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966Y1 - 어린이 놀이집 - Google Patents

어린이 놀이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966Y1
KR200489966Y1 KR2020170006825U KR20170006825U KR200489966Y1 KR 200489966 Y1 KR200489966 Y1 KR 200489966Y1 KR 2020170006825 U KR2020170006825 U KR 2020170006825U KR 20170006825 U KR20170006825 U KR 20170006825U KR 200489966 Y1 KR200489966 Y1 KR 200489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assembling
assembly
children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740U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2020170006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966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7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9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8Playhouses, play-tents, big enough for playing inside

Landscapes

  • Toys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 놀이집(일명 베이비룸)을 구성하는 울타리의 조립구조를 간편하게 하고 이와 더불어 울타리를 원하는 여러 각도로 손쉽게 조절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더욱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어린이 놀이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울타리부재(1,1')를 서로 조립하여 놀이공간을 형성하는 어린이 놀이집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부재(1,1')에; 울타리부재(1,1')를 서로 연결하고, 울타리부재(1,1')를 연결함과 동시에 울타리부재(1,1')간의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수단(2)(2')을 구비하며, 상기 조립수단(2)(2')은 울타리부재(1,1')의 좌우 양측에 형성하고, 일측 조립수단(2)에는 연결봉(3)를 형성하고 타측 조립수단(2')에는 상기 조립수단(2)의 연결봉(3)에 대응하는 연결공(4)을 형성하되, 상기 일측 조립수단(2)의 연결봉(3)에는 등각으로 돌출되는 조립홈(31,31')을 형성하고, 상기 타측 조립수단(2')의 연결공(4)에는 상기 조립홈(31,31')에 대응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조립돌기(41,41')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어린이 놀이집{BABY ROOM FOR PLAYING}
본 고안은 어린이 놀이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 놀이집(일명 베이비룸)을 구성하는 울타리의 조립구조를 간편하게 하고 이와 더불어 울타리를 원하는 여러 각도로 손쉽게 조절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더욱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어린이 놀이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개의 울타리부재를 나란히 조립하여 흡사 집과 같이 내부에 놀이공간을 마련하는 어린이 놀이집은 사각은 물론 다양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즉, 어린이 놀이집은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된 판형의 울타리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놀이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놀이집을 형성하는 울타리부재는 서로 연결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놀이집을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종래의 어린이 놀이집과 이들의 조립구조를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본다.
참고문헌1에; 판재형상 등으로 된 조립부재가 수개 연결, 조립되어 일종의 벽(Wall)을 구성함으로서 내부에 놀이공간을 형성하는 어린이 놀이집에 있어서, 조립부재를 상호 연결, 조립하는 어린이 놀이집의 조립장치의 구성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2에; 유니트의 양측에 설치된 숫틀연접부와 암틀연접부의 결합에 의해 직렬 또는 직각으로 연접할 수 있고, 그 유니트가 다수 짜맞추어져 안정적이며 강고한 봉폐식 울타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울타리 유니트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3에; 복수의 울타리 부재가 나란하게 연결되어 형성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로서, 상기울타리 부재들이 서로 결합되는 연결부의 정면과 배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울타리 부재들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참고문헌4에; 유아들의 놀이방의 실내에 놀이를 위하여 또는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다양한 크기나 형태로 조립과 분해가 가능토록 한 조립구조를 갖는 놀이방의 울타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 참고문헌5에; 색상과 무늬를 다양하게 하여 여러 모양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되어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며, 어린이들이 부딪혀도 상처 또는 부상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어린이 놀이터용 안전 울타리가 개시되어 있고,
참고문헌6에; 하방에 한 쌍의 후판다리가 각각 형성된 후판부재와, 상기 후판부재의 전방에 배치되고, 하방에는 한쌍의 전판다리가 각각 형성된 전판부재와, 상기 후판부재 및 전판부재의 좌측 테두리 사이에 좌판체결부재를 매개로 서로 기립된 상태로 결합되고, 내측에는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 결합된 좌판걸림판 등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유아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8399호, 2001.10.08. (참고문헌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7148호, 2000.04.25. (참고문헌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3888호, 2011.04.20. (참고문헌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6201호, 2006.05.12. (참고문헌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6687호, 2001.03.15. (참고문헌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4010호, 2016.09.05.
위에서 살펴본 종래의 어린이 놀이집 조립구조는 놀이집을 구성하는 울타리부재를 단순히 일렬로 연결하거나 직각으로 연결하여 구성토록 한 것으로 이러한 단순 조립구조는 울타리부재의 연결각도를 조절, 선택할 수 없게 되어 놀이집을 단순한 사각형태로만 사용할 수 있었다.
즉, 울타리부재를 원하는 각도로 연결하여 놀이집을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없었다.
특히 참고문헌1에 개시된 조립구조는 울타리부재를 여러 각도로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놀이집 조립장치는 울타리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울타리부재 외에 별도의 조인트와 조립볼트를 구비하여 울타리부재의 연결이나 각도조절을 위해서는 조립볼트로 조인트를 일일이 분리하고 체결하여야 하는 등으로 불편하였다.
더욱이 울타리부재 스스로 각도조절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별도의 조인트에 조립되고 연결각도가 의존되어 결정됨으로써 울타리부재 간의 연결강도(조립각도)가 느슨하고 약하여 놀이집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울타리부재를 서로 연결하고 조립하는 조립수단을 울타리부재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조립수단은 조립되는 울타리부재 간의 각도조절기능을 함께 수행토록 함으로써 울타리부재를 조립작업과 동시에 원하는 각도로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울타리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조립수단에 울타리부재 간의 연결기능과 각도조절기능을 함께 갖추어 서로 이웃하는 울타리부재를 연결하는 작업 만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고 이와 동시에 원하는 각도로 즉시 조립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1]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울타리부재를 서로 연결하고, 울타리부재를 연결함과 동시에 울타리부재 간의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수단을 구비한 어린이 놀이집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부재 양측에 울타리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과 연결공을 형성한 조립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조립수단에는 결합구를 형성하여 울타리부재의 조립부에 끼워서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결합구에는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조립부의 걸림홈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게 하며, 상기 조립부에는 안내홈과 고정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구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를 삽입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일측 조립수단의 연결봉에는 등각으로 돌출되는 조립홈을 형성하고 상기 타측 조립수단의 연결공에는 상기 조립홈에 맞물려 결합되는 조립돌기를 등각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울타리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조립수단에 울타리부재 간의 연결기능과 각도조절기능을 함께 갖추어 서로 이웃하는 울타리부재를 연결하는 작업 만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울타리부재를 원하는 각도로 즉시 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놀이집의 조립작업을 매우 간편히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놀이집의 조립작업을 간단히 수행하면서 원하는 여러 각도로 매우 용이하게 조립이 이루어져 놀이집을 원하는 다양한 여러 형태로 손쉽게 조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 등을 제공한다.
도 1,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3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4, 도 5는 도 3의 일요부 발췌 확대도
도 6, 7은 본 고안의 일요부 발췌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일요부 발췌 확대도
도 10, 도 11은 본 고안의 조립완성 후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고안은 울타리부재를 서로 조립하여 놀이공간을 형성하는 어린이 놀이집에 있어서, 어린이 놀이집을 구성하는 울타리부재를 서로 연결하고 조립하는 조립수단을 울타리부재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울라티부재의 조립수단에 각도조절기능을 함께 구성함으로써 울타리부재의 조립작업과 동시에 원하는 각도로서 울타리부재를 연결하여 원하는 여러 형태로 간편히 놀이집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울타리부재는 다양한 형상과 디자인으로 구성되며, 좌우 양측으로 울타리부재를 서로 여결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조립수단은 울타리부재 좌우 양측에서 서로 대응하고 서로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조립과 함께 원하는 각도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기능을 함께 구비한다.
상기 조립수단은 울타리부재의 좌우 양측에 간단히 조립하여 일체로 결합하며, 필요에 따라 울타리부재에서 탈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하에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 1,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6, 7은 본 고안의 일요부 발췌 단면도, 도 8, 도 9는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어린이 놀이집은 여러 개의 울타리부재(1,1')를 사각, 오각 등 다양한 형태로 연결하여 내부에 놀이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울타리부재(1,1')는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으로 형성하며, 양측에는 이웃하는 울타리부재(1,1')와 서로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수단(2)(2')을 구비하고, 상기 울타리부재(1,1')의 조립수단(2)(2')은 울타리부재(1,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기능과 울타리부재(1,1')간의 연결각도를 조절, 선택할 수 있는 각도조절기능을 함께 갖추어 서로 이웃하는 울타리부재(1,1')를 연결하는 작업 만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고 이와 동시에 원하는 각도로 즉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하, 상기 울타리부재(1,1')의 조립수단(2)(2')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울타리부재(1,1') 일측 조립수단(2)에는 연결봉(3)를 형성하고, 상기 조립수단(2)에 대응하는 타측 조립수단(2')에는 상기 조립수단(2)의 연결봉(3)에 대응하는 연결공(4)을 형성한다.
상기 일측 조립수단(2)의 연결봉(3)은 원형 봉체로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등각으로 돌출되는 조립홈(31,31')을 형성한다. 상기 조립홈(31,31')은 등각으로 분할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타측 조립수단(2')의 연결공(4)에는 상기 일측 조립수단(2)의 연결봉(3)에 형성된 조립홈(31,31')에 대응하여 이들이 끼워져 조립될 수 있는 조립돌기(41,4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홈(31,31')이 돌출 형성된 연결봉(3)과 조립돌기(41,41')가 형성된 연결공(4)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수단(2)(2')은 이들 조립홈(31,31')이 조립돌기(41,41')에 서로 맞결합되어 이웃하는 울타리부재(1,1')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이들 조립돌기(41,41')와 조립홈(31,31')이 서로 맞물리는 결합각도에 따라 이웃하여 연결되는 울타리부재(1,1')의 연결각도가 조절, 선택됨으로써 사용자는 간편하게 원하는 각도로 이들을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로 놀이집을 조립할 수 있다.
상기에서 조립수단(2)(2')은 울타리부재(1,1)의 좌우 양측에 조립 후에 울타리부재(1,1')가 나란히 동일한 높이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조립수단(2)(2')은 도시한 예와 같이 울타리부재(1,1') 상부 측에 형성하고, 울타리부재(1,1')의 좌우 양측 하부에는 조립봉(5)과 조립공(6)을 형성하여 상기 조립수단(2)(2')과 더불어서 울타리부재(1,1')를 함께 연결하고 조립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조립봉(5)과 조립공(6)은 울타리부재(1,1') 좌우 양측에 형성하여 이웃하는 울타리부재(1,1')의 조립봉(5)과 조립공(6)과 서로 조립되게 한다.
한편, 연결봉(3)과 연결공(4)을 갖는 상기 조립수단(2)(2')은 울타리부재(1,1')에 탈착하여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조립수단(2)(2')은 연결봉(3)과 연결공(4) 일측으로 결합구(21)(21')를 형성하고, 울타리부재(1,1')에는 상기 결합구(21)(21')에 대응하는 조립부(11)(11')를 형성하여 결합구(21)(21')를 끼워서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결합구(21)(21') 끝에는 끼움돌기(22)(22')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끼움돌기(22)(22')가 조립부(11)(11')의 걸림홈(12)(12')에 끼워져 고정되게 함으로써 조립수단(2)(2')을 울타리부재(1,1')에 각각 견고히 결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울타리부재(1,1')의 조립부(11,11')에는 안내홈(13)(13')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13)(13')에는 고정구멍(14)(14')을 형성하여 여기에 결합구(21)(21')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23)(23')가 안내홈(13)(13')을 따라 안내되어 고정구멍(14)(14')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조립수단(2)(2')을 울타리부재(1)(1')에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한 구성의 조립수단(2)(2')은 결합구(21)(21')를 형성하고 울타리부재(1,1')에는 여기에 대응하는 결합부(11)(11')를 형성하여 조립수단(2)(2')을 울타리부재(1,1')로부터 탈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수단(2)(2')을 울타리부재(1,1')에 쉽게 장착하고 또 필요에 따라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사용한 부호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1':울타리부재 2,2':조립수단
3:연결봉 31,31':조립홈
4:연결공 41,41':조립돌기
5:조립봉 6:조립공
11,11':결합부 12,12':걸림홈
13,13':안내홈 14,14':고정구멍
21,21':결합구 22,22':끼움돌기
23,23':고정돌기

Claims (5)

  1. 울타리부재(1,1')를 서로 연결하고, 울타리부재(1,1')를 연결함과 동시에 울타리부재(1,1') 간의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수단(2)(2')을 구비한 어린이 놀이집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부재(1,1') 양측에 울타리부재(1,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3)과 연결공(4)을 형성한 조립수단(2)(2')을 구성하며,
    상기 조립수단(2)(2')에는 결합구(21)(21')를 형성하여 울타리부재(1,1')의 조립부(11)(11')에 끼워서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결합구(21)(21')에는 끼움돌기(22)(22')를 형성하여 조립부(11)(11')의 걸림홈(12)(12')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게 하며,
    상기 조립부(11,11')에는 안내홈(13)(13')과 고정구멍(14)(14')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구(21)(21')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23)(23')를 삽입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일측 조립수단(2)의 연결봉(3)에는 등각으로 돌출되는 조립홈(31,31')을 형성하고 상기 타측 조립수단(2')의 연결공(4)에는 상기 조립홈(31,31')에 맞물려 결합되는 조립돌기(41,41')를 등각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놀이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70006825U 2017-12-29 2017-12-29 어린이 놀이집 KR200489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825U KR200489966Y1 (ko) 2017-12-29 2017-12-29 어린이 놀이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825U KR200489966Y1 (ko) 2017-12-29 2017-12-29 어린이 놀이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40U KR20190001740U (ko) 2019-07-09
KR200489966Y1 true KR200489966Y1 (ko) 2019-09-02

Family

ID=6722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825U KR200489966Y1 (ko) 2017-12-29 2017-12-29 어린이 놀이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9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940B1 (ko) * 2019-09-24 2020-09-09 주식회사 야야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KR102519102B1 (ko) * 2021-01-22 2023-04-05 이강일 정리함으로 변형되는 베이비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3395A (ja) * 2011-12-14 2013-06-24 Richell Corp ペット用多機能型パネル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691Y1 (ko) 1998-09-28 2001-08-07 첸 추엔 메이 지앙 짜맞추어 울타리를 조성할 수 있는 유니트
KR200216687Y1 (ko) 2000-10-06 2001-03-15 김학철 어린이 놀이터용 안전 울타리
KR200238399Y1 (ko) 2001-03-21 2001-10-08 주식회사 금보상사 어린이 놀이집의 조립장치
KR200416201Y1 (ko) 2005-12-20 2006-05-12 김태길 조립구조를 갖는 놀이방의 울타리
KR20110003888U (ko) 2009-10-14 2011-04-20 권영한 조립식 안전 울타리
KR101654010B1 (ko) 2016-04-05 2016-09-05 주식회사 나우플레이 조립식 유아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3395A (ja) * 2011-12-14 2013-06-24 Richell Corp ペット用多機能型パネル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40U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493B1 (ko) 조립식 책상
US2018539A (en) Adjustable terminal
US8020518B1 (en) Multi-configuration animal play structure
US7713175B2 (en) Infant activity systems
KR200489966Y1 (ko) 어린이 놀이집
US20120031311A1 (en) Portable assembly-type flat bench
JP6538371B2 (ja) ジャングルジム
WO2007021090A1 (en) Wooden block set
US8448605B2 (en) Small animal entertainment, exercise and interaction structure
US20130298379A1 (en) Modular climbing tree and method of assembly
KR101721437B1 (ko)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
KR102153940B1 (ko)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KR200486530Y1 (ko) 베이비룸 패널 벽체고정구
US20050091745A1 (en) Bed foundation
KR102249215B1 (ko) 놀이용 인디언 텐트
US7096523B2 (en) Universally adjustable bed loft
KR200454364Y1 (ko) 조립형 동물 울타리
KR200480869Y1 (ko) 휴대용 의자
KR20220072727A (ko) 무대 장치 완구 세트
KR20170106725A (ko)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KR20180093303A (ko)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
KR100760539B1 (ko)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KR200238399Y1 (ko) 어린이 놀이집의 조립장치
KR200478621Y1 (ko) 베이비룸이 부설되는 회전 미끄럼틀
KR200491397Y1 (ko) 어린이 놀이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