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594B1 - 철근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철근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594B1
KR100443594B1 KR1020040007779A KR20040007779A KR100443594B1 KR 100443594 B1 KR100443594 B1 KR 100443594B1 KR 1020040007779 A KR1020040007779 A KR 1020040007779A KR 20040007779 A KR20040007779 A KR 20040007779A KR 100443594 B1 KR100443594 B1 KR 100443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einforcing bar
piece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PCT/KR2004/00087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409250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면에 볼록한 형상의 이탈방지돌기가 다수 형성되며 철근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는 둘 이상의 조각편과 조각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결합부와, 지지체를 안착시키는 지지체 안착홈을 구비하는 고정부와, 조각편을 내부에 인입시킨 후 고정부와 나사결합구조로 결합됨으로써 조각편을 철근에 밀착시키는 조임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연결장치에 있어서; 조각편은 지지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삽입단과, 지지체와의 결합 시 지지체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며 삽입단과 동일한 너비로 형성되는 돌출단으로 구성되고; 지지체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며, 조각편의 삽입단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한 크기로 철근의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구를 구비하는 철근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근연결장치 { Coupling device for iron rod }
본 발명은 철근을 연결하는 철근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이종 철근간의 연결이 가능하고, 연결되는 철근의 교체가용이하며, 셋 이상의 철근을 하나로 연결시킬 수 있는 철근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철근연결장치는 실용신안등록 제286101∼2에 각각 소개되어 있는바와 같이 단순히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철근연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철근연결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철근연결장치는, 외경에 수나사산을 갖는 원통형 몸통체(1)와, 양측에 대향되면서 연결편(5)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내측면에이탈방지턱들을 갖는 세 개의 조각편(4a,4b,4c,4d) 및 연결편(5)의 중앙 내부에 연결편(5)을 지지하는 지지체(6)로 구성되어 몸통체(1)의 내부에 내설되는 압지구(3)와, 몸통체(1)의 양측 외경에 나사결합되면서 내경에 조각편(4a,4b,4c,4d)에 압력을 가하는 조임너트(2A,2B)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철근연결장치의 작동은 몸통체(1)의 양측에 결합된 조임너트(2A,2B)를 적당히 풀고 내부로 연결될 철근(S)을 삽입시키면 그 단부가 압지구(3)의 양측 조각편(4a,4b,4c,4d) 사이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양측의 조임너트(2A,2B)를 조이게 되면 내주면이 압지구(3) 각각의 조각편(4a,4b,4c,4d) 외측면
을 서서히 가압하게 되어 조각편(4a,4b,4c,4d)은 삽입된 철근(S)을 압박하여 물게되므로 결국 철근(S)은 견고히 고정된다. 특히 조각편(4a,4b,4c,4d)의 내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턱이 철근(S) 외주면에 다수개 형성된 돌기와 대응되므로 일단 연결된 철근(S)은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철근연결장치내에 조립되는 압지구(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쪽에 각각 3개의 조각편(4a,4b,4c,4d)들이 연결편(5)에 의해 양측이 연결되고, 연결편(5)의 중앙 내부에 원형의 지지체(6)가 구비된 구조이므로, 조립시 세 개의 조각편(4a,4b,4c,4d)과 연결편(5)을 지지체(6)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원통체(1)의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조각편(4a,4b,4c,4d)들이 지지체(6)의 외부에서 자유롭게 유동되어 매우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이는 결국 조립시 조작 미숙에 의해 조각편이 지지체로부터 분리되는 등 조립이 용이치 않은 단점이 있었다.
도 1b 내지 도 1d는 또 다른 형상을 갖는 조각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다.
도 1b는 양측이 분리된 조각편의 조립구조를 도시하고,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지지체의 횡단면도이며, 도 1d는 도 1b에 도시된 지지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1b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말아붙여 지지체(15)를 이루게 하되, 이 지지체(15)의 양측 외주면을 일정한 간격으로 복열로 절개시킨 후 그 절개면을 내부로 밀어넣어 지지체 중심 축방향의 조립홈(17)을 형성하고, 양측 한 쌍의 조각편(11)을 연결하는 연결편(12)을 분리하여 분리된 각 연결편(12) 단부를 각각의 조립홈(17)에 조립하며, 각 연결편(12)의 단부에는 조립홈(17)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편(12)은 봉형상의 결합핀으로 구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조립홈(17)은 적정두께를 갖는 링형상의 지지체 측면에 핀구멍을 가공하여 이에 결합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판재로 이루어진 지지체(15) 중앙부 둘레에 일정간격을 띄어 복열로 절개하고 그 절개면의 중앙부를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절개면 양단을 내부로 절곡시켜 삽입되는 철근의 삽입깊이를 한정하는 스토퍼편(18)이 다수개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철근연결장치를 사용하면, 두 개의 철근이 양쪽으로 결합되어있는 상태에서 한 쪽의 철근을 분리시킨 후 제 3의 철근을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철근연결장치 전체를 해체시키고 철근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을 반복해야하므로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조립홈(17)에 연결핀(12)을 삽입시켜 조각편(11)을 지지체(15)에 결합시켰을 때, 조각편(11)이 일정위치에 고정되지 아니하고 지지체(15)의 중심선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되므로, 철근 삽입 시 철근의 끝단이 조각편에 간섭되어 지지체(15) 내부로의 삽입동작이 불량해 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철근의 최대 삽입깊이를 한정하는 스토퍼(18)의 재질 및 구조가 견고하지 아니함으로 인하여 삽입되는 철근에 의해 스토퍼(18)가 파손되는 경우, 철근의 삽입깊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조각편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철근의 진입불량을 방지하고, 스토퍼의 구조를 견고히 하여철근의 삽입깊이를 정확하게 한정할 수 있으며, 결합되는 철근의 개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증감시킬 수 있는 철근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철근연결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b는 양측이 분리된 종래의 조각편 조립구조를 도시한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지지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1d는 도 1b에 도시된 지지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2a는 두 개의 철근 연결이 가능한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b 및 도 2c는 지지체 안착판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지체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발명에 적용되는 지지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지체의 정면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지체의 측면도이다.
도 3e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지체의 배면도이다.
도 3f는 도 3a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각편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각편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조각편이 결합된 지지체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두 개의 철근을 삽입시킨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3a의 상태에서 철근의 중심축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b의 상태에서 조임너트를 조여 철근을 고정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6d는 도 6b의 상태에서 일측의 조임너트 및 결합부를 교체한 형상을 도시한다.
도 7은 세 개의 철근 연결이 가능한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8은 하나의 철근을 벽면에 결합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9a는 결합핀을 사용하여 고정부에 결합부를 고정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철근연결장치에 철근이 삽입되었을 때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는 결합부에 코일형 스프링이 추가된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0b와 도 10c는 도 10a에 도시된 철근연결장치에 철근이 삽입되어 가체결되는 형상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10d는 도 10c에 도시된 상태에서 조임너트를 완전히 조여 철근을 고정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11a는 이탈방지돌기의 일부가 단면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조각편을 도시한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조각편이 적용되는 철근연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철근 12 : 철근돌기
100 : 결합부 110 : 조각편
111 : 돌출단 112 : 이탈방지돌기
115 : 삽입단 120 : 지지체
122 : 조각편 결합구 124 : 결합구 이격홈
126 : 결합턱 128 : 결합핀 관통홀
130 : 결합핀 140 : 코일형 스프링
200 : 고정부 210 : 결합 암나사
220 : 지지체 안착판 230 : 결합핀 삽입구
300 : 조임너트 310 : 철근 삽입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는, 내측면에 볼록한 형상의 이탈방지돌기가 다수 형성되며 철근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는 둘 이상의 조각편과 조각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결합부와, 지지체를 안착시키는 지지체 안착홈을 구비하는 고정부와, 조각편을 내부에 인입시킨 후 고정부와 나사결합구조로 결합됨으로써 조각편을 철근에 밀착시키는 조임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연결장치에 있어서; 조각편은 지지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삽입단과, 지지체와의 결합 시 지지체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며 삽입단과 동일한 너비로 형성되는 돌출단으로 구성되고; 지지체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며, 조각편의 삽입단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한 크기로 철근의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구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는, 지지체가 상기 지지체 안착홈 외부로 인출되도록 결합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를 구비한다.
고정부는, 철근 삽입에 따라 결합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철근의 삽입깊이를 한정하기 위하여, 결합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철근의 삽입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와 같은 스토퍼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고정부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체의 끝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지지체 안착판을 지지체 안착홈의 내측 벽면에 구비하거나, 고정부와 지지체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지지체를 고정부에 고정시키는 지지체 고정핀을 추가로 구비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지지체를 관통하며 삽입되는 철근은 상기와 같은 구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체 안착판 또는 지지체 고정핀에 간섭되어 과도한 삽입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체 안착판 및 지지체 고정핀은 삽입되는 철근과의 충돌로 인하여 변형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질 및 구조로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스토퍼 파손의 우려 없이 용이하게 철근을 삽입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삽입단은 조각편 결합구로의 삽입이 시작되는 끝단의 외측면에 볼록하게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조각편 결합구는 삽입단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돌기와 결합 가능한 볼록한 형상의 결합턱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각편 결합구에 삽입이 완료된 삽입단은 결합돌기가 결합턱에 걸려짐으로 인하여 조각편 결합구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결합구 사이의 지지체 측면에는 철근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구 이격홈이 구비된다. 따라서, 각 결합구는 결합구 이격홈에 의하여 각각 나뉘어지므로 각 결합구의 개별적 각도 변환이 자유로워지고, 결합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조각편은 보다 용이하게 철근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는 둘 이상의 결합부 및 조임너트를 구비하고, 고정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지체가 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둘 이상의지지체 안착홈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두 개의 철근 연결이 가능한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는, 철근의 외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세 개의 조각편(110)과 각 조각편(1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체(120)를 구비하는 결합부(100)와, 결합부(100)의 인입이 가능한 크기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부(10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200)와, 조각편(110)을 내부에 인입시킨 후 고정부(200)와 결합되어 조각편(110)을 철근에 밀착시키는 조임너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에 결합되는 철근은, 조임너트(300)에 삽입되어 결합부(100)를 관통한 후 고정부(200)의 내측에 형성되어있는 지지체 안착판(220)에 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는 철근연결장치는, 고정부(200)의 양측으로 결합부(100) 및 조임너트(300)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두 개의 철근을 동일선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있다.
조각편(110)은 지지체(120)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삽입단(115)과, 지지체(120)와의 결합 시 지지체(12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며 삽입단(115)과 동일한 너비로 형성되는 돌출단(111)으로 구성된다.
조각편(110)은 철근의 외경을 감쌀 수 있도록 곡률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출단(111)의 내측면에는 철근의 표면에 형성되어있는 철근돌기에 걸림으로써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112)가 형성된다.
또한, 지지체(120)는 탄성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중심부가 비어있는 원형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단(115)이 철근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조각편 결합구(12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고 있는 지지체(120)는 일정 범위 내에서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되는 플라스틱 물질로 제작된다. 그러나, 지지체(120)를 제작하는 재료에 있어서는 플라스틱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자체적으로 탄성이 있어 일정 범위 내에서 형상 변형이 가능한 물질이라면 각종 합성수지를 포함한 여러 가지 재료로 적용이 가능하다.
고정부(200)는 결합부(100)가 삽입 가능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있으며, 내측면 양 끝단부에는 조임너트(3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암나사(210)가 형성되고, 내측면 일부에는 결합부(100) 삽입 시 지지체(120)의 끝단과 접촉되어 결합부(100)의 삽입거리를 제한하도록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는 지지체 안착판(220)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체 안착판(220)은 철근의 삽입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지지체(120)를 관통하며 삽입되는 철근의 끝단은 상기와 같은 구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체 안착판(220)에 간섭되어 과도한 삽입이 방지된다. 지지체 안착판(220)은 삽입되는 철근과의 충돌로 인하여 변형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질 및 구조로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스토퍼 파손의 우려 없이 용이하게 철근을 삽입시킬 수 있게된다.
조임너트(300)의 내부에는 철근이 관통될 수 있도록 구멍 형상의 철근 삽입구(310)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고, 고정부(200)와 결합되는 끝단의 외측면에는 결합 암나사(210)와 결합 가능한 숫나사 형상의 결합 숫나사(320)가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200)의 반대편 방향으로도 또 다른 결합부(100) 및 고정부(300)가 결합되는데, 결합구조 및 각 부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b 및 도 2c는 지지체 안착판의 형상을 도시한다.
지지체 안착판(220)은 고정부(200)의 제작 방법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완전히 막혀진 격판(隔板)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완전히 막히지 아니하도록 안착판홀(222)이 형성되는 돌기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안착판홀(222)은 고정부(200)의 내부로 인입되는 철근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철근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지지체 안착판(220)은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지지체(120)의 결합위치를 지지하며 철근의 삽입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도 3a 내지 도 3e는 각각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지체의 전면 사시도, 후면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배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지체(120)는, 중심부가 비어있는 원형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있으며, 지지체의 삽입단이 철근의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조각편 결합구(122)가 형성된다.
조각편 결합구(122)는 지지체(120)에 결합되는 조각편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조각편의 삽입단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너비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조각편 결합구(122)는, 삽입단이 삽입된 이후에 지지체(120)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삽입단의 일부와 결합 가능한 볼록한 형상의 결합턱(126)이 형성된다. 결합턱(126)의 크기 및 형상은 삽입단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각 조각편 결합구(122) 간에는 철근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형상의 결합구 이격홈(124)이 형성되어, 지지체(120)는 각 조각편 결합구(122)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형상변형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각 조각편 결합구(122)에 결합된 조각편(110)은 결합부(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철근의 외면에 보다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도 3f는 도 3a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각편 결합구(122)는 철근의 삽입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되어있으므로, 철근이 지지체(12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더라도 지지체(120)에 결합되어있는 조각편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아니하게된다.
또한, 삽입이 완료된 조각편은 삽입단의 일부가 결합턱(126)에 걸리게되어, 조각편에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한 조각편은 지지체(120)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게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각편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각편(110)은, 지지체에 결합되었을 때 지지체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돌출단(111)과 지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단(115)으로 구성된다.
삽입단(115)은 조각편 삽입구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이 가능한 두께로 형성되며, 조각편 결합구로의 삽입이 시작되는 끝단의 외측면에는 조각편 삽입구에 삽입되었을 때 걸림턱과 결합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결합돌기(116)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돌출단(111)은 조각편 삽입구에 삽입되지 아니하도록 삽입단(115)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며, 철근의 외면과 접하게되는 내측면에는 철근돌기와의 결합을 통하여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이탈방지돌기(112)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각편(110)은, 지지체에 결합되는 삽입단(115)의 폭이 돌출단(111)의 폭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지지체와의 접촉면적이 최대한으로 증가되도록 구성되어있다. 이에 따라, 지지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조각편의 면적이 대폭 증가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각편(110)의 고정효과는 종래의 철근이음장치의 조각편 고정효과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된다.
도 5는 조각편이 결합된 지지체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단(115)이 조각편 결합구(12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되면, 결합돌기(116)는 조각편 결합구(122)를 관통하여 결합턱(126)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체(120)에 결합된 조각편(110)은, 걸림턱(126)으로부터 결합돌기(116)를 이탈시키는 외력이 가해지지 아니하는 한 지지체(120)와의결합을 유지하게된다.
또한, 조각편 결합구(122)는 삽입단(115)의 내·외측 면 전체에 밀착됨으로써, 조각편(110)의 방향이 변경되지 아니하도록 삽입단(115)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이음장치를 사용하면, 철근 삽입시 철근의 끝단이 조각편(110)에 간섭될 우려가 없어지므로 작업효과 및 능률이 개선된다.
도 6a는 두 개의 철근을 삽입시킨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양 끝단에 서로 다른 두 개의 철근(10, 10a)을 삽입시킨 후, 각 조임너트(300)를 고정부(200)에 결합시키면, 서로 다른 두 개의 철근(10, 10a)은 철근연결장치에 의하여 하나로 결합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철근보다 긴 철근이 요구되는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하여 철근의 길이를 증가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철근의 중심축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에 철근(10, 10a)을 삽입시키면, 삽입되는 철근(10, 10a)은 철근 삽입구(310)와 지지체(120)를 관통하여 끝단이 지지체 안착판(220)에 닿을 때까지 삽입된다. 지지체 안착판(220)은 철근(10, 10a)과의 충돌로 인하여 파손 및 변형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큰 강성을 갖는 재질 및 구조로 구성되며, 제작상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도 6b에 도시된 상태는 고정부(200)의 결합 암나사(210)와 조임너트(300)의 결합 수나사(320)가 가체결된 상태이다. 도 6b와 같은 상태에서는, 지지체(120)에 결합된 3개의 조각편(110) 사이에 철근(10, 10a)이 관통 가능한 크기의 공간이 확보되므로, 조각편(110)과 철근(10, 10a)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아니하게된다.
도 6c는 도 6b의 상태에서 조임너트를 조여 철근을 고정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6b의 상태에서 고정부(200)와 나사결합구조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조임너트(300)를 회전시키면 조임너트(300)는 지지체 안착판(220)을 향하여 직선운동을 하게되므로, 지지체 안착판(220)에 지지체(120)의 끝단이 지지되어있는 결합부(100)는 상대적으로 철근 삽입구(310)의 입구 쪽으로 진입된다.
이때, 철근 삽입구(310)는 입구 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점 작아지도록 경사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철근 삽입구(31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조각편(110)은 철근(10, 10a)의 외면에 밀착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돌기(112)가 철근돌기(12)에 완전히 밀착되어 걸려진 상태가 되면, 철근(10)은 철근연결장치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한다. 또한, 철근(10, 10a)을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탈방지돌기(112)는 둘 이상의 철근돌기(12)에 걸려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철근연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결합된 두 개의 철근 중 한쪽의 철근만을 교체하여 결합시키고자 할 때에, 철근연결장치 전체를 분해한 후 철근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처음부터 재 반복 해야하므로 철근의 교체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는 결합되는 각 철근이 독립적으로 고정부에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있어, 교체하고자 하는 쪽의 철근만을 분리시킨 후 새로운 철근으로 교체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철근의 교체 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종래의 철근연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름의 차이가 큰 두 개의 철근을 결합시킬 수 없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를 사용하면 지름의 차이가 큰 이종 철근의 결합이 가능해진다.
도 6d는 도 6b의 상태에서 일측의 조임너트 및 결합부를 교체한 형상을 도시한다.
도 6b의 상태에서 좌측의 철근(10)과 결합되어있는 결합부(100) 및 조임너트(300)를 분리시킨 후 양측 결합 암나사(210, 210')의 지름이 상이한 이종(異種) 고정부(200')에 결합시키고, 좌측 결합 암나사(210)보다 지름이 작은 우측 결합 암나사(210')에 좌측의 철근(10)보다 지름이 현격히 작은 세형(細形) 철근(20)과 결합 가능한 세형 결합부(100') 및 세형 조임너트(300')를 결합시킨 후 세형 철근(20)을 삽입시키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름의 차이가 큰 두 개의 철근이 하나로 연결된다.
세형 결합부(100') 및 세형 조임너트(300')는 좌측의 결합부(100) 및 조임너트(300)와 비교하였을 때, 전체적인 크기가 작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결합 구조 및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부(200)는 서로 다른 크기의 철근 삽입구가 형성되는 여러 종류의 조임너트와 결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를 사용하면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여러 종류의 철근을 공용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활용도가 매우 높아진다.
도 7은 세 개의 철근 연결이 가능한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형상은 결합부(100) 및 조임너트(300)가 결합되는 지지체 안착홈이 세 군데 형성되어있는 3구 고정부(200a)의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철근연결장치를 사용하면 세 개의 철근을 'T'자 형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된다.
결합부(100) 및 조임너트(300)가 3구 고정부(200a)에 결합되는 구조는, 상기 도 2a에서 설명한 결합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부는 각 철근과 독립적인 결합을 이루므로, 결합되는 철근의 개수를 다양하게 증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의 결합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는, 결합되는 철근의 개수 및 결합 형상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고 있는 'T'자형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자 형이나 3차원 구조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경이 가능하다.
도 8은 하나의 철근을 벽면에 결합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철근을 벽면에 수직으로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철근의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용접작업을 하기가 매우 곤란하고, 벽면에 결합되는 철근의 종류가 수시로 변경되는 경우 결합되는 철근의 교체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도 8에 도시된 형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또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부(100) 및 조임너트(300)가 결합되는 지지체 안착홈이 한 군데 형성되어있는 1구 고정부(200b)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벽면(30)에 1구 고정부(200b)를 용접시킨 후, 결합부(100) 및 조임너트(300)를 이용하여 1구 고정부(200b)에 철근(10)을 결합시키면, 철근(10)은 벽면(30)과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1구 고정부(200b)를 벽면에 용접시키는 경우에는 철근(10)을 수직으로 용접시킬 때 보다 용접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용접작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용접효과 또한 한층 향상된다.
도 9a는 결합핀을 사용하여 고정부에 결합부를 고정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된 지지체 안착판(220)의 형성이 난해한 경우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20)의 중앙부에 중심축을 관통하는 결합핀 관통홀(128)을 형성하고, 결합핀 관통홀(128)과 대응되는 부위의 고정부(200)에 결합핀 삽입구(230)를 형성하며, 결합핀 관통홀(128) 및 결합핀 삽입구(230)에 삽입되어 지지체(120)와 고정부(200)를 결합시키는 결합핀(130)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고정부(200)에 결합부(10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결합핀(130)을 이용하여 결합부(100)를 고정부(200)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고정부(200)의 내면에 지지체 안착판이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체(120) 양 끝단에 서로 다른 결합방향을 갖도록 조각편(1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홀(128)은, 지지체(120)의 중심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축 방향의 내측 벽면이 관통홀(128)에 삽입된 결합핀(130)의 외주면과 밀착되지 아니하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따라서, 조임너트(300)의 회전에 의해 지지체(120)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더라도 관통홀(128)의 장축 방향 벽면과 결합핀(130)이 압착되기까지는 상호 이격된 거리만큼의 여유가 있으므로, 결합핀(130)은 지지체(120)의 회전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감소하게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결합핀(130)은 그 형상 및 재질에 한정을 두지는 아니하며, 결합핀 관통홀(128) 및 결합핀 삽입구(230)로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결합핀 관통홀(128) 및 결합핀 삽입구(230)의 내부 벽면에 밀착되어 결합성이 강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심축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스프링핀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철근연결장치는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고 하나의 지지체를 이용하여 두 개의 철근을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구조가 간단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철근연결장치에 철근이 삽입되었을 때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결합핀(130)을 이용하여 지지체(120)와 고정부(200)를 결합시키는 철근연결장치에 철근(10, 10a)을 삽입시키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20) 및 조임너트(30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철근(10, 10a)은 고정부(200)를 관통하는 결합핀(130)에 의하여 삽입깊이가 제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결합핀(130)은 철근(10, 10a)과의 충돌에 의하여 파손 및 변형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일정 크기 이상의 강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된다.
도 10a는 결합부에 코일형 스프링이 추가된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철근(10)이 철근연결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임너트(300)를 고정부(200)에 완전히 체결시켜 철근(10)을 고정시켜야 한다.
그러나,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20)가 고정부(200)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결합부(10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코일형 스프링(14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 조임너트(300)를 고정부(200)에 가체결시키더라도 철근(10)은 철근연결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코일형 스프링(140)은 코일 형상으로 감겨진 스프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지지체(120)가 고정부(200)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결합부(100)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이나 다양한 재질의 탄성체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코일형 스프링(140)의 일측은 지지체(120)의 내측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고, 반대편 일측은 지지체 안착판(220)에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코일형 스프링(140)에 의한 조각편(110)의 위치 변동 및 조임너트(300)의 가체결 방법은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b와 도 10c는 도 10a에 도시된 철근연결장치에 철근이 삽입되어 가체결되는 형상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10b는 조임너트(300)의 끝단 일부가 고정부(200)에 결합된 철근연결장치의 일측에만 철근(10)이 삽입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철근이 삽입되지 아니한 편의 지지체(120)는 코일형 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하여 조임너트(300)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도 10b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철근(10)을 삽입시키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각편(110)의 이탈방지돌기(112)가 삽입되는 철근(10)의 철근돌기(12)에 간섭됨으로써 결합부(100)는 결합부(200) 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며, 이에 따라 조각편(110)은 조임너트(300)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코일형 스프링(140)은 압축된다.
철근(10)에 인가되는 삽입력이 해제되면, 조각편(110)은 코일형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철근 삽입구(310)의 입구측으로 밀착된다. 이때, 조임너트(300)의 내부에 형성된 철근 삽입구(310)는 입구측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철근 삽입구(310)의 입구측으로 이동되는 조각편(110)은 도 10a에 도시된 경우보다 더 큰 힘으로 철근(10)에 밀착되어 가체결 상태가 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각편(110)과 철근(10)이 가체결된 상태가 되면 조각편(110)의 일정 크기의 외력이 작용하지 아니하는 한 철근(10)은 철근연결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조각편(1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돌기(112)는 철근(1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는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철근돌기(12)와 이탈방지돌기(112)간의 체결력은 철근(10)이 삽입되는 방향보다 철근(10)이 인출되는 방향이 더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철근(10)은 가체결 상태가 되도록 결합된 철근연결장치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되고, 한번 삽입된 철근(10)은 조임너트(300)를 풀기 전에는 철근연결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철근(10)에 철근연결장치를 가체결시킨 후 철근연결장치가 가체결된 철근(10)을 철근연결 작업장으로 가져가서 철근 연결 작업을 할 수 있게되므로, 철근(10)과 철근연결장치를 따로 구분하여 보관 및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 이때, 조각편(110)과 철근(10)간의 가체결력은 사용자가 조임너트(300)를 얼마나 조이느냐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작업하기에 용이한 크기의 가체결력으로 조각편(110)과 철근(10)을 결합시켜 사용하게된다.
도 10d는 도 10c에 도시된 상태에서 조임너트를 완전히 조여 철근을 고정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10c에 도시된 상태에서 지지체(120)가 지지체 안착판(220)에 밀착되고 조각편(110)이 철근(10)에 밀착되도록 조임너트(300)가 완전히 조여지면, 도 10d에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10)은 철근연결장치에 고정결합된다.
또한, 지지체(120)의 내경은 도 10a에 도시된 상태보다 좁아지게되고, 코일형 스프링(140)의 지름 역시 작아지게된다. 이때, 지름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코일형 스프링(140)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코일형 스프링(140)은 자체 탄성에 의하여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상 변형이 가능하므로 파손되지 아니한다.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10)이 철근연결장치에 완전히 고정 결합되었을 때의 효과는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a는 이탈방지돌기의 일부가 단면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조각편을 도시하고,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조각편이 적용되는 철근연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탈방지돌기(112) 전체가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되면 조각편(110)이 철근(10)에 물리는 과정에서 이탈방지돌기(112)의 날카로운 끝단에 의하여 철근(10) 외측면에 크랙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크랙이 형성된 철근(10)에 인장력이 인가되는 경우 크랙이 시발점이 되어 철근(10)이 절단될 우려가 있다. 이때, 철근(10)의 절단지점은 인장력이 발생하는 방향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이탈방지돌기(112) 즉, 철근 삽입구(310)에 가장 가까운 이탈방지돌기(112)가 물리는 지점이 된다.
상기와 같은 철근(10)의 절단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 삽입구(310)측과 가장 가까운 지점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112)는, 철근(10)과 접촉되는 면이 둥글게 형성되는 둥근 이탈방지돌기(112')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면이 둥글게 형성되는 둥근 이탈방지돌기(112')는 철근(10)에 압착되더라도 철근(10)의 외측면에 크랙을 형성시키지 아니하므로, 인장에 의한 철근(10)의 절단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탈방지돌기(112) 전체가 둥근 이탈방지돌기(112')로 변경되면 철근(10)을 고정시키는 체결력이 감소되어 철근연결장치로부터 철근(10)이 쉽게 빠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탈방지돌기(112)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 삽입구(310)측 소수만이 둥근 이탈방지돌기(112')로 변경되고 나머지는 끝단이 날카로운 나사산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철근(10)의 절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근 삽입구(310)측과 가장 가까운 지점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112)를 철근(10)과 접촉되는 면이 둥글게 되도록 형성하고 있지만, 이탈방지돌기(112)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철근(10)에 크랙을 형성시키지 아니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각형이나 평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를 사용하면, 조각편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철근의 진입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철근 진입의 스토퍼 역할을 하는 지지체 안착판을 견고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철근의 삽입깊이를 정확하게 한정할 수 있으며, 결합되는 철근의 개수 및 결합 형상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결합핀을 이용하여 지지체와 고정부를 결합시키는 구조를 사용하게되면, 결합핀이 지지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역할과 철근 진입의 스토퍼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되므로 지지체 안착판을 형성하지 아니함으로써 고정부의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고, 하나의 지지체를 이용하여 두 개의 철근을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구조가 간단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장치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작업하기에 용이한 크기의 힘으로 철근을 철근결합장치에 가체결시킨 후 서로 다른 철근을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며, 체결된 철근에 인장력이 인가되더라도 철근이 절단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내측면에 볼록한 형상의 이탈방지돌기(112)가 다수 형성되며 철근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는 둘 이상의 조각편(110)과 조각편(1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체(120)를 구비하는 결합부(100)와, 지지체(120)를 안착시키는 지지체 안착홈을 구비하는 고정부(200)와, 조각편(110)을 내부에 인입시킨 후 고정부(200)와 나사결합구조로 결합됨으로써 조각편(110)을 철근에 밀착시키는 조임너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각편(110)은,
    상기 지지체(120)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삽입단(115)과, 상기 지지체(120)와의 결합 시 상기 지지체(12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삽입단(115)과 동일한 너비로 형성되는 돌출단(111)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체(120)는 ,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단(115)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한 크기로 철근의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각편 결합구(1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안착홈은,
    상기 고정부(200) 내부로 상기 지지체(12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지지체(120)의 내측 끝단과 접촉되도록,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판 형상 또는 격판(隔板)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체 안착판(220)을 내측 벽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00)는,
    상기 지지체(120)가 상기 지지체 안착홈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결합부(10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20)는,
    상기 지지체 안착판(220)에 접촉되는 부위가 원형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일측이 상기 지지체(120)의 내측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고, 반대편 끝단은 상기 지지체 안착판(220)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코일형 스프링(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연결장치는,
    둘 이상의 상기 결합부(100) 및 상기 조임너트(30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지지체 안착홈을 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안착홈은,
    상기 고정부(200) 내부로 상기 지지체(12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지지체(120)의 내측 끝단과 접촉되도록,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판 형상 또는 격판(隔板)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체 안착판(220)을 내측 벽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00)는,
    상기 지지체(120)가 상기 지지체 안착홈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결합부(10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20)는,
    상기 지지체 안착판(220)에 접촉되는 부위가 원형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일측이 상기 지지체(120)의 내측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고, 반대편 끝단은 상기 지지체 안착판(220)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코일형 스프링(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20)는,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중심축을 관통하는 결합핀 관통홀(128)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결합핀 관통홀(128)에 대응되는 부위에 구멍 형상의 결합핀 삽입구(230)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핀 관통홀(128) 및 결합핀 삽입구(230)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120)와 상기 고정부(200)를 결합시키는 결합핀(13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20)는,
    상기 각 조각편 결합구(122) 사이에 철근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릿형상의 결합구 이격홈(1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철근 삽입구(310)편의 끝단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112)는,
    철근(10)과 접촉되는 면이 둥글게 형성되거나 또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20)는,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115)은,
    상기 조각편 결합구(122)로 삽입이 시작되는 끝단의 외측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결합돌기(116)가 형성되고,
    상기 조각편 결합구(122)는,
    상기 삽입단(115)의 삽입 완료 시 상기 결합돌기(116)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돌기(116)와 결합 가능한 볼록한 형상의 결합턱(1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KR1020040007779A 2003-04-18 2004-02-06 철근연결장치 KR100443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4/000878 WO2004092508A1 (en) 2003-04-18 2004-04-16 Coupling device for iron r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4558 2003-04-18
KR1020030024558 2003-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3594B1 true KR100443594B1 (ko) 2004-08-09

Family

ID=3735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779A KR100443594B1 (ko) 2003-04-18 2004-02-06 철근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594B1 (ko)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634B1 (ko) * 2007-01-19 2007-06-04 주식회사 엘케이테크 철근 체결구
KR100725207B1 (ko) 2006-05-03 2007-06-21 김희숙 철재 연결용 이음장치
KR100791619B1 (ko) * 2006-01-25 2008-01-03 김용근 철근 연결구
KR200449273Y1 (ko) 2008-06-17 2010-07-01 강혁 조립식 선반 설치용 홀더
KR101160999B1 (ko) 2009-04-01 2012-07-02 박영훈 철근이음구
KR101161357B1 (ko) * 2011-03-05 2012-07-02 미래테크(주) 철근 연결 장치
KR101178518B1 (ko) 2010-07-22 2012-08-30 임인혁 양방향 고정금구
WO2014123298A1 (ko) * 2013-02-07 2014-08-14 Hong Euychang 커플링 장치
KR101519471B1 (ko) * 2014-12-10 2015-05-13 (주)코스잭 다양한 형태의 리브를 가진 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고강도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627166B1 (ko) 2015-05-18 2016-06-03 이시욱 철근 고정용 콜렛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콜렛이 구비되는 철근 연결장치
KR20160139303A (ko) 2015-05-27 2016-12-07 김인숙 철근 연결장치
KR20170000386U (ko) * 2017-01-05 2017-01-25 조석현 고강도 철근 커플러
KR101796538B1 (ko) * 2017-06-21 2017-11-10 주식회사 엔씨 철근용 커플러
KR101851104B1 (ko) * 2017-07-18 2018-04-20 (주) 유니플로 내구성이 구비된 원터치식 커플러
KR20180048040A (ko) * 2016-11-02 2018-05-10 손영학 철근 연결용 커플링
KR20180112486A (ko) * 2017-04-04 2018-10-12 정기찬 철근 연결기
KR20180113729A (ko) * 2017-04-07 2018-10-17 이신호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WO2018190536A1 (ko) * 2017-04-12 2018-10-18 이재창 초기슬립을 방지하는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20190000235A (ko) 2017-06-22 2019-01-02 전병수 철근 커플링 장치
KR101938269B1 (ko) * 2018-07-20 2019-01-14 주식회사 스틸네트워크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1942993B1 (ko) * 2018-08-06 2019-04-17 주식회사 금화 재가압식 철근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커플러
WO2019151590A1 (ko) * 2018-01-30 2019-08-08 현대금속산업(주)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010810B1 (ko) * 2019-01-17 2019-08-14 주식회사 금화 철근이음용 가압식 커플러
KR20190002354U (ko) 2018-03-14 2019-09-24 이내광 철근 커플러
KR20200009747A (ko) 2018-07-20 2020-01-30 이시욱 원터치형 이지 커플러
KR102069879B1 (ko) * 2019-05-29 2020-02-11 윤명식 철근 유동방지형 원터치 커플러
US11092180B2 (en) * 2018-05-14 2021-08-17 Carl Barrow Locking dowel assembly
KR102325248B1 (ko) * 2020-07-22 2021-11-11 (주)선윤티엔씨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20230109878A (ko) 2022-01-14 2023-07-21 박명희 건축용 철근 연결구
KR20230158700A (ko) 2022-05-12 2023-11-21 박명희 물림고정구조를 갖는 건축용 철근 연결구
KR20230174516A (ko) 2022-06-21 2023-12-28 김용석 탄성가압구조를 갖는 철근연결구
KR20240024463A (ko) 2022-08-17 2024-02-26 김용석 직각평면구조가 적용된 철근커플러용 편체

Cited B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619B1 (ko) * 2006-01-25 2008-01-03 김용근 철근 연결구
KR100725207B1 (ko) 2006-05-03 2007-06-21 김희숙 철재 연결용 이음장치
KR100724634B1 (ko) * 2007-01-19 2007-06-04 주식회사 엘케이테크 철근 체결구
KR200449273Y1 (ko) 2008-06-17 2010-07-01 강혁 조립식 선반 설치용 홀더
KR101160999B1 (ko) 2009-04-01 2012-07-02 박영훈 철근이음구
KR101178518B1 (ko) 2010-07-22 2012-08-30 임인혁 양방향 고정금구
KR101161357B1 (ko) * 2011-03-05 2012-07-02 미래테크(주) 철근 연결 장치
WO2014123298A1 (ko) * 2013-02-07 2014-08-14 Hong Euychang 커플링 장치
KR101519471B1 (ko) * 2014-12-10 2015-05-13 (주)코스잭 다양한 형태의 리브를 가진 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고강도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WO2016093443A1 (ko) * 2014-12-10 2016-06-16 (주)코스잭 다양한 형태의 리브를 가진 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고강도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627166B1 (ko) 2015-05-18 2016-06-03 이시욱 철근 고정용 콜렛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콜렛이 구비되는 철근 연결장치
KR20160139303A (ko) 2015-05-27 2016-12-07 김인숙 철근 연결장치
KR101943162B1 (ko) * 2016-11-02 2019-04-17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철근 연결용 커플링
KR20180048040A (ko) * 2016-11-02 2018-05-10 손영학 철근 연결용 커플링
KR20170000386U (ko) * 2017-01-05 2017-01-25 조석현 고강도 철근 커플러
KR200486476Y1 (ko) * 2017-01-05 2018-05-23 조석현 고강도 철근 커플러
KR101969820B1 (ko) * 2017-04-04 2019-08-13 정기찬 철근 연결기
KR20180112486A (ko) * 2017-04-04 2018-10-12 정기찬 철근 연결기
KR20180113729A (ko) * 2017-04-07 2018-10-17 이신호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1979898B1 (ko) * 2017-04-07 2019-05-17 이신호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WO2018190536A1 (ko) * 2017-04-12 2018-10-18 이재창 초기슬립을 방지하는 철근 이음용 커플러
WO2018236017A1 (ko) * 2017-06-21 2018-12-27 주식회사 엔씨 철근용 커플러
KR101796538B1 (ko) * 2017-06-21 2017-11-10 주식회사 엔씨 철근용 커플러
KR20190000235A (ko) 2017-06-22 2019-01-02 전병수 철근 커플링 장치
KR101851104B1 (ko) * 2017-07-18 2018-04-20 (주) 유니플로 내구성이 구비된 원터치식 커플러
WO2019151590A1 (ko) * 2018-01-30 2019-08-08 현대금속산업(주)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20190002354U (ko) 2018-03-14 2019-09-24 이내광 철근 커플러
US11092180B2 (en) * 2018-05-14 2021-08-17 Carl Barrow Locking dowel assembly
KR101938269B1 (ko) * 2018-07-20 2019-01-14 주식회사 스틸네트워크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20200009747A (ko) 2018-07-20 2020-01-30 이시욱 원터치형 이지 커플러
KR101942993B1 (ko) * 2018-08-06 2019-04-17 주식회사 금화 재가압식 철근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커플러
KR102010810B1 (ko) * 2019-01-17 2019-08-14 주식회사 금화 철근이음용 가압식 커플러
KR102069879B1 (ko) * 2019-05-29 2020-02-11 윤명식 철근 유동방지형 원터치 커플러
WO2020241957A1 (ko) * 2019-05-29 2020-12-03 윤명식 철근 유동방지형 원터치 커플러
KR102325248B1 (ko) * 2020-07-22 2021-11-11 (주)선윤티엔씨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20230109878A (ko) 2022-01-14 2023-07-21 박명희 건축용 철근 연결구
KR20230158700A (ko) 2022-05-12 2023-11-21 박명희 물림고정구조를 갖는 건축용 철근 연결구
KR20230174516A (ko) 2022-06-21 2023-12-28 김용석 탄성가압구조를 갖는 철근연결구
KR20240024463A (ko) 2022-08-17 2024-02-26 김용석 직각평면구조가 적용된 철근커플러용 편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3594B1 (ko) 철근연결장치
US20220220742A1 (en) Rebar coupler
US6327753B1 (en) Cable clamp
US8657594B2 (en) Punch of compression molding machine
KR101943162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JP2020522634A (ja) 鉄筋連結具
WO2007083428A1 (ja) 鉄筋係止具
US20070031187A1 (en) Tubing frame connection insert
JP2005517131A (ja) 種々のサイズのスタッドのためのファスナ
KR102175306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AU780859B2 (en) Plate nut assembly
KR100547260B1 (ko) 철근고정용 조각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장치
KR102019441B1 (ko) 철근용 커플러
JP4748821B2 (ja) フレーム構造のコーナー部用連結装置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WO2006121301A1 (en) Anchor bolt assembly
US20060078371A1 (en) Joining device for two bar-type hollow profiled member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2878394B1 (en) Clamping assembly for a knockout punch
KR20200093937A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US20060072981A1 (en) Fixing device with a clip
KR101768822B1 (ko) 전선 고정용 커플러
KR200296021Y1 (ko) 조립이 용이한 철근연결장치의 압지구
JP4687040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ための接続装置
JP4931200B2 (ja) エジェクタピン
KR101228096B1 (ko)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