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484B1 - 유아용 블록완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블록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484B1
KR101255484B1 KR1020110076523A KR20110076523A KR101255484B1 KR 101255484 B1 KR101255484 B1 KR 101255484B1 KR 1020110076523 A KR1020110076523 A KR 1020110076523A KR 20110076523 A KR20110076523 A KR 20110076523A KR 101255484 B1 KR101255484 B1 KR 101255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ssembly
plate body
block plate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830A (ko
Inventor
이규휘
Original Assignee
이규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휘 filed Critical 이규휘
Priority to KR1020110076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4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rotation, e.g. of bayon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magnet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유아들이 판형상의 블록들을 원하는 입체 형상을 다양한 형상으로 자유롭게 비교적 쉬운 조작으로 확장가능 하여 유아 지능발달과 흥미유발을 도모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일정두께의 판형상으로 각 변의 길이가 같게 성형되어 서로 인접되는 변들이 결합되어 연결되는 블록판체(10)와, 이 블록판체(10)들 사이에서 이웃하는 블록판체(10)들을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조립봉(20)으로 구성되는 블록완구에 있어서,
상기 블록판체(10)의 각 변에는 내측으로 슬릿공간(11)을 형성하고, 이 슬릿공간(11)의 길이 중심에 위치되는 중심편(12)의 양측으로 끼움홈(13)을 각각 파내며, 상기 조립봉(20)에는 블록판체(10)의 끼움홈(13)들에 대응되는 위치로 간격을 두고 조립편(21)들을 구비하고, 이 조립편(21)들이 선택적으로 끼움홈(13)의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결착수단(30)이 구비되는 블록완구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30)으로는 상기 중심편(12)에는 영구자석(31)을 매립 고정시키고, 상기 조립봉(20)의 조립편(21)들을 영구자석(31)에 자착이 가능한 자성체로 성형하는 것

Description

유아용 블록완구 {a block toy used child}
본 발명은 유아용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유아들이 판형상의 블록들을 원하는 입체 형상을 다양한 형상으로 자유롭게 비교적 쉬운 조작으로 확장가능 하여 유아 지능발달과 흥미유발을 도모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블록완구는 여러 가지 모양의 단위블록을 유아들이 직접 결합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흥미를 유발시키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하며, 이로 인하여 유아들의 창의력과 지능을 발달시키기 위한 놀이기구이다.
종래의 조립식 블록완구는 상부면에 다수의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상부면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삽입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조립식 블록완구는 단순히 각각의 단위블록을 상, 하로 조립하여 특정모형을 완성하기 때문에, 모형의 입체감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순함을 탈피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US 4,055,019와 같이 정삼각 조립부재와 정사각 조립부재를 이용해 입체물을 조립할 수 있는 블록 완구가 제안된 바 있다.(도 9)
그러나, 종래 미국 특허 US 4,055,019와 같은 경우 블록체의 면방향으로 대향되는 블록체의 면이 끼워져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목표하는 하나의 입체물을 연결시킬 수는 있으나 보다 다양한 입체물을 다양한 각도로 확장 변형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이 또한 유아들로 하여금 쉽게 싫증을 느끼게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접되는 블록체의 연결방향으로부터 다양한 각도로 새로운 입체물이 계속하여 확장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블록완구는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형상의 입체물 조립이 가능하므로 유아들로 하여금 흥미유발과 함께 지능발달에 유익한 유아용 블록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두께의 판형상으로 각 변의 길이가 같게 성형되어 서로 인접되는 변들이 결합되어 연결되는 블록판체(10)들 사이에서 이웃하는 블록판체(10)들을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조립봉(20)으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판체(10)의 각 변에는 내측으로 슬릿공간(11)을 형성하고,
이 슬릿공간(11)의 길이 중심에 위치되는 중심편(12)의 양측으로 끼움홈(13)을 각각 파내며,
상기 조립봉(20)에는 블록판체(10)의 끼움홈(13)들에 대응되는 위치로 간격을 두고 조립편(21)들을 구비하고,
이 조립편(21)들이 선택적으로 끼움홈(13)의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결착수단(30)이 구비되는 유아용 블록완구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30)으로는 상기 중심편(12)에는 영구자석(31)을 매립 고정시키고, 상기 조립봉(20)의 조립편(21)들을 영구자석(31)에 자착이 가능한 자성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중심편(12)은 블록판체(10)의 두께보다 더 돌출되게 확장 성형된다.
상기 조립봉(20)의 직경(D)은 블록판체(10)의 슬릿공간(11)이 파여지는 깊이(t)의 2배보다 적어도 더 크게 설계하여 이웃하는 두 블록판체(10)가 서로 회전 작동될 수 있는 틈새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조립봉(20)을 중심으로 하는 매개체로 블록판체(10)가 연결되므로 그 연결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봉(20)과 블록판체(10)의 착탈 과정이 쉬워 유아들이 다양한 입체물을 확장시켜 원하는 구조물을 창작하여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입체물 조립이 가능하므로 유아들로 하여금 흥미유발과 함께 지능발달에 유익하게 되므로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블록완구를 이용해 정육면체가 완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조립봉을 매개체로 블록판체가 종횡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
도 4는 다양한 형상의 실시예를 갖는 블록판체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3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종래 블록판체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블록판체(10)는 합성수지재로 일정두께의 판형상으로 성형되는데 어느 방향에서도 인근하는 블록판체(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각 변의 길이가 같게 성형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는 예로서 블록판체(10)가 정삼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보이고 있으나, 그 외에 정오각형, 정육각형 등등 정다면체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판체(10)는 그 각변 위치에서 조립봉(20)을 매개체로 연결된다.
각 블록판체(10)들을 서로 인접되는 변들이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변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슬릿공간(11)을 일정 깊이로 형성하게 된다.
이 슬릿공간(11)의 길이 방향 중심에는 중심편(12)이 일체로 위치되고, 이 중심편(12)의 양측으로는 끼움홈(13)들을 각각 동일 두께로 파내게 된다.
조립봉(20)은 통상 봉 형상으로 슬릿공간(11)의 길이보다 약간 작은 길이로 설계된다.
이 조립봉(20)에는 블록판체(10)의 끼움홈(13)들에 대응되는 위치로 간격을 두고 조립편(21)들이 구비되는데, 조립봉(20)과 조립편(21)이 모두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경우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그리고, 결착수단(30)으로 조립편(21)들이 금속 자성체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합성수지재로 된 조립봉(20)을 사출할 때 인서트 금형에 의해 적정 위치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위치 고정된다.
또, 조립편(21)들과 조립봉(20)을 모두 금속 자성체로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조립봉(20)에 구비되는 조립편(21)들이 선택적으로 블록판체(10)에 파여지는 끼움홈(13)의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결착수단(3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결착수단(30)으로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편(12)에는 영구자석(31)을 매립 고정시키고, 상기 조립봉(20)의 조립편(21)들을 영구자석(31)에 자착이 가능한 자성체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영구자석(31)의 자력에 의해 조립편(21)에 자착되는 것에 의해 결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결착수단(30)을 분리시키고자 할 때는 자력의 힘보다 약간 큰 힘으로 당겨서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편(12)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판체(10)의 두께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확장 성형되어 조립편(21)과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영구자석(31)이 인서트 성형될 때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 조립봉(20)의 직경(D)은 블록판체(10)의 슬릿공간(11)이 파여지는 깊이(t)의 2배보다 적어도 더 크게, 즉 D>2t의 공식에 맞게 설계하여 이웃하는 두 블록판체(10)가 서로 회전 작동될 수 있는 틈새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블록완구는 예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정육면체를 완성하게 된다.
또,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정사각형으로 된 블록판체(10)의 각 변에 정삼각형으로 된 블록판체(10)들을 위치시켜 조립봉(20)을 이용해 연결하면 피라밋과 같은 입체 도형이 완성되고, 기타 다양한 입체물로 확장 연결시킬 수 있다.
블록판체(10)의 중앙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재료를 절감하고 제품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구멍을 뚫을 수도 있다.
10 - 블록판체 11 - 슬릿공간
12 - 중심편 13 - 끼움홈
20 - 조립봉 21 - 조립편
30 - 결착수단 31 - 영구자석

Claims (5)

  1. 일정두께의 판형상으로 각 변의 길이가 같게 성형되어 서로 인접되는 변들이 결합되어 연결되는 블록판체(10)들 사이에서 이웃하는 블록판체(10)들을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조립봉(20)으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판체(10)의 각 변에는 내측으로 슬릿공간(11)을 형성하고,
    이 슬릿공간(11)의 길이 중심에 위치되는 중심편(12)의 양측으로 끼움홈(13)을 각각 파내며,
    상기 조립봉(20)에는 블록판체(10)의 끼움홈(13)들에 대응되는 위치로 간격을 두고 조립편(21)들을 구비하고,
    이 조립편(21)들이 선택적으로 끼움홈(13)의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결착수단(30)이 구비되는 유아용 블록완구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30)으로는 상기 중심편(12)에는 영구자석(31)을 매립 고정시키고, 상기 조립봉(20)의 조립편(21)들을 영구자석(31)에 자착이 가능한 자성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블록완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편(12)은 블록판체(10)의 두께보다 더 돌출되게 확장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블록완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봉(20)의 직경(D)은 블록판체(10)의 슬릿공간(11)이 파여지는 깊이(t)의 2배보다 적어도 더 크게 설계하여 이웃하는 두 블록판체(10)가 서로 회전 작동될 수 있는 틈새를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블록완구.



KR1020110076523A 2011-08-01 2011-08-01 유아용 블록완구 KR101255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523A KR101255484B1 (ko) 2011-08-01 2011-08-01 유아용 블록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523A KR101255484B1 (ko) 2011-08-01 2011-08-01 유아용 블록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830A KR20130014830A (ko) 2013-02-12
KR101255484B1 true KR101255484B1 (ko) 2013-04-16

Family

ID=4789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523A KR101255484B1 (ko) 2011-08-01 2011-08-01 유아용 블록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073U (ko) 2014-12-08 2016-06-16 김선희 모양 커팅 판재 체결 세트 및 판재 체결 입체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114B1 (ko) * 2014-04-02 2016-01-25 전용복 분수교육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2365A (en) * 1993-05-17 1995-12-05 Engel; Richard J. Polygon attachment system for constructing polyhedr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2365A (en) * 1993-05-17 1995-12-05 Engel; Richard J. Polygon attachment system for constructing polyhedr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073U (ko) 2014-12-08 2016-06-16 김선희 모양 커팅 판재 체결 세트 및 판재 체결 입체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830A (ko)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866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079505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245060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0524154B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KR101255484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611788B1 (ko) 레일 블록 완구
KR101047689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3243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20040090653A (ko) 조립식 블록 및 조립식 블록완구세트
KR101119416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101032529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101384492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20130045988A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091363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101927033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100987575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103459B1 (ko) 자석을 이용한 유아용 교습구
KR101004887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20100068039A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0915515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146008B1 (ko) 학습용 조립블록
KR200479878Y1 (ko) 블록 지지대를 갖는 블록완구
KR20120019811A (ko) 유아 학습용 자석블록
KR101153487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20190001186A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