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171B1 -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 Google Patents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171B1
KR101797171B1 KR1020160056830A KR20160056830A KR101797171B1 KR 101797171 B1 KR101797171 B1 KR 101797171B1 KR 1020160056830 A KR1020160056830 A KR 1020160056830A KR 20160056830 A KR20160056830 A KR 20160056830A KR 101797171 B1 KR101797171 B1 KR 101797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oupling portion
cut
mal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인덕
Original Assignee
(주)아이링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링고 filed Critical (주)아이링고
Priority to KR102016005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using elastic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rotation or translation, e.g. of keyhole or bayon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결합부와 수결합부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조립블럭을 끼임방식으로 연결하여 조립하는 체인 블럭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결합부가 결합될 때 암결합부가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으로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찰을 줄여 마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결합부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암결합부로 이루어진 조립블럭이나 암결합부로만 이루어진 조립블럭에 모두 적용되는 것으로 수결합부가 결합되는 암결합부의 결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에 중앙을 제외한 좌우 양측으로 절개부를 형성하여 수결합부가 암결합부에 결합시에 격벽에 형성된 절개부의 절개된 절개폭만큼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이 발생되어 수결합부의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찰을 줄여 마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A chain block toys}
본 발명은 암결합부와 수결합부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조립블럭을 끼임방식으로 연결하여 조립하는 체인 블럭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된 암결합부의 견고성을 유지하면서 수결합부가 결합될 때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으로 결합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체인 블럭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인 블럭완구는 조립블럭의 암결합부에 또 다른 조립블럭의 수결합부를 체인식으로 연결하여 평면이나 입체로 다양한 형태의 조형물로 조립하여 아이들의 창의력 발달을 위한 발달완구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체인블럭완구는 암결합부에 수결합부가 맞물림 방식으로 결합되어 임의로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결합된 상태에서 180°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고, 이러한 결합을 위하여 수결합부에는 내측 중앙에 가이드홈과 테두리에는 걸림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암결합부에는 내측 중앙에 가이드홈이 끼워지는 가이드돌기와 어느 일측으로 걸림홈에 걸림되는 스토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체인블럭완구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된 상태에서 그 각도가 고정되어 조립하고자 하는 조형물을 다양한 형상으로 입체감 있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조립블럭의 구조는 수결합부의 양측 하단에 암결합부의 수직대를 직교된 상태로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토록 함으로써 수결합부가 암결합부가 결합될 경우에 수직대가 플라스틱 소재의 특성에 의한 탄성 작용으로 미세하게 움직여 결합이 용이토록 하였으나, 이러한 조립블럭은 사출성형하는 과정 중에 수결합부의 양측 하단으로 대칭된 수직대가 냉각되는 과정 중에 변형이 발생되면서 결합공간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불량제품이 발생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결합부의 양측 하단에 직교된 수직대를 연결하는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변형을 방지토록 하였지만, 암결합부에 수결합부를 끼임 결합시 격벽에 의해 수직대가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가 되면서 수결합부의 끼임결합이 빡빡하게 이루어져 조립이 용이치 못한 문제와 강제끼임으로 결합될 경우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조립블럭은 조립할 경우에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로 조립하기 위한 조립의 한계가 존재하여 다양한 조형물의 조립이 어려움이 있었고, 이러한 조립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결합부의 일측으로 형성된 암결합부의 수직대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격벽에 의해 수직대를 견고하게 지지토록 하면서 끼임공간을 다수 개로 구획토록 한 조립블럭과 길이가 긴 수직대가 양측으로 대칭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 격벽에 의해 수직대를 견고하게 지지토록 하면서 끼임공간을 다수 개로 구획토록 한 암결합부로만 이루어진 별도의 조립블럭을 추가로 함께 사용하여 다양한 조립성을 제공하였으나, 암결합부에 형성된 끼임공간으로 수결합부를 결합토록 할 경우에 수직대가 격벽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가 되면서 탄성력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수결합부를 암결합부에 결합시 빡빡하게 결합되면서 결합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었다.
즉, 빡빡하게 조립될 경우에 힘이 약한 유아나 어린이가 조립블럭을 결합하기 위하여 강제 결합을 위한 힘이 요구되지만 유아나 어린이에게는 이러한 강제 결합을 위한 힘의 발생이 매우 힘들기 때문에 조립블럭의 조립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조립블럭이 결합된 상태에서 각도조절을 위한 회전시에도 격벽에 의해 수직대에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전혀 탄성작용이 발생되지 않게 되면서 마찰에 의해 마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마모는 조립블럭이 유아나 어린이의 건강을 위하여 친환경적인 재질이면서 마모가 잘 일어나지 않는 ABS소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마모에 의하여 조립블럭의 각도 조절이 고정되지 않고 임의로 회전되면서 회전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로 조립블럭으로 활용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조립블럭의 수명을 단축하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마모에 의하여 발생된 가루가 공기 중으로 분산되거나 손에 묻게 되고 이러한 가루를 호흡시에나 손을 빨게 되면서 유아나 어린이가 섭취하게 될 경우 건강에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10-1443254 (2014.09.16) [특허문헌 2] 등록실용 20-0466938 (2013.05.0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결합부가 결합되는 암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된 상태에서도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이 가능토록 하여 조립블럭의 결합을 용이토록 하면서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시에 이러한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으로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토록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일측 또는 상하 양측으로 대칭되게 수결합부가 형성되고 수결합부의 하단 또는 상하 양측으로 대칭된 수결합부의 하단 사이에 수직대가 양측으로 직교되어 수직대의 사이에 결합공간을 형성한 암결합부로 이루어진 조립블럭에 있어서, 상기 대칭된 수직대의 하단에 수결합부와 암결합부를 구분토록 하면서 대칭된 수직대를 연결하는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에 전후 양측으로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에 의해 암결합부가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암결합부에 수결합부가 용이하게 결합토록 하면서 수결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시에도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대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고 연장된 길이만큼 대칭된 수직대의 사이에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격벽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암결합부의 결합공간을 다수 개로 형성하면서도 수직대가 격벽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도 격벽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암결합부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공간이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결합부가 형성되지 않고 수직대가 양측으로 이격되게 대칭된 상태에서 수직대의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여 격벽을 중심으로 상하 양측으로 결합공간을 형성한 암결합부로만 이루어진 조립블럭의 격벽에도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격벽에 형성된 절개부의 절개된 폭만큼 수직대가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이 발생되어 수결합부의 결합과 회전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격벽의 너비폭을 수직대의 너비폭보다 짧게 형성하면서 대칭된 수직대의 내측 중앙에 위치토록 하여도 수직대가 격벽에 의해 지지력이 유지됨은 물론 암결합부에 수결합부를 결합시에 동일한 탄성작용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격벽에 형성된 절개부의 내측 방향에는 절개부의 절개된 폭보다 조금 더 큰 원형 또는 사각모양의 확장공을 형성하여 탄성작용을 더욱 향상시키면서도 탄성저항을 제어하여 조립블럭간의 결합을 더욱 용이토록 한 것이다.
상기 격벽에 형성된 절개부는 다단으로 형성되거나 양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도 동일한 탄성작용효과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학습블럭완구에 의하면, 수결합부가 결합되는 암결합부의 결합공간이 하나 또는 다수 개로 형성된 상태에서도 격벽에 의해 암결합부의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수결합부가 암결합부에 결합될 때 격벽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좌우로 롤링에 의한 탄성효과를 극대화하여 유아나 어린이가 쉽게 조립블럭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품의 질을 향상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조립블럭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토록 할 경우에도 탄성작용이 동일하게 발생되어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마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블럭완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아이가 안전하게 조립완구 놀이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암결합부의 일단에 수결합부가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수결합부가 일단에 형성된 암결합부의 결합공간이 복수개로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암결합부의 양단에 수결합부가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조립블럭에 또 다른 조립블럭이 결합되는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암결합부가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는 상태도.
도6은 본 발명의 수결합부가 암결합부에 결합 시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된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결합공간이 다수 개로 형성된 암결합부로만 이루어진 조립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결합공간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암결합부로 이루어진 조립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암결합부의 또 다른 탄성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암결합부의 탄성작용을 향상한 보강공을 나타낸 상태도.
도11은 본 발명의 격벽에 탄성작용을 위한 절개부가 다단으로 형성된 상태도.
도12는 본 발명의 격벽에 탄성작용을 위한 절개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블럭의 구조는 일측 또는 상하 양측으로 수결합부(20)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결합부(20)의 하단 또는 하단 양측으로 대칭된 수결합부(20)의 양측 사이에 수직대(11)가 양측으로 수결합부(2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대(11)의 사이에 수결합부(20)가 결합되는 결합공간(12)을 형성한 암결합부(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칭된 수직대(11)의 수결합부(20)가 형성된 일측 하단 또는 상하단에는 수직대(11)를 연결하여 성형시 변형방지토록 하면서 수결합부(20)와 암결합부(10)를 구분하는 격벽(15)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5)의 전후 양측에는 절개부(16)를 형성하여 수결합부(20)가 암결합부(10)에 결합시 상기 절개부(16)의 절개된 폭만큼 암결합부(10)가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이 발생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서로 다른 조립블럭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시에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암결합부(10)의 결합공간(12)에는 수결합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맞물림 결합되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돌기(13)가 형성되고 수결합부(20)에는 가이드홈(21)이 형성되며, 회전시에 회전된 각도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암결합부(10)의 결합공간(12)의 테두리 어느 일측에는 스토퍼돌기(14)가 형성되고 수결합부(20)에는 내입면(23)에 의해 형성되는 테두리벽에 걸림홈(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암결합부(10)의 수직대(11)의 테두리에는 내입공간(11a)이 형성된 내벽과 외벽으로 형성되어 제품의 경량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제조시에 성형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립블럭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수직대(11)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연장된 길이만큼 양측으로 대칭된 수직대(11)의 사이에는 양측으로 절개부(16)가 형성된 격벽(15)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암결합부(10)의 결합공간(12)을 다수 개로 형성하여 또 다른 조립블럭 여러 개를 동시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조형물의 조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양측으로 대칭된 수직대(11)가 길이가 길게 연장됨에 따라서 격벽(15)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도 격벽(15)에 형성된 절개부(16)에 의해 절개된 절개부(16)의 폭만큼 암결합부(10)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공간(12)이 개별적으로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이 이루어져 수결합부(20)가 암결합부(10)에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마찰되는 것을 줄여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격벽(15)은 대칭된 수직대(10)의 각각의 내벽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격벽(15)이 수직대(11)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결합공간(12)에 수결합부(20)가 결합시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5)의 중앙을 제외한 전후 양측으로 형성된 절개부(16)의 폭만큼만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이 발생되어 수결합부(2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결합공간(12)이 벌어지고 반대방향은 수축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고 결합이 완료되면 원상태로 복원되어 정확하게 맞물림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도7과 도8은 암결합부로만 이루어진 또 다른 조립블럭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암결합부(10)로만 이루어진 조립블럭의 구조는 두 개의 수직대(11)가 양측으로 이격되게 대칭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대(11)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한 쪽에만 결합공간(11)을 형성하거나 대칭된 수직대(11)의 정중앙 사이에 격벽(15)을 형성하여 상기 격벽(15)에 의하여 수결합부(20)가 결합되는 결합공간(12)이 상하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조립블럭의 다양한 조립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공간(12)을 형성하는 격벽(15)에 중앙을 제외한 전후 양측으로 절개부(16)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부(15)의 절개된 폭만큼 수직대(11)가 좌우로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이 발생되면서 또 다른 조립블럭의 결합의 용이성과 마모를 방지하여 다양한 조형물로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암결합부(10)로만 이루어진 조립블럭의 수직대(11)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연장된 길이에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전후 양측에 절개부(16)가 형성된 격벽(15)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암결합부(10)의 양 끝단과 중간 사이에 격벽(15)에 의한 다수 개의 독립된 결합공간(12)을 형성하여 여러 형태의 조립블럭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조형물로의 조립은 물론, 상기 격벽(15)에 형성된 절개부(16)의 절개된 폭만큼 독립된 각각의 결합공간(12)이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이 발생되어 조립블럭 간의 결합이 용이하면서 마찰을 최소화하여 마모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격벽(15)에 절개부(16)를 형성하지 않고 도9와 같이 격벽(15)의 너비폭을 수직대(11)의 너비폭보다 좁게 형성하여도 격벽(15)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격벽(15)에 의해 대칭된 수직대(11)가 견고하게 지지되면서도 수결합부(20)가 결합되는 다수 개로 결합공간(12)을 구획이 가능하면서도 수결합부(20)의 결합시에 암결합부(10)의 결합공간(12)이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이 동일하게 발생되어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격벽(15)에 형성된 절개부(16)의 내측 방향에 절개부(15)의 절개된 폭보다 조금 더 큰 폭의 보강공(17)을 형성하여 상기 보강공(17)에 의해 탄성작용을 더욱 향상토록 하면서도 탄성저항을 분산하여 격벽(15)이 찢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토록 하면서 조립블럭 간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절개부(16)에 형성된 보강공(17)은 원형이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작용에 의해 절개부(16)가 좁아지거나 벌어지려는 탄성저항을 분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개부(16)는 다단으로 형성하거나 양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도 동일한 탄성작용효과를 갖을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절개부(16)의 형상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탄성작용을 위해 실시 가능한 구조면 모두 적용가능한 것이다.
10: 암결합부 11: 수직대
12: 결합공간 13: 가이드돌기
14: 걸림돌기 15: 격벽
16: 절개부 17: 보강공
20: 수결합부 21: 가이드홈
22: 걸림홈 23: 내입면

Claims (7)

  1. 일측 또는 상하 양측으로 대칭되게 수결합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수결합부(20)의 하단 또는 상하 양측으로 대칭된 수결합부(20)의 양측 사이에 수직대(11)가 양측으로 직교되어 수직대(11)의 사이에 결합공간(12)을 형성한 암결합부(10)로 이루어진 조립블럭에 있어서,
    상기 대칭된 수직대(11)의 하단에 수직대(11)를 연결하여 성형시 변형방지와 수결합부(20)와 암결합부(10)를 구분하는 격벽(15)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5)의 전후에는 절개부(16)를 형성하여 수결합부(20)가 암결합부(10)에 결합시 상기 절개부(16)의 절개된 폭만큼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이 발생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결합된 상태에서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11)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연장된 길이만큼 좌우로 대칭된 수직대(11)의 사이에 전후 양측으로 절개부(16)가 형성된 격벽(15)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암결합부(10)의 결합공간(12)을 다수 개로 형성하면서도 상기 수직대(11)가 격벽(15)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도 격벽(15)에 형성된 절개부(16)에 의해 암결합부(10)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공간(12)이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3. 수직대(11)가 양측으로 이격되게 대칭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대(11)의 사이에 격벽(15)으로 상하 양측으로 수결합부(20)가 결합되는 결합공간(12)을 형성한 암결합부(10)로만 이루어진 조립블럭에 있어서,
    상기 격벽(15)의 전후 양측으로 절개부(16)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16)의 절개된 폭만큼 수직대(11)가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이 발생되도록 하여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11)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고 연장될 길이만큼 일정간격으로 전후 양측에 절개부(16)가 형성된 격벽(15)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16)의 절개된 폭만큼 각각의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는 다수 개의 결합공간(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5)의 너비폭을 수직대(11)의 너비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상기 격벽(15)을 대칭된 수직대(11)의 내측 중앙에 형성토록 하여 상기 격벽(15)을 중심으로 수직대(11)가 지지력이 유지하면서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으로 수결합부(20)의 결합이 용이토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5)에 형성된 절개부(16)의 내측 방향에는 절개부(15)의 절개된 폭보다 조금 더 큰 폭의 원형 또는 사각모양의 보강공(17)을 형성하여 조립블럭의 결합시 좌우 롤링에 의한 탄성작용을 더욱 향상시키면서도 탄성저항을 제어하여 조립블럭 간의 결합을 더욱 용이토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5)에 형성된 절개부(16)는 다단으로 형성되거나 양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KR1020160056830A 2016-05-10 2016-05-10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KR101797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830A KR101797171B1 (ko) 2016-05-10 2016-05-10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830A KR101797171B1 (ko) 2016-05-10 2016-05-10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171B1 true KR101797171B1 (ko) 2017-11-13

Family

ID=6038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830A KR101797171B1 (ko) 2016-05-10 2016-05-10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1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749Y1 (ko) 1998-02-16 2000-04-15 주식회사링고 체인 블럭완구
KR200401684Y1 (ko) 2005-08-31 2005-11-21 천선우 조립식 완구
JP2014039789A (ja) 2012-08-21 2014-03-06 Iringo Co Ltd 雌結合部が柔軟に弾性作動するチェーンブロック玩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749Y1 (ko) 1998-02-16 2000-04-15 주식회사링고 체인 블럭완구
KR200401684Y1 (ko) 2005-08-31 2005-11-21 천선우 조립식 완구
JP2014039789A (ja) 2012-08-21 2014-03-06 Iringo Co Ltd 雌結合部が柔軟に弾性作動するチェーンブロック玩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345B1 (ko)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을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US20080075528A1 (en) Construction system
KR101414360B1 (ko) 조립식 완구블록
KR101866659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101808964B1 (ko) 교육용 조립교구
US20150290550A1 (en) Building block construction system
KR101797171B1 (ko) 좌우 롤링으로 탄성작용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하면서 마모를 방지한 체인블럭완구
KR20170042850A (ko) 조립식 완구블럭
KR20160128798A (ko) 조립용 교구
KR200485228Y1 (ko)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KR20110009631U (ko) 조립완구용 블럭
KR101324698B1 (ko) 레고블록들간의 결합 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레고블록용 연결장치, 및 이를 채용한 레고블록과 레고블록 세트
US419099A (en) wolfg
KR20180052343A (ko) 종이 완구블록
KR20170028770A (ko) 탄성체로 이루어진 체결구를 갖는 조립식 블록
WO2021052378A1 (zh) 一种拼接玩具
KR101384492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JPH0924165A (ja) 組立おもちゃ
KR20130003194U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20170127791A (ko) 조립식 블록
KR101255484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200460490Y1 (ko) 조립식 블록완구용 스윙연결블록
KR101221648B1 (ko) 완구용 블럭
KR20090023662A (ko)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
KR101916181B1 (ko) 블록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