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889U - 조립식 안전 울타리 - Google Patents

조립식 안전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889U
KR20110003889U KR2020090013366U KR20090013366U KR20110003889U KR 20110003889 U KR20110003889 U KR 20110003889U KR 2020090013366 U KR2020090013366 U KR 2020090013366U KR 20090013366 U KR20090013366 U KR 20090013366U KR 20110003889 U KR20110003889 U KR 201100038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fence member
connecting ring
r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한
Original Assignee
권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한 filed Critical 권영한
Priority to KR2020090013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889U/ko
Publication of KR201100038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8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47D13/065Children's play- pens foldable with rigid walls

Landscapes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울타리부재가 서로 용이하게 체결 가능하여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안전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안전울타리는 복수의 울타리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로서, 상기 각 울타리 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울타리 부재의 정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1연결고리와, 상기 울타리 부재의 배면에서 정면을 향하여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2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각 울타리 부재의 다른 측면에는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울타리 부재의 상기 제 1 연결고리 및 상기 제 2 연결고리가 인접한 다른 울타리 부재의 상기 연결홈에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울타리 부재들이 상호 결합된다.
울타리, 조립식, 울타리부재

Description

조립식 안전 울타리{safety fence}
본 고안은 조립식 안전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울타리부재가 서로 용이하게 체결 가능하여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안전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어린 아이들이 노는 동안에는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기어다니거나, 막 걸음마를 배운 유아는 사고 능력이 약하므로 보호자가 방심하는 사이에 안전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아이들이 노는 동안 보호자의 시야에서 멀리 벗어나지 않고 제한된 공간에서 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제한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안전울타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 울타리는 이동설치가 용이하도록 복수의 울타리부재를 체결하여 하나의 울타리를 형성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종래의 조립식 안전울타리는 각각의 울타리부재를 별도의 핀을 이용해 결합시킨다. 따라서, 안전울타리를 다른 장소에 이동 설치 또는 보관하기 위해서 조립 또는 분해할 때, 상기 핀을 일일히 체결 또는 분리하여야 하므로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전울타리가 결합된 상태에서, 핀이 헐거 워져 빠져나오게 되면, 안전울타리가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자칫 유아가 핀을 삼키게 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핀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체결가능한 조립식 안전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안전울타리는 복수의 울타리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로서, 상기 각 울타리 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울타리 부재의 정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1연결고리와, 상기 울타리 부재의 배면에서 정면을 향하여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2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각 울타리 부재의 다른 측면에는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울타리 부재의 상기 제 1 연결고리 및 상기 제 2 연결고리가 인접한 다른 울타리 부재의 상기 연결홈에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울타리 부재들이 상호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각 울타리 부재의 다른 측면에는 연결홈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울타리 부재의 상기 연결홈들이 인접하는 울타리 부재의 제1연결고리 및 제2연결고리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울타리 부재의 상기 제 1 연결고리 및 상기 제 2 연결고리가 대응되는 인접한 다른 울타리 부재의 연결홈에 맞물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홈은 상기 연결홈이 형성된 상기 울타리 부재의 측면과 수직 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두개의 연결편과, 상기 두개의 연결편 사이에서 상기 측면과 이격되어 상기 연결편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울타리 부재의 상기 제 1 연결고리 및 상기 제 2 연결고리가 대응되는 인접한 다른 울타리 부재의 연결기둥에 맞물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기둥은 원기둥 형태이고, 상기 제1연결고리 및 상기 제2연결고리가 상기 연결기둥과 맞물리는 부분은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접하는 울타리 부재의 제1연결고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연결홈의 두개의 연결편 사이에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울타리 부재의 배면측에서 상기 두개의 연결편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편의 두께는 상기 울타리 부재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연결편들은 상기 울타리 부재의 정면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고리 및 상기 제2연결고리가 형성된 상기 울타리 부재의 일측면과 상기 울타리 부재의 배면의 경계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안전울타리에 의하면, 울타리부재의 일측면에는 일체로 형성된 제 1 연결고리 및 제 2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울타리부재의 다른 일측면에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연결부재가 제 1 연결고리 및 제 2 연결고리와 연결홈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되므로, 핀과 같은 별도의 부재 없이도 복수의 울타리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전울타리를 조립 또는 분해할 때, 상기 핀을 일일히 체결 또는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울타리(10)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울타리(10)는 복수의 울타리부재(100)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섯 개의 울타리부재(100)가 상호 결합되어 조립식 안전울타리(10)를 형성하며, 조립식 안전울타리(10)의 내부에는 정사각형 형상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부재(10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서, 조립식 안전울타리(10)의 면을 형성하는 형태 의외에 본체(120)에 문(110)이 결합되어 아이들이 드나들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 조립식 안전울타리(10)의 크기는 울타리부재(100)의 크기와 개수에 의해 조정된다.
울타리부재(100)의 면에는 복수의 통공(13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통공(130)은 지면을 기준으로 할 때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조립식 안전울타리(10)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면을 울타리부재(100)의 배면이라고 할 때, 통 공(130)은 울타리부재(100)의 정면과 배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통공(130)이 형성됨에 따라, 울타리부재(100)의 전체 중량이 감소하여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조립된 안전울타리(10)의 외부에서 내부 공간을 관찰할 수 있어, 안에서 어린 아이가 놀고 있을 때, 보호자가 멀리서도 아이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울타리부재(100)에는 손잡이부(140)가 형성되어 울타리부재(100)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공(130) 및 손잡이부(140)의 형상 및 용도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울타리부재(100)는 서로 직선으로 결합될 뿐 아니라, 90도와 같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며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한 종류의 울타리부재(100)를 상호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조립식 안전울타리(10)의 폐쇄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전울타리(10)의 모서리에 결합될 수 있도록 대략 90도로 절곡된 울타리부재를 별도로 구비하고, 이를 직선 형태인 울타리부재(100)와 결합하여 폐쇄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울타리부재(100)는 탄성을 가진 합성 수지를 재료로 형성된다.
이하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인접한 울타리부재(100) 간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부재(100)의 부분 분리 정면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부재(100)의 부분 분리 배면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타리부재(100)의 일측면(240)에는 울타 리부재(100)의 측면(24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212)와, 연장부(212)에서 대략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울타리부재(100)의 배면을 향해 연장되는 절곡부(211)로 이루어지는 제 1 연결고리(210)가 울타리부재(100)의 측면의 상하단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212)는 울타리부재(100)의 정면 쪽에 가까운 측면에서 길게 연장된다.
또한, 울타리부재(100)의 측면(24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222)와, 연장부(222)에서 대략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울타리부재(100)의 정면을 향해 연장되는 절곡부(221)로 이루어지는 제 2 연결고리(220) 하나가 상기 두개의 제 1 연결고리(210)의 사이의 중간 지점에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222)는 울타리부재(100)의 배면 쪽에 가까운 측면에서 길게 연장된다.
한편, 울타리부재(100)의 다른 측면(340)에는 울타리부재(100)의 측면(34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편(311, 312, 313, 314)이 연장 형성된다. 각각의 연결편 사이에는 연결편(311, 312, 313, 314)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기둥(321, 322, 323)이 형성된다. 연결기둥(321, 322, 323)은 울타리부재(100)의 측면(340)과 이격되어 형성된다.
두개의 연결편(311, 312)과 그 사이에 형성된 연결기둥(321)은 제1연결홈(301)을 형성하고, 두개의 연결편(312, 313)과 그 사이에 형성된 연결기둥(322)은 제2연결홈(302)을 형성하며, 두개의 연결편(313, 314)과 그 사이에 형성된 연결기둥(323)은 제3연결홈(303)을 형성한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홈(301, 302, 303)은 인접한 울타리부재(100)의 제1연결고리(210) 및 제2연결고리(22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위측에 형성된 제1연결고리(210)는 인접한 울타리부재(100)의 제1연결홈(301)에 결합되고, 아래측에 형성된 제1연결고리(210)는 인접한 울타리부재(100)의 제3연결홈(303)에 결합되며, 제2연결고리(220)는 인접한 울타리부재(100)의 제2연결홈(302)에 결합된다.
연결고리와 연결홈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측에 형성된 제1연결고리(210)가 울타리부재(100)의 정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제1연결홈(301)의 연결기둥(321)을 감싸는 방식으로 제1연결홈(301)의 연결기둥(321)에 맞물린다. 아래측에 형성된 제1연결고리(210)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3연결홈(303)의 연결기둥(323)에 맞물린다.
또한, 제2연결고리(220)가 울타리부재(100)의 배면에서 정면 방향으로 제2연결홈(302)의 연결기둥(322)을 감싸는 방식으로 제2연결홈(201)의 연결기둥(322)에 맞물린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울타리부재(100)의 제1연결고리(210)와 하나의 제2연결고리(220)는 서로 엇갈려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3 연결홈(301, 3003)의 연결기둥(321, 323)이 제1연결고리(210)의 연장부(212)를 울타리부재(100)의 배면에서 정면 방향으로 지지하고, 제2 연결홈(302)의 연결기둥(322)이 제2연결고리(220)의 연장부(222)를 울타리부재(100)의 정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에 의해, 직선 형태로 연결된 두개의 울타리 부재(100)는 울타리부재(100)의 정면 또는 배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 된다.
또한, 연결고리(210, 220)의 절곡부(211. 221)가 연결기둥(321, 322, 32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연결된 인접한 울타리부재(100)가 서로 좌우측으로 분리되지 않고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나아가, 각각의 연결고리(210, 220)의 상하에는 연결편(311, 312, 313, 314)이 위치하기 때문에, 연결고리(210, 220)가 울타리부재(100)의 상하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어, 연결된 울타리부재(100)들이 상하 방향으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핀 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연결된 울타리부재(100)들이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의 모든 방향에 대해서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립식 안전울타리(10)의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고, 조립된 안전울타리(10)가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내부공간에서 노는 유아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연결홈(301, 302, 303)의 연결기둥(321, 322, 323)은 원기둥 형태를 가진다. 이때,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고리(210) 및 제2연결고리(22)에서 상기 연결기둥(321, 322, 323)과 맞물리는 부분은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울타리 부재(100)의 제1연결홈(301)의 연결편(311, 312) 사이에는 지지판(331)이 구비되고, 지지판(331)은 울타리 부재(100)의 배면측에서 연결편(311, 312)에 결합된다. 제3연결홈의 연결편(313, 314) 사이에도 지지판(332)이 구비된 다.
연결편(311, 312, 313, 314)들의 두께는 울타리 부재(100)의 두께보다 작고, 연결편(311, 312, 313, 314)들은 울타리 부재의 정면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되어서 울타리부재(100)의 일측면(340)에는 단차(34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차(341)의 높이는 지지판(331, 333)의 두께와 동일하다. 또한, 울타리부재(100)의 일측면(240)과 울타리부재(100)의 배면에는 경사부(24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울타리부재(100)는 직선 뿐만 아니라, 일정한 각도로 꺾여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울타리부재(100)가 직선으로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울타리부재(100)가 직각으로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두개의 울타리부재(100)가 직선으로 연결되었을 경우, 상술한 연결관계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때, 지지판(331, 333)은 상측과 하측에 구비된 제1연결고리(210)의 절곡부(211)를 지지하여, 두개의 울타리부재(100)의 연결부가 울타리부재(100)의 배면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꺾이지 않고, 일직선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지지판(331, 333)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두개의 울타리부재(100)의 연결부가 안전울타리(10)의 내부공간 쪽으로 꺾여 들어가지 않게 하여, 아이가 놀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도 1 참조).
도 4를 참조하면, 두개의 울타리부재(100)는 일정 각도로 꺾여서 연결될 수 도 있다. 제2연결홈(302)에는 지지판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연결기둥(322)과 측면(341) 사이에 통공(3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두개의 울타리부재(100)가 배면 방향의 힘을 받을 때 지지판에 의해 제1연결고리가 지지되어서 울타리부재(100)의 연결부가 꺾이지 않는 것과 달리 두개의 울타리부재(100)가 정면 방향의 힘을 받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고리(220)가 통공(323)을 통과하게 되어 두개의 울타리부재(100)의 연결부는 방해를 받지 않고 꺾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홈(301, 302, 303)의 연결기둥(321, 322, 323)이 원기둥 형태를 가지고, 제1연결고리(210) 및 제2연결고리(22)에서 상기 연결기둥(321, 322, 323)과 맞물리는 부분은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므로, 두개의 울타리부재(100)의 연결부가 꺾여 있는 상태에서도 연결고리와 연결홈의 연결관계는 계속 유지된다.
이때, 울타리부재(100)의 측면(240)에 경사부(241)는 연결된 두개의 울타리부재(100)의 연결부가 꺾일 때, 좀 더 부드럽게 꺾일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울타리부재(100)의 측면(340)에 형성된 단차(341)는 지지판(331, 333)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므로 두개의 울타리부재(100)가 직각으로 꺾여서 결합되었을 때, 지지판(331, 333)의 두께를 보상해주어서 제1연결고리 및 제2연결고리(210, 220)와 연결홈(301, 302, 303)의 맞물림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울타리부재(100)가 일직선 뿐만 아 니라 일정한 각도로 꺾여서 연결될 수도 있으므로, 동일한 형태의 한종류의 울타리부재(100) 만을 이용해 폐쇄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안전울타리(10)를 형성할 수 있 다(도 1 참조). 따라서, 여러가지 형태의 울타리부재를 별도로 제조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높아진다. 또한, 일부 울타리부재(100)를 분실한 경우에도 큰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울타리(10)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부재(100)의 부분 분리 정면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부재(100)의 부분 분리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울타리부재(100)가 직선으로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울타리부재(100)가 직각으로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Claims (7)

  1. 복수의 울타리 부재(100)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10)로서,
    상기 각 울타리 부재의 일측면(240)에는 상기 울타리 부재의 정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1연결고리(210)와, 상기 울타리 부재의 배면에서 정면을 향하여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2연결고리(220)가 구비되고,
    상기 각 울타리 부재의 다른 측면(340)에는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울타리 부재의 상기 제 1 연결고리 및 상기 제 2 연결고리가 인접한 다른 울타리 부재의 상기 연결홈에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울타리 부재들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울타리 부재의 다른 측면(340)에는 연결홈(301, 302, 303)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울타리 부재의 상기 연결홈들이 인접하는 울타리 부재의 제1연결고리 및 제2연결고리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울타리 부재의 상기 제 1 연결고리 및 상기 제 2 연결고리가 대응되는 인접한 다른 울타리 부재의 연결홈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울 타리(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은 상기 연결홈이 형성된 상기 울타리 부재의 측면(34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두개의 연결편(311, 312, 313, 314)과, 상기 두개의 연결편 사이에서 상기 측면(340)과 이격되어 상기 연결편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기둥(321, 322, 3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울타리 부재의 상기 제 1 연결고리 및 상기 제 2 연결고리가 대응되는 인접한 다른 울타리 부재의 연결기둥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둥(321, 322, 323)은 원기둥 형태이고,
    상기 제1연결고리 및 상기 제2연결고리가 상기 연결기둥과 맞물리는 부분은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
  5. 제4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울타리 부재의 제1연결고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연결홈의 두개의 연결편 사이에는 지지판(331, 333)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331, 333)은 상기 울타리 부재의 배면측에서 상기 두개의 연결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의 두께는 상기 울타리 부재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연결편들은 상기 울타리 부재의 정면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 울타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고리 및 상기 제2연결고리가 형성된 상기 울타리 부재의 일측면(240)과 상기 울타리 부재의 배면의 경계부에는 경사부(2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 울타리.
KR2020090013366U 2009-10-14 2009-10-14 조립식 안전 울타리 KR201100038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366U KR20110003889U (ko) 2009-10-14 2009-10-14 조립식 안전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366U KR20110003889U (ko) 2009-10-14 2009-10-14 조립식 안전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889U true KR20110003889U (ko) 2011-04-20

Family

ID=4420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366U KR20110003889U (ko) 2009-10-14 2009-10-14 조립식 안전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889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03Y1 (ko) 2018-05-23 2019-10-24 주식회사 야야 베이비룸 이중 잠금장치
KR200491397Y1 (ko) 2018-11-20 2020-04-01 주식회사 야야 어린이 놀이집
KR20200000765U (ko) 2018-09-14 2020-04-17 정순란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KR20210081208A (ko) * 2019-12-23 2021-07-01 전창국 동물포획용 조립식게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랩
KR20220083281A (ko) * 2020-12-11 2022-06-20 강원시설물(주) 다목적 조립식 울타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03Y1 (ko) 2018-05-23 2019-10-24 주식회사 야야 베이비룸 이중 잠금장치
KR20200000765U (ko) 2018-09-14 2020-04-17 정순란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KR200491397Y1 (ko) 2018-11-20 2020-04-01 주식회사 야야 어린이 놀이집
KR20210081208A (ko) * 2019-12-23 2021-07-01 전창국 동물포획용 조립식게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랩
KR20220083281A (ko) * 2020-12-11 2022-06-20 강원시설물(주) 다목적 조립식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3889U (ko) 조립식 안전 울타리
KR20110003888U (ko) 조립식 안전 울타리
US8672150B2 (en) Modular shelving
KR101978647B1 (ko) 캣타워 조립체
US20170280908A1 (en) Floor mat
KR102057842B1 (ko) 미노출 구조 기반의 3방향 테이블 지지장치
JP6850033B2 (ja) 幼児用組立式柵
US20160067624A1 (en) Playhouse Assembly
KR20130088983A (ko) 회동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자유로운 회동각 구현이 가능한 브라켓 어셈블리 및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
KR20200000765U (ko)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KR101479966B1 (ko) 다단형으로 조립이 가능한 돔형 텐트 프레임
US20220034120A1 (en) Transformable prefabricated fence
KR101077744B1 (ko) 나사블록을 이용한 미끄럼틀
KR20100005309U (ko) 조립식 안전 울타리
KR200483988Y1 (ko) 베이비룸 연결판
KR102087641B1 (ko)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KR20130003282U (ko) 조립식 진열장
KR200480841Y1 (ko) 조립식 플레이 텐트
KR102527056B1 (ko) 조립식 안전 펜스
US20210153666A1 (en) Playpen frame for easy-to-install enclosure
CN210251225U (zh) 支持锁定的包围体组件
JP2014118671A (ja) 組立式基礎
KR20150135811A (ko)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101916321B1 (ko) 조립식 완구 블록
KR102519102B1 (ko) 정리함으로 변형되는 베이비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