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399Y1 - 어린이 놀이집의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어린이 놀이집의 조립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8399Y1 KR200238399Y1 KR2020010007814U KR20010007814U KR200238399Y1 KR 200238399 Y1 KR200238399 Y1 KR 200238399Y1 KR 2020010007814 U KR2020010007814 U KR 2020010007814U KR 20010007814 U KR20010007814 U KR 20010007814U KR 200238399 Y1 KR200238399 Y1 KR 20023839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joint
- members
- assembling
- childre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 놀이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판재형상 등으로 된 조립부재가 수개 연결, 조립되어 일종의 벽(Wall)을 구성함으로서 내부에 놀이공간을 형성하는 어린이 놀이집에 있어서, 조립부재를 상호 연결, 조립하는 조립장치(Jointer)의 구성에 관한 것인 바,
조립부재(2,2')를 수개 연결, 조립하여 내부에 놀이공간을 형성하는 어린이 놀이집(1)의 조립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립부재(2,2') 양측에 결합봉(5)이 형성된 결합공(6)으로 이루어진 조립부(4)와, 조립부(4)의 결합공(6)을 통해 결합봉(5)에 결합되는 조인트(3)로 구성되며, 상기 조인트(3)는, 분할형성되고 조립공(8)과 암나사공(9)이 각각 형성되어 조립볼트(7)로서 분리결합되며, 양측에 조립부재(2,2')의 결합봉(5)이 삽입결합되는 고정공(10,10')이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서
놀이집을 구성하는 조립부재(2,2')의 조립작업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행할 수 도록 하는 등의 잇점과 효과를 도모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어린이 놀이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판재형상 등으로 된 조립부재가 수개 연결, 조립되어 일종의 벽(Wall)을 구성함으로서 내부에 놀이공간을 형성하는 어린이 놀이집에 있어서, 조립부재를 상호 연결, 조립하는 조립장치(Jointer)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벽을 이루는 조립부재를 수개 연결하여 내부에 놀이공간이 형성된 흡사 집(House)과 같이 구성함으로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고안된 놀이집은 각 조립부재가 분리, 결합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놀이집을 구성하는 조립부재의 조립장치(Jointer)는 다양한 수단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은 놀이집의 조립구성 및 그 사용성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므로 이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놀이집은 도시한 일례(도 1참고)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상과 디자인으로 이루어지는 판형(板形)의 조립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내부에 놀이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놀이공간내에 장난감이나 공(Ball)을 넣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하게 되는 바, 이러한 놀이집은 벽체로 기능하는 조립부재가 분리, 조립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임의 형상으로 조립부재를 서로 연결, 조립함으로서 내부에 놀이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조인트는 조립부재를 상호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시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기존의 이와 같은 조립부재의 조립장치는 조립부재 상호간에 암수의 끼움조립수단을 구비한 것 등이 대부분인 바, 이는 조립 및 분리 작업이 용이치 못한 것이었고, 사용중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해 충분히 대비할 수 없는 것이었다.
즉, 놀이도중 조립부재를 밀고 당기거나 몸으로 밀치게 될 경우 조립부재간의 조립정도가 견고하지 못하여 조립부가 유동되거나 또는 변형 및 분리되어 주 사용자인 어린이의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높았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조립구성으로 놀이집을 구성하는 조립부재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하며, 또한 연결상태인 조립부재의 조립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조립부재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서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해소코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놀이집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요부 발췌 단면도
도 3a는 도 2의 결합상태 요부 발췌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5의 결합상태 요부 발췌 단면도
도 5a은 도 5의 결합상태 요부 발췌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 요부 발췌 단면도
도 7a은 도 6의 결합상태 요부 발췌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놀이집 2,2';조립부재
3;조인트 4;조립부
5;결합봉 6;결합공
7;조립볼트 8;조립공
9;암나사공 10,10';고정공
11;체결돌조 12;결합봉
12a,12a';걸림돌조 13,13';고정공
13a,13a';걸림홈 14;결합봉
14a;다각면봉 15,15';고정공
15a,15a';다각면부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놀이집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3, 3a는 도 2의 결합상태 요부 발췌 단면도 및 정면도로서,
대략 어린이의 키 높이보다 다소 낮은 규격(높이) 등으로 벽을 이루게 되는 판형의 조립부재(2,2')가 조인트(3)로서 수개 연결, 조립되어 내부에 놀이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어린이 놀이집(1)에 있어서, 본 고안은 각 조립부재(2,2')간의 상호 이웃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조립부재(2,2')를 상호 연결, 조립하는 조인트(3)의 구성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립부재(2,2')는 대략 판형 등으로 이루어지며, 조립부재(2,2')의 양단, 즉 각 조립부재(2,2')의 양측에는 이웃하는 조립부재(2,2')와 조인트(3)로서 결합하여 서로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부(4)가 형성된다.
상기 조립부(4)는 조립부재(2,2') 양측 끝단에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조립부(4)와 조인트(3)로서 결합되어 양 조립부재(2,2')가 상호 연결, 조립된다.
상기 조립부재(2,2')의 각 조립부(4)는 대략 원형으로 결합봉(5)이 형성된 결합공(6)이 형성되어 여기에 조인트(3)가 결합된다.
조인트(3)는 양분할 형성되어 조립볼트(7)에 의해 상호 조립, 결합되는 바, 일측에는 조립볼트(7)가 삽입되는 조립공(8)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조립공(8)을 통해 삽입된 조립볼트(7)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공(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조립공(7) 양측에는 이웃하는 조립부재(2,2')의 각 조립부(4)에 형성된 결합봉(5)을 삽입시켜 결합하는 고정공(10,10')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조립볼트(7)의 머리부(7a)에는 조립볼트(7)를 손으로 잡고 조립공(8)을 통해 암나사공(9)에 나사체결할 수 있도록 노브(Knob)(7b)가 형성되며, 조립공(8)과 조립볼트(7)의 머리부(7a)에는 각각 체결돌조(11)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 맞물림결합됨으로서 조립공(8)을 통해 암나사공(9)에 나사체결되는 조립볼트(7)가 높은 체결강도로 결합되게 하고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한편, 도 4, 5, 5a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조립부(4)의 결합봉(12)이 삽입되는 조인트(3)의 양 고정공(13,13')에 걸림홈(14,14')을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조립부재(2,2')의 조립봉(12)에는 여기에 대응하는 걸림돌조(12a,12a')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토록 함으로서 조인트(3)의 양측 고정공(13,13')을 통해 결합된 양측 조립부재(2,2')가 조인트(3)의 고정공(13,13')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한 것이다.
즉, 도 5, 5a와 같이 양 조립부재(2,2')의 조립부(4)에 형성된 결합봉(12)과 조인트(3)의 고정공(13,13')이 걸림홈(14,14')과 걸림돌조(12a,12a')로서 치차(Gear)형태로 서로 맞물림결합되게 함으로서 조인트(3)를 중심으로 양측에 결합된 각 조립부재(2,2')가 조인트(3)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게 함으로서 조인트(3)의 양측 고정공(13,13')에 결합된 양 조립부재(2,2')가 조인트(3)를 중심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조립각도(θ)를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예에 있어서는 조인트(3)를 중심으로 한 양측 조립부재(2,2')의 조립각도(θ)를 바꾸고자 할 시에는 조립볼트(7)를 조립공(8)으로부터 풀어내어 다음다시 양측 조립부재(2,2')를 조인트(3)를 중심으로 원하는 조립각도(θ)로 맞춘다음 조립볼트(7)를 체결하여 결합봉(12)의 걸림돌조(12a,12a')와 조인트(3) 고정공(13,13')의 걸림홈(13a,13a')이 상호 맞물리게 결합하여 원하는 조립각도(θ)로서 조립하여 결합하게 된다.
또, 도 6, 7, 7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조인트(3)의 양 고정공(15,15')의 내주면에 십각 또는 십이각 등의 다각면(多角面)부(14a)를 형성하고 조립부재(2,2')의 결합봉(14)은 여기에 부합하는 다각면봉(14a)으로 형성함으로서 조인트(3)를 중심으로 한 양측 조립부재(2,2')의 조립각도(θ)가 고정된 상태로 조립되게 한다.
상기에서 고정공(15,15')과 결합봉(14)은 정다각형의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조인트(3)를 중심으로 한 양 조립부재(2,2')간의 조립각도(θ)를 다양한 각도로 설정하여 조립, 연결하는 데 바람직할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는 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어린이 놀이집(1)을 구성하는 조립부재(2,2')간의 연결, 조립작업에 있어서, 조립작업의 간편성과 견고성을 도모하는 한편 조립부재(2,2')간의 조립각도(θ)가 고정되어 조립상태의 조립부재(2,2')가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서 이로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우려를 방지하는 등의 잇점을 도모케 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놀이집(1)을 구성하기 위해 수개의 조립부재(2,2')를 상호 연결, 조립할 시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분리된 조인트(3)의 각 고정공(10,10')에 조립하고자 하는 각 조립부재(2,2')의 조립부(4)에 형성된 결합공(5)을 통해 결합봉(5)이 삽입,결합되도록 이들을 맞대어 결합한 다음 조립공(8)을 통해 조립볼트(7)를 암나사공(9)으로 나사체결하여 조립,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조인트(3)의 양측 고정공(10,10')에 결합봉(5)이 삽입, 결합된 조립부재(2,2')는 조인트(3)를 중심으로하여 양측으로 연결, 조립된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조립부재(2,2')의 양 조립부(4)에 형성된 결합봉(5)을 조인트(3)의 고정공(10,10')에 삽입, 결합하고 조립볼트(7)로서 체결하여주면 이들의 조립작업이 간단히 마무리되어 동일 방법으로 수개의 조립부재(2,2')를 연결함으로서 도 1의 일례와 같은 여러 형태의 놀이집(1)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진 놀이집(1)은 조립부재(2,2')의 결합공(5)과 조인트(3)의 고정공(10,10')에 결합봉(5)이 결합되어 조인트(3)의 고정공(10,10')을 중심으로 양측 조립부재(2,2')가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조립각도(θ)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간의 조립각도(θ)가 변화되어 이들 조립부재(2,2') 사이로 손 등이 끼여 다칠 우려도 예상할 수 있으며, 드물게는 과도한 조립각도(θ)의 변화(예를 들면 조립부재(2,2')가 조인트(3)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는 등의 움직임 형태 등)로 내측 놀이공간에 있던 어린이가 이들 조립부재(2,2')에 받치거나 압박받을 염려 역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도 4, 5, 5a 및 도 6, 7, 7a는 전술한 문제발생 소지를 해결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4, 5, 5a와 같이 조립부재(2,2')의 결합봉(12)에 걸림돌조(12a,12a')를 형성하고 조인트(3)의 고정공(13,13')에 걸림홈(13a,13a')을 형성하여 상호 맞물림결합되게 하거나 도 6, 7, 7a와 같이 조립부재(2,2')의 결합봉(14)과 고정공(15,15')을 상호 부합되는 다각면부(14a)와 다각면봉(15a)으로 형성하여 주게 되면 조인트(3)의 고정공(15,15')에 조립부재(2,2')가 고정상태로 결합됨으로서 조립부재(2,2')가 조인트(3)를 중심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됨으로서 전술한 안전사고의 발생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조인트(3)를 중심으로 조립부재(2,2')의 조립각도(θ)를 바꾸고자 할 시에는 조인트(3)의 조립볼트(7)를 풀어서 상호간 조립각도(θ)를 다시 설정한 다음 조인트(3)의 고정공(13,13'),(15,15')을 결합봉(12),(14)에 재결합해 주면 조인트(3)의 고정공(13,13'),(15,15')에 삽입된 결합봉(12),(14)이 움직이지 않게 됨으로서 조립부재(2,2')가 조인트(3)에 고정되어 상호간 조립각도(θ)가 유지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놀이집(1)을 구성함에 있어서, 놀이집(1)을 형성하는 조립부재(2,2') 상호간의 조립작업을 위한 조인트(3)의 조립작업 간편화와 함께 견고한 조립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조립부재(2,2') 상호간의 조립각도(θ)가 고정상태로 있게 되어 조인트(3)에 의해 연결된 조립부재(2,2')의 조립각도(θ)가 조인트(3)에 고정됨으로서 조인트(3)를 중심으로 양 조립부재(2,2')가 유동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우려 등을 방지하여 사용안전성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등의 여러 잇점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 조립부재(2,2')를 수개 연결, 조립하여 내부에 놀이공간을 형성하는 어린이 놀이집(1)의 조립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조립부재(2,2') 양측에 결합봉(5)이 형성된 결합공(6)으로 이루어진 조립부(4)와, 조립부(4)의 결합공(6)을 통해 결합봉(5)에 결합되는 조인트(3)로 구성되며,상기 조인트(3)는, 분할형성되고 조립공(8)과 암나사공(9)이 각각 형성되어 조립볼트(7)로서 분리결합되며, 양측에 조립부재(2,2')의 결합봉(5)이 삽입결합되는 고정공(10,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놀이집의 조립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조인트(3)의 고정공(13,13')에 등간격의 걸림홈(13a,13a')이 형성되고, 조립부(4)의 결합봉(12)에는 상기 고정공(13,13')의 걸림홈(13a,13a')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조(12a,1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놀이집의 조립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조인트(3)의 고정공(15,15')에 다각면부(15a)가 형성되고, 조립부(4)의 결합봉(14)에는 상기 고정공(15,15')의 다각면부(15a)에 부합되는 다각면봉(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놀이집의 조립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7814U KR200238399Y1 (ko) | 2001-03-21 | 2001-03-21 | 어린이 놀이집의 조립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7814U KR200238399Y1 (ko) | 2001-03-21 | 2001-03-21 | 어린이 놀이집의 조립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38399Y1 true KR200238399Y1 (ko) | 2001-10-08 |
Family
ID=7306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07814U KR200238399Y1 (ko) | 2001-03-21 | 2001-03-21 | 어린이 놀이집의 조립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8399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1740U (ko) | 2017-12-29 | 2019-07-09 | 김영식 | 어린이 놀이집 |
KR200490303Y1 (ko) | 2018-05-23 | 2019-10-24 | 주식회사 야야 | 베이비룸 이중 잠금장치 |
KR200491397Y1 (ko) | 2018-11-20 | 2020-04-01 | 주식회사 야야 | 어린이 놀이집 |
KR102153940B1 (ko) | 2019-09-24 | 2020-09-09 | 주식회사 야야 |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
-
2001
- 2001-03-21 KR KR2020010007814U patent/KR20023839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1740U (ko) | 2017-12-29 | 2019-07-09 | 김영식 | 어린이 놀이집 |
KR200490303Y1 (ko) | 2018-05-23 | 2019-10-24 | 주식회사 야야 | 베이비룸 이중 잠금장치 |
KR200491397Y1 (ko) | 2018-11-20 | 2020-04-01 | 주식회사 야야 | 어린이 놀이집 |
KR102153940B1 (ko) | 2019-09-24 | 2020-09-09 | 주식회사 야야 |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7424B1 (ko) | 조립 완구 구성물 | |
CA1178445A (en) | Connecting member | |
US4819402A (en) | Structural element for constructional systems | |
RU2363512C2 (ru) | Блок игрушечного конструктора | |
US20070077854A1 (en) | Sectional three-dimensional model | |
JP2006345949A (ja) | 組立式ジャングルジム | |
JP3234664U (ja) | ダンベルおよびトレーニング用器具 | |
KR200238399Y1 (ko) | 어린이 놀이집의 조립장치 | |
CN113973499B (zh) | 6路连接器模块 | |
US20130313823A1 (en) | Coupling Arrangement | |
TWM530359U (zh) | 板體連接器 | |
KR20160128798A (ko) | 조립용 교구 | |
KR200489966Y1 (ko) | 어린이 놀이집 | |
KR101324698B1 (ko) | 레고블록들간의 결합 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레고블록용 연결장치, 및 이를 채용한 레고블록과 레고블록 세트 | |
KR200232691Y1 (ko) | 짜맞추어 울타리를 조성할 수 있는 유니트 | |
KR101015569B1 (ko) | 다기능 연결구 | |
JP7506067B2 (ja) | モデル構築セット | |
KR100616320B1 (ko) | 26방향 연결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 | |
KR200246158Y1 (ko) | 장난감 정리함 | |
GB2433302A (en) | Connector | |
WO2008087382A2 (en) | Blocks for making model structures | |
JP2009068310A (ja) | ほぞロッド及びほぞジョイント | |
RU2795717C1 (ru) | Конструктор | |
JP2008014133A (ja) | 管継手 | |
JPH0727354Y2 (ja) | 組子の連結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70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