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329B1 - 철근 결합구 - Google Patents

철근 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329B1
KR101370329B1 KR1020130043039A KR20130043039A KR101370329B1 KR 101370329 B1 KR101370329 B1 KR 101370329B1 KR 1020130043039 A KR1020130043039 A KR 1020130043039A KR 20130043039 A KR20130043039 A KR 20130043039A KR 101370329 B1 KR101370329 B1 KR 101370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ceptor
reinforcing
binding
bind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100A (ko
Inventor
기언관
권헌양
이영진
박승환
김동회
홍성욱
김상원
우종열
이재준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엘케이테크 주식회사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케이테크 주식회사,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엘케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3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32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철근결합구는, 중앙부가 길이 방향으로 천공되고, 내주면 일부에는 철근의 마디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어 철근의 일부가 수용 및 안착되도록 하는 단일의 수용체와;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체에 대하여 수용홈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내주면에 삽입 및 타격되어 철근의 외면과 수용체의 내주면에 동시에 접촉하며, 철근 외면을 수용홈 방향으로 가압하여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되어 철근과 수용체를 결속하는 단일의 결속체와; 상기 단일의 철근과 수용체 및 결속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수용체 외측과 나사 결합하여 정착부를 형성하는 기능성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 결합구{A Polyfunctional combination device for rebar}
본 발명은 철근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하지 않은 철근을 수용체 내부에 삽입하여 안착하고, 결속체를 타격하여 수용체 내부에 삽입하여 수용체와 철근을 압착 및 가조립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한 철근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용체 외면에 기능성부품을 결합하여 철근의 정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철근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철근은 철근콘크리트에 쓰이는 보강근으로서 표면에는 마디와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철근은 공사시에 매설되는 위치 및 기능에 따라 다수가 연결되거나, 정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단부를 갈고리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하중으로 인한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정착된다.
이러한 철근의 정착 방법으로 철근의 단부를 U자 또는 L자 형상으로 굽혀서 정착부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착부에는 다른 철근과 묶음부재로 결합된다.
그러나, 철근의 단부를 U자 또는 L자 형상으로 굽혀서 정착하는 경우 부피가 커져 좁은 장소에서의 시공이 곤란하고, 굽혀진 부분은 결국 철근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09-0007858호에는 "정착부가 부착된 철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종래 기술은 철근의 단부 영역을 가열하고, 가열된 단부영역을 축선 방향으로 압축하여 외경이 증대되도록 소셩변형시키는 열간 업세팅을 실시함으로써 정착부가 되는 확경부를 철근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철근의 단부에 정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열간 업세팅 장비가 필요하며, 시공 현장에서 확경부를 성형하는데에는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 원가를 높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확경부 형성을 위해 철근의 단부를 철근재료의 Ac3 변태점 이상 1200℃이하의 온도로 가열해야 하므로, 높은 열로 인한 조직의 변경을 야기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한 연결작업은 두 개의 철근을 서로 겹치게 한 다음 묶어서 연결하는 겹이음, 가스압접이음, 그리고 기계적 이음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겹이음은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구조물이 고층일 경우 적용하는데 위험성이 있고, 이에 따라 겹쳐지는 길이를 길게 늘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고강도철근의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겹쳐진 부위는 결국 재료의 손실을 발생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가스압점이음은 가열된 부분의 열변형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되어 안전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겹이음 및 가스압접의 단점인 내구성이 확보되며 시공이 간편한 기계적 이음을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계적 이음의 대표적인 예인 철근연결장치는 많은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어 다양하게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장치를 사용하여 철근을 연결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구성 설명에 앞서 철근의 구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상기 철근(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마디돌기(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마디돌기(1')는 콘크리트와 철근(1)의 구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철근(1)을 제조하는 회사마다 그 형상 및 이격 거리가 상이하다. 즉, 상기 마디돌기(1')가 지그재그 형상을 가진 철근(1)이 있는가 하면, 도 1과 같이 외주면을 두른 타입도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장치(10)는 상기 마디돌기(1')의 이격 거리 및 형상에 따라 이에 맞는 철근연결장치(10)를 적용하여 연결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철근연결장치(10)는 도 1과 같이 다수개의 부품이 서로 결합되어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철근연결장치(10)는 외주면에 수나사(22)가 가공되고 내부가 천공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1)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커플러(20)와, 상기 철근(1)의 외주면을 덮어서 내면이 상기 마디돌기(1')와 간섭되도록 하여 상기 철근(1)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커플러(30)와, 상기 구속커플러(30)를 내부에 수용하고 구속커플러(30)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구속커플러(30)의 중심방향으로 압력을 발생하는 절개편(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커플러(20)는 상기 철근(1)을 내부에 수용하여 두개의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1)이 동일한 수직선 상에 놓이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는 상기 철근(1)의 외경, 보다 상세하게는 마디돌기(1')의 돌출된 높이를 포함한 철근(1)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지도록 천공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커플러(20)의 내부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철근(1)이 양방향에서 삽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수나사는 상기 절개편(40)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42)와 대응되는 피치(pitch)로 가공되어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암나사(42)와 수나사(22)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절개편(40)은 가이드커플러(20)로부터 이탈이 규제된다.
상기 가이드커플러(20)의 이격된 좌우측에는 상기한 구속커플러(30)가 구비된다. 상기 구속커플러(30)는 가이드커플러(20)의 좌우측에 각각 쌍으로 구성되며 서로 근접하게 되면 도 2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속커플러(30)의 상면은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성형되며 내부에는 상기 철근(1)의 외형과 대응되는 수용공간(32)이 함몰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구속커플러(30)를 상기 철근(1)의 외주면에 접촉시키게 되면 상기 수용공간(32)은 철근(1) 외주면을 빈틈없이 감싸게 되어 상기 구속커플러(30)는 철근(1) 외주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유동이 구속된다.
한편, 상기 절개편(40)은 내부에 구속커플러(3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커플러(20)의 좌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속커플러(30)에 중심방향으로 압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절개편(40)의 내부에는 상기 구속커플러(30)의 경사진 외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간섭부(4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섭부(44)는 그 형성 길이가 상기 구속커플러(30)의 길이와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철근(1)을 절개편(40) 내부에 삽입하여 철근(1)의 단부가 상기 절개편(4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다음 상기 철근(1) 외주면에 구속커플러(3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철근(1)을 삽입 반대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구속커플러(30)의 경사진 외면은 간섭부(44)와 면접촉하게 되어 상기 철근(1)은 일방향 유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편(40)을 회동시켜 상기 암나사(42)와 가이드커플러(20)의 수나사(22)를 나사 결합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커플러(20)의 좌우측단은 상기 구속커플러(30)의 마주보는 면에 외측방향의 압력을 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구속커플러(30)의 외면은 상기 간섭부(44)로부터 중심방향의 압력을 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공사 현장에서 철근은 다양한 설치 위치 및 용도를 가짐에 따라 그에 따른 철근정착구와 철근연결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많은 부품 개수로 인해 가격을 상승시키게 되고, 공정 시간이 늘어나게 되며 부품의 분실 및 훼손 등 자재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공하지 않은 철근을 수용체 내부에 삽입하여 안착하고, 결속체를 삽입하여 수용체와 철근을 압착하며, 수용체 외측에 기능성부품을 결합함으로써 철근의 정착이 가능하도록 한 철근 결합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풀림을 차단함으로써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철근 결합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는, 철근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내부에 철근의 마디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된 수용체와, 상기 철근과 수용체 내부면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수용체 내부에 삽입되어 철근과 수용체를 압착하는 결속체와, 상기 수용체 외측에 결합하여 철근 연결 기능, 철근 정착 기능, 철근 고정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부품은, 한 쌍의 수용체와 결속체 및 철근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한 쌍의 수용체 외측과 동시에 나사 결합하여 한 쌍의 철근을 연결하며, 일측에는 상기 한 쌍의 수용체 단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단부확인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부품은, 단일의 철근과 수용체 및 결속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수용체 외측과 나사 결합하여 정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부품은, 단일의 철근과 수용체 및 결속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수용체 외측과 나사 결합시에 고정대상물에 압력을 가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체의 외면에는, 상기 기능성부품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부품의 내부에는, 상기 수나사와 대응하는 피치를 가지는 암나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체 일측에는, 상기 수용체 내부에 삽입시에 수용체 외부로 노출되어 결속체와 철근 사이의 결합력을 확인하기 위한 체결력확인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체 일측에는, 상기 수용체 내부에 삽입시에 철근의 외면을 가압하여 결속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체는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를 이용한 철근 결합 방법은 철근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내부에 철근의 마디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된 수용체와, 상기 철근과 수용체 내부면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수용체 내부에 삽입되어 철근과 수용체를 압착하는 결속체와, 상기 수용체 외측에 결합하여 철근 연결 기능, 철근 정착 기능, 철근 고정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부품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를 준비하는 부품준비단계와, 상기 수용체 내부에 철근의 마디돌기를 안착하는 철근안착단계와, 상기 결속체를 수용체 내부에 삽입하여 철근에 압력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철근과 수용체 및 결속체를 압착하는 철근결속단계와, 상기 부품준비단계에서 선택된 기능성부품을 수용체와 나사 결합하는 완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근결속단계는, 상기 철근과 수용체 사이에 결속체를 삽입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성단계는, 상기 한 쌍의 수용체 외측과 동시에 나사 결합하여 한 쌍의 결속체, 수용체 및 철근을 기능성부품 내부에 동시에 수용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성단계는, 단일의 수용체 외측에 나사 결합하여 단일의 철근, 수용체 및 결속체를 기능성부품 내부에 수용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성단계는, 단일의 수용체 외측에 나사 결합하여 단일의 철근, 수용체 및 결속체를 다수의 기능성부품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다수 기능성부품 사이에는 고정대상물이 위치하도록 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결합구에서는, 가공하지 않은 철근을 수용체 내부에 삽입하여 안착하고, 결속체를 삽입하여 수용체와 철근을 압착하며, 수용체 외측에 기능성부품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기능성부품은 수용체의 외면에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하며, 형상을 약간 변형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며, 간단한 구조를 갖게 되므로 제조 원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철근은 수용체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결속체의 삽입에 의해 수용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결속체를 타격하는 과정만으로 철근의 구속이 가능하므로, 철근의 단부에 수용체와 결속체를 미리 결합시켜둔다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체결력확인부를 통해 철근과 수용체 사이의 결합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불완전 결합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풀림을 차단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제3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일 구성인 결속체의 외관을 나타낸 단품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를 이용한 철근 결합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제1실시예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제2실시예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제3실시예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제1실시예에서 철근안착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제1실시예에서 철근결속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제1실시예에서 완성단계 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제2실시예에서 철근안착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제2실시예에서 철근결속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제3실시예에서 철근안착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제3실시예에서 철근결속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구성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의 일 구성인 결속체(140)의 외관을 나타낸 단품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100)는 3종(種)의 부품을 조합하여 다수 철근(F)을 연결하거나, 단수의 철근(F)을 정착하거나, 철근(F)을 고정대상물(도 4의 도면부호 W)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100)는 철근(F)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내부에 철근(F)의 마디돌기(F')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도 5의 도면부호 122)이 형성된 수용체(120)와, 상기 철근(F)과 수용체(120) 내면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수용체(120) 내부에 삽입되어 철근(F)과 수용체(120)를 압착하는 결속체(140)와, 상기 수용체(120) 외측에 결합하여 철근(F) 연결 기능, 철근(F) 정착 기능, 철근(F) 고정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부품(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체(120)는 중앙부가 길이 방향으로 천공되고 내부면중 일부에는 철근(F)의 마디돌기(F')와 대응되는 형상, 크기 및 간격으로 함몰된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철근(F)의 안착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체(120)의 외면에는 기능성부품(160) 내부에 끼워지는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124)가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124)는 기능성부품(160)과 수용체(12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외력(인장력, 압축력, 전단력 등)에 대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각나사 또는 사다리꼴 나사 등의 나사산 형상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체(120)는 도 2와 같이 한 쌍의 철근(F)을 동일한 직선상에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도 3 및 도 4와 같이 단일의 철근(F)을 정착하거나, 고정대상물(W)에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단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체(120) 내부에는 결속체(140)가 삽입된다. 상기 결속체(140)는 수용홈(122)에 안착된 철근(F)에 압력을 가하여 수용홈(122)으로부터 철근(F)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결속체(140)는 수용체(120) 내부에 철근(F)이 삽입된 후 하측 방향의 수용홈(122)에 안착시에 상기 철근(F)의 상측에 형성된 공간으로 타격되어 수용체(120)의 내주면과 철근(F)의 외면을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밀게 됨으로써 상기 철근(F)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체(14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수용체(120) 내부로부터 철근(F)의 이탈을 제한하게 되며, 도 6과 같이 좌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지게 된다.
도 6과 같이 상기 결속체(140)의 상면에는 이탈방지돌기(142)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142)는 수용체(120) 내부에 결속체(140)가 삽입될 때 상기 철근(F)의 외면과 접촉하는 부위로서, 상기 철근(F)의 마디돌기(F')(수용홈(122)과 접촉하지 않은 마디돌기(F'))를 타고 넘은 후 찍은 상태를 유지하여 압착함으로써 상기 결속체(140)가 수용체(120) 내부에 삽입된 이후에는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결속체(140)의 하면에는 체결력확인부(146)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력확인부(146)는 결속체(140)에 의해서 철근(F)과 수용체(120)가 압착되었을 때 결속력의 크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결속체(140)의 외면에 각인되어 형성되며, 단면적이 큰 쪽의 외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체(140)가 수용체(120) 내부에 타격되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용체(120)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체결력확인부(146)의 갯수를 세어보면 체결력을 가늠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력확인부(146)가 수용체(120) 외부로 1개만 노출되는 경우는 3개가 노출되는 경우보다 큰 체결력을 갖는 상태이다.
상기 기능성부품(160)은 도 5와 같이 수나사(124)와 나사결합하여 수용체(120)의 외측에 고정되는 결합 구조는 유사하나, 그 형상에 있어서 조금씩 상이하다.
즉, 상기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100)를 이용하여 한 쌍의 철근(F)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의 아래 좌측에 위치한 기능성부품(160)을 채택하여 사용하게 되고, 단일의 철근(F)을 정착하기 위해서는 도 5의 아래줄 가운데에 위치한 기능성부품(160)을 채택하여 사용하게 되며, 마지막으로 철근(F)을 고정대상물(H빔 등의 구조물)에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의 아래줄 우측에 위치한 기능성부품(160)을 채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철근(F)이 고정대상물(W)에 고정하기 위한 기능성부품(160)은 필요에 따라 복수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한 3가지 실시예에 선택적으로 채택되는 기능성부품(160)에는 암나사(162)가 구비된다. 상기 암나사(162)는 전술한 수나사(124)와 나사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상기 수나사(124)와 대응하는 피치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부품(160)에는 필요에 따라 파지부(1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64)는 수용체(120)와 기능성부품(160)을 결합시에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기능성부품(160)의 외면 중앙에는 단부확인공(166)이 구비된다. 상기 단부확인공(166)은 한 쌍의 철근(F)울 연결하고자 할 때 기능성부품(160) 내부에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체(120)의 단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기능성부품(160)의 외부와 내부가 연통하도록 천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부확인공(166)을 통해 기능성부품(160)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상기 한 쌍의 수용체(120)에 대하여 어느 하나가 약하게 체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100)를 이용하여 철근을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100)를 이용한 철근 결합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철근 결합 방법은, 상기 수용체(120)와, 결속체(140)와, 철근(F) 연결 기능, 철근(F) 정착 기능, 철근(F) 고정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부품(160)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100)를 준비하는 부품준비단계(S100)와, 상기 수용체(120) 내부에 철근(F)의 마디돌기(F')를 안착하는 철근안착단계(S200)와, 상기 결속체(140)를 수용체(120) 내부에 삽입하여 철근(F)에 압력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철근(F)과 수용체(120) 및 결속체(140)를 압착하는 철근결속단계(S300)와, 상기 부품준비단계(S100)에서 선택된 기능성부품(160)을 수용체(120)와 나사 결합하는 완성단계(S400)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완성된다.
상기 부품준비단계(S100)는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100)를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여 수용체(120) 및 결속체(140)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기능성부품(160)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 부품준비단계(S100)에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100)를 이용하여 한 쌍의 철근(F)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도 8과 같이, 한 쌍의 수용체(120)와, 한 쌍의 결속체(140) 및 파지부(164)가 형성된 기능성부품(160)을 준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준비단계(S100)에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100)를 이용하여 단일의 철근(F)을 정착하고자 할 때에는 도 9와 같이, 단일의 수용체(120)와, 단일의 결속체(140) 및 정착부를 형성하게 될 단일의 기능성부품(160)을 준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부품준비단계(S100)에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100)를 이용하여 단일의 철근(F)을 고정대상물에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도 10과 같이, 단일의 수용체(120)와, 단일의 결속체(140) 및 너트 형상의 기능성부품(160)을 한 쌍 준비하게 된다.
상기 철근안착단계(S200)는 상기 수용체(120) 내부에 철근(F)을 삽입한 후 수용홈(122) 내부에 마디돌기(F')를 삽입하여 안착하는 과정이다.
상기 철근안착단계(S200)에서 한 쌍의 철근(F)을 연결하는 목적으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한 쌍의 수용체(120)에 각각 철근(F)의 단부를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철근안착단계(S200)에서 단일의 철근(F)을 정착하거나, 단일의 철근(F)을 고정대상물(W)에 고정하는 목적으로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4 및 도 16과 같이 단일의 수용체(120)에 철근(F)의 단부를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철근안착단계(S200)가 완료되면 철근결속단계(S300)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 철근결속단계(S300)는 수용홈(122)에 마디돌기(F')가 안착된 철근(F)이 수용체(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체(140)를 박아 넣는 과정으로, 상기 수용체(120) 내부에 결속체(140)를 삽입시에 철근(F)과 수용체(12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철근결속단계(S300)에서 한 쌍의 철근(F)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 12와 같이 한 쌍의 수용체(120) 내부에 결속체(140)를 각각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체(140)는 철근(F)이 수용체(120)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타격하여 삽입하게 된다.(도 8의 화살표 참조)
이것은 상기 결속체(140)가 서로 마주하는 경우 상기 기능성부품(160) 내부에서 간섭이 발생하여 수용체(120)와 기능성부품(160)의 결합이 불완전해질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철근결속단계(S300)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체결력확인부(146)를 통해 철근(F)과 수용체(120) 사이의 결합력을 육안으로 가늠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142)는 철근(F)의 마디돌기(F')를 찍어 누르게 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철근결속단계(S300)에서 단일의 철근(F)을 정착하거나, 고정대상물(W)에 고정하고자 하는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 15 및 도 17과 같이 단일의 수용체(120) 내부에 결속체(140)를 각각 삽입하게 된다.
상기 철근결속단계(S300) 이후에는 완성단계(S400)가 실시된다. 상기 완성단계(S400)는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100)의 사용목적에 따라 부품준비단계(S100)에서 준비된 기능성부품(160)을 수용체(120)의 수나사(124)와 나사 결합하는 과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완성단계(400)에서 한 쌍의 철근(F)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 13과 같이 한 쌍의 수용체(120)의 외측에 기능성부품(160)을 돌려 끼워 넣은 상태에서 좌측의 수용체(120)를 근접시킨 후 상기 기능성부품(16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좌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좌측의 수나사(124)와 암나사(162)를 결합하는 과정을 거치면 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파지부(164)에 공구를 물려 회전시키면 된다.
상기한 완성단계(S400)가 완료되면 도 2와 같은 상태가 되며, 작업자는 상기 단부확인공(166)을 통해 기능성부품(160) 내부를 들여다보고 수용체(120)의 단부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100)를 이용한 철근(F)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성단계(S400)에서 단일의 철근(F)을 정착하고자 할 때에는 도 3과 같이 수나사(124)와 암나사(162)를 결합하여 기능성부품(160)이 정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완성단계(S400)에서 단일의 철근(F)을 고정대상물에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도 17과 같이 수용체(120)의 외측에 기능성부품(160)을 돌려 끼운 상태에서 고정대상물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끼워넣게 된다.
이후 상기 고정대상물이 한 쌍의 기능성부품(160) 사이에 위치하여 죄어질 수 있도록 나머지 기능성부품(160)을 수나사(124)에 결합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다기능성 철근 결합구 120. 수용체
122. 수용홈 124. 수나사
140. 결속체 142. 이탈방지돌기
146. 체결력확인부 160. 기능성부품
162. 암나사 164. 파지부
F . 철근 F'. 마디돌기
S100. 부품준비단계 S200. 철근안착단계
S300. 철근결속단계 S400. 완성단계
W. 고정대상물

Claims (4)

  1. 중앙부가 길이 방향으로 천공되고, 내주면 일부에는 철근의 마디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어 철근의 일부가 수용 및 안착되도록 하는 단일의 수용체와;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용홈이 형성되지 않은 수용체 내부에 삽입 후 타격시 철근의 외면과 수용체의 내주면을 동시에 압착하며, 내주면에는 철근 외면을 수용홈 방향으로 가압하여 삽입 반대방향의 이탈 및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철근과 수용체를 결속하는 단일의 결속체와;
    서로 결속된 단일의 철근과 수용체 및 결속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수용체 외측과 나사 결합하여 정착부를 형성하는 기능성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외면에는,
    상기 기능성부품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합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부품의 내부에는,
    상기 수나사와 대응하는 피치를 가지는 암나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합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체 일측에는,
    상기 수용체 내부에 삽입시에 수용체 외부로 노출되어 결속체와 철근 사이의 결합력을 확인하기 위한 체결력확인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합구.
KR1020130043039A 2013-04-18 2013-04-18 철근 결합구 KR101370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039A KR101370329B1 (ko) 2013-04-18 2013-04-18 철근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039A KR101370329B1 (ko) 2013-04-18 2013-04-18 철근 결합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278A Division KR101301158B1 (ko) 2012-06-08 2012-06-08 철근 결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100A KR20130138100A (ko) 2013-12-18
KR101370329B1 true KR101370329B1 (ko) 2014-03-06

Family

ID=4998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039A KR101370329B1 (ko) 2013-04-18 2013-04-18 철근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735B1 (ko) * 2014-10-02 2016-01-21 기언관 나선철근용 철근정착장치
KR102027090B1 (ko) * 2019-05-03 2019-09-30 배영재 모듈형 철근 커플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1136A (ja) 2008-10-27 2010-05-06 D B S:Kk 定着用鉄筋
KR100994846B1 (ko) * 2010-03-30 2010-11-16 정기찬 철근을 이용한 세트 앙카
KR101132690B1 (ko) * 2006-02-06 2012-04-05 김용근 철근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90B1 (ko) * 2006-02-06 2012-04-05 김용근 철근 연결구
JP2010101136A (ja) 2008-10-27 2010-05-06 D B S:Kk 定着用鉄筋
KR100994846B1 (ko) * 2010-03-30 2010-11-16 정기찬 철근을 이용한 세트 앙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100A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104B1 (ko) 내구성이 구비된 원터치식 커플러
KR100760009B1 (ko) 철근연결장치
JP6208359B2 (ja) 螺旋鉄筋用鉄筋連結具
CN113227511B (zh) 钢筋耦合器
KR101121931B1 (ko) 철근연결구
KR101486039B1 (ko) 압축과 인장에 의한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KR100725529B1 (ko) 철근연결장치의 가압커플러
US9404258B2 (en) Reinforcing bar connector
KR200452849Y1 (ko) 철근연결구
KR101371216B1 (ko)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KR20190000226U (ko) 내구성이 구비된 원터치식 커플러
KR101370329B1 (ko) 철근 결합구
KR20140060200A (ko)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KR101301158B1 (ko) 철근 결합구
KR200423810Y1 (ko) 철근연결구
JP5567930B2 (ja) 鉄筋の連結構造、及び鉄筋の連結工法
KR101208486B1 (ko) 철근 연결용 보조 커플러
KR100725527B1 (ko) 철근연결장치
KR101370370B1 (ko) 철근 결합구
KR101433876B1 (ko) 철근용 양방향 동시 체결 커플러
KR101187380B1 (ko) 덮개형 철근 결속장치
KR200402526Y1 (ko) 철근연결장치
KR102192741B1 (ko) 걸쇠 일체형 이형철근 이음장치
KR101347069B1 (ko) 철근정착장치
KR102547671B1 (ko) 철근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