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725A -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725A
KR20170106725A KR1020160030171A KR20160030171A KR20170106725A KR 20170106725 A KR20170106725 A KR 20170106725A KR 1020160030171 A KR1020160030171 A KR 1020160030171A KR 20160030171 A KR20160030171 A KR 20160030171A KR 20170106725 A KR20170106725 A KR 20170106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er
joint
frame structure
angl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혁
Original Assignee
박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혁 filed Critical 박상혁
Priority to KR102016003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6725A/ko
Publication of KR20170106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4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는 두 개의 평판의 일측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어 단면이 ㄱ자 형태이고, 상기 평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앵글관통공(110)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앵글(100); 상기 앵글(100) 두 개를 결합하여 형성되고, 단면의 형상이 ㅁ자 형태인 필러(200); 육면체 형태의 뭉치부(310) 및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앵글(100)과 체결되거나 상기 필러(200)에 삽입되는 체결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뭉치부(310) 및 상기 체결부(320)의 각 면의 중심에 체결용 홈(330)이 형성되는 조인트(300); 상부지름이 하부 지름보다 길도록 경사진 형태의 복수 개의 패널관통공(410)이 형성된 패널(400); 및 상기 앵글(100), 상기 필러(200), 상기 조인트(300) 또는 상기 패널(400) 중 어느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용 부재(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ㅁ자 형태의 필러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재질 가구의 기둥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OF PLATFORM TOY FURNITURE FOR CHILDREN}
본 발명은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앵글, 필러, 조인트 등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가구를 창의적으로 설계하도록 유도하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5년간 블록완구와 비디오게임의 연도별 상대매출 구성비를 비교한 결과 올해 비디오게임 매출 구성은 37.8%인 반면, 블록완구는 62.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완구시장은 약 1조 원으로, 2003년 말 이후 뽀로로, 로보카 폴리 등 국산 캐릭터 성공으로 국산브랜드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 완구사장을 레고 등 수입 완구가 90%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입완구는 1990년 이후 꾸준히 성장하여, 2012년 4억 7,000만 달러 규모에 달하고 있다.
또한, 저출산 시대에 따라 자녀 수는 줄지만 하나뿐인 아이들을 위한 제품에 지출을 아끼지 않는 부모의 심리에 따라 어린이용 가구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가구업계 자료를 종합하면 2014년 국내 어린이용 가구 시장은 미취학 아동까지를 기준으로 2000억~3000억 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이 시장은 해마다 전년대비 3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별도로, 홈 인테리어를 스스로 바꾸는 소비자인 모디슈머가 대두하는 등, 홈 인테리어에 대한 수요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은 추세에 비추어, 변형 가능한 조립식 아동 가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내구성 및 강도가 강한 금속제 가구를 고려할 수 있으나, 금속제 가구는 무게가 무거우므로 아동이 직접 조립하기 어렵고, 조립시 부상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게가 가볍고 조립이 용이한 플라스틱 재질의 경우에는, 얇은 두께의 경우에는 강도가 떨어지므로 가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우며, 두꺼운 두께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조립이 어려우므로, 가구의 재질로써 부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5826호 (2015.2.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플라스틱 앵글을 결합하여, ㅁ자 형태의 필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는 두 개의 평판 중 어느 하나의 평판의 변의 일측이 다른 하나의 평판의 변의 일측과 서로 수직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단면의 형태가 ㄱ자 형태이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앵글관통공(110)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앵글(100); 상기 앵글(100) 두 개를 결합하여 형성되고, 단면의 형상이 ㅁ자 형태인 필러(200); 육면체 형태의 뭉치부(310) 및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앵글(100)과 체결되거나 상기 필러(200)에 삽입되는 체결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뭉치부(310) 및 상기 체결부(320)의 각 면의 중심에 체결용 홈(330)이 형성되는 조인트(300); 상기 필러(200) 및 상기 조인트(300)가 결합된 프레임 구조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패널(400); 및 상기 앵글(100), 상기 필러(200), 상기 조인트(300) 또는 상기 패널(400) 중 어느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용 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는 상기 체결용 부재(500)를 이용하여 상기 앵글(100), 상기 필러(200), 상기 조인트(300) 또는 상기 패널(400) 중 어느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서로 체결하는 링커(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용 부재(500)는 볼트(510) 및 너트(520)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510)는 머리가 테이퍼 진 삼각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커(600)는 중심선을 따라 l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 l자형 평판인 l자형 링커(601); 중심선을 따라 ㅗ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상기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 ㅗ자형 평판인 ㅗ자형 링커(602); 두 개의 평판의 일측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고, 단면이 ㄱ자 형태이며, 상기 평판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상기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 ㄱ자형 링커(603); 세 개의 평판의 일측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고, 단면이 ㄷ자 형태이며, 상기 평판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상기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 ㄷ자형 링커(604); 또는 상기 ㄱ자형 링커(603)의 두 개의 평판에 수직하도록 부채꼴 형태의 수직판이 결합되고, 상기 평판 및 상기 수직판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상기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 3면 링커(60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300)는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2개의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되는 제 1 조인트(301);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3개의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되는 제 2 조인트(302);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4개의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되는 제 3 조인트(303);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5개의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되는 제 4 조인트(304); 또는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모든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되는 제 5 조인트(30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글(100)은 상기 두 개의 평판 중 어느 하나의 평판의 변의 타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홈(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글(100)은 상기 두 개의 평판 중 다른 하나의 평판의 변의 타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기 홈(120)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돌기(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130)는 상기 돌기(130)의 측면 중 길이방향에 수직한 측면에서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31); 및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형성된 탄성홈(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120)은 상기 결합돌기(131)가 삽입되도록 상기 홈(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글(100)은 상기 두 개의 평판의 변의 타측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계단구조(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400)은 상부지름이 하부 지름보다 길도록 경사진 형태의 복수 개의 패널관통공(410); 및 상기 패널(400)의 하면에서 상기 패널(400)의 상면을 향해 형성된 경량화홈(420);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글(100), 상기 조인트(300), 상기 패널(400) 및 상기 체결용 부재(500)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ㅁ자 형태의 필러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재질 가구의 기둥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게가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의 가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아동의 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앵글, 필러, 조인트 등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가구를 창의적으로 설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가구를 완성한 이후에도, 필요에 따라 분해하여 다른 종류의 가구로 재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앵글 및 필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조인트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링커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패널과 필러의 조립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앵글, 필러, 조인트의 조립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조립된 아동용 침대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조립된 아동용 의자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조립된 아동용 책장의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서 앵글 및 필러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패널의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앵글 및 필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조인트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링커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패널과 필러의 조립상태의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앵글, 필러, 조인트의 조립상태의 예시도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서 앵글 및 필러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는 앵글(100), 필러(200), 조인트(300), 패널(400), 체결용 부재(500), 링커(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앵글(100) 및 상기 조인트(300)의 재질은 플라스틱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앵글(100)은 두 개의 평판 중 어느 하나의 평판의 변의 일측이 다른 하나의 평판의 변의 일측과 서로 수직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단면의 형태가 ㄱ자 형태이다. 또한, 상기 앵글(10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두 개의 평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앵글관통공(110)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앵글(100)은 상기 두 개의 평판 중 어느 하나의 평판의 변의 타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홈(120) 및 상기 두 개의 평판 중 다른 하나의 평판의 변의 타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기 홈(120)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돌기(130)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에에서는, 상기 제 1 실시 예의 상기 돌기(130)가 상기 돌기(130)의 측면 중 길이방향에 수직한 측면에서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31) 및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형성된 탄성홈(1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홈(120)이 상기 결합돌기(131)가 삽입되도록 상기 홈(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21)을 포함한다.
즉, 두 개의 앵글(100)이 결합되어 필러(200)를 형성할 때, 어느 하나의 앵글(100)의 홈(120)에 다른 하나의 앵글(100)의 돌기(130)가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탄성홈(132)에 의해 상기 돌기(130)가 탄성변형하여 용이하게 홈(120) 내부로 삽입되고, 이때 상기 결합홈(121) 내부로 결합돌기(131)가 삽입되어, 두 개의 앵글(100)을 서로 체결하는 것이다. 또한, 필러(200)를 분리할 때는 상기 결합홈(121)에서 상기 결합돌기(131)가 분리되고, 상기 홈(120)에서 상기 돌기(130)가 분리되어, 두 개의 앵글(100)로 분리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서는, 상기 앵글(100)이 상기 두 개의 평판의 변의 타측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계단구조(1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앵글(100)을 결합하여 필러(200)를 형성할 때, 두 개의 앵글(100)이 체결용 부재(500)에 의해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서, 상기 앵글(100)은 상기 두 개의 평판 중 어느 하나의 평판의 타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평판 중 다른 하나의 평판의 타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기 홈(120)에 맞물리는 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때, 상기 앵글(100)의 두께는 5mm이고, 상기 앵글(100)의 폭은 45mm이고, 상기 앵글(100)의 길이는 150, 300, 450mm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홈(120)의 길이, 상기 돌기(130)의 길이 및 상기 기설정된 간격은 50mm이고, 상기 홈(120)의 폭 및 상기 돌기(130)의 높이는 5mm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앵글관통공(110)에는 상기 체결용 부재(500), 특히 볼트(510)가 관통하여 너트(52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앵글(100)을 필러(200), 조인트(300) 등의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시키게 된다.
필러(200)는 상기 앵글(100) 두 개를 결합하여 형성되고, 단면의 형상이 ㅁ자 형태가 된다. 즉, 상기 앵글(100) 두 개 중 어느 하나의 홈(120)에 다른 하나의 돌기(130)가 삽입되도록 조립하여, 상기 앵글(100) 두 개를 결합하는 것이다(도 1 참조).
이에 따라, 앵글(100)의 재질이 플라스틱인 경우에도, 상기 앵글(100) 두 개를 결합하여 필러(200)를 형성하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러(200)는 상기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에서 기둥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필러(200)의 외부 폭은 50mm이고, 내부 폭은 40mm이며, 길이는 450mm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조인트(300)는 뭉치부(310), 체결부(320) 및 체결용 홈(330)을 포함한다. 뭉치부(310)는 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체결부(320)는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앵글(100)과 체결되거나 상기 필러(200)에 삽입된다(도 5 참조). 체결용 홈(330)은 상기 뭉치부(310) 및 상기 체결부(320)의 각 면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용 홈(30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510)와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뭉치부(310)의 한 변의 길이는 50mm이고, 상기 체결부(320)의 한 변의 길이는 40mm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조인트(300)는 제 1 조인트(301), 제 2 조인트(302), 제 3 조인트(303), 제 4 조인트(304) 또는 제 5 조인트(30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제 1 조인트(301)는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2개의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된 형태이고, 제 2 조인트(302)는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3개의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된 형태이다. 제 3 조인트(303)는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4개의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된 형태이고, 제 4 조인트(304)는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5개의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된 형태이며, 제 5 조인트(305)는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모든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된 형태이다.
패널(400)은 상기 필러(200) 및 상기 조인트(300)가 결합된 프레임 구조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써, 패널관통공(410) 및 경량화홈(420)을 포함한다. 이때, 패널관통공(410)은 상부지름이 하부 지름보다 길도록 경사진 형태로써,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량화홈(420)은 상기 패널(400)의 하면에서 상기 패널(400)의 상면을 향해 형성된다.
앵글(100) 또는 필러(200)에 패널(400)을 연결하는 경우는 대부분 패널이 마감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볼트(510)의 머리 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패널(400)에 상기와 같은 형태의 패널관통공(410)을 형성하고, 볼트(510)는 머리가 테이퍼 진 삼각볼트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도 4 참조).
또한, 상기 패널(400)의 두께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의 강도를 고려하여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강도를 높이기 위해 두꺼운 두께를 채택해야 할 경우에는 상기 패널(400)의 무게를 줄이고, 상기 패널(400)의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경량화홈(4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체결용 부재(500)는 상기 앵글(100), 상기 필러(200), 상기 조인트(300) 또는 상기 패널(400) 중 어느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서로 체결하는 역할을 하며, 볼트(510) 및 너트(52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볼트(510)는 머리가 테이퍼 진 삼각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용 부재(500)는 볼트(510) 및 너트(520)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구성요소를 체결할 수 있는 리벳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링커(600)는 상기 체결용 부재(500)를 이용하여 상기 앵글(100), 상기 필러(200), 상기 조인트(300) 또는 상기 패널(400) 중 어느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서로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링커(600)는 l자형 링커(601), ㅗ자형 링커(602), ㄱ자형 링커(603), ㄷ자형 링커(604) 또는 3면 링커(60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l자형 링커(601)는 중심선을 따라 l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 l자형 평판이다. ㅗ자형 링커(602)는 중심선을 따라 ㅗ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상기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 ㅗ자형 평판이다.
ㄱ자형 링커(603)는 두 개의 평판의 일측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고, 단면이 ㄱ자 형태이며, 상기 평판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상기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다. ㄷ자형 링커(604)는 세 개의 평판의 일측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고, 단면이 ㄷ자 형태이며, 상기 평판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상기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다.
또한, 3면 링커(605)는 상기 ㄱ자형 링커(603)의 두 개의 평판에 수직하도록 부채꼴 형태의 수직판이 결합되고, 상기 평판 및 상기 수직판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상기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조립된 아동용 침대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95개의 필러(200), 17개의 303, 8개의 제 2 조인트(302), 8개의 제 3 조인트(303), 9개의 제 4 조인트(304), 1개의 제 5 조인트(305)의 조립에 의해 아동용 침대의 프레임 구조가 형성된다(일부 구성요소 미도시).
또한, 상기 아동용 침대의 프레임 구조에서, 중단의 필러(200) 상면에 복수 개의 패널(400)을 결합하고, 상단 측면의 필러(200)의 내면 및 외면에 또 다른 복수 개의 패널(400)을 결합함으로써, 아동용 침대의 프레임 구조를 완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아동용 침대를 조립하는 동안에는 아동용 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완성 후에는 상기 패널(400) 위에 매트리스 등을 설치하여 아동용 가구 및 홈 인테리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조립된 아동용 의자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11개의 필러(200), 2개의 제 1 조인트(301), 4개의 제 2 조인트(302)의 조립에 의해 아동용 의자의 프레임 구조가 형성된다(일부 구성요소 미도시).
또한, 상기 아동용 의자의 프레임 구조에서, 중단의 필러(200) 상면에 복수 개의 패널(400)을 결합함으로써, 아동용 의자의 프레임 구조를 완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아동용 의자를 조립하는 동안에는 아동용 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완성 후에는 상기 패널(400) 위에 방석 등을 설치하여 아동용 가구 및 홈 인테리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조립된 아동용 책장의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39개의 필러(200), 4개의 제 2 조인트(302), 10개의 제 3 조인트(303), 4개의 제 4 조인트(304)의 조립에 의해 아동용 책장의 프레임 구조가 형성된다(일부 구성요소 미도시).
또한, 상기 아동용 책장의 프레임 구조에서, 상단, 중단 및 하단의 필러(200) 상면에 복수 개의 패널(400)을 결합함으로써, 아동용 책장의 프레임 구조를 완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아동용 책장을 조립하는 동안에는 아동용 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완성 후에는 아동용 가구 및 홈 인테리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면, 상기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아동용 침대, 아동용 의자 및 아동용 책장뿐만 아니라 무궁무진한 아동용 가구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아동용 완구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글(100) 및 상기 조인트(300)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므로 다양한 색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완성 후에는 아동용 가구 및 홈 인테리어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앵글
110 앵글관통공
120 홈
121 결합홈
130 돌기
131 결합돌기
132 탄성홈
200 필러
300 조인트
301 제 1 조인트
302 제 2 조인트
303 제 3 조인트
304 제 4 조인트
305 제 5 조인트
310 뭉치부
320 체결부
330 체결용 홈
400 패널
410 패널관통공
420 경량화홈
500 체결용 부재
600 링커
610 링커관통공
601 l자형 링커
602 ㅗ자형 링커
603 ㄱ자형 링커
604 ㄷ자형 링커
605 3면 링커

Claims (12)

  1. 두 개의 평판 중 어느 하나의 평판의 변의 일측이 다른 하나의 평판의 변의 일측과 서로 수직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단면의 형태가 ㄱ자 형태이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앵글관통공(110)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앵글(100);
    상기 앵글(100) 두 개를 결합하여 형성되고, 단면의 형상이 ㅁ자 형태인 필러(200);
    육면체 형태의 뭉치부(310) 및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앵글(100)과 체결되거나 상기 필러(200)에 삽입되는 체결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뭉치부(310) 및 상기 체결부(320)의 각 면의 중심에 체결용 홈(330)이 형성되는 조인트(300);
    상기 필러(200) 및 상기 조인트(300)가 결합된 프레임 구조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패널(400); 및
    상기 앵글(100), 상기 필러(200), 상기 조인트(300) 또는 상기 패널(400) 중 어느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용 부재(500);
    를 포함하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부재(500)를 이용하여 상기 앵글(100), 상기 필러(200), 상기 조인트(300) 또는 상기 패널(400) 중 어느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서로 체결하는 링커(6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부재(500)는 볼트(510) 및 너트(520)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510)는 머리가 테이퍼 진 삼각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600)는
    중심선을 따라 l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 l자형 평판인 l자형 링커(601);
    중심선을 따라 ㅗ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상기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 ㅗ자형 평판인 ㅗ자형 링커(602);
    두 개의 평판의 일측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고, 단면이 ㄱ자 형태이며, 상기 평판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상기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 ㄱ자형 링커(603);
    세 개의 평판의 일측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고, 단면이 ㄷ자 형태이며, 상기 평판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상기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 ㄷ자형 링커(604); 또는
    상기 ㄱ자형 링커(603)의 두 개의 평판에 수직하도록 부채꼴 형태의 수직판이 결합되고, 상기 평판 및 상기 수직판에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상기 링커관통공(610)이 형성된 3면 링커(60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300)는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2개의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되는 제 1 조인트(301);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3개의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되는 제 2 조인트(302);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4개의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되는 제 3 조인트(303);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어느 5개의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되는 제 4 조인트(304); 또는
    상기 뭉치부(310)의 육면 중 모든 면에서 상기 체결부(320)가 돌출형성되는 제 5 조인트(30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100)은
    상기 두 개의 평판 중 어느 하나의 평판의 변의 타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홈(1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100)은
    상기 두 개의 평판 중 다른 하나의 평판의 변의 타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기 홈(120)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돌기(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30)는
    상기 돌기(130)의 측면 중 길이방향에 수직한 측면에서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31); 및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형성된 탄성홈(1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홈(120)은
    상기 결합돌기(131)가 삽입되도록 상기 홈(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100)은
    상기 두 개의 평판의 변의 타측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계단구조(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400)은
    상부지름이 하부 지름보다 길도록 경사진 형태의 복수 개의 패널관통공(410); 및
    상기 패널(400)의 하면에서 상기 패널(400)의 상면을 향해 형성된 경량화홈(420);
    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100), 상기 조인트(300), 상기 패널(400) 및 상기 체결용 부재(500)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KR1020160030171A 2016-03-14 2016-03-14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KR201701067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171A KR20170106725A (ko) 2016-03-14 2016-03-14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171A KR20170106725A (ko) 2016-03-14 2016-03-14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725A true KR20170106725A (ko) 2017-09-22

Family

ID=6003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171A KR20170106725A (ko) 2016-03-14 2016-03-14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67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6807A (zh) * 2018-05-10 2018-08-03 李鑫磊 一种模块化机器人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6807A (zh) * 2018-05-10 2018-08-03 李鑫磊 一种模块化机器人结构
CN108356807B (zh) * 2018-05-10 2023-09-01 李鑫磊 一种模块化机器人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7912B2 (en) Ready-to-assemble articles of furniture
KR101453493B1 (ko) 조립식 책상
US4940149A (en) Building assembly system
US20170258224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US9017134B1 (en) Assembly kit for creating three-dimensional formations, especially toy structures from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blocks
KR20170106725A (ko) 아동용 플랫폼 장난감 가구의 프레임 구조
US1257389A (en) Toy furniture.
KR20160003169U (ko) 퍼즐 매트
KR200489966Y1 (ko) 어린이 놀이집
KR20120086600A (ko) 가구 판재 조립용 체결너트구
KR200440648Y1 (ko) 유아용 조립식 매트
KR20140028686A (ko) 조립식 가구 세트
KR101746123B1 (ko) 반려 동물용 놀이 기구
KR200469966Y1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102249215B1 (ko) 놀이용 인디언 텐트
KR20110101739A (ko)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KR200474399Y1 (ko) 의자용 조립 키트
CA2472500A1 (en) Convertible bed having components serving multiple functions
KR101348225B1 (ko) 가구용 모서리 연결구
KR20160118520A (ko) 자석완구
KR200480841Y1 (ko) 조립식 플레이 텐트
JP3117060U (ja) 組立家具
KR200487267Y1 (ko) 조립식 다용도 걸이
JPH0380114U (ko)
KR101719784B1 (ko) 블록 조립식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