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070Y1 - 지지대용 결속구 - Google Patents

지지대용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070Y1
KR200204070Y1 KR2020000019351U KR20000019351U KR200204070Y1 KR 200204070 Y1 KR200204070 Y1 KR 200204070Y1 KR 2020000019351 U KR2020000019351 U KR 2020000019351U KR 20000019351 U KR20000019351 U KR 20000019351U KR 200204070 Y1 KR200204070 Y1 KR 200204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oove
slope
vertic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도
Original Assignee
김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도 filed Critical 김일도
Priority to KR2020000019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0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E04B2001/196Screw connections with axis parallel to the main axis of the str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구조물의 트러스(TRUSS) 작업시 사용되는 지지대용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각도에서도 지지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사면에 슬롯홈을 형성한 지지대용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 고안의 구성은 팔각형의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조체의 각 수직 및 수평면에는 정원홈(33)이 형성되고, 사면에는 슬롯홈(34)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슬롯홈에 수용 결합되는 지지대를 필요에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지대용 결속구{connector for support}
본 고안은 각종 구조물의 트러스(TRUSS) 작업시 사용되는 지지대용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속구의 홈내에서 지지대가 이동되어 다양한 각도를 얻을 수 있도록 슬롯홈을 형성한 지지대용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박람회 및 전시회장의 부스(BOOTHS) 제작 또는 다양한 인테리어 작업 및 건축 구조물 작업시 사용되는 지지대용 결속구는 구형상, 팔각형상, 육각형상 등이 있다.
따라서, 각종 구조물의 트러스 작업에 사용되는 지지대용 결속구는 다양한 각도에서 지지대를 용이하게 수용하도록 각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구조물을 조립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지대용 결속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관(11)의 양단에 각각 볼트(13) 가 연결되고 이 볼트(13)가 중공부에 끼워져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된 잠금쇠(14)를 구비한 지지대(10)와, 이 지지대(10)의 볼트(13)가 연결되는 복수개의 나사공(21)이 형성된 결속구(20)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잠금쇠(14)에 끼워져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이탈방지편(14b)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대용 결속구는 일정 각도(팔각 또는 육각, 구 등)를 갖는 각면의 나사공(21)에 볼트(13)를 갖는 지지대(10)를 결합하여 구조물의 트러스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결속구(20)는 각 면에 형성된 나사공이 정원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대를 위치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돔형, 구형, 아치형 등, 보다 많은 각을 요구하는 트러스 작업에서는 지지대 자체를 억지 맞춤으로 트러스를 조립하게 되므로 구조물의 품질이 저하되고, 조립이 힘들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므로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대를 수용하는 홈중 사면에 형성된 홈을 슬롯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지지대를 슬롯홈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어 원하는 각에 따라 지지대의 각도를 더욱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용 결속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지대용 결속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지지대용 결속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사시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지지대와 결속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가로구조체 32 : 세로구조체
33 : 정원홈 34 : 슬롯홈
35 : 사면 40 : 지지대
50 : 체결구 100 : 결속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지지대용 결속구는, 팔각형의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조체의 각 수직 및 수평면에는 정원홈(33)이 형성되고, 사면에는 슬롯홈(34)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의 지지대용 결속구는 종래에 사용하던 구형 또는 팔각형의 고형체(solid) 결속구와는 달리 정면, 배면, 평면, 저면은 정원홈(33)을 형성하고, 각 사면(35)(경사면)에는 슬롯홈(34)을 형성한, 팔각형의 파이프를 폭이 개략 3∼10㎝ 정도 되도록 절단한 구조체 중 하나를 본체로 하고 또 다른 하나의 구조체는 팔면중 상면 또는 저면 중 일면만을 절단한 후, 절단면이 상기 본체의 상면과 접하도록 하여 두 개의 구조체를 세로로 교차시켜 세로구조체(32)를 만든 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결속구를 형성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역시 정면, 배면, 평면, 저면은 정원홈(33)을 형성하고, 각 사면(35)(경사면)에는 슬롯홈(34)을 형성한 팔각형의 구조체를 교차된 형상을 갖도록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작하거나, 기타 일체로 성형시키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결속구(100)는 체결구(50)로 지지대(40)와 결합시켜 다양한 트러스를 제작하게 되는데, 정원홈(33)에는 수직 또는 수평 골조를 이루는 지지대(40)를 결합하고, 사면에 형성된 슬롯홈(34)으로는 아치형, 돔형, 벌집형 등의 다양한 각을 요구하는 골조를 형성하도록 지지대(40)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구조물의 트러스가 뒤틀리거나, 정확하게 조립이 되지 않을 경우, 슬롯홈(34)에 결합된 지지대(40)의 체결구(50)를 약간 느슨하게 푼 다음 지지대(40)를 각도에 맞게 이동시켜 뒤틀림없는 트러스를 제작하게 된다.
또, 지지대(40)를 결속구(100) 구조체의 각 홈에 수용결합시켜 구조물의 트러스를 제작할 경우, 구조체의 정원홈(33)에 결합되는 지지대(40)는 상. 하. 좌. 우 직각을 이루도록 지지하고, 각 사면(35)에 형성된 슬롯홈(34)에 결합되는 지지대(40)는 슬롯홈(34)을 따라 이동이 용이하므로, 30°, 35°, 45°, 60°, 등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지지되어, 구조물 제작 작업이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중앙 홈부를 기준으로 전면부는 구조체를 가로로 설치한 가로구조체(31)를 오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배면부는 구조체를 세로로 설치한 세로구조체(32)를 오각을 갖도록 형성한다. 즉, 다각을 이루는 세로구조체(32)와 가로구조체(31)를 가로와 세로로 교차시키므로써, 상기 슬롯홈(34)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45°각도에도 위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본원 고안은 지지대(40)를 결속구(100)의 슬롯홈(34) 내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으므로, 각종 구조물의 트러스 제작시 빠르고,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 고안의 지지대용 결속구는 상기한 실시예 외에 결속구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도 있으므로, 다각을 요하는 구조물의 트러스 제작 작업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 사면에 슬롯홈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대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므로써, 각 코너마다 위치하는 다른 결속구와의 정확한 결합을 이루게되어, 정확하고 빠른 조립작업과 함께 품질향상 및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각종 구조물의 트러스 프레임조립에 사용되는 지지대용 결속구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100)는 다각면체의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조체의 각 수직 및 수평면에는 정원홈(33)이 형성되고, 사면에는 슬롯홈(34)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용 결속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가로구조체(31)와 세로구조체(32)로 이루어지며, 결속구를 형성하는 구조체는 세로구조체(32)만으로 교차되거나 또는 가로구조체(31)와 세로구조체(32)로 교차되는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용 결속구.
KR2020000019351U 2000-07-06 2000-07-06 지지대용 결속구 KR200204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351U KR200204070Y1 (ko) 2000-07-06 2000-07-06 지지대용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351U KR200204070Y1 (ko) 2000-07-06 2000-07-06 지지대용 결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070Y1 true KR200204070Y1 (ko) 2000-11-15

Family

ID=1966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351U KR200204070Y1 (ko) 2000-07-06 2000-07-06 지지대용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0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3981B2 (en) Furniture connector and furniture using same
US4449842A (en) Sleeve bracket
CN1022091C (zh) 拼装玩具用的基本部件
ES2574330B1 (es) Sistema y método constructivo prefabricado con nudos estructurales tridimensionales
US4780018A (en) Framework connector
KR200204070Y1 (ko) 지지대용 결속구
JPH10205178A (ja) フェンス
JP3112549U (ja) 建築用接合金具
JP2000110129A (ja) 外柵の接続具
KR101430558B1 (ko) 다용도 조립식 구조물
KR200497289Y1 (ko)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JPH0440720Y2 (ko)
KR200159900Y1 (ko) 지주 및 벽판 연결용 접합구
JP2991950B2 (ja) トラス架構の接合装置
KR200367283Y1 (ko) 시설물의 골조 조립구조
JPH0413444Y2 (ko)
JP7193558B2 (ja) 装飾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装飾部材
JPS6215364Y2 (ko)
KR200206153Y1 (ko) 반구형 정글짐
JPH0333843Y2 (ko)
JPH09296632A (ja) 金属格子パネルの連結具
KR100571630B1 (ko) 파이프 구조물의 연결체
JP3385560B2 (ja) コーナージョイント及びそれを備えたフェンス
KR950006191Y1 (ko)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KR100417171B1 (ko) 지지 프레임의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