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559A -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 Google Patents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559A
KR20240040559A KR1020220119658A KR20220119658A KR20240040559A KR 20240040559 A KR20240040559 A KR 20240040559A KR 1020220119658 A KR1020220119658 A KR 1020220119658A KR 20220119658 A KR20220119658 A KR 20220119658A KR 20240040559 A KR20240040559 A KR 20240040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fixing members
fastening
peripheral surfac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건
조경환
신명규
강현우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9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559A/ko
Priority to PCT/KR2023/007273 priority patent/WO2024063244A1/ko
Publication of KR2024004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커넥터바디를 포함하는 바디유닛;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 및 상기 커넥터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맞물리는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인서트가 소정 길이만큼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에 맞닿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상기 인서트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인서트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CONNECTOR FOR MODULAR BUILDING JOINED WITHOUT FASTENING}
본 발명은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에 대한 발명이다.
커넥터는 내부에 삽입되는 철근이나 파이프, 볼트, 핀 등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복수 개의 철근을 연결시킬 필요가 있거나 수밀이 요구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를 서로 연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커넥터는 내부에 철근이 삽입될 때, 철근의 리브가 고정구의 돌기에 치합되고,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고정구가 가압되어 철근이 커넥터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철근을 커넥터 내부에 삽입시키기만 하면 철근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커넥터는 철근 등을 고정시키는 기능만 구비되어 있을 뿐, 한번 고정된 철근 등을 다시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철근과 같은 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 해제 할 수 있는 커넥터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인서트가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서트를 고정시키거나, 필요시 인서트가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커넥터바디를 포함하는 바디유닛;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 및 상기 커넥터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맞물리는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인서트가 소정 길이만큼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에 맞닿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상기 인서트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인서트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캡; 및 상기 캡을 상기 일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가 상기 일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캡은, 상기 캡의 외주면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 간에는 이격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캡의 일측에는 상기 이격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캡에는 캡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캡나사산에 치합되는 샤프트나사산이 형성된 리무버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가 소정 길이만큼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무버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타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캡이 지지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어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에는 인서트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서트체결부가 맞물리는 복수 개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돌출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적이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는 상기 돌출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으로부터 40도 내지 50도 각도로 경사진,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디유닛은, 상기 커넥터바디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헤드에는 상기 리무버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리무버 샤프트가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는,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 고정부재, 제2 고정부재, 제3 고정부재 및 제4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캡은, 상기 캡의 외주면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가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복수 개의 상기 고정부재 각각이 상기 일측 또는 상기 타측으로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선택적으로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인서트의 일측으로의 이동을 차단하여 인서트를 인서트 고정구에 고정시키거나,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인서트의 일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여 인서트를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고정부재가 인서트를 가압함으로써 인서트는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일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되어 인서트 고정구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리무버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복수 개의 고정부재와 인서트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인서트의 일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되어 인서트는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인서트 고정구에 인서트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인서트 고정구에 인서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인서트 고정구에서 인서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바디유닛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고정부재, 캡 및 리무버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고정부재, 캡 및 리무버 샤프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고정부재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나사산이 형성된 인서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돌기가 형성된 인서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1)(이하 커넥터(1)라 한다.)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일측은 도면에서의 하측을 의미하며, 타측은 도면에서의 상측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1)는 인서트(20)와 이러한 인서트(20)를 고정할 수 있는 인서트 고정구(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20)는 인서트 고정구(10) 내부에 삽입되어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 고정구(10)는 바디유닛(100), 고정부재(200), 캡(300), 탄성부재(400) 및 리무버 샤프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유닛(100)은 고정부재(200) 및 탄성부재(400)를 지지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디유닛(100)은 인서트(20)가 인서트 고정구(10)에 삽입되었을 때 인서트(20)를 둘러쌀 수 있다. 이러한 바디유닛(100)은 커넥터바디(110) 및 헤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바디(110)는 내부에 고정부재(200)가 소정 길이만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바디(110)는 일측(도면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바디(110)의 내주면의 타측(도면에서 상측)은 횡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고, 내주면의 일측은 일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커넥터바디(110)의 내주면에는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이 맞닿을 수 있다.
커넥터바디(110)는 상부에 헤드(120)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바디(110)의 타측 내주면에는 바디나사산(111)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바디나사산(111)에는 헤드(120)의 후술할 헤드나사산(122)이 치합될 수 있다.
헤드(120)는 커넥터바디(1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120)에는 헤드나사산(122)이 형성되어 커넥터바디(110)의 바디나사산(111)과 치합될 수 있다. 헤드(120)가 커넥터바디(110)에 체결된 상태일 때, 헤드(120)의 일측면에는 탄성부재(400)의 타측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헤드(120)에는 리무버 샤프트(500)를 지지하도록 리무버 샤프트(500)가 관통될 수 있는 통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고정부재(200)는 인서트(20)를 가압함으로써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 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고정부재(200)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인서트(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S)이 형성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삽입공간(S)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에 의해 형성된 삽입공간(S)에는 인서트(20)가 삽입되어 고정부재(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후술할 돌기부(220) 또는 나사산부(230)에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커넥터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소정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다.
고정부재(200)는 커넥터바디(11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은 커넥터바디(110)의 내주면과 대응되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은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커넥터바디(110)의 외주면에 맞닿을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200)는 인서트(20)가 소정 길이만큼 삽입공간(S)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은 커넥터바디(110)의 내주면에 맞닿게 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인서트(20)의 중심방향으로 인서트(20)를 가압함으로써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인서트(20)는 고정부재(20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고정부재(200)에는 체결홈(210) 및 돌기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체결홈(210)은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타측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210)에는 캡(30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캡(300)에 의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300)의 외주면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체결홈(210)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돌기부(220)는 고정부재(200)의 내주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부(220)에는 인서트(20)의 후술할 인서트체결부(21)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220)는 고정부재(200)의 연장방향(도 9에서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돌기부(220)가 일방향(도 9에서의 좌우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 배치되도록 고정부재(200)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돌기부(220)는 돌출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적이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돌기부(220)는 돌출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적이 삼각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20)는 돌출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220)의 경사면은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으로부터 40도 내지 50도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200)에는 돌기부(220)를 대신하여 나사산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부(230)는 고정부재(200)의 내주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산부(230)에는 인서트(20)의 인서트체결부(210)가 맞물릴 수 있다. 나사산부(230)는 돌출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적이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부(230)는 복수 개가 일방향(도 10에서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고정부재(200)의 연장방향(도 10에서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고정부재(200)는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 고정부재(201), 제2 고정부재(202), 제3 고정부재(203) 및 제4 고정부재(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부재(201), 제2 고정부재(202), 제3 고정부재(203) 및 제4 고정부재(204)의 체결홈(210)에는 캡(30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캡(300)의 외주면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체결홈(210)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캡(300)의 외주면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체결홈(210)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커넥터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각각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간에는 캡(300)에 의해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소정의 이격공간에는 캡(300)의 후술할 걸림부(310)가 걸릴 수 있다.
캡(300)은 외주면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체결홈(210)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캡(300)은, 캡(300)의 외주면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커넥터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각각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캡(300)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를 지지함으로써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탈되지 않고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모두가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캡(300)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를 지지함으로써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각각이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커넥터바디(110)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캡(300)의 타측면에는 탄성부재(400)의 일측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캡(300)에는 걸림부(310) 및 캡나사산(320)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10)는 캡(300)의 외주면의 어느 일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310)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간의 이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걸림부(310)는 고정부재(200)의 일측면에 걸릴 수 있다. 걸림부(310)가 고정부재(200)의 일측면에 걸리면, 리무버 샤프트(5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타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캡나사산(320)은 캡(30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캡나사산(320)에는 리무버 샤프트(500)의 후술할 샤프트나사산(510)이 치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무버 샤프트(5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치합된 샤프트나사산(510)에 의해 캡(300)은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캡(300)을 일측으로 가압하여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일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일측이 캡(300)의 타측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바디유닛(100) 헤드(120)의 일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20)가 소정 길이만큼 삽입공간(S)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부재(400)가 캡(300)을 일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은 커넥터바디(110)의 내주면에 맞닿게 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인서트(20)의 중심방향으로 인서트(20)를 가압함으로써 인서트(20)의 일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리무버 샤프트(500)는 리무버 샤프트(5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와 인서트(20)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리무버 샤프트(500)에는 캡(300)의 캡나사산(320)에 치합되는 샤프트나사산(5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20)가 소정 길이만큼 삽입공간(S)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리무버 샤프트(50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제 자리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샤프트나사산(510)에 치합된 캡나사산(320)이 샤프트나사산(510)을 따라 상대적으로 회전되면서 캡(300)이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캡(300)이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캡(300)과 체결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도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타측으로 이동되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면서 인서트(20)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리무버 샤프트(50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제 자리에서 회전되기 위하여 캡(300)의 걸림부(310)가 고정부재(200)의 일측에 걸려 있을 수 있다.
또한, 리무버 샤프트(500)를 회전시키지 않고, 리무버 샤프트(500)를 타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부재(200)와 인서트(20)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무버 샤프트(500)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캡(300)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면서 인서트(20)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한편, 리무버 샤프트(500)는 바디유닛(100) 헤드(120)의 통공(121)에 관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서트(20)는 인서트 고정구(10)에 대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됨으로써 고정부재(200)의 삽입공간(S)으로 삽입되어 인서트 고정구(10)와 맞물릴 수 있다. 인서트(20)에는 고정부재(200)의 내주면 돌기부(220) 또는 나사산부(230)에 맞물리도록 인서트체결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20)에 형성된 인서트체결부(21)는 고정부재(200)의 내주면 돌기부(220) 또는 나사산부(230)에 맞물릴 수 있다. 인서트(20)는 고정부재(200)의 삽입공간(S)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재(200)에 일측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인서트(20)의 중심방향으로 인서트(20)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인서트(20)의 일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되어 인서트(20)는 고정부재(20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인서트체결부(21)는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 형태의 인서트체결부(21)는 인서트나사산(21a)으로 명명될 수 있다(도 11 참조). 이러한 인서트나사산(21a)은 복수 개가 일방향(도 11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인서트나사산(21a)의 연장방향(도 11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인서트나사산(21a)은 연장방향을 따라 0.5 pitch 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체결부(21)는 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형태의 인서트체결부(21)는 인서트돌기(21b)로 명명될 수 있다(도 12 참조). 인서트돌기(21b)는 복수 개가 일방향(도 12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연장되는 형태로 인서트돌기(21b)의 연장방향(도 12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서트(20)가 소정 길이만큼 삽입공간(S)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부재(400)가 캡(300)을 일측으로 가압하여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은 커넥터바디(110)의 내주면에 맞닿게 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인서트(20)의 중심방향으로 인서트(20)를 가압함으로써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인서트(20)는 고정부재(200), 즉 인서트 고정구(1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20)가 소정 길이만큼 삽입공간(S)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리무버 샤프트(50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제 자리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캡(300) 및 캡(300)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리무버 샤프트(500)를 타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캡(300)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타측으로 이동되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면서 인서트(20)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에, 인서트(20)는 고정부재(200), 즉 인서트 고정구(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에 의해 인서트(20)의 일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되어 인서트(20)가 인서트 고정구(1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리무버 샤프트(5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타측으로 이동되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와 인서트(20)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인서트(20)의 일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이에, 인서트(20)는 인서트 고정구(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커넥터 10: 인서트 고정구
20: 인서트 21: 인서트체결부
21a: 인서트나사산 21b: 인서트돌기
100: 바디유닛 110: 커넥터바디
111: 바디나사산 120: 헤드
121: 통공 122: 헤드나사산
200: 고정부재 201: 제1 고정부재
202: 제2 고정부재 203: 제3 고정부재
204: 제4 고정부재 210: 체결홈
220: 돌기부 230: 나사산부
300: 캡 310: 걸림부
320: 캡나사산 400: 탄성부재
500: 리무버 샤프트 510: 샤프트나사산

Claims (11)

  1. 일측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커넥터바디를 포함하는 바디유닛;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 및
    상기 커넥터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맞물리는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인서트가 소정 길이만큼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에 맞닿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상기 인서트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인서트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캡; 및
    상기 캡을 상기 일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가 상기 일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캡은, 상기 캡의 외주면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 간에는 이격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캡의 일측에는 상기 이격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캡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캡나사산에 치합되는 샤프트나사산이 형성된 리무버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가 소정 길이만큼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무버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타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캡이 지지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어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에는 인서트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서트체결부가 맞물리는 복수 개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돌출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적이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돌출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으로부터 40도 내지 50도 각도로 경사진,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은,
    상기 커넥터바디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상기 리무버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리무버 샤프트가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는,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 고정부재, 제2 고정부재, 제3 고정부재 및 제4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캡은, 상기 캡의 외주면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가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복수 개의 상기 고정부재 각각이 상기 일측 또는 상기 타측으로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KR1020220119658A 2022-09-21 2022-09-21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KR20240040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658A KR20240040559A (ko) 2022-09-21 2022-09-21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PCT/KR2023/007273 WO2024063244A1 (ko) 2022-09-21 2023-05-26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658A KR20240040559A (ko) 2022-09-21 2022-09-21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559A true KR20240040559A (ko) 2024-03-28

Family

ID=9045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658A KR20240040559A (ko) 2022-09-21 2022-09-21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0559A (ko)
WO (1) WO2024063244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343A (ja) * 2001-02-02 2002-08-14 Ps Corp Pc鋼棒の係着装置、連結装置および定着装置
KR101929179B1 (ko) * 2018-05-10 2018-12-13 송주천 원터치식 커플러
KR102221614B1 (ko) * 2019-02-20 2021-03-02 웰시스 주식회사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KR200490659Y1 (ko) * 2019-02-28 2019-12-13 주식회사 신우산업 철근 볼트 고정 복합 너트
KR102220916B1 (ko) * 2019-09-30 2021-02-25 손명규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
KR102475538B1 (ko) * 2020-09-17 2022-12-08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철근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63244A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527B2 (en) Mounting element, mounting tool, and mounting-set
KR200474814Y1 (ko) 커플링 장치
RU2660954C1 (ru) Удерживающая рамка для модулей штекер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US9425540B2 (en) Housing for a contact device
KR20240040559A (ko) 패스닝 없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 커넥터
CA2954326C (en) Plug housing and assembly
KR101045120B1 (ko) 전기 커넥터
KR20150065119A (ko) 앵커볼트 구조체
JP2008095928A (ja) 締結部材
KR20060040688A (ko) 잠금 요소
JP6749572B2 (ja) パイプジョイント
KR20240066749A (ko)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
KR102248690B1 (ko) 회전 록킹 방식의 볼트 조립체
JP6538431B2 (ja) 電気コンタクト
CN108066015B (zh) 一种泵体卡紧装置
KR102524582B1 (ko) 내진장치
KR200492278Y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마운팅 부재
KR102532610B1 (ko) 리드-쓰루 시스템의 쐐기
KR200480808Y1 (ko) 메쉬트레이용 조명장치 장착구
KR20200040775A (ko) 케이블 클램핑 장치
KR101321844B1 (ko) 라멜라 접촉 구조를 갖는 메탈핀 커넥터
TWI836615B (zh) 線對板連接器
JP7178446B2 (ja) ナットロ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かかるナットロッキングシステムを備えた電子デバイス
KR20190007723A (ko) 그레이팅 패널 고정구
KR20190081444A (ko) 커넥터 클립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