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853A - 조립용 완구 유닛 - Google Patents

조립용 완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853A
KR20230171853A KR1020220171126A KR20220171126A KR20230171853A KR 20230171853 A KR20230171853 A KR 20230171853A KR 1020220171126 A KR1020220171126 A KR 1020220171126A KR 20220171126 A KR20220171126 A KR 20220171126A KR 20230171853 A KR20230171853 A KR 20230171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upport
plate
coupl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수
최지원
Original Assignee
최용수
최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수, 최지원 filed Critical 최용수
Priority to KR1020220171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1853A/ko
Publication of KR20230171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85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Abstract

조립용 완구 유닛이 제공된다. 조립용 완구 유닛은, 수평판과 수직판을 포함하는 판체 및 판체의 측부에 배치된 측부 결합부를 구비한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측부 결합부는, 판체의 측면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측부 결합돌기 또는 판체의 측면에 요입되어 배치되는 측부 결합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측부 결합홈은 수평판의 측단부와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에 연이어 형성된다.

Description

조립용 완구 유닛{Assembling toy unit}
본 발명은 조립용 완구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용 무대를 소형화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해볼 수 있는 조립용 완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는 연극, 무용, 음악회 등을 공연하기 위해 객석과 구별하여 만들어 놓은 장소로서 주로 객석보다 높게 되어 있다.
특히, 야외용 무대는 주로 일정 높이를 갖는 무대용 패널 부재를 연속적으로 결합시키고 그 위에 바닥판이나 카펫 등을 깔아 놓음으로써 일정 높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관객이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설치된 야외용 무대가 연출자의 의도대로 세팅되지 않은 경우, 야외용 무대의 변경이나 수정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야외용 무대를 소형화시키고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해볼 수 있음은 물론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어 구현해볼 수 있는 조립용 완구 유닛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18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711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야외용 무대를 축소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무대장치의 디자인을 구현해볼 수 있는 조립용 완구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연출자가 원하는 대로 무대를 구현할 수 있는 조립용 완구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은, 수평판과 수직판을 포함하는 판체 및 상기 판체의 측부에 배치된 측부 결합부를 구비한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 결합부는, 상기 판체의 측면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측부 결합돌기 또는 상기 판체의 측면에 요입되어 배치되는 측부 결합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측부 결합홈은 상기 수평판의 측단부와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에 연이어 형성된다.
상기 측부 결합돌기는, 상기 측부 결합돌기의 하단부 내측에 요입된 측부 결합안내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체의 내부에 배치된 연결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결합부는, 상기 판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연결 결합돌기 또는 상기 판체의 상면에 요입되는 연결 결합홈 또는 상기 판체의 상면에 관통되는 연결 결합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연결 결합부와 동일 선상으로 판체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체에 안착되는 마감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는 마감 결합돌기 또는 마감 결합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복수의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에 배치되는 받침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와 상기 스테이지를 받쳐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베이스 판; 및 상기 베이스 판에 배치되는 베이스 연결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와 이웃하는 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제1 받침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와 이웃하는 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제2 받침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받침 연결부재는, 상기 받침부재에 연결된 제2 받침 연결편 및 상기 제2 받침 연결편에 연결되고, 이웃하는 받침부재를 수용하는 제2 수용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와 이웃하는 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제3 받침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받침 연결부재는, 제3 받침 연결편 및 상기 제3 받침 연결편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받침부재와 이웃하는 받침부재를 수용하는 제3 수용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의 변부 또는 모서리부를 연결되는 코너 마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너 마감부는 코너 마감부재 및 코너 마감연결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은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1 스테이지에 연결되는 제2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제1 판체와, 상기 제1 판체의 측부에 배치된 제1 측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지는, 제2 판체와 상기 제2 판체의 측부에 배치된 제2 측부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 결합부와 상기 제2 측부 결합부가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측부 결합부는, 상기 제1 판체의 측면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측부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체의 측면에 요입되어 배치되는 측부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 결합홈은 상기 제2 판체의 측단부와 상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측부 결합돌기는 상기 측부 결합홈에 체결된다.
상기 측부 결합돌기는, 상기 측부 결합돌기의 하단부 내측에 요입된 측부 결합안내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판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1 연결 결합부 및 상기 제2 판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2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결합부는, 상기 제1 판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연결 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1 판체의 상면에 요입되는 연결 결합홈 또는 상기 제1 판체의 상면에 관통되는 연결 결합홀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2 연결 결합부는 상기 제2 판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연결 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 판체의 상면에 요입되는 연결 결합홈 또는 상기 제2 판체의 상면에 관통되는 연결 결합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스테이지 또는 상기 제2 스테이지의 변부 또는 모서리를 마감하는 코너 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을 연결하는 연결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에 의하면, 야외용 무대를 축소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무대장치의 디자인을 구현해볼 수 있다.
또한, 연출자가 원하는 대로 무대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두뇌 발달과 창의성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스테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마감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받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코너 마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연결안내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스테이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마감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받침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2 내지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2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코너 마감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연결안내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은, 스테이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테이지(100)는 제1 스테이지(100a)와 제2 스테이지(10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테이지(100)와 제1 스테이지(100a) 및 제2 스테이지(100b)는 받침부(200)에 의해 받쳐 지지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조립용 완구의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받침부(200)와 스테이지(100, 100a, 100b)의 연결은 단추 방식, 핀 방식, 측면 핀방식, 볼트 방식, 자석 방식, 벨크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나타난 연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테이지(100, 100a, 100b)는 판체(110), 측부 결합부(120), 연결 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판체(110)는 판상으로 구비되어 스테이지(100, 100a, 100b)의 바닥판을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판체(110)는 수평판과 수직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판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스테이지의 바닥판을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판은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판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수평판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판의 하단부는 수평판의 하면보다 더 돌출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판과 수직판은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판과 수직판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판체(110)는 수평판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판체(110)는 수직판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판체(110)는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정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부(120)는 판체(11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부(120)는 판체(110) 측부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체(110) 측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부(120)는 판체(110)의 변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이웃하는 판체와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부(120)는 측부 결합돌기(121)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돌기(121)는 판체(110)의 측면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부 결합돌기(121)는 평면에서 봤을 때, 판체(110)의 측면 즉, 수직판의 상단부에 'T'자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ㄱ'자, 'O'자, 일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돌기(121)는 판체(110)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일부의 측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부 결합돌기(121)는 판체(110)의 4개 측면 중, 1개의 측면 또는 2개의 측면에만 배치되거나 4개의 측면에 전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돌기(121)는 측부 결합안내홈(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안내홈(121')은 측부 결합돌기(121)의 하단부 내측에 요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안내홈(121')의 폭은 판체(110)의 수직판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측부 결합돌기(121)가 하기에서 설명하는 측부 결합홈(122)에 용이하게 체결됨은 물론 측부 결합돌기(121)의 하단부가 판체(110)의 수직판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측부 결합돌기(121)가 측부 결합홈(1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부(120)는 측부 결합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홈(122)은 판체(110)의 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홈(122)은 판체(110)의 수평판의 측단부와 수직판의 상단부에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부 결합홈(122)은 평면에 봤을 때, 판체(110)의 변부에 'T자 형상으로 요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ㄱ'자, 'O'자, 일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홈(122)은 판체(110)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일부의 측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부 결합홈(122)은 판체(110)의 4개의 측면 중, 1개의 측면 또는 2개의 측면에만 배치되거나 4개의 측면에 전부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T'자 형상의 측부 결합홈(122)에 'T'자 형상의 측부 결합돌기(121)가 용이하게 체결됨은 물론 측부 결합돌기(121)가 측부 결합홈(1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테이지(100a)는 제1 판체와, 제1 판체의 측부에 배치된 제1 측부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2 스테이지(100b)는 제2 판체와 제2 판체의 측부에 배치된 제2 측부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측부 결합부와 제2 측부 결합부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130)는 판체(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130)는 판체(110) 내부에 배치되어 다른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의 체결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130)는 연결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은 판체(110)의 각 모서리 상면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체(110)의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은 원기둥 형상,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130)는 연결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홀은 판체(110)의 각 모서리 상면에 관통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체(110)의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홀은 원기둥 형상,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130)는 연결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는 판체(110)의 각 모서리 상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체(110)의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연결 결합돌기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연결 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판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1 연결 결합부 및 제2 판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2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연결 결합부는, 제1 판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연결 결합돌기 또는 제1 판체의 상면에 요입되는 연결 결합홈 또는 제1 판체의 상면에 관통되는 연결 결합홀 중 어느 하나이며, 제2 연결 결합부는 제2 판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연결 결합돌기 또는 제2 판체의 상면에 요입되는 연결 결합홈 또는 제2 판체의 상면에 관통되는 연결 결합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130)는 연결 리브(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131)는 연결 결합돌기, 연결 결합홈 또는 연결 결합홀과 동일 선상으로 판체(110)의 하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리브(131)에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리브(131)를 통해 연결 결합홀에 하기에서 설명하는 받침부(200)의 연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131)의 돌출되는 길이는 수직판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13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131)는 판체(110)와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131)는 판체(110)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131)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131)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 리브(131)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연결 리브(131)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연결 리브(131)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연결 리브(131)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131)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는 연결 리브(131)와 수직판을 연결하여 판체(110)를 보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는 연결 리브(131)와 이웃하는 연결 리브를 연결하여 보강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는 일자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결 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131)는 연결 리브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리브(131)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연결 리브 홀이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 리브 홀에는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스테이지(100, 100a, 100b)는 마감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재(140)는 판체(110)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재(140)는 마감판, 마감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판은 스테이지(100, 100a, 100b) 상면에 안착되어 마감하는 판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판은 판체(110)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내지 3개의 판체 상면에 안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판은 판체(110)의 모양에 따라 직사각 형상, 정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 결합부는 마감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 결합돌기는 마감판 하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 결합돌기는 마감판 하면에 돌출되어 연결 결합부(130)의 연결 결합홈에 체결되는 돌기일 수 있다. 따라서, 마감 결합돌기가 연결 결합홈에 체결됨으로써 마감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 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 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 결합돌기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감 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마감 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마감 결합돌기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마감 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 결합부는 마감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마감 결합홈은 마감판 하면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 결합홈은 마감판 하면에 요입되어 연결 결합부(130)의 연결 결합돌기가 체결되는 홈일 수 있다. 따라서, 마감 결합홈이 연결 결합돌기에 체결됨으로써 마감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 결합홈은 원기둥 형상,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조립용 완구 유닛은 받침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200)는 스테이지(100, 100a, 100b)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200)는 연결 결합부(130)에 체결되고, 판체(110)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200)는 연결 리브(131)에 체결되고, 판체(110)를 받쳐 지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200)는 받침부재(210), 받침 결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2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결합부(130)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210)는 바(bar)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재(210)는 바(bar) 또는 봉의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210)는 서로 다른 형상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재(210)의 일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나머지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받침부재(210)가 원기둥 형상인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210)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부재(210)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용도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재(210)의 길이는 연장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부(220)는 받침부재(21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 결합부(220)는 받침부재(2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 결합부(220)는 받침부재(2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부(220)는 받침부재(210)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받침부재(210)의 상면은 받침부재(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의 면을 의미하고, 받침부재(210)의 하면은 상면의 반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부(220)는 받침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는 받침부재(210)의 상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 결합돌기는 받침부재(210)의 하면에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는 받침부재(210)의 상면과 하면에 돌출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의 형상은 받침부재(210)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재(210)의 형상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 받침 결합돌기의 형상도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의 형상은 받침부재(210)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재(210)의 형상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 받침 결합돌기의 형상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와 받침부재(210)는 길이 방향으로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의 상면의 면적과 받침부재(210)의 상면의 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 결합돌기의 상면의 면적이 받침부재(210)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받침 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과 받침부재(210)의 상면의 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받침 결합돌기의 하면은 받침부재(210)의 상면과 접촉하는 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면적의 차이에 의하여 받침부재(210)와 받침 결합돌기의 연결 부위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를 통하여 조립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이 받침부재(210)의 상면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받침 결합돌기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과 받침부재(210)의 상면이 면적이 동일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받침 결합돌기의 상면의 면적이 받침 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받침 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이 받침 결합돌기의 상면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 결합돌기의 상면의 면적보다 받침 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받침 결합돌기가 받침부재(210)의 일단에 배치되어 받침부재(210)의 일단은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되며, 받침 결합돌기가 연결 결합부(13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이며, 받침 결합돌기가 받침부재(210)의 하면에 형성된 경우, 하기에서 설명하는 베이스(300)의 베이스 연결결합부(33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도 있고, 받침 결합돌기에는 다양한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의 체결은 벨크로, 스냅단추 등 다양한 체결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받침부재(210)와 받침 결합돌기의 연결 부위에서 형성되는 단차에 의하여 연결 결합부(130)에 삽입되는 길이를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하여 체결의 편리성 및 분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체결 및 분리시 발생되는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돌기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받침 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받침 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받침 결합돌기와 연결 결합부(130)의 연결 결합홈 또는 연결 결합홀에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받침 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받침 결합돌기의 외면은 받침 결합돌기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부(220)는 받침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홈은 받침부재(210)의 상면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 결합홈은 받침부재(210)의 하면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홈은 받침부재(210)의 상면과 하면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홈은 원기둥 형상,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 결합홈이 받침부재(210)의 일단에 배치되어 받침부재(210)의 일단은 요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되며, 받침 결합홈이 연결 결합부(130)의 연결 결합돌기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이며, 받침 결합홈이 받침부재(210)의 하면에 형성된 경우, 하기에서 설명하는 베이스(300)의 연결결합부(33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도 있고, 받침 결합홈에 다양한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결합홈과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의 체결은 벨크로, 스냅단추 등 다양한 체결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210)의 상면에 받침 결합돌기가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받침부재(210)의 하면에 받침 결합홈이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210)의 상면에 받침 결합홈이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받침부재(210)의 하면에 받침 결합돌기가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200)는 받침 지지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지지부재(230)는 받침부재(21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 지지부재(230)는 받침부재(21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 지지부재(230)는 받침부재(210)에 체결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안착되거나 하기에서 설명하는 베이스(300)에 체결됨으로써 받침부재(210) 및 스테이지(100, 100a, 100b)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받침 지지부재(230)의 직경은 받침부재(210)의 직경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지지부재(230)의 중앙에 받침 지지결합홈이 형성되고, 받침 지지결합홈이 베이스(300)의 베이스 연결합부(33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은 받침 지지부재(230)가 안착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지지부재(230)와 받침부재(210)는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지지부재(230)와 받침부재(210)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 지지부재(230)는 설치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공은 받침 지지부재(230) 내부에 관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공은 받침 지지부재(230)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받침 지지부재(230)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 지지부재(230)가 바닥면에 안착되면, 받침 지지부재(230)의 설치공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결합하여 바닥면에 고정함으로써 받침부(200)를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200)는 제1 받침 연결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받침 연결부재(240)는 받침부재(210)와 이웃하는 받침부재(210')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받침 연결부재(240)는 받침부재(210)와 이웃하는 받침부재(210')를 연결하는 제1 받침 연결편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받침 연결편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받침부재(210)와 이웃하는 받침부재(210')의 하부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받침 연결편은 받침부재(210)와 이웃하는 받침부재(210')의 상부 부분에 연결될 수도 있고, 제1 받침 연결편은 받침부재(210)와 이웃하는 받침부재(210')의 중간 부분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받침 연결편은 받침부재(210)와 이웃하는 받침부재(210')의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이중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받침 연결편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받침 연결편의 측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받침 연결편의 측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받침 연결편의 측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제1 받침 연결편의 측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받침부재(210)에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제1 받침 연결편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받침 연결편의 측면은 받침부재(210)와 이웃하는 받침부재(210')를 연결하는 중심을 기준으로 직교되는 방향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200)는 제2 받침 연결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받침 연결부재(250)는 받침부재(21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이웃하는 받침부재(210')가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받침 연결부재(250)는 제2 받침 연결편(251), 제2 수용편(25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받침 연결편(251)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받침부재(210)의 하부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받침 연결편(251)은 받침부재(210)의 상부 부분에 연결될 수도 있고, 받침부재(210)의 중간 부분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받침 연결편(251)은 받침부재(210)의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이중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받침 연결편(251)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받침 연결편(251)의 측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받침 연결편(251)의 측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받침 연결편(251)의 측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제2 받침 연결편(251)의 측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받침부재(210)에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제2 받침 연결편(251)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 받침 연결편(251)의 측면은 받침부재(210)와 제2 수용편(252)을 연결하는 중심을 기준으로 직교되는 방향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편(252)은 제2 받침 연결편(251)의 타측에 연결되고, 이웃하는 받침부재(210')에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편(252)은 내부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편(252)은 내부가 관통되고 일측이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용편(252)은 'C'자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편(252)은 제2 받침 연결편(251)에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U'자 형상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200)는 제3 받침 연결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받침 연결부재(260)는 받침부재(210)와 이웃하는 받침부재(210')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받침 연결부재(260)는 제3 받침 연결편(261), 제3 수용편(26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받침 연결편(261)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받침 연결편(261)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받침 연결편(261)의 측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받침 연결편(261)의 측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받침 연결편(261)의 측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제3 받침 연결편(261)의 측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제3 받침 연결편(261)에 받침부재(210)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제3 받침 연결편(261)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3 받침 연결편(261)의 측면은 제3 수용편(262)이 결합되는 받침부재(210)와 이웃하는 받침부재(210')를 연결하는 중심을 기준으로 직교되는 방향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편(262)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수용편(262)은 제3 받침 연결편(26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편(262)은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편(262)은 내부가 관통되고, 일측이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수용편(262)은 'C'자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편(262)은 제3 받침 연결편(261)에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U'자 형상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편(262)은 'C'자 형상과 'O'자 형상이 혼합되게 연이어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편(262)은 받침부재(2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41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조립용 완구 유닛은 베이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300)는 받침부(200) 및 스테이지(100, 100a, 100b)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300)와 받침부(200)의 연결은 단추 방식, 핀 방식, 측면 핀방식, 볼트 방식, 자석 방식, 벨크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나타난 연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300)는 베이스 판(310), 베이스 연결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판(310)은 받침부(200)와 스테이지(100, 100a, 100b)를 받쳐 지지하는 판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판(310)은 베이스 수평판, 베이스 수직판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수평판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판(3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판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수평판은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잇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수직판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수평판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수직판의 하단부는 베이스 수평판의 하면보다 더 돌출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수평판과 베이스 수직판은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판(310)이 베이스 수평판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부(330)는 베이스 판(3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부(330)는 베이스 판(310) 내부에 배치되어 받침부(200) 또는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의 체결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부(330)는 베이스 연결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돌기는 베이스 판(310) 상면의 각 모서리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연결결합돌기는 베이스 판(310)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돌기는 2개 1조, 4개 1조 및 5개 1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돌기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연결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베이스 연결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베이스 연결결합돌기에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베이스 연결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부(330)는 베이스 연결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홈은 베이스 판(310) 상면의 각 모서리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연결결합홈은 베이스 판(310)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홈은 2개 1조, 4개 1조 및 5개 1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홈은 원기둥 형상,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부(330)는 베이스 연결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홀은 베이스 판(310) 상면의 각 모서리에 관통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연결결합홀은 베이스 판(310)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홀은 2개 1조, 4개 1조 및 5개 1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홀은 원기둥 형상,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결합부(330)는 베이스 연결리브(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리브(331)는 베이스 연결결합돌기와 베이스 연결결합홈 및 베이스 연결결합홀과 동일 선상으로 베이스 판(310) 하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리브(331)의 돌출되는 길이는 베이스 판(310)의 베이스 수직판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리브(33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리브(331)는 베이스 판(310)과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리브(331)는 베이스 판(310)과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리브(331)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리브(331)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연결리브(331)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베이스 연결리브(331)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베이스 판(310)에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베이스 연결리브(331)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결리브(331)는 베이스 판(31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격된 공간에는 베이스 연결리브(331)을 분리시키는 분리막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막을 통하여 베이스 판(310)과 베이스 연결리브(331)를 분리시켜 베이스 연결리브(331)에 체결되는 조립완구 구성품의 결합 및 분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분리막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연결리브(331)보다 직경이 작은 홀을 포함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300)는 베이스 보강판(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보강판(340)은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보강판(340)은 베이스 판(310) 하면의 베이스 연결리브(331)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보강판(340)은 베이스 판(310)을 보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보강판(340)은 리브 수용부(3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브 수용부(341)는 베이스 보강판(340)에 관통된 홀 또는 베이스 보강판(340)에 요입된 홈일 수 있다. 따라서, 리브 수용부(341)에 베이스 연결리브(331)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300)는 베이스 측부결합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측부결합부(320)는 베이스 판(31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측부결합부(320)는 베이스 판(310)의 변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이웃하는 베이스 판이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측부결합부(320)는 베이스 측부결합돌기(321)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측부결합돌기(321)는 베이스 판(310)의 측면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측부결합부(321)는 평면에서 봤을 때, 베이스 판(310)의 측면 즉, 베이스 수직판의 상단부에 'T'자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ㄱ'자, 'O'자, 일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측부결합돌기(321)는 베이스 판(310)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일부의 측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측부결합돌기(321)는 베이스 판(310)의 4개의 측면 중, 1개의 측면 또는 2개의 측면에만 배치되거나 4개의 측면에 전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측부결합돌기(321)는 베이스 측부결합안내홈(3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측부결합안내홈(321')은 베이스 측부결합돌기(321)의 하단부 내측에 요입될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측부결합안내홈(321')의 폭은 베이스 판(310)의 베이스 수직판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측부결합안내홈(321')이 하기에서 설명하는 베이스 측부결합홈(322)에 용이하게 체결됨은 물론 베이스 측부결합돌기(321)의 하단부가 베이스 판(310)의 베이스 수직판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베이스 측부결합돌기(321)가 베이스 측부결합홈(3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측부결합부(320)는 베이스 측부결합홈(32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측부결합홈(322)은 베이스 판(310)의 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측부결합홈(322)은 베이스 판(310)의 베이스 수평판의 측단부와 베이스 수직판의 상단부에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측부결합홈(322)은 평면에 봤을 때, 베이스 판(310)의 변부에 'T자 형상으로 요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ㄱ'자, 'O'자, 일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측부결합홈(322)은 베이스 판(310)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일부의 측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측부결합홈(322)은 판체(110)의 4개의 측면 중, 1개의 측면 또는 2개의 측면에만 배치되거나 4개의 측면에 전부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T'자 형상의 베이스 측부결합홈(322)에 'T'자 형상의 베이스 측부결합돌기(321)가 용이하게 체결됨은 물론 베이스 측부결합돌기(321)가 베이스 측부결합홈(3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42 내지 도 4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조립용 완구 유닛은 코너 마감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 마감부(400)는 스테이지(100, 100a, 100b)의 변부 또는 모서리부를 마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 마감부재(400)는 코너 마감부재(410), 코너 마감연결결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 마감부재(410)는 스테이지(100, 100a, 100b)의 변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2개 판재의 변부가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거나 스테이지(100, 100a, 100b)의 모서리부를 수용할 수 잇도록 3개 판재의 변부가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 마감연결결합부(420)는 코너 마감부재(410)에 배치되어 스테이지(100, 100a, 100b)의 연결 결합부(130)에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 마감연결결합부(420)는 코너 마감연결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 마감연결결합돌기는 코너 마감부재(410) 내면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싱예에서 코너 마감연결결합부(420)는 코너 마감연결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 마감연결결합홈은 코너 마감부재(410) 내면에 요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 마감부(400)는 코너 마감측부결합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 마감측부결합부(430)는 코너 마감부재(410)의 모서리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스테이지(100, 100a, 100b)의 측부 결합부(120)가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 마감측부결합부(430)는 코너 마감측부결합돌기(431)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 마감측부결합돌기(431)는 코너 마감부재(410)의 모서리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 마감측부결합돌기(431)는 코너 마감부재(410)를 평면에서 봤을 때, 'T'자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ㄱ'자, 'O'자, 일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코너 마감측부결합돌기(431)가 측부 결합부(120)의 측부 결합홈(122)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 마감측부결합부(430)는 코너 마감측부결합홈(43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 마감측부결합홈(432)은 코너 마감부재(410)의 모서리에 요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 마감측부결합홈(432)은 코너 마감부재(410)를 평면에서 봤을 때, 'T'자 형상으로 요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ㄱ'자, 'O'자, 일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코너 마감측부결합홈(432)에 측부 결합부(120)의 측부 결합돌기(121)가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45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조립용 완구 유닛은 연결안내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부재(500)는 스테이지(100, 100a, 100b)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은, 스테이지(100, 100a, 100b), 베이스(300), 코너 마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안내부재(500)는 스테이지(100, 100a, 100b)와 이웃하는 스테이지 또는 베이스 판(310)과 이웃하는 베이스 판을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부재(500)는 연결안내몸체(510), 연결안내결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몸체(510)는 판상으로 구비되어 스테이지와 이웃하는 스테이지 또는 베이스 판과 이웃하는 베이스 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몸체(510)는 스테이지 또는 베이스 판의 측부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테이지를 형성하는 판체의 수직판과 동일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결합부(520)는 연결안내몸체(51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결합부(520)는 연결안내몸체(510) 측부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안내몸체(510) 측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결합부(520)는 연결안내몸체(510)의 양측면에 각각 대치되게 배치되거나,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결합부(520)는 연결안내몸체(510)의 양측면에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결합부(520)는 연결안내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결합돌기는 연결안내몸체(510)의 측면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결합돌기는 연결안내몸체(510)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안내결합돌기는 평면에서 봤을 때, 연결안내몸체(510)의 상단부에 'T'자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ㄱ'자, 'O'자, 일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안내결합돌기가 스테이지의 측부 결합홈(122)과 이웃하는 스테이지의 측부 결합홈에 체결되어 스테이지와 이웃하는 스테이지를 연결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돌기가 베이스(300)의 베이스 측부결합홈(322)과 이웃하는 베이스의 베이스 측부결합홈에 체결되어 베이스와 이웃하는 베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결합부(520)는 연결안내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결합홈은 연결안내몸체(510)의 측면에 요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부 결합홈(122)은 평면에 봤을 때, 판체(110)의 변부에 'T자 형상으로 요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ㄱ'자, 'O'자, 일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안내결합홈이 스테이지의 측부 결합돌기(121)와 이웃하는 스테이지의 측부 결합홈에 체결되어 스테이지와 이웃하는 스테이지를 연결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홈이 베이스(300)의 측부결합돌기(321)와 이웃하는 베이스의 측부결합돌기에 체결되어 베이스와 이웃하는 베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안내몸체(510)의 일측면에는 연결안내결합돌기가 배치되고, 타측면에는 연결안내결합홈이 배치되어 스테이지와 이웃하는 스테이지 또는 베이스와 이웃하는 베이스를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안내몸체(5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스테이지와 이웃하는 스테이지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안내몸체(510)의 일측면에 스테이지와 이웃하는 스테이지가 연이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스테이지
100a: 제1 스테이지
100b: 제2 스테이지
110: 판체
120: 측부 결합부
121: 측부 결합돌기
121': 측부 결합안내홈
122: 측부 결합홈
130: 연결 결합부
131: 연결 리브
140: 마감재
200: 받침부
210: 받침부재
210': 이웃하는 받침부재
220: 받침 결합부
230: 받침 지지부재
240: 제1 받침 연결부재
250: 제2 받침 연결부재
251: 제2 받침 연결편
252: 제2 수용편
260: 제3 받침 연결부재
261: 제3 받침 연결편
262: 제3 수용편
300: 베이스
310: 베이스 판
320: 베이스 측부결합부
321: 베이스 측부결합돌기
322: 베이스 측부결합홈
330: 베이스 연결결합부
331: 베이스 연결리브
340: 베이스 보강판
341: 리브 수용부
400: 코너 마감부
410: 코너 마감부재
420: 코너 마감연결결합부
430: 코너 마감측부결합부
431: 코너 마감측부결합돌기
432: 코너 마감측부결합홈
500: 연결안내부재
510: 연결안내몸체
520: 연결안내결합부

Claims (15)

  1. 수평판과 수직판을 포함하는 판체 및 상기 판체의 측부에 배치된 측부 결합부를 구비한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 결합부는, 상기 판체의 측면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측부 결합돌기 또는 상기 판체의 측면에 요입되어 배치되는 측부 결합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측부 결합홈은 상기 수평판의 측단부와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조립용 완구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결합돌기는, 상기 측부 결합돌기의 하단부 내측에 요입된 측부 결합안내홈을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의 내부에 배치된 연결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결합부는,
    상기 판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연결 결합돌기 또는 상기 판체의 상면에 요입되는 연결 결합홈 또는 상기 판체의 상면에 관통되는 연결 결합홀 중 어느 하나인 조립용 완구 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결합부와 동일 선상으로 판체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에 안착되는 마감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는 마감 결합돌기 또는 마감 결합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복수의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에 배치되는 받침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와 상기 스테이지를 받쳐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베이스 판; 및
    상기 베이스 판에 배치되는 베이스 연결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와 이웃하는 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제1 받침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와 이웃하는 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제2 받침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받침 연결부재는,
    상기 받침부재에 연결된 제2 받침 연결편; 및
    상기 제2 받침 연결편에 연결되고, 이웃하는 받침부재를 수용하는 제2 수용편을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와 이웃하는 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제3 받침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받침 연결부재는,
    제3 받침 연결편; 및
    상기 제3 받침 연결편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받침부재와 이웃하는 받침부재를 수용하는 제3 수용편을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의 변부 또는 모서리부를 연결되는 코너 마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너 마감부는 코너 마감부재 및 코너 마감연결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11.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1 스테이지에 연결되는 제2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제1 판체와, 상기 제1 판체의 측부에 배치된 제1 측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지는,
    제2 판체와 상기 제2 판체의 측부에 배치된 제2 측부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 결합부와 상기 제2 측부 결합부가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측부 결합부는,
    상기 제1 판체의 측면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측부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체의 측면에 요입되어 배치되는 측부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 결합홈은 상기 제2 판체의 측단부와 상단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측부 결합돌기는 상기 측부 결합홈에 체결되는 조립용 완구 유닛.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결합돌기는, 상기 측부 결합돌기의 하단부 내측에 요입된 측부 결합안내홈을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1 연결 결합부 및 상기 제2 판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2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결합부는, 상기 제1 판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연결 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1 판체의 상면에 요입되는 연결 결합홈 또는 상기 제1 판체의 상면에 관통되는 연결 결합홀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2 연결 결합부는 상기 제2 판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연결 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 판체의 상면에 요입되는 연결 결합홈 또는 상기 제2 판체의 상면에 관통되는 연결 결합홀 중 어느 하나인 조립용 완구 유닛.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 또는 상기 제2 스테이지의 변부 또는 모서리를 마감하는 코너 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15. 제1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을 연결하는 연결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KR1020220171126A 2022-06-14 2022-12-09 조립용 완구 유닛 KR20230171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126A KR20230171853A (ko) 2022-06-14 2022-12-09 조립용 완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986 2022-06-14
KR1020220171126A KR20230171853A (ko) 2022-06-14 2022-12-09 조립용 완구 유닛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986 Division 2022-06-14 2022-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853A true KR20230171853A (ko) 2023-12-21

Family

ID=8919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126A KR20230171853A (ko) 2022-06-14 2022-12-09 조립용 완구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71853A (ko)
WO (1) WO202324393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879Y1 (ko) 2002-07-08 2002-10-11 최철상 강화유리를 이용한 무대장치
KR101047111B1 (ko) 2009-03-25 2011-07-07 김종호 무대장치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0639A (en) * 1996-10-23 1998-09-22 Liu; Jin-Su Construction toy block and connector set
US5924905A (en) * 1997-09-24 1999-07-20 Parvia Corporation Modular terrain for a toy building set
JP2002045579A (ja) * 2000-08-01 2002-02-12 Stec:Kk 滑走玩具
KR200218830Y1 (ko) * 2000-10-11 2001-04-02 남평현 조립식 완구블록
WO2012168909A1 (en) * 2011-06-10 2012-12-13 Lin Chi Kin Building blocks
CN205654134U (zh) * 2016-04-29 2016-10-19 无锡生源健康产业有限公司 一种活动式舞台支架
KR20220072727A (ko) * 2020-11-25 2022-06-02 최용수 무대 장치 완구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879Y1 (ko) 2002-07-08 2002-10-11 최철상 강화유리를 이용한 무대장치
KR101047111B1 (ko) 2009-03-25 2011-07-07 김종호 무대장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3933A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1156B1 (en) Construction set
US6257426B1 (en) Shelf engagement mechanism
US7517269B2 (en) Building element for constructing a modular substructure
KR102165280B1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벽체의 시공 방법
US20050075035A1 (en) Toy building set
JP2007507628A (ja) 構造パネル
KR20110006170A (ko) 지오데식 돔 천막 및 그 제작방법
KR100846924B1 (ko) 조립식 미로겸용 칸막이
KR20230171853A (ko) 조립용 완구 유닛
AU2017351956B2 (en) An architectural structure
KR200449569Y1 (ko) 파티션 연결용 커넥터
KR200497470Y1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101059397B1 (ko) 정글짐 연결 구조
KR200497289Y1 (ko)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KR101056522B1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KR20230002129U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20180113297A (ko)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구조의 조립식 미로
US11964216B2 (en) Surface grid panel assembly
JP2004150253A (ja) 壁パネルの接続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161874Y1 (ko) 블럭 쌓기 장난감 세트
KR20230002266U (ko)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KR102082446B1 (ko)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
KR20230161181A (ko) 조립식 가구용 구조체
JP4072262B2 (ja) ユニット式建物及びその施工方法
KR20240002099A (ko) 건축용 블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