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289Y1 -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 Google Patents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289Y1
KR200497289Y1 KR2020220001185U KR20220001185U KR200497289Y1 KR 200497289 Y1 KR200497289 Y1 KR 200497289Y1 KR 2020220001185 U KR2020220001185 U KR 2020220001185U KR 20220001185 U KR20220001185 U KR 20220001185U KR 200497289 Y1 KR200497289 Y1 KR 200497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finishing
coupling
connection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수
최지원
Original Assignee
최용수
최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수, 최지원 filed Critical 최용수
Priority to KR2020220001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89Y1/ko
Priority to KR2020230000064U priority patent/KR20230002221U/ko
Priority to PCT/KR2023/006320 priority patent/WO202321940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2Toy models or toy scenery not otherwise cover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조립용 완구의 연결 유닛이 제공된다. 조립용 완구의 연결 유닛은, 트러스구조물과, 트러스구조물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Connection unit of assembly toy}
본 고안은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용 무대를 소형화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해볼 수 있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는 연극, 무용, 음악회 등을 공연하기 위해 객석과 구별하여 만들어 놓은 장소로서 주로 객석보다 높게 되어 있다.
특히, 야외용 무대는 주로 일정 높이를 갖는 무대용 패널 부재를 연속적으로 결합시키고 그 위에 바닥판이나 카펫 등을 깔아 놓음으로써 일정 높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관객이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도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설치된 야외용 무대가 연출자의 의도대로 세팅되지 않은 경우, 야외용 무대의 변경이나 수정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야외용 무대를 소형화시키고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해볼 수 있음은 물론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어 구현해볼 수 있는 조립용 완구 유닛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18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7111호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야외용 무대를 축소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무대장치의 디자인을 구현해볼 수 있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연출자가 원하는대로 무대를 구현할 수 있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은, 트러스구조물 및 상기 트러스구조물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 몸체와, 상기 연결 몸체 내부에 관통되고, 트러스구조물이 결합되는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1 결합공과 직교되도록 연결 몸체 내부에 관통되고, 트러스구조물이 결합되는 제2 결합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공과 동일 선상으로 연결 몸체에서 돌출되는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구조물은 제1 트러스구조물과 제2 트러스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몸체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트러스구조물의 결합을 안내하는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결합부는, 상기 연결 몸체 측면에 돌출된 연결 결합돌기 또는 상기 연결 몸체 측면에 요입된 연결 결합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복수의 측면판이 연이어 형성되고, 이를 말아 내부에 제1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 측부몸체와, 상기 연결 측부몸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연결 측부몸체의 하면에 안착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판에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공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측부몸체와 상부 덮개 및 상기 연결 측부몸체와 하부 덮개를 결합하는 덮개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 결합부는, 상기 연결 측부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덮개 결합편 및 상기 덮개 결합편에 결합되도록 상부 덮개의 하면 및 하부 덮개의 상면에 돌출된 덮개 결합안내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구조물은, 다수의 수직 제1 기둥 및 대응하는 상기 수직 제1 기둥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하는 수직 제2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제1 기둥과 수직 제2 기둥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수직 제3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수직 제1 기둥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상부 마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마감부재는, 상기 수직 제1 기둥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상부 마감몸체 및 상기 상부 마감몸체 하면에 형성된 상부 마감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마감결합부는, 상기 상부 마감몸체 하면에 돌출된 마감결합돌기 또는 상기 상부 마감몸체 하면에 요입된 마감결합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수의 상기 수직 제1 기둥의 하단부를 마감하는 하부 마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마감부재는, 상기 수직 제1 기둥의 하단부를 마감하는 하부 마감몸체 및 상기 하부 마감몸체 상면에 형성된 하부 마감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마감결합부는, 상기 하부 마감몸체 상면에 돌출된 마감결합돌기 또는 상기 하부 마감몸체 상면에 요입된 마감결합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마감몸체의 측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지지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 부재는, 받침 몸체와, 상기 받침 몸체의 하면 일측에 돌출되고, 수직 제2 기둥을 감싸는 받침 걸림편 및 상기 받침 걸림편 타측의 받침 몸체의 하면 타측에 돌출되고 다른 수직 제2 기둥에 밀착되는 받침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은, 트러스구조물 및 상기 트러스구조물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구조물은, 다수의 수직 제1 기둥과, 대응하는 상기 수직 제1 기둥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하는 수직 제2 기둥 및 상기 수직 제1 기둥과 수직 제2 기둥을 연결하는 수직 제3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 몸체와, 상기 연결 몸체 내부에 관통되고, 트러스구조물이 결합되는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1 결합공과 직교되도록 연결 몸체 내부에 관통되고, 트러스구조물이 결합되는 제2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공과 동일 선상으로 연결 몸체에서 돌출되는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은, 트러스구조물 및 상기 트러스구조물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구조물은, 다수의 수직 제1 기둥과, 대응하는 상기 수직 제1 기둥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하는 수직 제2 기둥 및 상기 수직 제1 기둥과 수직 제2 기둥을 연결하는 수직 제3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복수의 측면판이 연이어 형성되고, 이를 말아 내부에 제1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 측부몸체와, 상기 연결 측부몸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연결 측부몸체의 하면에 안착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에 의하면, 야외용 무대를 축소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무대장치의 디자인을 구현해볼 수 있다.
또한, 연출자가 원하는 대로 무대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두뇌 발달과 창의성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의 제1 트러스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의 받침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의 제2 트러스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의 제1 트러스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의 받침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의 제2 트러스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10)은, 트러스구조물, 연결부재(200) 및 받침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트러스구조물은 제1 트러스구조물(100)과 제2 트러스구조물(400)을 포함할수 있으며, 제1 트러스구조물(100)과 제2 트러스구조물(400)은 연결부재(200)에 연결되어 다양한 형상의 완구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200)와 트러스구조물(100,400) 및 받침부재(300)의 연결은 단추방식, 핀방식, 측면 핀방식, 볼트방식, 자석방식, 벨크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나타난 연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트러스구조물(100)과 제2 트러스구조물(400)의 단면은 사각 형상, 삼각 형상 등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트러스구조물(100)과 제2 트러스구조물(400)의 단면은 원 형상, 타원형상 등 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트러스구조물(100)과 제2 트러스구조물(400)의 단면이 사각 형상인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트러스구조물(100)과 제2 트러스구조물(400)은 연결부재(200)에 상부, 하부, 측부 등 다앙한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트러스구조물(100)이 연결부재(200)의 상부 및/또는 하부 방향으로 체결되고, 제2 트러스구조물(400)이 연결부재(200)에 측부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을 일 예시로 설명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트러스구조물(100)은 수직 제1 기둥(110), 수직 제2 기둥(1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제1 기둥(110)은 바(bar)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제1 기둥(110)은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1 기둥(110)은 내부가 관통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1 기둥(110)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제1 기둥(110)의 일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수직 제1 기둥(110)의 나머지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수직 제1 기둥(110)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1 기둥(110)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 제1 기둥(110)이 다양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제1 트러스구조물(10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00)의 위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제1 기둥(110)의 길이는 수직으로 연장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4개의 수직 제1 기둥(11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정사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된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직 제2 기둥(120)은 대응하는 수직 제1 기둥(110)을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2 기둥(120)은 바(bar)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제2 기둥(120)은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2 기둥(120)은 내부가 관통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2 기둥(120)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제2 기둥(120)의 일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수직 제2 기둥(120)의 나머지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수직 제2 기둥(120)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2 기둥(120)은 시계방향으로 배치되는 4개의 수직 제1 기둥(110) 중 대응하는 수직 제1 기둥(110)들을 연결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 제2 기둥(120)은 시계방향으로 배치되는 4개의 수직 제1 기둥(110) 중 일부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트러스구조물(100)은 수직 제3 기둥(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제3 기둥(130)은 수직 제1 기둥(110) 또는 수직 제2 기둥(12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1 기둥(110)은 서로 이격된 수직 제1-1 기둥(110-1)과 수직 제1-2 기둥(110-2)을 포함할 수 있고, 수직 제3 기둥(130)은 서로 이격된 수직 제1-1 기둥(110-1)과 수직 제1-2 기둥(110-2)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제3 기둥(130)은 서로 이격된 수직 제1-1 기둥(110-1)의 일단과 수직 제1-2 기둥(110-2)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2 기둥(120)은 서로 이격된 수직 제2-1 기둥(120-1)과 수직 제2-2 기둥(120-2)을 포함할 수 있고, 수직 제3 기둥(130)은 서로 이격된 수직 제2-1 기둥(120-1)과 수직 제2-2 기둥(120-2)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제3 기둥(130)은 서로 이격된 수직 제2-1 기둥(120-1)의 일단과 수직 제2-2 기둥(120-2)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수직 제3 기둥(130)은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3 기둥(130)은 내부가 관통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3 기둥(130)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제3 기둥(130)의 일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수직 제3 기둥(130)의 나머지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수직 제3 기둥(130)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직 제1 기둥(110), 수직 제2 기둥(120) 및 수직 제3 기둥(130)에 대해서 바(bar) 형상을 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1 기둥(110), 수직 제2 기둥(120) 및 수직 제3 기둥(130)은 절곡부를 포함하는 “ㄱ”, “ㄷ” “V”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1 기둥(110), 수직 제2 기둥(120) 및 수직 제3 기둥(130)은 밴딩부를 포함하는 “U”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수직 제1 기둥(110), 수직 제2 기둥(120) 및 수직 제3 기둥(130)은 서로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1 기둥(110), 수직 제2 기둥(120) 및 수직 제3 기둥(130)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 제1 기둥(110), 수직 제2 기둥(120) 및 수직 제3 기둥(130)의 외면에는 기둥 결합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기둥 결합부는 결합돌기 및/또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둥 결합부에 의하여 제1 트러스구조물(100)은 서로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기둥 결합부에 의하여 제1 트러스구조물(100)과 제2 트러스 구조물(400)이 서로 체결 및 분리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부의 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부의 결합돌기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둥 결합부의 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기둥 결합부의 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기둥 결합부의 결합돌기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기둥 결합부의 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부의 결합홈은 음각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둥 결합부의 결합홈은 다양한 음각 패턴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트러스구조물(100)은 마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부재는 수직 제1 기둥(110)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상부 마감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마감부재(140)는 상부 마감몸체, 상부 마감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마감몸체는 수직 제1 기둥(110)의 상단부를 마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마감몸체는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도면에 따라 직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마감몸체는 수직 제1 기둥(110)과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마감몸체는 수직 제1 기둥(110)과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마감결합부는 상부 마감몸체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마감결합부는 마감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마감결합부는 상부 마감몸체 하면의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감결합돌기는 상부 마감몸체 하면의 각 모서리에 돌출될 수 있고, 마감결합돌기는 내부가 관통된 수직 제1 기둥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감결합돌기는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감결합돌기는 수직 제1 기둥(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제1 기둥(110)의 내부가 원형 형상일 경우, 마감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마감결합돌기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마감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마감결합부는 마감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마감결합홈은 상부 마감몸체 하면의 각 모서리에 요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감결합홈은 상부 마감몸체 하면의 각 모서리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마감결합홈에는 수직 제1 기둥(110)이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홈은 원기둥 형상의 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감결합홈은 삼각기둥 형상의 홈, 사각기둥 형상의 홈, 육각기둥 형상의 홈, 팔각기둥 형상의 홈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감결합홈은 수직 제1 기둥(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제1 기둥(110)이 원기둥 형상일 경우, 마감결합홈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홈은 음각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감결합홈은 다양한 음각 패턴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마감부재(140)에는 헤드블럭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부재는 수직 제1 기둥(110)의 하단부를 마감하는 하부 마감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마감부재(150)는 하부 마감몸체, 하부 마감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마감몸체는 수직 제1 기둥(110)의 하단부를 마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마감몸체는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도면에 따라 직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마감몸체는 모서리가 커팅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마감몸체는 수직 제1 기둥(110)과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마감몸체는 수직 제1 기둥(110)과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마감몸체는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4개의 수직 제1 기둥들을 수용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마감결합부는 하부 마감몸체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마감결합부는 마감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마감결합부는 하부 마감몸체 상면의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감결합돌기는 하부 마감몸체 상면의 각 모서리에 돌출될 수 있고, 마감결합돌기는 내부가 관통된 수직 제1 기둥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마감결합부는 하부 마감몸체 상면의 중앙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감결합돌기는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감결합돌기는 수직 제1 기둥(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제1 기둥(110)의 내부가 원형 형상일 경우, 마감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마감결합돌기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마감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마감결합부는 마감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마감결합홈은 하부 마감몸체 상면의 각 모서리에 요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감결합홈은 하부 마감몸체 상면의 각 모서리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마감결합홈에는 수직 제1 기둥(110)이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홈은 원기둥 형상의 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감결합홈은 삼각기둥 형상의 홈, 사각기둥 형상의 홈, 육각기둥 형상의 홈, 팔각기둥 형상의 홈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감결합홈은 수직 제1 기둥(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제1 기둥(110)이 원기둥 형상일 경우, 마감결합홈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홈은 음각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감결합홈은 다양한 음각 패턴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마감부재(150)는 지지편(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편(151)은 하부 마감몸체의 측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제1 트러스구조물(100)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편(151)은 하부 마감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체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마감부재(150)는 아웃트리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아웃트리거의 일측은 하부 마감부재(150)와 체결되고, 아웃트리거의 타측은 제1 트러스구조물(100)과 체결되어 제1 트러스구조물(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마감부재(140)와 하부 마감부재(150)는 제1 트러스구조물(100)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마감부재(140)와 하부 마감부재(150)는 제1 트러스구조물(100)에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마감부재(140) 및/또는 하부 마감부재(15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트러스구조물(100)의 하부 및/또는 상부에는 다른 제1 트러스구조물(100)이 체결되거나, 제2 트러스구조물(400)이 체결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200)는 트러스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0)는 제1 트러스구조물(1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0)는 연결 몸체(210), 제1 결합공(220), 제2 결합공(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몸체(2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몸체(210)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육면체 형상, 원기둥 형상, 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공(220)은 연결 몸체(210) 내부에 관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공(220)은 연결 몸체(210)의 상면과 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공(220)에는 제1 트러스구조물(10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공(220)은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트러스구조물(100)의 모양에 따라 직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공(230)은 제1 결합공(220)과 직교되도록 연결 몸체(210) 내부에 관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공(230)은 연결 몸체(210)의 대향하는 측면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공(230)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 트러스구조물(40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공(23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 트러스구조물(40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200)에 다른 제2 트러스구조물이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0)는 연결 리브(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40)는 제2 결합공(230)과 동일 선상으로 연결 몸체(21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리브(240)에 제2 트러스구조물(400)이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4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40)는 연결 몸체(210)와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40)는 연결 몸체(210)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40)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40)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 리브(240)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연결 리브(240)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연결 리브(240)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연결 리브(240)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40)는 연결 몸체(210)에서 돌출된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테두리 형상, 삼각 테두리 형상, 사각 테두리 형상, 육각 테두리 형상, 팔각 테두리 형상 등 다양한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0)는 연결 결합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250)는 연결 몸체(2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제2 트러스구조물(400)의 결합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250)는 연결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는 연결 몸체(210) 측면의 각 모서리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 결합돌기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 트러스구조물(40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트러스구조물(400)의 일측 마감부재(440) 또는 수평 제1 기둥(410)이 연결 결합돌기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연결 결합돌기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연결 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는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250)는 연결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결합홈은 연결 몸체(210)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은 연결 몸체(210) 측면의 각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 결합홈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 트러스구조물(40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트러스구조물(400)의 일측 마감부재(440) 또는 수평 제1 기둥(410)이 연결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은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결합홈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 트러스구조물(400)의 수평 제1 기둥(4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평 제1 기둥(410)이 원기둥 형상일 경우, 연결 결합홈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은 음각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 결합홈은 다양한 음각 패턴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는 연결 몸체(210)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고, 연결 결합홈은 연결 몸체(2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 몸체(210)의 전면과 후면에 연결 결합홈이 형성되고, 연결 몸체(2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연결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연결 몸체(210)의 전면과 좌측면에 연결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연결 몸체(210)의 후면과 우측면에 연결 결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몸체(210)의 전면과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연결 결합돌기와 연결 결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 몸체(210)의 전면과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은 연결 몸체(210)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0)는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6 면에 원 형상의 결합공이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0)는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5면에 원 형상의 결합공이 배치되고, 1면에 연결 리브(24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0')는 트러스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0')는 제1 트러스구조물(100)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0')는 연결 측부몸체(260), 상부 덮개(270), 하부 덮개(280), 몸체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측부몸체(260)는 복수의 측면판이 연이어 형성되고, 이를 말아 내부에 제1 결합공(2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공(220)은 연결 측부몸체(260) 내부에 형성되고, 트러스구조물이 결합되는 공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공(220)은 제1 트러스구조물(100)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결합공(220)은 4개의 측면판을 말아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트러스구조물(100)의 모양에 따라 직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에 따라 측면판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면판에 제2 결합공(230)이 형성되어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 트러스구조물(40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공(23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공(23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연결 리브(240)가 더 돌출되어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 트러스구조물(400)의 결합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4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40)는 연결 측부몸체(260)와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40)는 연결 측부몸체(260)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측부몸체(260)는 몸체 결합부(2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 결합부(261)는 연결 측부몸체(260)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몸체 결합부(261)는 몸체 결합돌기(261a), 몸체 결합홈(261b)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 결합돌기(261a)는 연이어 연결된 4개의 측면판 중 일측 단부의 측면판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몸체 결합홈(261b)은 연이어 연결된 측면판 중 타측 단부의 측면판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이어 연결된 측면판을 말을 경우, 일측 단부의 측면판에 형성된 몸체 결합돌기(261a)가 타측 단부의 측면판에 형성된 몸체 결합홈(261b)에 결합됨으로써 제1 결합공(220)이 형성된 연결 측부몸체(260)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덮개(270)는 내부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연결 측부몸체(26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하부 덮개(280)는 내부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연결 측부몸체(260)의 하면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덮개(270)의 통공과 하부 덮개(280)의 결합공은 제1 트러스구조물(100) 또는 제2 트러스구조물(400)이 결합되는 제1 결합공(22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덮개 결합부(290)는 연결 측부몸체(260)와 상부 덮개(270) 또는 하부 덮개(280)의 결합을 안내할 수 있다. 덮개 결합부(290)는 덮개 결합안내편(291), 덮개 결합안내돌기(292)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 결합안내편(291)은 연결 측부몸체(26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덮개 결합안내편(291)은 연결 측부몸체(26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덮개 결합안내편(291)이 상부 덮개(270) 또는 하부 덮개(28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덮개 결합안내돌기(292)는 덮개 결합안내편(291)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덮개 결합안내돌기(292)는 상부 덮개(270)의 하면 및 하부 덮개(280)의 상면에 한 쌍으로 돌출되고, 단부에 덮개 결합안내편(291)에 걸리는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 측부몸체(260)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덮개 결합안내돌기(292)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덮개 결합안내돌기(292)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덮개 결합안내돌기(292)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덮개 결합안내돌기(292)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덮개 결합안내돌기(292)가 덮개 결합안내편(291)에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덮개 결합안내돌기(292)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0')는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는 연결 측부몸체(26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 결합부는 연결 결합돌기 및/또는 연결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 결합부의 구성은 전술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0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 트러스구조물(4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200')가 제2 트러스구조물(40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200')에 다른 제2 트러스구조물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받침 부재(300)는 제1 트러스구조물(100)에 결합된 연결부재(200)를 받쳐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부재(300)는 제2 트러스구조물(400)에 결합된 연결부재(2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부재(300)는 받침 몸체(310), 받침 걸림편(320), 받침 지지편(330)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 몸체(310)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몸체(310)는 제1 트러스구조물(100)의 수직 제2 기둥(120)에 결합 및 안착되어 연결부재(200)를 받쳐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몸체(31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 트러스구조물(400)의 수평 제2 기둥(420) 사이에 결합되어 연결부재(200')에 밀착함으로써 연결부재(2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몸체(310)는 제1 트러스구조물(100)의 수직 제2 기둥(120)보다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재(200)를 좀더 용이하게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받침 걸림편(320)은 받침 몸체(310)의 하면 일측에 하부로 돌출되어 일측의 수직 제2 기둥(120)을 감쌀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걸림편(320)은 수직 제2 기둥(120)을 감쌀 수 있도록 만곡되거나 적어도 2단 이상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받침 지지편(330)은 받침 몸체(310)의 하면 타측에 하부로 돌출되어 타측의 다른 수직 제2 기둥(120')에 밀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부재(300)는 받침 결합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 결합부(340)는 다른 수직 제2 기둥(120')에 받침 지지편(330)의 결합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부(340)는 받침 결합돌기(341), 받침 결합홈(342)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 결합돌기(341)는 받침 지지편(330)의 내면에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341)는 받침 지지편(330)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될 수 있다.
받침 결합홈(342)은 받침 결합돌기(341)가 결합되도록 수직 제2 기둥(120) 표면에 요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홈(342)은 다른 수직 제2 기둥(120')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요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홈(342)는 요철 형상의 홈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몇몇실시예에서 트러스구조물은 제2 트러스구조물(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러스구조물(400)은 수평 제1 기둥(410), 수평 제2 기둥(4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제1 기둥(410)은 바(bar)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제1 기둥(410)은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1 기둥(410)은 내부가 관통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1 기둥(410)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제1 기둥(410)의 일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수평 제1 기둥(410)의 나머지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수평 제1 기둥(410)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1 기둥(410)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 제1 기둥(410)이 다양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제2 트러스구조물(40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00')의 위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제1 기둥(410)의 길이는 수평으로 연장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4개의 수평 제1 기둥(41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정사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된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평 제2 기둥(420)은 대응하는 수평 제1 기둥(410)을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2 기둥(420)은 바(bar)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제2 기둥(420)은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2 기둥(420)은 내부가 관통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2 기둥(420)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제2 기둥(420)의 일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수평 제2 기둥(420)의 나머지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수평 제2 기둥(420)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2 기둥(420)은 시계방향으로 배치되는 4개의 수평 제1 기둥(410) 중 대응하는 수평 제1 기둥(410)들을 연결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 제2 기둥(420)은 시계방향으로 배치되는 4개의 수평 제1 기둥(410) 중 일부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트러스구조물(400)은 수평 제3 기둥(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제3 기둥(430)은 수평 제1 기둥(410)과 또는 수평 제2 기둥(42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1 기둥(410)은 서로 이격된 수평 제1-1 기둥(410-1)과 수평 제1-2 기둥(410-2)을 포함할 수 있고, 수평 제3 기둥(430)은 서로 이격된 수평 제1-1 기둥(410-1)과 수평 제1-2 기둥(410-2)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제3 기둥(430)은 서로 이격된 수평 제1-1 기둥(410-1)의 일단과 수평 제1-2 기둥(410-2)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2 기둥(420)은 서로 이격된 수평 제2-1 기둥(420-1)과 수평 제2-2 기둥(420-2)을 포함할 수 있고, 수평 제3 기둥(430)은 서로 이격된 수평 제2-1 기둥(420-1)과 수평 제2-2 기둥(420-2)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제3 기둥(430)은 서로 이격된 수평 제2-1 기둥(420-1)의 일단과 수평 제2-2 기둥(420-2)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수평 제3 기둥(430)은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3 기둥(430)은 내부가 관통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3 기둥(430)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제3 기둥(430)의 일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수평 제3 기둥(430)의 나머지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수평 제3 기둥(430)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평 제1 기둥(410), 수평 제2 기둥(420) 및 수평 제3 기둥(430)에 대해서 바(bar) 형상을 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1 기둥(410), 수평 제2 기둥(420) 및 수평 제3 기둥(430)은 절곡부를 포함하는 “ㄱ”, “ㄷ” “V”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1 기둥(410), 수평 제2 기둥(420) 및 수평 제3 기둥(430)은 밴딩부를 포함하는 “U”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수평 제1 기둥(410), 수평 제2 기둥(420) 및 수평 제3 기둥(430)은 서로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1 기둥(410), 수평 제2 기둥(420) 및 수평 제3 기둥(430)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1 기둥(410), 수평 제2 기둥(420) 및 수평 제3 기둥(430)의 외면에는 기둥 결합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기둥 결합부는 결합돌기 및/또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둥 결합부에 의하여 제2 트러스구조물(400)은 서로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기둥 결합부에 의하여 제1 트러스구조물(100)과 제2 트러스 구조물(400)이 서로 체결 및 분리될 수도 있다. 기둥 결합부의 결합돌기 및 결합홈의 구성은 제1 트러스구조물(100)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트러스구조물(400)은 마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부재는 수평 제1 기둥(410)의 일단부를 마감하는 일측 마감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측 마감부재(440)는 일측 마감몸체, 일측 마감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 마감몸체는 수평 제1 기둥(410)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측 마감몸체는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도면에 따라 직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측 마감몸체 내부에 결합공이 관통되거나 또는 결합공과 동일 선상으로 일측 마감몸체에서 연결 리브가 돌출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측 마감몸체는 수평 제1 기둥(410)과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일측 마감몸체는 수평 제1 기둥(410)과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측 마감결합부는 일측 마감몸체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측 마감결합부는 마감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측 마감결합부는 일측 마감몸체 일면의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감결합돌기는 일측 마감몸체 일면의 각 모서리에 돌출될 수 있고, 마감결합돌기는 내부가 관통된 수평 제1 기둥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마감결합돌기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마감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감결합돌기는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감결합돌기는 수평 제1 기둥(4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 제1 기둥(410)의 내부가 원형 형상일 경우, 마감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측 마감결합부는 마감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홈은 일측 마감몸체 일면의 각 모서리에 요입될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마감결합홈에는 수평 제1 기둥(410)이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홈은 원기둥 형상의 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감결합홈은 삼각기둥 형상의 홈, 사각기둥 형상의 홈, 육각기둥 형상의 홈, 팔각기둥 형상의 홈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감결합홈은 수평 제1 기둥(4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 제1 기둥(410)이 원기둥 형상일 경우, 마감결합홈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홈은 음각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감결합홈은 다양한 음각 패턴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측 마감부재(440)는 내부에 관통된 결합공 또는 제2 연결 리브(4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 리브(441)는 일측 마감부재(440)에 돌출되어 연결부재(200)의 제2 결합공(230)에 결합되거나, 결합공은 일측 마감부재(440) 내부에 관통되어 연결부재(200)의 연결 리브(24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연결 리브(441)는 전술한 연결부재(200)의 연결 리브(240)와 동일하게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 리브(44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 리브(441)는 일측 마감부재(440)와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 리브(441)는 일측 마감부재(440)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부재는 수평 제1 기둥(410)의 타단부를 마감하는 타측 마감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타측 마감부재(450)는 타측 마감몸체, 타측 마감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타측 마감몸체는 수평 제1 기둥(410)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타측 마감몸체는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도면에 따라 직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타측 마감몸체는 수평 제1 기둥(410)과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타측 마감몸체는 수평 제1 기둥(410)과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타측 마감결합부는 타측 마감몸체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타측 마감결합부는 마감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타측 마감결합부는 타측 마감몸체 타면의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감결합돌기는 타측 마감몸체 타면의 각 모서리에 돌출될 수 있고, 마감결합돌기는 내부가 관통된 수평 제1 기둥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마감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마감결합돌기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마감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감결합돌기는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감결합돌기는 수평 제1 기둥(4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 제1 기둥(410)의 내부가 원형 형상일 경우, 마감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타측 마감결합부는 마감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홈은 타측 마감몸체 타면의 각 모서리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마감결합홈에는 수평 제1 기둥(410)이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홈은 원기둥 형상의 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감결합홈은 삼각기둥 형상의 홈, 사각기둥 형상의 홈, 육각기둥 형상의 홈, 팔각기둥 형상의 홈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감결합홈은 수평 제1 기둥(4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 제1 기둥(410)이 원기둥 형상일 경우, 마감결합홈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결합홈은 음각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감결합홈은 다양한 음각 패턴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타측 마감부재(450)는 내부에 관통된 결합공 또는 제2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 리브는 타측 마감부재(450)에 돌출되어 다른 제2 트러스구조물의 결합공이 결합되거나, 결합공은 타측 마감부재(450) 내부에 관통되어 다른 제2 트러스구조물의 제2 연결 리브(441)가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측 마감부재(440)와 타측 마감부재(450)는 제2 트러스구조물(400)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마감부재(140)와 하부 마감부재(150)는 제1 트러스구조물(100)에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측 마감부재(440)는 연결부재(200)(200')에 결합되는 단부를 말하며, 타측 마감부재(450)는 일측 마감부재(440)의 타측을 단부를 말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트러스구조물(400)은 연결 결합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결합부(250')는 제2 트러스구조물(400)의 수평 제1 기둥(410) 단부에서 돌출되는 연결 결합돌기일 수 있다. 연결 결합돌기가 연결부재(200)의 연결 결합부인 연결 결합홈에 결합됨으로써 제2 트러스구조물(400)이 연결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250')는 제2 트러스구조물(400)의 수평 제1 기둥(410) 단부에 요입된 연결 결합홈일 수 있다. 연결 결합홈은 연결부재(200)의 연결 결합부인 연결 결합돌기에 결합됨으로써 제2 트러스구조물(400)이 연결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제1 기둥(410)은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트러스구조물(400)에 다른 제2 트러스구조물이 결합되면서 다양한 무대 디자인을 구현해 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100: 제1 트러스구조물
110: 수직 제1 기둥
120: 수직 제2 기둥
130: 수직 제3 기둥
140: 상부 마감부재
150: 하부 마감부재
151: 지지편
200: 연결부재
210: 연결 몸체
220: 제1 결합공
230: 제2 결합공
240: 연결 리브
250: 연결 결합부
200': 연결부재
260: 연결 측부몸체
261: 몸체 결합부
261a: 몸체 결합돌기
261b: 몸체 결합홈
270: 상부 덮개
280: 하부 덮개
290: 덮개 결합부
291: 덮개 결합안내편
292: 덮개 결합안내돌기
300: 받침 부재
310: 받침 몸체
320: 받침 걸림편
330: 받침 지지편
340: 받침 결합부
341: 받침 결합돌기
342: 받침 결합홈
400: 제2 트러스구조물
410: 수평 제1 기둥
420: 수평 제2 기둥
430: 수평 제3 기둥
440: 일측 마감부재
441: 제2 연결 리브
450: 타측 마감부재

Claims (20)

  1. 트러스구조물; 및
    상기 트러스구조물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구조물은,
    다수의 수직 제1 기둥;
    대응하는 상기 수직 제1 기둥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하는 수직 제2 기둥; 및
    상기 수직 제1 기둥과 수직 제2 기둥을 연결하는 수직 제3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 몸체;
    상기 연결 몸체 내부에 관통되고, 트러스구조물이 결합되는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1 결합공과 직교되도록 연결 몸체 내부에 관통되고, 트러스구조물이 결합되는 제2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공과 동일 선상으로 연결 몸체에서 돌출되는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2. 트러스구조물; 및
    상기 트러스구조물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구조물은,
    다수의 수직 제1 기둥;
    대응하는 상기 수직 제1 기둥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하는 수직 제2 기둥; 및
    상기 수직 제1 기둥과 수직 제2 기둥을 연결하는 수직 제3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복수의 측면판이 연이어 형성되고, 이를 말아 내부에 제1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 측부몸체;
    상기 연결 측부몸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연결 측부몸체의 하면에 안착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 유닛.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구조물은 제1 트러스구조물과 제2 트러스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몸체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트러스구조물의 결합을 안내하는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결합부는,
    상기 연결 몸체 측면에 돌출된 연결 결합돌기 또는 상기 연결 몸체 측면에 요입된 연결 결합홈 중 어느 하나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6. 삭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에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된 조립용 완구의 연결 유닛.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공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 유닛.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측부몸체와 상부 덮개 및 상기 연결 측부몸체와 하부 덮개를 결합하는 덮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 유닛.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결합부는,
    상기 연결 측부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덮개 결합편; 및
    상기 덮개 결합편에 결합되도록 상부 덮개의 하면 및 하부 덮개의 상면에 돌출된 덮개 결합안내돌기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 유닛.
  11. 삭제
  12. 삭제
  1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수직 제1 기둥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상부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감부재는,
    상기 수직 제1 기둥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상부 마감몸체; 및
    상기 상부 마감몸체 하면에 형성된 상부 마감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감결합부는,
    상기 상부 마감몸체 하면에 돌출된 마감결합돌기 또는 상기 상부 마감몸체 하면에 요입된 마감결합홈 중 어느 하나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1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수직 제1 기둥의 하단부를 마감하는 하부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감부재는,
    상기 수직 제1 기둥의 하단부를 마감하는 하부 마감몸체; 및
    상기 하부 마감몸체 상면에 형성된 하부 마감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감결합부는,
    상기 하부 마감몸체 상면에 돌출된 마감결합돌기 또는 상기 하부 마감몸체 상면에 요입된 마감결합홈 중 어느 하나인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감몸체의 측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2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 부재는,
    받침 몸체;
    상기 받침 몸체의 하면 일측에 돌출되고, 수직 제2 기둥을 감싸는 받침 걸림편; 및
    상기 받침 걸림편 타측의 받침 몸체의 하면 타측에 돌출되고 다른 수직 제2 기둥에 밀착되는 받침 지지편을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연결 유닛.

KR2020220001185U 2022-05-13 2022-05-13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KR200497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185U KR200497289Y1 (ko) 2022-05-13 2022-05-13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KR2020230000064U KR20230002221U (ko) 2022-05-13 2023-01-10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PCT/KR2023/006320 WO2023219404A1 (ko) 2022-05-13 2023-05-10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185U KR200497289Y1 (ko) 2022-05-13 2022-05-13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064U Division KR20230002221U (ko) 2022-05-13 2023-01-10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289Y1 true KR200497289Y1 (ko) 2023-09-26

Family

ID=881903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185U KR200497289Y1 (ko) 2022-05-13 2022-05-13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KR2020230000064U KR20230002221U (ko) 2022-05-13 2023-01-10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064U KR20230002221U (ko) 2022-05-13 2023-01-10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0497289Y1 (ko)
WO (1) WO202321940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9706A (en) * 1915-04-30 1920-02-03 Gilbert Co A C Toy building construction
WO1987004364A1 (en) * 1986-01-28 1987-07-30 Kurt Hesse Support device for toy car racetracks
KR200291879Y1 (ko) 2002-07-08 2002-10-11 최철상 강화유리를 이용한 무대장치
KR20100004725U (ko) * 2008-10-29 2010-05-10 최영수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
KR101047111B1 (ko) 2009-03-25 2011-07-07 김종호 무대장치 조립구조
KR101654560B1 (ko) * 2015-05-19 2016-09-06 오승영 결합부와 삽입부가 일체로 제공되는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또는 이용방법
US20190240591A1 (en) * 2018-02-05 2019-08-08 Frank A. Koczwara Method and Apparatus for 3D Printable Construction Toy Se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9706A (en) * 1915-04-30 1920-02-03 Gilbert Co A C Toy building construction
WO1987004364A1 (en) * 1986-01-28 1987-07-30 Kurt Hesse Support device for toy car racetracks
KR200291879Y1 (ko) 2002-07-08 2002-10-11 최철상 강화유리를 이용한 무대장치
KR20100004725U (ko) * 2008-10-29 2010-05-10 최영수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
KR101047111B1 (ko) 2009-03-25 2011-07-07 김종호 무대장치 조립구조
KR101654560B1 (ko) * 2015-05-19 2016-09-06 오승영 결합부와 삽입부가 일체로 제공되는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또는 이용방법
US20190240591A1 (en) * 2018-02-05 2019-08-08 Frank A. Koczwara Method and Apparatus for 3D Printable Construction Toy S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9404A1 (ko) 2023-11-16
KR20230002221U (ko)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0488C (en) Architectural structure
US6702640B1 (en) Block toy
US4753622A (en) Building block kit
KR200497289Y1 (ko)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JPH0263875U (ko)
US6386936B1 (en) Building block set
US20060048475A1 (en) Building block
JPH10205178A (ja) フェンス
KR20230002129U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20230171853A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200497470Y1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20240000818U (ko) 조립용 완구 유닛
JP2022117783A (ja) 木造建築物
JPH0440720Y2 (ko)
JP3222927U (ja) 間仕切り
JPH0452324Y2 (ko)
KR200204070Y1 (ko) 지지대용 결속구
KR102184506B1 (ko) 프레임 연결장치
JP3125948U (ja) 組立てブロック
JPH0712502Y2 (ja) 球面天井材
JP3018230U (ja) ログハウス用構築材料
JP2023028691A (ja) 複数の空間形成用の骨組が離間して配置された骨組構造
JPH0741376Y2 (ja) 連結天頂板
JP2604588Y2 (ja) 照明柱
JPS5914491Y2 (ja) 防護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