다시 대각선으로 연결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제공하여 조립골격으로서 진열장이나 또는 트러스 구조의 조형물 등을 조립하였을시 연결부재와 조립골격들의 연결상태가 확고하고, 또 튼튼하게 조립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팔각형 모양으로 연결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는 비어 있게 하고, 평면을 이루는 상,하면을 기준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전후좌우측면들과, 상기 전후좌우측면들의 각 사이는 터진 상태로서 보울트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면과 전후좌우측면 각각의 3면에는 조립골격을 보울트로서 체결할 수 있는 연결공을 형성하여 조립골격을 직육면체 형상이나 트러스 구조로 연결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으로 조립식 구조물의 연결부재에 조립부재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제6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완성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제8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1은 팔각형 모양으로 된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1)는 상,하면(2)(3)을 기준하여 전면(4), 후면(5), 좌측면(6), 후측면(7)들이 서로 직각으로 이루도록 사방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후,좌,우측면(4,5,6,7)들은 각각 3면으로 구분되게 절곡되어 연결부재(1) 자체를 입체적인 팔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게 한다.
상기 상,하면(2)(3)과 전,후,좌,우측면(4,5,6,7)의 각 3면들에는 연결공(8)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전,후,좌,우측면(4,5,6,7)들 사이사이의 네곳에는 공간부(9)를 형성시키는데, 상기 공간부(9)들의 폭은 전,후,좌,우측면의 폭과 거의 같은 폭을 갖도록 하므로서 조립골격(10)을 나사체결하기 위한 보울트(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으로 조립골격(10)을 연결조립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 및 제5도는 연결부재(1)에 원형봉재 또는 각형봉재로 된 조립골격(10)을 조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조립골격(10)의 양단에는 암나사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의 상,하면(2)(3) 및 전,후,좌,우측면(4,5,6,7)의 각 3면 각각에 조립골격(10)의 일단을 갖다대고, 이어서 보울트(11)를 공간부(9)를 통해 내부로 집어 넣은 다음 드라이버(12)를 이용하여 보울트(11)가 연결공(8)을 통하여 암나사공(10a)에 나사조립하므로서 연결부재(1)에 조립골격(10)을 조립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부재(1)에 조립되는 조립골격(10)들은 상,하면(2)(3) 및 전,후,좌,우측면(4,5,6,7)에 형성된 각 3면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연결부재(1)에 총 14개의 조립골격(10)을 조립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조립식 구조물은 직육면체로 조립되기 때문에 연결부재(1)에 연결조립되는 조립골격(10)들은 주로 직각방향으로 조립되며, 또한 조립골격(10)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강도가 보강된 튼튼한 조립식 구조물(100)을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제6도 참조)
제7도의 실시예는 띠형골격으로 된 조립골격(10)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는 띠형골격의 조립골격(10)에 암나사공을 형성시키기 곤란하므로 너트(11a)를 이용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너트(11a)가 조립골격(10)을 붙잡아 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립골격(10)의 조립부분을 경사지게 절곡한 다음 그 절곡된 부분을 전,후,좌,우측면(4,5,6,7)의 경사진 면에 갖다대고 보울트(11)와 너트(11a)로 조립하는 것이다.
제8도의 실시예는 연결부재(1)의 하면(3)에 형성된 연결공(8)을 암나사공으로 하고, 이에 수나사가 형성된 받침구(13)를 나사조립하는 방법으로 조립식 구조물(100)을 받쳐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팔각형 형상으로 구성한 연결부재의 상,하면과 전,후,좌,우측면들의 각 3면에 조립골격을 사방으로 연결조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각선 방향으로도 연결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식 구조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연결부재와 조립골격을 보울트로서 나사체결하므로서 조립식 구조물을 보다 튼튼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 주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 팔각형 모양으로 연결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는 비어 있게 하고, 평면을 이루는 상,하면을 기준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전후좌우측면들과, 상기 전후좌우측면들의 각 사이는 터진 상태로서 보울트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면과·전후좌우측면 각각의 3면에는 조립골격을 보울트로서 체결할 수 있는 연결공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연결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조립되는 조립골격은 양단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원형이나 각형봉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연결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조립되는 조립골격은 보울트와 너트로서 조립할 수 있는 띠형골격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연결부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18533U KR0138997Y1 (ko) | 1996-06-28 | 1996-06-28 | 조립식 구조물의 연결부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18533U KR0138997Y1 (ko) | 1996-06-28 | 1996-06-28 | 조립식 구조물의 연결부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4045U KR980004045U (ko) | 1998-03-30 |
KR0138997Y1 true KR0138997Y1 (ko) | 1999-05-01 |
Family
ID=1946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18533U KR0138997Y1 (ko) | 1996-06-28 | 1996-06-28 | 조립식 구조물의 연결부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8997Y1 (ko) |
-
1996
- 1996-06-28 KR KR2019960018533U patent/KR013899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4045U (ko) | 1998-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61111A (en) | Metal connector for wooden building and jointing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using the same | |
GB2281086A (en) | Structural truss | |
LT6370B (lt) | Sijos komponentai, skirti techniniam konstravimui, konstravimo rinkinys ir sijos komponentų sujungimo būdas | |
KR102286870B1 (ko) |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의 관 연결장치 | |
KR0138997Y1 (ko) | 조립식 구조물의 연결부재 | |
KR200234977Y1 (ko) | 트러스 구조물 | |
JP3238991U (ja) | 組み立て式ストレージラック | |
JPH04136341A (ja) | ユニット住宅の施工方法 | |
KR100428425B1 (ko) | 트러스 구조물 | |
KR200206415Y1 (ko) | 침대프레임 연결구 | |
KR200290533Y1 (ko) | 파이프구조물의 연결부재 | |
JP2860310B2 (ja) | メッシュフェンス | |
CN110213931B (zh) | 一种连接结构 | |
KR200278583Y1 (ko) | 조립식 구조물용 연결부재 | |
JPH0469504U (ko) | ||
JPH09177180A (ja) | ユニット住宅 | |
JPS6129843Y2 (ko) | ||
KR100571630B1 (ko) | 파이프 구조물의 연결체 | |
KR0125993Y1 (ko) | 공기조화기용 케이스 | |
KR200268367Y1 (ko) | 조립식 구조물용 커넥터 | |
FR2610679A1 (fr) | Dispositif permettant la jonction et l'assemblage d'elements multidirectionnels de structures tridimensionnelles | |
JPS5923804Y2 (ja) | アンカ−ボルト | |
KR200204070Y1 (ko) | 지지대용 결속구 | |
KR200285492Y1 (ko) | 다목적 조인트볼 구조 | |
KR950006191Y1 (ko) |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205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