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099B1 - 철근연결구 - Google Patents

철근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099B1
KR100662099B1 KR1020060040717A KR20060040717A KR100662099B1 KR 100662099 B1 KR100662099 B1 KR 100662099B1 KR 1020060040717 A KR1020060040717 A KR 1020060040717A KR 20060040717 A KR20060040717 A KR 20060040717A KR 100662099 B1 KR100662099 B1 KR 100662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reinforcing bar
insertion tube
connecto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조
Original Assignee
삼양기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양기전(주) filed Critical 삼양기전(주)
Priority to KR102006004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2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hooks or 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삽입된 철근 외주면을 탄성복원력으로 구속하여 별도의 나사체결 없이 두 개의 철근이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가 천공된 관처럼 형성되어 양단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된 한 쌍의 철근(F)을 지지하는 슬리브(120)와, 상기 슬리브(120)의 외경보다 작은 곡률로 라운드지도록 성형되어 상기 슬리브(12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철근(F)의 외주면에 돌출된 마디돌기(F')를 탄성복원력으로 구속하는 다수개의 탄성돌기(142)가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상기 슬리브(1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슬리브(1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부(144)가 구비되는 삽입관(1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다수개의 탄성돌기(142)는 삽입관(140)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돌기(142)의 일단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철근(F)과 선접촉하는 선접촉부(14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철근에 대한 구속력이 향상되며 철근연결구의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철근, 연결구, 탄성돌기, 선접촉, 나선

Description

철근연결구 { 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용 커플러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내부에 철근이 삽입되는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에 의해 두개의 철근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철근연결구 120. 슬리브
122. 시멘트유입홀 124. 위치확인홀
140. 삽입관 142. 탄성돌기
143. 선접촉부 144. 체결부
146. 구분슬릿 148. 삽입제한돌기
F . 철근 F'. 마디돌기
α . 경사각
본 발명은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삽입된 철근 외주면을 탄성복원력으로 구속하여 별도의 나사체결 없이 두개의 철근이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철근과 콘크리트의 각각의 장점 및 단점이 서로 보완될 수 있도록 일체시켜 구성한 것으로,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부분에 철근을 배치하여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즉, 콘크리트는 압력응력에 대한 저항력 및 압력강도에 비해 인장응력(引長應力)에 대한 저항력 즉, 인장강도가 현저히 약하므로 약간의 인장응력으로도 균열이 생겨 파괴된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콘크리트에는 압력응력이, 철근에는 인장응력이 각각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요근래에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로 인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내입되는 철근의 길이도 상대적으로 연장되게 되는데, 철근의 경우 일정길이의 규격품으로 그 길이가 한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구조물의 높이에 맞게 다수개의 철근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작업이 필수적이다.
한편, 상기한 연결작업은 두 개의 철근을 서로 겹치게 한다음 묶어서 연결하 는 겹이음, 가스압접이음, 그리고 기계적 이음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겹이음은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구조물이 고층일 경우 적용하는데 위험성이 있으며, 가스압점이음은 가열된 부분의 열변형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되어 안전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겹이음 및 가스압접의 단점인 내구성이 확보되며 시공이 간편한 기계적 이음을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계적 이음의 대표적인 예인 철근연결구는 많은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어 다양하게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구성을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에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50603호에 게재된 철근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 211394호에 게재된 철근연결용 커플러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구성 설명에 앞서 철근의 구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상기 철근(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마디돌기(1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마디돌기(12)는 콘크리트와 철근(10)의 구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철근(10)을 제조하는 회사마다 그 형상 및 이격 거리가 상이하다. 즉, 상기 마디돌기(12)가 지그재그 형상을 가진 철근(10)이 있는가 하면, 외주면을 두른 타입도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구(1)는 상기 마디돌기(12)의 이격 거리 및 형상에 따라 이에 맞는 철근연결구(1)를 적용하여 연결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철근연결구(1)는 상기 철근(10)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지는 원형관으로 형성되며, 내부는 좌/우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철근연결구(1)의 외면 중앙에는 걸림턱(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은 좌/우측을 통해서 철근연결구(1) 내부로 삽입된 철근(10)이 철근연결구(1)를 관통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반원모양으로 절개되며 하방향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2)의 하단부는 2개의 철근(10)이 철근연결구(1)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철근(10)이 서로 마주보는 면과 접촉하여 철근(1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게 되며, 상기 철근(10)은 철근연결구(1)를 관통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철근연결구(1)의 외주면 즉, 상기 걸림턱(2)을 기준으로 좌/우측에는 조임편(4)이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임편(4)은 탄성복원력을 발생하여 상기 마디돌기(12)와 간섭됨으로써 상기 철근(10)의 삽입 반대방향 유동을 규제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걸림턱(2)의 좌/우측에는 대략 "
Figure 112006031869298-pat00001
" 또는 "
Figure 112006031869298-pat00002
"모양을 가지는 다수개의 절개선(6)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선(6)의 내측 부분이 철근연결구(1)의 내부로 하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절곡됨으로써 상기 조임편(4)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편(4)의 하단부는 철근(10)이 철근연결구(1) 내부로 삽입될 때 마디돌기(12)와 간섭되어 탄성복원력이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구(1)는 철근 제조 회사마다 다른 형상을 가지는 마디돌기(12)를 간섭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즉, 상기 조임편(4)은 철근연결구(1)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디돌기(12)가 조임편(4)을 지나 탄성복원력을 발생하더라도 마디돌기(12)를 간섭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철근연결구(1)는 한 개의 부품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걸림턱(2) 및 조임편(4)이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다른 철근연결용 커플러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철근연결용 커플러(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기둥 모양의 슬리브(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20)의 상/하부 내측에는 삽입공(24)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24)은 아래에서 설명할 삽입관(33)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도록 함몰되어 삽입관(33)이 삽입되는 곳으로, 상기 슬리브(20)의 중앙부를 제외하고 상/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20)의 내부에는 삽입관(33)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삽입관(33)은 내부에 철근(10)을 수용한 상태로 마디돌기(12)에 탄성복원력을 발생하여 상기 철근(10)의 삽입 반대방향 유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삽입관(33)의 외면에는 삽입관(33)의 중심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가지는 탄성걸림편(30)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탄성걸림편(30)은 도 2에 도시된 확대도와 같이 상기 마디돌기(12)의 상단부와 접촉하여 철근(10)의 상방향 유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철근연결용 커플러(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슬리브(20)는 기둥 모양을 가지는 봉의 상/하단부에 중심방향으로 삽입공(24)을 형성한 것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10)의 삽입 깊이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삽입공(24)은 충분히 깊게 함몰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삽입공(24)의 가공이 용이하지 않아 불량율이 증가하게 되며, 가공비의 상승을 유발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삽입관(33)은 삽입공(24) 내부에 끼워져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슬리브(20)와 삽입관(33)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걸림편(30)에 의해 철근(10)이 구속되더라도 상기 삽입관 자체가 슬리브(20)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이므로 건설 현장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돌기가 슬리브의 외주면에서 나선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마디돌기를 모두 구속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보다 큰 구속력을 가지는 철근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가 천공된 관처럼 형성되어 양단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된 한 쌍의 철근을 지지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외경보다 작은 곡률로 라운드지도록 성형되어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철근의 외주면에 돌출된 마디돌기를 탄성복원력으로 구속하는 다수개의 탄성돌기가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슬리브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삽입관;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다수개의 탄성돌기는 삽입관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의 외면 일측에는, 시멘트가 상기 슬리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시멘트유입홀이 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의 외면 일측에는, 슬리브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되어 상기 삽입관의 삽입 위치가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확인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관은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은 상기 슬리브의 내경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관은 상기 슬리브 내부에 다수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관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슬리브의 중심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상기 슬리브 내부로 삽입된 철근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삽입제한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돌기의 일단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철근과 선접촉하는 선접촉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접촉부는 상기 철근의 외경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돌기는 삽입관과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는 삽입관의 길이방향으로 슬릿(slit)되어 상기 체결부를 다수개로 구분하는 구분슬릿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돌기는 삽입관의 상/하단부가 이루는 직선과 35°∼ 55°만큼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철근의 구속력이 극대화되며 철근연결구의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100)는 내부가 좌/우측으로 개구된 대략 원통 모양을 가지며, 개구된 좌/우측을 통해 각각 1개의 철근(도 6의 도면부호 F)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철근연결구(100)는 내부로 삽입된 철근(F)의 마디돌기(F')를 탄성복원력으로 구속하여 삽입 반대방향으로는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철근연결구(100)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가 천공된 관처럼 형성되어 양단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된 한 쌍의 철근(F)을 지지하는 슬리브(120)와, 사각판을 폭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성형하여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120)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철근(F)의 외주면에 돌출된 마디돌기(F')를 탄성복원력으로 구속하는 다수개의 탄성돌기(142)가 형성된 삽입관(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돌기(142)는 삽입관(140)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그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슬리브(120)는 삽입관(14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관(140) 내부에 삽입된 철근(F) 및 삽입관(140)을 지지하는 것으로,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원형관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120)의 외면 좌/우측에는 동그랗게 천공된 시멘트유입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시멘트유입홀(122)은 철근연결구(100)에 의해 철근(F)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철근연결구(100) 내부로 시멘트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120)의 외면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멘트유입홀(122)의 사이에는 위치확인홀(124)이 구비된다. 상기 위치확인홀(124)은 슬리브(120) 내부에 삽입된 삽입관(14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슬리브(120)의 강도 가 저하되지 않도록 슬리브(1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된다.
한편, 상기 슬리브(120) 내부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삽입관(14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관(140)은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전술한 탄성돌기(142)가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철근(F)에 구속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관(140)의 외주면은 상기 슬리브(120)의 외경보다 작은 곡률을 가진다. 보다 정확하게 상기 삽입관(140)의 외주면은 슬리브(120)의 내경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관(14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리브(120) 내부에 삽입되며, 양단부에는 상기 삽입관(140)이 슬리브(120) 내부에서 유동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부(14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부(144)는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관(140)이 슬리브(120) 내부에 삽입시에 슬리브(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관(140)의 외면이 슬리브(120)의 내주면과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144)를 슬리브(12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시키게 되면 상기 삽입관(140)은 슬리브(12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체결부(144)는 필요에 따라서는 모서리 부분을 곡선으로 처리하여 반원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날카로운 모서리를 제거하여 작업자의 신체상 상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관(140)의 양단부 즉, 체결부(144)의 중앙부에는 상기 삽입관(140)의 길이방향으로 슬릿(slit)되어 상기 체결부(144)를 다수개로 구분하는 구분슬릿(146)이 구비된다.
상기 구분슬릿(146)은 체결부(144)가 도 3과 같이 슬리브(120)의 양단부를 감싸듯이 절곡될 때 상기 체결부(144)가 구분슬릿(146)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파단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구분슬릿(146)은 체결부(144)의 체결력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수개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삽입관(140)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철근연결구(100) 내부로 삽입된 철근(F)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삽입제한돌기(148)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제한돌기(148)는 한 쌍의 삽입관(14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각각의 삽입관(140)에 형성된 삽입제한돌기(148)의 이격 거리는 상기 철근(F)의 직경보다 가깝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철근(F)이 철근연결구(100)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철근연결구(100) 내부에 삽입된 철근(F)의 단부는 삽입제한돌기(148)의 단부와 간섭되어 더 이상 삽입이 규제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제한돌기(148)는 철근(F)과의 접촉시에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제한돌기(14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F)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삽입제한돌기(148)는 철근(F)이 철근연결구(100) 내부로 빠르게 삽입되더라도 탄성복원력을 발생하지 않고 간섭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제한돌기(148)와 체결부(144) 사이에는 상기한 탄성돌기(142)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돌기(142)는 도 3에 도시된 가상선과 같이 삽입관(140) 외면에서 나선을 그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140)의 외면을 대략 'ㄷ'모양으로 다수 곳 슬릿(slit) 한 후 한 쌍의 삽입관(140)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상기 삽입관(14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돌기(142)가 배열된 나선과 상기 삽입관(140)의 상하단부가 이루는 경사각(α)은 35°∼ 55°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경사각(α)이 35°미만일 때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탄성돌기(142)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상기 마디돌기(F')를 간섭할 수 있는 탄성돌기(142)의 수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반대로 상기 경사각(α)이 55°이상이면,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탄성돌기(142)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므로 상기 마디돌기(F')를 간섭하지 못하고 철근(F)의 외주면에 접촉하게 되는 쓸모없는 탄성돌기(142)가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각(α)은 35°∼ 55°만큼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돌기(142)의 하단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선접촉부(143)가 형성된다. 상기 선접촉부(143)는 탄성돌기(142)의 단부가 상기 철근(F) 또는 마디돌기(F')의 외주면과 점접촉시에 발생될 수 있는 구속력 저하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탄성돌기(142)의 단부가 철근(F) 또는 마디돌기(F')의 외주면과 선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선접촉부(143)는 철근(F) 또는 마디돌기(F')의 외경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철근연결구(100)를 이용하여 두개의 철근(F)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내부에 철근이 삽입되는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에 의해 두개의 철 근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철근연결구(100)를 이용한 철근(F)의 연결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4와 같이 분리된 상태의 철근연결구(100)를 조립하는 과정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4와 같이 상기 슬리브(120)와 삽입관(140)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120) 내부에 삽입관(140)을 삽입하게 된다. 상기 삽입관(140)이 삽입되면 삽입관(140)의 외주면과 슬리브(120)의 내주면을 면접촉시킨 후에 상기 체결부(144)를 슬리브(120)의 외주방향으로 절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144)는 다수개의 구분슬릿(146)에 의해 구분되어 있으므로, 구분슬릿(146)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보다는 집중되는 응력의 크기가 작아져 파단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확인홀(124)을 통해 삽입관(140)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즉, 상기 위치확인홀(124)을 통해 슬리브(120) 내부를 들여다 보았을 때 상기 위치확인홀(124)이 삽입관(14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한 쌍의 철근(F)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철근연결구(100)가 시멘트에 매설될 때 상기 시멘트유입홀(122)을 통해 시멘트가 철근연결구(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철근연결구(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철근연결구(100)는 도 3 및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3과 같이 조립 완료된 철근연결구(100)를 이용하여 두 개의 철근(F)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6과 같이 철근연결구(100)의 좌/우측에서 내부로 철근(F)을 밀 어넣게 된다.
상기 철근(F)이 철근연결구(100)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돌기(142)의 하면이 마디돌기(F')와 간섭되면 상기 탄성돌기(142)는 철근연결구(100)의 외측방향으로 밀려 탄성복원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철근(F)이 철근연결구(100)의 중심 방향으로 더 삽입되면, 상기 철근(F)의 단부는 삽입제한돌기(148)와 접촉함과 동시에 더 이상 삽입이 제한되며, 상기 다수개의 탄성돌기(142)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됨으로써 도 7과 같이 마디돌기(F') 또는 철근(F)의 외주면과 간섭된다.
상기 탄성돌기(142)의 간섭에 의해 상기 철근(F)은 삽입 반대방향으로는 유동하지 못하게 되어 두 개의 철근(F) 연결은 완료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철근연결구(100)는 철근을 밀어넣는 과정만으로 철근의 연결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연결구는,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돌기가 슬리브의 외주면에서 나선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제조 회사마다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마디돌기를 모두 구속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만족도 향상이 기대된다.
또한, 철근을 밀어넣는 과정만으로 철근의 연결이 완료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가능하며 보다 큰 구속력을 가지게 되므로 작업자의 안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가 천공된 관처럼 형성되어 양단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된 한 쌍의 철근을 지지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외경보다 작은 곡률로 라운드지도록 성형되어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철근의 외주면에 돌출된 마디돌기를 탄성복원력으로 구속하는 다수개의 탄성돌기가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슬리브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삽입관;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다수개의 탄성돌기는 삽입관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면 일측에는,
    시멘트가 상기 슬리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시멘트유입홀이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면 일측에는,
    슬리브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되어 상기 삽입관의 삽입 위치가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확인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은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은 상기 슬리브의 내경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은 상기 슬리브 내부에 다수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슬리브의 중심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상기 슬리브 내부로 삽입된 철근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삽입제한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의 일단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철근과 선접촉하는 선접촉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접촉부는 상기 철근의 외경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는 삽입관과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는 삽입관의 길이방향으로 슬릿(slit)되어 상기 체결부를 다수개로 구분하는 구분슬릿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탄성돌기가 이루는 나선은 삽입관의 상/하단부가 이루는 직선과 35°∼ 55°만큼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KR1020060040717A 2006-05-04 2006-05-04 철근연결구 KR100662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717A KR100662099B1 (ko) 2006-05-04 2006-05-04 철근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717A KR100662099B1 (ko) 2006-05-04 2006-05-04 철근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2099B1 true KR100662099B1 (ko) 2006-12-27

Family

ID=3781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717A KR100662099B1 (ko) 2006-05-04 2006-05-04 철근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099B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930B1 (ko) * 2007-03-29 2008-09-09 이완섭 철근 및 철근 커플러와 그들을 이용한 철근의 연결 방법
KR100912207B1 (ko) 2007-07-28 2009-08-14 박동수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KR100957422B1 (ko) 2008-04-03 2010-05-11 최영완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101121948B1 (ko) * 2009-04-15 2012-04-03 엘케이테크 주식회사 철근연결구
KR101121931B1 (ko) * 2009-03-30 2012-04-03 엘케이테크 주식회사 철근연결구
KR101168009B1 (ko) 2011-07-01 2012-07-26 박정식 철근이음장치
KR20150105215A (ko) * 2014-03-06 2015-09-16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유.에스. 엘엘씨 인쇄 회로 기판 장착 장치
CN106988487A (zh) * 2016-01-20 2017-07-28 上海标仕建筑工程材料有限公司 半灌浆式钢筋连接接头
CN107366389A (zh) * 2017-07-05 2017-11-21 武汉理工大学 一种用于预制剪力墙、柱的钢管套筒及其制作方法
CN108035493A (zh) * 2018-01-31 2018-05-15 合肥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抗震装配自锁式半灌浆套筒
CN108301567A (zh) * 2018-01-31 2018-07-20 合肥建工集团有限公司 抗震自锁式滚压半灌浆套筒加工方法、砼构件加工方法
CN108301571A (zh) * 2018-01-31 2018-07-20 合肥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抗震装配自锁式滚压半灌浆套筒
CN108301570A (zh) * 2018-01-31 2018-07-20 合肥建工集团有限公司 抗震自锁式半灌浆套筒加工方法、砼构件加工方法
CN108412134A (zh) * 2018-02-10 2018-08-17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混合型灌浆套筒及其预制剪力墙
CN108412133A (zh) * 2018-01-30 2018-08-17 浙江新盛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自锁装配式构件的钢筋连接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258956A (zh) * 2019-06-28 2019-09-20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装配式钢-混构件的竖向主筋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CN110453607A (zh) * 2019-08-22 2019-11-15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桥墩钢筋连接方式及其施工方法
CN112360063A (zh) * 2020-11-03 2021-02-12 日照市睿尔泽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建筑工程高质量安装的钢筋连接机构
CN114737716A (zh) * 2022-03-31 2022-07-12 福建大华建设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剪力墙建筑上下连接结构
CN115306076A (zh) * 2022-08-10 2022-11-08 华济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墙板
WO2023277721A1 (ru) * 2021-06-28 2023-01-05 Лев Маркович ЗАРЕЦКИЙ Заполняем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930B1 (ko) * 2007-03-29 2008-09-09 이완섭 철근 및 철근 커플러와 그들을 이용한 철근의 연결 방법
KR100912207B1 (ko) 2007-07-28 2009-08-14 박동수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KR100957422B1 (ko) 2008-04-03 2010-05-11 최영완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101121931B1 (ko) * 2009-03-30 2012-04-03 엘케이테크 주식회사 철근연결구
KR101121948B1 (ko) * 2009-04-15 2012-04-03 엘케이테크 주식회사 철근연결구
KR101168009B1 (ko) 2011-07-01 2012-07-26 박정식 철근이음장치
KR20150105215A (ko) * 2014-03-06 2015-09-16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유.에스. 엘엘씨 인쇄 회로 기판 장착 장치
KR101702746B1 (ko) 2014-03-06 2017-02-06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유.에스. 엘엘씨 인쇄 회로 기판 장착 장치
CN106988487A (zh) * 2016-01-20 2017-07-28 上海标仕建筑工程材料有限公司 半灌浆式钢筋连接接头
CN107366389A (zh) * 2017-07-05 2017-11-21 武汉理工大学 一种用于预制剪力墙、柱的钢管套筒及其制作方法
CN108412133B (zh) * 2018-01-30 2023-07-18 浙江新盛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自锁装配式构件的钢筋连接装置及其使用方法
CN108412133A (zh) * 2018-01-30 2018-08-17 浙江新盛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自锁装配式构件的钢筋连接装置及其使用方法
CN108301571A (zh) * 2018-01-31 2018-07-20 合肥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抗震装配自锁式滚压半灌浆套筒
CN108301567A (zh) * 2018-01-31 2018-07-20 合肥建工集团有限公司 抗震自锁式滚压半灌浆套筒加工方法、砼构件加工方法
CN108035493A (zh) * 2018-01-31 2018-05-15 合肥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抗震装配自锁式半灌浆套筒
CN108301570A (zh) * 2018-01-31 2018-07-20 合肥建工集团有限公司 抗震自锁式半灌浆套筒加工方法、砼构件加工方法
CN108412134A (zh) * 2018-02-10 2018-08-17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混合型灌浆套筒及其预制剪力墙
CN108412134B (zh) * 2018-02-10 2024-04-05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混合型灌浆套筒及其预制剪力墙
CN110258956B (zh) * 2019-06-28 2021-03-30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装配式钢-混构件的竖向主筋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CN110258956A (zh) * 2019-06-28 2019-09-20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装配式钢-混构件的竖向主筋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WO2021031373A1 (zh) * 2019-08-22 2021-02-25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桥墩钢筋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453607A (zh) * 2019-08-22 2019-11-15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桥墩钢筋连接方式及其施工方法
CN112360063A (zh) * 2020-11-03 2021-02-12 日照市睿尔泽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建筑工程高质量安装的钢筋连接机构
WO2023277721A1 (ru) * 2021-06-28 2023-01-05 Лев Маркович ЗАРЕЦКИЙ Заполняем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CN114737716A (zh) * 2022-03-31 2022-07-12 福建大华建设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剪力墙建筑上下连接结构
CN114737716B (zh) * 2022-03-31 2024-01-19 福建大华建设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剪力墙建筑上下连接结构
CN115306076A (zh) * 2022-08-10 2022-11-08 华济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墙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099B1 (ko) 철근연결구
KR101121948B1 (ko) 철근연결구
KR101121931B1 (ko) 철근연결구
KR200423810Y1 (ko) 철근연결구
KR101796538B1 (ko) 철근용 커플러
KR100760009B1 (ko) 철근연결장치
KR100725529B1 (ko) 철근연결장치의 가압커플러
WO2007136233A1 (en)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KR102324815B1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JP6955290B2 (ja) ワンタッチ式固定手段が一体に配設されたv字状の帯鉄筋
KR20100009774A (ko) 철근연결구
KR100725527B1 (ko) 철근연결장치
KR101613429B1 (ko) 철근 이음장치
KR200402526Y1 (ko) 철근연결장치
KR102296581B1 (ko) 나선형 띠철근 시공용 고정지그
KR200400531Y1 (ko) 철근연결장치
EP1328691A1 (en) Spacer element for building blocks, construction unit comprising said element and method of spacing building blocks
KR100647910B1 (ko) 철근연결장치
JP2006169883A (ja) 仮設部材及び仮設部材用連結部
KR102083942B1 (ko) 철근이음장치
KR102550297B1 (ko) 철근연결구
KR101221322B1 (ko) 철근연결구
KR102550300B1 (ko) 철근연결구
KR20210007522A (ko) 철근 커플링
KR20130138100A (ko) 철근 결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