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70Y1 - 조립용 완구 유닛 - Google Patents

조립용 완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70Y1
KR200497470Y1 KR2020220001064U KR20220001064U KR200497470Y1 KR 200497470 Y1 KR200497470 Y1 KR 200497470Y1 KR 2020220001064 U KR2020220001064 U KR 2020220001064U KR 20220001064 U KR20220001064 U KR 20220001064U KR 200497470 Y1 KR200497470 Y1 KR 200497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disposed
support member
height adjustmen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2128U (ko
Inventor
최용수
최지원
Original Assignee
최용수
최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수, 최지원 filed Critical 최용수
Priority to KR2020220001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70Y1/ko
Priority to KR2020230000726U priority patent/KR20230002132U/ko
Priority to PCT/KR2023/005341 priority patent/WO2023211052A1/ko
Publication of KR20230002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1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조립용 완구 유닛이 제공된다. 조립용 완구 유닛은, 받침부 및 받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용 완구 유닛{Assembly toy unit}
본 고안은 조립용 완구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대를 축소하여 시뮬레이션(simulation)할 수 있는 조립용 완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는 연극, 무용, 음악회 등을 공연하기 위해 객석과 구별하여 만들어 놓은 장소로서 주로 객석보다 높게 되어 있다.
특히, 야외용 무대는 주로 일정 높이를 갖는 무대용 패널 부재를 연속적으로 결합시키고 그 위에 바닥판이나 카펫 등을 깔아 놓음으로써 일정 높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관객이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설치된 야외용 무대가 연출자의 의도대로 세팅되지 않은 경우, 야외용 무대의 변경이나 수정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야외용 무대를 소형화시키고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해볼 수 있음은 물론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어 구현해볼 수 있는 조립용 완구 유닛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18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7111호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대를 축소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무대장치의 디자인을 구현해볼 수 있는 조립용 완구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연출자가 원하는대로 무대를 구현할 수 있는 조립용 완구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은,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배치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에 배치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이 지지부재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져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는 설치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공은, 상기 지지부재에 근접 배치된 내부 설치공 및 상기 내부 설치공의 외측에 배치된 외부 설치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Z축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돌기가 배치된 지지부재의 일단의 반대인 지지부재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연결돌기 및 상기 연결몸체의 타면에 배치되는 연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연결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연결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은, 상기 연결몸체의 하면 중앙에 Z축 방향으로 함몰된 중앙 연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은, 상기 연결몸체의 하면에 중앙 연결홈과 중첩되도록 Z축 방향으로 함몰된 중첩 연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은, 상기 연결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연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와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연결부와 상부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높이조절몸체와, 상기 높이조절몸체의 일단에 배치되는 높이조절결합돌기 및 상기 높이조절몸체의 타단에 배치되는 높이조절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이 상기 높이조절몸체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져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연결홈과, 상기 연결몸체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연결홈 및 상기 제1 연결홈과 상기 제2 연결홈 사이에 배치된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홀을 포함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에 의하면, 무대를 축소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무대장치의 디자인을 구현해볼 수 있다.
또한, 연출자가 원하는대로 무대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두뇌 발달과 창의성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받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받침부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연결부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받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받침부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연결부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4 내지 도 1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100)은, 받침부(110) 및 받침부(110)에 연결되는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110)와 연결부(120)의 연결은 직접적인 연결 외에도 다른 구성품을 통한 연결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110)와 연결부(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립용 완구 유닛(100)은 하나 이상의 받침부(110) 및 받침부(110)에 안착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110)는, 지지부재(111), 결합돌기(112), 받침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11)는 바(bar)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11)는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사각기둥, 삼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11)는 서로 다른 형상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11)의 일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지지부재(111)의 나머지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지지부재(111)가 원기둥 형상인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11)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111)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용도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11)의 길이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12)는 지지부재(111)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112)는 지지부재(1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돌기(112)는 지지부재(11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12)는 지지부재(111)의 하면 및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11)의 상면은 지지부재(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의 면을 의미하고, 지지부재(111)의 하면은 지지부재(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Z축 반대 방향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12)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등과 같은 다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12)의 형상은 지지부재(111)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11)의 형상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 결합돌기(112)의 형상도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12)의 형상은 지지부재(111)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11)의 형상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 결합돌기(112)의 형상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12)와 지지부재(111)는 Z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12)의 상면의 면적과 지지부재(111)의 상면의 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112)의 상면의 면적이 지지부재(111)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112)의 하면의 면적과 지지부재(111)의 상면의 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결합돌기(112)의 하면은 지지부재(111)의 상면과 접촉하는 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면적 차이에 의하여 지지부재(111)와 결합돌기(112)의 연결 부위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를 통하여 조립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12)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이 지지부재(111)의 상면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결합돌기(112)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과 지지부재(111)의 상면의 면적이 동일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12)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112)의 상면의 면적이 결합돌기(112)의 하면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고, 결합돌기(112)의 하면의 면적이 결합돌기(112)의 상면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돌기(112)의 상면의 면적과 결합돌기(112)의 하면의 면적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112)가 지지부재(111)의 일단에 배치되어 지지부재(111)의 일단은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되며, 결합돌기(112)가 하기에서 설명하는 연결부(12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는 일 예시이며, 결합돌기(112)에는 다양한 조립완구 구성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12)와 조립완구 구성품들의 체결은 벨크로, 스냅단추 등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11)와 결합돌기(112)의 연결 부위에서 형성되는 단차에 의하여 연결부(120)에 삽입되는 깊이를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하여 체결의 편리성 및 분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체결 및 분리시 발생되는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12)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12)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112)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결합돌기(112)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결합돌기(112)와 연결부(1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결합돌기(112)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결합돌기(112)의 외면은 결합돌기(112)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113)는 지지부재(111)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재(113)는 지지부재(111)의 Z축 방향의 반대방향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받침부재(113)는 지지부재(111)와 체결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안착되어 지지부재(111) 및 지지부재(111)에 체결된 연결부(120)를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받침부재(113)의 Y축 방향으로의 직경은 지지부재(111)의 Y축 방향으로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면은 받침부재(113)가 안착하는 면을 의미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113)와 지지부재(111)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113)와 지지부재(111)는 조립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서 받침부재(113)는 설치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치공은 받침부재(113)의 내부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공은 지지부재(11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받침부재(113)에 형성된 개구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공은 지지부재(111)에 근접 배치된 내부 설치공(113a)과, 내부 설치공(113a) 외측에 배치된 외부 설치공(113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에 받침부재(113)가 안착되면, 받침부재(113)의 내부 설치공(113a) 및/또는 외부 설치공(113b)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결합하여 받침부(110)를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내부 설치공(113a)과 외부 설치공(113b)은 Z축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설치공(113b)은 다수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외부 설치공(113b)은 내부 설치공(113a)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지지부재(111)는 내부 설치공(113a)에 삽입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110)는 결합홈(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홈(114)은 결합돌기(112)가 배치된 지지부재(111)의 일단의 반대인 지지부재(111)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홈(114)은 지지부재(111)의 하면에 Z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받침부(110')의 결합돌기(112)가 받침부(110)의 결합홈(114)에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이며, 결합홈(114)에는 다양한 조립완구 구성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홈(114)과 조립완구 구성품들의 체결은 벨크로, 스냅단추 등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11)의 일단 및 타단에는 결합돌기(11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11)의 상면 및 하면에는 결합돌기(11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11)의 일단 및 타단에는 결합홈(114)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11)의 상면 및 하면에는 결합홈(114)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11)의 일단 및 타단 중 어느 한 곳에만 결합돌기(112)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11)의 일단 및 타단 중 어느 한 곳에만 결합홈(112)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120)는 조립완구 구성품들을 연결시키는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20)의 일면에는 받침부(110)가 연결되고, 연결부(120)의 타면에는 다양한 조립완구 구성품들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립완구 구성품은 조립완구의 프레임을 이루는 기둥 부품, 조립완구의 공간을 제공하는 플레이트 부품, 조립완구 구성품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품 등 다양한 조립완구 조립용 부품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120)는 연결몸체(121), 연결돌기(122), 연결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몸체(121)는 연결부(120)의 바디를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몸체(121)는 정사각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몸체(121)는 'ㄱ'자형의 함체, 직사각의 함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몸체(121)는 원형의 함체, 타원형의 함체, 다각형의 함체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몸체(121)는 용도, 크기,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돌기(122)는 연결몸체(12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돌기(122)는 연결몸체(121)의 상면에 Z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몸체의 상면은 연결몸체의 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돌기(122)는 다수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연결돌기(12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돌기(122)는 1*1 배열, 또는 2*2 배열, 3*3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돌기(122)는 연결몸체(121)의 형상 및 용도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연결돌기(122)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돌기(122)는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등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돌기(122)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돌기(122)는 측면 연결돌기(122a)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측면 연결돌기(122a)는 연결몸체(12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면 연결돌기(122a)는 연결몸체(121)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홈(123)은 연결돌기(122)가 배치된 연결몸체(121)의 일면의 반대인 연결몸체(121)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홈(123)은 연결몸체(121)의 하면에 Z축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홈(123)은 다수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연결홈(123)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1 배열, 또는 2*2 배열, 3*3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몸체(121)의 형상 및 용도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홈(123)은 연결몸체(121)의 하면 중심에 Z축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홈(123)은 연결돌기(122)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연결홈(123)은 연결돌기(122)와 Z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홈(123)은 연결돌기(122)와 비대응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연결홈(123)은 연결돌기(122)와 Z축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다수의 연결홈(123) 중 일부는 연결돌기(122)와 Z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고, 다수의 연결홈(123) 중 나머지는 연결돌기(122)와 Z축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홈(123)은 연결몸체(121)의 타면에 배치된 중앙 연결홈(123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앙 연결홈(123a)은 연결몸체(121)의 하면 중앙에 Z축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몸체의 하면은 연결몸체의 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홈(123)은 중첩 연결홈(12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첩 연결홈(123b)은 연결몸체(121)의 하면에 중앙 연결홈(123a)과 중첩되도록 Z축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중첩 연결홈(123b)은 중앙 연결홈(123a)과 중첩됨으로써 8자 형상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110)의 결합돌기(112)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연결몸체(121)의 상면에 연결돌기(122)가 배치되고, 연결몸체(121)의 하면에 연결홈(123)이 배치되는 것을 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연결몸체(121)의 하면에 연결돌기(122)가 배치되고, 연결몸체(121)의 상면에 연결홈(123)이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몸체(121)의 상면 및 하면에는 연결돌기(122)가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몸체(121)의 상면 및 하면에는 연결홈(123)이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몸체(121)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한 면에만 연결돌기(122)가 배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몸체(121)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한 면에만 연결홈(123)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몸체(121)의 상면은 연결돌기(122) 및 연결홈(123)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연결몸체(121)의 상면은 스테이지 등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지는 완구용 무대의 스테이지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120)와 조립완구 구성품들의 체결은 벨크로, 스냅단추 등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홈(123)은 측면 연결홈(123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연결홈(123c)은 연결몸체(121)의 측면에 함몰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홈(123)은 연결몸체(121)를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홈(123)은 연결몸체(121)를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지 않고 연결몸체(121)의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연결몸체(121)의 하면에 Z축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나누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몸체(1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함몰된 연결홈(123)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몸체(121)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된 연결홈(123)은 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몸체(121)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된 연결홈(123)은 Z축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몸체(121)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된 연결홈(123)은 Z축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과 비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몸체(121)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된 연결홈(123)은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격된 공간에는 연결몸체(121)의 상면에 배치된 연결홈(123)과 하면에 배치된 연결홈(123)을 분리시키는 분리막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막을 통하여 연결몸체(121)의 상면 및 하면의 연결홈(123)을 분리시켜, 상면 및 하면의 연결홈(123)에 체결되는 조립완구 구성품의 결합 및 분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분리막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몸체(121)의 상면에 배치된 연결홈(123)과 하면에 배치된 연결홈(123)을 분리시키는 분리막은 연결홈(123)보다 직경이 작은 홀을 포함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조립용 완구 유닛(100)은, 높이조절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130)는 받침부(110)와 연결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130)는 연결부(120)와 상부 연결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130)는 연결부(120)의 하부 또는/및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130)는 높이조절몸체(131), 높이조절결합돌기(132), 높이조절결합홈(133)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몸체(131)는 바(bar)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몸체(131)는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사각기둥, 삼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몸체(131)는 서로 다른 형상이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몸체(131)의 일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높이조절몸체(131)의 나머지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높이조절몸체(131)가 원기둥 형상인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몸체(131)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몸체(131)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용도로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높이조절몸체(131)의 길이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될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결합돌기(132)는 높이조절몸체(131)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결합돌기(132)는 높이조절몸체(13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높이조절결합돌기(132)는 높이조절몸체(13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결합돌기(132)는 높이조절몸체(131)의 하면 및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몸체(131)의 상면은 높이조절몸체(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의 면을 의미하고, 높이조절몸체(131)의 하면은 높이조절몸체(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결합돌기(132)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등과 같은 다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형상은 높이조절몸체(131)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몸체(131)의 형상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형상도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형상은 높이조절몸체(131)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몸체(131)의 형상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형상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결합돌기(132)와 높이조절몸체(131)는 Z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상면의 면적과 높이조절몸체(131)의 상면의 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상면의 면적이 높이조절몸체(131)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하면의 면적과 높이조절몸체(131)의 상면의 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하면은 높이조절몸체(131)의 상면과 접촉하는 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면적 차이에 의하여 높이조절몸체(131)와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연결 부위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를 통하여 조립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이 높이조절몸체(131)의 상면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과 높이조절몸체(131)의 상면의 면적이 동일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상면의 면적이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하면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고,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하면의 면적이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상면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상면의 면적과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하면의 면적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결합돌기(132)가 높이조절몸체(131)의 일단에 배치되어 높이조절몸체(131)의 일단은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되며, 높이조절결합돌기(132)가 전술한 연결부(120) 또는 다른 높이조절부(13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높이조절몸체(131)와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연결 부위에서 형성되는 단차에 의하여 연결부(120)에 삽입되는 깊이를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하여 체결의 편리성 및 분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체결 및 분리시 발생되는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높이조절결합돌기(132)와 연결부(120) 또는 다른 높이조절부(130) 등에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외면은 높이조절결합돌기(132)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결합홈(133)은 높이조절몸체(131)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결합홈(133)은 높이조절몸체(131)의 하면에 Z축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110)의 결합돌기(112) 또는 연결부(120)의 연결돌기(122)가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몸체(131)의 상면 및 하면에는 높이조절결합돌기(132)가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몸체(131)의 상면 및 하면에는 높이조절결합홈(133)이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몸체(131)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한 면에만 높이조절결합돌기(132)가 배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몸체(131)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한 면에만 높이조절결합홈(133)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조립용 완구 유닛
110: 받침부
111: 지지부재
112: 결합돌기
113: 받침부재
113a: 내부 설치공
113b: 외부 설치공
114: 결합홈
120: 연결부
121: 연결몸체
122: 연결돌기
122a: 측면 연결돌기
123: 연결홈
123a: 중앙 연결홈
123b: 중첩 연결홈
123c: 측면 연결홈
130: 높이조절부
131: 높이조절몸체
132: 높이조절결합돌기
133: 높이조절결합홈

Claims (17)

  1.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배치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연결몸체;
    상기 연결몸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연결돌기; 및
    상기 연결몸체의 타면에 Z축 방향으로 함몰되어 배치되는 연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몸체의 하부 또는/및 상부에 배치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높이조절몸체;
    상기 높이조절몸체의 일단에 배치되고, 연결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결합돌기; 및
    상기 높이조절몸체의 타단에 배치되고, 받침부 또는 연결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몸체의 길이는 지지부재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조립용 완구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에 배치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이 지지부재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져 단차가 형성되는 조립용 완구 유닛.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는 설치공을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은,
    상기 지지부재에 근접 배치된 내부 설치공; 및
    상기 내부 설치공의 외측에 배치된 외부 설치공을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Z축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돌기가 배치된 지지부재의 일단의 반대인 지지부재의 타단에 배치되는 조립용 완구 유닛.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이 상기 높이조절몸체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져 단차가 형성되는 조립용 완구 유닛.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연결몸체;
    상기 연결몸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연결홈;
    상기 연결몸체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연결홈; 및
    상기 제1 연결홈과 상기 제2 연결홈 사이에 배치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홀을 포함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조립용 완구 유닛.
KR2020220001064U 2022-04-29 2022-04-29 조립용 완구 유닛 KR200497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064U KR200497470Y1 (ko) 2022-04-29 2022-04-29 조립용 완구 유닛
KR2020230000726U KR20230002132U (ko) 2022-04-29 2023-04-12 조립용 완구 유닛
PCT/KR2023/005341 WO2023211052A1 (ko) 2022-04-29 2023-04-20 조립용 완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064U KR200497470Y1 (ko) 2022-04-29 2022-04-29 조립용 완구 유닛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726U Division KR20230002132U (ko) 2022-04-29 2023-04-12 조립용 완구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128U KR20230002128U (ko) 2023-11-07
KR200497470Y1 true KR200497470Y1 (ko) 2023-11-21

Family

ID=885193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064U KR200497470Y1 (ko) 2022-04-29 2022-04-29 조립용 완구 유닛
KR2020230000726U KR20230002132U (ko) 2022-04-29 2023-04-12 조립용 완구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726U KR20230002132U (ko) 2022-04-29 2023-04-12 조립용 완구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0497470Y1 (ko)
WO (1) WO202321105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0917A1 (en) * 2016-09-28 2018-04-05 Chan Tang Building blocks and building block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165A (ja) * 1995-07-10 1997-01-28 Konbi Kk 組立おもちゃ
KR200291879Y1 (ko) 2002-07-08 2002-10-11 최철상 강화유리를 이용한 무대장치
KR101047111B1 (ko) 2009-03-25 2011-07-07 김종호 무대장치 조립구조
CN205654134U (zh) * 2016-04-29 2016-10-19 无锡生源健康产业有限公司 一种活动式舞台支架
KR200485228Y1 (ko) * 2017-07-31 2018-01-18 유니트러스트개발(주)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KR102198828B1 (ko) * 2018-12-20 2021-01-05 이채림 블록 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0917A1 (en) * 2016-09-28 2018-04-05 Chan Tang Building blocks and building block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1052A1 (ko) 2023-11-02
KR20230002128U (ko) 2023-11-07
KR20230002132U (ko)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2012B2 (en) MP3 playing and charging system comprising a docking station having an adapter for installing MP3 and a dynamic speaker
DE69831217T2 (de) Elektrodynamischer inertial-schwingungserreger
KR100592447B1 (ko) 열성형 완구 조립판
US10492463B2 (en) Kit for modular housing for cats
KR20010101536A (ko) 테넌에 의하여 스냅으로 상호 연결되는 완구 조립 세트
SK280501B6 (sk) Súbor stavebnicových prvkov
JP4537397B2 (ja) モジュール式基礎構造体を構築する建物用部材
KR200497470Y1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102246871B1 (ko)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JP2016520867A (ja) モジュラ発光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アレイ
US5477568A (en) Bathtub assembly
KR10067389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US20060048475A1 (en) Building block
KR200263127Y1 (ko) 자석을 이용한 완구조립용 구성부재
KR20230171853A (ko) 조립용 완구 유닛
JP2017106261A (ja) 基礎パッキン
CA106323S (en) Electrical mud box
KR200497289Y1 (ko)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KR20240000818U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20230002129U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20230002266U (ko) 조립용 완구의 각도조절유닛
KR200274393Y1 (ko) 분리식 사무용 칸막이구조
JP3222927U (ja) 間仕切り
JP3175375U (ja) 組み合わせ式積木
KR20090117129A (ko) 이중 바닥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