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335B1 -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 Google Patents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335B1
KR102426335B1 KR1020200146673A KR20200146673A KR102426335B1 KR 102426335 B1 KR102426335 B1 KR 102426335B1 KR 1020200146673 A KR1020200146673 A KR 1020200146673A KR 20200146673 A KR20200146673 A KR 20200146673A KR 102426335 B1 KR102426335 B1 KR 102426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art
shelf
furniture
assembly
shelf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744A (ko
Inventor
조정규
Original Assignee
조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규 filed Critical 조정규
Priority to KR1020200146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3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8Very short brackets, quickly attachable or detachable to a vertical suppor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47B47/047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선반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의 편의성이 향상된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가구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수평한 자세의 제1조립구에 삽입되어 가구본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가구본체에 설치되는 선반의 저면에 형성된 수직한 자세의 제2조립구에 삽입되어 선반과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 제2결합부;로 이루어진 가구용 선반 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밑판에 의해 저면이 폐쇄된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되, 하부 고정단과 상부 자유단을 갖는 외팔보 형태의 탄성편이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도록 상단부가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의 외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제2결합부가 제2조립구로 삽입될 때 가압돌기가 제2조립구의 내면에 국부적으로 압력을 집중시키면서 제2결합부를 제2조립구에 견고히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호 대칭구조를 갖는 2개의 탄성편을 포함하며, 제2결합부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두 탄성편의 사이사이에 고정편이 형성되고, 두 고정편 중 어느 한 고정편에 제1결합부가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선반 받침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Shelf support for furniture and furnitu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본체에 삽입되어 가구본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가구본체에 설치되는 선반에 삽입되어 선반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가구본체 및 선반에 빈틈없이 견고히 결합되어 선반을 보다 안정적인 구조로 가구본체에 조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장이나 진열장과 같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수납구조를 갖는 가구에는 층상의 수납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선반이 포함되며, 수납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선반은 가구본체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조립된다.
이처럼 다수의 선반을 가구본체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 선반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보'라 불리는 선반 받침구가 사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구본체의 내벽에는 다수의 조립구가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선반과 결합되거나 선반을 하부에서 받쳐주는 형태로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 받침구가 조립구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높이에 위치한 조립구를 선택하고, 선택된 조립구 및 그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조립구에 선반 받침구를 설치하게 되며, 이처럼 설치된 다수의 선반 받침구에 의해 선반이 지지되도록 선반을 배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핀타입 선반 받침구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핀타입 선반 받침구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일부분이 가구본체에 형성된 조립구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가구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선반을 하부에서 받쳐주는 형태로 선반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핀타입 선반 받침구는 매우 간단한 조립방식을 갖고 있으므로, 선반의 높낮이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반면, 선반과 결속되는 부분이 없어 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즉, 선반 위의 수납물을 꺼내는 과정에서 선반이 수납물과 함께 가구본체의 전방으로 딸려 나오면서 떨어져 수납물이 손상되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다.
한편, 특허문헌1에는 일부분이 선반으로 삽입되어 선반과 결속되는 구조를 갖는 선반 받침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개시된 선반 받침구는 수직한 자세의 원기둥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측면부에 수평한 자세의 원기둥으로 이루어진 결합 돌기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가구본체에 형성된 조립구에 삽입되어 가구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가 선반의 저면에 형성된 홈을 통해 선반의 내부에 삽입되어 선반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반 받침구는 가구본체 및 선반에 모두 결속됨에 따라 선반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에 따른 선반 받침구는 몸체와 결속 돌기가 선반 및 가구본체에 형성된 구멍으로 단순히 삽입되어 결속되는 방식으로, 선반의 흔들림을 완전히 억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특허문헌1에 따른 선반 받침구가 선반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선반 및 가구본체에 형성된 구멍에 선반 받침구의 몸체와 결속 돌기가 빈틈없이 결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선반과 가구본체에 구멍을 형성함에 있어서 매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선반 및 가구본체에 가공되는 구멍은 작업상황이나 작업자의 숙련도 그리고 가공툴의 상태에 따라 상당한 오차가 발생될 수밖에 없으며, 만약 설계값 보다 작게 구멍이 가공될 경우 선반 받침구의 조립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반대로 설계값 보다 크게 구멍이 가공될 경우 선반 받침구가 가구본체 및 선반에 헐겁게 조립되면서 선반의 흔들림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선반 받침구는 조립의 편의성과 선반의 안정적인 지지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1317호(2010.02.08.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반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의 편의성이 향상된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가구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수평한 자세의 제1조립구에 삽입되어 가구본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가구본체에 설치되는 선반의 저면에 형성된 수직한 자세의 제2조립구에 삽입되어 선반과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 제2결합부;로 이루어진 가구용 선반 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밑판에 의해 저면이 폐쇄된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되, 하부 고정단과 상부 자유단을 갖는 외팔보 형태의 탄성편이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도록 상단부가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의 외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제2결합부가 제2조립구로 삽입될 때 가압돌기가 제2조립구의 내면에 국부적으로 압력을 집중시키면서 제2결합부를 제2조립구에 견고히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호 대칭구조를 갖는 2개의 탄성편을 포함하며, 제2결합부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두 탄성편의 사이사이에 고정편이 형성되어 제2결합부의 상단부에는 2개의 탄성편과 2개의 고정편이 교번되게 형성되고, 두 고정편 중 어느 한 고정편에 제1결합부가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선반 받침구를 제공한다.
삭제
한편 상기 가구용 선반 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과 고정편은 서로 다른 호 길이를 갖되, 탄성편의 호 길이가 고정편의 호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어 탄성편의 탄성변형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구용 선반 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밑판으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두 고정편을 서로 연결하면서 일체화시키는 보강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대는 수직한 자세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두 고정편의 사이에서 제1결합부와 일렬로 정렬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구용 선반 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수평한 자세의 원기둥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단 외주면에 제1결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으로부터 뾰쪽하게 돌출된 다수의 절삭돌기가 원주방향으로 분산되게 형성되어 회전동작에 의해 절삭돌기가 제1조립구의 내주면을 절삭하면서 확장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결합부의 외주면 중 제1결합부의 반대쪽에 위치한 외주면에는 십자 또는 일자의 형상의 툴 결합홈이 형성되어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가구용 선반 받침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면에 수평한 자세를 갖는 다수의 제1조립구가 분산되게 형성된 가구본체; 상기 가구본체에 설치되며, 수직한 자세의 제2조립구가 저면에 분산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선반; 및 상기 제1조립구에 설치되며, 상기 제2조립구에 삽입되어 선반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상기 가구용 선반 받침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가구용 선반 받침구를 포함하는 가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선반 받침구를 가구본체에 조립하고 선반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수납장을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수납장의 조립에 요구되는 인력과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선반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선반의 제2조립구에 삽입된 채로 견고히 결합되므로 선반이 제2결합부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의 사이사이에 위치한 두 고정편이 보강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전방에 위치한 고정편에 제1결합부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져 제1결합부와 두 고정편 및 보강대가 일직선상에 정렬된 채로 선반 받침구의 강성을 높이는 골격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가벼우면서 큰 강성을 갖는 가구용 선반 받침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결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삭돌기는 제1결합부가 제1조립구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조립구의 내주면을 일정 부분 파고들면서 고정되므로 선반 받침구를 가구본체에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조립구의 크기가 제1결합부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도 선반 받침구의 회전을 통해 제1조립구를 확장시키면서 선반 받침구를 제1조립구에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선반 받침구의 설치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핀타입 선반 받침구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선반 받침구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선반 받침구의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선반 받침구의 이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선반 받침구의 측면도,
도 6 은 A-A`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결속부에 갈퀴형 절삭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선반 받침구에 의해 선반이 가구본체에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선반 받침구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선반 받침구의 평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선반 받침구의 이면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선반 받침구의 측면도를, 도 6은 A-A` 단면도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결속부에 갈퀴형 절삭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선반 받침구에 의해 선반이 가구본체에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선반 받침구(100)는 가구본체(10)에 결합되는 부분과 선반(20)에 결합되는 부분이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가구본체(10)와 선반(20)의 조립 편의성을 높이고, 이와 더불어 선반(20)을 보다 안정적인 구조로 가구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110)는 수평한 자세의 원기둥으로 이루어지며, 가구본체(10)의 측면에 수평한 자세로 형성된 제1조립구(1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120)는 밑판(130)에 의해 저면이 폐쇄된 수직한 자세의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선반(20)의 저면에 수직한 자세로 형성된 제2조립구(2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120)는 원호부(120a)와 평면부(120b)가 조합된 평면구조를 가지며, 상단부가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탄성편(121,122)과 고정편(123,124)으로 분할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호부(120a)는 180도를 초과하는 중심각(θ)을 갖도록 형성되고, 평면부(120b)는 가구본체(10)의 측면에 마주하여 밀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원호부(120a)와 평면부(120b)가 조합된 평면구조를 갖는 제2결합부(120)가 삽입되도록 선반(20)에 형성되는 제2조립구(21)는 제2결합부(120)의 평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되, 제2조립구(21)로 삽입된 제2결합부(120)의 평면부(120b)가 선반(20)의 측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일부분이 선반(20)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결합부(120)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110)는 평면부(120b)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되, 그 무게중심(CP1)이 선반 받침구(100)의 무게중심(CP2)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부(110)의 무게중심(CP1)이 선반 받침구(100)의 무게중심(CP2)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경우, 제1결합부(110)가 제1조립구(11)에 삽입되어 가구본체(10)에 결합되는 선반 받침구(100)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2결합부(120)의 무게중심(CP2)로 인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거나 임의로 다른 자세로 고정되지 않는 한 제2결합부(120)가 기립된 수직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므로, 선반의 조립과정에서 선반 받침구(100)의 자세를 정렬하는 추가적인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20)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탄성편(121,122)과 고정편(123,124)은 제2결합부(120)의 상단부를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여러 개의 부분으로 분할시킴으로써 형성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120)는 2개의 탄성편(121,122)과 2개의 고정편(123,124)을 포함하도록 4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것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120)는 2개의 탄성편(121,122)이 제2결합부(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한 채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도록 제2결합부(12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두 탄성편(121,122)의 사이사이에 고정편(123,124)이 위치하도록 제2결합부(120)의 전후 양측에 고정편(123,124)이 형성되며, 각각의 탄성편(121,122)은 하부 고정단과 상부 자유단을 갖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져 제2결합부(120)의 내외측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탄성편(121,122)의 외면에는 제2결합부(120)가 제2조립구(21)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가압돌기(125)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돌기(125)는 탄성편(121,12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되, 뾰족한 끝단을 형성하도록 삼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압돌기(125)는 하나 이상이 각각의 탄성편(121,12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23,124)은 탄성편(121,122)과 다르게 변형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편(121,122)의 호 길이(L1) 보다 긴 호 길이(L2)를 가지며, 2개의 고정편(123,124) 중 하나는 평면부(120b)를 형성하면서 제1결합부(110)를 지지하고, 나머지 하나의 고정편(124)은 원호부(120a)의 중앙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두 고정편(123,124)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되고, 제2결합부(12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대(126)가 제2결합부(120)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대(126)는 두 고정편(123,124)의 사이에서 밑판(130)으로부터 수직한 자세로 돌출된 판재로 이루어지며, 양 단이 두 고정편(123,124)에 연결되어 두 고정편(123,124)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강대(126)는 그 중심선이 제1결합부(110)의 중심선과 일치하여 제1결합부(110)와 일렬로 정렬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1결합부(110)와 두 고정편(123,124) 및 보강대(126)가 일직선상에 정렬된 채로 선반 받침구(100)의 강성을 높이는 골격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가벼우면서 우수한 강성을 갖는 선반 받침구(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밑판(130)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제2결합부(120) 보다 큰 평면적을 구비하여 제2결합부(120)의 하부에서 일부가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반 받침구(100)에 있어서, 선반 받침구(100)를 가구본체(10)에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1결합부(110)를 제1조립구(11)에 삽입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삭돌기(141)와 툴 결합홈(14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삭돌기(141)는 제1결합부(110)의 내측단 외주면상에서 제1결합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결합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절삭돌기(141)는 다수개가 제1결합부(110)의 원주방향으로 분산되게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절삭돌기(141)는 삼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뾰족한 부분이 제1결합부(110)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제1결합부(110)가 제1조립구(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조립구(11)의 내면을 파고들면서 제1조립구(11)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툴 결합홈(142)은 제2결합부(120)의 외주면 중 제1결합부(110)의 반대쪽에 위치한 외주면에 형성되되, 십자 또는 일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드라이버를 툴 결합홈(142)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결합부(110)를 제1조립구(1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선반 받침구(100)를 회전시키면서 삽입시킬 수 있으며, 선반 받침구(100)의 회전 시, 절삭돌기(141)는 제1조립구(11)의 내주면을 깎아내면서 확장시키게 되므로, 제1조립구(11)가 제1결합부(110) 보다 작은 크기로 가공된 경우에도 제1결합부(110)를 제1조립구(11)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드라이버를 이용한 선반 받침구(100)의 회전 시 절삭돌기(141)가 제1조립구(11)의 내주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삭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절삭돌기(141)는 갈퀴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갈퀴형상의 절삭돌기(141)는 오목한 내면(141a)과 볼록한 외면(141b)이 선반 받침구(100)의 오른 방향의 회전을 기준으로 뾰쪽한 첨단을 갖는 흡사 갈퀴와 같은 형상을 형성하도록 조합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선반 받침구(100)를 이용하여 선반(20)을 가구본체(10) 설치하기 위해서는 가구본체(10)에 수평한 자세의 제1조립구(11)를 가공하고, 선반(20)의 저면에 수직한 자세의 제2조립구(21)를 가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조립구(11)와 제2조립구(21)는 가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미리 가공될 수 있다.
선반(20)을 가구본체(10)에 설치할 준비가 완료되면, 제1결합부(110)를 제1조립구(11)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선반 받침구(100)를 가구본체(10)에 설치한다.
이때, 가구본체(10)에 가공된 제1조립구(11)의 크기가 설계값 보다 작은 경우, 제1결합부(110)에 형성된 툴 결합홈(142)에 드라이버를 결합시키고,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선반 받침구(100)를 회전시키면서 제1결합부(110)를 제1조립구(11)로 삽입시키게 되면, 제1결합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절삭돌기(141)가 제1조립구(11)의 내주면을 깎아내면서 제1조립구(11)를 확장시키게 되므로, 제1조립구(11)가 작게 형성된 경우에도 선반 받침구(100)의 원활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조립구(11)의 크기가 설계값 보다 큰 경우, 제1결합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절삭돌기(141)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1조립구(11)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제1결합부(110)가 제1조립구(11)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게 되므로, 제1조립구(11)의 크기가 설계값 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 경우에도 선반 받침구(100)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가구본체(10)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반 받침구(100)의 경우, 제1결합부(110)의 무게중심(CP1) 선반 받침구(100)의 무게중심(CP2)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므로, 제1결합부(110)가 제1조립구(11)에 삽입되어 가구본체(10)에 설치되는 선반 받침구(100)는 자연스럽게 수직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선반(20)을 지지하기 위한 모든 선반 받침구(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선반(20)의 설치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선반(20)의 설치는 가구본체(10)에 조립된 선반 받침구(100)의 수직 상부에 제2조립구(21)가 위치하도록 선반(20)을 배치하고, 선반(20)을 그대로 하강시켜 선반 받침구(100)의 제2결합부(120)가 제2조립구(2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2결합부(120)가 제2조립구(21)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편(121,122)의 외면에 형성된 가압돌기(125)는 제2조립구(2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가압되고, 이때 탄성편(121,122)은 제2결합부(120)의 내측방향으로 휘어지는 형태로 변형되므로, 제2결합부(120)가 제2조립구(2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선반(20)을 배치함에 있어서 큰 힘은 요구되지 않는다.
한편, 제2조립구(2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가압돌기(125)는 탄성편(121,122)의 탄성에 의해 제2조립구(21)의 내주면에 높은 압력으로 밀착되며, 상호 대칭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두 탄성편(121,122)의 가압돌기(125)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2조립구(21)의 내주면에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선반(20)이 선반 받침구(100)로부터 이탈하거나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반 받침구(100)는 가구본체(10)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110)와, 선반(20)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120)가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 선반(20)을 가구본체(10)에 조립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인력이나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가 제1조립구(11) 및 제2조립구(21)에 견고히 결속되면서 선반(20)의 이탈이나 유동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구본체 11: 제1조립구
20: 선반 21: 제2조립구
100: 가구용 선반 받침구 110: 제1결합부
120: 제2결합부 121, 122: 탄성편
123, 124: 고정편 125: 가압돌기
126: 보강대 130: 밑판
141: 절삭돌기 142: 툴 결합홈

Claims (7)

  1. 가구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수평한 자세의 제1조립구(11)에 삽입되어 가구본체(10)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110); 및 상기 가구본체(10)에 설치되는 선반(20)의 저면에 형성된 수직한 자세의 제2조립구(21)에 삽입되어 선반(20)과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부(110)와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 제2결합부(120);로 이루어진 가구용 선반 받침구(100)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120)는,
    밑판(130)에 의해 저면이 폐쇄된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되, 하부 고정단과 상부 자유단을 갖는 외팔보 형태의 탄성편(121,122)이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도록 상단부가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121,122)의 외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기(125)가 형성되어 제2결합부(120)가 제2조립구(21)로 삽입될 때 가압돌기(125)가 제2조립구(21)의 내면에 국부적으로 압력을 집중시키면서 제2결합부(120)를 제2조립구(21)에 견고히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결합부(120)는 상호 대칭구조를 갖는 2개의 탄성편(121,122)을 포함하며, 제2결합부(120)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두 탄성편(121,122)의 사이사이에 고정편(123,124)이 형성되어 제2결합부(120)의 상단부에는 2개의 탄성편(121,122)과 2개의 고정편(123,124)이 교번되게 형성되고, 두 고정편(123,124) 중 어느 한 고정편(123)에 제1결합부(110)가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선반 받침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121,122)과 고정편(123,124)은 서로 다른 호 길이를 갖되, 탄성편(121,122)의 호 길이(L2)가 고정편(123,124)의 호 길이(L1) 보다 짧게 형성되어 탄성편(121,122)의 탄성변형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선반 받침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밑판(130)으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두 고정편(123,124)을 서로 연결하면서 일체화시키는 보강대(1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선반 받침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126)는 수직한 자세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두 고정편(123,124)의 사이에서 제1결합부(110)와 일렬로 정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선반 받침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110)는 수평한 자세의 원기둥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단 외주면에 제1결합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으로부터 뾰쪽하게 돌출된 다수의 절삭돌기(141)가 원주방향으로 분산되게 형성되어 회전동작에 의해 절삭돌기(141)가 제1조립구(11)의 내주면을 절삭하면서 확장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결합부(120)의 외주면 중 제1결합부(110)의 반대쪽에 위치한 외주면에는 십자 또는 일자의 형상의 툴 결합홈(142)이 형성되어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가구용 선반 받침구(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선반 받침구.
  7. 내측면에 수평한 자세를 갖는 다수의 제1조립구(11)가 분산되게 형성된 가구본체(10);
    상기 가구본체(10)에 설치되며, 수직한 자세의 제2조립구(21)가 저면에 분산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선반(20); 및
    상기 제1조립구(11)에 설치되며, 상기 제2조립구(21)에 삽입되어 선반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청구항 1에 따른 가구용 선반 받침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가구용 선반 받침구를 포함하는 가구.
KR1020200146673A 2020-11-05 2020-11-05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426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673A KR102426335B1 (ko) 2020-11-05 2020-11-05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673A KR102426335B1 (ko) 2020-11-05 2020-11-05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744A KR20220060744A (ko) 2022-05-12
KR102426335B1 true KR102426335B1 (ko) 2022-07-27

Family

ID=8159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673A KR102426335B1 (ko) 2020-11-05 2020-11-05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3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30926A2 (en) 2003-11-14 2005-05-18 Ferramenta Livenza S.r.l. Improved shelf support arrangement
JP2008088997A (ja) 2006-09-29 2008-04-17 Shirai Sangyo:Kk 部材の結合構造
WO2012052917A1 (en) 2010-10-18 2012-04-26 Perin S.P.A Support fitting
JP2014073150A (ja) * 2012-10-02 2014-04-24 Panasonic Corp 棚板固定具
JP5507965B2 (ja) * 2009-11-06 2014-05-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棚受ダボ
KR102116942B1 (ko) * 2018-11-13 2020-05-29 조정규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82Y1 (ko) 2008-07-28 2011-05-23 주식회사 바로크주방가구 선반 고정장치 결합구조
DE202016101880U1 (de) * 2016-04-11 2016-04-27 Häfele Berlin Gmbh & Co Kg Beschlag zum lösbaren Verbinden zweier Möbeltei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30926A2 (en) 2003-11-14 2005-05-18 Ferramenta Livenza S.r.l. Improved shelf support arrangement
JP2008088997A (ja) 2006-09-29 2008-04-17 Shirai Sangyo:Kk 部材の結合構造
JP5507965B2 (ja) * 2009-11-06 2014-05-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棚受ダボ
WO2012052917A1 (en) 2010-10-18 2012-04-26 Perin S.P.A Support fitting
JP2014073150A (ja) * 2012-10-02 2014-04-24 Panasonic Corp 棚板固定具
KR102116942B1 (ko) * 2018-11-13 2020-05-29 조정규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744A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23401T3 (es) Limpiador y tensor de correa transportadora.
US11110620B2 (en) Razor cartridge and razor cartridge assembly having seating protrusions of different heights to seat at least one razor blade
CN101505924B (zh) 用于系列工具的支座
WO2010128635A1 (ja) クリップ
US6543082B2 (en) Holder for securing a mop at the end of a handle
ES2616536T3 (es) Silla con respaldo inclinable
KR102426335B1 (ko)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TW201418771A (zh) 附有支架之放大鏡
JP3233607U (ja) 3軸方向位置規制型工具載置装置
US5206757A (en) Collapsible field glasses
US7083057B1 (en) Article organizer assembly
KR102475538B1 (ko) 철근 연결 장치
US6273386B1 (en) Eyeglasses holder
JP2006247152A (ja) 食器かごの食器支持ピンの固定構造、及びこの固定構造を用いた食器洗浄機の食器かご
CN109121404B (zh) 工作台
JP2005278683A (ja) モップ
JP6270260B2 (ja) 連結部材、及び組立収納
KR20170002780U (ko) 사각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KR102350755B1 (ko) 책상용 프레임
CN218605825U (zh) 一种可调角度的键盘手托盘
CN216269878U (zh) 免工具快拆起落架底座连接结构
JP4386412B2 (ja) 傘立て
JP7097121B1 (ja) 有孔ボード用受具
KR101021231B1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포함한 툴 조립체
KR101344456B1 (ko) 판형 나사 및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