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188A - 유아용 블록완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블록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188A
KR20120094188A KR1020110013512A KR20110013512A KR20120094188A KR 20120094188 A KR20120094188 A KR 20120094188A KR 1020110013512 A KR1020110013512 A KR 1020110013512A KR 20110013512 A KR20110013512 A KR 20110013512A KR 20120094188 A KR20120094188 A KR 20120094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assembly
card member
fixing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5060B1 (ko
Inventor
이규휘
Original Assignee
이규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휘 filed Critical 이규휘
Priority to KR1020110013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0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1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유아들이 원하는 입체 형상을 다양한 형상으로 보다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자유롭게 확장가능 하고, 각종 도형이나 그림 문자와 연관하여 창작 범위를 넓혀 유아 지능발달과 흥미유발을 도모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외측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의 끼움홈(12)을 구성하도록 나란하게 끼움날개(11)들이 돌출 형성되는 조립체(10)와,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상기 조립체(10)의 끼움홈(12)에 끼워지는 카드부재(20)들과,
상기 끼움날개(11)에 카드부재(20)의 조립위치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3)와,
상기 카드부재(20)에는 끼움날개(11)에 조립되는 상태에서 고정돌기(13)에 대응되는 위치로 뚫어지는 고정구멍(21)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아용 블록완구 {a block toy used child}
본 발명은 유아용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유아들이 원하는 입체 형상을 다양한 형상으로 보다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자유롭게 확장가능 하고, 각종 도형이나 그림 문자와 연관하여 창작 범위를 넓혀 유아 지능발달과 흥미유발을 도모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블록완구는 여러 가지 모양의 단위블록을 유아들이 직접 결합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흥미를 유발시키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하여 유아들의 창의력과 지능을 발달시키기 위한 놀이기구이다.
종래의 조립식 블록완구는 상부면에 다수의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상부면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조립식 블록완구는 단순히 각각의 단위블록을 상, 하로 조립하여 특정모형을 완성하기 때문에, 모형의 입체감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순함을 탈피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US 4,055,019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141302호와 같이 정삼각 조립부재와 정사각 조립부재를 이용해 입체물을 조립할 수 있는 블록 완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미국 특허 US 4,055,019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141302호와 같은 경우 블록체의 면방향으로 대향되는 블록체의 면이 끼워져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목표하는 하나의 입체물을 연결시킬 수는 있으나 보다 다양한 입체물을 다양한 각도로 확장 변형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이 또한 유아들로 하여금 쉽게 싫증을 느끼게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 입체 도형을 완성하면서 다양한 그림이나 문자, 도형과 연관할 수 없으므로 입체물과 도형과의 연관된 조합물을 창작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접되는 블록체의 연결방향으로부터 다양한 각도로 새로운 입체물이 계속하여 확장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블록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상의 입체물 조립이 가능하므로 유아들로 하여금 흥미유발과 함께 지능발달에 유익한 유아용 블록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들로 하여금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여 취급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블록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체 도형과 어울리는 그림이나 도형 및 문자를 연관시키면서 조립할 수 있어 보다 창작능력 향상과 아울러 늘 새로운 마음으로 조립에 집중 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블록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외측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의 끼움홈(12)을 구성하도록 나란하게 끼움날개(11)들이 돌출 형성되는 조립체(10)와,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상기 조립체(10)의 끼움홈(12)에 끼워지는 카드부재(20)들과,
상기 끼움날개(11)에 카드부재(20)의 조립위치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3)와,
상기 카드부재(20)에는 끼움날개(11)에 조립되는 상태에서 고정돌기(13)에 대응되는 위치로 뚫어지는 고정구멍(21)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한편, 조립체(10)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끼움날개(11)들중 어느 하나는 그 돌출 높이를 더 높게 형성하여 카드부재(20)의 끼움 동작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또, 카드부재(20)들과 끼움날개(11) 사이로 틈새를 없애도록 고정돌기(13)에 대응되는 위치로 고정홀(31)이 뚫어지는 틈새보강편(30)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
여기서 틈새보강편(30)에는 고정홀(31) 위치까지 카드부재(20)와 끼움날개(11) 사이로 틈새보강편(30)이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라인(32)이 파여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조립체(10)의 각 방향으로 형성된 끼움날개(11)의 사이로 판 형상의 카드부재(20)들이 조립되는 방법으로 다양한 각도로 새로운 입체물이 계속하여 확장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형상의 입체물 조립이 가능하므로 유아들로 하여금 흥미유발과 함께 지능발달에 유익한 도움을 줄 수 있다.
또, 고정돌기(13)와 고정구멍(21)에 의해 카드부재(20)들이 정확한 위치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유아들로 하여금 취급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카드부재(20)의 표면에 완성되는 입체물과 어울리는 그림이나 도형, 문자를 인쇄하거나 유아들이 직접 그려 넣을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분야의 창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학습용 블록들이 조립되는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카드부재와 끼움날개 사이로 틈새보강편이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 완료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확대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조립체의 형상에 따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상기 조립체(10)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하게 되는데, 도면에서와 사각기둥 또는 원형기둥으로 그 둘레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끼움날개(11)들이 나란하게 돌출 성형된다.
따라서, 이 끼움날개(11)들 사이로 끼움홈(12)이 형성된다.
끼움홈(12)의 폭은 카드부재(20)들의 두께와 대응되는 치수로 설계된다.
카드부재(20)는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상기 조립체(10)의 원하는 끼움홈(12)에 끼워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입체물을 확장 연결시키게 된다.
카드부재(20)들은 보통 판 형상으로 합성수지재로 성형하게 되는데, 표면에 코팅이 형성되고 다중겹으로 합지하여 강도가 양호한 종이재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카드부재(20)들은 예로서 사각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3각 내지 8각 형상, 또는 원판형으로 성형되어 다양한 입체물이 완성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끼움날개(11) 사이로 상기 카드부재(20)를 끼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수단이 강구된다.
즉, 상기 끼움날개(11)에 카드부재(20)의 조립위치로 각각 고정돌기(13)들을 내측을 향해 돌출 성형하게 된다.
고정돌기(13)들의 형상은 도면에서와 같이 반구(半球) 형상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카드부재(20)에는 상기 끼움날개(11)에 조립되는 상태에서 고정돌기(13)에 대응되는 위치로 고정구멍(21)을 뚫게 된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조립체(10)의 끼움날개(11) 사이로 카드부재(20)를 정위치에 끼우게 되면 고정구멍(21)의 위치로 양측에서 고정돌기(13)들이 끼워져 위치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조립체(10) 및 카드부재(20)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므로 적당한 탄성력을 보유하게 되므로 카드부재(20)를 끼움날개(11) 사이로 끼우는 과정에서 끼움날개(11)들이 약간 벌어지면서 고정구멍(21)과 고정돌기(13)의 위치가 일치되면 자체 탄성력으로 벌어진 틈새가 복귀되려는 작용으로 카드부재(20)가 조립체(1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조립체(10)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끼움날개(11)들중 어느 하나는 그 돌출 높이를 더 높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일측 끼움날개(11)를 타측 끼움날개(11)에 비하여 더 크게 성형할 경우 카드부재(20)가 근접된 상태에서 끼움홈(12)으로 넣는 과정에서 위치를 어긋나지 않도록 동작을 안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주로 유아들이 취급할 때 편리함과 조립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또한, 카드부재(20)들과 끼움날개(11) 사이로 틈새를 없애도록 고정돌기(13)에 대응되는 위치로 고정홀(31)이 뚫어지는 틈새보강편(30)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
이는 반복되는 사용으로 카드부재(20)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우 끼움상태가 헐겁게 된다.
또 필요에 의해 정상적인 카드부재(20)의 두께에 비해 얇은 두께의 카드부재(20)를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때 끼움홈(12)의 폭보다 카드부재(20)의 두께가 얇게 되므로 틈새보강편(30)을 제공하여 헐거워서 쉽게 카드부재(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틈새보강편(30)에는 고정홀(31) 위치까지 카드부재(20)와 끼움날개(11) 사이로 틈새보강편(30)이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라인(32)이 파여지는 것도 좋다.
본 발명의 조립체(10)가 사각 기둥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조립체(10)의 둘레 4방향에 모두 카드부재(20)들을 끼워 조립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입체물을 계속하여 확장 연결될 수 있다.
또 조립체(10)를 3각, 5각, 6각, 8각 및 원통형으로 제작하여 카드부재(20)가 3각, 5각, 6각, 8각의 방향으로 확장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원통형으로 조립체(10)가 제작되는 경우 방사상으로 끼움날개(11)들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카드부재(20)들이 방사상으로 조립, 확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형상의 입체물 조립이 가능하므로 유아들로 하여금 흥미유발과 함께 지능발달에 유익한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8은 조립체(10)의 양측으로만 끼움날개(11)들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한편, 상기 카드부재(20)에는 원하는 그림이나, 도형, 문자 등을 인쇄하거나 유아가 직접 그려서 넣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예로서, 빌딩이나 집과 같은 건축물을 완성한 후 카드부재(20)의 표면에 창문이나 현관문, 지붕 등의 그림을 그려 넣을 수 있다.
또, 간판이나 표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문장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원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입체물을 완성할 수 있고, 편리하게 정확한 위치로 카드부재(20)들의 조립이 가능하므로 유아들로 하여금 취급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10 - 조립체 11 - 끼움날개
12 - 끼움홈 13 - 고정돌기
20 - 카드부재 21 - 고정구멍
30 - 틈새보강편 31 - 고정홀

Claims (4)

  1.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외측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의 끼움홈(12)을 구성하도록 나란하게 끼움날개(11)들이 돌출 형성되는 조립체(10)와,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상기 조립체(10)의 끼움홈(12)에 끼워지는 카드부재(20)들과,
    상기 끼움날개(11)에 카드부재(20)의 조립위치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3)와,
    상기 카드부재(20)에는 끼움날개(11)에 조립되는 상태에서 고정돌기(13)에 대응되는 위치로 뚫어지는 고정구멍(2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유아용 블록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10)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끼움날개(11)들중 어느 하나는 그 돌출 높이를 더 높게 형성하여 카드부재(20)의 끼움 동작을 안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유아용 블록완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드부재(20)들과 끼움날개(11) 사이로 틈새를 없애도록 고정돌기(13)에 대응되는 위치로 고정홀(31)이 뚫어지는 틈새보강편(3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유아용 블록완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서 틈새보강편(30)에는 고정홀(31) 위치까지 카드부재(20)와 끼움날개(11) 사이로 틈새보강편(30)이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라인(32)이 파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유아용 블록완구.





KR1020110013512A 2011-02-16 2011-02-16 유아용 블록완구 KR101245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512A KR101245060B1 (ko) 2011-02-16 2011-02-16 유아용 블록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512A KR101245060B1 (ko) 2011-02-16 2011-02-16 유아용 블록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188A true KR20120094188A (ko) 2012-08-24
KR101245060B1 KR101245060B1 (ko) 2013-03-18

Family

ID=4688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512A KR101245060B1 (ko) 2011-02-16 2011-02-16 유아용 블록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0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492B1 (ko) * 2012-10-11 2014-04-10 이규휘 유아 학습용 블록
CN104492099A (zh) * 2014-09-15 2015-04-08 淳安源头活水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用于拼装玩具的折片
WO2018004135A1 (ko) * 2016-06-30 2018-01-04 황두현 조립식 블럭
CN110975306A (zh) * 2019-12-26 2020-04-10 广州日成实业有限公司 积木玩具
JP2021137085A (ja) * 2020-03-02 2021-09-16 株式会社バンダイ 組立玩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444B1 (ko) * 2013-08-27 2014-11-21 박수희 아동용 블록빌더
KR20160015024A (ko) 2014-07-30 2016-02-12 이규휘 유아용 블록완구
KR101936494B1 (ko) * 2017-02-07 2019-04-0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육용 다각형 연결부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588Y1 (ko) * 2000-08-19 2001-02-15 주식회사링고 블록완구
KR100638180B1 (ko) * 2002-03-26 2006-10-26 매텔 인코포레이티드 저삽입력 연결체를 갖는 조립 완구 세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492B1 (ko) * 2012-10-11 2014-04-10 이규휘 유아 학습용 블록
CN104492099A (zh) * 2014-09-15 2015-04-08 淳安源头活水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用于拼装玩具的折片
CN104492099B (zh) * 2014-09-15 2017-01-18 淳安源头活水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用于拼装玩具的折片
WO2018004135A1 (ko) * 2016-06-30 2018-01-04 황두현 조립식 블럭
CN110975306A (zh) * 2019-12-26 2020-04-10 广州日成实业有限公司 积木玩具
JP2021137085A (ja) * 2020-03-02 2021-09-16 株式会社バンダイ 組立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060B1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060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349152B1 (ko) 자석 블록 완구
KR100993250B1 (ko) 자석 장착식 다각형 장난감 판넬
KR20120082517A (ko) 유아용 블록완구
WO2011003417A1 (en) A building set for toy houses
JP2019130237A (ja) 磁石式プレート玩具
KR101695597B1 (ko) 완구용 블록
KR101079505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896144B1 (ko) 조립식 완구블럭
KR101611788B1 (ko) 레일 블록 완구
KR20170028805A (ko)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KR20130045988A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2018601B1 (ko) 조립형 교구 블록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KR20160015024A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384492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CN109715257B (zh) 装配式模块
KR101004887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0846916B1 (ko) 조립식 교육·완구용 놀이 집
KR102174925B1 (ko) 유아 학습용 블럭
CN112272582A (zh) 构造型玩具的立方体元件及其形成方法
US9144747B2 (en) Constructible playhouse
KR100915515B1 (ko) 유아용 블록완구
CN109689175B (zh) 装配式模块
KR101119416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