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526Y1 - 철근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철근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2526Y1 KR200402526Y1 KR20-2005-0025503U KR20050025503U KR200402526Y1 KR 200402526 Y1 KR200402526 Y1 KR 200402526Y1 KR 20050025503 U KR20050025503 U KR 20050025503U KR 200402526 Y1 KR200402526 Y1 KR 2004025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r
- pressure
- reinforcing bar
- circumferential surface
- reinforcing bar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2679 ab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연결 작업시에 철근의 단부와 접촉하여 압력을 발생하는 압력발생부가 더 구비되는 철근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100)는, 철근(F)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으로 가공되어 상기 철근(F) 외주면에 안착되고, 외주면은 일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성형된 경사커플러(120)와; 외관 대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커플러(120)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내주면 일측이 상기 경사커플러(120)의 외주면과 면접촉하여 경사커플러(120)의 일방향 유동을 규제하는 구속커플러(140)와, 상기 구속커플러(140)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경사커플러(120) 내부에 수용된 철근(F)이 유동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압력커플러(16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압력커플러(160) 좌우측 단부에는 단차지게 돌출되고 상기 철근(F)의 일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철근(F)에 길이방향 압력을 발생시키는 압력발생부(16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철근에 대한 구속력이 향상되며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철근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 연결 작업시에 양측을 통해서 내부로 삽입된 철근의 단부와 접촉하여 철근에 압력을 가해지도록 하는 압력발생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철근에 대한 구속력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철근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철근과 콘크리트의 각각의 장점 및 단점이 서로 보완될 수 있도록 일체시켜 구성한 것으로,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부분에 철근을 배치하여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즉, 콘크리트는 압력응력에 대한 저항력 및 압력강도에 비해 인장응력(引長應力)에 대한 저항력 즉, 인장강도가 현저히 약하므로 약간의 인장응력으로도 균열이 생겨 파괴된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콘크리트에는 압력응력이, 철근에는 인장응력이 각각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요근래에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로 인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내입되는 철근의 길이도 상대적으로 연장되게 되는데, 철근의 경우 일정길이의 규격품으로 그 길이가 한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구조물의 높이에 맞게 다수개의 철근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작업이 필수적이다.
한편, 상기한 연결작업은 두 개의 철근을 서로 겹치게 한다음 묶어서 연결하는 겹이음, 가스압접이음, 그리고 기계적 이음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겹이음은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구조물이 고층일 경우 적용하는데 위험성이 있으며, 가스압점이음은 가열된 부분의 열변형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되어 안전하지 못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겹이음 및 가스압접의 단점인 내구성이 확보되며 시공이 간편한 기계적 이음을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계적 이음의 대표적인 예인 철근연결장치는 많은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어 다양하게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장치를 사용하여 철근을 연결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구성 설명에 앞서 철근의 구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상기 철근(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마디돌기(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마디돌기(1')는 콘크리트와 철근(1)의 구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철근(1)을 제조하는 회사마다 그 형상 및 이격 거리가 상이하다. 즉, 상기 마디돌기(1')가 지그재그 형상을 가진 철근(1)이 있는가 하면, 도 1과 같이 외주면을 두른 타입도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장치(10)는 상기 마디돌기(1')의 이격 거리 및 형상에 따라 이에 맞는 철근연결장치(10)를 적용하여 연결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철근연결장치(10)는 도 1과 같이 다수개의 부품이 서로 결합되어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철근연결장치(10)는 외주면에 수나사(22)가 가공되고 내부가 천공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1)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커플러(20)와, 상기 철근(1)의 외주면을 덮어서 내면이 상기 마디돌기(1')와 간섭되도록 하여 상기 철근(1)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커플러(30)와, 상기 구속커플러(30)를 내부에 수용하고 구속커플러(30)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구속커플러(30)의 중심방향으로 압력을 발생하는 절개편(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커플러(20)는 상기 철근(1)을 내부에 수용하여 두개의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1)이 동일한 수직선 상에 놓이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는 상기 철근(1)의 외경, 보다 상세하게는 마디돌기(1')의 돌출된 높이를 포함한 철근(1)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지도록 천공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커플러(20)의 내부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철근(1)이 양방향에서 삽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수나사는 상기 절개편(40)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42)와 대응되는 피치(pitch)로 가공되어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암나사(42)와 수나사(22)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절개편(40)은 가이드커플러(20)로부터 이탈이 규제된다.
상기 가이드커플러(20)의 이격된 좌우측에는 상기한 구속커플러(30)가 구비된다. 상기 구속커플러(30)는 가이드커플러(20)의 좌우측에 각각 쌍으로 구성되며 서로 근접하게 되면 도 2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속커플러(30)의 상면은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성형되며 내부에는 상기 철근(1)의 외형과 대응되는 수용공간(32)이 함몰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구속커플러(30)를 상기 철근(1)의 외주면에 접촉시키게 되면 상기 수용공간(32)은 철근(1) 외주면을 빈틈없이 감싸게 되어 상기 구속커플러(30)는 철근(1) 외주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유동이 구속된다.
한편, 상기 절개편(40)은 내부에 구속커플러(3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커플러(20)의 좌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속커플러(30)에 중심방향으로 압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절개편(40)의 내부에는 상기 구속커플러(30)의 경사진 외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간섭부(4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섭부(44)는 그 형성 길이가 상기 구속커플러(30)의 길이와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철근(1)을 절개편(40) 내부에 삽입하여 철근(1)의 단부가 상기 절개편(4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다음 상기 철근(1) 외주면에 구속커플러(3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철근(1)을 삽입 반대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구속커플러(30)의 경사진 외면은 간섭부(44)와 면접촉하게 되어 상기 철근(1)은 일방향 유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편(40)을 회동시켜 상기 암나사(42)와 가이드커플러(20)의 수나사(22)를 나사 결합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커플러(20)의 좌우측단은 상기 구속커플러(30)의 마주보는 면에 외측방향의 압력을 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구속커플러(30)의 외면은 상기 간섭부(44)로부터 중심방향의 압력을 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철근(1) 외주면에 안착되는 구속커플러(30)는 상기 가이드커플러(20)와 절개편(40)에 각각 형성된 수나사(22)와 암나사(42)가 서로 체결되어 외측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되며, 이러한 힘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커플러(20)의 양단부는 상기 구속커플러(30)에 압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두개의 철근(1)이 철근연결장치(10)에 의해서 결합되면 내부가 관통된 상기 가이드커플러(20) 내부에는 도 2와 같이 철근(1)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어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철근(1) 외주면에 안착되는 구속커플러(30)의 안착위치 및 작업자에 따라서 철근연결장치(10) 내부에 수용된 철근(1)의 이격거리가 변화하게 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된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상기 철근연결장치(10)가 분해되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철근 연결 작업시에 양측을 통해서 내부로 삽입된 철근의 단부와 접촉하여 철근에 압력을 가해지도록 하는 압력발생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철근에 대한 구속력 향상되도록 하는 철근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미숙련공에 의해서 철근 연결작업이 수행되더라도 철근의 단부가 압력발생부와 접촉한 상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철근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는, 철근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으로 가공되어 상기 철근 외주면에 안착되고, 외주면은 일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성형된 경사커플러와; 외관 대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커플러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내주면 일측이 상기 경사커플러의 외주면과 면접촉하여 경사커플러의 일방향 유동을 규제하는 구속커플러와, 상기 구속커플러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경사커플러 내부에 수용된 철근이 유동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압력커플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압력커플러 좌우측 단부에는 단차지게 돌출되고 상기 철근의 일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철근에 길이방향 압력을 발생시키는 압력발생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커플러의 외주면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구속커플러의 내주면 일측과 간섭되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커플러의 내주면 일측에는 함몰 성형되어 상기 철근의 외주면에 돌출된 마디돌기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며, 상기 경사커플러가 철근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수용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커플러의 내주면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가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커플러의 내주면에는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성형되어 경사면과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경사커플러의 일방향 유동을 규제하는 간섭면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커플러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구속커플러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체결되는 수나사와, 상기 수나사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철근과 접촉시에 압력을 발생하는 압력발생부와,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수나사와 암나사를 체결시에 상기 공구의 미끄러짐을 규제하는 힘전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커플러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발생부는 철근의 외경과 대응되는 외경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힘전달부는 압력커플러의 외주면 중앙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철근의 구속력이 극대화되며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100)는 결합된 상태에서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되며, 좌우측이 비어있어 이러한 좌우측에 철근(F)이 각각 삽입된 상태로 구속됨으로써 두개의 철근(F)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철근연결장치(100)는 크게 상기 철근(F)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으로 가공되어 상기 철근(F) 외주면에 안착되는 경사커플러(도 4의 도면부호 120)와, 외관 대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커플러(12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경사커플러(120)의 일방향 유동을 규제하는 구속커플러(140)와, 상기 구속커플러(14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철근(F)의 유동을 규제하는 압력커플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커플러(120)는 압력커플러(160)의 좌우측에 각각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커플러(120)는 외주면이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성형된다. 즉, 상기 경사커플러(120)의 외주면에는 경사지게 가공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간섭면(도 4의 도면부호 142)과 면접촉하여 간섭되는 경사면(1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커플러(120)가 철근(F) 외주면 상하부에 각각 안착되어 형합되면 상기 경사커플러(120)는 사다리꼴 모양(도 7 참조)의 종단면을 갖게 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간섭면(142)과 선택적으로 면접촉하여 일방향 유동이 간섭된다. 즉, 상기 경사커플러(120)는 구속커플러(140)를 관통할 수 없게 된다.
상기 경사커플러(120)의 마주보는 내주면에는 수용홈(124)이 함몰 성형된다. 상기 수용홈(124)은 철근(F) 외주면에 돌출된 마디돌기(F')가 내부에 수용되는 곳으로, 철근(F)을 생산하는 제조업체마다 서로 다른 이격 거리 및 형상을 가지는 마디돌기(F')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24)의 폭은 5 내지 9mm의 폭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124) 내부에 철근(F)의 마디돌기(F')가 수용되면 상기 수용홈(124)과 마디돌기(F')는 서로 간섭됨으로써 상기 경사커플러(120)는 철근(F)의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24)의 이격된 일측(도 4에서 볼 때 상기 압력커플러(160)가 위치한 방향)에는 절제홈(126)이 형성된다. 상기 절제홈(126)은 경사커플러(120)의 내주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절제(切除)되어 상기 수용홈(124)과 동일한 깊이를 가지며, 상기 경사커플러(120)에서 절제홈(126)이 형성된 반대편에 대하여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가공됨으로써 상기 마디돌기(F')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수용되도록 한다.
이것은 상기 경사커플러(120)의 작용 즉, 상기 마디돌기(F')를 구속하는 작용을 감안할 때 불필요한 부분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철근연결장치(100)를 이용한 철근(F) 연결시에 실제적으로 마디돌기(F')와 접촉하여 철근(F)의 이탈을 규제하는 부분은 도 5에 기재된 "A"부이기 때문이다.
상기 경사커플러(120)의 이격된 일측에는 상기한 구속커플러(140)가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구속커플러(140)는 경사커플러(12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경사면(122)을 구속하여 경사커플러(120)의 일방향 유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철근(F)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구속커플러(140)의 내주면에는 상기 경사면(122)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간섭면(14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간섭면(142)은 경사커플러(120)가 구속커플러(140) 내부에 삽입됐을 때 상기 간섭면(142)과 면접촉하게 되어 상기 경사커플러(120)의 일방향 유동을 규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면(122)과 간섭면(142)이 접촉한 상태로 상기 경사커플러(120)가 구속커플러(140)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경사면(122)은 간섭면(142)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구속커플러(140)의 중심방향으로 모이게 되므로 상기 경사커플러(120)의 내주면은 철근(F) 외주면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구속커플러(14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44)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144)는 압력커플러(1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62)와 동일한 나사산 크기로 성형되어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구속커플러(140)와 압력커플러(16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규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암나사(144)는 간섭면(142)의 가장 큰 내경이 형성된 단부에서부터 간섭면(142)이 형성되지 않은 타단부까지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경사커플러(120)가 구속커플러(140)의 내부로 삽입될 때 일방향으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구속커플러(140)의 외면에는 상기 철근연결장치(100)를 이용한 철근 연결시에 공구(미도시)에 의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파지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146)는 아래에서 설명할 힘전달부(166)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상기 구속커플러(140)와 압력커플러(160)를 강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압력커플러(160)는 구속커플러(140)와 결합되어 상기 철근(F)에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압력커플러(160)의 외주면 좌우측에는 수나사(162)가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162)와 암나사(144)의 체결에 의해서 상기 철근(F)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커플러(160)의 외주면과 동심원을 이루는 좌우측 단부에는 본 고안의 요부를 구성하는 압력발생부(164)이 형성된다. 상기 압력발생부(164)는 압력커플러(160)의 좌우측 단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구속커플러(140) 내부로 삽입된 철근(F)의 단부와 접촉하며, 철근(F)에 길이방향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압력발생부(164)는 구속커플러(140)와 압력커플러(160)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철근(F)의 단부와 강한 압력이 발생한 상태로 면접촉할 때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압력커플러(160)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압력커플러(160)는 중실(中實)봉으로 가공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속커플러(140)와 경사커플러(120)가 수나사(162)와 암나사(144)의 체결에 의해서 서로 형합될 때 상기 철근(F)은 압력커플러(160)의 중심방향으로 근접하게 되며, 이때, 상기 철근(F)은 경사커플러(120)에 의해서 길이방향 슬라이딩이 규제된 상태이므로 결국 상기 철근(F)에는 압력이 발생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철근(F)의 단부에 발생된 압력은 상기 경사면(122)과 간섭면(142) 사이의 간섭량을 증가시키게 되고, 증가된 간섭량은 상기 마디돌기(F')와 수용홈(124) 및 절제홈(126) 사이의 압력으로 전달되어 상기 철근(F)은 철근연결장치(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수나사(162)가 형성된 압력커플러(160)의 외주면 타단에는 힘전달부(166)가 형성된다. 상기 힘전달부(166)는 상기 구속커플러(140)와 압력커플러(160)를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강한힘으로 결합시에 상기 공구에 가해진 힘(Torque)이 미끄러짐없이 구속커플러(140)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파지부(146)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100)를 사용하여 철근(F)을 연결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100)의 요부를 구성하는 구속커플러(140) 내부에 철근(F)이 삽입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100)의 요부를 구성하는 경사커플러(120)가 철근(F) 외주면에 안착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100)의 요부를 구성하는 경사커플러(120)가 구속커플러(140) 내부에 삽입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100)에 의해서 두개의 철근(F)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5와 같이 상기 철근연결장치(1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철근(F)을 도 6과 같이 상기 구속커플러(140) 내부에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 구속커플러(140) 내부에 철근(F)이 삽입되면 상기 철근(F)의 외주면에 도 7과 같이 상기 경사커플러(120)를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커플러(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수용홈(124)과 절제홈(126)에는 상기 마디돌기(F')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경사커플러(120)는 철근(F)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상기 철근(F)의 외주면에 경사커플러(120)의 안착이 완료되면 상기 철근(F)의 삽입방향 반대방향으로 인출하게 된다. 상기 철근(F)이 인출되면 상기 간섭면(142)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성형된 경사면(122)은 도 8과 같이 면접촉한 상태가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철근(F)은 더 이상 유동이 규제된다.
이후 상기 수나사(162)와 암나사(144)를 체결하여 상기 구속커플러(140)가 압력커플러(16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힘전달부(166)와 파지부(146)를 공구(미도시)로 파지한 상태에서 강하게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수나사(162)는 암나사(144)에 의해서 안내되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속커플러(140)는 압력커플러(160)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속커플러(140)가 압력커플러(160)의 중심방향으로 계속 진행하다가 상기 철근(F)의 단부가 상기 압력발생부(164)와 접촉하여 간섭되면, 상기 철근(F)은 더 이상 유동이 규제되며 상기 철근(F)에는 힘전달부(166)에 가해진 힘이 전달되어 상기 철근연결장치(100)로부터 이탈이 규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힘전달부(166) 및 파지부(146)에 가해진 힘(Torque)은 상기 철근(F)과 압력발생부(164)의 접촉으로 인하여 상기 경사커플러(120)에 압력을 발생하게 되며, 상기 수용홈(124) 및 절제홈(126)은 마디돌기(F')를 구속하게 되어 결국 상기 철근(F)은 철근연결장치(100)에 의해서 서로 연결 완료된다.
또한, 상기 경사면(122)과 간섭면(142)은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경사커플러(120)는 철근연결장치(100)의 외측방향으로 인출되지 않게 됨은 전술한 바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압력발생부의 형상이 철근과 대응되는 원기둥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였으나, 철근의 유동을 규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서는 압력발생부의 돌출된 길이 및 단면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사양에 따라서 암나사와 수나사의 가공 길이는 변경 적용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는, 구속커플러 내부로 삽입된 철근의 단부가 접촉하도록 압력발생부가 구성된다.
따라서, 구속커플러와 압력커플러의 나사 결합시에 철근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철근에 대한 구속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미숙련공에 의해서 철근 연결작업이 수행되더라도 철근의 단부가 격벽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이점들로 인하여 공사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철근의 분리 등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작업자의 안전 차원에서 볼 때 바람직하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장치를 사용하여 철근을 연결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요부를 구성하는 구속커플러 내부에 철근이 삽입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요부를 구성하는 경사커플러가 철근 외주면에 안착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요부를 구성하는 경사커플러가 구속커플러 내부에 삽입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에 의해서 두개의 철근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철근연결장치 120. 경사커플러
122. 경사면 124. 수용홈
126. 절제홈 140. 구속커플러
142. 간섭면 144. 암나사
146. 파지부 160. 압력커플러
162. 수나사 164. 압력발생부
166. 힘전달부 F . 철근
F'. 마디돌기
Claims (9)
- 철근(F)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으로 가공되어 상기 철근(F) 외주면에 안착되고, 외주면은 일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성형된 경사커플러(120)와;외관 대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커플러(120)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내주면 일측이 상기 경사커플러(120)의 외주면과 면접촉하여 경사커플러(120)의 일방향 유동을 규제하는 구속커플러(140)와,상기 구속커플러(140)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경사커플러(120) 내부에 수용된 철근(F)이 유동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압력커플러(16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상기 압력커플러(160) 좌우측 단부에는 단차지게 돌출되고 상기 철근(F)의 일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철근(F)에 길이방향 압력을 발생시키는 압력발생부(16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커플러(120)의 외주면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구속커플러(140)의 내주면 일측과 간섭되는 경사면(1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커플러(120)의 내주면 일측에는 함몰 성형되어 상기 철근(F)의 외주면에 돌출된 마디돌기(F')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며, 상기 경사커플러(120)가 철근(F)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수용홈(124)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커플러(120)의 내주면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커플러(140)의 내주면에는 상기 경사면(122)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성형되어 경사면(122)과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경사커플러(120)의 일방향 유동을 규제하는 간섭면(14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커플러(160)의 외면 일측에는,상기 구속커플러(14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44)와 체결되는 수나사(162)와,상기 수나사(162)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철근과 접촉시에 압력을 발생하는 압력발생부(164)와,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수나사(162)와 암나사(144)를 체결시에 상기 공구의 미끄러짐을 규제하는 힘전달부(16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커플러(160)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발생부(164)는 철근(F)의 외경과 대응되는 외경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발생부(164)는 압력커플러(160)의 외주면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5503U KR200402526Y1 (ko) | 2005-09-05 | 2005-09-05 | 철근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5503U KR200402526Y1 (ko) | 2005-09-05 | 2005-09-05 | 철근연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2526Y1 true KR200402526Y1 (ko) | 2005-12-01 |
Family
ID=4370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5503U KR200402526Y1 (ko) | 2005-09-05 | 2005-09-05 | 철근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2526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0009B1 (ko) | 2006-05-04 | 2007-09-19 | 삼양기전(주) | 철근연결장치 |
KR101036591B1 (ko) | 2009-04-03 | 2011-05-24 | 김병섭 | 철근 커플러 |
KR101856706B1 (ko) * | 2017-09-11 | 2018-05-23 | 문숙정 |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
KR102242489B1 (ko) | 2020-06-24 | 2021-04-20 | (주)한동생활과학연구소 | 철근 연결 커플러 |
-
2005
- 2005-09-05 KR KR20-2005-0025503U patent/KR20040252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0009B1 (ko) | 2006-05-04 | 2007-09-19 | 삼양기전(주) | 철근연결장치 |
KR101036591B1 (ko) | 2009-04-03 | 2011-05-24 | 김병섭 | 철근 커플러 |
KR101856706B1 (ko) * | 2017-09-11 | 2018-05-23 | 문숙정 |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
KR102242489B1 (ko) | 2020-06-24 | 2021-04-20 | (주)한동생활과학연구소 | 철근 연결 커플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0009B1 (ko) | 철근연결장치 | |
KR100725529B1 (ko) | 철근연결장치의 가압커플러 | |
KR100662099B1 (ko) | 철근연결구 | |
KR101121931B1 (ko) | 철근연결구 | |
JP6208359B2 (ja) | 螺旋鉄筋用鉄筋連結具 | |
KR200402526Y1 (ko) | 철근연결장치 | |
KR101121948B1 (ko) | 철근연결구 | |
KR200423810Y1 (ko) | 철근연결구 | |
US9404258B2 (en) | Reinforcing bar connector | |
KR20100009774A (ko) | 철근연결구 | |
KR20060109592A (ko) | 철근 커플러 | |
KR100725527B1 (ko) | 철근연결장치 | |
KR200223657Y1 (ko) |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 |
KR100647910B1 (ko) | 철근연결장치 | |
KR101997169B1 (ko) |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 |
KR101796381B1 (ko) | 철근연결구 | |
KR102547671B1 (ko) | 철근연결구 | |
KR200404177Y1 (ko) | 나사형 슬리브에 의한 철근 연결구 | |
KR101370329B1 (ko) | 철근 결합구 | |
KR101791468B1 (ko) | 원터치 방식의 철근 이음장치 | |
JP2007170089A (ja) | 鉄筋連結具 | |
KR20190027066A (ko) |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 |
KR200308512Y1 (ko) | 철근 연결구 | |
KR101244217B1 (ko) | 철근연결구 | |
KR20020038291A (ko) |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32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