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722B1 - 유동 브라켓 - Google Patents

유동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722B1
KR102275722B1 KR1020210002700A KR20210002700A KR102275722B1 KR 102275722 B1 KR102275722 B1 KR 102275722B1 KR 1020210002700 A KR1020210002700 A KR 1020210002700A KR 20210002700 A KR20210002700 A KR 20210002700A KR 102275722 B1 KR102275722 B1 KR 102275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opening
rotating
rotational
loc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훈웅
Original Assignee
(주)알티스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티스멀티 filed Critical (주)알티스멀티
Priority to KR102021000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04F11/184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of variable curvature; flex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구조물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결합 또는 일체화되어 돌출됨으로써 내부에 회동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된 방향으로 상기 회동 공간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를 포함하는 제1고정 파트; 및 일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회동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며, 상기 일단이 상기 회동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에 돌출된 구조의 걸림턱이 형성된 회동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 또는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과 인접한 다른 구조물들 사이에 가로 놓여 설치되는 연결부재의 일단과 결합되는 연결부재 수용체를 포함하는 제1회동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 파트가 상기 회동 프레임을 통해 상기 제1고정 파트를 중심으로 회동 또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인접한 구조물들 사이에 직교하는 방향, 사선 방향 또는 비틀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유동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재를 구조물들 사이에서 용이하게 회동 또는 회전되게 설치할 수 있어, 경사진 장소에서의 연결부재를 지면의 경사에 대응되게 설치함으로써, 연결부재의 설치 과정의 번거로움을 경감함은 물론, 그에 따른 제작 및 설치 과정에서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 브라켓{Rotatable bracket}
본 발명은 유동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들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회동시켜 설치되게 하거나,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설치되게 하는 유동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난간은 다리, 계단 등의 외곽 끝에 설치하여 사람 또는 물건이 구획된 공간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시설이다. 이러한 난간은 기둥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상태로 설치한 상태에서, 연결대를 인접한 기둥들에 가로 놓아 설치한다.
그러나, 지면이 경사진 장소에는 기둥의 높이가 각각 달라질 수밖에 없으므로, 기둥들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대 역시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거나, 기둥과 연결대의 규격을 달리하여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설치 과정의 번거로움은 물론, 제작 과정에서의 물적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5161호
본 발명은 구조물들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회동 또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유동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결합 또는 일체화되어 돌출됨으로써 내부에 회동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된 방향으로 상기 회동 공간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를 포함하는 제1고정 파트; 및 일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회동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며, 상기 일단이 상기 회동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에 돌출된 구조의 걸림턱이 형성된 회동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 또는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과 인접한 다른 구조물들 사이에 가로 놓여 설치되는 연결부재의 일단과 결합되는 연결부재 수용체를 포함하는 제1회동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 파트가 상기 회동 프레임을 통해 상기 제1고정 파트를 중심으로 회동 또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인접한 구조물들 사이에 직교하는 방향, 사선 방향 또는 비틀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유동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연결부재를 구조물들 사이에서 용이하게 회동 또는 회전되게 설치할 수 있어, 경사진 장소에서의 연결부재를 지면의 경사에 대응되게 설치할 수 있다.
둘째, 연결부재를 지면의 경사에 대응되게 설치할 수 있어, 연결부재의 설치 과정의 번거로움을 경감함은 물론, 그에 따른 제작 및 설치 과정에서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브라켓의 전체 구성이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 파트와 회동 파트의 세부 구성이 나타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동 브라켓의 결합 관계가 나타난 A-A` 방향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동 브라켓의 결합 과정이 나타난 동작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동 브라켓의 하부회동 걸림홈을 이용한 회동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회동 과정이 나타난 동작도이다.
도 6은 도 1의 유동 브라켓의 상부회동 걸림홈을 이용한 회동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회동 과정이 나타난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브라켓에 난간이 길이방향으로의 사선 형태로 설치된 상태가 나타난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유동 브라켓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회동 과정과 축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과정이 나타난 동작도이다.
도 1 내지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브라켓(RB)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브라켓(RB)은 구조물들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회동 또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 파트(100)와 회동 파트(200)를 포함한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들에서는 상술한 구조물을 데크로드용 난간 구조체의 기둥(P)으로, 연결부재를 난간 구조체의 연결대(CR)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 파트(100)는 연결대(CR)가 설치되는 기둥(P)의 일측면, 즉, 인접한 기둥(P)들이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후술될 회동 파트(200)가 기둥(P)들에 지지되기 위한 고정 지지점을 제공해 주는 것은 물론, 회동 파트(200)의 회동을 지지하기 위한 회동 지지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연결용 커버체(12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기둥(P)의 일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장방형 구조로 형성되어 일면이 기둥(P)의 일측면에 체결되며, 외측부에는 체결을 위한 복수 개의 체결공(도면부호 미표시)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부는 후술될 연결용 커버체(120)의 회동 공간(121)과 연결되는 개구된 구조로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 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된 부분 없이 일체화된 구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용 커버체(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면과 결합 또는 일체화된 형태로 돌출됨으로써, 내부에 상술한 회동 공간(121)을 형성하며, 돌출된 방향 즉,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면 방향으로 회동 공간(121)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단면을 갖는 개구부(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술한 회동 공간(121)은 후술될 회동 프레임(210)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회동 반경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회동 프레임(210)이 횡단면이 사각형임을 감안하여 길이방향 단면과 폭방향 단면이 모두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며, 개구부(122)의 개구방향은 기둥(P)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회동 파트(200)는 일측이 연결대(CR)의 일단을 체결하여 수용한 상태로 타측이 상술한 고정 파트(100)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 파트(100)를 중심으로 회동 또는 회전함으로써, 연결대(CR)가 기둥(P)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직교하는 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으로, 회동 프레임(210), 연결부재 수용체(220) 및 관통공(230)을 포함한다.
회동 프레임(210)은 일단이 상술한 고정 파트(100)의 개구부(122)를 통해 회동 공간(121)에 삽입되어 개구부(122)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개구부(122)의 형상에 대응되는 횡단면이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며, 걸림턱(211), 하부회동 걸림홈(212), 상부회동 걸림홈(213) 및 측부회동 걸림홈(214)을 포함한다.
걸림턱(211)은 회동 프레임(210)의 일단의 끝부분 중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회동 프레임(210)이 개구부(122)를 통해 회동 공간(1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회동 프레임(210)은 후술될 일단의 상면에 형성되는 하부회동 걸림홈(212)을 통해 상술한 걸림턱(211)의 간섭 없이 개구부(122)를 통해 회동 공간(121)에 진입하게 되므로, 걸림턱(211)은 일단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시 말해, 하부회동 걸림홈(212)이 회동 프레임(210)의 측부에 형성되는 경우, 걸림턱(211) 역시 회동 플레임의 일단 측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하부회동 걸림턱(211)의 형성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부회동 걸림홈(212)은 회동 프레임(210) 일단의 상면 중, 걸림턱(211)에 근접한 위치 즉, 걸림턱(211)과 후술될 상부회동 걸림홈(213) 사이에 형성되되 회동 프레임(210)의 폭방향 양끝단까지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회동 걸림홈(212)은 모서리 부분이 모두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개구부(122)에 형성되는 연결용 커버체(120)의 끝단의 이동을 안내하며, 회동 프레임(21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양측면 중, 회동 프레임(210)의 일단 방향의 측면은 회동 프레임(210)의 하부방향으로의 회동 각도에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부회동 걸림홈(213)은 회동 프레임(210) 일단의 상면 및 하면에서 연결부재 수용체(220)에 근접한 위치, 즉, 하부회동 걸림홈(212)과 연결부재 수용체(220) 사이에 형성되되 역시 회동 프레임(210)의 폭방향 양끝단까지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회동 걸림홈(213) 역시 모서리 부분이 모두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개구부(122)에 형성되는 연결용 커버체(120)의 끝단의 이동을 안내하며, 회동 프레임(21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양측면 중, 회동 프레임(210)의 타단 방향의 측면은 회동 프레임(210)의 상부방향으로의 회동 각도에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측부회동 걸림홈(214)은 회동 프레임(210) 일단의 양측면 중, 연결부재 수용체(220)에 근접한 위치, 즉, 하부회동 걸림홈(212)과 연결부재 수용체(220) 사이에서 회동 프레임(210)의 높이방향 양끝단까지 연장되어 상부회동 걸림홈(213)과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측부회동 걸림홈(21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회동 걸림홈(213)과 서로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으나, 서로 어긋나 서로 연결되지 않는 구조일 수 있으며, 역시 모서리 부분이 모두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개구부(122)에 형성되는 연결용 커버체(120)의 끝단의 이동을 안내한다.
한편, 상부회동 걸림홈(213)과 측부회동 걸림홈(214)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그 횡단면의 크기가 개구부(122)의 횡단면의 크기보다 작아지므로, 회동 프레임(210)은 상부회동 걸림홈(213)과 측부회동 걸림홈(214)을 통해 개구부(122) 내에서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연결부재 수용체(220)는 회동 프레임(210)의 타단에 결합 또는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되어, 연결대(CR)의 어느 일단을 수용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연결대(CR)의 수용 공간(221)이 형성되도록, 연결대(CR)의 일단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관통공(230)은 후술될 회동 파트(200)와 연결대(CR)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300)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해, 회동 파트(200)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회동 프레임(210)과 연결부재 수용체(220)를 관통하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관통공(230)은 중심에 형성될 수 있으나 회동 파트(200)의 측부에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체결부재(300)는 회동 파트(200)와 연결대(CR)의 결합을 위한 체결수단으로, 상술한 회동 프레임(210)에 형성된 관통공(230)의 일단을 통해 진입하여 타단을 통해 돌출 및 연결대(CR)의 일단에 삽입됨으로써, 회동 파트(200)와 연결대(CR)가 체결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술한 고정 파트(100)와 회동 파트(200)는 목재,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300) 역시 목재,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브라켓(RB)의 설치 과정, 동작 과정 및 설치 상태를 도 4 내지 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3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거나 약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브라켓(RB)은 고정 파트(10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통해 기둥(P)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동 파트(200)의 회동 프레임(210)이 고정 파트(100)의 개구부(122)를 통해 고정 파트(100)의 연결용 커버체(120) 내에 형성된 회동 공간(121)에 진입함으로써 결속된다. 이때, 회동 프레임(210)의 일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 프레임(210)이 회동 공간(121)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11)이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구부(122)에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120)의 상부 끝단을 회동 프레임(210)의 하부회동 걸림홈(212)에 삽입하여, 하부회동 걸림홈(212)을 기준으로 하는 회동 프레임(210)의 회전 반경이 개구부(122)의 반경 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회동 프레임(210)의 일단을 개구부(122)를 통해 회동 공간(121)에 진입시킨다. 이후, 연결용 커버체(120)의 상부 끝단은 하부회동 걸림홈(212)에서 이탈하게 되므로, 회동 프레임(210)의 일단은 걸림턱(211)에 의해 회동 공간(121)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브라켓(RB)은 연결대(CR)의 양단에 두 유동 브라켓(RB)이 설치되어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회동 프레임(210)을 이용한 회동 또는 회전에 따라 기둥(P)들 사이에서 사선 형태 또는 비틀린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대(CR)는 회동 프레임(210)의 하부회동 걸림홈(212)을 이용하여 기둥(P)들 사이에서 사선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대(CR)의 일단에 설치된 제1회동 파트(200)가 제1고정 파트(100)에 진입되되 하부회동 걸림홈(212)이 상부를 향하도록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속된 상태로, 제1회동 파트(200)의 회동 프레임(210)은 상면에 형성된 하부회동 걸림홈(212)이 연결용 커버체(120)의 상부 끝단을 수용한 상태에서 회동 프레임(210)이 그 상부 끝단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하부방향으로 회동한 후, 회동 프레임(210)의 일단 즉, 걸림턱(21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회동 공간(121) 내 연결용 커버체(120)의 내주면을 지지함으로써 지지된다. 이에, 제1회동 파트(200)가 제1고정 파트(100)를 기준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대(CR)의 타단에 설치된 제2회동 파트(500)는 제2고정 파트(400)에 진입되되 하부회동 걸림홈(512)이 하부를 향하도록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속된 상태로, 제2회동 파트(500)의 회동 프레임(510)은 하면에 형성된 하부회동 걸림홈(512)이 연결용 커버체(420)의 하부 끝단을 수용한 상태에서 회동 프레임(510)의 그 하부 끝단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상부방향으로 회동한 후, 회동 프레임(510)의 일단 즉,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회동 공간(미도시) 내 연결용 커버체(420)의 내주면을 지지함으로써 지지된다. 이에, 제2회동 파트(500)가 제2고정 파트(400)를 기준으로 상부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회동 파트(200)와 제2회동 파트(500)가 양단에 설치된 연결대(CR)는 길이방향의 사선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대(CR)는 회동 프레임(210)의 상부회동 걸림홈(213)을 이용하여 기둥(P)들 사이에서 사선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대(CR)의 일단에 설치된 제1회동 파트(200)가 제1고정 파트(100)에 진입되되 상부회동 걸림홈(213)이 하부를 향하도록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속된 상태로, 제1회동 파트(200)의 회동 프레임(210)은 하면에 형성된 상부회동 걸림홈(213)이 연결용 커버체(120)의 하부 끝단을 수용한 상태에서 회동 프레임(210)이 그 하부 끝단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하부방향으로 회동한 후, 회동 프레임(210)의 일단 즉, 걸림턱(21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회동 공간(121) 내 연결용 커버체(120)의 내주면을 지지함으로써 지지된다. 이에, 제1회동 파트(200)가 제1고정 파트(100)를 기준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대(CR)의 타단에 설치된 제2회동 파트(500)는 제2고정 파트(400)에 진입되되 상부회동 걸림홈(513)이 상부를 향하도록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속된 상태로, 제2회동 파트(500)의 회동 프레임(510)은 상면에 형성된 상부회동 걸림홈(513)이 연결용 커버체(420)의 상부 끝단을 수용한 상태에서 회동 프레임(510)의 그 상부 끝단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상부방향으로 회동한 후, 회동 프레임(510)의 일단 즉,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회동 공간(미도시) 내 연결용 커버체(420)의 내주면을 지지함으로써 지지된다. 이에, 제2회동 파트(500)가 제2고정 파트(400)를 기준으로 상부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회동 파트(200)와 제2회동 파트(200)가 양단에 설치된 연결대(CR)는 길이방향의 사선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유동 브라켓(RB)은 제1회동 파트(200)와 제2회동 파트(500)가 양단에 설치된 연결대(CR)를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의 사선 형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하부회동 걸림홈(212, 512)과 상부회동 걸림홈(213, 513)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들이 각기 다른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하부회동 걸림홈(212, 512)과 상부회동 걸림홈(213, 513)의 서로 다른 경사각들을 이용하여 2종류의 경사각을 가진 길이방향의 사선 형태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대(CR)는 회동 프레임(210)의 측부회동 걸림홈(214)을 이용하여 기둥(P)들 사이에서 폭방향의 사선형태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측부회동 걸림홈(214)과 상부회동 걸림홈(213)의 연결된 구조를 이용하여 비틀린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회동 파트(200)가 제1고정 파트(100)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여 제1고정 파트(100)의 개구부(122)에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120)의 끝단이 제1회동 파트(200)의 어느 하나의 측부회동 걸림홈(214)에 수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제2회동 파트(200)가 제2고정 파트(100)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여, 제2고정 파트(100)의 개구부(122)에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120)의 끝단이 제1회동 파트(200)의 어느 하나의 측부회동 걸림홈(214)과 대칭되는 방향에 형성된 제2회동 파트(200)의 측부회동 걸림홈(214)에 수용되어 고정됨으로써, 제1회동 파트(200)와 제2회동 파트(200)가 양단에 설치된 연결대(CR)는 폭방향의 사선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회동 파트(200)와 제2회동 파트(200)는 상부회동 걸림홈(213)과 측부회동 걸림홈(214)을 통해 각각 제1고정 파트(100)와 제2고정 파트(100)의 개구부(122) 내에서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회동 파트(200)와 제2회동 파트(200)가 양단에 설치된 연결대(CR)는 비틀린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RB : 유동 브라켓
100 : 제1고정 파트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연결용 커버체
121 : 회동 공간 122 : 개구부
200 : 제1회동 파트
210 : 회동 프레임 211 : 걸림턱
212 : 하부회동 걸림홈 213 : 상부회동 걸림홈
214 : 측부회동 걸림홈 220 : 연결부재 수용체
221 : 수용 공간 230 : 관통공
300 : 체결부재
400 : 제2고정 파트
420 : 연결용 커버체
500 : 제2회동 파트
510 : 회동 프레임 512 : 하부회동 걸림홈
513 : 상부회동 걸림홈 514 : 측부회동 걸림홈
P : 기둥 CR : 연결대

Claims (21)

  1. 구조물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결합 또는 일체화되어 돌출됨으로써 내부에 회동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된 방향으로 상기 회동 공간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를 포함하는 제1고정 파트; 및
    일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회동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며, 상기 일단이 상기 회동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에 돌출된 구조의 걸림턱이 형성된 회동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 또는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과 인접한 다른 구조물들 사이에 가로 놓여 설치되는 연결부재의 일단과 결합되는 연결부재 수용체를 포함하는 제1회동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 파트가 상기 회동 프레임을 통해 상기 제1고정 파트를 중심으로 회동 또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인접한 구조물들 사이에 직교하는 방향, 사선 방향 또는 비틀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걸림턱에 근접한 위치의 상면에 폭방향의 양끝단까지 연장되는 하부회동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용 커버체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회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에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의 상부 끝단이 상기 하부회동 걸림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용 커버체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회동 공간으로 진입하여 삽입되는 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제1회동 파트가 상기 제1고정 파트에 회동되어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고정 파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회동 파트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과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을 고정하는 유동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하부회동 걸림홈의 모서리 부분이 모두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상기 하부회동 걸림홈의 양측면 중, 일단 방향의 측면은 하부 방향으로의 회동 각도에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유동 브라켓.
  3. 구조물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결합 또는 일체화되어 돌출됨으로써 내부에 회동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된 방향으로 상기 회동 공간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를 포함하는 제1고정 파트; 및
    일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회동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며, 상기 일단이 상기 회동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에 돌출된 구조의 걸림턱이 형성된 회동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 또는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과 인접한 다른 구조물들 사이에 가로 놓여 설치되는 연결부재의 일단과 결합되는 연결부재 수용체를 포함하는 제1회동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 파트가 상기 회동 프레임을 통해 상기 제1고정 파트를 중심으로 회동 또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인접한 구조물들 사이에 직교하는 방향, 사선 방향 또는 비틀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재 수용체와 근접한 위치의 상면 및 하면에 폭방향의 양끝단까지 연장되는 상부회동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용 커버체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회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에 형성된 상기 연결용 커버체의 상부 끝단이 상기 상부회동 걸림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회동 파트가 상기 제1고정 파트에 회동되어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고정 파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회동 파트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과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을 고정하는 유동 브라켓.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상부회동 걸림홈의 모서리 부분이 모두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상기 상부회동 걸림홈의 양측면 중, 타단 방향의 측면은 윗 방향으로의 회동 각도에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유동 브라켓.
  5. 구조물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결합 또는 일체화되어 돌출됨으로써 내부에 회동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된 방향으로 상기 회동 공간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를 포함하는 제1고정 파트; 및
    일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회동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며, 상기 일단이 상기 회동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에 돌출된 구조의 걸림턱이 형성된 회동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 또는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과 인접한 다른 구조물들 사이에 가로 놓여 설치되는 연결부재의 일단과 결합되는 연결부재 수용체를 포함하는 제1회동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 파트가 상기 회동 프레임을 통해 상기 제1고정 파트를 중심으로 회동 또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인접한 구조물들 사이에 직교하는 방향, 사선 방향 또는 비틀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재 수용체와 근접한 위치의 양측면에 각각 높이방향의 양끝단까지 연장되는 측부회동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연결용 커버체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회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에 형성된 상기 연결용 커버체의 끝단이 상기 측부회동 걸림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회동 파트가 상기 제1 고정 파트에 회동되어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고정 파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회동 파트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과 상하좌우방향으로의 회동을 고정하는 유동 브라켓.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측부회동 걸림홈의 모서리 부분이 모두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유동 브라켓.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재 수용체와 근접한 위치의 상면 및 하면에 폭방향의 양끝단까지 연장형성되는 상부회동 걸림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인접한 구조물들 사이에서 비틀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회동 걸림홈과 상기 한 쌍의 측부회동 걸림홈이 서로 연결되되 형성된 부분의 횡단면의 크기가 상기 개구부의 횡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회동 걸림홈과 상기 측부회동 걸림홈을 통해 상기 개구부 내에서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유동 브라켓.
  8. 구조물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결합 또는 일체화되어 돌출됨으로써 내부에 회동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된 방향으로 상기 회동 공간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를 포함하는 제1고정 파트; 및
    일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회동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며, 상기 일단이 상기 회동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에 돌출된 구조의 걸림턱이 형성된 회동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 또는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과 인접한 다른 구조물들 사이에 가로 놓여 설치되는 연결부재의 일단과 결합되는 연결부재 수용체를 포함하는 제1회동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 파트가 상기 회동 프레임을 통해 상기 제1고정 파트를 중심으로 회동 또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인접한 구조물들 사이에 직교하는 방향, 사선 방향 또는 비틀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인접한 구조물에 설치되는 제2고정 파트; 및
    상기 제2고정 파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회동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걸림턱에 근접한 위치의 상면에 폭방향의 양끝단까지 연장형성되는 하부회동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동 파트가 상기 제1고정 파트에 진입되되 상기 하부회동 걸림홈이 상부를 향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고정 파트를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하여, 상기 제1고정 파트의 개구부에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의 끝단이 상기 제1회동 파트의 하부회동 걸림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회동 파트가 상기 제2고정 파트에 진입되되 상기 하부회동 걸림홈이 하부를 향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고정 파트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하여, 상기 제2고정 파트의 개구부에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의 끝단이 상기 제2고정 파트의 하부회동 걸림홈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유동 브라켓.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재 수용체와 근접한 위치의 상면 및 하면에 폭방향의 양끝단까지 연장형성되는 상부회동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 파트가 상기 제1고정 파트에 진입되되 상기 상부회동 걸림홈이 하부를 향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고정 파트를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하여, 상기 제1고정 파트의 개구부에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의 끝단이 상기 제1회동 파트의 상부회동 걸림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회동 파트가 상기 제2고정 파트에 진입되되 상기 상부회동 걸림홈이 상부를 향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고정 파트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하여, 상기 제2고정 파트의 개구부에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의 끝단이 상기 제2고정 파트의 상부회동 걸림홈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유동 브라켓.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재 수용체와 근접한 위치의 양측면에 각각 높이방향의 양끝단까지 연장형성되는 측부회동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 파트가 상기 제1고정 파트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여, 상기 제1고정 파트의 개구부에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의 끝단이 상기 제1회동 파트의 어느 하나의 측부회동 걸림홈에 수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회동 파트가 상기 제2고정 파트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여, 상기 제2고정 파트의 개구부에 형성된 연결용 커버체의 끝단이 상기 제1회동 파트의 어느 하나의 측부회동 걸림홈과 대칭되는 방향에 형성된 상기 제2회동 파트의 측부회동 걸림홈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유동 브라켓.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재 수용체와 근접한 위치의 상면 및 하면에 폭방향의 양끝단까지 연장형성되는 상부회동 걸림홈과, 상기 연결부재 수용체와 근접한 위치의 양측면에 각각 높이방향의 양끝단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회동 걸림홈과 연결되는 측부회동 걸림홈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회동 걸림홈과 상기 한 쌍의 측부회동 걸림홈이 형성된 부분의 횡단면의 크기가 상기 개구부의 횡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1회동 파트와 상기 제2회동 파트가 상기 상부회동 걸림홈과 상기 측부회동 걸림홈을 통해 각각 상기 제1고정 파트와 상기 제2고정 파트의 개구부 내에서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인접한 구조물들 사이에서 비틀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유동 브라켓.
  13. 청구항 1, 3, 5,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 파트와 상기 제1고정 파트는,
    목재,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유동 브라켓.
  14. 청구항 1, 3, 5,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 파트는,
    중심 또는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회동 프레임과 상기 연결부재 수용체를 관통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 수용체는,
    상기 연결부재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목재,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체결부재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되, 상기 회동 프레임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여 결합되는 유동 브라켓.
  15. 청구항 1, 3, 5,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데크로드용 난간 구조체의 기둥이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데크로드용 난간 구조체의 인접한 기둥들을 연결하는 연결대인 유동 브라켓.
  16. 청구항 1, 3, 5,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과 상기 개구부는,
    서로 형상이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되, 횡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는 유동 브라켓.
  17. 청구항 1, 3, 5,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 파트는,
    상기 내부의 회동 공간이 상기 회동 프레임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회동 반경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유동 브라켓.
  18. 청구항 1, 3, 5,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개구된 방향이 상기 구조물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유동 브라켓.
  19. 청구항 1, 3, 5,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걸림턱이 상기 일단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유동 브라켓.
  20. 삭제
  21. 삭제
KR1020210002700A 2021-01-08 2021-01-08 유동 브라켓 KR102275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700A KR102275722B1 (ko) 2021-01-08 2021-01-08 유동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700A KR102275722B1 (ko) 2021-01-08 2021-01-08 유동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722B1 true KR102275722B1 (ko) 2021-07-09

Family

ID=7686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700A KR102275722B1 (ko) 2021-01-08 2021-01-08 유동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7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161B1 (ko) 2015-12-28 2016-08-12 (주)엠에스티통상 기둥 내부 삽입형 난간 연결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97659A (ko) * 2015-02-09 2016-08-18 황기섭 난간 목재 구조물 결속장치
KR102135147B1 (ko) * 2020-03-09 2020-07-17 주식회사 임성 지주대 내부에서 난간살대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안전난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659A (ko) * 2015-02-09 2016-08-18 황기섭 난간 목재 구조물 결속장치
KR101645161B1 (ko) 2015-12-28 2016-08-12 (주)엠에스티통상 기둥 내부 삽입형 난간 연결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135147B1 (ko) * 2020-03-09 2020-07-17 주식회사 임성 지주대 내부에서 난간살대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안전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400B1 (ko)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KR102061871B1 (ko) 건축 공사를 위한 안전 난간 구조물
CN108699847A (zh) 侧护板、具有至少一个这种侧护板的天花板模板系统及用于架设这种侧护板的方法
KR102275722B1 (ko) 유동 브라켓
KR20130088983A (ko) 회동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자유로운 회동각 구현이 가능한 브라켓 어셈블리 및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
KR102138975B1 (ko) Pc벽체 시공중 자립을 위한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49362B1 (ko) 난간 연결구조체
JP3806519B2 (ja) 防護柵の柵体取付構造
CA2722545C (en) Balustrade
JP2744585B2 (ja) 組立式フェンス
KR101263171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KR101932012B1 (ko) 자세 조정이 용이한 난간 지주, 이를 이용한 난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2019031837A (ja) 仮設足場用階段手摺
JP6448328B2 (ja) 防護柵用横ビーム取付金具
JP2006057399A (ja) 手摺り柵
KR102430549B1 (ko) 소음방지패널
KR102610484B1 (ko) 난간연결구
KR100633417B1 (ko) 조립식 난간
KR102420049B1 (ko) 와이드보의 전도방지 구조를 갖는 기둥-보 접합부 구조
KR200366549Y1 (ko) 조립식 난간
KR102591449B1 (ko) 휀스 및 그 시공방법
JP4316079B2 (ja) 可動梯子
JP7249225B2 (ja) 接続金具、及びその接続金具を用いた防護柵
KR102565637B1 (ko) 아케이드 지붕 설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아케이드 지붕 설치방법
JP7034843B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