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727A - 무대 장치 완구 세트 - Google Patents

무대 장치 완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727A
KR20220072727A KR1020210120291A KR20210120291A KR20220072727A KR 20220072727 A KR20220072727 A KR 20220072727A KR 1020210120291 A KR1020210120291 A KR 1020210120291A KR 20210120291 A KR20210120291 A KR 20210120291A KR 20220072727 A KR20220072727 A KR 20220072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coupling means
truss
support
connec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수
Original Assignee
최용수
최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수, 최지원 filed Critical 최용수
Publication of KR2022007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2Toy models or toy scenery not otherwise cover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 장치를 이루는 구성 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조립하고 이들을 조합 설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무대 장치를 디자인할 수 있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무대 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 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조립하고 이들을 조합 설계하여 시스템화함으로써, 다양한 무대 구성을 사용자가 직접 디자인 및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유아에서 성인까지 조립할 수 있고 본인의 아이디어를 통한 실물과 같은 자기만의 개성 있는 무대를 만들수 있어 두뇌 발달과 창의성에 시너지 효과가 있으며, 전 세계 K-pop 열풍에 모든 연령층이 친밀감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 나만의 무대 디자인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대 장치 완구 세트{TOY SET FOR STAGE SETTING}
본 발명은 무대 장치 완구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제의 무대 장치 구성을 사용자가 디자인 및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대 장치 완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조립 완구 세트는 미리 정해진 완성물을 만들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설명서에 따라 차례대로 조립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지능, 창의력 등을 발달시키기 위한 일종의 놀이 기구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 완구 세트는 미리 정해진 완성물의 형상을 벗어나지 못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창작하거나 사용자의 의도대로 커스터마이징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무대 장치에 관한 모형 또는 완구는 기존에 공개되거나 제품화된 것이 없으며, 이는 특히 K-POP 등의 열풍 속에 다양한 무대 장치를 구성하고 디자인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수요 및 필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완구 세트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무대 장치를 이루는 구성 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조립하고 이들을 조합 설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무대 장치를 디자인할 수 있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무대 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 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조립하고 이들을 조합 설계하여 시스템화 함으로써, 다양한 무대 구성을 사용자가 직접 디자인 및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 완구 세트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1단 지지봉(110)과, 상기 1단 지지봉(110) 상에 결합된 1단 연결재(120)를 포함하는 1단 지지대(100); 상기 1단 지지대(100)의 상기 1단 연결재(120) 상에 배치되는 1단 스테이지(150); 상기 1단 지지대(100) 상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단 지지봉(210)과, 상기 2단 지지봉(210) 상에 결합된 2단 연결재(220)를 포함하는 2단 지지대(200); 및 상기 2단 지지대(200)의 상기 2단 연결재(220) 상에 배치되는 2단 스테이지(250);를 포함하는 스테이지 구조를 포함하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로서, 상기 1단 연결재(120)는 1단 연결 플레이트(121) 및 상기 1단 연결 플레이트(121) 상에 균일한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결합 수단(122)을 포함하고, 중심부에서 상기 1단 지지봉(110)과 결합되며, 상기 1단 스테이지(150)는 바닥면에 균일한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결합 수단(151)을 포함하고, 상기 1단 연결재(120)의 결합 수단(122)과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결합 수단(151)은 동일한 간격을 갖고 배열되며, 상기 2단 지지봉(210)의 축은 상기 1단 지지봉(110)의 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2단 연결재(220)는 상기 1단 연결재(120)와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 연결재(220)는 상기 1단 연결재(120)의 1/4 크기를 갖고, 상기 1단 연결재(120)의 가장자리에 정렬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2단 연결재(220)는 2단 연결 플레이트(221) 및 상기 2단 연결 플레이트(221)의 중앙에 배치되는 1개의 결합 수단(222)을 포함하고, 상기 2단 연결재(220)의 중심부에서 상기 2단 지지봉(2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2단 연결재(220)는 상기 1단 연결재(120)의 1/2 크기를 갖고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1단 연결재(120)의 가장자리에 정렬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2단 연결재(220)는 2단 연결 플레이트(221) 및 상기 2단 연결 플레이트(221) 상에 균일한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2개의 결합 수단 (222)을 포함하고, 상기 2단 연결재(220)의 중심부에서 상기 2단 지지봉(2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2단 연결재(220)는 상기 1단 연결재(120)의 3/4 크기를 갖고, 상기 1단 연결재(120)의 가장자리에 정렬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2단 연결재(220)는 2단 연결 플레이트(221) 및 상기 2단 연결 플레이트(221) 상에 균일한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3개의 결합 수단 (222)을 포함하고, 상기 3개의 결합 수단(222) 중 가운데의 결합 수단에서 상기 2단 지지봉(2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1단 지지봉(110) 또는 상기 2단 지지봉(210)은 나사 형태의 높이 조절 축(171)을 더 포함하여 지지봉을 돌림으로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1단 연결재(120) 또는 상기 2단 연결재(220)는 상부 연결재(181) 및 하부 연결재(182)가 한쪽 모서리에서 힌지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재(182)는 각도 조절 나사(183)가 구비되어, 상기 각도 조절 나사(183)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부 연결재(181)의 경사각을 형성함으로써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 구조 주위에 구성되어 무대 구성에 필요한 부품들을 설치하고 지지할 수 있는 트러스 구조(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 구조(300)는 수직 트러스(310), 수평 트러스(320)와, 상기 수직 트러스(310) 및 수평 트러스(320)를 서로 연결시키는 트러스 연결 블록(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의 윗면과 아랫면은 상기 수직 트러스(310)가 통과될 수 있는 상하 개구부(351)를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의 옆면들은 수평 트러스(3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수단(3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 구조 주위에 구성되어 무대 구성에 필요한 부품들을 설치하고 지지할 수 있는 레이어 구조(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어 구조(400)는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재(410), 수직재들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재(420), 상기 수직재들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가새(430) 및 수평가새(44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재, 수평재, 수직가새 및 수평가새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자유롭게 결합시킬 수 있는 접합 조인트(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 조인트(450)는 구 형상을 갖고, 상기 접합 조인트(450)는 최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1 개의 결합 수단(451)이 형성되고, 상부 대각선 방향, 대략 45도 방향으로 8 개의 결합 수단(452)이 형성되며, 가운데에 수평 방향으로 8 개의 결합 수단(453)이 형성되며, 하부 대각선 방향, 대략 45도 방향으로 8 개의 결합 수단(454)이 형성되며, 최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1 개의 결합 수단(4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재, 수평재, 수직가새, 또는 수평가새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 조인트(4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 조인트(460)는 2개의 조인트 블록(461, 462)이 피봇 축(463)을 가지도록 서로 결합되며, 상기 2개의 조인트 블록(461, 462)의 양 단부는 결합 수단의 암 또는 수를 포함하고, 상기 피봇 축(463)은 핀 형태로 상기 2개의 조인트 블록(461, 462)을 연결함으로써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1. 본 완구는 유아에서 성인까지 조립할 수 있고 본인의 아이디어를 통한 실물과 같은 자기만의 개성 있는 무대를 만들 수 있어 두뇌 발달과 창의성에 시너지 효과가 있으며, 전 세계 K-pop 열풍에 모든 연령층이 친밀감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 나만의 무대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2. 축소된 무대 사이즈 실물과 같은 형태로 무대 조립을 하기 때문에 조립 시 출연진 관객 동선을 구상할 수 있고 안전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3. 디자인과 실무는 다르기에 직접 축소된 무대를 만들어봄으로써 실패 요소들을 최소화하고 실행 가능한 디자인을 구성할 수 있다.
4.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다루지 않고도 손쉽게 무대를 구성해 볼 수 있으므로, 일반인들의 참여로 새롭고 독창적인 디자인이 생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 완구 세트로서, 베이스를 구성하는 1단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단 연결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단 스테이지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단 지지대와 1단 스테이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또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1단 지지대와 1단 스테이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또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1단 지지대와 1단 스테이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또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단 지지대 상의 2단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단 스테이지 및 2단 스테이지를 복합 구성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1단 스테이지와 2단 스테이지를 연속적으로 배치할 때 생기는 문제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단 지지대 및 2단 지지대의 결합 구성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1단 지지대 및 2단 지지대를 위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의 제1 실시예를 이용하여 1단 및 2단 스테이지의 결합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1단 지지대 및 2단 지지대를 위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의 제2 실시예를 이용하여 1단 및 2단 스테이지의 결합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1단 지지대 및 2단 지지대를 위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의 제3 실시예를 이용하여 1단 및 2단 스테이지의 결합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1단 스테이지 및 2단 스테이지를 조합하여 디자인한 무대 장치 완구 세트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정면도이고, 도 22는 도 20의 구성 일부의 정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의 트러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27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연결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30 및 도 31은 트러스 연결 블록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32 및 도 33은 트러스 연결 블록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구조의 접합 조인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6는 도 35의 평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구조의 접합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구조의 각도 조절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구조의 각도 조절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의 트러스 구조 및 레이어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2 및 도 43은 실제 무대 장치의 예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무대 장치의 스테이지 구조를 포함하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로서, 무대 장치 스테이지구조는 하부에 베이스를 구성하는 지지대와, 지지대 상부에 무대를 구성하는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 완구 세트로서, 베이스를 구성하는 1단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1단 지지대(100)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1단 지지봉(110)과, 상기 1단 지지봉(110) 위에 결합된 1단 연결재(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 지지봉(110)은 도 1과 같이 바 또는 봉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1단 지지봉(110)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1단 지지대(1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4 개의 1단 지지봉(110) 및 4 개의 1단 연결재(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4 개의 1단 지지봉(110)이 위에서 보았을 때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하면, 1단 지지대(100)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하나의 1단 지지대(100)을 이루는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 개의 1단 지지봉(110) 및 1단 연결재(120)가 하나의 1단 지지대(100)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1단 지지대(100)가 안정적으로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지지봉의 개수 및 배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4 개의 1단 지지봉(110) 및 그 위에 각각 결합된 4 개의 1단 연결재(120)가 배치되며, 위에서 보았을 때 (평면도 방향), 4 개의 1단 지지봉(110)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지봉끼리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 지지봉(130, 140)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까운 2 개의 1단 지지봉(110)들은 일자형 연결 지지봉(130)으로 연결 고정되고, 먼 2개의 1단 지지봉(110)들은 x자형 연결 지지봉(140)으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지지봉(130, 140)이 추가로 구성되면, 지지봉들이 서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 고정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는 하나의 1단 지지대(100)를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연결 지지봉(130, 140)의 갯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1단 지지대(100)가 구성되면, 1단 지지대(100)를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복수로 연결하여, 복수의 1단 지지대(100)를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형태의 스테이지를 자유롭게 구성하고 설계할 수 있으며, 원하는 형태의 스테이지를 구성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서 1단 지지대(100)를 자유롭게 복수 개로 구성하여 베이스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1단 지지봉(110) 위에 결합되는 1단 연결재(120)는 그 위에 스테이지가 놓이는 부분이다. 본 발명은 무대 장치 완구 세트로서, 사용자가 쉽고 안정적으로 스테이지를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1단 연결재(120)와 그 위에 결합되는 스테이지가 간단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특징이 있다. 이를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단 연결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1단 연결재(120)는 평면도 방향으로 보았을 때 1단 연결 플레이트(121) 및 상기 1단 연결 플레이트(121) 상에 복수 개의 결합 수단(12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1단 연결재(120)의 중심부에는 1단 지지봉(110)과 결합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1단 연결 플레이트(121)는 1단 연결재(120)의 판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상기 1단 연결재(120)와 스테이지가 결합할 때 튀어나오거나 모자란 부분이 없이 정확하고 깔끔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예를 들어 사각형 형태의 스테이지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도 2의 실시예에 같이 정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1단 연결 플레이트(121)는 반드시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스테이지의 형상에 따라, 직사각형, 다각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 연결 플레이트(121) 상에 4 개의 결합 수단(122)이 균일한 간격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수단(122)은 상기 1단 연결재(120)를 이하에서 설명할 스테이지와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 구성 요소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1단 연결 플레이트(121)가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4 개의 결합 수단(122)도 서로가 정사각형이 되도록 균일한 간격을 갖고 배치된다. 물론, 상기 결합 수단(122)의 개수 및 배열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할 스테이지에 배열된 결합 수단과 그 간격과 배치가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수단(122)의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암수 형태의 단추일 수 있다. 암수 형태의 단추 또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의류 등에 사용되는 똑딱이 형태의 단추일 수 있고, 레고 형태의 플라스틱 암수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고무와 같은 가요성 재료의 암수 결합 단추일 수도 있으며,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방식의 결합 수단도 가능하다. 즉, 상기 결합 수단(122)의 결합 방식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암수 형태로 구성된 단추임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단 스테이지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1단 스테이지(150)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사시도로 보았을 때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1단 스테이지(15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1단 스테이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일 수도 있으나, 예를 들어 가운데에 원형의 빈 공간을 갖도록 구멍이 뚫린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스테이지의 형상 자체가 원형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할 2단 스테이지(250)도 동일하다. 또한, 스테이지의 빈 공간에는 팬(fan) 등과 같은 부속 장치가 장착되어 무대 구성을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1단 스테이지(150)는 바닥면에 복수 개의 결합 수단(151)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수단(151)은 1단 스테이지의 한 면(예를 들어, 바닥면)에서 균일한 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결합 수단(151)의 개수 및 배열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나, 도 2의 상기 1단 연결재(120)의 결합 수단(122)과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1단 연결재(120)의 결합 수단(122)과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결합 수단(151)은 동일한 간격을 갖고 배열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상기 1단 연결재(120)를 상기 1단 스테이지(1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 연결재(120)의 결합 수단(122)은 암수 단추 중 수 단추로 구성되고,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결합 수단(151)은 암수 단추 중 암 단추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 연결재(120)의 결합 수단(122)은 암수 단추 중 암 단추로 구성되고,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결합 수단(151)은 암수 단추 중 수 단추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수단의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상기 1단 연결재(120)와 상기 1단 스테이지(150)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그리고 손쉽게 결합 및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적절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결합 수단(151)은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바닥면에만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측면에도 구성될 수 있다. 측면에 구성된 결합 수단(151)은 다른 1단 스테이지(150)를 연결하거나, 1단 스테이지에 부가적으로 구성되는 추가 구성 요소(예를 들어, 계단 등)를 연결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바닥면의 맞은편인 윗면에도 복수의 결합 수단(151)이 배열될 수 있으며, 이는 1단 스테이지 상에 부가적으로 구성되는 추가 구성 요소(예를 들어, 추가 무대 구성 요소 등)를 연결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단 지지대와 1단 스테이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또는 저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하나의 1단 스테이지(150)의 네 모서리에 각각 1단 연결재(120)를 도 4와 같이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복수의 결합 수단(151)은 상기 1단 연결재(120)의 복수의 결합 수단(122)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됨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스테이지와 지지대를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1단 연결재(120)의 모서리와 결합 수단(122) 사이의 간격과,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모서리와 결합 수단(151)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게 규격화하면, 상기 1단 연결재(120)와 상기 1단 스테이지(150)를 결합하였을 때 튀어나오거나 모자란 부분이 없이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1단 지지대와 1단 스테이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또는 저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2 개의 1단 스테이지(150)를 2 개의 1단 연결재(120)와 결합시킨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1단 연결재(120)의 결합 수단(122)과,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결합 수단(151)의 간격을 동일하게 규격화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2 개의 상기 1단 스테이지(150)를 나란히 배치한 후, 상기 1단 연결재(120)가 2 개의 상기 1단 스테이지(150)에 겹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1단 연결재(120)의 모서리와 결합 수단(122) 사이의 간격과,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모서리와 결합 수단(151)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게 규격화하여, 상기 1단 연결재(120)와 상기 1단 스테이지(150)를 결합하였을 때 튀어나오거나 모자란 부분이 없이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1단 지지대와 1단 스테이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또는 저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4 개의 1단 스테이지(150)를 하나의 1단 연결재(120)와 결합시킨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1단 연결재(120)의 결합 수단(122)과,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결합 수단(151)의 간격을 동일하게 규격화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4 개의 상기 1단 스테이지(150)를 나란히 배치한 후, 하나의 상기 1단 연결재(120)가 4 개의 상기 1단 스테이지(150)에 겹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1단 연결재(120)의 모서리와 결합 수단(122) 사이의 간격과,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모서리와 결합 수단(151)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게 규격화하여, 상기 1단 연결재(120)와 상기 1단 스테이지(150)를 결합하였을 때 튀어나오거나 모자란 부분이 없이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단 지지대 상의 2단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2단 지지대(200)는 높이 방향으로 바 또는 봉의 형태로, 바닥을 지지하는 1단 지지봉 (110) 상에 배치된 2단 지지봉(210), 상기 2단 지지봉(210) 위에 결합된 2단 연결재(2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2단 지지대(200)는 도 1에서의 1단 지지대(100) 위에 그대로 추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4 개의 1단 지지봉(110) 및 4 개의 1단 연결재(120)로 구성된 4 개의 1단 지지대(100) 위에 각각 4 개의 2단 지지봉(210) 및 2단 연결재(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형태의 2단 지지대(200)는 실제로 종래 기술에 따른 2단 스테이지를 구성할 때 이용되는 2단 지지대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1단 지지봉(110) 상에 그대로 상기 2단 지지봉(210)이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1단 지지봉(110) 및 상기 2단 지지봉(210)은 동일한 하나의 축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2단 지지대(200)를 구성하는 경우, 1단 지지대 (1단 연결재) 상에 배치되는 1단 스테이지와, 2단 지지대 (2단 연결재) 상에 배치되는 2단 스테이지를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여 구성할 때, 간극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다음의 도면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단 스테이지 및 2단 스테이지를 복합 구성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지지대(100)와 2단 지지대(200)를 복합 구성함으로써, 1단 지지대(100) 상에 1단 스테이지(150)를 배치하고, 2단 지지대(200) 상에는 2단 스테이지(25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1단 스테이지(150)와 2단 스테이지(250)를 복합적으로 구성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무대를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어, 무대 장치 완구 세트의 구성 활용성과 자유도가 크게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상기 1단 지지대(100) 상에 놓이는 상기 1단 스테이지(150)와, 상기 2단 지지대(200) 상에 놓이는 상기 2단 스테이지(250)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즉 1단 및 2단 스테이지의 복합 구성 결합 시에 종래 기술에 따른 지지대를 사용할 경우, 연결이 불가능하거나 간극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의 발생 상황을 도 9 및 도 10에서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은 1단 스테이지와 2단 스테이지를 연속적으로 배치할 때 생기는 문제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왼쪽은 1단 스테이지(150), 오른쪽은 2단 스테이지(250)를 복합 구성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오른쪽의 2단 스테이지(250)는 2단 지지대(200)의 2단 연결재(220)에 결합되어 배치되는 것에 큰 문제는 없다. 그러나, 이 경우 왼쪽의 1단 스테이지(150)는 1단 지지대(100)의 1단 연결재(120) 위에 결합될 때, 2단 지지대(200)의 2단 지지봉(210) 부분에 걸리게 된다(A). 즉, 1단 지지봉(110)과 동축을 갖는 2단 지지봉(210)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따르면, 1단 스테이지(150)를 1단 연결재(120)에 배치된 결합 수단(122)에 정렬시킬 수 없다. 다시 말해, 연결재에 배치된 결합 수단(122)과 스테이지에 배치된 결합 수단(151)은 모서리까지 정확히 일치하도록 간격을 규격화하여 구성 배치해 놓았으나, 한 가운데에 배치되어 있는 2단 지지봉(210)의 존재로 인하여, 결합 수단(122, 151)들이 서로 대응되지 못하여 결합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도 10은 왼쪽의 1단 스테이지에 배치된 결합 수단(151) 중 가장자리에 배치된 결합 수단을 수정 배치하여 연결재의 결합 수단에 연결시킨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즉, 도 9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결합이 불가능한 상황을 보완하여, 스테이지에 배치된 결합 수단의 간격을 수정한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결합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간극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B). 완구 세트에 있어서 이와 같은 간극이 발생하게 되면 심미감을 해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실제의 무대 장치라고 가정하더라도, 1단 스테이지와 2단 스테이지 사이에 이러한 간극이 발생하면 심미적으로도 크게 문제가 될 뿐 아니라 완성도가 떨어져 안전 상의 문제도 발생할 여지가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도 9 및 도 10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특유의 형태를 가지는 2단 지지대를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를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단 지지대 및 2단 지지대의 결합 구성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 구성은 1단 지지대(100) 상에 2단 지지대(200)가 배치되는 것은 동일하나, 2단 지지대(200)의 2단 지지봉(210)의 축은 1단 지지대(110)의 1단 지지봉(110)의 축과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1단 지지봉(110)과 2단 지지봉(210)은 동일한 축 상에 놓이지 않고, 2단 지지봉(210)의 축이 1단 지지봉(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 이동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200)의 2단 연결재(220)는 1단 연결재(120)와 다른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200)는 1단 지지대(100)의 1단 지지봉(210)의 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축을 가지는 2단 지지봉(210)을 갖고, 또한 1단 연결재(120)와 다른 크기 및 형상을 갖는 2단 연결재(220)를 가짐으로써,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구체적인 해결 방식은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1단 지지대 및 2단 지지대를 위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단 지지대(10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심에 1단 지지봉(110)이 구성되고, 상기 1단 지지봉(110) 상에 1단 연결재(1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1단 연결재(120)는 일 예시로서, 정사각형 형상의 1단 연결 플레이트(121)가 구성되고, 네 측면에 동일한 간격을 갖는 4 개의 결합 수단(122)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200)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2단 지지대(200)는 2단 지지봉(210) 및 상기 2단 지지봉(210) 상에 결합된 2단 연결재(220)가 구성된다. 여기서, 2단 지지봉(210)의 축은 평면도로 보았을 때 1단 지지봉(110)의 축과 다른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2단 지지봉(210)은 1단 지지봉(110)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2단 지지대(200)의 제1 실시예에서, 2단 연결재(220)는 2단 연결 플레이트(221) 및 결합 수단(222)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2단 연결 플레이트(221)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1단 연결 플레이트(121)의 1/4 크기를 갖는다. 또한 2단 연결 플레이트(221)는 도 12와 같이 1단 연결 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에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2단 연결재(220)의 결합 수단(222)은 평면도로 보았을 때 1단 연결재의 결합 수단(122)의 위치와 동일하게 정렬되도록 하나의 결합 수단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단 지지대(200)를 구성하면, 도 13과 같은 1단 및 2단 스테이지의 결합 구성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의 제1 실시예를 이용하여 1단 및 2단 스테이지의 결합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3 개의 1단 스테이지(150)를 하나의 1단 연결재(120)와 결합시키고, 1 개의 2단 스테이지(250)를 도 12의 2단 지지대(200)와 결합시킨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
1 개의 2단 스테이지(250)를 2단 지지대(200)에 결합시키는 것은 문제가 없으나,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에 따라 2단 지지대(200)의 2단 지지봉(210)이 1단 지지봉(110)과 동일한 축 위치를 가진다면, 3 개의 1단 스테이지(150)는 2단 지지봉(210)의 간섭으로 결합될 수 없는 구조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2단 지지봉(210)이 1단 지지봉(110)의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3 개의 1단 스테이지(150)를 1단 연결재(120)에 결합하여도 전혀 간섭이 생기지 않고 완벽한 정렬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1단 연결재의 결합 수단(122)과, 1단 스테이지의 결합 수단(151)과, 2단 연결재의 결합 수단(222)과, 2단 스테이지의 결합 수단(251)은 모두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 어떠한 형상으로 설계하더라도 결합 시 튀어나오거나 모자란 부분 없이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1단 지지대 및 2단 지지대를 위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1단 지지대(10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심에 1단 지지봉(110)이 구성되고, 상기 1단 지지봉(110) 상에 1단 연결재(1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1단 연결재(120)는 일 예시로서, 정사각형 형상의 1단 연결 플레이트(121)가 구성되고, 네 모서리에 동일한 간격을 갖는 4 개의 결합 수단(122)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200)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2단 지지대(200)는 2단 지지봉(210) 및 상기 2단 지지봉(210) 상에 결합된 2단 연결재(220)가 구성된다. 여기서, 2단 지지봉(210)의 축은 평면도로 보았을 때 1단 지지봉(110)의 축과 다른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2단 지지봉(210)은 1단 지지봉(110)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2단 지지대(200)의 제2 실시예에서, 2단 연결재(220)는 2단 연결 플레이트(221) 및 결합 수단(222)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2단 연결 플레이트(221)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1단 연결 플레이트(121)의 1/2 크기를 갖는다. 또한 2단 연결 플레이트(221)는 도 14와 같이 1단 연결 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에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2단 연결재(220)의 결합 수단(222)은 평면도로 보았을 때 1단 연결재의 결합 수단(122)의 위치와 동일하게 정렬되도록 2 개의 결합 수단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단 지지대(200)를 구성하면, 도 15와 같은 1단 및 2단 스테이지의 결합 구성이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의 제2 실시예를 이용하여 1단 및 2단 스테이지의 결합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2 개의 1단 스테이지(150)를 하나의 1단 연결재(120)와 결합시키고, 2 개의 2단 스테이지(250)를 도 14의 2단 지지대(200)와 결합시킨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
2 개의 2단 스테이지(250)를 2단 지지대(200)에 결합시키는 것은 문제가 없으나,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에 따라 2단 지지대(200)의 2단 지지봉(210)이 1단 지지봉(110)과 동일한 축 위치를 가진다면, 2 개의 1단 스테이지(150)는 2단 지지봉(210)의 간섭으로 결합될 수 없는 구조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2단 지지봉(210)이 1단 지지봉(110)의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2 개의 1단 스테이지(150)를 1단 연결재(120)에 결합하여도 전혀 간섭이 생기지 않고 완벽한 정렬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1단 연결재의 결합 수단(122)과, 1단 스테이지의 결합 수단(151)과, 2단 연결재의 결합 수단(222)과, 2단 스테이지의 결합 수단(251)은 모두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 어떠한 형상으로 설계하더라도 결합 시 튀어나오거나 모자란 부분 없이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1단 지지대 및 2단 지지대를 위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1단 지지대(10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심에 1단 지지봉(110)이 구성되고, 상기 1단 지지봉(110) 상에 1단 연결재(1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1단 연결재(120)는 일 예시로서, 정사각형 형상의 1단 연결 플레이트(121)가 구성되고, 네 모서리에 동일한 간격을 갖는 4 개의 결합 수단(122)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200)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2단 지지대(200)는 2단 지지봉(210) 및 상기 2단 지지봉(210) 상에 결합된 2단 연결재(220)가 구성된다. 여기서, 2단 지지봉(210)의 축은 평면도로 보았을 때 1단 지지봉(110)의 축과 다른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2단 지지봉(210)은 1단 지지봉(110)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2단 지지대(200)의 제3 실시예에서, 2단 연결재(220)는 2단 연결 플레이트(221) 및 결합 수단(222)을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2단 연결 플레이트(221)는 ㄴ자 또는 역ㄴ자의 형상을 갖고, 1단 연결 플레이트(121)의 3/4 크기를 갖는다. 또한 2단 연결 플레이트(221)는 도 16과 같이 1단 연결 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에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2단 연결재(220)의 결합 수단(222)은 평면도로 보았을 때 1단 연결재의 결합 수단(122)의 위치와 동일하게 정렬되도록 3 개의 결합 수단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단 지지대(200)를 구성하면, 도 17과 같은 1단 및 2단 스테이지의 결합 구성이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의 제3 실시예를 이용하여 1단 및 2단 스테이지의 결합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1 개의 1단 스테이지(150)를 하나의 1단 연결재(120)와 결합시키고, 3 개의 2단 스테이지(250)를 도 16의 2단 지지대(200)와 결합시킨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
3 개의 2단 스테이지(250)를 2단 지지대(200)에 결합시키는 것은 문제가 없으나,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에 따라 2단 지지대(200)의 2단 지지봉(210)이 1단 지지봉(110)과 동일한 축 위치를 가진다면, 1 개의 1단 스테이지(150)는 2단 지지봉(210)의 간섭으로 결합될 수 없는 구조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2단 지지봉(210)이 1단 지지봉(110)의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1 개의 1단 스테이지(150)를 1단 연결재(120)에 결합하여도 전혀 간섭이 생기지 않고 완벽한 정렬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1단 연결재의 결합 수단(122)과, 1단 스테이지의 결합 수단(151)과, 2단 연결재의 결합 수단(222)과, 2단 스테이지의 결합 수단(251)은 모두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 어떠한 형상으로 설계하더라도 결합 시 튀어나오거나 모자란 부분 없이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1단 스테이지 및 2단 스테이지를 조합하여 디자인한 무대 장치 완구 세트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2단 지지대의 구성을 이용하면, 도 18 및 도 19와 같은 1단 스테이지와 2단 스테이지의 결합 디자인의 설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2단 지지대는 1단 지지봉의 축 위치로부터 벗어난 축 위치를 가지는 2단 지지봉을 포함하고, 1단 연결 플레이트의 1/4, 2/4, 3/4의 크기를 갖는 2단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1단 연결재의 결합 수단, 1단 스테이지의 결합 수단, 2단 연결재의 결합 수단, 2단 스테이지의 결합 수단은 모두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규격화되어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1단 및 2단 스테이지의 결합 디자인에 따라 어떠한 형상으로 설계하더라도 결합 시 튀어나오거나 모자란 부분 없이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정면도이고, 도 22는 도 20의 구성 일부의 정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160)로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160)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지지대(160)는 상술한 1단 지지대 또는 2단 지지대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1단 지지대 또는 2단 지지대 어느 것을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6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봉(170)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결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160)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봉(170)과, 상기 지지봉(170) 위에 결합된 연결재(18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지지봉(170)은 나사 형태의 높이 조절 축(171)을 가지고 있어 상기 지지봉(170)을 돌림으로써 높이를 연장시키거나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다양한 스테이지의 구성을 구현할 경우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의 무대를 설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른 연결재(180)는 상부 연결재(181) 및 하부 연결재(182)가 한쪽 모서리에서 힌지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하부 연결재(182)에는 각도 조절 나사(183)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 나사(183)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부 연결재(181)의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스테이지의 구성을 구현할 경우 미세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경사진 스테이지를 구성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의 무대를 설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1단 연결재 또는 2단 연결재와 같이, 상기 상부 연결재(181)에 결합 수단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은 동일하다.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의 트러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무대 장치의 일 구성 요소로서 스테이지 주위에 구성되는 트러스 구조의 일 예시를 볼 수 있다. 트러스 구조는 무대 장치의 외관의 뼈대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로서, 트러스 구조의 다양한 형상을 구현하여 무대 장치 전체의 미적 요소를 가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명 기구, 영상 장치 등 각종 무대 장치에 필요한 부수적인 장비들을 설치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이다. 상기 트러스 구조에는 무대 연출에 필요한 각종 장치들, 예를 들어 대도구(조형물, 장식물 등), 소도구(소품류), 무대 세트, 조명 장치, 바텐(와이어), 음향 장치, 영상 장치, 무대막, 스판 천(루프용), 각종 그래픽(현수막 등), 시설 및 안전 장치물, 기타 무대연출에 필요한 각종 특수 장치 등을 거치 또는 지지하거나 매달아(와이어 등) 설치할 수 있다.
트러스 구조는 기본적으로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트러스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트러스를 포함한다.
또한 도 25 및 2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원형의 트러스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5와 같이 곡선 형태의 트러스 구조를 연결시켜 도 26과 같은 원형 트러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3 내지 26에서는 수직 및 수평 트러스 구조와 원형 트러스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트러스 구조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수직 트러스와 수평 트러스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트러스 연결 블록이 필요한데 이를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7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연결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연결 블록(350)은 수직 트러스(310)와 수평 트러스(320)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은 바람직하게는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도 27 내지 29에서는 수직 및 수평 트러스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함에 따라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이 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 수직 및 수평 트러스 또는 원형 트러스의 단면이 삼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원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트러스 구조가 가능하므로, 그에 따른 트러스 연결 블록의 형상 또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의 윗면과 아랫면은 상기 수직 트러스(310)가 통과될 수 있는 상하 개구부(35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상하 개구부(351)는 예를 들어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모양과 크기에 제한은 없으며 상기 수직 트러스(310)가 통과될 수 있는 모양과 크기를 가지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 개구부(351)는 상기 수직 트러스(310)가 통과됨과 동시에 상기 수직 트러스(310)가 좌우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트러스(310)의 크기에 맞게 또는 조금 큰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상기 수직 트러스(310)는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의 상하 개구부(351)에 끼워 맞춰져 고정된다.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의 옆면들은 수평 트러스(3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수단(352)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수단(352)은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암수 형태의 단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의 모서리를 갖는 상기 수평 트러스(320)가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의 옆면에 구성된 4 개의 결합 수단(352)에 맞춰져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의 옆면은 중앙에 구성된 1 개의 결합 수단에 상기 수평 트러스(320)가 맞춰져 결합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트러스 연결 블록(350)을 사용하면 상기 수직 트러스(310)와 수평 트러스(32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높이에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의 옆면은 도면과 같이 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0 및 도 31은 트러스 연결 블록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32 및 도 33은 트러스 연결 블록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트러스 연결 블록(350)을 사용하여 상기 수직 트러스(310)와 수평 트러스(32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높이에서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수단(360)은 판 또는 막대 형태의 고정 본체부(361)와 고리 형태의 결합부(362)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본체부(361)는 상기 수직 트러스(310)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구성이 가능하다. 결합부(362)는 도면과 같이 상기 수직 트러스(310)의 바 부분에 끼워져 상기 수직 트러스(3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의 원하는 상하 위치를 결정하면, 그 아래에 상기 고정 수단(360)을 배치시키고 그 위에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이 지지됨으로써 그 상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을 고정 수단(360)이 아래에서 지지하여 고정하는 다양한 방식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을 위에서 지지하는 방식을 예시로 보여준다. 도 32 및 도 33에 따른 고정 수단(370)은 상기 수직 트러스(3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몸체부(371)와, 상기 상부 몸체부(371)와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을 결합하는 체인(37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의 원하는 상하 위치를 결정하면, 수직 트러스(310) 상에 상부 몸체부(371)와 체인(372)을 이용하여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을 결합시킴으로써 그 상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을 고정 수단(360)이 위에서 매달아 지지하여 고정하는 다양한 방식이 가능할 것이다.
도 30 내지 도 33으로 설명한 고정 수단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러한 고정 방법은 수직 트러스 거치대, 체인 블럭, 실링바, 와이어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20 내지 도 22에서 설명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결재를 상기 트러스 구조에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무대 장치의 일 구성 요소로서 스테이지 주위에 구성되는 레이어 구조(400)의 일 예시를 볼 수 있다. 레이어 구조는 트러스 구조와 함께 무대 장치의 외관의 뼈대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로서, 레이어 구조의 다양한 형상을 구현하여 무대 장치 전체의 미적 요소를 가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명 기구, 영상 장치 등 각종 무대 장치에 필요한 부수적인 장비들을 설치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이다. 상기 레이어 구조에는 무대 연출에 필요한 각종 장치들, 예를 들어 대도구(조형물, 장식물 등), 소도구(소품류), 무대 세트, 조명 장치, 바텐(와이어), 음향 장치, 영상 장치, 무대막, 스판 천(루프용), 각종 그래픽(현수막 등), 시설 및 안전 장치물, 기타 무대연출에 필요한 각종 특수 장치 등을 거치 또는 지지하거나 매달아(와이어 등) 설치할 수 있다.
레이어 구조(400)는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재(410)와, 수직재들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재(420)를 포함한다. 또한, 도 30과 같이 수직재들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가새(430) 및 수평가새(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레이어 구조를 구성하는 수직재, 수평재, 수직가새 및 수평가새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을 자유롭게 결합시킬 수 있는 접합 조인트(450)의 구성이 요구되며, 이 접합 조인트의 특징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구조의 접합 조인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6는 도 35의 평면도이다.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어 구조의 접합 조인트(450)는 예를 들어 구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 조인트는 구 형태로 복수의 결합 수단을 구비하여 다양한 위치 및 다양한 각도로 수직재, 수평재, 수직가새 및 수평가새 등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접합 조인트(450)는 최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1 개의 결합 수단(451)이 형성되고, 상부 대각선 방향, 대략 45도 방향으로 8 개의 결합 수단(452)이 형성되며, 가운데에 수평 방향으로 8 개의 결합 수단(453)이 형성되며, 하부 대각선 방향, 대략 45도 방향으로 8 개의 결합 수단(454)이 형성되며, 최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1 개의 결합 수단(45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합 조인트(450)를 이용하면, 높이 방향의 수직재들을 서로 결합하여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길이 방향의 수평재들을 수직재와 서로 결합하여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대각선 방향, 상향 또는 하향으로 수직가새, 수평가새를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레이어의 디자인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접합 조인트(450)를 이용해 다양한 구성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구조의 접합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도 35 및 도 36의 접합 조인트와 유사하나, 이는 최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1 개의 결합 수단이 형성되고, 상부 대각선 방향, 대략 45도 방향으로 4 개의 결합 수단이 형성되며, 가운데에 수평 방향으로 8 개의 결합 수단이 형성되며, 하부 대각선 방향, 대략 45도 방향으로 4 개의 결합 수단이 형성되며, 최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1 개의 결합 수단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조인트의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결합 수단의 방식 또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구조의 각도 조절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의 일 예시를 참조하면, 하나의 수직재가 접합 조인트의 최상부에 형성된 결합 수단에 결합되고, 하나의 수평재가 접합 조인트의 가운데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8 개의 결합 수단 중 하나에 결합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38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재, 수평재, 수직가새, 수평가새는 이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 조인트(4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 조인트(460)는 2 개의 조인트 블록(461, 462)이 피봇 축(463)을 가지도록 서로 결합되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2 개의 조인트 블록(461, 462)의 양 단부는 결합 수단의 암 또는 수를 포함하여 접합 조인트(450) 등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피봇 축(463)은 예를 들어 핀 형태로 상기 2 개의 조인트 블록(461, 462)을 연결함으로써 각도 조절 및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각도 조절 조인트(460)를 활용하면,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설계 및 구성을 갖는 레이어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합 조인트(450)에 결합된 수직재, 수평재, 수직가새, 또는 수평가새는 자체적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합 조인트(450)의 결합 수단들과 상기 수직재, 수평재, 수직가새, 또는 수평가새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자체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결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재, 수평재, 수직가새, 또는 수평가새는 자체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구조의 각도 조절 조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면, 상술한 레이어 구조의 구성 요소인 수직재, 수평재, 수직가새, 수평가새들은 각 단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도 조절 조인트(4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 조인트(470)는 예를 들어 구 또는 원기둥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접합 조인트(450)와 결합된 후에도 피봇 식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접합 조인트(450)는 상기 각도 조절 조인트(47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끼워 맞춤 형태의 수용부(45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각도 조절 조인트(460)를 구성할 필요 없이 상기 수직재, 수평재, 수직가새, 또는 수평가새들이 각 단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도 조절 조인트(470)가 구비되어 보다 간단하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장치의 트러스 구조 및 레이어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1과 같이, 트러스 구조(300) 및 레이어 구조(400)가 무대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며, 도시하지 않았으나 가운데 부분에는 도 1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스테이지의 구조가 배치된다. 트러스 구조(300) 및 레이어 구조(400)에는 무대 장치에 활용되는 각종 조명 기구, 영상 기구 등의 부품들이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도 41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장치 완구 세트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스테이지의 구성, 트러스의 구성, 레이어의 구성을 설계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구조 및 상기 레이어 구조에는 무대 연출에 필요한 각종 장치들, 예를 들어 대도구(조형물, 장식물 등), 소도구(소품류), 무대 세트, 조명 장치, 바텐(와이어), 음향 장치, 영상 장치, 무대막, 스판 천(루프용), 각종 그래픽(현수막 등), 시설 및 안전 장치물, 기타 무대연출에 필요한 각종 특수 장치 등을 거치 또는 지지하거나 매달아(와이어 등) 설치할 수 있다.
도 42 및 도 43은 실제 무대 장치의 예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장치 완구 세트를 이용하면, 도 42 및 도 43과 같이 실제의 무대 구성을 모델링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스테이지의 구성, 트러스의 구성, 레이어의 구성을 설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손쉽게 원하는 무대 구성 완구를 조립할 수 있고, 무대 구성 관계자라면 축소된 무대 사이즈 및 실물과 같은 형태로 무대 조립을 할 수 있으며, 직접 축소된 무대를 만들어봄으로써 실패 요소들을 최소화하고 실행 가능한 디자인을 구성할 수 있고, 출연진 관객 동선을 구상할 수 있고 안전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다루지 않고도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무대를 구성해 볼 수 있으므로, 일반인들의 참여로 새롭고 독창적인 디자인이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Claims (11)

  1.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1단 지지봉(110)과, 상기 1단 지지봉(110) 상에 결합된 1단 연결재(120)를 포함하는 1단 지지대(100);
    상기 1단 지지대(100)의 상기 1단 연결재(120) 상에 배치되는 1단 스테이지(150);
    상기 1단 지지대(100) 상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단 지지봉(210)과, 상기 2단 지지봉(210) 상에 결합된 2단 연결재(220)를 포함하는 2단 지지대(200); 및
    상기 2단 지지대(200)의 상기 2단 연결재(220) 상에 배치되는 2단 스테이지(250);를 포함하는 스테이지 구조를 포함하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로서,
    상기 1단 연결재(120)는 1단 연결 플레이트(121) 및 상기 1단 연결 플레이트(121) 상에 균일한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결합 수단(122)을 포함하고, 중심부에서 상기 1단 지지봉(110)과 결합되며,
    상기 1단 스테이지(150)는 바닥면에 균일한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결합 수단(151)을 포함하고,
    상기 1단 연결재(120)의 결합 수단(122)과 상기 1단 스테이지(150)의 결합 수단(151)은 동일한 간격을 갖고 배열되며,
    상기 2단 지지봉(210)의 축은 상기 1단 지지봉(110)의 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2단 연결재(220)는 상기 1단 연결재(120)와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단 연결재(220)는 상기 1단 연결재(120)의 1/4 크기를 갖고, 상기 1단 연결재(120)의 가장자리에 정렬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2단 연결재(220)는 2단 연결 플레이트(221) 및 상기 2단 연결 플레이트(221)의 중앙에 배치되는 1개의 결합 수단(222)을 포함하고,
    상기 2단 연결재(220)의 중심부에서 상기 2단 지지봉(210)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단 연결재(220)는 상기 1단 연결재(120)의 1/2 크기를 갖고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1단 연결재(120)의 가장자리에 정렬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2단 연결재(220)는 2단 연결 플레이트(221) 및 상기 2단 연결 플레이트(221) 상에 균일한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2개의 결합 수단 (222)을 포함하고,
    상기 2단 연결재(220)의 중심부에서 상기 2단 지지봉(210)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단 연결재(220)는 상기 1단 연결재(120)의 3/4 크기를 갖고, 상기 1단 연결재(120)의 가장자리에 정렬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2단 연결재(220)는 2단 연결 플레이트(221) 및 상기 2단 연결 플레이트(221) 상에 균일한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3개의 결합 수단 (222)을 포함하고,
    상기 3개의 결합 수단(222) 중 가운데의 결합 수단에서 상기 2단 지지봉(210)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단 지지봉(110) 또는 상기 2단 지지봉(210)은 나사 형태의 높이 조절 축(171)을 더 포함하여 지지봉을 돌림으로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단 연결재(120) 또는 상기 2단 연결재(220)는 상부 연결재(181) 및 하부 연결재(182)가 한쪽 모서리에서 힌지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재(182)는 각도 조절 나사(183)가 구비되어, 상기 각도 조절 나사(183)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부 연결재(181)의 경사각을 형성함으로써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 구조 주위에 구성되어 무대 구성에 필요한 부품들을 설치하고 지지할 수 있는 트러스 구조(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 구조(300)는 수직 트러스(310), 수평 트러스(320)와, 상기 수직 트러스(310) 및 수평 트러스(320)를 서로 연결시키는 트러스 연결 블록(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의 윗면과 아랫면은 상기 수직 트러스(310)가 통과될 수 있는 상하 개구부(351)를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 연결 블록(350)의 옆면들은 수평 트러스(3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수단(3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 구조 주위에 구성되어 무대 구성에 필요한 부품들을 설치하고 지지할 수 있는 레이어 구조(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어 구조(400)는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재(410), 수직재들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재(420), 상기 수직재들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가새(430) 및 수평가새(44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재, 수평재, 수직가새 및 수평가새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자유롭게 결합시킬 수 있는 접합 조인트(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조인트(450)는 구 형상을 갖고,
    상기 접합 조인트(450)는 최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1 개의 결합 수단(451)이 형성되고, 상부 대각선 방향, 대략 45도 방향으로 8 개의 결합 수단(452)이 형성되며, 가운데에 수평 방향으로 8 개의 결합 수단(453)이 형성되며, 하부 대각선 방향, 대략 45도 방향으로 8 개의 결합 수단(454)이 형성되며, 최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1 개의 결합 수단(45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 수평재, 수직가새, 또는 수평가새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 조인트(4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 조인트(460)는 2개의 조인트 블록(461, 462)이 피봇 축(463)을 가지도록 서로 결합되며, 상기 2개의 조인트 블록(461, 462)의 양 단부는 결합 수단의 암 또는 수를 포함하고, 상기 피봇 축(463)은 핀 형태로 상기 2개의 조인트 블록(461, 462)을 연결함으로써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장치 완구 세트.
KR1020210120291A 2020-11-25 2021-09-09 무대 장치 완구 세트 KR202200727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275 2020-11-25
KR20200160275 2020-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727A true KR20220072727A (ko) 2022-06-02

Family

ID=8198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291A KR20220072727A (ko) 2020-11-25 2021-09-09 무대 장치 완구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27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933A1 (ko) * 2022-06-14 2023-12-21 최용수 조립용 완구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933A1 (ko) * 2022-06-14 2023-12-21 최용수 조립용 완구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864B1 (en) Blocks and building system for the construction of lifesize inflatable play structures
US9643100B2 (en) Magnetic toy apparatuses and methods
CN205164139U (zh) 婴儿活动装置
US20070281580A1 (en) Toy construction system having a variable angle joint
US20080261484A1 (en) Armature kit and construction
JP2000513600A (ja) 相互接続建築ブロックによる玩具の建築キット
KR101773024B1 (ko) 컨넥터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 완구 세트
KR20220072727A (ko) 무대 장치 완구 세트
CN107921324A (zh) 玩具构造组件
WO2001000292A1 (en) Plush construction set
KR1013243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JP6422042B1 (ja) 幼児用オリジナル知育遊具
JP7017191B2 (ja) 組立式模型玩具とそのパーツ
KR200489966Y1 (ko) 어린이 놀이집
US20230040755A1 (en) Structural connection system for modular frameworks
KR102249215B1 (ko) 놀이용 인디언 텐트
CN205321891U (zh) 一种多功能儿童椅
KR102542709B1 (ko) 무대장치 완구세트용 지지유닛
EP0226230B1 (en) Mobile structure for display purposes such as shows and exhibitions
KR200480841Y1 (ko) 조립식 플레이 텐트
KR101186479B1 (ko) 폴딩 구조체
CN2508827Y (zh) 插接式多方连益智积木
CN214551146U (zh) 一种组合变形机器人
WO2016165084A1 (en) Mold for making units of a dome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620241B1 (ko)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