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888U - 조립식 안전 울타리 - Google Patents

조립식 안전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888U
KR20110003888U KR2020090013365U KR20090013365U KR20110003888U KR 20110003888 U KR20110003888 U KR 20110003888U KR 2020090013365 U KR2020090013365 U KR 2020090013365U KR 20090013365 U KR20090013365 U KR 20090013365U KR 20110003888 U KR20110003888 U KR 201100038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connecting ring
fence member
members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한
Original Assignee
권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한 filed Critical 권영한
Priority to KR2020090013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888U/ko
Publication of KR201100038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8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47D13/065Children's play- pens foldable with rigid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6Children's play- pens dismoun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된 안전울타리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조립식 안전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안전울타리는 복수의 울타리 부재가 나란하게 연결되어 형성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로서, 상기 울타리 부재들이 서로 결합되는 연결부의 정면과 배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울타리 부재들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안전울타리, 조립식, 울타리부재, 고정부재

Description

조립식 안전 울타리{Assembly Type Safety Fence}
본 고안은 조립식 안전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된 안전울타리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조립식 안전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어린 아이들이 노는 동안에는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기어다니거나, 막 걸음마를 배운 유아는 사고 능력이 약하므로 보호자가 방심하는 사이에 안전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아이들이 노는 동안 보호자의 시야에서 멀리 벗어나지 않고 제한된 공간에서 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아이들을 위한 놀이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안전울타리가 사용되고 있다. 유아용 안전울타리는 복수의 울타리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울타리를 형성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별도의 핀을 이용해 각각의 울타리부재를 연결시킴으로써 조립식 안전울타리를 조립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러한 조립식 안전울타리는 설치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 울타리 부재의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체를 인접하는 울타리 부재의 연결체와 체결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핀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조립이 가능한 울타리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울타리 부재의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체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연결체가 형성하는 연결부가 견고하게 지탱되지 못하고 외부 힘에 의해 틈새가 벌어지거나 분리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조립된 안전울타리가 조립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울타리 부재들이 서로 결합되는 연결부에 간단한 구조의 고정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조립식 안전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안전울타리는 복수의 울타리 부재가 나란하게 연결되어 형성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로서, 상기 울타리 부재들이 서로 결합되는 연결부의 정면과 배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울타리 부재들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의 양단부에서 구부러져서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측부고정판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두개의 측부고정판 사이에 상기 연결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고정판이 상기 연결부의 상면을 지지하고, 상기 두 개의 측부고정판이 각각 상기 연결부의 정면과 배면을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측부고정판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울타리 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울타리 부재의 정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 1 연결고리와, 상기 울타리 부재의 배면에서 정면을 향 하여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 2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울타리 부재의 상기 제 1 연결고리는 인접한 울타리 부재의 제 2연결고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연결고리는 인접한 울타리 부재의 제 1 연결고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인접한 울타리 부재들은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1 연결고리와 상기 제 2 연결고리가 맞물려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두개의 측부고정판 사이에는 상기 제1연결고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수용홈과, 상기 제2연결고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수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안전울타리에 의하면, 고정부재를 인접한 울타리부재의 연결부에 결합시켜 인접한 안전울타리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울타리부재의 연결부와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울타리(10)의 조립 사시도이 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울타리(10)는 복수의 울타리부재(100, 200)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울타리부재(100)와 네 개의 울타리부재(200)가 상호 결합되어 조립식 안전울타리(10)를 형성하며, 조립식 안전울타리(10)의 내부에는 대략 정사각형 형상의 내부 공간(1)이 형성된다.
울타리부재(10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조립식 안전울타리(10)의 면을 형성하며, 울타리부재(100)의 크기와 개수에 의해서 실질적인 내부 공간(1)의 크기가 결정된다. 즉, 울타리부재(100) 자체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또는 복수의 울타리부재(100)가 안전울타리(10)의 한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내부 공간(1)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울타리부재(100)의 면에는 복수의 제1통공(130)이 형성된다. 제1통공(130)은 지면을 기준으로 할 때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내부 공간(1)을 향하는 면을 울타리부재(100, 200)의 배면이라고 할 때, 통공(130)은 울타리부재(100)의 정면과 배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통공(130)이 형성됨에 따라서 울타리부재(100)의 전체 중량이 감소되어 쉽게 운반이 가능하다. 또한, 조립된 안전울타리(10)의 외부에서 내부 공간(1)을 관찰할 수 있게 되어, 내부 공간(1)에서 어린 아이가 놀고 있을 때, 보호자가 멀리서도 아이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울타리부재(200)는 아크형태로 부드럽게 연결되며, 약 90도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울타리부재(200)의 양 측면에 각각 울타리부재(100)가 연결되며, 울타 리부재(200)의 양 측면에 결합된 두 울타리부재(100)가 서로 대략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록 함으로써 사각형 형태의 내부 공간(1)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울타리부재(200)는 두 울타리(100)가 서로 대략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므로 내부 공간(1)이 대략 사각형 형태가 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울타리부재(200)가 90도보다 큰 각도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져서, 내부 공간(1)이 5각형 또는 그보다 많은 꼭지점을 가지는 다각형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타리부재(200)는 울타리부재(100)과 마찬가지로 내부 공간(1)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공(23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공간(1)을 형성하기 위해서, 평평한 판 형태의 울타리부재(100)과,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울타리부재(200)가 구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울타리부재(100) 자체가 아크형태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져서, 울타리부재(200)가 없이도 울타리부재(100) 상호간 결합하여 원 또는 타원 형태 등의 형태를 가지는 내부 공간(1)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울타리부재(100, 200)는 탄성을 가진 합성 수지를 재료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울타리(10)는 복수의 울타리부재(100, 200)가 연결부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하, 울타리부재(100, 200) 간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부재(100, 200)의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연결고리(110, 210) 및 제 2 연결고리(120, 220)가 울타리부재(100, 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체이며, 상기 연결체들이 상호 결합되어 연결부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타리부재(100)의 일측면에는 울타리부재(100)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10A)와, 연장부(110A)에서 대략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울타리부재(100)의 배면을 향해 연장되는 절곡부(110B)로 이루어지는 제 1 연결고리(110)가 울타리부재(100)의 측면의 상하단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110A)는 울타리부재(100)의 정면 쪽에 가까운 측면에서 길게 연장된다.
또한, 울타리부재(100)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20A)와, 연장부(120A)에서 대략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울타리부재(100)의 정면을 향해 연장되는 절곡부(120B)로 이루어지는 제 2 연결고리(120) 하나가 상기 두개의 제 1 연결고리(110) 사이의 중간 지점에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120A)는 울타리부재(100)의 배면 쪽에 가까운 측면에서 길게 연장된다.
울타리부재(100)의 다른 측면에는 울타리부재(100)의 측면의 상하단에 제 2 연결고리(120)가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제 1 연결고리(110)가 하나 구비된다.
울타리부재(200)의 일측면에는 울타리부재(200)의 측면의 상하단에 제 1 연결고리(210)가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제 2 연결고리(220)가 하나 구비되고, 다른 측면에는 울타리부재(200)의 측면의 상하단에 제 2 연결고리(220)가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제 1 연결고리(210)가 하나 구비된다.
즉, 하나의 울타리부재(100, 200)의 양 측면 모두에는 제 1 연결고리와 제 2 연결고리가 모두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연결고리와 제 2 연결고리는 교번하여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타리부재(1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1 연결고리(110)의 위치는, 인접하는 울타리부재(2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2 연결고리(220)의 위치와 대응된다. 울타리부재(1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2 연결고리(120)의 위치는, 인접하는 울타리부재(2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1 연결고리(210)의 위치와 대응된다. 즉, 하나의 울타리부재(100)의 양측면에 구비된 제 1연결고리(110)는 인접하는 울타리부재(200)의 일측에 형성된 제 2 연결고리(220)와 대응되어 체결되고, 제 2 연결고리(120)는 인접하는 울타리부재(20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연결고리(210)와 대응되어 체결된다.
도 3은 울타리부재(100)의 제 1 연결고리(110)와 울타리부재(200)의 제 2 연결고리(220)의 연결관계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에서 아래쪽 방향을 울타리부재(100)의 배면측, 즉, 내부 공간(1)(도 1 참조)이 형성된 측이라고 하고, 위쪽 방향을 정면측이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연결고리(110)와 제 2 연결고리(220)는 합성 수지 재질인 울타리 부재의 몸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연결고리(110)와 제 2 연결고리(220)는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연장부를 살짝 구부려서 상기 절곡부가 인접한 울타리 부재의 상기 연장부와 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도록 하면, 탄성에 의해 구부러졌던 상기 연장부가 원래대로 복귀하게 되어 두 울타리부재의 제 1 연결고리(110)와 제 2 연결고리(220)가 서로 맞물려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제 1 연결고리(110)와 제 2 연결고리(22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되며, 절곡부(110B, 220B)는 울타리부재(100, 200)의 (도 3에서) 좌우측면 방향에서 울타리부재(100, 200)에 대해 작용하는 힘에 대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연장부(110A)는 울타리부재(200)에 대해 정면 쪽 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 제2연결고리(220)를 지지한다. 반면에 연장부(220A)는 울타리부재(100)에 대해 배면 쪽 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 제1연결고리(110)를 지지하여 울타리부재(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은 결합에 의해 제1 연결고리(110) 및 제 2 연결고리(220)는 울타리부재(100) 및 울타리부재(200)를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부(30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울타리부재(100)의 제 2 연결고리(120)와 울타리부재(200)의 제 1 연결고리(210)의 결합관계 및 지지관계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연결고리(110)와 제 2 연결고리(220)의 결합관계 및 지지관계와 반대가 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울타리부재(100, 200)의 양 측면 모두에 제 1 연결고리와 제 2 연결고리가 모두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연결고리와 제 2 연결고리가 교번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울타리부재(100)와 울타리부재(200)가 결합되는 경우 결합면을 형성하는 면에서 도 3에 도시된 결합관계 및 이와 반대인 결합관 계(미도시)가 동시에 형성되므로, 울타리부재(100, 200)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다만, 제 1 연결고리 및 제 2 연결고리는 서로 접착되거나 억지 끼움되어 있는 관계가 아니므로, 사용 중에 제 1 연결고리와 제 2 연결고리가 서로 이격되어 연결부에 틈새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고리 및 제 2 연결고리가 형성하는 연결부는 안전울타리(10)의 상하 방향으로는 지지력을 가지지 못하므로, 울타리부재(100)와 울타리부재(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울타리(10)는 울타리부재(100)와 울타리부재(200)의 결합관계를 보완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구비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울타리(10)는 울타리부재(100)와 울타리부재(200)의 연결부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한다(부호 "A" 참조).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울타리부재(100)와 울타리부재(200)의 연결부(300)에 고정 부재(310)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b는 울타리부재(100)와 울타리부재(200)의 연결부(300)에 고정 부재(310)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310)는 상부고정판(311)과, 상부고정판(311)의 양단부에서 구부러져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측부고정판(312, 313)을 구비한다. 측부고정판(312)에는 사각형 모양의 개구부(314)가 형성되며, 다른 측부고정판(313)에도 동일한 모양의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연결고리(110)에는 측부고정판(312)의 개구부(314)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돌기(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연결고리(220)에는 측부고정판(313)의 개구부(미도시)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b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310)는 두 측부고정판(312, 313) 사이에 연결부(300)를 위치시킨 뒤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끼워 넣는 방식으로 연결부(300)에 결합된다. 이때, 제1연결고리(110) 및 제2연결고리(220)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두 측부고정판(312, 313)에 형성된 개구부에 끼워져서, 고정 부재(310)가 연결부(30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결합에 의해서, 고정 부재(310)의 두 측부고정판(312, 313)은 제1연결고리(110) 및 제2연결고리(220)를 정면과 배면 방향에서 지지하여 제1연결고리(110) 및 제2연결고리(220)가 서로 벌어져서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고정판(311)은 제1연결고리(110) 및 제2연결고리(220)의 상면을 지지하여 울타리부재(100) 및 울타리부재(200)가 서로 상하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고정부재(310)에 의하여 울타리부재(100, 200)의 결합관계가 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연결부(300)가 서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이 없이 체결되도록 제1연결고리(100) 및 제2연결고리(220)를 제조하는 것은 가공 기술의 한계 등으로 인해 어려운 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고리(110) 및 제2연결고리(220)는 체결시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고 일정한 틈을 가질 수 있다(도 6 참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310)의 두 측부고정판(312, 313) 사이에 제1연결고리(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수용홈(316)과, 상기 제2연결고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수용홈(317)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310)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홈(316)은 구부러져 형성되는 격벽(318)과 측부고정판(312)에 의해 형성되며, 제2수용홈(317)은 구부러져 형성되는 격벽(319)과 측부고정판(313)에 의해 형성된다. 도 5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홈(316)과 제2수용홈(317)의 형상은 상기 연결고리의 형상에 대응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310)가 연결부(300)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 부재(310)는 단면이 도시되었으며,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310)는 연결부(300)에 결합될 때, 제1연결고리(110) 및 제2연결고리(220)는 각각 제1수용홈(316) 및 제2수용홈(317)에 수용된다. 이때, 격벽(318, 319)은 제1연결고리(110) 및 제2연결고리(2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메우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에 의해서, 제1연결고리(110)와 제2연결고리(220)가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고정 부재(310)가 연결 부(300)에 더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시의 편의를 위해 도 1에는 울타리부재(100)와 울타리부재(200)의 연결부위 중 한 군데에만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선택에 따라서 고정부재는 울타리부재(100)와 울타리부재(200)를 연결하는 연결부 모두 또는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울타리(10)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부재(100, 200)의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울타리부재(100)의 제 1 연결고리(110)와 울타리부재(200)의 제 2 연결고리(220)의 연결관계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4a는 울타리부재(100)와 울타리부재(200)의 연결부(300)에 고정 부재(310)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b는 울타리부재(100)와 울타리부재(200)의 연결부(300)에 고정 부재(310)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31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310)가 연결부(300)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Claims (5)

  1. 복수의 울타리 부재(100, 200)가 나란하게 연결되어 형성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10)로서,
    상기 울타리 부재들이 서로 결합되는 연결부(300)의 정면과 배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울타리 부재들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부고정판(311)과, 상기 상부고정판의 양단부에서 구부러져서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측부고정판(313, 314)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두개의 측부고정판 사이에 상기 연결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고정판(311)이 상기 연결부의 상면을 지지하고,
    상기 두 개의 측부고정판(313, 314)이 각각 상기 연결부의 정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측부고정판에는 개구부(314, 315)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11, 2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 부재(100, 200)의 양측에는 상기 울타리 부재의 정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 1 연결고리(110, 210)와, 상기 울타리 부재의 배면에서 정면을 향하여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 2 연결고리(120, 220)가 구비되고,
    상기 울타리 부재(100, 200)의 상기 제 1 연결고리(110, 210)는 인접한 울타리 부재의 제 2연결고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연결고리(120, 220)는 인접한 울타리 부재의 제 1 연결고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인접한 울타리 부재들은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1 연결고리와 상기 제 2 연결고리가 맞물려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두개의 측부고정판 사이에는 상기 제1연결고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수용홈(316)과, 상기 제2연결고리의 형상에 대응 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수용홈(3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울타리(10).
KR2020090013365U 2009-10-14 2009-10-14 조립식 안전 울타리 KR201100038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365U KR20110003888U (ko) 2009-10-14 2009-10-14 조립식 안전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365U KR20110003888U (ko) 2009-10-14 2009-10-14 조립식 안전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888U true KR20110003888U (ko) 2011-04-20

Family

ID=4420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365U KR20110003888U (ko) 2009-10-14 2009-10-14 조립식 안전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888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988Y1 (ko) * 2016-05-23 2017-07-18 (주)에스엠코프 베이비룸 연결판
KR20190001740U (ko) 2017-12-29 2019-07-09 김영식 어린이 놀이집
KR200490303Y1 (ko) 2018-05-23 2019-10-24 주식회사 야야 베이비룸 이중 잠금장치
CN110811221A (zh) * 2018-08-09 2020-02-21 梦孩株式会社 幼儿用组装式围栏
KR200491397Y1 (ko) 2018-11-20 2020-04-01 주식회사 야야 어린이 놀이집
KR20200000765U (ko) 2018-09-14 2020-04-17 정순란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KR102153940B1 (ko) 2019-09-24 2020-09-09 주식회사 야야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KR20210002847A (ko) 2019-07-01 2021-01-11 강홍기 유아용 구조물 보드 제조용 금형 및 유아용 구조물 보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988Y1 (ko) * 2016-05-23 2017-07-18 (주)에스엠코프 베이비룸 연결판
KR20190001740U (ko) 2017-12-29 2019-07-09 김영식 어린이 놀이집
KR200490303Y1 (ko) 2018-05-23 2019-10-24 주식회사 야야 베이비룸 이중 잠금장치
CN110811221A (zh) * 2018-08-09 2020-02-21 梦孩株式会社 幼儿用组装式围栏
KR20200000765U (ko) 2018-09-14 2020-04-17 정순란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KR200491397Y1 (ko) 2018-11-20 2020-04-01 주식회사 야야 어린이 놀이집
KR20210002847A (ko) 2019-07-01 2021-01-11 강홍기 유아용 구조물 보드 제조용 금형 및 유아용 구조물 보드
KR102153940B1 (ko) 2019-09-24 2020-09-09 주식회사 야야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3888U (ko) 조립식 안전 울타리
EP2629864B1 (en) A toy building set
KR102245463B1 (ko) 완구 조립 세트용 조립판 및 이러한 조립판을 구비하는 완구 조립 세트
US4050184A (en) Multi-component, spherical, assemblable toy
KR100573347B1 (ko) 테넌에 의하여 스냅으로 상호 연결되는 완구 조립 세트
CZ285819B6 (cs) Soustava stavebnicových kostek
KR101896144B1 (ko) 조립식 완구블럭
KR20080108178A (ko)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
KR20110003889U (ko) 조립식 안전 울타리
KR20130047377A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200483988Y1 (ko) 베이비룸 연결판
KR102087641B1 (ko)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KR20110101739A (ko)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KR20100005309U (ko) 조립식 안전 울타리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JP2017106260A (ja) 基礎パッキン
JP3153111U (ja) 組合せブロック玩具
KR102519102B1 (ko) 정리함으로 변형되는 베이비룸
KR20130045988A (ko) 유아용 블록완구
KR20170028770A (ko) 탄성체로 이루어진 체결구를 갖는 조립식 블록
KR20200005036A (ko) 안전 울타리를 지지하는 원형 받침대
JP3129158U (ja) 多目的組み合わせ構造
JP3243020U (ja) モジュール化ペット寝具
KR101109171B1 (ko) 블럭완구
KR200452559Y1 (ko) 조립식 완구 블록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