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41Y1 - 조립식 플레이 텐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플레이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841Y1
KR200480841Y1 KR2020150002790U KR20150002790U KR200480841Y1 KR 200480841 Y1 KR200480841 Y1 KR 200480841Y1 KR 2020150002790 U KR2020150002790 U KR 2020150002790U KR 20150002790 U KR20150002790 U KR 20150002790U KR 200480841 Y1 KR200480841 Y1 KR 200480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late
coupling
connection por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형
신강욱
Original Assignee
김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형 filed Critical 김미형
Priority to KR2020150002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6Tents used as to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플레이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조립을 통해 간단하게 골격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는 조립식 플레이 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플레이 텐트는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의 텐트를 형성하는 골격프레임과, 상기 골격프레임에 고정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골격프레임은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세트와, 상기 제1 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점점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연결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제1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입되는 제2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홈과 제2 체결홈이 상호 끼워지는 형태로 체결된다.

Description

조립식 플레이 텐트{Play tent}
본 고안은 조립식 플레이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조립을 통해 간단하게 골격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는 조립식 플레이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기를 거쳐 보통 3세부터 아이들은 조그만 공간 내지는 구석진 곳에서 자신의 영역을 형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심리를 반영하여 공간을 형성하면서 다수의 볼을 쥐고 몸으로 눌러 감각기능을 익히게 하는 볼플 완구, 자신의 몸을 공간 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움막 형태의 간이 텐트 등이 유아 및 어린이들의 활동교구로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놀이용 텐트는 가옥형 또는 박스 형상을 취하고 있고, 대부분 천 재질로 제작되며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각 모서리의 내측에는 일정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의 지지폴이 내장되어 일반적인 텐트와 같이 박스 형태이거나 가옥형 형상으로 공간을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한 면에는 유아 및 어린이들이 드나들 수 있도록 슬라이드 파스너로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킬 수 있는 도어를 마련하고, 도어와 함께 각 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창문을 형성하여 소형의 집 형태를 연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텐트는 작은 공간을 형성하여 아이들이 이러한 공간 내로 드나들 수 있도록 한 점 이외에는 별다른 놀이를 할 수 없고 호기심을 자극하지 못하는 관계로 금방 싫증을 내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유아 및 어린이용 텐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디언들의 텐트 형태를 취하는 접이식 인디언 텐트가 등장하게 되었다. 인디언 텐트는 대략 오각뿔 형상을 취하며, 이러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목봉을 이용하여 뼈대를 만들고 천으로 뼈대를 감싸는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인디언 텐트는 복수개의 목봉이 텐트의 상단에서 모이면서 겹쳐져 상호 교차하면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외관상으로 보기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목봉은 대략 180cm 내외의 길이를 가지므로 인디언 텐트를 야외로 이동시킬 때 승용차로의 이동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인디언 텐트는 야외에서도 충분히 사용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이동의 불편함 때문에 집안에서만 사용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국내특허출원 제10-2006-0104360호 : 조립식 교육·완구용 놀이 집 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24756호 : 아동놀이기구나 동물우리로써 적합한 변형식 집 구조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간단하게 조립을 통해 골격프레임을 형성하여 이동이 편리하고, 손쉽게 조립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조립식 플레이 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플레이 텐트는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의 텐트를 형성하는 골격프레임과, 상기 골격프레임에 고정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골격프레임은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세트와, 상기 제1 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점점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연결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제1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입되는 제2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홈과 제2 체결홈이 상호 끼워지는 형태로 체결된다.
상기 제1 지지부재들과 제2 지지부재들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커버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체결공을 통해 상기 제1 지지부재 또는 제2 지지부재에 각각 체결할 수 있도록 고정끈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프레임 세트는 상호 이격된 지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지지부재와, 상기 각 제1 지지부재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마주보는 접합면이 상호 포개지도록 접합되어 상기 제1 연결부를 형성하는 제1, 제2 연결판과, 상기 제1, 제2 연결판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판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판과 제2 연결판은 상호 접합되었을 때의 두께가 상기 제1 지지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각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제1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프레임 세트는 상호 이격된 지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제2 지지부재와, 상기 각 제2 지지부재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마주보는 접합면이 상호 포개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2 연결부를 형성하는 제3, 제4 연결판과, 상기 제3, 제4 연결판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판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판 및 제4 연결판은 상호 접합되었을 때의 두께가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각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입된 제2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결판 및 제2 연결판과, 제3 연결판 및 제4 연결판은 양 단부에 상호 접합을 위해 접합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판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판 결합부는 제1, 제2 연결판 또는 제3, 제4 연결판이 상호 포개진 상태에서 각 연결판들에 형성된 판체결홀을 관통해 연장되도록 상기 판체결홀의 직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관통부재와, 상기 관통부재의 일측 단부에 상기 판체결홀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확장부재를 포함하는 체결핀과, 상기 연결판들을 관통한 후 노출된 관통부재의 타측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판체결홀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핀은 상기 커버부의 고정끈이 내부를 통해 상기 연결판들을 관통해 연장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플레이 텐트는 손쉽게 조립 또는 분리가 가능하므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견고한 내구성을 갖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플레이 텐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플레이 텐트의 분리사시도,
도 3은 제1 프레임세트와 제2 프레임세트가 상호 결합되는 골격프레임의 상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플레이 텐트의 각 부재들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플레이 텐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플레이 텐트(1)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조립식 플레이 텐트(1)는 골격프레임(100)과, 커버부(200)를 구비한다.
골격프레임(100)은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복수개의 부재들을 상호 연결하여 사각 뿔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것이다.
골격프레임(100)은 제1 프레임세트(110)와 제2 프레임세트(120)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세트(110)는 제1 연결부(111)와 두 개의 제1 지지부재(115)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연결부(111)는 대략 삼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단부는 만곡지게 라운드 처리가 되어 있으며, 양측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재(115)들이 각각 지면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부재(115)들은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이격거리가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1 프레임세트(110)와 후술하는 제2 프레임세트(120)에 의해 형성된 골격프레임(100)이 전체적으로 사각뿔 형태가 된다.
상기 제1 연결부(111)에는 중앙 상단에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있는 제1 체결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제2 프레임세트(12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111)는 상호 접합되는 제1 연결판(113)과 제2 연결판(114)으로 이루어진다.
제1 연결판(113)의 일측 단부는 두 개의 제1 지지부재(115) 중 일측 제1 지지부재(115)와 연결되어 있고, 제2 연결판(114)의 타측 단부는 두 개의 제1 지지부재(115) 중 타측 제1 지지부재(115)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연결판(113)과 제2 연결판(114)은 각각 제1 지지부재(115)의 절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연결판(113)과 제2 연결판(114)을 상호 접합하여 제1 연결부(111)를 형성하면 제1 연결부(111)의 두께는 제1 지지부재(115)들의 두께와 대응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지지부재(115)가 제1 연결판(113) 또는 제2 연결판(114)과 연결되는 연결부분에는 제1 지지부재(115)와 제1 연결판(113) 또는 제2 연결판(114)의 두께의 차이에 의한 단턱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연결판(113)과 연결되는 일측 제1 지지부재(115)의 단턱에는 제2 연결판(114)의 일측 단부가 지지되고, 제2 연결판(114)과 연결되는 타측 제1 지지부재(115)의 단턱에는 제1 연결판(113)의 타측 단부가 지지된다.
제1 연결판(113)과 제2 연결판(114)에는 양측 단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판체결홀(131)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판 결합부(140)를 통해 제1 연결판(113)과 제2 연결판(114)이 상호 결합된다.
상기 연결판 결합부(140)는 판체결홀(131)을 관통해 연장되는 관통부재(142)와 관통부재(14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확장부재(144)를 포함하는 체결핀(141)과, 상기 관통부재(142)의 타측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부재(145)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부재(142)는 판체결홀(131)의 직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내부에는 일측과 타측 단부를 관통하는 중공(1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부재(142)의 단부 외주면에는 고정부재(145)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부재(144)는 관통부재(14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관통부재(142)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된 원형 링의 형상을 갖는다. 확장부재(144)는 상기 판체결홀(131)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관통부재(142)가 판체결홀(131)을 통과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와 같이 반드시 원형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부재(145)도 확장부재(144)와 마찬가지로 판체결홀(131)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관통부재(142)와 결합되어 관통부재(142)가 판체결홀(13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제1 연결판(113)과 제2 연결판(114)을 결합하기 위해 상호 포개면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판체결홀(131)들이 상호 연통되어 전체적으로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핀(141)을 이 판체결홀(131)을 관통하도록 설치한다.
예를 들어 제1 연결판(113)의 후면과 제2 연결판(114)의 전면이 상호 접촉하도록 접합이 이루어지고, 체결핀(141)을 제1 연결판(113)의 전면을 통해 삽입하는 형태로 체결을 진행한다고 하면, 체결핀(141)의 관통부재(142)를 상기 제1 연결판(113)의 전면으로부터 제2 연결판(114)의 후면을 향해 관통되게 삽입하며, 상기 확장부재(144)가 제1 연결판(113)의 전면에 접촉하게 되면 관통부재(142)는 타측 단부가 상기 제2 연결판(114)의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고정부재(145)를 돌출된 관통부재(142)의 타측 단부에 고정한다.
이렇게 연결판 결합부(140)를 체결하면 포개진 제1 연결판(113)과 제2 연결판(114)은 관통부재(142)를 중심으로 양측에 확장부재(144)와 고정부재(145)가 제1, 제2 연결판(114)들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제2 프레임세트(120)는 제2 연결부(121)와 제2 연결부(1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재(125)를 구비하며, 제2 연결부(121)는 제3 연결판(123)과 제4 연결판(124)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세트(120)의 제2 연결부(121)는 제2 체결홈(122)이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제2 체결홈(122)의 형성 위치를 제외한 제2 프레임세트(120)의 나머지 구성은 제1 프레임세트(1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프레임세트(110)와 제2 프레임세트(120)는 제1 연결부(111)와 제2 연결부(121)의 체결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즉,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1 연결부(111)의 상부에 제2 연결부(121)를 제1 연결부(1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제1 체결홈(112)과 제2 체결홈(122)이 상호 끼워지도록 제2 연결부(121)를 제1 연결부(111)에 체결시킨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부(111)와 제2 연결부(121)를 상호 연결하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1 연결부(111)와 제2 연결부(121)의 상단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사각뿔 형태가 된다.
이렇게 골격프레임(100)이 형성되면 커버부(200)를 설치하여 텐트(1)를 완성할 수 있다.
커버부(200)는 천 소재로 형성되며 제1 지지부재(115)와 제2 지지부재(125)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4개가 마련된다. 그 중 두 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출입을 위한 절개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각 커버부(200)의 양측 에는 제1 지지부재(115) 및 제2 지지부재(125)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210)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세 개씩 형성되어 있는데, 제1 지지부재(115)와 제2 지지부재(125)에는 각각 하단부와 중간 부분에 고정끈(210)을 체결하기 위한 커버체결공(132)이 형성되어 있고, 최상단에 형성된 고정끈(210)은 상술한 연결판 결합부(140)의 관통부재(142)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143)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플레이 텐트(1)는 조립과 분리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모두 분리하면 매우 작은 부피로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어 운반 및 보관도 용이하다.
1; 조립식 플레이 텐트
100; 골격프레임
110; 제1 프레임세트
111; 제1 연결부 112; 제1 체결홈
113; 제1 연결판 114; 제2 연결판
115; 제1 지지부재
120; 제2 프레임세트
121; 제2 연결부 122; 제2 체결홈
123; 제3 연결판 124; 제4 연결판
125; 제2 지지부재
131; 판체결홀 132; 커버체결공
140; 연결판 결합부
141; 체결핀 142; 관통부재
143; 중공 144; 확장부재
145; 고정부재
200; 커버부
210; 고정끈 220; 절개부

Claims (4)

  1.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의 텐트를 형성하는 골격프레임과;
    상기 골격프레임에 고정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골격프레임은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세트와,
    상기 제1 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점점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연결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제1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입되는 제2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홈과 제2 체결홈이 상호 끼워지는 형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플레이 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들과 제2 지지부재들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커버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체결공을 통해 상기 제1 지지부재 또는 제2 지지부재에 각각 체결할 수 있도록 고정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플레이 텐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세트는 상호 이격된 지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지지부재와,
    상기 각 제1 지지부재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마주보는 접합면이 상호 포개지도록 접합되어 상기 제1 연결부를 형성하는 제1, 제2 연결판과,
    상기 제1, 제2 연결판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판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판과 제2 연결판은 상호 접합되었을 때의 두께가 상기 제1 지지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각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제1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프레임 세트는 상호 이격된 지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제2 지지부재와,
    상기 각 제2 지지부재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마주보는 접합면이 상호 포개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2 연결부를 형성하는 제3, 제4 연결판과,
    상기 제3, 제4 연결판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판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판 및 제4 연결판은 상호 접합되었을 때의 두께가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각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입된 제2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플레이 텐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판 및 제2 연결판과, 제3 연결판 및 제4 연결판은 양 단부에 상호 접합을 위해 접합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판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판 결합부는 제1, 제2 연결판 또는 제3, 제4 연결판이 상호 포개진 상태에서 각 연결판들에 형성된 판체결홀을 관통해 연장되도록 상기 판체결홀의 직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관통부재와, 상기 관통부재의 일측 단부에 상기 판체결홀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확장부재를 포함하는 체결핀과,
    상기 연결판들을 관통한 후 노출된 관통부재의 타측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판체결홀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핀은 상기 커버부의 고정끈이 내부를 통해 상기 연결판들을 관통해 연장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플레이 텐트.
KR2020150002790U 2015-04-29 2015-04-29 조립식 플레이 텐트 KR200480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790U KR200480841Y1 (ko) 2015-04-29 2015-04-29 조립식 플레이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790U KR200480841Y1 (ko) 2015-04-29 2015-04-29 조립식 플레이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841Y1 true KR200480841Y1 (ko) 2016-07-12

Family

ID=5649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790U KR200480841Y1 (ko) 2015-04-29 2015-04-29 조립식 플레이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694A (ko) * 2019-08-05 2021-02-17 이영주 놀이용 인디언 텐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4756A (ko) 1997-12-18 2001-03-26 그래햄 이. 테일러 단열 반응기 시스템에서 글리콜을 제조하는 방법
KR200250665Y1 (ko) * 2001-07-18 2001-11-17 라제건 텐트폴 연결구
KR20060104360A (ko) 2005-03-30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알람 기능 냉장고
JP2008156912A (ja) * 2006-12-25 2008-07-10 Keio Gijuku 組立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組立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4756A (ko) 1997-12-18 2001-03-26 그래햄 이. 테일러 단열 반응기 시스템에서 글리콜을 제조하는 방법
KR200250665Y1 (ko) * 2001-07-18 2001-11-17 라제건 텐트폴 연결구
KR20060104360A (ko) 2005-03-30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알람 기능 냉장고
JP2008156912A (ja) * 2006-12-25 2008-07-10 Keio Gijuku 組立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組立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694A (ko) * 2019-08-05 2021-02-17 이영주 놀이용 인디언 텐트
KR102249215B1 (ko) * 2019-08-05 2021-05-06 이영주 놀이용 인디언 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525E1 (en) Foldable playard
US7419457B1 (en) Climbing wall assembly
KR101654560B1 (ko) 결합부와 삽입부가 일체로 제공되는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또는 이용방법
US9364767B2 (en) Toy building block
US20130244530A1 (en) Foam construction toy
US20160339314A1 (en) A Goal and Shelter Device
EA036283B1 (ru) Игровой конструктор
DE2015649A1 (de) Aus verschiedenen Bauelementen zu sammengesetztes Spielgerat fur Kinderspiel platze od. dgl.
KR200480841Y1 (ko) 조립식 플레이 텐트
US9901840B2 (en) Playhouse assembly
KR101539351B1 (ko) 유아용 텐트
KR20110003889U (ko) 조립식 안전 울타리
US20170151506A1 (en) Large assembly block for toys
KR200470815Y1 (ko)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
KR200489966Y1 (ko) 어린이 놀이집
KR101180298B1 (ko) 조립식 토이 하우스
KR101843285B1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제작 교구
KR102249215B1 (ko) 놀이용 인디언 텐트
US20050081471A1 (en) Temporary structure
KR200474399Y1 (ko) 의자용 조립 키트
KR200472628Y1 (ko) 유아 및 어린이용 조립식 텐트
KR20180110859A (ko) 다용도 텐트
KR100883370B1 (ko) 절첩이 용이한 종이 패널을 이용한 입체 구조물
EP4000706B1 (en) Children's tent with safety snap fastener for tent canvas tension
WO2016165084A1 (en) Mold for making units of a dome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