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367B1 - 회동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자유로운 회동각 구현이 가능한 브라켓 어셈블리 및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 - Google Patents

회동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자유로운 회동각 구현이 가능한 브라켓 어셈블리 및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367B1
KR101351367B1 KR1020120010272A KR20120010272A KR101351367B1 KR 101351367 B1 KR101351367 B1 KR 101351367B1 KR 1020120010272 A KR1020120010272 A KR 1020120010272A KR 20120010272 A KR20120010272 A KR 20120010272A KR 101351367 B1 KR101351367 B1 KR 101351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eceiving
fastening
plat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8983A (ko
Inventor
백흥주
Original Assignee
백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흥주 filed Critical 백흥주
Priority to KR102012001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367B1/ko
Publication of KR2013008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 구조물이 세워진 바닥상태나 난간 구조물의 경사 정도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기능을 구비하되, 이러한 회동기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회동각 구현이 기존의 브라켓보다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기둥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수용홈 형성을 위해 체결되는 제1 수용브라켓과 제2 수용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브라켓; 및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 단부에서 연결형성되어 횡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삽입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수용브라켓과 제2 수용브라켓은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수용브라켓의 내주면에는 삽입 수용된 회동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된 회동을 위한 멈춤돌기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동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자유로운 회동각 구현이 가능한 브라켓 어셈블리 및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BRACKET ASSEMBLY AND PILLA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세로로 형성되는 기둥부와 기둥부에 연결되어 가로로 형성되는 횡부재로 이루어지는 휀스와 같은 구조물에 있어 기둥부에 횡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브라켓 어셈블리 및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이 세워진 바닥상태나 구조물의 경사 정도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기능을 구비하되,
이러한 회동기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회동각 구현이 기존의 브라켓보다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나아가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지주에 있어서도 지주의 직경 변화에 대응가능한 구조를 마련하여 평지에서 설치된 지주를 경사면으로 옮겨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가능한 브라켓 어셈블리 및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휀스의 경우 세로의 기둥부에 가로의 횡부재가 일체로 연결형성된다. 그러나 기둥부에 횡부재가 일체로 연결형성되는 휀스는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는 바닥면을 고르게 하는 작업이 수반되거나 기 생산된 휀스 자체를 조절하여 고르지 못한 바닥면에 맞추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경사가 심한 도로 내지 보도에 휀스가 위치되거나 계단 으로 휀스(또는 난간)가 위치되는 경우에 설치상 문제가 되어 왔다.
이에 바닥면의 상태에 맞추어 기둥부를 기준으로 횡부재의 각도를 조절시킬 수 있는 구조들이 최근 많이 고안되고 있는 실정인데,
고안되는 대부분들은 아이디어적인 제품일 뿐, 부품 수가 많거나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 제작비용 등을 고려할 때 상품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사장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다보니 설치 작업상의 불편한 점이 생기게 마련이고, 회동기능에 있어서도 한계가 있는 제품들이 많은 실정이다.
실정이 그러하다보니, 다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볼부재를 이용하여 회동각을 형성하는 브라켓들이 개시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회동각 형성을 위해서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볼부재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형성하되, 기존 브라켓의 문제점, 즉 부품수가 많거나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을 기본적으로 해결하고 나아가 볼부재의 안정된 회동을 보장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가 구비된 브라켓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우선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굴곡이 많은 바닥면이나 설치상 각도 변환이 필요한 환경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용 브라켓을 더 구비한 브라켓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물론 상기 연결용 브라켓 역시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회동각이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전반적으로 설치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브라켓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설치작업에 있어서 각진 형태의 측면판을 제공하거나 체결판끼리의 체결에 있어 체결수단을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작업자의 설치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브라켓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기둥부 즉 지주에 있어서도 평지에 설치된 지주가 경사진 면으로 이동되어 설치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의해 각도 조정이 유용하면서도, 지주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에 있어서도 별도의 하부커버를 마련하지 않고 기존 사용하던 하부커버를 사용할 수 있는 등 지주의 크기에 유동적 대응이 가능한 지주용 하부커버를 구비하는 지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난간연결용 브라켓 어셈블리는,
기둥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수용홈 형성을 위해 체결되는 제1 수용브라켓과 제2 수용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브라켓; 및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 단부에서 연결형성되어 횡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삽입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수용브라켓과 제2 수용브라켓은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수용브라켓의 내주면에는 삽입 수용된 회동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된 회동을 위한 멈춤돌기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동부와 접하는 멈춤돌기의 접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멈춤돌기의 양 측으로는 회동부의 안정된 회동을 위해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난간연결용 브라켓 어셈블리는 둘 이상의 횡부재 연결을 위한 연결용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용 브라켓은
횡부재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삽입판이 구비된 제1 연결브라켓과, 다른 횡부재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쌍으로 이루어진 제2 삽입판이 구비된 제2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1 및 제2 삽입판에 삽입되어 제1 연결브라켓과 제2 연결브라켓을 이어주는 회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부재는
제1 삽입판에 삽입되는 제1 회동판과, 상기 제1 회동판과 연결형성되되 제1 회동판에서 90도 회동된 상태로 형성되어 제2 삽입판에 삽입되는 제2 회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수용브라켓은 기둥부와의 체결을 위한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에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회동부가 삽입·수용되는 제1 수용홈 형성을 위한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제2 수용브라켓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판으로 이루어지되,
체결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측면판은 각진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 체결판에서의 체결작업은 체결수단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에 의하면,
회동부가 삽입 수용되는 측면판에 멈춤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멈춤 돌기 양 측으로 멈춤 돌기의 형성방향의 수직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서 회동부가 이탈되지 않고 회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기존의 볼을 구비한 브라켓 어셈블리에 비해 구조적으로 간단해지면서도 회동의 안정성이 높아졌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횡부재끼리의 연결을 위한 연결용 브라켓을 더 구비하되, 상기 연결용 브라켓의 경우에는 볼타입이 아닌 제1 회동판과 제1 회동판에 90도 회동된 상태로 형성된 제2 회동판으로 이루어진 회동부재가 채용됨으로써 보다 간편한 구조의 연결용 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고 횡부재의 다양한 각도 변환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로 인해 각각의 회동부재에 체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 브라켓을 동일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연결용 브라켓이 필요한 경우 구체적인 횡부재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채용이 가능하고 아울러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난간연결용 브라켓 어셈블리는 전반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특히 체결판에서 체결수단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삽입 설치되도록 하였는바, 체결작업의 편의성을 높였다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기둥부에 구비되는 하부커버의 경우에 있어서도 둘 이상 형성된 홈부의 구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기둥부에 대해서도 능동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평면에서 경사면으로 지주 설치가 옮겨지는 경우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커버로 교체함이 없이 기존의 하부커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기둥부와 횡부재를 연결하는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의 수용브라켓과 삽입브라켓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의 수용브라켓에 삽입브라켓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3은 멈춤돌기를 도시하고 도 4는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횡부재에 본 발명의 연결용 브라켓이 함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의 자유로운 각도 형성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커버의 사용상태 도시를 위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커버의 결합사시도로써 다양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평면과 경사면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 하부커버의 다른 실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결합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 및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를 설명함에 있어 언급되는 기둥부와 횡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물로는 휀스 등을 비롯하여 다양하게 고려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구조물의 바닥면이 평활하지 않거나 또는 작업상 각도 변환이 필요한 경우에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는 브라켓 어셈블리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기둥부(C)는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가 장착되고 기둥부 하부에는 기둥부 하면을 덮는 하부커버가 장착된 상태가 함께 고려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를 기둥부(C)와의 구별하기 위해 지주라고 칭한다.
우선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는,
기둥부(C)에 결합되는 수용브라켓(10)과, 횡부재(P)의 단부에 결합되는 삽입브라켓(2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수용브라켓(10)은 동일하게 형성된 두 개의 제1 수용브라켓(11)과 제2 수용브라켓(12)이 서로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이러한 체결을 통해 수용브라켓에는 수용홈(13)이 형성된다.
즉 제1 수용브라켓의 제1 수용홈(13a)과 제2 수용브라켓의 제2 수용홈(13b)이 결합되어 후술할 회동부 삽입을 위한 수용홈(13)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수용브라켓(11)은 기둥부(C)와의 체결을 위한 제1 기판(111)과, 상기 제1 기판에서 돌출형성된 것으로 회동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1 수용홈(13a) 형성을 위한 측면판(112)과, 상기 측면판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제2 수용브라켓(12)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판(113)으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수용브라켓(12)과 제1 수용브라켓(11)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바, 제2 수용브라켓에서도 동일하게 기판과, 측면판과, 체결판이 형성되며, 구체적인 명칭은 제2 기판, 제2 측면판, 제2 체결판으로 칭해진다.
물론, 제1 수용브라켓과 제2 수용브라켓의 세부명칭을 통칭하여 기판, 측면판, 체결판만으로도 호칭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수용브라켓(11)과 제2 수용브라켓(12)간의 체결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측면판(112)은 각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측면판(112)의 단부는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삽입되는 회동부 이탈 방지를 위해 바람직하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판은 단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요입되면서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삽입브라켓(20)은 상기 수용홈(13)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회동부(21)와, 상기 회동부 단부에서 연결형성되어 횡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2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회동부(21)는 수용홈에 삽입 수용되어 브라켓의 회동을 가능케하는 볼부(211)와, 상기 체결부에서 연결형성되는 베이스부(213)와,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와 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213)의 경우 체결부쪽으로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을 취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볼부(211)의 경우 구형으로 형성되되, 완전한 구형이 아니라 수용브라켓(10)으로 노출되는 면의 일부가 절두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용브라켓(10)이 볼부(211)를 감싸는 경우 원활한 볼부의 회전을 위해서는 볼부의 단면이 수용브라켓의 기판(111)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볼부가 완전한 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내측으로 정확히 삽입된 상태로 볼부를 위치시키는 것이 쉽지 않고, 삽입된 상태임을 시각적으로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볼부를 감싸는 측면판의 높이가 길어져야 하는바 제조공정이 길어지고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상기 볼부(211)에서 수용브라켓으로 노출되는 볼부 단부를 절두시켜 수용홈(13)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볼부의 삽입 위치가 시각적으로 정확히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동부의 볼부(211)를 두 수용 브라켓인 제1 수용브라켓과 제2 수용브라켓이 감싼 후 체결수단(T)을 통해 체결되면서 삽입브라켓과 수용브라켓의 체결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수용브라켓 내주면 즉, 측면판(112)의 내주면에는 삽입 수용된 볼부(211)의 이탈 방지를 위한 멈춤 돌기(15)가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멈춤 돌기(15)는 삽입 수용된 볼부가 기둥부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더 이상 볼부의 전진을 막음으로써 안정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함께 겸하게 된다.
즉 멈춤 돌기가 없다고 하더라도 기둥부가 위치하여 볼부의 이동은 제한적이기 마련인데, 볼부가 수시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볼부와 기둥부간의 마찰이 생기고 이로 인해 회동이 매끄럽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측면판의 내주면에 삽입 수용되는 볼부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 돌기(15)를 간단하게 돌출 형성시켜,
볼부(211)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면서 수용홈(13)에서의 볼부 회동 역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볼부와 접하는 멈춤돌기의 접면(15a)은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멈춤 돌기의 양측으로 가이드부(14)가 형성되는데, 이 역시 볼부의 안정된 회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조이다.
즉 상기 가이드부(14) 역시 측면판(112)의 내주면에서 돌출형성된 돌기 형태인 것으로 제작이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지며,
멈춤돌기에 비해 멈춤돌기의 양 측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볼부 회동시 회동되는 면과 접촉되면서 볼부의 회동(즉, 볼부의 구름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경우 둘 이상의 횡부재 연결을 위한 연결용 브라켓(30)을 더 포함하는데,
연결용 브라켓은 앞서 설명된 수용브라켓10)과 삽입브라켓(20)을 통해 형성되는 회동각보다 더욱 다양하게 회동각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구조인 것으로,
난간 설치시 갑자기 예상치 못한 횡부재의 각도 변환이 필요한 경우 사용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연결용 브라켓(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부재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연결브라켓(31)과, 다른 횡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연결브라켓(32)과,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브라켓과 제2 연결브라켓을 서로 이어주는 회동부재(33)로 이루어지는데,
제1 연결브라켓과 제2 연결브라켓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연결브라켓(31)과 제2 연결브라켓(3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부재와의 결합시 횡부재의 단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체결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결브라켓(31)에는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삽입판(311)이 구비되어 제1 삽입판 사이에 삽입로(제1 삽입로)(312)가 형성되고, 제2 연결브라켓(32) 역시 쌍으로 이루어진 제2 삽입판(321)이 구비되어 제2 삽입판 사이에 삽입로(제2 삽입로)(3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3)는 제1 삽입판(311) 사이의 제1 삽입로(312)에 삽입되는 제1 회동판(331)과, 상기 제1 회동판과 연결형성되되 제1 회동판(331)에서 90도 회동된 상태로 형성되어 제2 삽입판 사이의 제2 삽입로(322)에 삽입되는 제2 회동판(332)으로 이루어진다.
즉, 횡부재간의 자유로운 회동각 형성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회동판(331, 332)은 일체 형성되되 서로 수직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동판(331)을 이용하여 횡부재를 전후로 회동시킬 수 있고, 제2 회동판(332)을 이용하여 횡부재를 상하로 회동시킬 수도 있다.
물론, 횡부재 단부에 제1 연결브라켓과 제2 연결브라켓을 삽입 장착하는 방향에 따라서 앞서 언급된 반대 방식으로의 회동각 형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된 삽입로(312, 32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회동부재가 삽입된 삽입로는 상기 삽입로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횡부재의 상하 및 전후 회동은 180도라는 각도로 전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브라켓 어셈블리에서 삽입브라켓의 회동부(21)가 수용홈(13)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수용브라켓(11)과 제2 수용브라켓(12)을 체결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즉 제1 수용브라켓(11)과 제2 수용브라켓(12)의 체결판을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체결판 각각에 체결볼트(T1)를 관통시킨 후 반대편에서 너트(T2)로 조임으로써 제1 수용브라켓과 제2 수용브라켓의 체결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경우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각각의 체결판에 체결볼트를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즉,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서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112)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체결판에 체결볼트를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삽입 설치하였다면, 그 아래 부분이 하부에 위치하는 체겨판에서는 체결볼트를 반대방향인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삽입 후 너트로 조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브라켓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지주를 살펴보면,
상기 지주는
기둥부(C)와, 상기 기둥부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둥부에 결합되는 횡부재(P)와 기둥부간의 자유로운 각도 조절을 가능케하는 브라켓 어셈블리(B)와, 그리고 상기 기둥부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서 서로 체결되는 제1커버 및 제2커버로 이루어진 하부커버(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커버(A)는 제1커버(40)와 제2커버(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는 지주 외주면 즉 기둥부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어야 하기에 각각의 내부에는 기둥부(C)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40A, 5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커버의 양 단에는 이웃하는 커버와 체결되어 고정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제1커버와 제2커버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제1커버를 기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각의 커버는 동일한 구조로 하였기에 제작에 따른 생산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커버(40)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된 체결부는,
제2커버(50)와의 체결시 내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커버의 일단에 형성되는 내측체결부(41)와, 제2커버(50)와의 체결시 외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커버의 타단에 형성되는 외측체결부(45)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체결부(41)와 외측체결부(45)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41a)와 돌부(45a)가 형성되어야 하기에 내측체결부와 외측체결부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내측체결부(41)에는 홈부(41a)가 형성되고 외측체결부(45)에는 상기 홈부(41a)에 삽입 수용되기 위한 돌부(45a)가 형성되어 있는데,
홈부 및 돌부의 형성 위치는 내측체결부와 외측체결부 순서에 구애받을 필요는 없으며, 반대 방향 즉, 내측체결부에 돌부가 형성되고 외측체결부에 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체결부에 홈부와 돌부가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는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체결부를 서로 포개되,
일측에서는 제1커버의 내측체결부(41)에 형성된 홈부(41a)에 제2커버의 외측체결부(55)에 형성된 돌부(55a)를 삽입 수용시키고, 타측에서는 제2커버의 내측체결부(51)에 형성된 홈부(51a)에 제1커버의 외측체결부(45)에 형성된 돌부(45a)를 서로 삽입 수용시킴으로써 위치를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어 이후 볼팅작업이 수월해진다.
즉,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외측체결부(45, 55)에는 이후 볼팅작업시 볼트(B) 관통을 위하 관통공(H)이 형성되어 있는데 작업자는 각 커버를 홈부와 돌부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서로 고정시킨 후 볼트를 상기 관통공에 삽입시킨 후 볼팅작업을 하여 외측체결부(45, 55)를 내측체결부(41, 51)와 일체시킨다.
볼팅작업시 공구에 의한 진동이 심해 통상적인 경우 각각의 커버에 대한 흔들림이 발생하여 포개어진 위치가 서로 어긋나서 볼팅작업 후에는 삐뚤어진 경우가 생기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홈부 및 돌부의 구조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부(41a, 51a)는 둘 이상 내측체결부(41, 5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주 즉 기둥부(C)의 크기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인데,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의 지주라 하더라도 평면에 지주가 설치되어 이의 하부 커버시 필요한 수용홈의 면적(보다 구체적으로는 D1으로 표시된 수용홈의 폭 길이)에 비해 비탈진 경사면에 지주가 설치되어 이의 하부 커버시 필요한 수용홈의 면적(보다 구체적으로는 D2로 표시된 수용홈의 폭 길이)이 더 크다.
따라서 기존 하부커버의 경우, 평면에 설치된 지주를 비탈진 경사면으로 옮기게 되면 기존 수용홈의 크기보다 큰 수용홈을 가지는 하부커버로 새롭게 제작 및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비용 낭비가 있었는데,
본 발명의 경우 기존에 비해 큰 수용홈의 크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돌부가 삽입되는 홈부(41a, 51a)를 크기에 맞춰 선택하면 되기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1 및 제2 커버 체결 작업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작업성을 증진시킨다는 목적하에서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홈부 및 돌부 구조 외에 제1 및 제2 커버의 형성 면을 절곡된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볼팅작업시의 흔들림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커버의 일면에 절곡부(V)를 형성하여 볼팅 작업시 각각의 커버가 진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본 발명에서 홈부와 돌부를 구비하였다 하더라도 이 구조에 의해 포개어진 각각의 체결부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진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은 방지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절곡부(V)를 형성함으로써 해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 및 제2 커버의 전면에 걸쳐 1회 절곡시킨 절곡부(V)를 형성하여 커버의 상부와 하부의 형성각을 달리하였다.
물론 상기 절곡부(V)는 제 1 및 제2 커버의 전면(全面)이 아니라 일면에서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체결부(41, 45, 51, 55)에서만 절곡된 면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홈부(41a, 51a) 및 돌부(45a, 55a)는 도 7 및 도 8에서는 체결부의 길이방향으로 전면(全面)에 걸쳐 형성을 하였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체결부(41, 51) 및 외측체결부(45, 55)의 하부에서만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10에서는 체결부의 하단으로부터 1/2 정도 길이까지만 즉, 절곡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홈부(41a, 51a)와 돌부(45a, 55a)를 형성시켰는데, 이와 같이 체결부의 하부에서만 홈부와 돌부를 형성시키게 되면 외부에서는 홈부와 돌부가 노출되지 않아 그 만큼 노출되는 공간이 적어져 이물질 유입이 덜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즉, 민자로 이루어진 평면마감보다 굴곡이 형성되기에 그만큼 이물질 유입이 가능한 공간 역시 커진다),
또한 볼팅작업을 위해 관통공(H) 형성 공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체결부의 길이방향으로 전면에 걸쳐 홈부와 돌부를 형성하게 되면 홈부와 돌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인하여 볼트가 삽입 체결될 수 있는 안정된 관통공 형성 공간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데,
이와 달리 체결부의 하부에 홈부(41a, 51a)와 돌부(45a, 55a)를 형성하게 되면 체결부의 상부는 민자형태로 남아있을 수 있게 되어 민자 부분에서 관통공(H)을 형성하면 된다.
따라서 도 10에서와 같이 제1 커버 및 제2 커버 전면에 걸쳐 절곡부(V)가 형성되는 경우 절곡부를 기준으로 하부방향으로는 홈부(41a, 51a)와 돌부(45a, 55a)를 형성시키고 상부방향으로는 민자형태로 마감하게 되면,
볼팅작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면서도 볼팅작업에 있어 흔들림 내지 뒤틀림이 방지되고, 볼팅작업 완료 후 외부에서 봤을 때에는 지저분해보일 수도 있고 또는 이물질 유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홈부와 돌부 구조가 노출되기 않기에 외관상으로도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부의 하부에서만 홈부와 돌부를 형성하고 상부는 민자형태로 마감처리를 하게 된다면 내측체결부(41, 51)와 외측체결부(45, 55)를 포개게 되면 좌우 방향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의 각 체결부끼리의 이동이 제한되어 앞서 언급한 절곡부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하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하부커커의 다양한 형상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브라켓 어셈블리 및 상기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기둥부 P: 횡부재
B: 브라켓 어셈블리 A: 하부커버
10: 수용브라켓
11: 제1 수용브라켓 12: 제2 수용브라켓 13: 수용홈
14: 가이드부 15: 멈춤 돌기
20: 삽입브라켓
21: 회동부 22: 체결부
211: 볼부 212: 연결부 213: 베이스부
30: 연결용브라켓
31: 제1 연결브라켓 32: 제2 연결브라켓
33: 회동부재
40: 제1커버 50: 제2커버 40A, 50A: 수용홈
41, 51: 내측체결부 45, 45: 외측체결부
41a, 51a: 홈부 45a, 55a: 돌부
V: 절곡부 H: 관통공

Claims (5)

  1. 기둥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수용홈 형성을 위해 체결되는 제1 수용브라켓과 제2 수용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브라켓; 및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 단부에서 연결형성되어 횡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삽입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브라켓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브라켓과 제2 수용브라켓은 동일한 형상이고,
    상기 제1 수용브라켓은 기둥부와의 체결을 위한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에서 돌출형성된 것으로 회동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1 수용홈 형성을 위한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제2 수용브라켓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판은 각진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판의 단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요입되면서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의 내주면에는 삽입 수용된 회동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된 회동을 위한 멈춤돌기가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멈춤돌기의 양 측으로는 회동부의 안정된 회동을 위해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는 둘 이상의 횡부재 연결을 위한 연결용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용 브라켓은
    횡부재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삽입로 형성을 위해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삽입판이 구비된 제1 연결브라켓과, 다른 횡부재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삽입로 형성을 위해 쌍으로 이루어진 제2 삽입판이 구비된 제2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1 및 제2 삽입판에 삽입되어 제1 연결브라켓과 제2 연결브라켓을 이어주는 회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부재는
    제1 삽입판에 삽입되는 제1 회동판과, 상기 제1 회동판과 연결형성되되 제1 회동판에서 90도 회동된 상태로 형성되어 제2 삽입판에 삽입되는 제2 회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자유로운 회동각 구현이 가능한 브라켓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10272A 2012-02-01 2012-02-01 회동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자유로운 회동각 구현이 가능한 브라켓 어셈블리 및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 KR101351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72A KR101351367B1 (ko) 2012-02-01 2012-02-01 회동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자유로운 회동각 구현이 가능한 브라켓 어셈블리 및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72A KR101351367B1 (ko) 2012-02-01 2012-02-01 회동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자유로운 회동각 구현이 가능한 브라켓 어셈블리 및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983A KR20130088983A (ko) 2013-08-09
KR101351367B1 true KR101351367B1 (ko) 2014-01-14

Family

ID=49215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272A KR101351367B1 (ko) 2012-02-01 2012-02-01 회동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자유로운 회동각 구현이 가능한 브라켓 어셈블리 및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879B1 (ko) * 2017-12-14 2018-04-13 (주)백상 기능성 난간대 홀더 및 그를 구비하는 난간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86Y1 (ko) * 2013-10-21 2014-10-22 형진랜드주식회사 난간 브라켓
KR101499037B1 (ko) * 2014-06-02 2015-03-05 최규웅 난간대의 지지력이 향상된 목재난간
KR101636325B1 (ko) * 2015-05-06 2016-07-05 태경이엔씨 주식회사 굽은길 안내 유도장치
CN106284884B (zh) * 2016-10-14 2018-08-10 张家港集优特防护设施有限公司 一种楼梯护栏用支架
KR102289020B1 (ko) * 2021-03-05 2021-08-11 세이프라인 주식회사 연결구를 이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독립기능형 무단횡단 금지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647Y1 (ko) * 2001-08-09 2001-12-01 주식회사 케이.알 난간 연결장치
KR100802500B1 (ko) * 2007-01-17 2008-02-14 주식회사강산 경사 지면에 시공되는 울타리를 위한 가로대 각도 조절장치
KR20090085188A (ko) * 2008-02-04 2009-08-07 형진랜드(주)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KR20110010731U (ko) * 2010-05-11 2011-11-17 백흥주 작업성을 증진시킨 지주용 하부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647Y1 (ko) * 2001-08-09 2001-12-01 주식회사 케이.알 난간 연결장치
KR100802500B1 (ko) * 2007-01-17 2008-02-14 주식회사강산 경사 지면에 시공되는 울타리를 위한 가로대 각도 조절장치
KR20090085188A (ko) * 2008-02-04 2009-08-07 형진랜드(주)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KR20110010731U (ko) * 2010-05-11 2011-11-17 백흥주 작업성을 증진시킨 지주용 하부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879B1 (ko) * 2017-12-14 2018-04-13 (주)백상 기능성 난간대 홀더 및 그를 구비하는 난간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983A (ko) 201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367B1 (ko) 회동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자유로운 회동각 구현이 가능한 브라켓 어셈블리 및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
JP4856744B2 (ja) 境界構造物の線形部材用連結機構
KR101130072B1 (ko)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JP3814682B2 (ja) 基礎構築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092839B1 (ko) 추락방지 안전맨홀
KR101490492B1 (ko) 울타리용 연결 장치
KR101278582B1 (ko) 자유로운 각도 형성을 가능케하는 브라켓어셈블리
KR101299082B1 (ko) 각도조절형 펜스
KR101440604B1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JP4939892B2 (ja) フェンス用継手
JP5660212B2 (ja) フェンス用の関節型ブラケット
KR20060089367A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JPH07292631A (ja) 組立式フェンス
KR20110011559U (ko) 관매설용 지지구
KR101162229B1 (ko) 기둥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둥 고정용 지지구
KR20120050000A (ko) 펜스용 브라켓 및 상기 펜스용 브라켓을 구비한 펜스
KR101808096B1 (ko) 울타리용 연결 어댑터
JP2007170110A (ja)
KR19990013079U (ko) 메쉬 휀스용 기둥
KR100954952B1 (ko) 텐트 구조체
KR102020392B1 (ko) 비탈면 점검로
KR102275722B1 (ko) 유동 브라켓
KR200453240Y1 (ko) 관매설용 지지구
KR200483723Y1 (ko) 지주각도조절식 침하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