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518B1 - 양방향 고정금구 - Google Patents

양방향 고정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518B1
KR101178518B1 KR20100071034A KR20100071034A KR101178518B1 KR 101178518 B1 KR101178518 B1 KR 101178518B1 KR 20100071034 A KR20100071034 A KR 20100071034A KR 20100071034 A KR20100071034 A KR 20100071034A KR 101178518 B1 KR101178518 B1 KR 10117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piece
fastening body
cone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71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148A (ko
Inventor
임인혁
Original Assignee
임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인혁 filed Critical 임인혁
Priority to KR20100071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5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51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고정금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구의 양측 내부로 각각의 고정체가 삽입되어 고정되어지는 양방향 고정금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구는 체결몸체의 양측에 웨지가 삽입된 웨지콘부재가 각각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웨지는 합성수지재의 웨지링에 다수개의 웨지섹터편으로 이루어진 단위웨지의 단턱편이 삽입되어 결합되어지고, 상기 웨지섹터편의 외부는 상기 단턱편과 대응되게 외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콘부재의 테이퍼홀에 상기 웨지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몸체의 회전에 의하여 웨지콘부재가 체결몸체의 중앙으로 각각 이동되면서 상기 웨지의 단위웨지가 가압되어 고정체가 가압 고정되어지고, 상기 양측의 웨지 사이에 스프링이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고정금구{BOTH-WAY FIX FITTING}
본 발명은 일측의 구조물과 타측의 구조물이 중량물로서 회전이 불가능할 경우 접합하는 양방향 고정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측의 피고정체인 콘크리트 사이로 절단되게 노출된 각각의 고정체가 양방향 고정금구의 일측과 타측으로 결합된 웨지가 내장된 웨지콘부재에 삽입되어지도록 하고, 체결몸체를 회전시켜 웨지콘부재가 체결몸체의 중앙을 향하여 이동되어지는 과정에서 웨지에 의하여 각각의 고정체가 인장되게 당겨진 상태가 유지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구조물의 끝에는 구조물의 내부로 배근된 철근(고정체)이 소정 길이를 갖도록 외부로 노출되어지도록 하고, 노출된 고정체에 다른 고정체를 결속하여 길이 방향으로 후속 시공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구조물과 구조물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된 고정체의 경우, 역시 동일한 방법 즉, 일측 구조물의 타측으로 노출된 고정체에 다른 연결고정체의 일측이 소정 길이로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결속선으로 묶고, 이어 타측 구조물의 일측으로 노출된 고정체에 연결고정체의 타측이 소정 길이로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결속선을 묶어 연결되어지도록 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공정을 통해 시공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체와 고정체 사이로 연결고정체가 결속선에 의하여 묶여지도록 연결하는 구조는 현장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구조적으로 측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는 구조물에 연결고정체가 결속선으로 연결되어지게 시공될 경우, 안전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체과 고정체 사이에 연결고정체의 양끝단이 소정 길이로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결속선으로 감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공정과 노동력이 소요됨에 따라 작업성이 낮아지며 공기가 길어지고, 이로 인해 시공비가 증가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일측의 구조물과 타측의 구조물이 중량물로 회전이 불가능할 경우, 각각 일측의 구조물과 타측의 구조물 사이로 노출된 고정체가 접합되어지도록 웨지를 갖는 웨지콘부재로 삽입되어진 후 체결몸체에 의하여 인장되어지게 연결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연결고정체를 준비하는 공정, 연결고정체의 양끝이 소정길이로 맞대어지도록 하는 연결고정체 맞대기 공정 및 결속선 감는공정 등이 필요치 않도록 하는 가운데 구조물의 안전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고정체와 고정체를 연결시키는 공정과 노동력을 줄 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작업성을 높여 공기를 단축시키는 가운데 시공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정구의 양측으로 각각의 고정체(50)가 삽입되어 고정되어지는 양방향 고정금구(A)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구(A)는 체결몸체(10)의 양측에 웨지(20)가 삽입된 웨지콘부재(30)가 각각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웨지(20)는 합성수지재의 웨지링(21)에 다수개의 웨지섹터편(23)으로 이루어진 단위웨지(22)의 단턱편(231)이 삽입되어 결합되어지고, 상기 웨지섹터편(23)의 외부는 상기 단턱편(231)과 대응되게 외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부(23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콘부재(30)의 테이퍼홀(31)에 상기 웨지(20)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몸체(10)의 회전에 의하여 웨지콘부재(30)가 체결몸체(10)의 중앙으로 각각 이동되면서 상기 웨지(20)의 단위웨지(22)가 가압되어 고정체(50)가 가압 고정되어지고, 상기 양측의 웨지(20) 사이에 스프링(24)이 삽입되어지되,
상기 단위웨지(22)의 웨지섹터편(23) 내부는 다수개의 일방향산형돌기(233)가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섹터편(23)이 웨지링(21)에 결합되는 부분은 단턱편(23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단턱편(231)의 외부에 걸림후크편(234)이 상기 웨지링(21)의 내주연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웨지링(21)은 내주연부에 중심을 향하는 걸림턱(21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걸림턱(211)에 다수개의 관통홀(212)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관통홀(212)이 끝나는 웨지링(21)의 내주연부에 후크걸림홈(213)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체결몸체(10)는 관통된 내주연부에 암나사부(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콘부재(30)는 내부에 외측방향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홀(3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지며, 외부에 상기 암나사부(11)에 나사결합되어지는 숫나사부(3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의 구조물과 타측의 구조물 사이로 노출된 고정체가 체결몸체의 양측에 나사결합된 웨지를 갖는 웨지콘부재에 삽입되어진 후 체결몸체의 회전에 따라 웨지가 고정체의 표면을 가압시킨 상태에서 체결몸체의 중앙으로 당겨지게 고정되어짐으로써, 구조적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정체와 고정체 사이에 연결고정체의 양끝단이 소정 길이로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결속선으로 감아 고정시키는 공정이 필요치 않음에 따라 공정수와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작업성을 높여 공기를 단축시키는 가운데 시공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고정금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고정금구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고정금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내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고정금구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고정금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고정금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고정금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고정금구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몸체(10)의 양측에 웨지(20)가 삽입된 웨지콘부재(30)가 각각 나사결합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웨지(20) 사이에 스프링(24)이 개재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웨지(20)에 각각 고정체(50)가 관통되게 삽입되어 체결몸체(10)의 내부로 위치되어지고, 상기 체결몸체(10)의 회전으로 인하여웨지콘부재(30)가 체결몸체(10)의 내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스프링(24)의 탄성력을 받는 상기 웨지(20)가 고정체(50)를 고정체(50)의 중앙 또는 내측을 향하여 가압시킨 상태에서 체결몸체(10)의 내부로 당겨 인장된 상태로 고정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몸체(10)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관통된 내주연부에 암나사부(1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암나사부(11)가 형성된 체결몸체(10)의 외주연부에 축방향을 갖는 토오크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이러한 상기 토오크부(12)는 외주연부에 축방향을 갖는 다수개의 홈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121)에 미도시한 회전공구가 걸려짐으로써, 체결몸체(1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암나사부(11)는 체결몸체(10)의 일측에 오른암나사가 형성되어지도록 하며 타측에 왼암나사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체결몸체(1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몸체(10)의 양측에 나사결합된 각각의 웨지콘부재(30)가 체결몸체(10)의 내부로 이동하거나 외측으로 이동되어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웨지(20)는 고정체(50)의 표면을 가압시킴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웨지링(21)에 다수개로 분할된 형태를 갖는 단위웨지(22)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웨지링(21)은 내주연부에 중심을 향하는 걸림턱(211)이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사출성형되어진 것으로 상기 걸림턱(211)에 다수개의 관통홀(21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관통홀(212)이 끝나는 웨지링(21)의 내주연부에 후크걸림홈(213)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웨지(22)는 내,외부가 축의 직각방향으로 만곡된 원주의 1/3 폭이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웨지섹터편(23)으로 형성되어진 것으로 상기 웨지섹터편(23)의 내부는 다수개의 일방향산형돌기(233)가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고정체(50)가 역방향으로 미끄러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섹터편(23)이 웨지링(21)에 결합되는 부분은 단턱편(23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단턱편(231)의 외부에 걸림후프편(234)이 상기 웨지링(21)의 내주연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있다.
상기 단턱편(231)과 대응되는 웨지섹터편(23)의 외측에는 내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부(23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위지콘부재(30)는 웨지(20)가 웨지콘부재(30)의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고정체(10)가 상기 체결몸체(10)의 양측 내부로 당겨지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내부에 외측방향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테이퍼홀(3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테이퍼홀(31)이 형성된 외부에 상기 암나사부(11)에 나사결합되어지는 숫나사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몸체(10)에 형성된 토오크부(12)는 외주연부에 축방향을 갖는 다수개의 홈부(121)가 형성되어 미도시한 회전공구가 상기 홈부(121)에 걸려짐으로써, 체결몸체(1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구조 이외에 체결몸체(10)에 형성된 토오크부(12)는 외주연부에 축방향을 갖는 다각돌부가 형성되어지도록 할 경우, 통상의 스패너를 이용하여 이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양방향 고정금구에 의하여 일측 구조물과 타측 구조물 사이로 절단되어지게 노출된 각각의 고정체가 연결되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몸체(10)의 양측으로 각각 웨지콘부재(30)의 숫나사(32)가 시작되는 끝부분만 암나사부(11)에 나사결합되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웨지콘부재(30)의 내부로 삽입된 각각의 웨지(20)에 형성된 테이퍼부(232)가 테이퍼홀(31)에 단순하게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웨지(20)의 내부에 형성된 일방향산형돌기(233)가 일정한 상태 즉, 웨지콘부재(30)의 내측으로 삽입될 고정체(50)의 외주연부의 직경보다 더 큰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이때 스프링(24)의 양단이 각각 웨지(20)에 맞대어져 있음으로써, 웨지(20)가 체결몸체(10)의 내부로 이동되어지는 유동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각각의 고정체(50)가 웨지콘부재(30)의 입구측으로부터 테이퍼홀(31)을 관통하여 체결몸체(10)의 내부로 삽입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미도시한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체결몸체(10)를 회전시키면 체결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부(11)에 의하여 각각의 웨지콘부재(30)가 체결몸체(10)의 내부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즉, 암나사부(11)가 왼암나사와 오른 암나사로 형성되어져 있음으로써, 양측의 웨지콘부재(30)가 동시에 이동되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 체결몸체(10)의 내부를 향하여 웨지콘부재(30)가 이동되어지는 과정에서 테이퍼홀(31)이 웨지(20)를 구성하는 단위웨지(22)에 형성된 테이퍼부(232)를 가압시킴과 동시에 웨지(20)가 뒤로 밀려나려고 하나 이때, 웨지(20)의 배면이 스프링(24)에 맞대어져 스프링(24)의 탄성력을 받게 됨에 따라 가압되어지는 부분의 내측 즉, 일방향산형돌기(233)가 고정체(50)이 표면인 외주연부를 향하여 강하게 압축되어지면서 고정체(50)가 체결몸체(10)이 내부로 당겨짐으로써, 분리되었던 각각의 고정체(50)가 결합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장력이 고정체(50)에 작용할 경우, 작용하는 힘 만큼 단위웨지(20)가 고정체(50)를 가압하게 됨에 따라 인장력에 의하여 고정체(50)가 웨지콘부재(30)의 내부에서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체결몸체(10)의 양측으로 웨지(20)가 삽입된 웨지콘부재(30)가 각각 결합되어 체결몸체(10)의 회전에 따라 체결몸체(10)의 내부로 삽입되어지게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된 형태를 갖는 체결몸체(10)의 외주연부 양측에 각각 숫나사부(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콘부재(30)는 내부에 외측방향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홀(3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지며, 내부에 상기 숫나사부(11')에 나사결합되어지는 암나사부(32')가 형성되어 체결몸체(10)의 회전에 따라 웨지콘부재(30)가 체결몸체(10)의 외주연부로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고정구 10:체결몸체
11:암나사부 20:웨지
21:웨지링 22:단위웨지
23:웨지섹터편 30:웨지콘부재
31:테이퍼홀 32:숫나사부
50:고정체 231:단턱편
232:테이퍼부

Claims (6)

  1. 고정구의 양측으로 각각의 고정체(50)가 삽입되어 고정되어지는 양방향 고정금구(A)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구(A)는 체결몸체(10)의 양측에 웨지(20)가 삽입된 웨지콘부재(30)가 각각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웨지(20)는 합성수지재의 웨지링(21)에 다수개의 웨지섹터편(23)으로 이루어진 단위웨지(22)의 단턱편(231)이 삽입되어 결합되어지고, 상기 웨지섹터편(23)의 외부는 상기 단턱편(231)과 대응되게 외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부(23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콘부재(30)의 테이퍼홀(31)에 상기 웨지(20)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몸체(10)의 회전에 의하여 웨지콘부재(30)가 체결몸체(10)의 중앙으로 각각 이동되면서 상기 웨지(20)의 단위웨지(22)가 가압되어 고정체(50)가 가압 고정되어지고, 상기 양측의 웨지(20) 사이에 스프링(24)이 삽입되어지되,
    상기 단위웨지(22)의 웨지섹터편(23) 내부는 다수개의 일방향산형돌기(233)가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섹터편(23)이 웨지링(21)에 결합되는 부분은 단턱편(23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단턱편(231)의 외부에 걸림후크편(234)이 상기 웨지링(21)의 내주연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웨지링(21)은 내주연부에 중심을 향하는 걸림턱(21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걸림턱(211)에 다수개의 관통홀(212)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관통홀(212)이 끝나는 웨지링(21)의 내주연부에 후크걸림홈(213)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체결몸체(10)는 관통된 내주연부에 암나사부(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콘부재(30)는 내부에 외측방향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홀(3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지며, 외부에 상기 암나사부(11)에 나사결합되어지는 숫나사부(3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고정금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100071034A 2010-07-22 2010-07-22 양방향 고정금구 KR10117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1034A KR101178518B1 (ko) 2010-07-22 2010-07-22 양방향 고정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1034A KR101178518B1 (ko) 2010-07-22 2010-07-22 양방향 고정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148A KR20120009148A (ko) 2012-02-01
KR101178518B1 true KR101178518B1 (ko) 2012-08-30

Family

ID=4583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71034A KR101178518B1 (ko) 2010-07-22 2010-07-22 양방향 고정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540B1 (ko) * 2018-07-20 2020-10-08 이시욱 원터치형 이지 커플러
KR102301698B1 (ko) * 2020-06-04 2021-09-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커넥터
CN113250454B (zh) * 2021-06-03 2022-04-12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附墙椭圆劲性混凝土结构支模体系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594B1 (ko) 2003-04-18 2004-08-09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철근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594B1 (ko) 2003-04-18 2004-08-09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철근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148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074B1 (ko) 합성수지제 파이프 연결 고정구
KR101565450B1 (ko) 방사상으로 확장 가능한 볼트 어셈블리
KR200409526Y1 (ko)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KR20070054417A (ko)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US20090304443A1 (en) Bolt with collar and flexible sleeve insert
KR101486039B1 (ko) 압축과 인장에 의한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MXPA04009299A (es) Un collar para acoplamiento de tuberia.
KR101178518B1 (ko) 양방향 고정금구
US20120195681A1 (en) Steel bar connector
US20100135748A1 (en) Fasteners and spacer rings therefor
KR20180107675A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JP2006138463A (ja) ターンバックル
KR200448095Y1 (ko) 풀림 방지 너트
KR101846820B1 (ko) 파일조인트 유니트
US11007817B2 (en) Hidden-handle quick-release structure
FR3030595A3 (fr) Connecteur pour des barres de renforcement en acier
KR101595327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1902007B1 (ko) 스틸 와이어 커플러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KR20170003058A (ko) 결합이 용이한 가구조립용 체결구
US20140086703A1 (en) Self-Retaining Fastener
KR101979898B1 (ko)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1869860B1 (ko) 접힘와셔가 포함된 일방향볼트 단위체의 체결을 위한 체결진입봉
KR20170001272U (ko) 풀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클램프 장치
KR102192982B1 (ko) 간편 연결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KR20130080581A (ko) 철근 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