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538B1 - 철근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538B1
KR102475538B1 KR1020200119545A KR20200119545A KR102475538B1 KR 102475538 B1 KR102475538 B1 KR 102475538B1 KR 1020200119545 A KR1020200119545 A KR 1020200119545A KR 20200119545 A KR20200119545 A KR 20200119545A KR 102475538 B1 KR102475538 B1 KR 102475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knitting
sp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052A (ko
Inventor
정상옥
임종민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Priority to KR102020011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5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with conical parts
    • F16B7/02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with conical parts with the expansion of an element inside the tubes due to axial movement towards a wedge or conical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Abstract

본 발명의 철근 연결 장치는 철근이 철근 연결 장치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 연결 장치는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철근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이 철근을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철근 연결 시 내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근 연결 장치{REBAR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철근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철근 연결 시 내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철근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압축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물리적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각종 건축 및 토목공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공사 시 서로 다른 철근을 서로 이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때, 철근 연결 장치를 통해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할 수 있다. 철근 연결 장치는 삽입된 두 개의 철근을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번째 과제는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이 철근을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철근 연결 시 내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철근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과제는 철근이 철근 연결 장치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철근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철근을 연결시키는 철근 연결 장치에 있어서, 내면에 나사산을 가지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경사면을 갖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하우징 연결부; 상기 하우징 연결부 내부에 배치되는 안착면을 가지는 스프링 안착부;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안착면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1스프링; 상기 제1스프링 상에 안착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편체 분리부; 외면이 상기 제2부분의 내면에 접촉되고, 내면에 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부 상에 이격되어 안착되는 복수의 편체; 및 상기 편체 분리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이 상기 철근 연결 장치의(에)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편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철근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체 지지부는 상기 편체 분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됨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편체 분리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스프링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체 분리부는, 상기 제1스프링 상에 안착되며, 철근 수용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들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체들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진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체 안착부는 상기 편체 분리부와 상기 편체 지지부 사이를 연결시키는 런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됨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런너와 상기 편체 분리부 또는 상기 편체 지지부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편체 지지부의 외경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경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체 지지부는 밑면 및 상기 밑면에 수직한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편체 지지부의 측면은 상기 편체의 내면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고, 상기 편체 지지부의 측면은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이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철근 연결 장치는 철근이 철근 연결 장치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 연결 장치는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철근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이 철근을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철근 연결 시 내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와 철근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체 분리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의 상부 어셈블리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되기 전을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된 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와 철근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철근 연결 장치(100a 및 100b; 100)는 두 개의 철근(200a 및 200b; 200)을 서로 연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철근 연결 장치(100a)의 일단에 철근(200a)의 일단이 삽입되고, 철근 연결 장치(100b)의 일단에 철근(200b)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철근 연결 장치(100a)의 타단과 철근 연결 장치(100b)의 타단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두 개의 철근(200a 및 200b)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각 철근(200a 및 200b)은 대응하는 철근 연결 장치(100a 및 100b)의 내측에 결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근 연결 장치(100a 및 100b)는 철근(200a 및 200b)을 안정적으로 고정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철근 연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철근 연결 장치(100a 및 100b)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철근 연결 장치(100)는 하우징(110), 하우징 연결부(120), 스프링 안착부(130), 제1스프링(140), 편체 분리부(150), 편체 지지부(160) 및 편체들(170)을 포함할 수 있다.
편체 분리부(150), 편체 지지부(160) 및 편체들(170)을 상부 어셈블리라 하고, 제1스프링(140) 및 스프링 안착부(130)를 하부 어셈블리라 지칭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철근 연결 장치(100)의 외형을 구성한다. 하우징(110)에는 철근(200)이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하우징(110)은 철근(200)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10)은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회전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10)은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부분(111) 및 제1부분(111)로부터 연장되며, 경사면을 가지는 제2부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3) 각각은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111)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제1부분(111)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회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부분(113)은 제1부분(111)로부터 연장되며, 일단은 제1부분(111)과 연결되고 타단에는 철근 삽입홀(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철근 삽입홀(113a)의 내경은 철근(200)의 외경 이상일 수 있다.
제2부분(113)은 제1부분(1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회전면을 포함할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제2부분(113)의 일단에서의 직경은 제2부분(113)의 타단에서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제2부분(113)의 철근(200)이 삽입되는 쪽의 직경(D1)은 제2부분(113)의 제1부분(111)과 연결된 부분의 직경(D2)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직경(D2)는 철근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0)는 하우징(110)의 제1부분(111)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하우징 연결부(120)의 외면에는 나사산들이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 연결부(120)의 나사산과 제1부분(111)의 내면의 나사산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0)는 두 개의 철근 연결 장치(10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 연결부(120)의 제1부분에 하나의 철근 연결 장치가 결합되고, 하우징 연결부(120)의 제2부분에 다른 하나의 철근 연결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 안착부(130)는 하우징 연결부에 배치되는 안착면(131)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라, 스프링 안착부(130)는 안착면(131)을 포함하는 컵(cup)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스프링 안착부(13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연결부(12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라, 하우징 연결부(120) 내부에 안착면(131)이 형성될 수 있고, 안착면(131) 자체가 스프링 안착부(130)로 지칭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면(131)은 하우징 연결부(120)의 내부 공간을 나누는 격벽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스프링(140)은 스프링 안착부(13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제1스프링(140)의 일측은 안착면(131)에 안착되고, 제1스프링(140)의 타측은 편체 분리부(150)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편체 분리부(150)는 제1스프링(14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편체 분리부(150)의 외경은 제1스프링(140)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편체 분리부(150)는 플레이트(151) 및 플레이트(151)로부터 돌출된 스페이서들(153)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51)는 제1스프링(140) 상에 안착되며, 철근 수용 홀(151a)을 포함할 수 있다. 철근 수용 홀(151a)을 통해 철근(200)이 수용될 수 있다.
스페이서들(153)은 플레이트(15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스페이서들(153)은 서로 이격되어 플레이트(15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서들(153) 사이의 이격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스페이서들(153)은 플레이트(151)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다.
스페이서들(153)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서들(153)은 3개 또는 4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페이서들(153)의 각각은 경사를 가지는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들(153)의 외측면은 플레이트(151)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편체 지지부(160)는 편체 분리부(150)와 연결되어 제1스프링(14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체 지지부(160)는 편체들(170) 각각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편체 지지부(160)는 원기둥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편체 지지부(160)는 상면 및 상기 상면과 수직인 회전면 형태의 측면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편체 지지부(160)는 병 마개 형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따라, 편체 지지부(160)는 편체 분리부(150)의 개구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실시시예들에 따라, 편체 지지부(160)는 플레이트(151)의 철근 수용 홀(151a)을 관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편체 지지부(160)는 편체 분리부(150)와 연결되어 제1스프링(140)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편체들(170) 각각은 편체 분리부(150)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편체들(170) 각각은 편체 분리부(150)의 스페이서들(153)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플레이트(151)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편체들(170) 각각은 편체 지지부(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편체들(170)의 하부는 편체 지지부와 접촉되어 편체 지지부(160)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체들(170)이 철근 연결 장치(100)의 중심축을 향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200)이 철근 연결 장치(100)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철근 연결 장치(100) 내의 편체들(170)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편체들(170)의 외면(171)은 하우징(110)의 제2부분(113)의 내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편체들(170)의 외면(171a)의 기울기와 제2부분(113)의 내면(113a)의 기울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편체들(170)의 내면(173)은 편체 지지부(160)에 접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편체들(170)의 내면(173)에는 삽입될 철근(2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래칫(ratchet; 173a)이 형성될 수 있다.
래칫(173a)은 철근(200)이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방향(이하, "철근 삽입 방향"이라 함)으로는 철근(200)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는 대신, 철근(200)이 하우징(110)으로부터 탈거되는 방향(이하, "철근 탈거 방향"이라 함)으로 철근(2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래칫(173a)는(은) 철근 삽입 방향으로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면(17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스프링(14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편체들(17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체 분리부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편체 분리부(150)는 플레이트(151) 및 플레이트(151)로부터 돌출된 스페이서들(15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들(153) 각각은 플레이트(151)의 상면(151b)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스페이서들(153) 각각의 밑면의 넓이는 윗면의 넓이보다 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의 상부 어셈블리의 단면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철근 연결 장치(100)의 상부 어셈블리는 편체 분리부(150), 편체 지지부(160) 및 편체들(170)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편체(170)은(는) 플레이트(151)의 상면(151b)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편체(170)의 측면은 스페이서(153)의 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편체(170)은 하나의 편체(170) 양 측에 위치한 스페이서들(153)의 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체들(170)은 스페이서들(153)의 측면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의 각도 이상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다.
편체 지지부(160)는 런너(161a)를 통해 편체 분리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런너(161a)와 편체 지지부(160) 및 편체 분리부(150) 사이의 연결은 소정의 압력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편체 지지부(160)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런너(161a)를 통한 편체 지지부(160)와 편체 분리부(150)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면서 편체 지지부(160)는 제1스프링(140)을 통해 낙하하여 커플링 연결부(120)에 수용될 수 있다.
편체(170)의 내면(173)은 편체 지지부(160)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체 지지부(160)의 측면은(과) 편체(170)의 내면(17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고, 편체 지지부(160)의 측면에 의해 편체(170)의 철근 연결 장치(100)의 중심축 방향으로의 쓰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철근(200)이 철근 연결 장치(100)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철근 연결 장치(100) 내의 편체들(170)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되기 전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편체들(170)은 편체 분리부(150) 상에 안착되어, 편체 지지부(160)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철근(200)이 철근 연결 장치(100)에 삽입되지 않더라도 철근 연결 장치(100) 내의 편체들(170)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된 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철근(200)이 철근 연결 장치(100)의 철근 삽입 홀(113a)로 삽입된다. 철근(200)은 편체(170) 사이를 지나 편체 지지부(160)의 윗면에 접촉된다. 실시 예들에 따라, 편체(170)들이 기울여진 상태더라도, 철근(200)이 삽입되면 편체들(170)이 철근(200)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철근(200)이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철근(200)의 삽입에 따라 편체 지지부(160)의 윗면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러한 압력은 편체 지지부(160)와 연결된 편체 분리부(150)로 전달되고, 편체 분리부(150)로부터 제1스프링(140)으로 전달된다.
편체 분리부(150)가 제1스프링(140)에 의해 지지되므로, 편체 분리부(150)로 전달된 철근(200)의 압력은 제1스프링(140)을 압축시킨다. 제1스프링(140)이 압축되면, 편체 분리부(150) 및 편체 지지부(160)가 철근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철근(200)에 의한 편체 지지부(160)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면, 편체 지지부(160)와 편체 분리부(150)를 연결하는 런너(161a)가 절단되어, 편체 분리부(150)와 편체 지지부(160)가 분리된다. 이에 따라, 편체 지지부(160)은 제1스프링(140)을 관통하여 하우징 연결부(120) 내로 삽입된다.
편체 지지부(160)가 하우징 연결부(120) 내로 삽입되면, 제1스프링(140)을 압축하는 힘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 제1스프링(140)은 탄성력에 의해 그 길이를 회복하고, 제1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스프링(140) 상에 안착된 편체 분리부(150)가 철근 탈거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제1스프링(140)의 복귀 탄성에 의해 편체들(170)이 철근 탈거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편체들(170)의 래칫(173a)이 삽입된 철근(200)을 강하게 오므려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칫(173a)는(은) 삽입된 철근(200)의 철근 탈거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삽입된 철근(200)은 철근 연결 장치(1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들(153)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므로, 편체들(110)이 스페이서들(153)에 의해 플레이트(151) 상면에 등간격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편체들(110) 각각은 등간격으로 삽입된 철근(200)을 등간격으로 고정시키므로, 철근(20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철근 연결 장치(100)의 하우징(110), 하우징 연결부(120), 스프링 안착부(130), 제1스프링(140), 편체(170)는 금속으로 구성되나, 편체 분리부(150) 및 편체 지지부(160)는 플라스틱 또는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철근 연결 장치(100)의 편체 분리부(150) 및 편체 지지부(160)는 서로 연결되어, 철근(200)이 결합되기 전에 편체(17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철근 연결 장치(100)는 철근(200)이 삽입되기 전에도 편체(17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철근(200)이 철근 연결 장치(100)로 결합되면, 철근(200)으로부터의 압력이 편체 지지부(160)에 가해지게 되어 편체 지지부(160)는 편체 분리부(15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편체(170)은 삽입된 철근(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철근 연결 장치는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철근 연결 시 내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00: 철근 연결 장치 110: 하우징
120: 하우징 연결부 130: 스프링 안착부
140: 제1스프링 150: 편체 분리부
160: 편체 지지부 170: 편체들
200: 철근

Claims (8)

  1. 철근을 연결시키는 철근 연결 장치에 있어서,
    내면에 나사산을 가지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경사면을 갖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외면이 상기 제2부분의 내면에 접촉되고, 내면에 홈들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편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하우징 연결부;
    상기 하우징 연결부 내부에 배치되는 안착면을 가지는 스프링 안착부;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안착면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1스프링;
    상기 제1스프링 상에 안착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가 안착되며, 상기 복수의 편체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편체 분리부; 및
    상기 편체 분리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이 상기 철근 연결 장치의 중심을 향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편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체 지지부는 상기 편체 분리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편체 분리부와 연결된 동안에는, 철근의 삽입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과의 결합 없이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이 상기 철근 연결 장치의 중심을 향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되,
    상기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됨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편체 분리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편체 분리부와 분리된 동안에는, 상기 철근의 삽입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제1스프링 내로 삽입되고,
    상기 편체 분리부는,
    상기 제1스프링 상에 안착되며,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평평한 상면을 가지고, 상기 상면의 중심에 철근 수용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진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스페이서들 각각은 경사를 가지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밑면의 넓이가 윗면의 넓이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은 스페이서들의 측면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의 각도 이상 기울어지지 않는,
    철근 연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체 지지부는 상기 편체 분리부와 상기 편체 지지부 사이를 연결시키는 런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됨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런너와 상기 편체 분리부 또는 상기 편체 지지부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편체 지지부의 외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경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체 지지부는 윗면 및 상기 윗면에 수직한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편체 지지부의 측면은 상기 편체의 내면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고,
    상기 편체 지지부의 측면은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이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KR1020200119545A 2020-09-17 2020-09-17 철근 연결 장치 KR102475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545A KR102475538B1 (ko) 2020-09-17 2020-09-17 철근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545A KR102475538B1 (ko) 2020-09-17 2020-09-17 철근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052A KR20220037052A (ko) 2022-03-24
KR102475538B1 true KR102475538B1 (ko) 2022-12-08

Family

ID=8093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545A KR102475538B1 (ko) 2020-09-17 2020-09-17 철근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559A (ko) * 2022-09-21 2024-03-2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145B1 (ko) * 2016-07-11 2016-09-09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845850B1 (ko) * 2017-11-20 2018-04-06 주식회사 프라임메탈텍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1929179B1 (ko) * 2018-05-10 2018-12-13 송주천 원터치식 커플러
KR101941127B1 (ko) * 2018-07-13 2019-01-22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철근 이음용 커플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145B1 (ko) * 2016-07-11 2016-09-09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845850B1 (ko) * 2017-11-20 2018-04-06 주식회사 프라임메탈텍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1929179B1 (ko) * 2018-05-10 2018-12-13 송주천 원터치식 커플러
KR101941127B1 (ko) * 2018-07-13 2019-01-22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철근 이음용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052A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5538B1 (ko) 철근 연결 장치
US6371419B1 (en) Rod holder
KR100662099B1 (ko) 철근연결구
KR100443594B1 (ko) 철근연결장치
US9423033B2 (en) Dust cover
KR101813377B1 (ko) 철근 커플러
KR102203490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US10988930B2 (en) V-shaped tie reinforcement integrally provided with one-touch fixing device
KR101938269B1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2069667B1 (ko)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CN107407374B (zh) 缆线链条
KR101613429B1 (ko) 철근 이음장치
KR102565226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203495B1 (ko) 요철형 판스프링을 이용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CN211805695U (zh) 夹具及振动测试装置
KR101483071B1 (ko)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KR20190096056A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KR102187018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20140000574U (ko) 탄성 결속재 및 이를 포함하는 등받이 틸팅 가능한 의자
KR102358541B1 (ko) 서랍 칸막이
KR20220104436A (ko) 철근 연결 장치
KR102175946B1 (ko) 철근간격 유지구
CN212509099U (zh) 固定元件
US20160231591A1 (en) Eyewear having compression hinges
KR100372832B1 (ko)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