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300B1 -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300B1
KR101458300B1 KR1020130022589A KR20130022589A KR101458300B1 KR 101458300 B1 KR101458300 B1 KR 101458300B1 KR 1020130022589 A KR1020130022589 A KR 1020130022589A KR 20130022589 A KR20130022589 A KR 20130022589A KR 101458300 B1 KR101458300 B1 KR 10145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teering
lower arm
steering knuckle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842A (ko
Inventor
양병창
채윤병
배재준
유삼식
이강원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300B1/ko
Publication of KR20140108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a rigid arm forming the axle housing
    • B60G3/225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a rigid arm forming the axle housing the arm being of the trailing wishbon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3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ongitudinal arms only
    • B60G2200/132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ongitudinal arms only with a single trailing arm
    • B60G2200/1322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ongitudinal arms only with a single trailing arm with a wishbone or triangular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50Constructional features of wheel supports or knuckles, e.g. steering knuckles, spindle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어 암, 로어 암의 상부에 위치하는 어퍼 암을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에 있어서, 로어 암 또는 어퍼 암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다수의 판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다수의 판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판재는 홈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판재와 결합되는 다른 판재는 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돌기를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용접을 위한 지지구조 없이도 각각의 부재를 용접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간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Double wishbone suspension}
본 발명은 차량의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double wishbone suspension)은 차량의 현가장치로서 2개의 암이 V 또는 Y자 모양이고 새의 쇄골(wishbone)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다만, 최근에는 형태에 관계없이 컨트롤 암이 상하 2개인 서스펜션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은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서 이용되고 있는데, 일례로서 태양광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태양광 전기 자동차에서도 이용된바 있다.
다만, 이와 같이 태양광 자동차에서 이용된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은 비교적 소량으로 제작되므로 제조자가 각각의 부재를 용접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용접을 통한 결합을 위해서는 각각의 부재를 고정 및 지지하는 용접용 지지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용접용 지지구조는 크기가 커서 이동이 어려워 장소적 제약으로 작용하며, 제조원가를 높이는 원인이 된다.
또한, 용접을 통해 결합된 결합부의 결합력이 부족하여 주행 중 심한 충격을 받는 경우 용접부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용접을 위한 지지구조가 필요 없으며, 용접을 통해 결합된 결합부의 결합력이 우수한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로어 암, 상기 로어 암의 상부에 위치하는 어퍼 암을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로어 암 또는 상기 어퍼 암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다수의 판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판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판재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재와 결합되는 다른 판재는 상기 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돌기를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어 암 또는 상기 어퍼 암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홈에 상기 돌기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다수의 판재가 용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 암 또는 상기 어퍼 암은, "V" 또는 "Y" 형상을 갖는 하부 수평재; 상기 하부 수평재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수평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수평재; 및 상기 하부 수평재 및 상기 상부 수평재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수평재 또는 상기 상부 수평재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된 제 1 연장부; 및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제 1 연장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장부 또는 상기 제 2 연장부에는 다수의 홈이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수직재에는 상기 다수의 홈 각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다수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 암 또는 상기 어퍼 암은, 상기 중심부 측에 구비되며 바퀴와 결합되는 조향너클과 결합하기 위한 조향너클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의 말단에 구비되며 차체 바디와 결합되기 위한 차체 바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에서 상기 차체 바디와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로어 암과 연결되어 상기 로어 암에 발생된 충격을 완화하여 상기 차체 바디에 전달하는 쇼크업소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암, 상기 로어 암의 상부에 위치하는 어퍼 암, 및 상기 로어 암과 상기 어퍼 암을 연결하는 조향너클을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조향너클은 다수의 판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판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판재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재와 결합되는 다른 판재는 상기 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향너클은, 상기 함몰부에 상기 돌기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다수의 판재가 용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너클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어 암에 결합되는 하부 회전축;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어퍼 암에 결합되는 상부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중심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재는 측면 모서리를 빙둘러 형성된 요철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요철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요홈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요철에 상기 요홈이 결합된 상태로 용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너클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구비된 조향부재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향부재 결합부는 핸들과 연결된 조향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향너클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용접을 위한 지지구조 없이도 각각의 부재를 용접으로 결합하여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은 종래의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과 비교하여 각각의 구성 간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이를 통해, 바퀴에 가해지는 보다 큰 충격도 견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및 차체 바디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의 결합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의 결합구조를 도 3 보다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의 어퍼 암 및 로어 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의 로어 암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의 조향너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의 조향너클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1000)은 로어 암(100), 어퍼 암(200), 조향너클(300), 및 쇼크업소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1000)은, 바퀴(10), 차체 바디(20), 및 조향부재(30)과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로어 암(100)은 조향너클(300), 차체 바디(200), 및 쇼크업소버(400)에 연결되고, 어퍼 암(200)은 조향너클(300) 및 차체 바디(200)에 연결되고, 조향너클(300)은 바퀴(10), 로어 암(100), 어퍼 암(200), 및 조향부재(30)와 연결되고, 쇼크업소버(400)는 차체 바디(20) 및 로어 암(100)과 연결될 수 있다.
조향부재(30)는 핸들(31)과 연결되는바, 차량(1)에 탑승한 탑승자가 핸들(31)을 조작하면 조향부재(30)가 이동하며 조향부재(30)에 연결된 조향너클(300) 또한 회전하게 되고, 조향너클(300)에 연결된 바퀴(30)가 역시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탑승자는 핸들(31)의 조작만으로 차량(1)의 이동방향을 조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및 차체 바디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로어 암(100) 및 어퍼 암(200)의 형상은 "V" 모양 또는 "Y"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닮은 꼴일 수 있다. 다만, 로어 암(100) 및 어퍼 암(20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어퍼 암(200)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로어 암(100)의 크기가 어퍼 암(200) 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너클(300)의 일단은 로어 암(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조향너클(300)의 타단은 어퍼 암(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조향너클(300)은 차체 바디(20)에 고정된 로어 암(100) 및 어퍼 암(2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보다 상세히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로어 암(100)은 차체 바디(20)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히 "V"자 형의 로어 암(100)의 꼭지점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를 제 1 단부(101)라 칭하고, 나머지 두 개의 단부를 제 2 단부(102), 및 제 3 단부(103)라 칭하면, 로어 암(100)의 제 2 단부(102) 및 제 3 단부(103)는 차체 바디(20)와 연결된다.
차체 바디(20)에는 로어 암 연결부(21)가 구비되며, 로어 암(100)의 제 2 단부(102) 및 제 3 단부(103)에는 차체 바디 연결부(150)가 구비된다. 차체 바디 연결부(150)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부(102)에 구비된 제 1 차체 바디 연결부(150a) 및 제 2 차체 바디 연결부(150b)와, 제 3 단부(103)에 구비된 제 3 차체 바디 연결부(150c) 및 제 4 차체 바디 연결부(150d)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암 연결부(21) 및 차체 바디 연결부(150)는 대응되는 형상의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에는 결합부재(160)가 삽입됨으로써 차체 바디(20) 및 로어 암(100)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160)는 일례로서, 나사산(161a)을 가지는 결합축(161) 및 너트(162)일 수 있다. 이 경우, 결합축(161)이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너트(162)가 결합축(161)이 이동하지 않도록 조임으로써 차체 바디(20) 및 로어 암(1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차체 바디(20) 및 로어 암(100) 사이의 결합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양자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며 양자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어떠한 결합방법도 가능하다.
어퍼 암(200) 역시 로어 암(100)과 동일한 방식으로 차체 바디(20)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히 "V"자 형의 어퍼 암(200)의 꼭지점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를 제 1 단부(201)라 칭하고, 나머지 두 개의 단부를 제 2 단부(202), 및 제 3 단부(203)라 칭하면, 어퍼 암(200)의 제 2 단부(202) 및 제 3 단부(203)는 차체 바디(20)와 연결된다.
차체 바디(20)에는 어퍼 암 연결부(22)가 구비되며, 어퍼 암(200)의 제 2 단부(202) 및 제 3 단부(203)에는 차체 바디 연결부(250)가 구비된다. 차체 바디 연결부(250)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부(202)에 구비된 제 1 차체 바디 연결부(250a) 및 제 2 차체 바디 연결부(250b)와, 제 3 단부(203)에 구비된 제 3 차체 바디 연결부(250c) 및 제 4 차체 바디 연결부(250d)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암 연결부(22) 및 차체 바디 연결부(250)는 대응되는 형상의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에는 결합부재(260)가 삽입됨으로써 차체 바디(20) 및 어퍼 암(200)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260)는 일례로서, 나사산(261a)을 가지는 결합축(261) 및 너트(262)일 수 있다. 이 경우, 결합축(261)이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너트(262)가 결합축(261)이 이동하지 않도록 조임으로써 차체 바디(20) 및 어퍼 암(2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차체 바디(20) 및 어퍼 암(200) 사이의 결합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양자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며 양자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어떠한 결합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로어 암(100) 및 어퍼 암(200)은 조향너클(3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조향너클(300)의 몸체부(310)의 하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하부 회전축(320)은 로어 암(100)의 제 1 단부(101)에 구비된 조향너클 결합부(14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 돌출부(14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 회전축(320)이 돌출부(145)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것은, 돌출부(145)는 원형의 중공을 포함하며 원기둥 형상의 하부 회전축(320)은 돌출부(145)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하부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만이 방지되도록 고정되기 때문이다. 일례로서, 하부 회전축(320)은 오목하게 형성된 목부(321)를 포함하며, 돌출부(145)의 중공과 하부 회전축(320)의 목부(321)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조향너클(300)의 몸체부(310)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상부 회전축(330)은 어퍼 암(200)의 제 1 단부(201)에 구비된 조향너클 결합부(24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 돌출부(24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회전축(330)이 돌출부(245)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것은, 돌출부(245)는 원형의 중공을 포함하며 원기둥 형상의 상부 회전축(330)은 돌출부(245)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하부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만이 방지되도록 고정되기 때문이다. 일례로서, 상부 회전축(330)은 오목하게 형성된 목부(331)를 포함하며, 돌출부(245)의 중공과 상부 회전축(330)의 목부(331)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만, 돌출부(145,245)의 중공, 하부 회전축(320), 및 상부 회전축(330)의 형상이 이와 같은 기재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145,245)에 하부 회전축(320) 및 상부 회전축(3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조향너클(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10)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는 바퀴결합부(312)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결합부(312)에는 바퀴(10)가 결합된다. 일례로서, 바퀴결합부(312)는 원형의 중공(312a)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312a)에는 바퀴(10)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바퀴(1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일례로서, 상기 바퀴(10)의 회전축의 말단에는 나사산이 있어 너트에 의해 바퀴결합부(312)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조향너클(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10)의 중심 부근의 측면에 구비된 조향부재 결합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부재 결합부(340)에는 조향부재(30)가 결합된다. 일례로서, 조향부재(30)의 말단 및 조향부재 결합부(340)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에는 결합부재(350)가 삽입되어 상기 조향부재(30) 및 조향부재 결합부(340)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결합부재(350)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볼트 및 너트일 수 있다. 다만, 조향부재(30) 및 조향부재 결합부(340)의 결합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향부재(30)에 연결된 핸들(31)의 조작을 통해 조향부재 결합부(340) 및 조향부재 결합부(340)에 연결된 바퀴(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어떠한 방식의 결합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쇼크업소버(400)의 일단은 차체 바디(20)에 결합되고, 쇼크업소버(40)의 타단은 로어 암(100)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쇼크업소버(400)의 일단은 차체 바디(20)에 형성된 쇼크업소버 연결부(23)와 연결되며, 쇼크업소버(400)의 타단은 로어 암(100)의 쇼크업소버 결합부(170)과 연결된다. 쇼크업소버(400) 및 쇼크업소버 연결부(23) 사이의 결합과, 쇼크업소버(40) 및 쇼크업소버 결합부(170) 사이의 결합은 볼트 및 너트에 의한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쇼크업소버(400)의 양단 사이에는 코일스프링(410)이 구비되며, 이와 같은 구조 통해 로어 암(100)에 발생된 충격이 차체 바디(20)에 완화되어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의 어퍼 암 및 로어 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의 로어 암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는 쇼크업소버 결합부(170)가 생략되어 도시되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서 상부 수평재(1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로어 암(100)은, 하부 수평재(110), 상부 수평재(120), 수직재(130), 조향너클 결합부(140), 차체 바디 결합부(150), 및 쇼크업소버 결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수평재(110)와 상부 수평재(120)는 일례로서 "V" 또는 "Y" 형상일 수 있으며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수평재(110)와 상기 상부 수평재(120)는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편평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수평재(110)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111), 상기 중심부(111)로부터 연장형성된 제 1 연장부(112), 및 상기 중심부(111)로부터 상기 제 1 연장부(112)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 2 연장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수평재(110)는, 중심부(111), 제 1 연장부(112), 및 제 2 연장부(113)에 구비된 다수의 홈(112a,11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수평재(120)도, 하부 수평재(110)와 마찬가지로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121), 상기 중심부(121)로부터 연장형성된 제 1 연장부(122), 및 상기 중심부(121)로부터 상기 제 1 연장부(122)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 2 연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수평재(120)는, 중심부(121), 제 1 연장부(122), 및 제 2 연장부(123)에 구비된 다수의 홈(121a,122a,123a)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재(130)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수평재(110)의 제 1 연장부(112)와 상부 수평재(120)의 제 1 연장부(122)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수직부(131), 및 하부 수평재(110)의 제 2 연장부(113) 및 상부 수평재(120)의 제 2 연장부(123)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수직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재(130)는 다수의 홈(112a,113a)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하부 돌기(131a,13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홈(112a,113a) 각각에 하부 돌기(131a,132a) 각각이 삽입된 상태로 하부 수평재(110) 및 수직재(130)가 결합되어 결합력이 우수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홈(112a,113a)에 하부 돌기(131a,132a)가 삽입된 상태로 용접이 이루어지는 경우, 용접을 위해 하부 수평재(110) 및 수직재(130)를 고정하는 별도의 부재 또는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제조비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제조를 위한 장소적 제약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재(130)는 다수의 홈(122a,123a)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상부 돌기(131b,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다수의 홈(122a,123a) 각각에 상부 돌기(131b,132b) 각각이 삽입된 상태로 상부 수평재(120) 및 수직재(130)가 결합되어 결합력이 우수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홈(122a,123a)에 상부 돌기(131b,132b)가 삽입된 상태로 용접이 이루어지는 경우, 앞서 하부 수평재(110)와 관련하여 말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향너클 결합부(140)는 하부 수평재(110) 및 상부 수평재(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로어 암(100)의 제 1 단부(101)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향너클 결합부(140)는 하부 수평재(110)의 중심부(111) 및 상부 수평재(120)의 중심부(121)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부 수평재(120)의 중심부(121)에 구비된 홈(121a)에 조향너클 결합부(140)의 결합 돌기(141b)가 삽입된 상태로 용접되어, 조향너클 결합부(140)가 하부 수평재(110) 및 상부 수평재(120)에 결합될 수 있다.
조향너클 결합부(140)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너클 결합부(14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부재(141,142), 상기 측부재(141,142)의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부재(143), 상기 측부재(141,142)의 사이에 위치하며 수평부재(143)의 상부에 위치하며 중공을 갖는 원통형부재(144), 및 원통형부재(144)의 중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출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측부재(141,142) 및 수평부재(143) 사이의 결합은, 일례로서 측부재(141,142) 각각에 형성된 홈(141a,142a)에 수평부재(143)의 측방에 형성된 돌기(143a,143b) 각각이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방식일 수 있다.
돌출부(145)는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중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부(145)의 중공은 조향너클(300)과 결합된다.
차체 바디 연결부(150)는, 로어 암(100)이 차체 바디(20)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차체 바디 연결부(150)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차체 바디 연결부(150a,150b,150c,150d)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차체 바디 연결부(150a,150b,150c,150d)는, 각각 제 1 차체 바디 연결부(150a), 제 2 차체 바디 연결부(150b), 제 3 차체 바디 연결부(150c), 및 제 4 차체 바디 연결부(150d)로 호칭될 수 있다.
차체 바디 연결부(150)는, 일례로서 중공을 포함하는 결합부(151) 및 상기 결합부(151)로부터 연장형성된 연장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52)에는 돌기(152a)가 형성될 수 있다.
차체 바디 연결부(150)는 하부 수평재(110) 및 상부 수평재(120) 사이에 위치하며, 차체 바디 연결부(150)의 돌기(152a)는 하부 수평재(110) 및 상부 수평재(120)의 말단에 형성된 함몰부(112b,212b)에 견착된 상태로 용접되어 결합된다.
쇼크업소버 결합부(170)는, 일례로서 상부 수평재(1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쇼크업소버(400)와 연결된다. 쇼크업소버 결합부(170) 및 쇼크업소버(400) 사이의 결합은 앞서 살핀 바이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어퍼 암(200)은, 로어 암(100)과 마찬가지로 하부 수평재(210), 상부 수평재(220), 수직재(230), 조향너클 결합부(240), 및 차체 바디 결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하부 수평재(210), 상부 수평재(220), 수직재(230), 조향너클 결합부(240), 및 차체 바디 결합부(2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로어 암(100)의 하부 수평재(210), 상부 수평재(220), 수직재(230), 조향너클 결합부(240), 및 차체 바디 결합부(250)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의 조향너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의 조향너클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향너클(300)은, 몸체부(310), 상기 몸체부(3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하부 회전축(320), 상기 몸체부(3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상부 회전축(330), 및 상기 몸체부(310)의 측면에 구비된 조향부재 결합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10)는, 일례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재(311), 상기 중심부재(311)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측면부재(313,314), 및 상기 중심부재(311)의 중심 부근에 구비되어 바퀴(10)의 회전축과 결합하는 바퀴결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재(311)는 일례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31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부재(313)는 상기 함몰부(311a)에 상응하는 돌기부(31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11a)에 상기 돌기부(313a)가 견착된 상태에서 용접되어 상기 중심부재(311) 및 측면부재(313)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중심부재(311) 및 측면부재(314) 사이의 결합도, 중심부재(311) 및 측면부재(313)의 결합과 동일하다.
또한, 중심부재(311)는 함몰부(311a)를 다수 개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부재(313,314) 역시 함몰부(311a)에 대응하는 돌기부(313a)를 다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심부재(311)는 일례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모서리를 빙둘러 형성된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부재(313,314)는 상기 요철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요홈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상기 요철에 요홈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중심부재(311) 및 상기 측면부재(313,314)가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바퀴결합부(312)는 중공(312a)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312a)에 바퀴(10)의 회전축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됨은 이미 살핀 바이다.
하부 회전축(320) 및 상부 회전축(330)은 살핀 바와 같이 각각 로어 암(100) 및 어퍼 암(200)에 연결된다.
또한, 조향부재 결합부(340)는 살핀 바와 같이 조향부재(30)와 결합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1)은 모터의 작동을 위해 태양광을 집적하는 집광판(미도시)을 구비한다. 집광판에 의해 집적된 태양광에 의해 모터가 작동되면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후륜(미도시)이 회전하게 되며 후륜의 회전에 의해 차량(1)이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륜, 즉 바퀴(10) 역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차량(1)의 탑승자가 핸들(31)을 조작하면, 핸들(31)과 연결된 조향부재(30)가 이동되어 조향부재(30)의 양 끝단에 연결된 조향너클(300)도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조향너클(300)에 연결된 바퀴(10)도 회전하여 차량(1)의 전진 방향이 변화하게 된다.
차량(1)의 이동 중 도로면에 위치한 장애물 등에 의해 바퀴(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차체 바디(20) 및 로어 암(100)과 연결된 쇼크업소버(400)의 코일스프링(41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는바 차량(1)의 차체 바디(20)의 흔들림이 완화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어퍼 암
200 : 로어 암
300 : 조향너클
400 : 쇼크업소버

Claims (12)

  1. 로어 암, 상기 로어 암의 상부에 위치하는 어퍼 암을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로어 암 또는 상기 어퍼 암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제 1 연장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 또는 상기 제 2 연장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홈이 구비되며, 편평한 면을 형성하는 하부 수평재;
    상기 하부 수평재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수평재의 상부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상부 수평재; 및
    상기 하부 수평재 및 상기 상부 수평재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홈 각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다수의 하부 돌기와 상부 돌기가 구비되는 수직재를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암 또는 상기 어퍼 암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각 홈에 상기 각 하부 돌기 또는 상부돌기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부 수평재, 상기 상부 수평재 및 상기 수직재가 용접되어 형성된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암 또는 상기 어퍼 암은,
    상기 중심부 측에 구비되며 바퀴와 결합되는 조향너클과 결합하기 위한 조향너클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의 말단에 구비되며 차체 바디와 결합되기 위한 차체 바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7. 제 6 항에 있어서,
    일단에서 상기 차체 바디와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로어 암과 연결되어 상기 로어 암에 발생된 충격을 완화하여 상기 차체 바디에 전달하는 쇼크업소버를 더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암과 상기 어퍼 암을 연결하는 조향너클을 포함하고,
    상기 조향너클은 다수의 판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판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판재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재와 결합되는 다른 판재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너클은, 상기 함몰부에 상기 돌기부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다수의 판재가 용접되어 형성된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너클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어 암에 결합되는 하부 회전축;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어퍼 암에 결합되는 상부 회전축을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중심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재는 측면 모서리를 빙둘러 형성된 요철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요철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요홈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요철에 상기 요홈이 결합된 상태로 용접되어 형성된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너클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구비된 조향부재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향부재 결합부는 핸들과 연결된 조향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향너클이 회전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KR1020130022589A 2013-03-04 2013-03-04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KR10145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589A KR101458300B1 (ko) 2013-03-04 2013-03-04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589A KR101458300B1 (ko) 2013-03-04 2013-03-04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842A KR20140108842A (ko) 2014-09-15
KR101458300B1 true KR101458300B1 (ko) 2014-11-04

Family

ID=5175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589A KR101458300B1 (ko) 2013-03-04 2013-03-04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92739A (ko) 2022-12-15 2024-06-24 주식회사 라라클래식모터스 초소형 전기 자동차용 서스펜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5670A (en) * 2014-05-02 2015-11-04 Gower College Swansea Human-propellable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1933A (ja) * 1999-10-27 2001-05-08 Press Kogyo Co Ltd ダブルウィッシュボーン式サスペンション及びそのアッパーリンク並びにロアーリンク
JP2005145355A (ja) * 2003-11-19 2005-06-09 Aisin Takaoka Ltd ナック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1933A (ja) * 1999-10-27 2001-05-08 Press Kogyo Co Ltd ダブルウィッシュボーン式サスペンション及びそのアッパーリンク並びにロアーリンク
JP2005145355A (ja) * 2003-11-19 2005-06-09 Aisin Takaoka Ltd ナック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92739A (ko) 2022-12-15 2024-06-24 주식회사 라라클래식모터스 초소형 전기 자동차용 서스펜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842A (ko) 201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5780B (zh) 主动几何控制悬架系统以及驱动该系统的致动设备
US8511698B2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US8052160B2 (en) Vehicular suspension device
CA2712884C (en) Suspension lift system for golf carts with improved pivotal nodes
KR101458300B1 (ko)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WO2014129046A1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構造及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17095088A (ja) 車両
JP6199587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
WO2009002332A1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KR20200079030A (ko) 차량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컨트롤 암 및 상기 컨트롤 암의 제조 방법
WO2014136261A1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KR101282637B1 (ko) 차량용 서스펜션암의 제조방법
JP5829979B2 (ja) 三輪車
JP5873371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
CN206012259U (zh) 一种后扭力梁总成
WO2014167689A1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6074319B2 (ja) 車両懸架装置
CN203460636U (zh) 四连杆后悬架下控制臂
CN205737927U (zh) 自行车或电动车前轮避震总成
JP2017140859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CN202389136U (zh) 具有高扭抗性能的后悬支架加强板
WO2014092139A1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
KR20060067546A (ko) 커플드 토션빔
CN203864873U (zh) 一种儿童汽车支架
CN206446746U (zh) 一种带拉杆的制动踏板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