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942B1 -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 Google Patents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942B1
KR102116942B1 KR1020180138940A KR20180138940A KR102116942B1 KR 102116942 B1 KR102116942 B1 KR 102116942B1 KR 1020180138940 A KR1020180138940 A KR 1020180138940A KR 20180138940 A KR20180138940 A KR 20180138940A KR 102116942 B1 KR102116942 B1 KR 102116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bo
support
assembly
shelf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358A (ko
Inventor
조정규
Original Assignee
조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규 filed Critical 조정규
Priority to KR1020180138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94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A47B96/028Cantilever 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보조립구가 다보의 다보지지체에 맞도록 절삭가공되면서 가 다보조립구내에 다보지지체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선반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납가구의 측벽에 형성된 다보조립구에 설치되어 선반을 지지하는 다보에 있어서; 상기 다보는, 다보조립구내로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다보지지체와, 다보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선반 하부면이 접촉지지되는 다보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다보지지체는 외면에 복수의 톱날돌기가 소정길이를 구비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Decorative bolt with cutting function inner surface of hole}
본 발명은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에 관한 것으로, 다보조립구의 크기 편차에 상관없이 다보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보의 견고한고정력을 통해 선반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장이나 진열장과 같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수납구조를 갖는 가구에는 층상의 수납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선반이 포함되며, 수납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선반은 가구본체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조립된다.
이처럼 다수의 선반을 가구본체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 선반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보가 사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구본체의 내벽에는 다수의 다보조립구가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선반을 하부에서 받쳐주는 형태로 선반을 지지하는 다보가 다보조립구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높이에 위치한 다보조립구를 선택하고, 선택된 다보조립구 및 그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각각의 다보조립구에 다보를 설치하게 되며, 이처럼 설치된 다보에 의해 선반이 지지되도록 선반을 배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다보는 지지부와 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는 수평한 자세를 갖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선반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선반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지지부의 한 쪽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가구본체에 형성된 조립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처럼 가구본체에 형성된 조립구에 설치되어 선반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다보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는 조립구의 정밀한 가공이 요구되는 반면, 실제 가구본체에 형성되는 조립구의 경우, 작업상황이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상당한 오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설계값 보다 작게 다보조립구가 가공될 경우, 다보의 조립설치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반대로 설계값 보다 크게 다보조립구가 가공될 경우, 다보가 헐겁게 조립되어 쉽게 이탈되어 선반에 중량물이 놓여져 있을 경우, 선반의 낙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었다.
또한, 다보조립구로부터 다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보조립구에 다보 지지부를 스크류 결합방식으로 조립하여 다보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방안도 있으나, 이와 같이 다보조립구에 다보를 스크류 체결하게 되면, 다보조립구의 내면에 나선형의 파임현상이 발생되어 선반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다보조립구에서 다보를 분리하게 되면, 다보조립구의 지저분한 내면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수납가구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다보의 설치조작성 뿐 아니라, 다보에 의해 선반이 지지되는 수납가구의 디자인성도 중요시되고 있어, 다보조립구의 지저분한 내면 노출은 수납가구에 수납되는 상품의 상품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1813호(2010.02.19.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보조립구가 다보의 다보지지체에 맞도록 절삭가공되면서 가 다보조립구내에 다보지지체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선반지지력을 확보하고, 다보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납가구의 측벽에 형성된 다보조립구에 설치되어 선반을 지지하는 다보에 있어서; 상기 다보는, 다보조립구내로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다보지지체와, 다보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선반 하부면이 접촉지지되는 다보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다보지지체는 외면에 복수의 톱날돌기가 소정길이를 구비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보지지체에 형성된 톱날돌기에 의해 다보조립구의 내면이 매끄럽게 절삭되어 다보조립구가 다보지지체와 조립공차범위내에서 일체하도록 확장되어 다보조립구에 대한 다보지지체의 결합력이 증대시키고, 다보조립구에 대한 다보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보지지체에 형성된 톱날돌기에 의해 다보조립구의 내면이 매끄럽게 절삭되므로, 다보의 위치변경시, 외부로 노출되는 다보조립구가 수려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납가구 전체의 외관이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보지지체에 의한 톱날돌기가 다보조립구의 내면으로 파고들도록 되어 있어, 수납가구의 측벽에 다보가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를 통해 다보에 의한 선반의 지지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보조립구로부터 다보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보지지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톱니돌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반지지상태를 내부구성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반 선단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반 후단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보지지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톱니돌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반지지상태를 내부구성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반 선단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반 후단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납가구(100)의 측벽(110)에 형성된 다보조립구(111)에 설치되어 선반(120)을 지지하는 다보(10)에 있어서;
상기 다보(10)는, 다보조립구(111)내로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다보지지체(20)와, 다보지지체(20)와 일체로 형성되고 선반 하부면(121)이 접촉지지되는 다보본체(30)를 포함하되,
상기 다보지지체(20)는 외면(21)에 복수의 톱날돌기(40)가 소정길이를 구비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보지지체(2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보조립구(111)내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소정직경을 구비하는 원기둥타입 또는 외면이 테이퍼진 형상 즉, 원뿔대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면 둘레를 따라 톱날 형상을 구비하는 복수의 톱날돌기(40)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톱날돌기(4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보조립구의 내면(112)을 절삭하는 돌기내측면(41)과, 다보조립구(111)내로 톱날돌기(40)가 삽입되기 쉽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돌기외측면(42)을 포함하며, 돌기내측면의 곡면길이(L1)가 돌기외측면의 곡면길이(L2)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내측면(41)은 다보지지체(20)와 내측단(41a)이 연결되고, 돌기외측면(42)과 외측단(41b)이 연결되어 돌기끝단(43)이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톱날돌기의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즉, 다보지지체의 결합회전방향(A)에 대하여 오목한 곡면이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톱날돌기의 돌기내측면(41)은 다보조립구의 내면(112)에 접촉되는 면적이 작게 되어 회전에 의한 마찰이 감소되게 되므로, 다보조립구와의 결합을 위한 다보지지체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돌기내측면(41)은 톱날돌기(40)에 의해 다보조립구의 내면(112)이 절삭될 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된 절삭칩(113)이 오목한 곡면을 따라 다보지지체의 결합회전방향(A)으로 이동배출되므로, 절삭칩(113)으로 인한 다보지지체(20)의 회전력 저감현상이 방지될 뿐 아니라, 절삭칩(113)으로 인한 돌기내측면(41)의 손상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돌기외측면(42)은 다보지지체(20)와 내측단(42a)이 연결되고, 돌기내측면의 외측단(41b)과 외측단(42b)이 연결되어 돌기끝단(43)을 형성하게 되며, 다보조립구의 내면(112)을 향하도록 볼록한 곡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톱날돌기의 돌기외측면(42)은 다보조립구 내면(112)과의 마찰을 감소시키면서 톱날돌기(40)가 다보조립구(111)내로 파고들기 쉽게 해주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을 뿐 아니라, 다보조립구의 내면(112)에 접촉되는 면적이 작게 되어 결합회전방향에 대한 역방향 회전시 마찰이 감소되게 되므로, 다보조립구(111)로부터 다보지지체(20)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즉, 다보(10)의 장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돌기외측면(42)은 다보조립구의 내면(112)을 향하도록 볼록한 곡면을 구비하고 있어, 다보지지체가 역방향(결합회전방향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시, 돌기외측면(42)이 다보조립구의 내면(112)에 대하여 경사지게 접촉되며 회전되므로, 절삭된 다보조립구의 내면(112)을 매끈하게 다듬는 기능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톱날돌기(40)는 돌기끝단(43)과 돌기내측면의 내측단이 다보지지체의 중심선(C)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거나, 톱날돌기의 정점 즉 돌기끝단(43)이 다보지지체의 중심선(C)보다 다보의 결합회전방향(A)으로 위치하도록 즉, 돌기내측면의 내측단(41a)과 돌기끝단(43)이 연결되는 연결선(B)과 중심선(C)이 이루는 각도(θ)가 소정의 예각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중심선(C)은 다보지지체의 중심을 지나면서 돌기내측면의 내측단(41a)을 지나는 선을 의미하고, 돌기끝단(43)은 돌기내측면의 외측단(41a)과 돌기외측면의 외측단(42a)이 만나는 지점을 의미하며, 돌기내측면의 내측단(41b)은 돌기내측면(41)과 다보지지체의 외면(21)이 연결지점을, 돌기외측면의 내측단(42b)은 돌기외측면(42)과 다보지지체의 외면(21)이 연결지점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톱날돌기(40)는 다보조립구의 내면(112)을 절삭확장하여 다보조립구의 내경이 다보지지체의 외경보다 작더라도, 다보지지체(20)에 맞도록 다보조립구(111)를 확장시킴으로써, 다보지지체(20)와 다보조립구(111)가 소정의 조립공차를 구비하면서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톱날돌기(40)는 다보조립구(111)에 대한 다보(10)의 설치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톱날돌기(40)는 다보조립구의 내면(112)에 압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어, 다보조립구 내면(112)과의 접촉에 의해 다보지지체(20)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톱날돌기(40)는 다보지지체(2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보본체(30)에서 다보지지체(20)의 끝단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보본체(30)는 선반(120)이 받침지지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드라이버 등의 결합공구(도시없음)가 체결되는 회전조작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조작홈(31)내에는 일자, 십자, 육각형상의 등등 결합공구가 끼움되는 끼움홈(3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보본체(30)는 선반의 하부면(121)이 접촉되어 지지되면 충분하므로, 원기둥형, 반구면형, 다각기둥형 등등으로 형성될 수 있어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다보본체(30)는 선반(120)을 지지하는 위치에 따라 구성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보지지체(20)는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면서도 선반의 선단을 지지하는 다보본체(50)와 선반의 후단을 지지하는 다보본체(60)의 형상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선반의 선단을 지지하는 다보의 다보본체(5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의 하부면(121)이 접촉지지되는 선반지지대(51)와, 상기 선반지지대(51)의 선단에 돌출형성되어 선반의 선단면(122)이 접촉지지되는 낙하방지대(5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지지대(51)는 선반 하부면(121)이 면접촉되도록 평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낙하방지대(52)는 선반지지대(51)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선반 선단면(122)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선반의 선단을 지지하는 다보의 다보본체(50)는, 선반지지대(51)에 의해 선반(12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낙하방지대(52)에 의해 선반이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선반의 후단을 지지하는 다보의 다보본체(6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하부면(121)이 접촉지지되도록 원기둥타입으로 형성되거나, 선반 하부면(121)이 면접촉되며 접촉지지되도록 평면을 구비하는 반구면형상 또는 다각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보본체(30) 상측에 다보조립구(111)로부터 다보(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34)이 더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턱(34)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보조립구(111)에 다보(10)의 다보지지체(20)가 삽입결합되어 선반(120)이 받침지지될 시, 선반 측면(123)과 수납가구의 측벽(110)에 위치하게 되어, 다보조립구(111)로부터 다보(1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턱(34)는 접촉면(34a)이 다보본체의 내측면(33)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내측면(33)과 함께 수납가구의 측벽(110)에 면접촉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보본체(30)의 내측면(33)에 소정깊이의 요홈(35)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35)의 내면(35a)로부터 다보지지체(20)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홈(35)은 톱날돌기(40)를 구비한 다보지지체(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다보지지체(20)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35)은 다보조립구(111)내로 다보지지체(20)가 삽입설치될 시, 다보본체의 내측면(33)이 측벽(110)에 밀착되어, 다보본체(30)와 측벽(110)사이의 벌어짐 현상 또는 다보(10)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다보조립구(111)가 형성된 측벽(110)은 그 표면이 가공등에 의해 매끄럽게 이루어져 있지 않으므로, 다보조립구(111)내로 다보의 다보지지체(20)가 삽입설치될 시, 측벽의 표면상태에 의해 측벽(110)과 다보본체의 내측면(33) 사이에 벌어짐 현상이 발생되거나, 측벽(110)에 다보본체의 내측면(33) 일부분만이 접촉되어 측벽(110)에 대해 다보가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다보의 내측면(33)에 요홈(35)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35)에서부터 다보지지체(20)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경우, 다보조립구(111) 주위에 위치한 측벽(110)의 표면이 요홈(35)내로 삽입되게 되므로, 다보본체의 내측면(33)과 측벽(110)의 밀착성이 향상되게 되며, 이로 인해 다보의 지지력이 증진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보본체(30) 하측에 선반의 지지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지턱(36)이 더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36)은 다보본체의 내측면(33)에 연장되는 지지면(36a)을 구비하도록 다보본체(30)의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선반 및 선반에 올려진 물체의 하중이 다보로 전달될 경우, 다보지지체(20)의 하측을 지지하여, 다보의 처짐현상(다보조립구로부터 다보지지체가 빠지면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턱(36)은 접촉면(36a)이 측벽(100)에 면접촉지지되어, 하중발생시 다보본체(30)를 지지하여 선반 전체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턱(34)은 및 지지턱(36)은 선반의 후단을 지지하는 다보 즉, 일예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타입의 다보본체(60)를 구비한 다보(10)의 경우, 다보본체(60) 둘레를 따라 플랜지 형상을 구비하도록 일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보(10)는 사출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다보본체(30)에 다보지지체(20)가 일체로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보(1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목재 또는 금속재로도 가공형성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반 선단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반 후단 조립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보는 선반을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에 형성된 다보조립구에 다보지지체를 삽입설치한 후, 선반의 하부면이 다보본체에 접촉지지되도록 선반을 거치시킨다.
이때, 상기 다보는 다보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조작홈내로 결합공구를 삽입하여 결합공구에 의해 결합회전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다보지지체의 톱니돌기가 다보조립구의 내면을 파고 들어가면서 회전(절삭)되어 다보조립구에 다보지지체가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다보지지체의 톱니돌기가 다보조립구의 내면을 절삭하며 결합될 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돌기의 돌기내측면에 의해 절삭된 절삭칩은 돌기내측면의 오목한 곡면을 따라 다보지지체의 결합회전방향으로 둥글게 말리면서 이동배출되므로, 다보지지체와 다보조립구 내면 사이에 절삭칩이 밀실하게 충전되어, 다보지지체가 유격현상없이 다보조립구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또한, 선반의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 선반을 들어 다보조립구로부터 다보를 빼낸 다음, 선반의 설치위치에 맞는 다보조립구에 다시 다보의 다보지지체를 회전시키며 끼워넣어 고정시킨 후, 선반을 거치시킨다.
이때, 다보가 제거된 다보조립구는 내면이 다보지지체의 톱니돌기에 의해 절삭되어 있어 도 4 의 (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끄러운 표면을 구비하게 되므로, 다보조립구가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수납가구의 외관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즉, 수납가구의 수려한 상태가 유지되어, 보관된 상품의 상품성의 저하현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다보 (20) : 다보지지체
(21) : 외면 (30) : 다보본체
(31) : 회전조작홈 (32) : 끼움홈
(33) : 내측면 (34) : 이탈방지턱
(35) : 요홈 (36) : 지지턱
(40) : 톱날돌기 (41) : 돌기내측면
(41a) : 내측단 (41b) : 외측단
(42) : 돌기외측면 (42a) : 내측단
(42b) : 외측단 (43) : 돌기끝단
(50) : 선단지지용 다보본체 (51) : 선반지지대
(52) : 낙하방지대 (60) : 후단지지용 다보본체
(100) : 수납가구 (110) : 측벽
(111) : 다보조립구 (112) : 내면
(113) : 절삭칩 (120) : 선반
(121) : 선반하부면 (122) : 선반선단면
(123) : 선반측면

Claims (7)

  1. 수납가구(100)의 측벽(110)에 형성된 다보조립구(111)에 설치되어 선반(120)을 지지하는 다보(10)에 있어서;
    상기 다보(10)는, 다보조립구(111)내로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다보지지체(20)와, 다보지지체(20)와 일체로 형성되고 선반 하부면(121)이 접촉지지되는 다보본체(30)를 포함하되,
    상기 다보지지체(20)는 외면(21)에 복수의 톱날돌기(40)가 소정길이를 구비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톱날돌기(40)는, 톱날돌기의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곡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다보조립구의 내면(112)을 절삭하는 돌기내측면(41)과, 다보조립구의 내면(112)을 향하도록 볼록한 곡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돌기외측면(42)을 포함하며, 돌기내측면의 곡면길이(L1)가 돌기외측면의 곡면길이(L2)보다 작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톱날돌기(40)는, 돌기끝단(43)과 돌기내측면의 내측단이 다보지지체의 중심선(C)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거나, 톱날돌기의 정점 즉 돌기끝단(43)이 다보지지체의 중심선(C)보다 다보의 결합회전방향(A)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4. 청구항 1 에 있어서;
    다보본체(50)는,
    선반의 하부면(121)이 접촉지지되는 선반지지대(51)와, 상기 선반지지대(51)의 선단에 돌출형성되어 선반의 선단면(122)이 접촉지지되는 낙하방지대(5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거나,
    선반 하부면(121)이 접촉지지되도록 원기둥타입으로 형성되거나,
    선반 하부면(121)이 면접촉되며 접촉지지되도록 평면을 구비하는 반구면형상 또는 다각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5. 청구항 1 에 있어서;
    다보본체(30)와 다보지지체(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납가구의 측벽에 면접촉되는 다보본체의 내측면(33)에 연장되어 이탈방지턱(34)이 더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다보(10)는,
    다보본체(30)의 내측면(33)에 소정깊이의 요홈(35)이 더 형성되고, 상기 요홈(35)의 내면(35a)으로부터 다보지지체(20)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 에 있어서;
    다보본체(30)는, 하측에 선반의 지지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지턱(36)이 더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턱(36)은 다보본체의 내측면(33)에 연장되는 지지면(36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KR1020180138940A 2018-11-13 2018-11-13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KR102116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940A KR102116942B1 (ko) 2018-11-13 2018-11-13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940A KR102116942B1 (ko) 2018-11-13 2018-11-13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58A KR20200055358A (ko) 2020-05-21
KR102116942B1 true KR102116942B1 (ko) 2020-05-29

Family

ID=7091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940A KR102116942B1 (ko) 2018-11-13 2018-11-13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744A (ko) * 2020-11-05 2022-05-12 조정규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8934B2 (ja) * 1995-08-07 1998-07-23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棚板受け具
JP2001061569A (ja) 1999-08-26 2001-03-13 Lec Inc スペア棚受具
JP2009291493A (ja) * 2008-06-06 2009-12-17 Raiku:Kk 支持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2047U (ja) * 1983-04-14 1984-10-30 新日本木工株式会社 家具用の棚受具
JPH08126530A (ja) * 1994-10-31 1996-05-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ダボ付棚受具
KR200456387Y1 (ko) 2008-08-11 2011-10-27 반용국 암수 결합형 선반다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8934B2 (ja) * 1995-08-07 1998-07-23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棚板受け具
JP2001061569A (ja) 1999-08-26 2001-03-13 Lec Inc スペア棚受具
JP2009291493A (ja) * 2008-06-06 2009-12-17 Raiku:Kk 支持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744A (ko) * 2020-11-05 2022-05-12 조정규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426335B1 (ko) * 2020-11-05 2022-07-27 조정규 가구용 선반 받침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58A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92201S1 (en) Lug nut bolt
USD949140S1 (en) Stand
USD931019S1 (en) Retail fixture
USD903480S1 (en) T-bolt anchor
JP5875004B2 (ja) 支柱構造
USD906028S1 (en) Workbench
US20090308995A1 (en) Multi-purpose hanging device adapted for anchoring on a mounting wall
USD933278S1 (en) Lamp fixture
USD879782S1 (en) Threaded rod angle adapter
FR2525096A1 (fr) Support-presentoir pour douilles de cles a douilles et emballage utilisant celui-ci
US4571881A (en) Christmas tree stand
USD887187S1 (en) Bar tools storage and display shelf
US20150190922A1 (en) Tool Holder
KR102116942B1 (ko)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USD880545S1 (en) Hex arbor
USD898557S1 (en) Self drilling tapping screw
USD498376S1 (en) Storage shelf for discs and cartridges
KR101866530B1 (ko) 가구용 받침다리
JP5632941B1 (ja) 締結具取付装置及び締結具取付構造
USD974089S1 (en) Expandable stand
USD820017S1 (en) Base of rocking chair
JP2019120301A (ja) ハンガーフックとそれを用いた壁面活用システム
KR101355651B1 (ko) 가구용 받침다리
US20170321737A1 (en) Non-Rotating Toggle Fastener
USD927968S1 (en) Screw anch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