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343A - 종이 완구블록 - Google Patents

종이 완구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343A
KR20180052343A KR1020160149542A KR20160149542A KR20180052343A KR 20180052343 A KR20180052343 A KR 20180052343A KR 1020160149542 A KR1020160149542 A KR 1020160149542A KR 20160149542 A KR20160149542 A KR 20160149542A KR 20180052343 A KR20180052343 A KR 20180052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plate
plates
bent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623B1 (ko
Inventor
이채림
Original Assignee
(주)브레인숲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레인숲 filed Critical (주)브레인숲
Priority to KR102016014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6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들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적층되는 블록들을 쐐기식으로 견고하게 연결하여 적층된 블록들이 분리되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종이 완구블록에 관한 것으로, 양측으로 길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상판과, 상판의 전,후방 단부와 좌,우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전,후방 경사판 및 좌,우측 경사판과, 전,후방 경사판과 좌,우측 경사판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수직으로 절곡되는 전,후,좌,우판과, 상기 전판의 우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우판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우측 커버판과, 상기 우판의 후방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후판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후방 커버판과, 상기 후판의 좌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좌판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좌측 커버판과, 상기 좌판의 전방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판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전방 커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 경사판의 양측 단부와, 상기 좌,우측 경사판의 전,후방 단부는 서로 밀착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우측 커버판을 우판과 후방 커버판의 사이에 고정하고, 상기 후방 커버판을 상기 후판과 좌측 커버판의 사이에 고정하며, 상기 좌측 커버판을 좌판과 전방 커버판의 사이에 고정하고, 상기 전방 커버판을 전판과 우측 커버판의 사이에 고정하는 커버판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이 완구블록{Paper toy brock}
본 발명은 종이 완구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들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적층되는 블록들을 쐐기식으로 견고하게 연결하여 적층된 블록들이 분리되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종이 완구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블록은 어린이나 유아의 지능발달을 위한 장난감으로, 블록들을 연결 조합하여 여러 형태를 조형물을 만드는 놀이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완구블록은 대표적으로 자석 부착식 완구블록과 적층식 완구블록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종래의 적층식 완구블록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 합성수지 완구블록, 목재를 입체적으로 가공한 목재 완구블록, 종이를 접어 입체적으로 만든 종이 완구블록 등이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을 종래의 종이 완구블록을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완구블록의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08-0005260호의 "종이 블록"(이하, "종래의 종이 블록"이라 한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종이 블록은 종이를 접어 입체적인 블록을 만든 것으로, 벽돌 형상의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종이 블록을 아이들을 가지고 놀 경우에는 벽돌 쌓기 등의 놀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종이 블록들을 이용하여 쌓는 놀이를 할 경우에는, 서로 적층되는 종이 블록들이 전혀 연결되지 않음에 따라, 종이 블록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종이 블록들이 쉽게 넘어져 아이들이 흥미를 쉽게 잃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종이 블록은 벽돌 쌓기의 놀이 이외에는 다른 조형물을 전혀 만들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08-0005260호의 "종이 블록"(2008.11.11.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들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적층되는 블록들을 쐐기식으로 견고하게 연결하여 적층된 블록들이 분리되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종이 완구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들을 지그재그식이나 서로 교차되게 적층할 수 있는 종이 완구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들을 지그재그식이나 서로 교차되게 적층할 경우에 블록들을 끼움식과 쐐기식으로 좀 더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종이 완구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좌,우판의 외면에 밀착되는 커버판들을 통해 전,후,좌,우판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종이 완구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좌,우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내면 커버판들을 더 구비하여 전,후,좌,우판의 수직 강도를 좀 더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종이 완구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은 양측으로 길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상판과, 상판의 전,후방 단부와 좌,우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전,후방 경사판 및 좌,우측 경사판과, 전,후방 경사판과 좌,우측 경사판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수직으로 절곡되는 전,후,좌,우판과, 상기 전판의 우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우판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우측 커버판과, 상기 우판의 후방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후판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후방 커버판과, 상기 후판의 좌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좌판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좌측 커버판과, 상기 좌판의 전방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판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전방 커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 경사판의 양측 단부와, 상기 좌,우측 경사판의 전,후방 단부는 서로 밀착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우측 커버판을 우판과 후방 커버판의 사이에 고정하고, 상기 후방 커버판을 상기 후판과 좌측 커버판의 사이에 고정하며, 상기 좌측 커버판을 좌판과 전방 커버판의 사이에 고정하고, 상기 전방 커버판을 전판과 우측 커버판의 사이에 고정하는 커버판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의 상기 커버판 고정수단은 상기 우판과 후방 커버판의 사이 절곡부, 상기 후판과 좌측 커버판의 사이 절곡부, 상기 좌판과 전방 커버판의 사이 절곡부, 및 상기 전판과 우측 커버판의 사이 절곡부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수직장홀과; 상기 우측 커버판의 후방 단부, 상기 후방 커버판의 좌측 단부, 상기 좌측 커버판의 전방 단부, 및 상기 전방 커버판의 우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장홀에 관통 삽입되는 제1 내지 제4 삽입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의 상기 상판과 전,후방 경사판의 좌우 방향의 중간에는 종방향으로 끼움 연결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의 상기 전,후방 경사판에 형성된 상기 끼움 연결장홀은 양측폭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의 상기 후방 커버판의 하단부, 상기 좌측 커버판의 하단부, 상기 전방 커버판의 하단부, 및 상기 우측 커버판의 하단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후,좌,전,우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1 내지 제4 내면 커버판이 연장되게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블록들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적층되는 블록들을 쐐기식으로 견고하게 연결하여 적층된 블록들이 분리되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아이들이 블록 쌓기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흥미를 더 가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들을 지그재그식이나 서로 교차되게 적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블록을 쌓는 놀이는 물론, 로봇과 같은 여러 형태의 조형물도 만들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들을 지그재그식이나 서로 교차되게 적층할 경우에 블록들을 끼움식과 쐐기식으로 좀 더 견고하게 연결시킴으로써, 블록들을 지그재그식이나 서로 교차되게 적층하는 과정에서 블록들이 분리되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좌,우판의 외면에 밀착되는 커버판들을 통해 전,후,좌,우판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함에 따라, 아이들이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전,후,좌,우판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좌,우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내면 커버판들을 더 구비하여 전,후,좌,우판의 수직 강도를 높임으로써, 아이들이 블록을 던지거나 발로 밟더라도 블록의 손상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의 위에서 본 평면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을 전개도를 접어 블록을 완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전,후방 경사판, 좌,우측 경사판, 및 전,후,좌,우판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우측 커버판을 접어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c는 후방 커버판을 접어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d는 좌측 커버판을 접어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e는 전측 커버판을 접어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f는 제1 내지 제4 내면 커버판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하부 사시도이며,
도 2g는 제1 내지 제4 내면 커버판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들을 수직으로 적층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적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들을 지그재그식으로 엇갈리게 포개어 적층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적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들을 직각으로 교차되게 적층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의 위에서 본 평면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을 전개도를 접어 블록을 완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들을 수직으로 적층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들을 지그재그식으로 엇갈리게 포개어 적층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들을 직각으로 교차되게 적층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은 양측으로 길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상판(1)과, 상기 상판(1)의 전방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부에서 외측 방향인 전방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전방 경사판(2)과, 상기 상판(1)의 후방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부에서 외측 방향인 후방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후방 경사판(3)과, 상기 상판(1)의 좌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부에서 외측 방향인 좌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좌측 경사판(4)과, 상기 상판(1)의 우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부에서 외측 방향인 우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우측 경사판(5)과, 상기 전,후방 경사판(2)(3)과 좌,우측 경사판(4)(5)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수직으로 절곡되는 전,후,좌,우판(21)(31)(41)(51)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전,후방 경사판(2)(3)의 양측 단부와, 상기 좌,우측 경사판의 전,후방 단부는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은 상기 전판(21)의 우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우판(51)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우측 커버판(22)과, 상기 우판(51)의 후방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후판(31)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후방 커버판(52)과, 상기 후판(31)의 좌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좌판(41)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좌측 커버판(32)과, 상기 좌판(41)의 전방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판(21)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전방 커버판(42),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은 상기 우측 커버판(22)을 우판(51)과 후방 커버판(52)의 사이에 고정하고, 상기 후방 커버판(52)을 상기 후판(31)과 좌측 커버판(32)의 사이에 고정하며, 상기 좌측 커버판(32)을 좌판(41)과 전방 커버판(42)의 사이에 고정하고, 상기 전방 커버판(42)을 전판(21)과 우측 커버판(22)의 사이에 고정하는 커버판 고정수단을 포한다.
상기 커버판 고정수단은 상기 우판(51)과 후방 커버판(52)의 사이 절곡부, 상기 후판(31)과 좌측 커버판(32)의 사이 절곡부, 상기 좌판(41)과 전방 커버판(42)의 사이 절곡부, 및 상기 전판(21)과 우측 커버판(22)의 사이 절곡부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수직장홀(H1 ~ H4)과, 상기 우측 커버판(22)의 후방 단부, 상기 후방 커버판(52)의 좌측 단부, 상기 좌측 커버판(32)의 전방 단부, 및 상기 전방 커버판(42)의 우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장홀(H1 ~ H4)에 관통 삽입되는 제1 내지 제4 삽입 고정판(F1 ~ F4)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각 판들의 사이에 절곡되는 부분인 절곡부는 첨부된 도면상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종이 완구블록(이하, "블록"이라 한다.)을 구성하는 판은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고 절곡이 용이하도록 골판지나 두꺼운 종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블록(B)을 구성하는 판에서 절곡되는 절곡부에는 절곡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장홀(H1 ~ H4)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 고정판(F1 ~ F4)이 상하로 유동 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 고정판(F1 ~ F4)의 상하 길이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 고정판(F1 ~ F4)이 절곡되는 절곡부의 상,하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장홀(H1 ~ H4)의 상,하 단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이탈 방지 함몰홈(G)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판(1)과 전,후방 경사판(2)(3)의 좌우 방향의 중간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완구블록(B : 이하, "블록"이라 한다.)의 전,후,좌,우판(21)(31)(41)(51) 중 하나가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끼움 연결장홀(6)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후방 경사판(2)(3)에 형성된 상기 끼움 연결장홀(6)은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블록(B)의 전,후,좌,우판(21)(31)(41)(51) 중 하나가 삽입될 경우에 쐐기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폭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판(31)의 우측 단부, 상기 좌판(41)의 후방 단부, 상기 전판(21)의 좌측단부, 및 상기 우판(51)의 전방 단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좌,전,우판(31)(41)(21)(51)의 수직 절곡시 후,좌,전,우판(31)(41)(21)(51)을 임시적으로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장홀(H1 ~ H4)에 삽입되는 제1 내지 제4 삽입 돌출부(D1 ~ D4)가 연장되게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 돌출부(D1 ~ D4)의 돌출길이는 제1 내지 제4 삽입 돌출부(D1 ~ D4)가 제1 내지 제4 수직장홀(H1 ~ H4)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후,좌,전,우판(31)(41)(21)(51)의 두께의 길이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 커버판(52)의 하단부, 상기 좌측 커버판(32)의 하단부, 상기 전방 커버판(42)의 하단부, 및 상기 우측 커버판(22)의 하단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좌,전,우판(31)(41)(21)(51)의 수직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후,좌,전,우판(31)(41)(21)(51)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1 내지 제4 내면 커버판(C1 ~ C4)이 연장되게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면 커버판(C1)의 우측 단부, 상기 제2 내면 커버판(C2)의 후방 단부, 상기 제3 내면 커버판(C3)의 좌측 단부, 및 상기 제4 내면 커버판(C4)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 고정판(F1 ~ F4)이 블록(B)의 내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 고정판(F1 ~ F4)이 삽입되는 제1 내지 제4 삽입홈부(S1 ~ S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 고정판(F1 ~ F4)의 상,하 모서리부는 제1 내지 제4 수직장홀(H1 ~ H4)에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홈부(S1 ~ S4) 상,하 모퉁이부는 상기 라운드부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밀착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내면 커버판(C1 ~ C3)을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4 내면 커버판(C2)(C4)의 전,후방의 상부에는 다수의 끼움 홈부(K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3 내면 커버판(C1)(C3)의 양측 단부의 상부에는 상기 끼움 홈부(K1)에 삽입되는 다수의 끼움 돌출부(K2)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완구블록을 접어서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구블록을 구성하는 골판지나 두꺼운 종이를 펼친 상태에서 입체 형상의 완구블록(B : 이하, "블록"이라한다.)을 만들 경우에는, 먼저, 상판(1)의 전,후방에 형성된 전,후방 경사판(2)(3)을 상부에서 외측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시키고, 상판(1)의 좌,우측에 형성된 좌,우측 경사판(4)(5)을 외측 방향인 좌,우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시킨다.
다음 상기 전,후방 경사판(2)(3)과 좌,우측 경사판(4)(5)의 하단에 연장되게 형성된 전,후,좌,우판(21)(31)(41)(51)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세우면서, 상기 후판(31)의 우측 단부, 좌판(41)의 후방 단부, 전판(21)의 좌측단부, 및 좌판(41)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의 삽입 돌출부(D1 ~ D4)를 상기 좌판(41)과 후방 커버판(52)의 사이 절곡부, 상기 후판(31)과 좌측 커버판(32)의 사이 절곡부, 상기 좌판(41)과 전방 커버판(42)의 사이 절곡부, 및 상기 전판(21)과 우측 커버판(22)의 사이 절곡부에 형성된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장홀(H1 ~ H4)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후,좌,전,좌판(31)(41)(21)(51)을 임시적으로 수직으로 세운다.
다음 상기 전판(21)의 우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우측 커버판(22)을 상기 우판(51)의 외면에 밀착시키고, 우측 커버판(2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제1 삽입 고정판(F1)을 상기 제1 수직장홀(H1)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우측 커버판(22)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우판(51)의 후방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후방 커버판(52)을 상기 후판(31)의 외면에 밀착시키고, 후방 커버판(52)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제2 삽입 고정판(F2)을 상기 제2 수직장홀(H2)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후방 커버판(52)을 고정한다.
다음 상기 후판(31)의 좌측 단부에 연장 형성된 좌측 커버판(32)을 상기 좌판(41)의 외면에 밀착시키고, 좌측 커버판(32)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제3 삽입 고정판(F3)을 상기 제3 수직장홀(H3)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좌측 커버판(32)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좌판(41)의 전방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전방 커버판(42)을 상기 전판(21)의 외면에 밀착시키고, 전방 커버판(42)의 우측 단부에 형성된 제4 삽입 고정판(F4)을 상기 제4 수직장홀(H4)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전방 커버판(42)을 고정한다.
다음 최종적으로, 상기 후방 커버판(52)의 상단부, 상기 좌측 커버판(32)의 상단부, 상기 전방 커버판(42)의 상단부, 및 상기 우측 커버판(22)의 상단부에 연장 형성된 제1 내지 제4 내면 커버판(C1 ~ C4)을 하부 방향으로 절곡시켜 상기 후,좌,전,우판(31)(41)(21)(51)의 내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완구블록(B)을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후,좌,우판(21)(31)(41)(51)의 외면에 밀착되는 커버판들을 통해 전,후,좌,우판(21)(31)(41)(51)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함으로써, 아이들이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전,후,좌,우판(21)(31)(41)(51)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종이 완구블록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전,후,좌,우판(21)(31)(41)(51)의 내면에 밀착되는 내면 커버판들을 더 구비하여 전,후,좌,우판(21)(31)(41)(51)의 수직 강도를 높임으로써, 아이들이 블록(B)을 던지거나 발로 밟더라도 블록(B)의 손상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5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구블록들을 가지고 아이들이 놀이를 할 경우에는 블록(B)들을 포개지게 수직으로 적층할 수 있고, 블록(B)들을 지그재그식으로 포개어 적층할 수도 있으며, 블록(B)들을 직각으로 교차되게 적층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먼저, 블록(B)들을 완전히 포개지게 수직으로 세울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되는 블록(B)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전,후방 경사판(2)(3)과 좌,우측 경사판(4)(5)의 외면에 적층할 블록(B)의 전,후,좌,우판(21)(31)(41)(51)을 쐐기식으로 삽입함으로써, 적층할 블록(B)을 좌우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블록(B)들을 포개어 수직으로 적층되게 세우는 과정에서 적층되는 블록(B)들을 쐐기식으로 견고하게 연결시킴으로써, 수직으로 블록(B)들을 적층한 상태에서 적층된 블록(B)들이 분리되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블록(B)들을 지그재그식으로 엇갈리게 포개어 적층할 경우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된 블록(B)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끼움 연결장홀(6)에 적층할 블록(B)의 좌판(41)이나 우판(51)을 끼움식으로 끼우면서 하부에 위치된 블록(B)의 상부에 쐐기식으로 삽입함으로써, 지그재그로 적층되는 블록(B)들을 좌우로 유동 없이 견고하게 적층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블록(B)들을 지그재그식으로 서로 엇갈리게 적층하는 과정에서 적층되는 블록(B)들을 끼움식과 쐐기식으로 견고하게 연결시킴으로써, 지그재그식으로 블록(B)들을 적층한 상태에서 적층된 블록(B)들이 분리되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블록(B)들을 직각으로 교차되게 적층을 할 경우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된 블록(B)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끼움 연결장홀(6)에 적층할 블록(B)의 전판(21)이나 후판(31)을 끼움식으로 끼우면서 하부에 위치된 블록(B)의 상부에 쐐기식으로 삽입함으로써, 직각으로 교차되게 적층되는 블록(B)들을 좌우로 유동 없이 견고하게 적층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블록(B)들을 직각으로 교차되게 적층하는 과정에서 적층되는 블록(B)들을 끼움식과 쐐기식으로 견고하게 연결시킴으로써, 직각으로 교차되게 블록(B)들을 적층한 상태에서 적층된 블록(B)들이 분리되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블록(B)들의 적층 조합을 통해, 로봇이나 건물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조형물을 만들 수도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상판
2 : 전방 경사판
21 : 전판, 22 : 우측 커버판
3 : 후방 경사판
31 : 후판, 32 : 좌측 커버판
4 : 좌측 경사판
41 : 좌판, 42 : 전방 커버판
5 : 우측 경사판
51 : 우판, 52 : 후방 커버판
6 : 끼움 연결장홀
H1 ~ H4 : 제1 ~ 제4 수직장홀
F1 ~ F4 : 제1 ~ 제4 삽입 고정판
G : 이탈 방지 함몰홈
D1 ~ D4 : 제1 ~ 제4 삽입 돌출부
C1 ~ C4 : 제1 ~ 제4 내면 커버판
S1 ~ S4 : 제1 ~ 제4 삽입홈부
B : 블록

Claims (10)

  1. 양측으로 길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상판(1)과, 상판(1)의 전,후방 단부와 좌,우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전,후방 경사판(2)(3) 및 좌,우측 경사판(4)(5)과, 전,후방 경사판(2)(3)과 좌,우측 경사판(4)(5)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수직으로 절곡되는 전,후,좌,우판(21)(31)(41)(51)과, 상기 전판(21)의 우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우판(51)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우측 커버판(22)과, 상기 우판(51)의 후방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후판(31)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후방 커버판(52)과, 상기 후판(31)의 좌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좌판(41)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좌측 커버판(32)과, 상기 좌판(41)의 전방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판(21)의 외면에 밀착되게 절곡되는 전방 커버판(42),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 경사판(2)(3)의 양측 단부와, 상기 좌,우측 경사판(4)(5)의 전,후방 단부는 서로 밀착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우측 커버판(22)을 우판(51)과 후방 커버판(52)의 사이에 고정하고, 상기 후방 커버판(52)을 상기 후판(31)과 좌측 커버판(32)의 사이에 고정하며, 상기 좌측 커버판(32)을 좌판(41)과 전방 커버판(42)의 사이에 고정하고, 상기 전방 커버판(42)을 전판(21)과 우측 커버판(22)의 사이에 고정하는 커버판 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구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 고정수단은
    상기 우판(51)과 후방 커버판(52)의 사이 절곡부, 상기 후판(31)과 좌측 커버판(32)의 사이 절곡부, 상기 좌판(41)과 전방 커버판(42)의 사이 절곡부, 및 상기 전판(21)과 우측 커버판(22)의 사이 절곡부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수직장홀(H1 ~ H4)과;
    상기 우측 커버판(22)의 후방 단부, 상기 후방 커버판(52)의 좌측 단부, 상기 좌측 커버판(32)의 전방 단부, 및 상기 전방 커버판(42)의 우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장홀(H1 ~ H4)에 관통 삽입되는 제1 내지 제4 삽입 고정판(F1 ~ F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구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장홀(H1 ~ H4)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 고정판(F1 ~ F4)의 상하 길이와 같거나 작고,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 고정판(F1 ~ F4)의 절곡부의 상,하부에는 이탈 방지 함몰홈(G)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구블록.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과 전,후방 경사판(2)(3)의 좌우 방향의 중간에는 종방향으로 끼움 연결장홀(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종이 완구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경사판(2)(3)에 형성된 상기 끼움 연결장홀(6)은 양측폭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구블록.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커버판(52)의 하단부, 상기 좌측 커버판(32)의 하단부, 상기 전방 커버판(42)의 하단부, 및 상기 우측 커버판(22)의 하단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후,좌,전,우판(31)(41)(21)(51)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1 내지 제4 내면 커버판(C1 ~ C4)이 연장되게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구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면 커버판(C1)의 우측 단부, 상기 제2 내면 커버판(C2)의 후방 단부, 상기 제3 내면 커버판(C3)의 좌측 단부, 및 상기 제4 내면 커버판(C4)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 고정판(F1 ~ F4)이 삽입되는 제1 내지 제4 삽입홈부(S1 ~ S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구블록.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 고정판(F1 ~ F4)의 상,하 모서리부는 라운드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홈부(S1 ~ S4) 상,하 모퉁이부는 상기 라운드부(R1)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밀착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구블록.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4 내면 커버판(C2)(C4)의 전,후방의 상부에는 다수의 끼움 홈부(K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3 내면 커버판(C1)(C3)의 양측 단부의 상부에는 상기 끼움 홈부(K1)에 삽입되는 다수의 끼움 돌출부(K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구블록.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31)의 우측 단부, 상기 좌판(11)의 후방 단부, 상기 전판(21)의 좌측단부, 및 상기 우판(51)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장홀(H1 ~ H4)에 삽입되는 제1 내지 제4의 삽입 돌출부(D1 ~ D4)가 연장되게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구블록.
KR1020160149542A 2016-11-10 2016-11-10 종이 완구블록 KR101898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542A KR101898623B1 (ko) 2016-11-10 2016-11-10 종이 완구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542A KR101898623B1 (ko) 2016-11-10 2016-11-10 종이 완구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343A true KR20180052343A (ko) 2018-05-18
KR101898623B1 KR101898623B1 (ko) 2018-09-13

Family

ID=6245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542A KR101898623B1 (ko) 2016-11-10 2016-11-10 종이 완구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6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046B1 (ko) * 2019-05-22 2019-09-25 윤형석 블록완구
WO2021064344A1 (en) * 2019-10-04 2021-04-08 Rahul Patel Stackable block
KR20220118139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디스럽션 종이 블록 놀이 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4574A (en) * 1979-02-12 1981-03-10 Robert Stock Hollow form, polyhedron block element formed of sheet material
CN2396859Y (zh) * 1999-11-29 2000-09-20 赵宁渌 纸质积砖
KR20080005260A (ko) 2005-05-05 2008-01-10 머크 앤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알츠하이머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펩티드 접합체조성물 및 방법
KR20100009220U (ko) * 2009-03-11 2010-09-24 (주)초록피앤디 음식물 보관용 상자
US20140227938A1 (en) * 2013-02-08 2014-08-14 Chin Tang Paperware Co., Ltd. Building block unit, assembling structure and bas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4574A (en) * 1979-02-12 1981-03-10 Robert Stock Hollow form, polyhedron block element formed of sheet material
CN2396859Y (zh) * 1999-11-29 2000-09-20 赵宁渌 纸质积砖
KR20080005260A (ko) 2005-05-05 2008-01-10 머크 앤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알츠하이머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펩티드 접합체조성물 및 방법
KR20100009220U (ko) * 2009-03-11 2010-09-24 (주)초록피앤디 음식물 보관용 상자
US20140227938A1 (en) * 2013-02-08 2014-08-14 Chin Tang Paperware Co., Ltd. Building block unit, assembling structure and base hav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046B1 (ko) * 2019-05-22 2019-09-25 윤형석 블록완구
WO2021064344A1 (en) * 2019-10-04 2021-04-08 Rahul Patel Stackable block
KR20220118139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디스럽션 종이 블록 놀이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623B1 (ko)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9083C2 (ru) Легко укладываемая половая доска
KR101898623B1 (ko) 종이 완구블록
US3827177A (en) Construction game
KR101358638B1 (ko)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US20180313377A1 (en)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an Air Mouse
JPS6085778A (ja) 装飾、遊びのための構造素子
KR20170065212A (ko) 탄성벽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디오라마 조립식 블록
US20080032586A1 (en) Construction set
JP3122924U (ja) 積み木
US4317306A (en) Building block assembly
US20090130947A1 (en) Toy building set
US6443798B1 (en) Building block toy set
US20010048034A1 (en) Driving circuit for toy cars
CN210482873U (zh) 一种快捷拼装铝地板
WO2021052378A1 (zh) 一种拼接玩具
US20190046891A1 (en) Flexible interconnectable brick assembly
US20210170296A1 (en) Toy building set
CN217163206U (zh) 玩具拼接件
US11684867B2 (en) 3D tile
CN217697921U (zh) 一种开榫圆台体结构
CN214436509U (zh) 拼接玩具
TWM569646U (zh) 具拆解及組裝之紙積木結構
JP3218186U (ja) 滑り台付ジャングルジム
JP3124795U (ja) プレート部材の連結構造
JP3064349U (ja) 綴り合わせ方式の木質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