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012B1 - 자세 조정이 용이한 난간 지주, 이를 이용한 난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자세 조정이 용이한 난간 지주, 이를 이용한 난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012B1
KR101932012B1 KR1020180108568A KR20180108568A KR101932012B1 KR 101932012 B1 KR101932012 B1 KR 101932012B1 KR 1020180108568 A KR1020180108568 A KR 1020180108568A KR 20180108568 A KR20180108568 A KR 20180108568A KR 101932012 B1 KR101932012 B1 KR 101932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late
vertical plate
side plat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희
Original Assignee
박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희 filed Critical 박정희
Priority to KR102018010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울기와 방향을 자유 자제로 조절할 수 있는 난간 지주와, 이를 포함하는 난간 구조와, 그 시공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지주의 하부 구조는 x축, y축 및 z축으로 모두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하부 구조 중 바닥에 설치되는 제1브래킷(10)은 지주를 z축 방향(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그 방향을 회전 조정할 수 있다. 제1브래킷(10)에 설치되는 제2브래킷(20)은, 제1브래킷(10)에 대해 y축 방향(지면에 수평한 제1방향)을 기준으로 그 방향을 회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브래킷(20)에 설치되는 제3브래킷(30)은, 제2브래킷에 대해 x축 방향(지면에 수평하고,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기준으로 그 방향을 회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세 조정이 용이한 난간 지주, 이를 이용한 난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A Balustrade Post of which Posture Can Be Easily Adjusted, Balustrade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울기와 방향을 자유 자제로 조절할 수 있는 난간 지주와, 이를 포함하는 난간 구조와,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재 데크를 시공하면, 바닥이 보행자의 보행 충격을 흡수하므로 관절 등의 보호에 매우 유리하다. 그리고 목재 데크가 시공된 현장은 자연과도 잘 조화되고, 도시 내에서도 딱딱한 환경을 부드럽게 바꾸어 준다. 그리고 목재 데크의 가장자리에는 보행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난간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목재 데크는 데크를 시공하는 바닥의 형상에 대응하여 평평한 형태로 시공될 뿐만 아니라, 계단, 경사로, 등산로 등에도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계단이나 경사로, 등산로 등에 설치된 목재 데크의 가장자리에 난간을 설치할 때에는, 평지에 설치할 때와는 다른 많은 문제가 존재한다.
난간의 하단부는 지면에 고정되는데, 경사면의 경우 지면이 경사져 있지만, 난간의 지주는 연직 방향으로 세워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난간 지주는 주로 바닥이 평평한 곳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만을 예정하고 있기 때문에, 난간이 설치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이는 현장 시공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즉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가 난간을 작업할 경우, 난간의 완성도가 매우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난간 지주의 각도를 조절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으나, 이들 역시 여전히 현장 환경이나 여건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582118호 등록특허공보 제1429116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847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3619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난간 지주를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어, 난간의 설치가 용이한 난간 지주 구조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주(50)의 하부에, 서로 다른 방향의 세 축(x, y, z)에 대해 각각 회전할 수 있는 브래킷들(10, 20, 30)을 제공한다.
제1브래킷(10)은, 고정하고자 하는 바닥에 접하는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하나의 제1수직판(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수직판(12)과 바닥판(11)은, 상기 제1수직판(12)과 바닥판(11)에 모두 수직하게 연결되는 보강리브(13)를 통해 상호 보강 연결될 수 있다.
제2브래킷(20)은, 상기 제1수직판(12)에 면 접촉하며 고정되는 하나의 제2수직판(21)과, 상기 제2수직판(21)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제2수직판(21)의 측면에 연결되는 제1측면판(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측면판(22)은 상기 제2수직판(21)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된다.
제3브래킷(30)은, 상기 제1측면판(22)에 면 접촉하며 고정되는 제2측면판(31)과, 상기 제2측면판(31)의 상부에 마련되는 연결부(39)를 포함한다. 한 쌍의 상기 제2측면판(31)은 상기 연결부(39)에 의해 상호 연결되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측면판(31)은 한 쌍의 상기 제1측면판(22)의 바깥쪽 면과 접한다.
지주(50)는 상기 연결부(39)에 연결된다.
상기 바닥판(11)에는, 상기 바닥판(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제1반경을 가지는 원호형 장공 형상의 바닥설치홀(111)이 복수 개 마련되어, 바닥판(11)에 수직을 이루는 축(z)에 대해 바닥판(11)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여 제1브래킷(10)을 바닥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판(12)과 보강리브(13)는 각각 상기 바닥판(11)에 구비된 바닥설치홀(111) 사이들을 가로지르며 상기 바닥판(11)에 연결된다.
상기 제1수직판의 상단부에는 반원호 형상의 상부곡면(121)이 마련된다.
상기 제1수직판(12)과 상기 제2수직판(21)의 중앙 부근에는 상기 제1수직판(12)과 제2수직판(21)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삽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원통형 돌기와 원형 홀 형상의 제1체결부(122)와 제2체결부(212)가 구비되고, 상기 제1수직판(12)에는 상기 제1체결부(122)를 중심으로 동일한 제2반경을 가지는 원호형 장공 형상의 제1설치홀(123)이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제2수직판(21)에는 상기 제2체결부(212)를 중심으로 동일한 제2반경을 가지는 원호형 장공 형상의 제2설치홀(213)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1체결부(122)와 제2체결부(212)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설치홀(123)과 제2설치홀(213)이 상호 마주하므로, 제1수직판(12)에 수직을 이루는 축(y)에 대해 제2수직판(21)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여 제2브래킷(20)을 제1브래킷(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판(22)과 제2측면판(31)의 중앙 부근에는 상기 제1측면판(22)에 수직한 축(x)을 중심으로 상기 제1측면판(22)에 대해 상기 제2측면판(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삽입부(221)와 제2삽입부(312)가 마련되고, 상기 제1측면판(22)에는 상기 제1측면판(22)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제3반경을 가지는 원호형 장공 형상의 제3설치홀(222)이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제2측면판(31)에는 상기 제2측면판(31)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3반경과 동일한 거리에 형성된 원형 홀 형상의 제4설치홀(313)이 복수 개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1측면판(22)과 상기 제2측면판(31)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3설치홀(222)과 제4설치홀(313)이 상호 마주하므로, 제1측면판(22)에 수직한 축(x)에 대해 제2측면판(31)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여 제3브래킷(30)을 제2브래킷(2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판(21)의 하단부에는 반원호 형상의 하부곡면(211)이 마련된다.
상기 제2수직판(21)의 폭은 상기 제1수직판(12)의 폭보다 더 크다.
상기 제1삽입부(221)는 상부로 개방되고 하단부가 회전 중심이 되는 장홈이고, 상기 제2삽입부(312)는 상기 장홈에 끼워지는 원통형 돌기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삽입부(312)는 하부로 개방되고 상부가 회전 중심이 되는 장공이고, 상기 제1삽입부(221)는 상기 장공에 끼워지는 원통형 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난간 지주가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난간 지주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난간대(60)를 구비하는 난간 구조물을 더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난간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지면에 앙카볼트(70)를 고정하는 단계.
2. 상기 앙카볼트(70)를 바닥설치홀(111)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너트(80)를 앙카볼트(70)에 가체결하여 상기 제1브래킷(10)을 지면에 임시 고정하는 단계.
3. 상기 제1체결부(122)와 제2체결부(212)를 회전 가능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제1설치홀(123)과 제2설치홀(213)로 볼트(90)를 관통시켜 너트(80)로 가결합하여 상기 제2브래킷(20)을 제1브래킷(10)에 임시 고정하는 단계.
4. 상기 제1삽입부(221)와 제2삽입부(312)를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제3설치홀(222)과 제4설치홀(313)로 볼트(90)를 관통시켜 너트(80)로 가결합하여 제3브래킷(30)을 제2브래킷(20)에 임시 고정하는 단계.
5. 상기 지주(50)를 지주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축(z) 및 지주(50)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고 상호 교차하는 두 축(x, y)에 대해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지주(50)에 난간대(60)를 연결하는 단계.
6. 상기 너트(80)를 단단히 조여 상기 제1브래킷(10), 상기 제2브래킷(20) 및 상기 제3브래킷(30)을 최종 고정하는 단계.
본 발명의 난간 구조에 따르면,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의 연결구조 및 제2브래킷과 제3브래킷의 연결 구조로 인해, 지주가 설치되는 바닥의 각도에 관계 없이, 지주를 수직으로 세우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난간 구조에 따르면, 제1브래킷을 바닥에 설치할 때 바닥에 수직인 축에 대해 제1브래킷의 방향을 회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지주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뿐만 아니라, 지주가 바라보는 방향을 정확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난간 구조에 따르면,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과 제3브래킷을 현장에서 차례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높고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쉽게 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난간 지주의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브래킷이 지면에 설치되는 과정을 y축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브래킷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브래킷이 설치되는 과정을 y축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브래킷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브래킷이 설치되는 과정을 x축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3브래킷이 설치되는 과정을 y축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과 제3브래킷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주가 설치되는 과정을 y축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난간 지주의 제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 구조물이 경사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 구조물이 굴절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난간 지주의 하부 구조]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지주의 하부 구조는 x축, y축 및 z축으로 모두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하부 구조 중 바닥에 설치되는 제1브래킷(10)은 지주를 z축 방향(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그 방향을 회전 조정할 수 있다. 제1브래킷(10)에 설치되는 제2브래킷(20)은, 제1브래킷(10)에 대해 y축 방향(지면에 수평한 제1방향)을 기준으로 그 방향을 회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브래킷(20)에 설치되는 제3브래킷(30)은, 제2브래킷에 대해 x축 방향(지면에 수평하고,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기준으로 그 방향을 회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의 회전 조정에 의해, 바닥의 각도와 관계 없이 지주를 수직으로 세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z축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의 회전 조정에 의해, 지주가 바라보는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난간 지주의 하부 구조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브래킷]
제1브래킷(10)은 평평한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는 바닥판(11)을 포함한다. 바닥판(11)은 대략 정사각형 형태의 판재일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의 형상은 원형일 수도 있다. 가령 상부에 설치되는 지주(50)의 단면이 정사각형이라면, 바닥판(11)의 형상을 이와 일치시켜 통일감을 줄 수 있고, 상부에 설치되는 지주(50)의 단면이 원형이라면, 바닥판(11)의 형상을 이와 일치시켜 통일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사각형 형상과 원형 형상의 바닥판(11)은 후술할 바닥설치홀(111)을 형성할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고, 아울러 제1수직판(12)과 보강리브(13)가 연결될 공간도 충분히 확보된다.
정사각형의 바닥판(11)의 네 코너 부위에는 호 형상의 바닥설치홀(111)이 형성된다. 네 바닥설치홀(111)은 바닥판(11)의 중심에 대해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고, 동일한 제1반경을 가진다. 네 바닥 설치홀(111)은 정사각형의 바닥판(11)의 각 변의 중앙 부근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브래킷(10)의 상부에는 제1브래킷(10)과 거의 동일한 평면 단면적을 가지는 지주(50)가 설치되므로, 상기 바닥설치홀(111) 위로 노출되는 너트(80)나 앙카볼트(70)는 외부에서 거의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 바닥판(11)에는, 상기 바닥판(11)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형태의 제1수직판(12)이 설치된다. 상기 제1수직판(12)은, 상기 바닥판(11)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정사각형 바닥판(11)의 마주하는 두변의 중앙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바닥판(11)의 상부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1수직판(12)은 폭과 높이의 비율이 2:3 정도가 된다. 그리고 제1수직판(12)의 상단부는 반원 형태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상부곡면(121)이 마련된다. 제1수직판(12)은, 수직으로 세워진 정사각형 형태의 판 위에 수직으로 세워진 반원 형태의 판이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수직판(12)은, 보강리브(13)에 의해 상기 바닥판(11)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된다. 보강리브(13)는 대략 직각삼각형 형태로서, 서로 수직을 이루는 두 변이 각각 바닥판(11)과 제1수직판(12)에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3)는 상기 제1수직판(12)의 양면의 하부 중앙부에 마련된다. 즉 보강리브(13)와 제1수직판(12)은 서로 수직을 이루며 상호 연결된다.
상기 제1수직판(12)이 상기 바닥판(11)과 연결되는 부위는, 이웃하는 바닥 설치홀(111)이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배치된다. 또한 보강리브(13)가 상기 바닥판(11)에 연결되는 부위 역시, 이웃하는 바닥 설치홀(111)이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배치된다. 즉 바닥 설치홀(111)은 상기 제1수직판(12)과 보강리브(13)를 회피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판(12)에는 y축 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형 홀 형상의 제1체결부(122)가 마련된다. 제1체결부(122)는 대략 상기 상부곡면(121)의 반원 형상의 중심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판(12)에서 상기 제1체결부(122)의 둘레에는, 상기 제1체결부(122)를 중심으로 동일한 제2반경을 가지는 제1설치홀(123)이 마련된다. 제1설치홀(123) 역시 y축 방향으로 관통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1설치홀(123)은 제1체결부(122)를 중심으로 대각선 상방과 대각선 하방 부분에 각각 두 개씩 총 네 개가 마련된다. 이들 중 하부에 배치되는 두 제1설치홀(123) 사이의 제1수직판(12) 부분에는 상기 보강리브(13)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과 제1수직판(12)과 보강리브(13)는 상호 용접 연결되는 금속 판재일 수 있다.
[제2브래킷]
제2브래킷(20)은, 상기 제1수직판(12)과 회전 가능하게 면 접촉하며 연결되는 제2수직판(21)과, 상기 제2수직판(21)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제2수직판(21)에 직교하며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측면판(22)을 포함한다. 상기 제2수직판(21)과 제1측면판(22)은 상호 용접 연결되는 금속 판재일 수 있다.
제2수직판(21)은 상기 제1수직판(12)을 뒤집어 놓은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수직판(21)은 폭과 높이의 비율이 2:3 정도가 된다. 그리고 제2수직판(21)의 하단부는 반원 형태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하부곡면(211)이 마련된다. 제2수직판(21)은, 수직으로 세워진 정사각형 형태의 판 아래에 수직으로 세워진 반원 형태의 판이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수직판(21)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돌기 형상의 제2체결부(212)가 마련된다. 상기 제2수직판(21)의 원통형 돌기의 직경은 상기 제1수직판(12)의 원형 홀의 직경과 대응하여서, 상기 제1체결부(122)와 제2체결부(212)를 체결하면 이들을 중심으로 제1브래킷(10)과 제2브래킷(20)이 y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212)는 대략 상기 하부곡면(211)의 반원 형상의 중심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판(21)에서 상기 제2체결부(212)의 둘레에는, 상기 제2체결부(212)를 중심으로 동일한 제2반경을 가지는 제2설치홀(213)이 마련된다. 즉 제1설치홀(123)과 제2설치홀(213)의 반경은 서로 같다. 제2설치홀(213) 역시 y축 방향으로 관통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2설치홀(213)은 제2체결부(212)를 중심으로 대각선 상방과 대각선 하방 부분에 각각 두 개씩 총 네 개가 마련된다.
상기 제1설치홀(123)과 제2설치홀(213) 모두 장공의 형태이므로, 제1브래킷(10)을 기준으로 회전 시킬 수 있는 제2브래킷(20)의 변위가 그만큼 더 확보된다. 따라서 제1브래킷(10)이 설치되는 바닥의 경사각이 상당하더라도 제1브래킷(10)에 대해 제2브래킷(20)을 충분히 회전시킬 수 있어 지주(50)를 연직 방향으로 세우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수직판(21)의 양측에 연결되는 제1측면판(22)은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판재로서, 상기 제2수직판(21)에서 정사각형에 해당하는 부위의 양 측면에 직교하며 용접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판(22)의 직경은, 대략 상기 제2수직판(21)의 정사각형 부분의 한 변의 길이와 대응한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1브래킷의 보강리브와 유사하게, 상기 제2수직판(21)과 제1측면판(22)은 보강리브(미도시)에 의해 서로 보강 연결될 수 있다. 보강리브는 제2수직판과 제1측면판에 모두 수직은 직각삼각형 판재 형태일 수 있으며,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측면판의 중심 부근과 만나도록 상기 제2수직판 및 상기 제1측면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판(22)의 외측면에는, 제1측면판(22)의 상단부에서 중심부까지 연장되는 장홈 형태의 제1삽입부(221)가 구비된다. 상기 제1삽입부(221)에는, 후술할 제3브래킷(30)의 제2삽입부(312)가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중심부에 안착된다.
원형의 제1측면판(22)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둘레에는 제3반경을 가지는 원호형 장공 형태의 제3설치홀(222)이 복수 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설치홀(222)은 상기 제1측면판의 중심에 대해 대각선 하방으로 2개 구비된다.
제1수직판(12)과 제2수직판(21)은 하나의 판이 서로 접하면서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이 상호 연결되므로 두 판 사이의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4개의 설치홀(123, 213)이 각각 마련된다. 또한 제1수직판과 제2수직판 주위에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4개의 설치홀(123, 213)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는 작업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
반면 제1측면판(22)과 후술할 제2측면판(31)은 한 쌍씩 구비되므로 하나의 판에 2개의 설치홀(222, 313)이 구비되더라도 4개의 볼트와 너트를 체결할 수 있어 충분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 제1측면판(22)과 제2측면판(31)의 상부에는, 그 하부보다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볼트와 너트 체결 작업이 다소 번거로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설치홀(222)이 상기 제1측면판의 중심에 대해 대각선 하방으로 2개 구비되는 형태를 개시한다.
[제3브래킷]
제3브래킷(30)은 지주(50)와 연결되는 연결부(39)를 구비한다.
지주(50)는 대략 정사각형의 관봉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39)는, 상부로 개방되고 상기 지주(50)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직육면체 공간을 규정하는 바닥부재(391)와 측면부재(39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부(39)가 지주(50)에 외삽되는 방식의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연결부(39)가 지주(50)에 연결되는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9)는 지주(50)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지주(50)의 하단부 자체가 연결부(39)를 이룰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39)의 양단에는 한 쌍의 제2측면판(31)이 각각 설치된다. 제2측면판(31)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측면판(22)의 두 외측면 사이의 거리와 대응한다. 즉 제2측면판(31)의 내측면은 상기 제1측면판(22)의 외측면과 서로 마주하며 접하게 된다. 상기 제2측면판(31)은 대략 "U"자 형태의 프로파일을 구비하며, 폭과 높이의 비가 1 : 1 내지 1 : 1.1 정도가 된다. 즉 제2측면판(31)의 높이는 제3브래킷(30)을 제2브래킷(20)을 기준으로 회전 조정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최소한의 치수로 규정된다. 상기 제2측면판(31)의 하단부는 반원 형태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하부곡면(311)이 마련된다.
상기 제2측면판(31)의 내측면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돌기 형상의 제2삽입부(312)가 마련된다. 상기 제2측면판(31)의 원통형 돌기의 직경은 상기 제1측면판(22)의 외측면에 마련된 장홈의 폭과 대응하여서, 상기 제2삽입부(312)를 상기 제1삽입부(221)에 삽입하여 안착시키면 이들을 중심으로 제2브래킷(20)과 제3브래킷(30)이 x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312)는 대략 상기 하부곡면(311)의 반원 형상의 중심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판(31)에서 상기 제2삽입부(312)의 부근에는, 상기 제2삽입부(312)를 중심에서 제3반경 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제4설치홀(313)이 마련된다. 즉 제1삽입부(221)에서 제3설치홀(222) 사이의 거리와, 제2삽입부(312)에서 제4설치홀(313) 사이의 거리는 서로 같다. 제4설치홀(313)은 x축 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형 홀 형상을 가진다. 제4설치홀(313)은 제2삽입부(312)를 중심으로 대각선 하방 부분에 각각 하나씩 두 개가 마련된다.
제4설치홀(313)은 난간 지주 설치 시 외부에서 눈에 띄는 위치에 있고, 이미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의 회전 가능 변위가 두 장공 형상의 설치홀(123, 213)에 의해 충분히 확보되므로, 제4설치홀(313)까지 장공 형상일 필요는 없다. 물론 제4설치홀(313)이 장공 형상이라고 해서 문제될 것은 없다.
도시하지는 제2측면판(31)과 연결부(39) 사이에도 보강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리브의 형상에 대해서는 앞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상기 제1측면판(22)의 외측면에는, 제1측면판(22)의 상단부에서 중심부까지 연장되는 장홈 형태의 제1삽입부(221)가 구비된다. 상기 제1삽입부(221)에는, 후술할 제3브래킷(30)의 제2삽입부(312)가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중심부에 안착된다.
앞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브래킷들의 재질을 금속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고강도 플라스틱 역시 브래킷의 재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시공 방법]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하부 구조를 구비하는 난간 지주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앙카볼트(70)를 4개 설치한다. 그리고 앙카볼트(70)가 관통하도록 제1브래킷(10)의 바닥설치홀(111)을 끼우며, 상기 제1브래킷(10)을 지면에 거치하고 너트(80)를 앙카볼트(70)에 체결한다. 이 때 지면에 대해 제1브래킷(10)을 회전시키는 것은 가능하되, 제1브래킷(10)이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만큼 너트(80)를 앙카볼트(70)에 가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브래킷(10)은 제2브래킷(20)과 분리된 상태에서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앙카볼트(70)와 너트(80)를 가 체결하는 작업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고, 그만큼 제1브래킷을 지면에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 고정된 제1브래킷(10)에 제2브래킷(30)을 설치한다. 제1브래킷(10)과 제2브래킷(20)은, 하나의 제1수직판(12)과 하나의 제2수직판(21)을 서로 접하도록 하며 제1수직판(12)의 제1체결부(122)에 제2수직판(21)의 제2체결부(212)를 끼우는 작업으로 쉽게 상호 연결된다. 이어서, 제1브래킷(10)의 제1설치홀(123)과 제2브래킷(20)의 제2설치홀(213)을 통해, 볼트(90)와 너트(80)와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제1브래킷(10)과 제2브래킷(20)을 상호 고정한다. 이때, 제1브래킷(10)에 대해 제2브래킷(20)을 회전시키는 것은 가능하되, 제2브래킷(20)이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만큼 볼트(90)와 너트(80)를 가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브래킷(20)은 제3브래킷(30)과 분리된 상태에서 제1브래킷(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90)와 너트(80)를 설치홀(123, 213)에 가 체결하는 작업 공간은 충분히 확보된다.
제1브래킷(10)에 대해 제2브래킷(20)을 회전시킬 때, 제2브래킷(20)의 제1측면판(22)이 제1브래킷(10)의 제1수직판(12)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수직판(12)의 상부에 상부곡면(121)을 형성하고, 상기 제2수직판(21)의 폭이 상기 제1수직판(12)의 폭보다 약간 더 큰 치수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 고정된 제2브래킷(20)에 제3브래킷(30)을 설치한다. 제2브래킷(20)과 제3브래킷(30)은, 상기 제2측면판(31)의 제2삽입부(312)가 상기 제1측면판(22)의 제1삽입부(221)에 삽입되고, 한 쌍의 제2측면판(31) 내측면이 한 쌍의 제1측면판(22)의 외측면에 접하여, 상호 연결된다. 작업자는 상기 제1삽입부(221)의 개방된 장공 상부에 상기 제2삽입부(312)의 원통형 돌기를 정렬시켜 끼워 넣게 되며, 제2삽입부(312)를 제1삽입부(221)의 장공 하단부에 안착시킴으로써, 제2브래킷(20)과 제3브래킷(3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어서, 제2브래킷(20)의 제3설치홀(222)과 제3브래킷(30)의 제4설치홀(313)을 통해, 볼트(90)와 너트(80)와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제2브래킷(20)과 제3브래킷(30)을 상호 고정한다. 이때, 제2브래킷(20)에 대해 제3브래킷(30)을 회전시키는 것은 가능하되, 제3브래킷(30)이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만큼 볼트(90)와 너트(80)를 가체결한다.
그리고 연결부(39)에 지주(50)를 연결하며,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50)와 난간대(60)를 설치한다. 제1 내지 제3 브래킷(10, 20, 30)은 가체결되어 있으므로, 지주(50)는 x축 방향, y축 방향, 그리고 z축 방향으로 모두 회전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지주(50)를 회전시켜 지주(50)를 수직으로 세울 수 있음은 물론, z축을 기준으로 지주(50)를 회전시켜 난간대(60)에 대한 지주(50)의 연결 위치 역시 쉽게 정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렬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80)를 강하게 조여 제1 내지 제3브래킷을 최종 고정 체결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 제1브래킷(10)은 개별 부품으로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반면 제2브래킷(20)과 제3브래킷(30)은, 제1브래킷(10)과 제2브래킷(20)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거나, 이미 제2브래킷(20)과 제3브래킷(30)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제1브래킷(10)에 설치될 수 있다. 어떠한 방식으로 하더라도, 작업 공간은 충분히 확보되므로, 시공이 용이하다.
상술한 발명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지주가 설치되는 바닥의 경사각이 다양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이 설치되는 길이 굴절되더라도 난간 지주의 방향을 쉽게 정렬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지주 하부 구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사항을 중심으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제1브래킷(10)은, 제1수직판(12)의 제1체결부(122)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돌기 형상이고, 제2브래킷(20)은 제2수직판(21)의 제2체결부(212)가 상기 원통형 돌기 형상과 상보적인 원형 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실시예의 제2브래킷(20)은 제1측면판(22)의 제1삽입부(221)가 제1측면판(22)의 외측면 중심에서 외향 연장되는 원통형 돌기 형상이고, 제3브래킷(30)은 제2측면판(31)의 제2삽입부(312)가 상하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원통형 돌기의 직경과 대응하는 폭을 구비하는 장홈 형상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과제 해결의 원리가 동일하다면, 다양한 균등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 제1브래킷
11: 바닥판
111: 바닥설치홀(호형 장공)
12: 제1수직판
121: 상부곡면(반원호)
122: 제1체결부(원형 홀, 원통형 돌기)
123: 제1설치홀(호형 장공)
13: 보강리브
20: 제2브래킷
21: 제2수직판
211: 하부곡면(반원호)
212: 제2체결부(원통형 돌기, 원형 홈)
213: 제2설치홀(호형 장공)
22: 제1측면판
221: 제1삽입부(장홈, 원통형 돌기)
222: 제3설치홀(호형 장공)
30: 제3브래킷
31: 제2측면판
311: 하부곡면(반원호)
312: 제2삽입부(원통형 돌기, 장홈)
313: 제4설치홀(원형 홀)
39: 연결부
391: 바닥부재
392: 측면부재
50: 지주
60: 난간대
70: 앙카볼트
80: 너트
90: 볼트

Claims (10)

  1. 고정하고자 하는 바닥에 접하는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1수직판(12)을 포함하는 제1브래킷(10);
    상기 제1수직판(12)에 면 접촉하며 고정되는 제2수직판(21)과, 상기 제2수직판(21)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제2수직판(21)의 측면에 연결되는 제1측면판(22)을 포함하는 제2브래킷(20);
    상기 제1측면판(22)에 면 접촉하며 고정되는 제2측면판(31)과, 상기 제2측면판(31)의 상부에 마련되는 연결부(39); 및
    상기 연결부(39)에 연결되는 지주(5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11)에는, 상기 바닥판(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제1반경을 가지는 원호형 장공 형상의 바닥설치홀(111)이 복수 개 마련되어, 바닥판(11)에 수직을 이루는 축(z)에 대해 바닥판(11)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여 제1브래킷(10)을 바닥에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제1수직판(12)과 상기 제2수직판(21)은 상기 제1수직판(12)과 제2수직판(21)에 수직한 축(y)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제1체결부(122)와 제2체결부(212)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수직판(12)에는 상기 제1체결부(122)와 제2체결부(212)에 의해 규정되는 상대적인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제2반경을 가지는 원호형 장공 형상의 제1설치홀(123)이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제2수직판(21)에는 상기 제1체결부(122)와 제2체결부(212)에 의해 규정되는 상대적인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제2반경을 가지는 원호형 장공 형상의 제2설치홀(213)이 마련되며, 상기 제1체결부(122)와 제2체결부(212)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설치홀(123)과 제2설치홀(213)이 상호 마주하여, 제1수직판(12)에 수직을 이루는 축(y)에 대해 제2수직판(21)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여 제2브래킷(20)을 제1브래킷(10)에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제1측면판(22)과 제2측면판(31)에는 상기 제1측면판(22)에 수직한 축(x)을 중심으로 상기 제1측면판(22)에 대해 상기 제2측면판(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삽입부(221)와 제2삽입부(312)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1측면판(22)에는 상기 제1측면판(22)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제3반경을 가지는 원호형 장공 형상의 제3설치홀(222)이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제2측면판(31)에는 상기 제2측면판(31)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3반경과 동일한 거리에 형성된 원형 홀 형상의 제4설치홀(313)이 복수 개 마련되어, 제1측면판(22)에 수직한 축(x)에 대해 제2측면판(31)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여 제3브래킷(30)을 제2브래킷(20)에 고정할 수 있는 난간 지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래킷(20)의 상기 제2수직판(21)은 하나 구비되는 난간 지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판(12)은 상기 바닥판(11)에 구비된 바닥설치홀(111) 사이를 가로지르며 상기 바닥판(11)에 연결되고,
    상기 제1수직판(12)과 바닥판(11)은, 상기 제1수직판(12)과 바닥판(11)에 모두 수직하게 연결되는 보강리브(13)를 통해 상호 보강 연결되며,
    상기 보강리브(13)는 상기 바닥판(11)에 구비된 바닥설치홀(111) 사이를 가로지르며 상기 바닥판(11)에 연결되는 난간 지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판의 상단부에는 반원호 형상의 상부곡면(121)이 마련되고,
    상기 제2수직판(21)의 하단부에는 반원호 형상의 하부곡면(211)이 마련되는 난간 지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122)와 상기 제2체결부(212) 중 어느 하나는 원형 돌기 형상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원형 돌기를 수용하는 형상인 난간 지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판(22)은 상기 제2수직판(21)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측면판(31)은 한 쌍의 상기 제1측면판(22)의 바깥쪽 면과 접하며,
    한 쌍의 상기 제2측면판(31)은 상기 연결부(39)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난간 지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221)는 상부로 개방되고 하단부가 회전 중심이 되는 장홈이고, 상기 제2삽입부(312)는 상기 장홈에 끼워지는 원통형 돌기인 난간 지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부(312)는 하부로 개방되고 상부가 회전 중심이 되는 장공이고, 상기 제1삽입부(221)는 상기 장공에 끼워지는 원통형 돌기인 난간 지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난간 지주가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난간 지주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난간대(60)를 구비하는 난간 구조물.
  10. 청구항 9의 난간 구조물의 시공 방법으로서,
    지면에 앙카볼트(70)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앙카볼트(70)를 바닥설치홀(111)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너트(80)를 앙카볼트(70)에 가체결하여 상기 제1브래킷(10)을 지면에 임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체결부(122)와 제2체결부(212)를 회전 가능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제1설치홀(123)과 제2설치홀(213)로 볼트(90)를 관통시켜 너트(80)로 가결합하여 상기 제2브래킷(20)을 제1브래킷(10)에 임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삽입부(221)와 제2삽입부(312)를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제3설치홀(222)과 제4설치홀(313)로 볼트(90)를 관통시켜 너트(80)로 가결합하여 제3브래킷(30)을 제2브래킷(20)에 임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지주(50)를 지주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축(z) 및 지주(50)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고 상호 교차하는 두 축(x, y)에 대해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지주(50)에 난간대(60)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너트(80)를 단단히 조여 상기 제1브래킷(10), 상기 제2브래킷(20) 및 상기 제3브래킷(30)을 최종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간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0180108568A 2018-09-11 2018-09-11 자세 조정이 용이한 난간 지주, 이를 이용한 난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932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568A KR101932012B1 (ko) 2018-09-11 2018-09-11 자세 조정이 용이한 난간 지주, 이를 이용한 난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568A KR101932012B1 (ko) 2018-09-11 2018-09-11 자세 조정이 용이한 난간 지주, 이를 이용한 난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012B1 true KR101932012B1 (ko) 2018-12-24

Family

ID=6501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568A KR101932012B1 (ko) 2018-09-11 2018-09-11 자세 조정이 용이한 난간 지주, 이를 이용한 난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771B1 (ko) * 2019-05-07 2019-10-08 이유복 창틀 설치용 브래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204B1 (ko) * 2016-10-14 2017-05-24 이문희 펜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204B1 (ko) * 2016-10-14 2017-05-24 이문희 펜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771B1 (ko) * 2019-05-07 2019-10-08 이유복 창틀 설치용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418B1 (ko)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KR101054261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KR101302070B1 (ko) 각도와 방향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장치
US20140334874A1 (en) Panel mount system
US11692383B2 (en) Hinge assembly for elevational rails
WO2009009898A1 (en) Concrete slab depth varying system
US200701308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 structure on an uneven surface
KR101932012B1 (ko) 자세 조정이 용이한 난간 지주, 이를 이용한 난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088599B1 (ko) 각도 조정이 용이한 조립식 난간 구조
KR101828272B1 (ko) 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
BR112021015899A2 (pt) Montagem de âncora e balaustrada para ancorar uma balaustrada em uma estrutura
US20200277792A1 (en) Railing System With Concealed Anchor System
JP5399867B2 (ja) 仮設足場用支持装置
KR101878647B1 (ko) 난간 기둥장치
JP3787340B2 (ja) 地上設置物の支柱と横枠の連結構造
EP1989367A1 (en) Balustrading
KR20050034707A (ko) 비계 파이프 어셈블리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20120033608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연결장치
CA3021523A1 (en) Framing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20120012802A1 (en) Rail Assembly Having a Baluster Swing Bracket
KR101099637B1 (ko) 핸드레일 서포트어셈블리
JP6313553B2 (ja) 屋根用仮設てすり及び屋根用仮設てすりの取付方法
WO2011076559A1 (en) Protective rail support
KR20070010089A (ko)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