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228Y1 -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 Google Patents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228Y1
KR200485228Y1 KR2020170004018U KR20170004018U KR200485228Y1 KR 200485228 Y1 KR200485228 Y1 KR 200485228Y1 KR 2020170004018 U KR2020170004018 U KR 2020170004018U KR 20170004018 U KR20170004018 U KR 20170004018U KR 200485228 Y1 KR200485228 Y1 KR 200485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sic
serial
parallel
seri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846U (ko
Inventor
최영승
Original Assignee
유니트러스트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트러스트개발(주) filed Critical 유니트러스트개발(주)
Priority to KR2020170004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22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8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2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기본블록들을 연결하는 연결블록을 구비하여 기본블록을 다양한 형태와 방향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현 형태의 다변화를 제공하는 블록 조립완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서로 결합되어 조립시 완구의 기본 형태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기본블록들과; 상기 기본블록을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본블록의 측면에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삽입슬롯 또는 상기 삽입슬롯에 체결가능한 대응형태로 형성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고유한 결합 기능을 가진 연결블록을 통해 결합 블록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가 구현가능한 블록 조립 완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BLOCK ASSEMBLY TOY HAVING CONNECTING BLOCK }
본 고안은 블록 조립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본블록들을 연결하는 연결블록을 구비하여 기본블록을 다양한 형태와 방향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현 형태의 다변화를 제공하는 블록 조립완구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완구에는 크게 완성된 조립형태가 특정된 조립 완구와 다수개의 기본적인 형상 블록을 제공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립형태를 자유롭게 완성하는 블록 완구로 구분된다.
조립완구는 완성 후 목적한 대상물과 흡사한 형태를 구현하여 이용자의 조립에 대한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형상만을 구현하므로, 1회성 사용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블록 완구는 완성 후 목적한 대상물과의 유사성은 다소 저하되나, 다양한 형태의 목적 대상물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적으로 비교적 긴 기간 동안 흥미를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어, 이용자의 창의성 및 두뇌발달을 위한 교보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블록 완구의 목적은 구현 형태의 다양성에 있으며, 구현 형태의 다양성이 확대될수록 블록 완구 고유 효과가 증대된다.
현재 블록 완구는 매우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제공되고 있고, 그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88143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블록이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다양한 형태를 형성하는 완구 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블록 완구는 블록과 블록과의 직접 결합되거나 연결블록이 구비된 경우에도 연결블록의 다양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다양한 형태의 결합 완구를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8814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고유 결합 기능을 가진 연결블록을 통해 결합 형태의 다양성이 극대화된 블록 조립 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서로 결합되어 조립시 완구의 기본 형태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기본블록들과; 상기 기본블록을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본블록의 측면에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삽입슬롯 또는 상기 삽입슬롯에 체결가능한 대응형태로 형성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본블럭의 상하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직렬연결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직렬연결공 단부는 단차가 형성되어 고정턱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본블록의 상기 직렬연결공은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직렬연결공 내측에는, 상기 직렬연결공 내측 종방향을 따라 함몰된 고정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삽입슬롯 및 끼움돌기는, 도브테일 형의 단면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기본블록은, 횡단면이 사각 형태를 갖는 사각블록; 횡단면이 4분원 형태를 갖는 원호블록; 또는 횡단면이 삼각 형태를 갖는 삼각블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블록은, 상부와 하부가 상기 기본블록 상하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직렬연결공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직렬연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직렬연결블록은, 상기 직렬연결공 단부에 단차 형성된 고정턱에 안착되도록 중앙부에 돌출 형성된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직렬연결블록은, 상기 직렬연결공 내측에 종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되도록 측면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기본블록 상하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직렬연결공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직렬끼움부와; 상기 끼움슬롯에 결합되도록 상기 직렬끼움부 원형단부면에 결합된 판상의 평행끼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평행끼움는, 일 측 대향 측면이 경사진 슬롯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직렬끼움부는, 상기 평행끼움부와의 결합면에 상기 직렬연결공 단부에 단차 형성된 고정턱에 안착되는 고정판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직렬끼움부는, 측면에 상기 직렬연결공 내측에 종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되도록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기본블록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평행부와; 상기 제1평행부와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평행부와 결합되어 형성되는 제2평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평행부와 상기 제2평행부가 각각 면접한 기본블록의 삽입슬롯에 결합되는 평행연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평행연결블록은, 양 측단면은 중앙부가 함몰되어 두 개의 도브테일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기본블록 상하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직렬연결공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직렬끼움부와;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직렬끼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직렬끼움부가 서로 회전가능도록 하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연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블록의 상기 직렬끼움부에는, 상기 직렬연결공의 내측에 종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고유한 결합 기능을 가진 연결블록을 통해 결합 블록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가 구현가능한 블록 조립 완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록간의 수직/수평 연결뿐만 아니라 직각방향으로의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여 블록 결합으로 인한 구현형태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록간의 회전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여 블록 결합으로 인한 구현형태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연결블록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블록의 슬롯형성 면 끼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결합된 블록 조립체의 외면이 깔끔해질 뿐만 아니라 결합측면의 구애없이 다측면이 결합가능해져 구현형태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블록 조립 완구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블록 조립 완구를 구성하는 블록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직렬연결블록에 의한 블록 결합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직각연결블록에 의한 블록 결합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직렬연결블록 및 직각연결블록에 의한 블록 결합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평행연결블록에 의한 블록 결합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회전연결블록에 의한 블록 결합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블록 조립 완구가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블록 조립 완구가 완성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블록 조립 완구를 구성하는 블록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직렬연결블록에 의한 블록 결합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직각연결블록에 의한 블록 결합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직렬연결블록 및 직각연결블록에 의한 블록 결합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평행연결블록에 의한 블록 결합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회전연결블록에 의한 블록 결합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블록 조립 완구는 크게 기본블록과 연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본블록은 측면부에 삽입슬롯(120, 220, 330)) 또는 끼움돌기(230, 330)가 형성되어, 조립시 기본 형태를 구성하는 블록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블록(100), 원호블록(200) 및 삼각블록(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각블록(100)은 횡(도시된 방향의 수평방향을 발한다)단면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블록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측면에는 삽입슬롯(120) 또는 끼움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롯(120)은 상기 사각블록(100)의 종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으로, 결합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내측 폭이 더 넓은 도브테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이 사각블록(100) 측면에 삽입슬롯(120)만이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일부 또는 전 측면에 후술할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사각블록(100)의 상하면에는 직렬연결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직렬연결공(110)은 후술할 직렬연결블록(400) 또는 회전연결블록(700)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블록을 직렬(수직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면의 직렬연결공(110)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렬연결공(110)에는 결합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정홈(112)이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렬연결공(110)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단차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고정턱(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턱(114)은 후술할 상기 직렬연결블록(400) 또는 회전연결블록(700)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직렬연결블록(400) 또는 회전연결블록(700)이 수직방향으로의 이동되는 것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호블록(200)은 횡단면이 대략 4분 원호형태로 형성된 블록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의 측면에는 삽입슬롯(220) 또는 끼움돌기(2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슬롯(220)은 사각블록(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끼움돌기(230)는 상기 삽입슬롯(220)에 대응하여, 상기 삽입슬롯(220)에 삽입되는 돌기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도브테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호블록(200)의 상면과 하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직렬연결공(1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삼각블록(300)은 횡단면이 대략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 블록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측면에는 삽입슬롯(320) 또는 끼움돌기(3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슬롯(320) 및 끼움돌기(3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물론, 상기 삼각블록(300)의 상면과 하면에도 역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직렬연결공(1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블록은 측면에 형성된 삽입슬롯과 끼움돌기의 결합에 의해 서로 측방향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그 결합 형태가 제한적이므로, 이하에서는 기본블록의 결합형태를 다양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본블록을 연결하는 연결블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연결블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연결블록(400), 직각연결블록(500), 평행연결블록(600) 및 회전연결블록(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렬연결블록(4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가 각각 결합될 기본블록들의 하부 직렬연결공(110) 및 상부 직렬연결공(110)에 각각 삽입된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 및 부재 소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측면 전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결합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부분만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직렬연결블록(400)의 측면에는 상기 직렬연결공(110) 내측의 고정홈(112)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돌기(410)가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직렬연결블록(400)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턱(114)에 안착되도록 돌출된 고정판(4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렬연결블록(400)에 의해 기본블록이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렬연결블록(400)은 상기 직렬연결공(110)에 삽입되어 상기 기본블록을 결합하되, 상기 고정판(420)이 상기 고정턱(114)에 안착되어, 어느 하나의 기본블록에 치우침 없이 상부와 하부가 균등하게 상기 기본블록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안정성이 향상됨은 물론, 상기 직렬연결블록(400)이 기본블록의 직렬연결공(110) 내로 완전히 삽입되어 분리가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410)는 상기 고정홈(112)에 체결되어 결합된 기본블록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직각연결블록(500)은 원통형의 직렬끼움부(510)와 상기 직렬끼움부(510) 원형단면부에 결합된 판상의 평행끼움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평행끼움부(530)의 대향하는 일 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슬롯사면(532)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롯사면(532)은 기본블록의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직렬끼움부(510)는 상기 기본블록의 직렬연결공(11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렬연결블록(400)의 1/2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직렬끼움부(510)의 상기 평행끼움부(530)와의 결합면에는 고정판(420)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턱(114)에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직렬끼움부(510) 측면에는 상기 고정홈(112)에 안착되기 위한 고정돌기(5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각연결블록(500)에 의해 기본블록이 직각방향으로 결합된 예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각연결블록(500)의 상기 직렬끼움부(510)는 상기 직렬연결공(110)에 삽입되고, 상기 평행끼움부(530)는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기본블록을 서로 직각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예를 살피면, 상기 직렬연결블록(400)에 의해 일렬로 결합된 기본블록들의 측면에 연결되어 형성된 삽입슬롯에 상기 직렬연결블록(400)의 상기 평행끼움부(53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직각연결블록(500)의 상기 직렬끼움부(510)에 상기 기본블록의 직렬연결공(110)을 결합하여 상기 기본블록을 수직방향으로 결합한다.
이 경우, 상기 직각연결블록(500)은 상기 삽입슬롯을 따라 상기 기본블록들의 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평행끼움부는 길이방향의 다수개의 상기 기본블록이 결합되어 형성된 삽입슬롯의 연결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일 측 대향 측면이 경사진 슬롯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직각연결블록(500)은 상기 기본블록들을 수직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기본블록이 기본블록의 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어, 통상 정적인 결합형태를 갖는 블록 완구에 있어 동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평행연결블록(600)은 기본블록의 측면끼리 결합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 구체적으로는 기본블록의 삽입슬롯 형성면과 끼움돌기 형성면이 결합되는 구성 이외에 기본블록의 삽입슬롯 형성면과 삽입슬롯 형성면이 결합되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평행연결블록(600)은 상기 직각연결블록(500)의 평행끼움부(530)와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제1평행끼움부(630)와 제2평행끼움부(640)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대칭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는 판상의 상기 제1평행끼움부(630)와 제2평행끼움부(640)가 단변 측의 면이 접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평행끼움부(630)와 상기 제2평행끼움부(640)가 각각 결합하고자 하는 기본블록들의 각 삽입슬롯에 체결되어 상기 기본블록을 결합한다.
이와 같은 상기 평행연결블록(600)은 상기 기본블록들의 삽입슬롯면 끼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기본블록에 끼움돌기 형성면을 줄이거나, 모든 면에 끼움슬롯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조립 완구의 완성된 조립면 상에 끼움돌기가 돌출되면, 완성 완구의 완성도(심미감)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상기 평행연결블록(600)을 이용하면, 끼움돌기가 돌출된 면 없이 완성도 높은 조립완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회전연결블록(700)은 한 쌍의 직렬끼움부(710) 단부가 회전가능한 회전결합부(720)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직렬끼움부(710)에는 고정돌기(712)가 돌출형성되어, 삽입되는 상기 직렬연결공(110)의 고정홈(112)에 결합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직렬부(710)에 각각 끼워진 상기 기본블록들은 상기 회전연결블록(700)의 중심에 구비된 회전결합부(720)를 중심으로 서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통상 정적인 결합구조를 갖는 블록 완구에 동적인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기본블록 및 연결블록을 이용하여 조립 완구를 구현하는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에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블록 조립 완구가 결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블록 조립 완구가 완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A영역 및 B영역에는 상기 직각연결블록(500)을 이용하여 기본블록이 서로 직각방향으로 결합되어, 다양한 결합 형태를 구현한 블록 완구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A영역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직각연결블록(500)을 이용하여 결합된 기본블록이 결합된 기본블록의 삽입슬롯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체결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C영역에 도시된 예에서는, 회전연결블록(700)을 이용하여 결합된 기본블록들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동적인 결합 형태를 구현한 블록 완구를 개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고안은 기본블록들을 연결하는 연결블록을 구비하여 기본블록을 다양한 형태와 방향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현 형태의 다변화를 제공하는 블록 조립완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고유한 결합 기능을 가진 연결블록을 통해 결합 블록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가 구현가능한 블록 조립 완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사각블록 110 : 직렬연결공
112 : 고정홈 114 : 고정턱
120, 220, 320 : 삽입슬롯 200 : 원호블록
230, 330 : 끼움돌기 300 : 삼각블록
400 : 직렬연결블록 410, 512, 712 : 고정돌기
420 : 고정판 500 : 직각연결블록
510, 710 : 직렬끼움부 530 : 평행끼움부
532 : 슬롯사면 600 : 평행연결블록
630 : 제1평행끼움부 640 : 제2평행끼움부
700 : 회전연결블록 720 : 회전결합부

Claims (8)

  1. 서로 결합되어 조립시 완구의 기본 형태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기본블록들과;
    상기 기본블록을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본블록의 측면에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삽입슬롯 또는 상기 삽입슬롯에 체결가능한 대응형태로 형성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기본블록의 상하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직렬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직렬연결공 단부는 단차가 형성되어 고정턱을 형성되며: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기본블록 상하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직렬연결공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직렬끼움부와;
    상기 삽입슬롯에 결합되도록 상기 직렬끼움부 원형단부면에 결합된 판상의 평행끼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직각연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평행끼움부는,
    길이방향의 다수개의 상기 기본블록이 결합되어 형성된 삽입슬롯의 연결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일 측 대향 측면이 경사진 슬롯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직렬끼움부는,
    상기 평행끼움부와의 결합면에 상기 직렬연결공 단부에 단차 형성된 고정턱에 안착되는 고정판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직렬연결공 내측에 종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되도록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기본블록 상하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직렬연결공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직렬끼움부와;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직렬끼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직렬끼움부가 서로 회전가능도록 하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연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연결블록의 상기 직렬끼움부에는,
    상기 직렬연결공의 내측에 종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블록은,
    상부와 하부가 상기 기본블록 상하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직렬연결공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직렬연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기본블록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평행부와;
    상기 제1평행부와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평행부와 결합되어 형성되는 제2평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평행부와 상기 제2평행부가 각각 면접한 기본블록의 삽입슬롯에 결합되는 평행연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블록의 상기 직렬연결공은 관통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블록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슬롯 또는 끼움돌기는,
    도브테일 형의 단면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블록은,
    횡단면이 사각 형태를 갖는 사각블록;
    횡단면이 4분원 형태를 갖는 원호블록; 또는
    횡단면이 삼각 형태를 갖는 삼각블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연결블록은,
    상기 직렬연결공 단부에 단차 형성된 고정턱에 안착되도록 중앙부에 돌출 형성된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연결블록은,
    상기 직렬연결공 내측에 종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되도록 측면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연결블록은,
    양 측단면은 중앙부가 함몰되어 두 개의 도브테일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KR2020170004018U 2017-07-31 2017-07-31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KR200485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018U KR200485228Y1 (ko) 2017-07-31 2017-07-31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018U KR200485228Y1 (ko) 2017-07-31 2017-07-31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957A Division KR20170035184A (ko) 2015-09-22 2015-09-22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46U KR20170002846U (ko) 2017-08-09
KR200485228Y1 true KR200485228Y1 (ko) 2018-01-18

Family

ID=6062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018U KR200485228Y1 (ko) 2017-07-31 2017-07-31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2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717B1 (ko) 2017-12-27 2019-08-06 윤이식 조립형 완구 프레임
KR200497470Y1 (ko) * 2022-04-29 2023-11-21 최용수 조립용 완구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31591T2 (de) * 1991-05-03 2001-06-13 Starlok International Inc Bauspielzeuge
CA2171355A1 (en) * 1996-03-08 1997-09-09 Paul Thomas Maddock Toy construction kit with interconnecting building pieces
US5924906A (en) * 1998-02-06 1999-07-20 Mattel, Inc. Pin connector for construction toy set
NO20111377A1 (no) 2011-10-11 2013-04-12 Aker Mh As Anordning for hivkompens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46U (ko)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48586A1 (en) Hobby vehicle track system
KR101414360B1 (ko) 조립식 완구블록
EP0621063B1 (en) Block assembly
US7553209B1 (en) Toy-building elements for variably positional toys
KR100785119B1 (ko) 장난감 조립 세트
US20050247800A1 (en) Toy track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same
KR101642345B1 (ko)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을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KR101866659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200485228Y1 (ko)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KR101902090B1 (ko) 자유롭게 조립 가능한 완구 궤도
KR20170035184A (ko)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JP5978311B2 (ja) 組み立てキットの要素(の選択肢)および組み立てキット
US419099A (en) wolfg
RU2757445C2 (ru) Игрушечный конструктор с шарнирно соединяемыми элементами
US11511210B2 (en) Cubic element for construction toys and a method for forming same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KR100902755B1 (ko)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
RU2688280C1 (ru) Конструктор моделей
KR20150100572A (ko) 구성형 장난감
GB2231502A (en) Interengageable toy blocks
KR101679366B1 (ko) 다면체 블록 완구
KR101916181B1 (ko) 블록 커플링
JP2007181588A (ja) ブロック玩具。
KR101797171B1 (ko)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JP2002315974A (ja) 組立式ブ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