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492B1 - 유아 학습용 블록 - Google Patents

유아 학습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492B1
KR101384492B1 KR1020120113100A KR20120113100A KR101384492B1 KR 101384492 B1 KR101384492 B1 KR 101384492B1 KR 1020120113100 A KR1020120113100 A KR 1020120113100A KR 20120113100 A KR20120113100 A KR 20120113100A KR 101384492 B1 KR101384492 B1 KR 101384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body
support wall
lear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휘
Original Assignee
이규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휘 filed Critical 이규휘
Priority to KR1020120113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1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학습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구자석을 이용하지 않고 보다 간단한 구조로 정육면체의 블록들을 입체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 연결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블록몸체(10)와,
이 블록몸체(1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10)는 정육면체이며,
상기 연결부재(20)는 기둥벽(21)의 상하부에 상기 블록몸체(10)의 블록높이(H)가 억지 끼워 맞춰지는 치수의 끼움높이(L)로 된 지지벽체(22)가 대칭되게 양쪽으로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벽체(22)의 각도(a)는 기둥벽(21)에 대하여 45도 이하로 경사지게 각각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아 학습용 블록 {a education and training block used child}
본 발명은 유아 학습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구자석을 이용하지 않고 보다 간단한 구조로 정육면체의 블록들을 입체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 연결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블록완구는 여러 가지 모양의 단위블록을 유아들이 직접 결합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흥미를 유발시키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하여 유아들의 창의력과 지능을 발달시키기 위한 놀이기구이다.
따라서, 삼각기둥 내지 정육면체 등 여러 가지 모양의 블록과 이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들을 이용해 토막 쌓기, 퍼즐맞추기 입체도형 만들기 등을 수행하면서 놀 경우 심신의 발달과 아울러, 능동적인 사고발달 및 집중도 등이 자연스럽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각 블록들 또는 블록과 연결부재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로 영구자석을 이용하기 위해 블록의 각 면마다 영구자석 및 금속볼을 매립 고정시키게 된다.
또, 봉형상의 연결부재 단부에 영구자석에 자착을 위한 철금속재의 자착부재 또는 봉형상의 영구자석을 부착하는 구조도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종래, 자석블록은 영구자석과 이에 자착되는 금속판 내지 금속볼을 합성수지재 내지 목재로 된 블록체에 각 면마다 일일이 매립상태로 고정시켜야 한다.
자석블록은 영구자석을 블록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영구자석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멍을 뚫고 접착제를 이용해 블록체에 영구자석을 부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또, 이 영구자석에 자착되는 금속판 내지 금속볼 또한 블록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금속볼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멍을 뚫고 접착제를 이용해 블록체에 영구자석을 외부에서부터 끼워 부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따라서,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 부주의로 입에 넣고 빨거나 할 때 이 영구자석이 이탈되어 목으로 삼키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 가능성이 늘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영구자석 설치 없이도 각 방향으로 블록체와 연결부재들을 이용해 원하는 입체물을 확장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아 학습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매립된 영구자석 등의 자착부재가 이탈될 염려가 없어 안전성이 우수한 유아 학습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한 유아 학습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은, 블록몸체(10)와,
이 블록몸체(1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10)는 정육면체이며,
상기 연결부재(20)는 기둥벽(21)의 상하부에 상기 블록몸체(10)의 블록높이(H)가 억지 끼워 맞춰지는 치수의 끼움높이(L)로 된 지지벽체(22)가 대칭되게 양쪽으로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벽체(22)의 각도(a)는 기둥벽(21)에 대하여 45도 이하로 경사지게 각각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지지벽체(22)의 끝단부에는 걸림돌기(31)를 돌출 성형하고, 블록몸체(10)에는 이 걸림돌기(31)에 걸려지는 홈(32)이 파여지게 된다.
삭제
이때, 상기 블록몸체(10)에 파여지는 홈(32)은 원형으로 성형하고, 지지벽체(22)의 끝단부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31)는 호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지지벽체(22)의 내측 중간부에는 돌기(33)를 돌출 성형하고, 블록몸체(10)에는 이 돌기(33)에 걸려지는 걸림홈(34)들이 각 면에 파여지게 된다.
한편, 상기 기둥벽(21)에는 블록몸체(10)를 향해 후크돌기(35)가 돌출되고, 블록몸체(10)에는 이 후크돌기(35)들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홈부(36)들이 파여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영구자석 설치 없이도 각 방향으로 정육면체의 블록체와 연결부재들을 이용해 원하는 입체물을 확장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 매립된 영구자석 등의 자착부재가 이탈될 염려가 없어 안전성이 우수하여 타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몸체들이 연결부재에 의해 조립되는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분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은 도 1의 정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5는 지지벽체의 끝단부에는 돌출된 걸림돌기가 블록몸체에 파여진 홈에 걸려 이탈 방지되는 실시예를 일부 절결하여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지지벽체의 내측 중간부에 돌출된 돌기가 블록몸체에 파여진 걸림홈들에 걸려져서 이탈 방지되는 실시예를 일부 절결하여 보인 평면도.
도 8은 연결부재의 기둥벽에 돌출된 후크돌기가 블록몸체에 파여진 홈부에 끼워져 이탈 방지되는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블록몸체(10)들을 연결부재(20)를 매개체로 확장 연결시켜 원하는 입체 도형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한 유아 학습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블록몸체(10)는 주로 가로 세로 높이가 동일한 정육면체가 사용되나, 다양한 형상의 입체물 완성을 위해 길이 방향으로 길이 가 긴 직육면체도 포함된다.
상기 블록몸체(10)는 친자연적으로 시각적이나 조작할 때 느끼는 촉감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목재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이 블록몸체(1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0)는 합성수지재로 중앙에 세워지는 기둥벽(21)과, 이 기둥벽(21)의 양쪽 단부에 좌우 대칭되게 날개형상으로 지지벽체(2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벽체(22)의 끼움높이(L)는 상기 블록몸체(10)의 블록높이(H)와 같게 성형하여 억지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
즉, 연결부재(20)는 탄력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므로, 블록몸체(10)의 블록높이(H)에 대하여 상하 지지벽체(22) 사이의 끼움높이(L) 치수를 공차 범위내에서 같게 설계하는 경우 재질에 의한 자체 탄력에 의해 억지 끼워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재(20)에 의해 블록몸체(10)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조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연결부재(20)에 의해 블록몸체(10)가 끼워진 상태에서 더 견고하게 이탈되지 않고 조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지지벽체(22)의 끝단부에는 걸림돌기(31)를 돌출 성형하고, 블록몸체(10)에는 이 걸림돌기(31)에 걸려지는 홈(32)이 파여지게 된다.
이때,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몸체(10)에 파여지는 홈(32)은 원형으로 성형하고, 지지벽체(22)의 끝단부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31)는 호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좋다.
또, 또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벽체(22)의 내측 중간부에는 돌기(33)를 돌출 성형하고, 블록몸체(10)에는 이 돌기(33)에 걸려지는 걸림홈(34)들이 각 면에 파여지게 된다.
이 경우 블록몸체(10)의 각 면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4개의 걸림홈(34)들이 파여져 어느 방향에서도 조립된 상태에서 걸림홈(34)들에 돌기(33)가 결합되어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기둥벽(21)에는 도 8에서와 같이 블록몸체(10)를 향해 후크돌기(35)가 양쪽으로 각각 돌출된다.
그리고, 블록몸체(10)에는 이 후크돌기(35)들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홈부(36)들이 파여지게 된다.
이 후크돌기(35)는 중앙이 절취되어 홈부(36)을 향해 약간의 힘을 가하면 수축상태에서 홈부(36)내로 끼워진 후 다시 자체 탄력으로 확장되면서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0)에 의해 블록몸체(10)가 끼워진 상태에서 더 견고하게 이탈되지 않고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벽체(22)의 각도(a)는 기둥벽(21)에 대하여 45도 이하로 경사지게 각각 성형하여, 연결부재(20)들이 블록몸체(10)에 서로 직각방향에서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하, 좌우 및 원하는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블록몸체(10)들을 조립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중 영구자석이 이탈되거나 하여 유아가 입으로 삼키게 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상품성이 향상되고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블록몸체 20 - 연결부재
21 - 기둥벽 22 - 지지벽체
31 - 걸림돌기 32 - 홈
33 - 돌기 34 - 걸림홈
35 - 후크돌기 36 - 홈부

Claims (7)

  1. 블록몸체(10)와,
    이 블록몸체(1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10)는 정육면체이며,
    상기 연결부재(20)는 기둥벽(21)의 상하부에 상기 블록몸체(10)의 블록높이(H)가 억지 끼워 맞춰지는 치수의 끼움높이(L)로 된 지지벽체(22)가 대칭되게 양쪽으로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벽체(22)의 각도(a)는 기둥벽(21)에 대하여 45도 이하로 경사지게 각각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학습용 블록.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체(22)의 끝단부에는 걸림돌기(31)를 돌출 성형하고, 블록몸체(10)에는 이 걸림돌기(31)에 걸려지는 홈(32)이 파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학습용 블록.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10)에 파여지는 홈(32)은 원형으로 성형하고, 지지벽체(22)의 끝단부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31)는 호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학습용 블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체(22)의 내측 중간부에는 돌기(33)를 돌출 성형하고, 블록몸체(10)에는 이 돌기(33)에 걸려지는 걸림홈(34)들이 각 면에 파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학습용 블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벽(21)에는 블록몸체(10)를 향해 후크돌기(35)가 돌출되고, 블록몸체(10)에는 이 후크돌기(35)들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홈부(36)들이 파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학습용 블록.
  7. 삭제
KR1020120113100A 2012-10-11 2012-10-11 유아 학습용 블록 KR101384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100A KR101384492B1 (ko) 2012-10-11 2012-10-11 유아 학습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100A KR101384492B1 (ko) 2012-10-11 2012-10-11 유아 학습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492B1 true KR101384492B1 (ko) 2014-04-10

Family

ID=5065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100A KR101384492B1 (ko) 2012-10-11 2012-10-11 유아 학습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4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35A1 (ko) * 2016-06-30 2018-01-04 황두현 조립식 블럭
KR101898337B1 (ko) * 2016-06-30 2018-10-31 황두현 조립식 블럭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344A (ja) * 1993-04-20 1994-11-01 Yoshiritsu Kk 組立てブロック
KR200371977Y1 (ko) 2004-05-22 2005-01-15 구명화 퍼즐 연결용 클립 홀더
JP2009039181A (ja) 2007-08-06 2009-02-26 Akio Kita 組立ブロック玩具
KR20120094188A (ko) * 2011-02-16 2012-08-24 이규휘 유아용 블록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344A (ja) * 1993-04-20 1994-11-01 Yoshiritsu Kk 組立てブロック
KR200371977Y1 (ko) 2004-05-22 2005-01-15 구명화 퍼즐 연결용 클립 홀더
JP2009039181A (ja) 2007-08-06 2009-02-26 Akio Kita 組立ブロック玩具
KR20120094188A (ko) * 2011-02-16 2012-08-24 이규휘 유아용 블록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35A1 (ko) * 2016-06-30 2018-01-04 황두현 조립식 블럭
KR101898337B1 (ko) * 2016-06-30 2018-10-31 황두현 조립식 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866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695597B1 (ko) 완구용 블록
KR101866659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101245060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384492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101611788B1 (ko) 레일 블록 완구
KR101047689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20140067453A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0995722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927033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101103459B1 (ko) 자석을 이용한 유아용 교습구
KR100987575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255484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20130045988A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004887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032529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101028966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119416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101927034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101927035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20190001186A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100915515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153487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20160118520A (ko) 자석완구
KR101091363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