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791A - 조립식 블록 - Google Patents

조립식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791A
KR20170127791A KR1020160058360A KR20160058360A KR20170127791A KR 20170127791 A KR20170127791 A KR 20170127791A KR 1020160058360 A KR1020160058360 A KR 1020160058360A KR 20160058360 A KR20160058360 A KR 20160058360A KR 20170127791 A KR20170127791 A KR 20170127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hollow
rivet key
frame bodies
riv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제홍
김동근
Original Assignee
(주)프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보 filed Critical (주)프로보
Priority to KR1020160058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7791A/ko
Publication of KR20170127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rotation or translation, e.g. of keyhole or bayon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using elastic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을 이루며, 행 방향 및 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체, 및 포개진 상기 프레임체들의 소정의 대응되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 및 회전되어 상기 포개진 프레임체들을 결합하는 리벳키를 포함하며, 상기 리벳키로 결합된 상기 포개진 프레임체들이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리벳키를 축으로 소정의 각도단위로 단계적으로 회전하는 조립식 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블록{ASSEMBLY BLOCK}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의 결합 각도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블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블록은, 동일(혹은, 유사)한 형태의 복수의 프레임체를 이용하여 단순한 형태로 조립하는 수준으로 구성되는 수준에서부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체의 제공을 통해 더욱 다양한 형상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다양한 동작도 할 수 있는 높은 수준까지 출시되고 있다.
아동이나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까지도 대상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중에는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940029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에서는 프레임체 즉 피결합재의 삽입공에 고정핀과 소켓이 단순히 삽입하기 때문에, 삽입공에 삽입된 고정핀과 소켓에 의해 결합된 프레임체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상대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없어서 즉 다양한 각도로 상대회전시킬 수 없어서 각도제어 없이 상대회전 즉 스윙한다.
이에 따라, 상기 특허에서는 삽입공에 삽입된 고정핀과 소켓에 의해 서로 결합된 프레임체들이 스윙함에 따라 서로 소정의 각도로 형상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블록의 결합 각도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940029 B1
본 발명의 목적은, 리벳키에 의해 서로 결합된 프레임체들이 상대회전된 상태를 유지하여 블록의 결합 각도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은 평판형을 이루며, 행 방향 및 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체, 및 포개진 상기 프레임체들의 소정의 대응되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 및 회전되어 상기 포개진 프레임체들을 결합하는 리벳키를 포함하며, 상기 리벳키로 결합된 상기 포개진 프레임체들이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리벳키를 축으로 소정의 각도단위로 단계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리벳키는 원통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보다 면적이 큰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 상측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서로 마주보며 내측으로 함몰된 두 개의 헤드홈과, 상기 두 개의 헤드홈 양측에 형성된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두 개의 헤드홈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중공을 갖는 탄성몸체, 및 상기 탄성몸체 외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스톱퍼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용 돌기는 상기 탄성몸체의 외측 중앙부위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공은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는 직경의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 중간 부위에 위치되어 상기 중공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중공형 걸림턱, 및 상기 삽입공의 상단과 상기 중공형 걸림턱 간의 높이 차로 이루어진 제1 요(凹)부분 내주면과 상기 삽입공의 하단과 상기 중공형 걸림턱 간의 높이 차로 이루어진 제2 요(凹)부분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홈이 상기 스톱퍼용 돌기에 걸리도록, 상기 스톱퍼용 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걸림돌기는 나사산, 톱니, 요철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는 중앙부위에 상기 걸림홈을 구비하지 않고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중앙부위의 양측부위에 상기 걸림홈을 구비하고 형성된 삽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벳키가 탄성부를 포함하고 프레임체가 걸림홈을 포함함으로써, 포개진 프레임체들을 결합하기 위하여 소정의 삽입공에 삽입된 리벳키를 축으로 서로 결합된 프레임체들의 상대회전 시 걸림홈이 탄성부의 외측에 구비된 스톱퍼용 돌기에 걸려 단계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서로 결합된 프레임체들이 소정의 각도단위로 단계적으로 상대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상대회전시켜 다양한 조립형상 구현이 가능하고, 블록의 결합 각도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을 이루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벳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벳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프레임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삽입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형상의 프레임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a는 삽입공 상측에 위치된 리벳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b는 삽입공에 삽입된 리벳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c는 삽입공에 리벳키가 삽입 및 회전되어 결합된 프레임체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는 상대회전된 프레임체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보다 더 상대회전된 프레임체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c는 도 8b보다 더 상대회전된 프레임체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d는 직각으로 상대회전된 프레임체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을 이루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은 리벳키(10) 및 프레임체(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은 리벳키(10)를 통해 복수의 프레임체(30)를 결합하여 조립식 로봇이나 블럭 완구에 사용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리벳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리벳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키(10)는 몸체부(11)와 헤드부(13)를 포함하며, 후술될 프레임체(30)에 포함된 복수의 삽입공(31) 중 소정의 삽입공(31) 내에 삽입 및 회전되어 포개진 두 개 이상의 프레임체(30)를 결합한다. 여기서, 포개진 두 개 이상의 프레임체(30)는 리벳키(10)가 삽입공(31)에 삽입되어 상기 포개진 프레임체들 중 상부에 위치한 프레임체의 삽입공의 상면에 리벳키(10)의 상부부위 즉 헤드부(13)가 걸치게 되고, 삽입공(31)에 삽입된 리벳키(10)가 회전되어 상기 포개진 프레임체들 중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체의 대응되는 삽입공의 하면에 리벳키(10)의 하부부위 즉 후술될 몸체부(11)에 포함된 걸림턱(111)이 걸치게 되어 결합된다.
몸체부(11)는 원통형상이며, 몸체부(11)를 관통하여 이등분하는 슬릿(S)에 의해서 분리되어 삽입공(31)에 리벳키(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텐션부(110)가 형성된다. 여기서, 텐션부(110)는 슬릿(S)에 의해 둘 이상 나누어질 수 있다. 슬릿(S)은 후술될 헤드부(13)에 포함된 헤드홈(131)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형성되며 몸체부(11)의 하단으로부터 몸체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까지 개방된다.
텐션부(110)는 걸림턱(111)과 결합턱(113)을 포함한다. 걸림턱(111)은 리벳키(10)가 삽입된 삽입공(3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텐션부(110)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결합턱(113)은 삽입공(31)에 삽입된 리벳키(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턱(111)상에 형성되며 텐션부(110)의 외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턱(111)은 결합턱(113)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헤드부(13)는 전체적으로 몸체부(11)보다 면적이 큰 형상으로 몸체부(11) 상측에 형성되고, 걸림턱(111)이 돌출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내측으로 함몰된 두 개의 헤드홈(131)과, 두 개의 헤드홈(131) 양측에 형성된 탄성부(133)를 포함한다.
또한, 헤드부(13)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리벳키(10)를 회전시키도록 두 개의 헤드홈(131)이 대칭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헤드홈(131) 사이의 헤드부(13) 중앙부위에 일자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홈(131)의 수직 하부에는 걸림턱(111)과 결합턱(113)이 위치된다.
탄성부(133)는 두 개의 헤드홈(13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133)는 탄성적 특성을 가지도록 중공을 갖는 탄성몸체(141)와, 상기 탄성몸체(141) 외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스톱퍼용 돌기(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몸체(141)는 반달형상의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톱퍼용 돌기(143)는 탄성몸체(141) 외측 중앙부위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프레임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삽입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체(30)는 평판형을 이루며, 행 방향 및 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31)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체(30)는 원판형상, "ㄴ"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공(31)은 중공형 걸림턱(310), 가이드홀(330), 결합홈(350), 및 걸림홈(370)을 포함한다.
중공형 걸림턱(310)은 몸체부(11)가 삽입되는 직경의 중공(311)을 구비하며 삽입공(31)의 내주면 중간 부위에 위치되어 중공(311)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중공형 걸림턱(3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31)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거리만큼 삽입공(31)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삽입공(31)의 상단과 중공형 걸림턱(310) 간의 높이 차로 이루어진 제1 요(凹)(313)부분과 삽입공(31)의 하단과 중공형 걸림턱(310) 간의 높이 차로 이루어진 제2 요(凹)(315)부분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요(凹)(313)부분과 제2 요(凹)(315)부분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리벳키(10)는 프레임체(30)의 어느 방향으로도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중공형 걸림턱(310)은 리벳키(10)의 결합턱(113)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리벳키(10)의 걸림턱(111)의 두께와 리벳키(10)의 헤드부(13)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제1 요(凹)(313)부분인 삽입공(31)의 상단과 중공형 걸림턱(310) 간의 높이 차와 제2 요(凹)(315)부분인 삽입공(31)의 하단과 중공형 걸림턱(310) 간의 높이 차가 걸림턱(111) 또는 헤드부(13)의 두께로 서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포개진 프레임체(30)들의 소정의 대응되는 삽입공(31)에 리벳키(10)가 삽입되어 포개진 프레임체(30)들을 결합할 경우에는 리벳키(10)가 삽입될 때 포개진 프레임체(30)들 중 상부에 위치한 프레임체의 중공형 걸림턱(310)의 제1 요(凹)(313)부분에 헤드부(13)가 걸치게 되고, 리벳키(10)가 삽입된 후 회전될 때 포개진 프레임체(30)들 중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체의 대응되는 중공형 걸림턱(310)의 제2 요(凹)(315) 부분에 걸림턱(310)이 걸치게 되고 텐션부(110)의 텐션작용에 의해 결합턱(113)이 결합홈(350)에 결합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요(凹)(313)부분에 헤드부(13)가 걸치게 되고, 리벳키(10)가 삽입된 후 회전되어 제2 요(凹)(315)부분에 걸림턱(310)이 걸치게 되고 텐션작용에 의해 결합턱(113)이 결합홈(350)에 결합되어 포개진 프레임체(30)들을 결합함으로써, 헤드부(13)와 걸림턱(310)이 중공형 걸림턱(310)의 상하로 각각 걸리게 되어 리벳키(10)가 삽입된 삽입공(3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분리되지 않으면서 결합턱(113)이 결합홈(350)에 결합되어 삽입공(31)에 삽입된 리벳키(10)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기 때문에, 프레임체 즉 피결합재의 삽입공에 고정핀과 소켓이 단순히 삽입하여 걸림턱에 의한 장력으로만 피결합재들을 결합시키는 종래 기술보다 그 결합력이 강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에 의해서도 분해가 되지 않아 조립된 형상이 부서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중공형 걸림턱(310)이 제1 요(凹)(313)부분과 같이 삽입공(31)의 상단으로부터 헤드부(13)의 두께만큼 아래로 위치하고 제2 요(凹)(315)부분과 같이 삽입공(31)의 하단으로부터 걸림턱(111)의 두께만큼 위로 위치함으로써, 포개진 프레임체(30)들을 결합할 경우 결합된 프레임체(30) 상에 헤드부(13) 또는 걸림턱(111)이 돌출되지 않는다.
가이드홀(330)은 삽입공(31)의 내주면을 따라 중공형 걸림턱(310)들 사이에 형성되어 걸림턱(111)이 삽입되도록 중공(311)으로부터 삽입공(31)의 내주면까지 일 방향으로 대칭되어 형성된다.
결합홈(350)은 리벳키(10)가 삽입공(31)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결합턱(113)이 탈착되도록, 가이드홀(330)과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며 삽입공(31)의 내주면으로부터 중공(311)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홈(370)은 제1, 제2 요(凹)(313,315)부분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걸림홈(370)이 리벳키(10)의 스톱퍼용 돌기(143)에 걸림으로써 서로 결합된 프레임체(30)들의 상대회전 시 단계적으로 회전되고 그 상대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각 걸림돌기는 스톱퍼용 돌기(143)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걸림돌기는 나사산, 톱니, 요철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벳키(10)가 탄성부(133)를 포함하고 프레임체(30)가 걸림홈(370)을 포함함으로써, 포개진 프레임체(30)들을 결합하기 위하여 소정의 삽입공(31)에 삽입된 리벳키(10)를 축으로 서로 결합된 프레임체(30)들의 상대회전 시 걸림홈(370)이 탄성부(133)의 외측에 구비된 스톱퍼용 돌기(143)에 걸려 단계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서로 결합된 프레임체(30)들이 단계적으로 상대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삽입공에 삽입된 리벳키(10)에 의해 서로 결합된 프레임체(30)들이 단계적으로 상대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서로 결합된 프레임체(30)들이 삽입공(31)에 삽입된 리벳키(10)를 축으로 소정의 각도단위로 단계적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여 소정의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로 상대회전시켜 다양한 조립형상 구현이 가능하고, 블록의 결합 각도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형상의 프레임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프레임체(30)는 평판형을 이루며, 행 방향 및 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동일한 크기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31)을 포함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체(30)의 중앙부위에 걸림홈(370)을 구비하지 않고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중앙부위의 양측부위에 걸림홈(370)을 구비하고 형성된 삽입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에 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는 삽입공 상측에 위치된 리벳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b는 삽입공에 삽입된 리벳키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c는 삽입공에 리벳키가 삽입 및 회전되어 결합된 프레임체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포개진 프레임체(30)들을 결합할 경우에는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개진 프레임체(30)들의 소정의 대응되는 삽입공(31)에 리벳키(10)를 삽입한다. 이때, 리벳키(10)의 몸체부(11)는 삽입공(31)의 중공(311)을 통하여 삽입되고, 리벳키(10)의 걸림턱(310)은 삽입공(31)의 가이드홀(330)을 통하여 삽입된다. 또한, 포개진 프레임체(30)들 중 상부에 위치한 프레임체의 삽입공(31)의 제1 요(凹)(313)부분에는 리벳키(10)의 헤드부(13)가 걸치게 된다.
그리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31)에 삽입된 리벳키(10)를 회전시켜 포개진 프레임체(30)들 중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체의 대응되는 삽입공(31)의 제2 요(凹)(315)부분에 리벳키(10)의 걸림턱(310)을 걸치게 한다. 여기서, 리벳키(10)의 회전 방향은 좌,우 상관없이 어느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 후, 제2 요(凹)(315)부분에 걸림턱(310)이 걸친 리벳키(10)를 상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텐션작용에 의해 결합턱(113)이 결합홈(350)에 결합되도록 하여 포개진 프레임체(30)들을 결합한다. 이때, 결합턱(113)이 결합홈(350)에 결합될 때에는 "딸깍" 소리가 난다.
여기서, 도 7b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키(10)를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연장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결합된 프레임체(30)들은 상술한 포개진 프레임체(30)들을 결합할 경우의 역순으로 작용하여 분리된다. 즉, 결합된 프레임체(30)들을 분리할 경우에는 리벳키(10)를 회전시켜 결합홈(350)으로부터 결합턱(113)이 분리되도록 한 후 상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삽입공(31)으로부터 리벳키(1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는 중공(311)을 통하여 분리되고, 걸림턱(310)은 가이드홀(330)을 통하여 분리된다. 여기서, 리벳키(10)의 회전 방향은 좌,우 상관없이 어느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8a는 상대회전된 프레임체들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보다 더 상대회전된 프레임체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c는 도 8b보다 더 상대회전된 프레임체들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d는 직각으로 상대회전된 프레임체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조립형상 구현을 위해, 서로 결합된 프레임체(30)들은 삽입공(31)에 삽입된 리벳키(10)를 축으로 소정의 각도단위로 단계적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여 소정의 형상을 이룬다.
이상,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리벳키 11 : 몸체부
13 : 헤드부 30 : 프레임체
31 : 삽입공 110 : 텐션부
111 : 걸림턱 113 : 결합턱
131 : 헤드홈 133 : 탄성부
141 : 탄성몸체 143 : 스톱퍼용 돌기
310 : 중공형 걸림턱 311 : 중공
313 : 제1 요(凹) 315 : 제2 요(凹)
330 : 가이드홀 350 : 결합홈
370 : 걸림홈

Claims (9)

  1. 평판형을 이루며, 행 방향 및 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체; 및
    포개진 상기 프레임체들의 소정의 대응되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 및 회전되어 상기 포개진 프레임체들을 결합하는 리벳키; 를 포함하며,
    상기 리벳키로 결합된 상기 포개진 프레임체들이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리벳키를 축으로 소정의 각도단위로 단계적으로 회전하는 조립식 블록.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키는,
    원통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보다 면적이 큰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 상측에 형성되는 헤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서로 마주보며 내측으로 함몰된 두 개의 헤드홈과, 상기 두 개의 헤드홈 양측에 형성된 탄성부를 구비하는 조립식 블록.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두 개의 헤드홈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블록.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중공을 갖는 탄성몸체; 및
    상기 탄성몸체 외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스톱퍼용 돌기;
    를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용 돌기는,
    상기 탄성몸체의 외측 중앙부위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조립식 블록.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는 직경의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 중간 부위에 위치되어 상기 중공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중공형 걸림턱; 및
    상기 삽입공의 상단과 상기 중공형 걸림턱 간의 높이 차로 이루어진 제1 요(凹)부분 내주면과 상기 삽입공의 하단과 상기 중공형 걸림턱 간의 높이 차로 이루어진 제2 요(凹)부분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걸림홈;
    을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홈이 상기 스톱퍼용 돌기에 걸리도록, 상기 스톱퍼용 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조립식 블록.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돌기는,
    나사산, 톱니, 요철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조립식 블록.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중앙부위에 상기 걸림홈을 구비하지 않고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중앙부위의 양측부위에 상기 걸림홈을 구비하고 형성된 삽입공을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
KR1020160058360A 2016-05-12 2016-05-12 조립식 블록 KR20170127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360A KR20170127791A (ko) 2016-05-12 2016-05-12 조립식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360A KR20170127791A (ko) 2016-05-12 2016-05-12 조립식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791A true KR20170127791A (ko) 2017-11-22

Family

ID=6080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360A KR20170127791A (ko) 2016-05-12 2016-05-12 조립식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77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167A1 (ko) * 2021-11-23 2023-06-01 윤이식 조립형 완구 프레임
US20230211245A1 (en) * 2021-12-31 2023-07-06 Hangzhou Zt Model Co., Ltd. Remote-control aircraf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167A1 (ko) * 2021-11-23 2023-06-01 윤이식 조립형 완구 프레임
US20230211245A1 (en) * 2021-12-31 2023-07-06 Hangzhou Zt Model Co., Ltd. Remote-control aircraf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6775B2 (ja) スナップボタン
KR20140106242A (ko) 링크 기구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만능 결합 기구
KR101599347B1 (ko) 조립식 블록
KR20100136535A (ko) 완구 블록, 완구 블록 연결 요소 및 완구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완구 블록 요소
US20100151765A1 (en) Tube connector for assembly toy
KR20170127791A (ko) 조립식 블록
KR101684922B1 (ko) 조립완구용 면블록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완구유닛
JP2009509112A (ja) 2つの物体の間の継ぎ手、この目的のために意図された物体、及びモジュール構成システム
EP2609974B1 (en) Assembled toy
US20150290550A1 (en) Building block construction system
KR20160128798A (ko) 조립용 교구
KR101324698B1 (ko) 레고블록들간의 결합 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레고블록용 연결장치, 및 이를 채용한 레고블록과 레고블록 세트
JP6178545B2 (ja) インペラの製造方法
KR200488588Y1 (ko) 블럭용 힌지 구조물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KR200485228Y1 (ko)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KR20170035184A (ko)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JP4725999B2 (ja) 接合具
KR1013859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20110101739A (ko)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KR102399822B1 (ko) 메카넘 휠
KR20150145829A (ko)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KR20170028770A (ko) 탄성체로 이루어진 체결구를 갖는 조립식 블록
JP3802775B2 (ja) 組立式ブロック構造
NL2029893B1 (en) Modular toy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such toy construc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