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850B1 -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 Google Patents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850B1
KR101845850B1 KR1020170155154A KR20170155154A KR101845850B1 KR 101845850 B1 KR101845850 B1 KR 101845850B1 KR 1020170155154 A KR1020170155154 A KR 1020170155154A KR 20170155154 A KR20170155154 A KR 20170155154A KR 101845850 B1 KR101845850 B1 KR 101845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holder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wedg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임메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9735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4585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임메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임메탈텍
Priority to KR102017015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중공형 베이스 몸체와, 상기 수용 공간을 제1 철근이 삽입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제2 철근이 삽입 결합되는 제2 결합부로 구분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격벽과,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장착홀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제1 철근 또는 상기 제2 철근이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에 대해 원터치 결합되게 하여, 상기 제1 철근 또는 상기 제2 철근이 상기 격벽에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원터치 결합 유닛; 및 상기 장착홀에 삽입 결합된 홀더와, 상기 수용 공간 내로 연장하도록 상기 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철근 및 상기 제2 철근 중 하나와 상기 격벽 사이에 끼이도록 배치되는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검사 유닛을 포함하는,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STEEL REINFORCEMENT COUPLER OF ONE-TOUCH TYPE ENABLE TO CHECK INSERTION DEPTH OF STEEL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철근과 철근을 연결하며 철근의 삽입 깊이에 대한 검사가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들은 일정 길이의 규격품으로 제공되며, 이에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철근과 철근은 서로 연결된다. 철근과 철근 간의 연결부에는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소정의 인장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연결부는 긴밀한 이음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철근과 철근 간의 연결 수단으로서 철근 커플러가 이용되고 있다. 철근 커플러에 한 쌍의 철근이 결합될 때, 한 쌍의 철근이 커플러의 중앙부에서 서로 맞닿거나 최대한 근접해 있어야 철근들 간의 연결에 의한 인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한 쌍의 철근이 커플러에서 최적의 위치까지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철근 커플러에 지름 6~7mm 정도의 구멍을 뚫어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철근의 삽입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큰 사이즈의 육안 확인용 구멍에 의해 커플러의 인장 강도가 상당히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름 6~7mm 정도의 육안 확인용 구멍이라도 커플러의 두께가 10mm 정도여서 철근에 대한 시야 확보가 쉽지 않은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원터치 타입의 철근 커플러의 경우, 구조적으로 중앙부 지름이 모델(사이즈)에 따라 10cm 이상이 됨에 따라, 구멍을 통해 내부에 있는 철근의 삽입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힘들고 불가능에 가깝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육안 확인용 구멍의 크기를 보다 키워야 하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대로 인장력 약화라는 구조적 문제를 확대시킨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인장력을 약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철근의 삽입 위치를 쉽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른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중공형 베이스 몸체와, 상기 수용 공간을 제1 철근이 삽입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제2 철근이 삽입 결합되는 제2 결합부로 구분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격벽과,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장착홀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제1 철근 또는 상기 제2 철근이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에 대해 원터치 결합되게 하기 위해, 제1 쐐기면과 상기 제1 쐐기면에 맞물리며 상기 제1 쐐기면과의 쐐기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철근 또는 상기 제2 철근의 진입을 허용하면서도 상기 제1 철근 또는 상기 제2 철근의 진입 후에는 상기 제1 철근 또는 상기 제2 철근을 압착하는 원터치 결합 유닛; 및 상기 장착홀에 삽입 결합된 홀더와, 상기 수용 공간 내로 연장하도록 상기 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철근 및 상기 제2 철근 중 하나와 상기 격벽 사이에 끼이도록 배치되는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검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홀더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홀더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철근 및 상기 제2 철근 중 하나와 함께 상기 접촉 부재를 물어서 상기 접촉 부재가 뽑히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원터치 결합 유닛에 결합된 상기 제1 철근 및 상기 제2 철근 중 하나와 근접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터치 결합 유닛은, 상기 베이스 몸체에 결합되는 중공형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가까울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상기 제1 쐐기면을 구비하는 하우징;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장착 브라켓; 상기 제1 쐐기면에 대응하여 상기 격벽에 가까울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상기 제2 쐐기면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인접한 한 쌍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편; 및 상기 장착 브라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제2 쐐기면을 상기 제1 쐐기면에 대해 압착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격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철근 또는 상기 제2 철근을 수용하며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돌출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장착홀이 위치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에서 단차져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중앙부를 노출한 채로 결합되는 주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홀은, 상기 제1 결합부 측에 형성되는 제1 장착홀과, 상기 제2 결합부 측에 형성되는 제2 장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홀과 상기 제2 장착홀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외주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서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는, 합성수지, 고무, 및 알루미늄 중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는, 상기 장착홀에 끼워지는 홀더 몸체부; 및 상기 홀더 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의 외면에 걸리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몸체부 및 상기 헤드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베이스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 몸체부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축선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 부재는, 탄소강, 고강도 탄소섬유, 고강도 합성수지, 화학처리된 섬유, 및 스테인레스중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의하면, 육안 확인을 위한 직경이 큰 구멍을 만들지 않음에 의해 커플러의 인장력을 약화시키지 않는 방식으로도 철근의 삽입 깊이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별도의 시험 도구를 휴대할 필요 없이 검사 유닛을 잡아당겨서 철근의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음에 의해, 철근의 삽입 위치 확인을 위한 절차가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원터치 결합 유닛에 의해 철근을 베이스에 대해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게 결합시키고 그 결합 상태에 대한 검사도 검사 유닛에 의해 간단한 방식을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철근의 연결 및 검사 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건설 공사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100)에 철근(S1 및 S2)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철근 커플러(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베이스(110)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검사 유닛(130)의 일 변형예에 따른 검사 유닛(130')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검사 유닛(130)의 다른 일 변형예에 따른 검사 유닛(130")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100)에 철근(S1 및 S2)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철근 커플러(100)는, 베이스(110)와, 검사 유닛(130 및 140), 그리고 원터치 결합 유닛(150 및 16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내부에 수용 공간(113, 도 2 참조)을 가진다. 이러한 수용 공간(113)에는 한 쌍의 철근(S1 및 S2)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철근(S1 및 S2)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검사 유닛(130 및 140)은 베이스(1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그에 의해, 검사 유닛(130 및 140)은 한 쌍의 철근(S1 및 S2)이 이루는 라인과는 대체로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검사 유닛(130 및 140)은 제1 검사 유닛(130) 및 제2 검사 유닛(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들은 베이스(1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원터치 결합 유닛(150 및 160)은 베이스(110)에 결합되어 한 쌍의 철근(S1 및 S2)이 베이스(110)에 대해 원터치 결합되게 하고 또한 그 결합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구성이다. 원터치 결합 유닛(150 및 160)은 제1 원터치 결합 유닛(150)과, 제2 원터치 결합 유닛(1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원터치 결합 유닛(150)은 제1 검사 유닛(130) 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몸체(111)의 일 단에 결합되고, 제2 원터치 결합 유닛(160)은 제2 검사 유닛(140) 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몸체(111)의 타 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철근(S1 및 S2)은 원터치 결합 유닛(150 및 160)에 의해 베이스(110)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한 쌍의 철근(S1 및 S2)을 원터치 결합 유닛(150 및 160)에 밀어 넣기만 하면, 한 쌍의 철근(S1 및 S2)은 베이스(110)에 대해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때, 한 쌍의 철근(S1 및 S2)이 베이스(110)에 대해 충분한 깊이로 삽입되어 설정된 깊이에 이르렀는지 여부는 검사 유닛(130 및 140)에 대한 조작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자는 검사 유닛(130 및 140)을 잡아당기면 된다. 이때, 검사 유닛(130 및 140)이 한 쌍의 철근(S1 및 S2) 및 격벽(117, 도 3 참조) 사이에 샌드위치 방식으로 끼여서 빠지지 않거나 일정 정도 버티다가 끊어져서 빠져나오는 경우라면, 검사자는 한 쌍의 철근(S1 및 S2)은 격벽(117)에 맞닿을 정도로 제 깊이로 삽입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검사 유닛(130 및 140)이 별다른 제약 없이 빠져나오는 경우라면, 검사자는 한 쌍의 철근(S1 및 S2)이 격벽(117)에 접촉되는 깊이까지 삽입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철근 커플러(100)의 구체적 구성은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철근 커플러(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베이스(110)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베이스(110)는, 베이스 몸체(111)와, 수용 공간(113), 장착홀(115 및 116), 격벽(117), 그리고 돌출 링(119)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몸체(111)는 베이스(110)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구성이다. 베이스 몸체(111)는 중공 원통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몸체(111)는 중앙부(111a)와 주변부(11b)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111a)는 그의 내부에 격벽(117)이 위치하는 부분이다. 주변부(11b)는 중앙부(111a)의 양 측방에 위치하고, 중앙부(111a)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다. 또한, 주변부(11b)는 중앙부(111a)에 비해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3)은 베이스 몸체(111)의 중공 부분에 해당한다. 이러한 수용 공간(113)은 베이스 몸체(111)의 양 측방으로 개방된 단일 공간을 형성한다. 수용 공간(113)의 중심축은 한 쌍의 철근(S1 및 S2)의 중심축과 대략 일치할 수 있다. 수용 공간(113)은 제1 결합부(113a)와 제2 결합부(113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13a)는 도면상 좌측 부분으로서, 제1 철근(S1)이 삽입 결합되는 영역이다. 제2 결합부(113b)는 도면상 우측 부분으로서, 제2 철근(S2)이 제1 철근(S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영역이다.
장착홀(115 및 116)은 수용 공간(113)을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베이스 몸체(111), 구체적으로 중앙부(111a)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이다. 그에 따라, 장착홀(115 및 116)은 베이스 몸체(111)의 중심축선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장착홀(115 및 116)은 격벽(117)을 기준으로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장착홀(115)과 타 측에 형성되는 제2 장착홀(116)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장착홀(115)과 제2 장착홀(116)은 베이스 몸체(111)의 외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대략 30° 정도 어긋나게 위치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1 장착홀(115)과 제2 장착홀(116)이 일 라인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 베이스 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해당 라인이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홀(115)은 홀더(131)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그의 지름은 2~4mm 정도도 충분하다.
격벽(117)은 베이스 몸체(111)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벽이다. 이러한 격벽(117)은 수용 공간(113)을 제1 결합부(113a)와 제2 결합부(113b)로 구분하는 구성이다. 격벽(117)은 수용 공간(113) 내로 삽입된 한 쌍의 철근(S1 및 S2)의 단부와 함께 접촉부재(136 및 146)를 물어서 접촉부재(136)가 뽑히지 않게 하기 위해, 원터치 결합 유닛(150 및 160)에 결합된 한 쌍의 철근(S1 및 S2)과 근접하게 베이스 몸체(111)에 결합된다.
돌출 링(119)은 수용 공간(113) 내에서 격벽(117)으로부터 돌출되는 링 형태의 부분이다. 돌출 링(119)의 코너 부분은 라운드 형상(119a)을 가져서, 한 쌍의 철근(S1 및 S2)이 삽입 결합홈(119b)에 쉽게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삽입 결합홈(119b)은 돌출 링(119)이 한정하는 공간으로서, 그 공간에 삽입된 철근(S1 및 S2)은 베이스 몸체(111)와 일체로 결합된다. 그에 의해, 한 쌍의 철근(S1 및 S2)이 베이스 몸체(111)에 대해 휘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한 쌍의 철근(S1 및 S2)과 커플러(100) 간의 견고한 이음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출 링(119)의 외부 면에는 탄성 부재(157)를 지지할 수 있다.
검사 유닛(130 및 140)은 한 쌍의 철근(S1 및 S2)의 삽입 깊이를 검사하기 위해 작업자가 조작하는 대상이 되는 구성이다. 검사 유닛(130 및 140)은, 앞서 설명한 바대로, 제1 검사 유닛(130)과 제2 검사 유닛(140)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의 구성은 대체로 동일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검사 유닛(13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검사 유닛(130)은 홀더(131)와, 접촉 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31)는 장착홀(115)에 끼움 설치되는 것으로서, 접촉 부재(136)를 홀딩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접촉 부재(136)가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짐에 의해, 접촉 부재(136)를 바로 장착홀(115)에 끼워 넣기보다는 홀더(131)를 이용해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홀더(13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고무,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홀더(131)는 홀더 몸체부(132)와 헤드부(133)를 가질 수 있다. 홀더 몸체부(132)는 대체로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장착홀(115) 내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홀더 몸체부(132)는 베이스(110)의 베이스 몸체(111)의 두께보다는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에 의해, 홀더 몸체부(132)는 수용 공간(113) 내로 연장되지 않아서, 철근(S1)과 간섭하지 않게 된다. 헤드부(133)는 홀더 몸체부(132)에서 연장되며 홀더 몸체부(132) 보다 큰 폭을 가진다. 그에 의해, 헤드부(133)는 베이스(110), 구체적으로 베이스 몸체(111)의 외면에 걸리게 된다. 헤드부(133)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촉 부재(136)는 홀더(131)에 설치되며, 철근(S1)과 접촉되도록 수용 공간(113)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접촉 부재(136)는 홀더(131)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도록 홀더(131)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촉 부재(136)는 홀더(131)의 홀더 몸체부(132), 나아가 헤드부(133)의 일부에까지 심어질 수 있다. 접촉 부재(136)는, 예를 들어 탄소강으로 만들어진 와이어(wire)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접촉 부재(136)는 고강도 탄소섬유, 고강도 합성수지, 화학 처리된 섬유, 및 스테인레스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 쌍의 철근(S1 및 S2)의 단면에는 컷팅에 의해 날카로운 엣지가 형성되어 있기에 그 엣지에 의해 접촉 부재(136)가 잘라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접촉 부재(136)가 탄소강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와이어는 원형 단면을 가지고 연장된 것인데, 이와 달리 접촉 부재(136)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연장될 수도 있다.
원터치 결합 유닛(150 및 160)에 대해서는, 제1 원터치 결합 유닛(150) 및 제2 원터치 결합 유닛(160) 중에 제1 원터치 결합 유닛(150)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그 설명은 제2 원터치 결합 유닛(160)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원터치 결합 유닛(150)은, 하우징(151), 장착 브라켓(153), 결합편(155), 및 탄성 부재(157)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51)은 중공형의 하우징 몸체(151a)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몸체(151a)는 베이스 몸체(111), 구체적으로 베이스 몸체(111)의 주변부(111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몸체(151a)의 내주면에는 격벽(117)에 가까울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제1 쐐기면(151b)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153)은 수용 공간(113)에 배치되고, 브라켓 몸체(153a)와 가이드(153b)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몸체(153a)는 대체로 원통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 몸체(153a)의 외경은 베이스 몸체(111)의 내경에 거의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것일 수 있다. 가이드(153b)는 브라켓 몸체(153a)에서 돌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153b)는 브라켓 몸체(153a)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153)은 금속 재질,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에 의해, 가이드(153b)는 설치 장소의 환경(온도 조건 등)에 구애받지 않고, 그 형상을 정교하게 유지하고, 또한 견고하게 결합편(155)을 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커플러(100)가 적용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장착 브라켓(153)은 불타지 않아서 결합편(155)이 하우징(151)과 함께 한 쌍의 철근(S1 및 S2)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가이드(153b)는 그의 연성에 의해 부서지지 않고 미세하게 늘어날 수 있어서, 한 쌍의 철근(S1 및 S2)에서 골 부분을 메워서 한 쌍의 철근(S1 및 S2)과 보다 밀착될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153b)의 자유단 측이 생산 환경이나 외부 환경에 의해 휘거나 뒤틀거나 부서지는 등의 변형이 없이 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서, 한 쌍의 철근(S1 및 S2)과의 접촉 시에 간섭되는 등의 구조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결합편(155)은 대체로 원호형 단면을 가진 채로 베이스 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결합편(155)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하나의 결합편(155)은 인접한 한 쌍의 가이드(153b) 사이에 위치한 채로 브라켓 몸체(153a)에 의해 지지된다. 결합편(155)의 외면은 제1 쐐기면(151b)에 대응하여 격벽(117)에 가까울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제2 쐐기면(155a)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7)는 돌출 링(119)에 지지된 채로 장착 브라켓(15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결합편(155)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러한 나사산은 철근(S1)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철근(S1)이 제1 원터치 결합 유닛(150) 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철근(S1)은 결합편(155)들이 한정하는 공간에 끼워진다. 철근(S1)에 대해서는 이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철근(S2)은 위 철근(S1)의 상태에서 나아가, 장착 브라켓(163)을 통과하고, 탄성 부재(167)를 또한 통과하여, 격벽(117)에 닿게 된다. 그 결과, 철근(S2)은 삽입 결합홈(119b)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철근(S1 및 S2)의 삽입에 의해 탄성 부재(157 및 167)가 압축되면서 장착 브라켓(153 및 163)은 격벽(117)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합편(155 및 165)의 제2 쐐기면(155a 및 165a)은 제1 쐐기면(151b 및 161b)과 이격됨에 의해 결합편(155 및 165)은 하우징(151 및 16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철근(S1 및 S2)이 결합편(155 및 165)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철근(S2)이 베이스 몸체(111) 내로 삽입되게 한 힘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167)의 복원력에 의해 장착 브라켓(163)은 격벽(117)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의해, 결합편(165)이 철근(S2)의 중심축선을 향해 이동된다. 이는 결합편(165)의 제2 쐐기면(165a)이 하우징(161)의 제1 쐐기면(161b)과 쐐기 작용에 의해 철근(S2)의 중심축선을 향해 밀리기 때문이다. 그 결과, 결합편(165)은 철근(S2)을 견고하게 물어서, 철근(S2)이 베이스 몸체(111)에서 이탈되지 않게 유지한다. 이때, 철근(S2)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는 결합편(165)에 의해 변형되어 결합편(165)과 보다 넓은 면적에서 밀착하게 된다.
철근(S2)이 수용 공간(113) 내에서 정위치로 삽입된 경우라면, 검사 유닛(140)의 접촉 부재(146)는 철근(S2)과 격벽(117)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검사자가 홀더(141)의 헤드부(143)를 잡아당기게 되면, 홀더(141) 및 접촉 부재(146)는 철근(S2)과 격벽(117)에 의해 구속되어 외부로 인출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부재(146)가 끊어지면서 홀더(141)와 접촉 부재(146)의 나머지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접촉 부재(146)는 철근(S2)과 격벽(117)에 구속된 상태에서 홀더(141)가 접촉 부재(146)와 분리되어 홀더(141)만이 인출될 수 있다. 검사자는 위의 3가지 경우에 대해 구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철근(S2)이 정 위치로 삽입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철근(S1)이 수용 공간(113) 내에서 격벽(117)에 접촉되는 정 위치에 삽입되지 못한 경우라면, 검사 유닛(130)의 접촉 부재(136)는 철근(S1) 및 격벽(117)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검사자가 헤드부(133)를 잡아당기게 되면, 홀더(131) 및 접촉 부재(136)는 별다른 저항없이 쉽게 빠져나오게 된다. 검사자는 이러한 상황을 파악하여, 철근(S1)이 제 깊이로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검사 유닛(130)의 일 변형예에 따른 검사 유닛(130')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검사 유닛(130')은 홀더(131')에 형성되는 관통홀(134')을 더 가질 수 있다. 관통홀(134')은 홀더(131')의 홀더 몸체부(132')에서 헤드부(133')를 관통하여 종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관통홀(134')에는, 접촉 부재(136')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접촉 부재(136')는 홀더 몸체부(13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수용 공간(113, 도 2 참조)에 배치되는 걸림부(137')를 가진다. 또한, 접촉 부재(136')는 걸림부(137')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헤드부(133')의 상측으로 돌출된 그립부(138')를 더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검사자는 홀더(131')를 잡아당기는 대신에 접촉 부재(136')만을 잡아당겨서 한 쌍의 철근(S1 및 S2)이 정 위치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검사자는 접촉 부재(136')의 그립부(138')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도 6은 도 2의 검사 유닛(130)의 다른 일 변형예에 따른 검사 유닛(130")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검사 유닛(130")은 앞서 설명된 검사 유닛(130)과 대체로 동일하나, 헤드부(133")의 형상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헤드부(133")는 베이스(11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측면부(135")를 가진다.
이러한 측면부(135")로 인하여, 검사자는 홀더(131")를 잡아당길 때 측면부(135")를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검사자는 홀더(131")를 보다 쉽게 잡아당길 수 있다.
나아가, 검사자가 홀더(131")를 더욱 쉽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헤드부(133")는 그의 외주면의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3"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원터치 커플러 110: 베이스
111: 베이스 몸체 113: 수용 공간
115,116: 장착홀 117: 격벽
119: 돌출링 130, 140: 검사 유닛
131,141: 홀더 136,146: 접촉 부재
150,160: 원터치 결합 유닛 151,161: 하우징
153,163: 장착 브라켓 155,165: 결합편
157,167: 탄성 부재

Claims (11)

  1.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중공형 베이스 몸체와, 상기 수용 공간을 제1 철근이 삽입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제2 철근이 삽입 결합되는 제2 결합부로 구분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격벽과,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장착홀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제1 철근 또는 상기 제2 철근이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에 대해 원터치 결합되게 하기 위해, 제1 쐐기면과 상기 제1 쐐기면에 맞물리며 상기 제1 쐐기면과의 쐐기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철근 또는 상기 제2 철근의 진입을 허용하면서도 상기 제1 철근 또는 상기 제2 철근의 진입 후에는 상기 제1 철근 또는 상기 제2 철근을 압착하는 원터치 결합 유닛; 및
    상기 장착홀에 삽입 결합된 홀더와, 상기 수용 공간 내로 연장하도록 상기 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철근 및 상기 제2 철근 중 하나와 상기 격벽 사이에 끼이도록 배치되는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검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홀더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홀더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철근 및 상기 제2 철근 중 하나와 함께 상기 접촉 부재를 물어서 상기 접촉 부재가 뽑히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원터치 결합 유닛에 결합된 상기 제1 철근 및 상기 제2 철근 중 하나와 근접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에 결합되는,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결합 유닛은,
    상기 베이스 몸체에 결합되는 중공형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가까울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상기 제1 쐐기면을 구비하는 하우징;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장착 브라켓;
    상기 제1 쐐기면에 대응하여 상기 격벽에 가까울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상기 제2 쐐기면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인접한 한 쌍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편; 및
    상기 장착 브라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제2 쐐기면을 상기 제1 쐐기면에 대해 압착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격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철근 또는 상기 제2 철근을 수용 결합하며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돌출 링을 더 포함하는,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장착홀이 위치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에서 단차져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중앙부를 노출한 채로 결합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은,
    상기 제1 결합부 측에 형성되는 제1 장착홀과, 상기 제2 결합부 측에 형성되는 제2 장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홀과 상기 제2 장착홀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외주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서 위치하는,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합성수지, 고무, 및 알루미늄 중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장착홀에 끼워지는 홀더 몸체부; 및
    상기 홀더 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의 외면에 걸리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몸체부 및 상기 헤드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베이스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그립부를 포함하는,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부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축선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탄소강, 고강도 탄소섬유, 고강도 합성수지, 화학처리된 섬유, 및 스테인레스중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20170155154A 2017-11-20 2017-11-20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1845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154A KR101845850B1 (ko) 2017-11-20 2017-11-20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154A KR101845850B1 (ko) 2017-11-20 2017-11-20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850B1 true KR101845850B1 (ko) 2018-04-06

Family

ID=6197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154A KR101845850B1 (ko) 2017-11-20 2017-11-20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850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993B1 (ko) 2018-08-06 2019-04-17 주식회사 금화 재가압식 철근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커플러
KR102001399B1 (ko) * 2018-12-19 2019-07-18 주식회사 유테크 조립성이 향상된 철근 커플러
KR102010810B1 (ko) 2019-01-17 2019-08-14 주식회사 금화 철근이음용 가압식 커플러
KR102019442B1 (ko) * 2019-05-10 2019-09-06 강신성 철근용 커플러
KR102058317B1 (ko) 2019-06-19 2020-01-22 주식회사 오케이글로벌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2069667B1 (ko) 2019-08-08 2020-01-23 주식회사 금화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KR20200017698A (ko) * 2018-08-09 2020-02-19 홍소영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20200076490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유테크 순차 인서트 조립방식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KR102126297B1 (ko) * 2020-01-16 2020-07-08 주식회사 거성 이형 철근 연결 금구
KR20200101625A (ko) * 2019-02-20 2020-08-28 웰시스 주식회사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KR102187018B1 (ko) 2019-09-30 2020-12-04 손명규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2220916B1 (ko) 2019-09-30 2021-02-25 손명규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
KR20210038184A (ko) 2019-09-30 2021-04-07 손명규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
KR102305094B1 (ko) 2021-04-22 2021-09-27 주식회사 건우금속 철근 이음 장치
KR102305146B1 (ko) * 2020-11-12 2021-09-27 주식회사 건우금속 철근 이음 장치
KR20220037052A (ko)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철근 연결 장치
KR102547662B1 (ko) * 2022-04-02 2023-06-26 기범석 링 가압식 철근연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12A (ja) * 1997-06-25 1999-01-19 Tokyo Tekko Co Ltd ねじ鉄筋用連結装置
JP2009228395A (ja) * 2008-03-25 2009-10-08 Takenaka Komuten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及び建築物
KR20110008514A (ko) * 2009-07-20 2011-01-27 김성희 강연선 이음장치
JP2017083276A (ja) * 2015-10-28 2017-05-18 Jfe条鋼株式会社 カプラー内のネジ鉄筋の間隔を測定するための測定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測定方法
KR101768816B1 (ko) * 2016-10-25 2017-08-17 주식회사 동신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1796538B1 (ko) * 2017-06-21 2017-11-10 주식회사 엔씨 철근용 커플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12A (ja) * 1997-06-25 1999-01-19 Tokyo Tekko Co Ltd ねじ鉄筋用連結装置
JP2009228395A (ja) * 2008-03-25 2009-10-08 Takenaka Komuten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及び建築物
KR20110008514A (ko) * 2009-07-20 2011-01-27 김성희 강연선 이음장치
JP2017083276A (ja) * 2015-10-28 2017-05-18 Jfe条鋼株式会社 カプラー内のネジ鉄筋の間隔を測定するための測定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測定方法
KR101768816B1 (ko) * 2016-10-25 2017-08-17 주식회사 동신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1796538B1 (ko) * 2017-06-21 2017-11-10 주식회사 엔씨 철근용 커플러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993B1 (ko) 2018-08-06 2019-04-17 주식회사 금화 재가압식 철근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커플러
KR102203490B1 (ko) * 2018-08-09 2021-01-14 홍소영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20200017698A (ko) * 2018-08-09 2020-02-19 홍소영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001399B1 (ko) * 2018-12-19 2019-07-18 주식회사 유테크 조립성이 향상된 철근 커플러
KR20200076490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유테크 순차 인서트 조립방식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KR102167075B1 (ko) * 2018-12-19 2020-10-19 주식회사 유테크 순차 인서트 조립방식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KR102010810B1 (ko) 2019-01-17 2019-08-14 주식회사 금화 철근이음용 가압식 커플러
KR102221614B1 (ko) * 2019-02-20 2021-03-02 웰시스 주식회사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KR20200101625A (ko) * 2019-02-20 2020-08-28 웰시스 주식회사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KR102019442B1 (ko) * 2019-05-10 2019-09-06 강신성 철근용 커플러
KR102058317B1 (ko) 2019-06-19 2020-01-22 주식회사 오케이글로벌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2069667B1 (ko) 2019-08-08 2020-01-23 주식회사 금화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KR102187018B1 (ko) 2019-09-30 2020-12-04 손명규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2220916B1 (ko) 2019-09-30 2021-02-25 손명규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
KR20210038184A (ko) 2019-09-30 2021-04-07 손명규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
KR102126297B1 (ko) * 2020-01-16 2020-07-08 주식회사 거성 이형 철근 연결 금구
KR20220037052A (ko)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철근 연결 장치
KR102475538B1 (ko) * 2020-09-17 2022-12-08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철근 연결 장치
KR102305146B1 (ko) * 2020-11-12 2021-09-27 주식회사 건우금속 철근 이음 장치
KR102305094B1 (ko) 2021-04-22 2021-09-27 주식회사 건우금속 철근 이음 장치
KR102547662B1 (ko) * 2022-04-02 2023-06-26 기범석 링 가압식 철근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850B1 (ko)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2137065B1 (ko) 원터치형 철근 정착구
KR102101406B1 (ko) 원터치 다중 결합형 철근 커플러
WO2018012797A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200452849Y1 (ko) 철근연결구
JP5405889B2 (ja) 緊張材の張設方法
JP2007278791A (ja) せん断測定機
KR101625177B1 (ko) 대퇴골 고정용 임플란트
JP2013036215A (ja) ノックオフ型ボルト
EA007196B1 (ru) Прочно насаженный топор или молоток
KR100903751B1 (ko) 인장용 케이블 결합장치
KR20190012760A (ko) 선재시험장치
JP4897711B2 (ja) アンカー緊張方法およびアンカー緊張用治具
US20200353569A1 (en) An elongate profile, an assembly comprising the elongate profil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elongate profile
JP2010089891A (ja) ワイヤーロープの素線破断検出治具
KR101434346B1 (ko) 비계 결합 장치
KR200274780Y1 (ko) 전선관 고정구
KR102010901B1 (ko) 등속 조인트용 케이지 강도 시험용 지지장치
KR20190045558A (ko) 지중케이블용 고정장치
KR101001094B1 (ko) 배선·배관용 클램프
JP6030972B2 (ja) ス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102400763B1 (ko) 케이블용 정착장치
KR101142661B1 (ko) 벽패널 부착용 엠-바의 체결장치
CN214003768U (zh) 钢筋网笼的吊挂装置
JP6227852B1 (ja) 固縛用張力確認具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200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629

Effective date: 2019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