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822B1 - 메카넘 휠 - Google Patents

메카넘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822B1
KR102399822B1 KR1020200044663A KR20200044663A KR102399822B1 KR 102399822 B1 KR102399822 B1 KR 102399822B1 KR 1020200044663 A KR1020200044663 A KR 1020200044663A KR 20200044663 A KR20200044663 A KR 20200044663A KR 102399822 B1 KR102399822 B1 KR 102399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heel
fixing
pair
fixing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945A (ko
Inventor
박창규
박병수
최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로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로보
Priority to KR1020200044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82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12Roller-type wheels
    • B60B19/125Roller-type wheels with helical projections on radial outer surface translating rotation of wheel into movement along the direction of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003Multidirec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31User-friendliness

Abstract

메카넘 휠은 휠 유닛, 베이스 유닛, 바퀴유닛 및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휠유닛은 몸체부, 연결부 및 복수의 결합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후면을 향해 연장되어 구동축과 연결된다. 상기 결합유닛들은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를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결합유닛들 각각에 결합되며, 상부 방향으로 안착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바퀴유닛은 상기 안착 공간에 안착되며 고정되고, 지면을 따라 회전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바퀴유닛을 관통하며, 상기 바퀴유닛을 상기 베이스 유닛에 고정시킨다.

Description

메카넘 휠{MECANUM WHEEL}
본 발명은 메카넘 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구나 각종 구동장치에 적용되어, 다양한 방향으로의 구동 및 회전이 가능한 메카넘 휠에 관한 것이다.
메카넘 휠(mecanum wheel)이란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구동체가 복수개가 휠의 주변을 따라 결합됨으로써, 휠의 제어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완구나 구동장치를 구동 및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 유닛이다.
이러한 메카넘 휠은 특히, 무선 또는 유선 제어를 통해 특정 공간에서 자유로운 구동 및 회전이 가능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동작을 통해 소정의 미션을 수행할 수 있어, 다양한 완구 등의 구동 유닛으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메카넘 휠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메카넘 휠(1)에서는, 완구 등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휠(5)과 상기 휠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연결되는 바퀴들(2)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각각의 바퀴들(2)은 상기 휠(5)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 프레임들(3)에 별도의 결합유닛(4)을 통해 결합되는데, 이 경우 상기 결합유닛(4)으로는 주로 볼트와 너트 등의 전통적인 결합유닛들이 다수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종래 메카넘 휠의 제조나 조립시, 볼트나 너트 등과 같은 결합유닛이 적용됨에 따라, 사용자가 메카넘 휠을 조립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많았으며, 일부 바퀴(2)에 대한 교환이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도 볼트나 너트를 재결합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9784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완구나 각종 구동장치에 적용되어, 제작이나 수리 또는 교환의 편의성이 향상된 메카넘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카넘 휠은 휠 유닛, 베이스 유닛, 바퀴유닛 및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휠유닛은 몸체부, 연결부 및 복수의 결합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후면을 향해 연장되어 구동축과 연결된다. 상기 결합유닛들은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를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결합유닛들 각각에 결합되며, 상부 방향으로 안착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바퀴유닛은 상기 안착 공간에 안착되며 고정되고, 지면을 따라 회전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바퀴유닛을 관통하며, 상기 바퀴유닛을 상기 베이스 유닛에 고정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유닛들 각각은,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향해 돌출되며, 한 쌍의 전면 고정홈들을 형성하는 전면 고정가이드, 및 상기 몸체부의 후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전면 고정홈들과 마주하는 한 쌍의 후면 고정홈들을 형성하는 후면 고정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전면 고정홈들 및 상기 후면 고정홈들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삽입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삽입부들은, 상기 한 쌍의 전면 고정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한 쌍의 후면 고정홈들 중, 상기 제1 삽입부가 삽입된 전면 고정홈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후면 고정홈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다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유닛들 각각은 상기 연결부의 각 모서리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 끝단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들, 및 상기 연장부들 각각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유닛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공간은,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들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유닛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퀴유닛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연장바, 상기 연장바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퀴유닛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돌출부들, 및 상기 연장바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단차를 형성하는 한 쌍의 고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단차가, 상기 베이스 유닛의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바퀴유닛이 고정유닛을 매개로 베이스 유닛 상에 볼트나 너트 등의 별도의 결합부품들을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베이스 유닛 역시 몸체부의 결합유닛 상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메카넘 휠의 전반적인 조립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몸체부로부터 베이스 유닛을 제거하거나, 베이스유닛으로부터 바퀴유닛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결합부품이나 해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쉽게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몸체부가 형성하는 다각형 형상의 각 모서리마다 한 쌍의 전면 고정홈들 및 한 쌍의 후면 고정홈들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4개의 고정홈들이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들에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은 2개의 삽입부를 형성하므로, 상기 2개의 삽입부가 상기 4개의 고정홈들 중 2개의 고정홈들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바퀴유닛이 향하는 방향을 수평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어, 다양한 각도로의 바퀴유닛의 조립이 가능하여, 다양한 구동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메카넘 휠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카넘 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휠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베이스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바퀴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메카넘 휠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카넘 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메카넘 휠(10)은 휠 유닛(100), 베이스 유닛(200), 고정유닛(300) 및 바퀴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휠 유닛(100)은 전체적으로 구동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축(미도시)이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휠에 해당되며, 상기 베이스 유닛(200)은 상기 휠 유닛(100) 상으로 상기 바퀴유닛(400)을 고정시키는 유닛이며, 상기 고정유닛(300)은 상기 바퀴유닛(400)을 상기 베이스 유닛(200) 상으로 고정시키는 유닛이다.
그리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바퀴유닛들(400)은 상기 휠 유닛(100)의 외면을 따라 고정되데, 각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 유닛(100)의 회전 중심축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유닛(400)은 직접 지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바퀴유닛(400)이 향하는 방향, 및 상기 휠 유닛(1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메카넘 휠(10)이 장착되는 완구나 각종 구동장치(미도시)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전진 등의 구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메카넘 휠(10)의 각각의 유닛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휠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휠 유닛(100)은 몸체부(110), 연결부(120) 및 결합유닛(18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메카넘 휠(10)의 중앙 몸체 및 중앙 고정 프레임의 역할을 수행하며, 전체적으로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되,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관찰하였을 때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110)의 다각형의 모서리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8각형으로 형성되어 총 8개의 모서리를 가지도록 설계된다면, 후술되는 상기 바퀴유닛(400)은 총 8개가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총 결합되는 바퀴유닛들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다각형의 모서리의 개수를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후면(설명의 편의상, 도 3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좌측을 향하는 면을 전면, 우측을 향하는 면을 후면이라 정의함)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연결부(12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구동부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이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연결부(120)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으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연결부(120)의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결합유닛(180)은 상기 몸체부(110)의 외면(111), 즉 상기 몸체부(110)가 다각형인 경우, 각각의 모서리(111)마다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유닛(180)은, 상기 몸체부(110)의 각각의 모서리(111)마다 형성되되, 서로 인접하는 모서리(111)마다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인접하는 모서리(111)들 사이에서는 인접하는 결합유닛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결합유닛(18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각각의 모서리(111)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모서리(111)의 개수가 N개라면, 상기 결합유닛의 개수도 N개가 형성되며, N개의 결합유닛들은 서로 연결되며 연속해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유닛들(180) 각각은, 상기 몸체부(110)의 전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전면 고정 가이드(130), 상기 몸체부(110)의 후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후면 고정 가이드(150), 상기 전면 고정 가이드(130)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전면 고정홈들(140), 및 상기 후면 고정 가이드(150)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후면 고정홈들(16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전면 고정 가이드(130) 및 상기 후면 고정 가이드(150)는 상기 몸체부(110)의 모서리(111)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돌출 방향만 다를 뿐 돌출되는 형상은 동일하다.
즉, 상기 전면 고정 가이드(130)는 상기 모서리(111)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110)의 전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전면 고정홈들(140)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전면 고정홈들(140) 각각은 반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후면 고정 가이드(150)는 상기 모서리(111)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110)의 후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후면 고정홈들(160)을 형성하고, 상기 후면 고정홈들(160) 각각도 반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면 고정홈들(140) 각각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후면 고정홈들(160) 각각도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전면 고정홈들(140)과 상기 후면 고정홈들(160)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것을 제외하고 형상은 서로 동일하다.
결국, 상기 하나의 결합유닛(180)에는, 총 4개의 동일한 형상의 고정홈들(141, 142, 161, 162)이 형성되며, 2개는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2개는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4개의 서로 동일한 형상의 고정홈들 중, 2개의 고정홈들이 선택되어 후술되는 상기 베이스 유닛(200)이 삽입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 경우, 선택되는 2개의 고정홈들 중 하나는 전면 고정홈들(141, 142) 중 하나, 다른 하나는 후면 고정홈들(161, 162) 중 하나이다.
도 4는 도 2의 베이스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유닛(200)은 플레이트부(210), 연장부(220), 고리부(230) 및 삽입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부(2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중앙에, 하부방향을 향하도록 한 쌍의 삽입부(250)가 돌출된다.
상기 삽입부(250)는 서로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의 제1 및 제2 삽입부들(251, 25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들(251, 252)은 전술된 상기 4개의 고정홈들(141, 142, 161, 162) 중 2개에 삽입된다.
그리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200)은 상기 휠 유닛(100) 상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삽입부(250)는 끝단의 폭이 확장되며, 소정범위에서 압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홈들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고정홈들(141, 142, 161, 16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250)의 끝단의 확장된 폭에 의해 상기 고정홈들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삽입부(251)는 상기 전면 고정홈들(141, 14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야 하며, 상기 제2 삽입부(252)는 상기 후면 고정홈들(161, 16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삽입부(251) 및 상기 제2 삽입부(252)가, 서로 일렬로 나열되는 전면 고정홈(141) 및 후면 고정홈(161)에 삽입된다면, 상기 베이스 유닛(200)은 상기 휠 유닛(100)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 즉 상기 연결부(120)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삽입부(251) 및 상기 제2 삽입부(252)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면 고정홈(141) 및 후면 고정홈(162)에 삽입된다면, 상기 베이스 유닛(200)은 상기 휠 유닛(100)에 대하여 사선 방향, 즉 상기 연결부(120)의 연장 방향에 사선인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 때, 서로 대각선 방향을 이루는 전면 고정홈 및 후면 고정홈은 2개의 쌍이 가능하므로, 상기 베이스 유닛(200)은 상기 휠 유닛(100)에 대하여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사선 방향을 따라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베이스 유닛(200)과 상기 휠 유닛(100) 사이의 수평 방향 또는 사선 방향의 결합을 통해, 후술되는 상기 바퀴유닛(400)은 다양한 방향으로 상기 휠 유닛(100) 상에 조립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메카넘 휠(10)이 장착되는 완구 또는 구동 장치는 다양한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 등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양 끝단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한 쌍이 연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한 쌍의 연장부들(220)의 내측, 및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상측에는 소위, 안착공간(211)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공간(211) 상에는 후술되는 상기 바퀴유닛(400)이 위치한다.
상기 연장부들(220)의 끝단에는 상기 고리부(230)가 삽입홈(231)을 형성하도록 분기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리부(23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분기되어 상기 삽입홈(231)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홈(231)에 삽입되는 구조물은 상기 고리부(23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소정의 힘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삽입된 구조물은 상기 고리부(230)로부터 안정적으로 탈착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2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바퀴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바퀴유닛(400)은 전체적으로 중앙이 돌출되도록 불룩한 형상을 가지는 바퀴부(41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바퀴부(410)는 지면과의 접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수준의 충격 흡수를 위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퀴부(410)는 양 측 끝단이 절편 형태로 절단되어, 측면(420)을 형성하며, 상기 측면(420)의 중앙을 통해 상기 바퀴부(4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개구부(4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30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바(bar) 형상을 가지는 연장바(310), 및 상기 연장바(310) 상에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들(320)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들(320)은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연장바(310)의 외측으로 상기 연장바(3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돌출되며, 도 5에서는 단면이 원형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연장바(310)는 상기 바퀴부(41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개구부(421)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바퀴부(410)는 소정의 탄성 재질을 가지므로, 상기 연장바(310)와 상기 바퀴부(410) 사이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들(320)이 상기 바퀴부(410)의 개구부(421) 상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바퀴부(410)의 안측 내면을 소정의 압력으로 지지함에 따라, 상기 연장바(310)가 상기 바퀴부(410)의 내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유닛(300)은 상기 연장바(310)의 양 측 끝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들(330, 3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들(330, 340)은, 소정 거리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연장바(3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예를 들어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부들(330, 340) 사이에는, 고정단차(35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차(350)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들(330, 340) 사이에 함입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300)이 상기 바퀴유닛(400)에 삽입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고정부들 중, 제1 고정부(330)는 상기 바퀴부(410)의 측면(420)에 접촉되어 상기 측면(420)을 지지하고, 제2 고정부(340)는 상기 측면(420)의 외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단차(350)는, 상기 베이스 유닛(200)의 삽입홈(231)으로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퀴유닛(400)을 고정하는 고정유닛(300)은, 상기 바퀴유닛(400)과 함께 상기 베이스 유닛(200) 상으로 고정되게 된다.
도 7은 도 2의 메카넘 휠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바퀴유닛(400)을 고정하는 고정유닛(300)이, 상기 베이스 유닛(200) 상으로 고정되며, 이와 같이 고정된 상기 바퀴유닛(400), 고정유닛(300) 및 베이스 유닛(200)은, 상기 삽입부(250)와 상기 전면 고정홈들(140) 및 상기 후면 고정홈들(160) 사이의 선택적인 삽입에 의해 상기 휠 유닛(100) 상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도 7에서는, 상기 제1 삽입부(251)가 상기 제2 전면 고정홈(142)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삽입부(252)가 상기 제1 후면 고정홈(161)에 삽입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삽입 결합에 따라, 상기 바퀴유닛(400)은 상기 휠 유닛(100)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하게 된다.
물론, 상기 도 7에 예시된 대각선 방향과 반대되는 대각선 방향으로의 결합은 물론, 바퀴유닛이 평행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바퀴유닛이 고정유닛을 매개로 베이스 유닛 상에 볼트나 너트 등의 별도의 결합부품들을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베이스 유닛 역시 몸체부의 결합유닛 상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메카넘 휠의 전반적인 조립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몸체부로부터 베이스 유닛을 제거하거나, 베이스유닛으로부터 바퀴유닛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결합부품이나 해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쉽게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몸체부가 형성하는 다각형 형상의 각 모서리마다 한 쌍의 전면 고정홈들 및 한 쌍의 후면 고정홈들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4개의 고정홈들이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들에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은 2개의 삽입부를 형성하므로, 상기 2개의 삽입부가 상기 4개의 고정홈들 중 2개의 고정홈들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바퀴유닛이 향하는 방향을 수평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어, 다양한 각도로의 바퀴유닛의 조립이 가능하여, 다양한 구동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메카넘 휠 100 : 휠 유닛
110 : 몸체부 120 : 연결부
130 : 전면 고정 가이드 140 : 전면 고정홈
150 : 후면 고정 가이드 150 : 후면 고정홈
200 : 베이스 유닛 210 : 플레이트부
220 : 연장부 230 : 고리부
250 : 삽입부 300 : 고정유닛
310 : 연장바 320 : 돌출부
400 : 바퀴유닛 410 : 바퀴부

Claims (9)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후면을 향해 연장되어 구동축과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을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유닛들을 포함하는 휠 유닛;
    상기 결합유닛들 각각에 결합되며, 상부 방향으로 안착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유닛;
    상기 안착 공간에 안착되며 고정되고, 지면을 따라 회전하는 바퀴유닛; 및
    상기 바퀴유닛을 관통하며, 상기 바퀴유닛을 상기 베이스 유닛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들 각각은,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향해 돌출되며, 한 쌍의 전면 고정홈들을 형성하는 전면 고정가이드; 및 상기 몸체부의 후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전면 고정홈들과 마주하는 한 쌍의 후면 고정홈들을 형성하는 후면 고정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전면 고정홈들 및 상기 후면 고정홈들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삽입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삽입부들은, 상기 한 쌍의 전면 고정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한 쌍의 후면 고정홈들 중, 상기 제1 삽입부가 삽입된 전면 고정홈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후면 고정홈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넘 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다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유닛들 각각은 상기 연결부의 각 모서리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넘 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 끝단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들; 및
    상기 연장부들 각각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유닛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넘 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은,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넘 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퀴유닛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연장바;
    상기 연장바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퀴유닛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돌출부들; 및
    상기 연장바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단차를 형성하는 한 쌍의 고정부들을 포함하는 메카넘 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단차가, 상기 베이스 유닛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넘 휠.

KR1020200044663A 2020-04-13 2020-04-13 메카넘 휠 KR102399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663A KR102399822B1 (ko) 2020-04-13 2020-04-13 메카넘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663A KR102399822B1 (ko) 2020-04-13 2020-04-13 메카넘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945A KR20210126945A (ko) 2021-10-21
KR102399822B1 true KR102399822B1 (ko) 2022-05-20

Family

ID=7826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663A KR102399822B1 (ko) 2020-04-13 2020-04-13 메카넘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468B1 (ko) 2022-02-21 2024-01-23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완충 기능을 갖는 메카넘 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676B1 (ko) 2002-08-07 2011-02-10 그래함 길 다방향 바퀴
KR101133996B1 (ko) * 2011-11-09 2012-04-05 (주)엔티렉스 메카넘휠
KR101133994B1 (ko) 2011-11-09 2012-04-05 (주)엔티렉스 메카넘휠
WO2012079538A1 (zh) 2010-12-17 2012-06-21 浙江美科斯叉车有限公司 全方位轮
KR101789784B1 (ko) 2016-07-01 2017-10-25 주식회사 이씨엠 인휠모터로 구동되는 메카넘 휠을 가지는 전동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7209A (ko) * 2011-10-31 2013-05-08 현지영 다방향 이동 구륜 바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676B1 (ko) 2002-08-07 2011-02-10 그래함 길 다방향 바퀴
WO2012079538A1 (zh) 2010-12-17 2012-06-21 浙江美科斯叉车有限公司 全方位轮
KR101133996B1 (ko) * 2011-11-09 2012-04-05 (주)엔티렉스 메카넘휠
KR101133994B1 (ko) 2011-11-09 2012-04-05 (주)엔티렉스 메카넘휠
KR101789784B1 (ko) 2016-07-01 2017-10-25 주식회사 이씨엠 인휠모터로 구동되는 메카넘 휠을 가지는 전동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945A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1353B (zh) 積木
JP6364459B2 (ja) 変形可能なホイールアセンブリおよびホイール
KR102399822B1 (ko) 메카넘 휠
KR101259759B1 (ko) 옴니 휠 및 그 제조방법
US20180334029A1 (en) Driving device and wheeled robot having the same
US10022638B2 (en) Wheel for prefabricated toy using chain block
JP6178545B2 (ja) インペラの製造方法
JPH11207048A (ja) 多数の伝達要素を含む玩具組立てセット
KR200466363Y1 (ko) 교육용 배틀 로봇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JP2016539774A (ja) 鎖および空間構造を作成するための接続可能部品
KR20110101739A (ko)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KR1013859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20190085664A (ko) 절삭 휠 탈부착장치
KR20060041776A (ko) 자성 및/또는 강자성 및/또는 플라스틱재료의 요소들에의해 이동형상을 구성하기 위한 원격제어식 구조체
ES2252608T3 (es) Muelle estratificado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KR20170127791A (ko) 조립식 블록
KR100906699B1 (ko) 다기능 연결구
JP5714121B2 (ja) キャスター
KR101428326B1 (ko) 토크 가변형 로봇 관절장치
JP2001113058A (ja) 組立て遊戯用ブロック
KR200408893Y1 (ko) 조립식 박스용 클립
KR101458300B1 (ko)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KR102426335B1 (ko)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628468B1 (ko) 완충 기능을 갖는 메카넘 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