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095Y1 - 풀림 방지 너트 - Google Patents

풀림 방지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095Y1
KR200448095Y1 KR2020080005920U KR20080005920U KR200448095Y1 KR 200448095 Y1 KR200448095 Y1 KR 200448095Y1 KR 2020080005920 U KR2020080005920 U KR 2020080005920U KR 20080005920 U KR20080005920 U KR 20080005920U KR 200448095 Y1 KR200448095 Y1 KR 200448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xial direction
bolt
head portion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410U (ko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화
Priority to KR2020080005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095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4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0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4Locking by means of elastic de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풀림 방지 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골이 형성된 조임홀을 구비하여 상기 헤드부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마련하되, 상기 연장부는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부 일부까지 형성되는 절개홈에 의해 적어도 2 구간으로 분할되는 동시에 상기 절개홈의 폭 조절에 의해 상기 조임홀이 축 방향을 따라 상광하협의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마련되는 한편, 판상의 강철로 이루어져 상기 연장부의 바깥 둘레를 연속하여 수 차례 휘감아 겹겹이 에워싸는 태엽스프링 또는 양끝이 비스듬하게 마주하도록 하여 상기 연장부의 바깥 둘레를 휘감아 에워싸는 밴드스프링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볼트와의 체결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체결 후 기계적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한 자연적인 풀림을 방지하여 고정물의 견고한 고정이 유지되도록 하는 풀림 방지 너트에 관한 것이다.
볼트, 너트, 헤드부, 연장부, 조임홀, 절개홈, 복원력, 태엽스프링, 밴드스프링.

Description

풀림 방지 너트{Self-locking nut}
본 고안은 풀림 방지 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와의 체결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체결 후 기계적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한 자연적인 풀림을 방지하여 고정물의 견고한 고정이 유지되도록 하는 풀림 방지 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 및 너트는 통상 2 개 이상으로 분리되는 물체를 체결 결합하는 용도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너트의 헤드 모양은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이 있으며, 사용 용도에 따라서 일반 너트뿐만 아니라 조임 손잡이가 형성된 나비 너트, 캡 너트 및 링 너트 등도 사용되나, 통상적으로 육각형 너트가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나사 체결된 볼트와 너트는 외부 충격 또는 진동이 가해지면 볼트의 나사산과 너트의 나사골 사이에 존재하는 틈(clearanc)으로 인해 볼트 및 너트의 체결력이 약화되고, 이로 인하여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된 구조물 혹은 설비가 느슨해져 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볼트 및 너트의 체결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그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볼트 및 너트의 나사체결에 있어서, 볼트의 나사산과 너트의 나사골 사이의 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같이, 종래 기술의 볼트(1)와 너트(2)는 나사체결 전에는 볼트(1)의 나사산과 너트(2)의 나사골 사이에 틈(clearance, 3)이 형성되게 하여 나사삽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조되며, 이러한 볼트(1)와 너트(2)를 나사 체결하게 되면 도 1의 (b)에 도시된 같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볼트(1)의 나사산과 너트(2)의 나사골은 일 측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는 반면에, 나사산과 나사골이 서로 접촉하지 않은 타 측면들 사이에는 여전히 틈(3)이 존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틈(3)이 형성된 상태로 나사 체결된 볼트(1)와 너트(2)는 상호간에 접촉하는 접촉면의 마찰저항에 의해 나사 체결력을 유지하고 있게 되는데, 이때 볼트(2)의 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면의 마찰저항보다 클 경우 또는 외력이 상기한 마찰저항보다 작지만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될 경우에는 볼트(1)가 너트(2)에서 나사 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상기와 같이 볼트(1)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풀리게 될 때에는 볼트(1)로서 두 물체를 결합시키는 결합력이 약화되거나 또는 심한 경우 결합력이 해제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풀림 현상은 여러 가지의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원인이 된다.
예를 들어, 가전제품으로서 세탁기의 경우 프로그램 회로장치에 장착된 볼트(1)가 세탁물을 세탁, 헹굼 및 탈수할 때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나사 풀림될 경우에는 세탁기의 고장원인이 될 수 있고, 건설분야에 있어 철골로 건축되는 교량 이나 철골구조물 등에 나사 체결된 볼트(1)가 진동 등에 의해 풀림 현상이 나타나게 될 경우에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나사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볼트(1)나 너트(2)에 천공을 하여 잠금 핀을 삽입하는 방법이나 볼트(1)와 너트(2)를 결합 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결합물의 분해가 필요가 없어 영구적으로 고정하는 경우에는 리벳이나 용접이 주로 사용되나 공간 및 시공상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풀림 방지 너트는 구조적으로 복잡하거나, 개선된 구조와 이로 인한 생산 단가의 상승으로 양산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 있으며, 혹은 볼트와의 체결작업이 번거로워져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68664호로 출원된 "풀림 방지 너트"에서 너트의 몸체 일측에 종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된 조임부와 조임부의 외측에 끼워지는 조임링을 구비하되, 조임부에 끼워진 조임링 외측을 가압함으로 인해 조임부의 단면이 타원 형태를 갖는 풀림 방지 너트를 제안한바 있다.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바 있는 풀림 방지 너트를 도시한 외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있어 조임부 쪽을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는 외측으로 조임이나 풀림을 위한 육각 형태를 갖고, 내측으로는 볼트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나사골이 형성되는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 측으로 볼트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나사골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61)쪽을 향하여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절개홈(63)을 형성한 조임부(62)와, 상기 조임부(62)의 외측에 끼워져 상기 조임부(62)와 함께 짧은지름(단축)이 긴지름(장축)보다 0.1 mm 내지 0.5 mm 짧은 타원형으로 압착되는 조임링(64)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풀림 방지 너트는 볼트와의 체결과 동시에 진동 등에 의한 풀림을 일시적으로 해소하고는 있으나, 상기 조임부(62)의 외측에 상기 조임링(64)을 끼운 후 그 외측을 압착하게 되므로, 상기 조임부(62) 및 조임링(64)의 압착 강도가 달라지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상기 조임링(64)에 의한 지속적인 압착력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조임부(62)의 외경과 상기 조임링(64)의 내경이 동일함으로 인해 선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조임부(62)에 상기 조임링(64)를 끼우기 어렵고, 상기 조임링(64)을 끼운 후 상기 조임부(62)의 선단을 꺾어 상기 걸림턱을 형성할지라도 상기 걸림턱 형성을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요망되므로 그 제조에 있어 공정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물의 고정을 위한 볼트와의 체결력을 증대시켜 체결과 동시에 기계적 진동 등에 의한 자연적인 풀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풀림 방지 너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는 외측으로는 사각 또는 육각 형상의 둘레로 기둥면이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나사골이 파인 진입홀을 구비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진입홀과 연속되는 조임홀과 상기 헤드부의 일부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선단부 끝까지 형성되는 절개홈을 구비하되, 내측면에 상기 진입홀의 나사골과 동일한 곡률 및 피치의 나사골을 형성하고, 상기 진입홀의 단면적이 상기 헤드부 측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갖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되, 판상의 강철 띠 양 끝을 비스듬하게 마주하도록 하여 축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일정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헤드부 쪽에 가까운 외측 둘레와 선 접촉되는 밴드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는 외측으로는 사각 또는 육각 형상의 둘레로 기둥면이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나사골이 파인 진입홀을 구비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진입홀과 연속되는 조임홀과 상기 헤드부의 일부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선단부 끝까지 형성되는 절개홈을 구비하되, 내측면에 상기 진입홀의 나사골과 동일한 곡률 및 피치의 나사골을 형성하고, 상기 진입홀의 단면적이 상기 헤드부 측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갖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되, 판상의 강철 띠를 수 차례 겹겹이 감아 축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일정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헤드부 쪽에 가까운 외측 둘레와 선 접촉되는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의 선단은 상기 절개홈의 폭을 1.9 mm 내지 2.1 mm 범위, 폭이 줄어드는 부분을 1.6mm 내지 1.85 mm 범위로 구성하여, 원형에서 타원 형상으로의 압축이 0.25 mm 내지 0.3 mm 범위인 타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밴드스프링 또는 태엽스프링은 상기 조임홀 내로 볼트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과 면 접촉되면서 중심축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는 상기 조임홀 내로 볼트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조임홀을 감싸는 밴드스프링 또는 태엽스프링으로 하여금 보다 큰 복원력을 발휘하도록 하여 볼트와 접촉되는 면적과 그로 인한 마찰저항을 증대시켜 볼트와의 체결과 동시에 기계적 진동 등에 의한 자연적인 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는 축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일정한 원통형상의 밴드스프링 또는 태엽스프링에 별도의 힘을 가해 벌릴 필요 없이 본형 그대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에 끼울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고정물의 고정을 위한 볼트와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그로 인한 작업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은 도 4에 있어 밴드스프링의 체결 전(a)과 체결 후(b)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외측면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는 도 6에 있어 태엽스프링의 체결 전(a)과 체결 후(b)의 일 측면을 각각 도시한 외측면이다.
여기서, 도 5 및 도 7의 (b)에 도시된 외측면도에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외부에서는 실제로 보이지 않는 밴드스프링(40) 또는 태엽스프링(50)의 두께를 비롯한 내부가 점선으로 함께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100)는 외측으로는 사각 또는 육각의 둘레를 갖는 기둥면이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나사골이 파인 진입홀(미도시)을 구비하는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0) 및 상기 연장부(20)의 외측면을 둘러싸되 판상의 강철 띠 양끝을 비스듬하게 마주하도록 원통 형상을 이루는 밴드스프링(40)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101)는 외측으로는 사각 또는 육각의 둘레를 갖는 기둥면이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나사골이 파인 진입홀(미도시)을 구비하는 헤드부(10)와, 상기 헤 드부(1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0) 및 상기 연장부(20)의 외측면을 둘러싸되 판상의 강철 띠를 수 차례 겹겹이 감아 원통 형상을 이루는 태엽스프링(5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100, 101)는 각각의 연장부(20) 외측에 끼워지는 밴드스프링(40) 및 태엽스프링(50)의 형상이 서로 다르기는 하나, 그 밖의 다른 구성요소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각 실시 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사항을 한 번에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0)는 상기 진입홀과 동일한 축 방향으로 연속되는 조임홀(21)과 상기 헤드부(10)의 일부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선단까지 형성되는 적어도 2 개의 절개홈(30)을 구비하되, 상기 조임홀(21) 내로 삽입되는 볼트와의 나사 체결을 위해 내측면에 상기 헤드부(10)의 나사골과 동일한 곡률 및 피치의 나사골이 형성되도록 하는 반면에, 상기 조임홀(21)의 단면적이 상기 헤드부(10) 측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갖추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헤드부(10) 및 연장부(20)는 한 볼트와의 나사 체결을 위해 내측면에 일정한 곡률 및 피치의 나사골을 구비하나, 축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일정한 진입홀과 달리 상기 조임홀(21)의 단면적은 상기 진입홀 측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도록 한다.
일 예로 전술된 바와 같은 형상의 연장부(20)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가공된다.
우선, 상기 헤드부(10)의 일측에서 축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되는 원통관을 형성하되, 상기 원통관의 외경은 상기 헤드부(10)의 외측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 반면에 상기 원통관의 내경은 상기 헤드부(1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10) 및 원통관의 내측면에는 동일한 피치의 나사골을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원통관의 선단에서 상기 헤드부(10)의 일부까지 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2 개의 절개홈(3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홈(30)은 상기 연장부(20) 선단의 조임홀(21) 단면적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폭을 갖도록 하여 상기 절개홈(30)의 양측으로 이웃하는 연장부(20)의 나사골을 죽 이어지지 않고 끊어져 소폭 이격되게 한다.
이러한 절개홈(30)의 폭은 상기 원통관 내측의 불연속적인 나사골이 차지하는 면적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조임홀(21) 내로 삽입되는 볼트의 나사산과의 접촉면적 및 그로 인한 마찰저항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형성하여야 하나, 상기 조임홀(21)의 사이즈에 따라 다를 수는 있으므로 수치적으로는 특히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즉, 상기 절개홈(30)이 소폭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원통관의 기둥면은 다수 구간으로 분할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원통관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골은 나선(helix) 상에서 불연속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절개홈(30)의 개수는 도면에서와 같이 2 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조임홀(21) 내로 볼트가 삽입되었을 때 볼트와의 접촉면적 및 그로 인 한 마찰저항이 적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그 수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바람직하게는 최대 6 개를 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원통관 선단을 압착하여 오므리면 상기 절개홈(30)의 폭이 줄어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원통관의 단면적이 상기 헤드부(10) 측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관의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갖추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축 방향에 따라 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원통관은 곧 상기 연장부(20)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되는 연장부(20)는 그 단면적이 상기 헤드부(10) 측으로 갈수록 정원(正圓)에 가까우나,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절개홈(30)의 폭 조절로 인해 타원의 형상을 갖추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20)의 선단은 상기 절개홈의 폭을 1.9 mm 내지 2.1 mm 범위, 폭이 줄어드는 부분을 1.6mm 내지 1.85 mm 범위로 구성하여, 원형에서 타원 형상으로의 압축이 0.25 mm 내지 0.3 mm 범위인 타원 형상으로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20)의 선단에는 상기 밴드스프링(40) 또는 태엽스프링(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3)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에 있어서, 상기 밴드스프링(40) 또는 태엽스프링(50)은 축 방향을 따라 내측의 단면적이 일정한 원통 형상을 이루고, 본형(本形)을 그대로를 유지하면서 상기 연장부(20)의 외측에 끼워지는데, 이때, 상기 연장부(20)에서 상기 헤드부(10) 측에 가까운 쪽에만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밴드 스프링(40) 또는 태엽스프링(50)은 평형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연장부(20)의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헤드부(10) 측의 연장부(20) 외측 둘레와 선 접촉하게 된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에 대한 작용을 후술되는 도 8 및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에 있어 볼트 체결 전(a)과 볼트 체결 후(b)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에 있어 볼트 체결 전(a)과 볼트 체결 후(b)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100, 101)는 각각의 연장부(20) 외측에 끼워지는 밴드스프링(40) 및 태엽스프링(50)의 형상이 서로 다르기는 하나, 그로 인한 작용효과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각 실시 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사항을 한 번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의 내측으로 볼트를 삽입하여 나사 체결하되, 외측 기둥면이 사각 또는 육각인 헤드부(10) 및 상기 헤드부(10)의 일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2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하여 삽입한다. 즉, 상기 헤드부(10) 및 연장부(20) 각각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진입홀 및 조임홀(21) 내로 볼트를 삽입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조임홀(21)의 단면적은 상기 헤드부(10) 측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데, 이로 인해 상기 조임홀(21) 내로 삽입되 어 진행하는 볼트와의 접촉면적 및 그로 인한 마찰저항을 증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와 볼트를 나사 체결하기 위해서는 수동 드라이버 등을 통한 인력이 아니라 상기 헤드부(10)에 복스 등 전동력에 의한 조임기구를 결합시키고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임기구에 의한 회전력이 본 고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에 전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볼트를 본 고안의 풀림 방지 너트 내로 삽입 체결하게 되면, 볼트가 삽입되어 진행함에 따라 상기 진입홀을 거쳐 상기 조임홀(21) 내로 인입되면서 볼트의 나사산이 상기 연장부(20) 내측면의 나사골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연장부(20) 선단의 조임홀(21)을 확장시킨다.
이때, 상기 조임홀(21)의 확장으로 인해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밀리는 연장부(20)의 외측면은 상기 밴드스프링(40) 또는 태엽스프링(5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면 접촉을 이루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밴드스프링(40) 또는 태엽스프링(50)으로 하여금 그 중심축을 향해 죄어드는 복원력을 발휘하게 한다.
이러한 밴드스프링(40) 및 태엽스프링(50)의 복원력은 상기 연장부(20)의 나사골과 볼트의 나사산의 증대된 접촉면적 및 그로 인한 마찰저항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 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볼트 및 너트의 나사체결에 있어서, 볼트의 나사산과 너트의 나사골 사이의 틈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바 있는 풀림 방지 너트를 도시한 외측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 조임부쪽을 바라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있어 밴드스프링의 체결 전(a)과 체결 후(b)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외측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도 6에 있어 태엽스프링의 체결 전(a)과 체결 후(b)의 일 측면을 각각 도시한 외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에 있어 볼트 체결 전(a)과 볼트 체결 후(b)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풀림 방지 너트에 있어 볼트 체결 전(a)과 볼트 체결 후(b)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볼트 2 : 나사산
10 : 헤드부 20 : 연장부
21 : 조임홀 23 : 걸림턱
30 : 절개홈 40 : 태엽스프링
50 : 밴드스프링

Claims (5)

  1. 외측으로는 사각 또는 육각의 둘레를 갖는 기둥면이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나사골이 파인 진입홀을 구비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진입홀과 연속되는 조임홀과 상기 헤드부의 일부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선단까지 형성되는 절개홈을 구비하되, 내측면에 상기 진입홀의 나사골과 동일한 곡률 및 피치의 나사골을 형성하고, 상기 진입홀의 단면적이 상기 헤드부 측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갖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되, 판상의 강철 띠 양 끝을 비스듬하게 마주하도록 하여 축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일정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헤드부 측에 가까운 외측 둘레와 선 접촉되는 밴드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너트.
  2. 외측으로는 사각 또는 육각 형상의 둘레로 기둥면이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나사골이 파인 진입홀을 구비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진입홀과 연속되는 조임홀과 상기 헤드부의 일부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선단까지 형성되는 절개홈을 구비하되, 내측면에 상기 진입홀의 나사골과 동일한 곡률 및 피치의 나사골을 형성하고, 상기 진입홀의 단면적이 상기 헤드부 측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 로 축소되는 형상을 갖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되, 판상의 강철 띠를 수 차례 겹겹이 감아 축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일정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헤드부 측에 가까운 외측 둘레와 선 접촉되는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너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선단은 상기 절개홈의 폭을 1.9 mm 내지 2.1 mm 범위, 폭이 줄어드는 부분을 1.6mm 내지 1.85 mm 범위로 구성하여, 원형에서 타원 형상으로의 압축이 0.25 mm 내지 0.3 mm 범위인 타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스프링은 상기 조임홀 내로 볼트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과 면 접촉되면서 중심축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너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스프링은 상기 조임홀 내로 볼트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과 면 접촉되면서 중심축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너트.
KR2020080005920U 2008-05-06 2008-05-06 풀림 방지 너트 KR200448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920U KR200448095Y1 (ko) 2008-05-06 2008-05-06 풀림 방지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920U KR200448095Y1 (ko) 2008-05-06 2008-05-06 풀림 방지 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410U KR20090011410U (ko) 2009-11-11
KR200448095Y1 true KR200448095Y1 (ko) 2010-03-15

Family

ID=4293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920U KR200448095Y1 (ko) 2008-05-06 2008-05-06 풀림 방지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0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628B1 (ko) * 2015-05-29 2018-01-0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그 가공방법, 그 조립방법 및 변형소켓
KR20240010323A (ko) 2022-07-15 2024-01-23 박철웅 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9520A (zh) * 2017-12-06 2018-06-05 航天精工股份有限公司 一种自锁螺母
CN108361267A (zh) * 2018-05-04 2018-08-03 宁波洋丹尔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自带夹紧头防松螺母
CN108775325A (zh) * 2018-08-03 2018-11-09 王平安 变形式组合防松螺母
CN108757700A (zh) * 2018-08-03 2018-11-06 王平安 变形式防松螺母组件
CN113513527A (zh) * 2020-04-10 2021-10-19 江苏力达实业科技有限公司 一种自锁型装配锁紧固定连接件
CN114183452A (zh) * 2021-12-22 2022-03-15 中山市丰亨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螺母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1117U (ko) * 1989-01-26 1990-08-13
JPH0932837A (ja) * 1995-07-20 1997-02-04 Amiri:Kk スプリングワッシャー付座金
JPH10306819A (ja) 1997-05-02 1998-11-17 Tadashi Oota 緩み止め部材および緩み止めナット
JP2001020930A (ja) 1999-07-06 2001-01-23 Ikeya Kogyo Kk ネジ式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1117U (ko) * 1989-01-26 1990-08-13
JPH0932837A (ja) * 1995-07-20 1997-02-04 Amiri:Kk スプリングワッシャー付座金
JPH10306819A (ja) 1997-05-02 1998-11-17 Tadashi Oota 緩み止め部材および緩み止めナット
JP2001020930A (ja) 1999-07-06 2001-01-23 Ikeya Kogyo Kk ネジ式固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628B1 (ko) * 2015-05-29 2018-01-0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그 가공방법, 그 조립방법 및 변형소켓
KR20240010323A (ko) 2022-07-15 2024-01-23 박철웅 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410U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095Y1 (ko) 풀림 방지 너트
KR101565450B1 (ko) 방사상으로 확장 가능한 볼트 어셈블리
KR100701643B1 (ko) 풀림방지너트
KR101779060B1 (ko) 풀림방지너트를 갖는 볼트 어셈블리
US20100143069A1 (en) Friction mechanism
US20120121361A1 (en) Loose preventing assembly
US20180135676A1 (en) Coupling nut and hold-down construction method
WO2014018005A1 (en) Wire thread insert
WO2007083428A1 (ja) 鉄筋係止具
KR101987381B1 (ko) 너트 풀림방지 장치
KR101628978B1 (ko) 풀림방지 와셔
JP2015094416A (ja) ボルト接続具
CN107810339A (zh) 包括带有转矩限制帽的紧固螺钉的管夹
JP7139183B2 (ja) ブラインドボルト
JP2007225026A (ja) 変位吸収機能を備えた継手
JP2002372021A (ja) ボルト締結構造
WO2002053926A1 (en) Threaded fastener with lock structure
JP2021085494A (ja) 緩み止めナット
RU2354861C1 (ru) Стопорный болт землякова для крепления в глухом отверстии
KR200415212Y1 (ko) 풀림 방지 너트
US20020168246A1 (en) Threadless bolt and nut combination
JP3199619U (ja) 緩み止めナット
US2788044A (en) Self-locking nut and threaded male member assembly, and parts thereof
TW201331483A (zh) 緊固螺栓
KR102434190B1 (ko) 풀림방지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