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269B1 -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269B1
KR101938269B1 KR1020180084634A KR20180084634A KR101938269B1 KR 101938269 B1 KR101938269 B1 KR 101938269B1 KR 1020180084634 A KR1020180084634 A KR 1020180084634A KR 20180084634 A KR20180084634 A KR 20180084634A KR 101938269 B1 KR101938269 B1 KR 101938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uide
reinforcing bar
reinforcing
re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틸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틸네트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틸네트워크
Priority to KR1020180084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을 지지하는 지지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이드구를 구성함에 따른 철근지지면적의 감소를 방지하고, 최대의 철근지지면적을 확보하여, 철근커플러에 의해 결합된 철근 간의 인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웃하는 지지구들이 상호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함으로써, 철근지지면적을 최대로 확보하면서도 지지구가 비정형으로 움직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철근결합시 지지구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건설 분야, 토목 분야, 건축물 시공 분야, 철근 콘크리트 분야, 대형 구조물 분야 및 철근커플러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Rebar coupler of one-touch type}
본 발명은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을 지지하는 지지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이드구를 구성함에 따른 철근지지면적의 감소를 방지하고, 최대의 철근지지면적을 확보하여, 철근커플러에 의해 결합된 철근 간의 인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웃하는 지지구들이 상호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함으로써, 철근지지면적을 최대로 확보하면서도 지지구가 비정형으로 움직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철근결합시 지지구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는 높은 압축강도를 갖는 콘크리트의 단점인 인장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내부에 인장력이 높은 철근을 배치한 것을 말하며, 시공이 쉽고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다양한 건축물이나 토목공사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근래 들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로 인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의 길이도 상대적으로 연장되어야 하는데, 철근의 경우 그 길이가 한정되어 제작되므로, 해당 구조물의 크기에 맞게 다수 개의 철근을 연결하여 연장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두 개의 철근은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겹이음, 가스 압점이음, 기계적이음 등의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겹이음은 내구성면에서, 가스 압점이음은 열변형면에서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적이고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는 기계적이음 방식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기계적이음 방식의 경우에는 해당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기계적이음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1468호 '원터치 방식의 철근 이음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 등이 개발되고 있다.
선행기술과 같은 철근커플러(Rebar coupler)는 한번의 조작(원터치 방식)으로 철근을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방식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 철근을 지지하는 키(Key)가, 키홀더의 지지바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키가 철근을 지지하는 면적이 지지바에 해당하는 면적만큼 줄어들기 때문에,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힘이 감소하게 된다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로 인해, 선행기술과 같은 철근커플러에 의해 연결된 부분의 인장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결국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 저하를 유발시키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1468호 '원터치 방식의 철근 이음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철근을 지지하는 지지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이드구를 구성함에 따른 철근지지면적의 감소를 방지하고, 최대의 철근지지면적을 확보하여, 철근커플러에 의해 결합된 철근 간의 인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웃하는 지지구들이 상호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함으로써, 철근지지면적을 최대로 확보하면서도 지지구가 비정형으로 움직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철근결합시 지지구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구와 탄성구를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탄성구에 의한 탄성력이 다수 개의 지지구에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지지구가 비정형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철근을 균일한 지지력으로 체결할 수 있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는,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의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개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철근삽입홀이 관통형성된 연결커버;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커버에 의해 철근삽입홀 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철근삽입홀 측으로 가압되어 합쳐지면 서로 연결된 내부면이 원형통에 대응하는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 다수 개의 지지구; 상기 지지구를 철근삽입홀 측으로 가압하는 받침구; 및 상기 받침구를 철근삽입홀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커버는, 상기 철근삽입홀의 내부면 외측부에 삽입유도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커버는, 상기 철근삽입홀의 내측부에 상기 지지구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어 상기 지지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경사부와 삽입유도경사부를 연결하는 가이드부가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는, 상기 공간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원통형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베이스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면 외측부에 삽입안내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면 중 적어도 일부에 마찰지지산이 반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면 외측부에 상기 연결커버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경사밀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원주방향으로 가이드바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다른 일측원주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바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면을 따라 호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바의 평면면적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구는, 상기 지지구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구를 철근삽입홀 측으로 가압하는 링플레이트; 상기 링플레이트의 외부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이탈방지벽; 및 상기 링플레이트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편은, 상기 링플레이트의 내부 가장자리에서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경사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편은, 상기 탄성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철근을 지지하는 지지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이드구를 구성함에 따른 철근지지면적의 감소를 방지하여 동일 크기에서 최대의 면적으로 철근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동일크기의 제품에서 최대의 철근지지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철근커플러와 철근 간의 체결력을 대폭 향상시키고, 철근커플러에 의해 결합된 두 철근 간의 인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웃하는 지지구들이 상호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함으로써, 철근지지면적을 최대로 확보하면서도 각각의 지지구가 안정적으로 이동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지구 자체에 가이드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지지구가 비정형으로 움직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철근결합시 지지구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구와 탄성구를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탄성구에 의한 탄성력이 다수 개의 지지구에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지지구가 비정형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철근을 균일한 지지력으로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들을 통해, 본 발명은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이용하는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건설 분야, 토목 분야, 건축물 시공 분야, 철근 콘크리트 분야, 대형 구조물 분야 및 철근커플러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난 연결커버를 설명하는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난 지지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난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난 받침구를 설명하는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사용예들을 설명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에 철근이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A)는 원통형의 몸체(100) 양단에 각각 연결커버(200)가 결합된다.
몸체(10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개방부(101)가 형성되고, 개방부(101)의 내측에는 각 구성들이 수납되는 공간부(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일측(도 2에서 상부)과 다른 일측(도 2에서 하부)는 칸막이(110)에 의해 구획될 수 있으며, 칸막이(110)는 하기에 설명될 탄성구(5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몸체(100)는 칸막이(110)를 구성하지 않고 공간부(102)가 관통되어 연결되도록 한 후, 하나의 탄성구(500)에 의해 양측의 받침구(400)를 지지하는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연결커버(200)는 몸체(100)의 개방부(10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공간부(102)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철근삽입홀(201)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연결커버(200)는 몸체(100)와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A)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구(300), 받침구(400) 및 탄성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구(300)는 연결커버(200)의 철근삽입홀(201)로 삽입된 철근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00)의 공간부(102)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연결커버(200)에 의해 철근삽입홀(201) 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구(300)는 연결커버(200)의 철근삽입홀(201) 측으로 가압되어 합쳐지면 서로 연결된 내부면이 도 6 및 도 8의 상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형통에 대응하는 형상이 되도록 다수 개로 구성된다.
받침구(400)는 탄성구(50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구(300)를 철근삽입홀(201) 측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구(500)는 받침구(400)를 철근삽입홀(201) 측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외부와 내부로 구분하고, 연결커버(200)의 종단부를 기준으로 외측과 내측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각 구성별로 설명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난 연결커버를 설명하는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커버(200)는 철근삽입홀(201)의 내부면 외측부에 삽입유도경사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유도경사부(210)는 대상 철근이 철근삽입홀(201)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정확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유도(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커버(200)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탈방지경사부(220) 및 가이드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경사부(220)는 지지구(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철근삽입홀(201)의 내측부에서 지지구(300)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경사부(220)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삽입유도경사부(210)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30)는 이탈방지경사부(220)와 삽입유도경사부(210)를 연결하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삽입될 대상 철근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방향(도 4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부(230)는 대상 철근이 일정한 방향(도 4에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대상 철근이 완전히 삽입되면 대상 철근이 전후좌우로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난 지지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지지구(3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전체를 4등분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구(300)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원통형 형상의 2등분, 3등분 등과 같이 다양한 개수로 분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선행기술에서는, 지지구(30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키가 키홀더의 지지바에 의해 가이드 되므로, 원통형 형상에서 지지바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분할하여 키를 형성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선행기술은 지지바에 해당하는 면적은 대상 철근을 지지할 수 없는 영역(면적)이 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면적까지도 활용하여 대상 철근을 지지하게 되므로, 선행기술에 비하여 보다 향상된 지지력 및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구(300)는 베이스부(310), 삽입안내경사부(320), 마찰지지산(330) 및 밀착경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0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원통형관의 적어도 일부(도 5에서는 1/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삽입안내경사부(320)는 베이스부(310)의 내부면 외측부에 형성되어 대상 철근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연결커버(200)의 삽입유도경사부(210)와 동일 내지 유사한 경사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지지산(330)은 베이스부(310)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삽입안내경사부(320)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반복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지지산(330)은 대상 철근의 외부면을 가압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크기 및 패턴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밀착경사부(340)는 베이스부(310)의 외부면 외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연결커버(200)의 내부면인 이탈방지경사부(220)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구(300)는, 탄성구(500)에 의해 철근삽입홀(201) 측으로 가압되면 도 6의 상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4개의 지지구(300)가 모이면서 철근삽입홀(201)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대상 철근이 삽입되면 도 6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4개의 지지구(300)가 벌어지면서 몸체(100)의 공간부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지구(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상 철근의 지지면적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하여, 선행기술의 키홀더와 같은 구조를 제외하였으므로, 대상철근이 삽입될 경우 지지구(300)가 도 6과 같이 이동하면서 벌어지는 과정에서, 일부의 지지구(300)가 기울어지거나 비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상철근을 지지하는 힘이 약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선행기술의 키홀더와 같은 구조를 적용하지 않으면서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난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구(300)는 베이스부(310)의 일측원주방향(외부의 곡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바(311)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부(310)의 다른 일측원주방향으로 가이드바(311)에 대응하는 가이드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바(311)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부(310)의 외부면을 따라 호형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홈(312)은 호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바(311)가 수평면상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바(311)의 평면면적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가이드홈(312)은 베이스부(310)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러한 경우 가이드홈(312)에 해당하는 부분만큼 대상 철근에 대한 지지력이 저하되므로, 가이드바(311) 및 가이드홈(312)의 폭이 도 8보다 작아지도록 조절하여, 가이드홈(312)이 베이스부(310)의 내부로는 관통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난 받침구를 설명하는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사용예들을 설명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받침구(400)는 링플레이트(410), 이탈방지벽(420) 및 이탈방지편(430)을 포함할 수 있다.
링플레이트(410)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구(300)의 하부, 다시 말해 베이스부(310)의 하부에 밀착되어, 지지구(300)를 상부측인 철근삽입홀(201)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이탈방지벽(420) 및 이탈방지편(430)은 각각 링플레이트(410)의 외부 가장자리 및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도 10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성구(500)가 측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탈방지편(430)은 내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탄성구(500)의 일측으로 받침구(4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이탈방지편(430)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링플레이트(410)의 내부 가장자리에서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경사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편(430)은 도 10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성구(5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탄성구(500)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에 철근이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A)의 일측으로 대상 철근(R)을 삽입하게 되면, 대상 철근(R)의 종단부가 연결커버(200)의 삽입유도경사부(210)에 의해 중심축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유도되면서, 도 12와 같이 끼워질 수 있다.
이때, 대상 철근(R)의 종단부가 지지구(300)의 삽입안내경사부(320)에 밀착되면서 지지구(300)를 밀어내게 되면, 지지구(300)가 몸체(100)의 공간부(102)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6의 하부와 같이 측면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후, 대상 철근(R)이 충분히 삽입되면, 대상 철근(R)을 삽입하려는 힘이 제거되면서 탄성구(500)의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지지구(300)가 외측방향으로 가압되며, 동시에 지지구(300)의 밀착경사부(340)에서 연결커버(200)의 이탈방지경사부(220)로 가해지는 힘(도 13에서 박스형 화살표)의 반작용에 의해 지지구(300)의 마찰지지산(330)이 대상 철근(R)의 외부면을 가압지지할 수 있다.
특히, 이때의 지지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행기술이 적용된 동일크기의 제품에 비하여 향상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선행기술에 비하여 보다 견고한 체결력 및 지지력, 그리고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100 : 몸체
200 : 연결커버 201 : 철근삽입홀
210 : 삽입유도경사부 220 : 이탈방지경사부
230 : 가이드부
300 : 지지구 310 : 베이스부
311 : 가이드바 312 : 가이드홈
320 : 삽입안내경사부 330 : 마찰지지산
340 : 밀착경사부
400 : 받침구 410 : 링플레이트
420 : 이탈방지벽 430 : 이탈방지편
500 : 탄성구

Claims (10)

  1.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의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개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철근삽입홀이 관통형성된 연결커버;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커버에 의해 철근삽입홀 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철근삽입홀 측으로 가압되어 합쳐지면 서로 연결된 내부면이 원형통에 대응하는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 다수 개의 지지구;
    상기 지지구를 철근삽입홀 측으로 가압하는 받침구; 및
    상기 받침구를 철근삽입홀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는,
    상기 공간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원통형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베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면 외측부에 삽입안내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원주방향으로 가이드바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다른 일측원주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바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바는,
    단면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면을 따라 호형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받침구는,
    상기 지지구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구를 철근삽입홀 측으로 가압하는 링플레이트;
    상기 링플레이트의 외부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이탈방지벽; 및
    상기 링플레이트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편은,
    상기 링플레이트의 내부 가장자리에서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가상의 원뿔대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버는,
    상기 철근삽입홀의 내부면 외측부에 삽입유도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버는,
    상기 철근삽입홀의 내측부에 상기 지지구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어 상기 지지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경사부와 삽입유도경사부를 연결하는 가이드부가 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면 중 적어도 일부에 마찰지지산이 반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면 외측부에 상기 연결커버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경사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바의 평면면적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편은,
    상기 탄성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84634A 2018-07-20 2018-07-20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1938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634A KR101938269B1 (ko) 2018-07-20 2018-07-20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634A KR101938269B1 (ko) 2018-07-20 2018-07-20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269B1 true KR101938269B1 (ko) 2019-01-14

Family

ID=6502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634A KR101938269B1 (ko) 2018-07-20 2018-07-20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2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490B1 (ko) * 2019-04-25 2019-11-21 (주)대정금속 슬립방지 원터치 철근커플러
KR102157574B1 (ko) 2019-12-24 2020-09-21 주식회사 스틸네트워크 하이브리드 철근 커플러
KR20200125848A (ko) * 2019-04-26 2020-11-05 최진열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518359B1 (ko) * 2022-08-12 2023-04-06 (주)시그날테크놀로지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KR102573472B1 (ko) * 2022-03-10 2023-09-06 전병수 철근 커플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594B1 (ko) * 2003-04-18 2004-08-09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철근연결장치
KR101851104B1 (ko) * 2017-07-18 2018-04-20 (주) 유니플로 내구성이 구비된 원터치식 커플러
KR101860698B1 (ko) * 2018-01-09 2018-05-23 조석현 철근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594B1 (ko) * 2003-04-18 2004-08-09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철근연결장치
KR101851104B1 (ko) * 2017-07-18 2018-04-20 (주) 유니플로 내구성이 구비된 원터치식 커플러
KR101860698B1 (ko) * 2018-01-09 2018-05-23 조석현 철근 커플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490B1 (ko) * 2019-04-25 2019-11-21 (주)대정금속 슬립방지 원터치 철근커플러
KR20200125848A (ko) * 2019-04-26 2020-11-05 최진열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212168B1 (ko) * 2019-04-26 2021-02-04 최진열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157574B1 (ko) 2019-12-24 2020-09-21 주식회사 스틸네트워크 하이브리드 철근 커플러
KR102573472B1 (ko) * 2022-03-10 2023-09-06 전병수 철근 커플러
KR102518359B1 (ko) * 2022-08-12 2023-04-06 (주)시그날테크놀로지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269B1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US11028588B2 (en) Rebar coupler
US10718123B2 (en) Device for dismountably connecting two intersecting formwork beams
KR101856706B1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1643846B1 (ko) 원터치식 자동 철근커플러
US20190345717A1 (en) One-touch type coupler
KR20170130744A (ko) 철근 커플러
US10988930B2 (en) V-shaped tie reinforcement integrally provided with one-touch fixing device
KR102069667B1 (ko)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JP4173526B1 (ja) 接続具
KR102010810B1 (ko) 철근이음용 가압식 커플러
KR102101699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AU652806B2 (en) Lining board with marginal flat strips at its edges
KR102187018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2565226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157574B1 (ko) 하이브리드 철근 커플러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JP6050621B2 (ja) 締結具
KR102209223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20190139749A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1890678B1 (ko) 철근이음장치
KR101983346B1 (ko) 철근 단부 파지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장치
KR102573985B1 (ko) 철근커플러
KR102058317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1778792B1 (ko) 결합위치 가변 와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