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651B1 - 가구용 받침다리 - Google Patents

가구용 받침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651B1
KR101355651B1 KR1020120073118A KR20120073118A KR101355651B1 KR 101355651 B1 KR101355651 B1 KR 101355651B1 KR 1020120073118 A KR1020120073118 A KR 1020120073118A KR 20120073118 A KR20120073118 A KR 20120073118A KR 101355651 B1 KR101355651 B1 KR 101355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cover member
present
support member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071A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1020120073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6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05Support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받침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싱크대나 찬장, 장롱, 침대 따위의 가구 저면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 그 장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가구용 받침다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외주면에 중심축을 향해 오목한 함몰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들 상에서 각각 외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쐐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중공형의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중공 내부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함몰홈들을 외향으로 확장시키면서 상기 쐐기들을 가구의 장착홈 내벽에 박아넣는 끼움돌기가 상기 커버부재의 중공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가구용 받침다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가구용 받침다리{Kickstand of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받침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나 찬장, 장롱, 침대 따위의 가구 저면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 그 장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가구용 받침다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나 찬장과 같은 주방용 가구를 비롯하여 장롱, 침대 등의 가구 저면에는 통풍 등을 위해 바닥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가구를 지지하는 받침다리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받칟다리는 통상적으로 가구의 저면판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여러 방향으로 돌아가며 나사못 등을 하나씩 일일이 조여서 체결하기 때문에 조립 및 장착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데다 장착과정에서 가구의 저면판에 나사못에 의한 구멍이 다수 개 천공되므로 가구를 손상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따라 나사못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구에 장착할 수 있는 받침다리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1-0002131호에 개시된 주방가구의 다리 체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소켓(1)의 중심관(2) 양쪽에는 반원형의 분할편(3)(4)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에는 경사구멍(5)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주름턱(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구멍(5)에는 원추형 쐐기봉(7)의 하단부(8)가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경사구멍(5)과 쐐기봉(7)의 사이는 두께가 얇은 연결살(11)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가구의 저면판에 형성된 요홈부(10)에 중심관(2)을 삽입한 후 다리(20)의 하단부를 타격하면 쐐기봉(7)이 경사구멍(5)에 틀어박히면서 분할편(3)(4)을 벌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다리(20)가 가구의 요홈부(10)와 결합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가구용 받침다리는 요홈부(10)의 두께(약 3mm)가 상대적으로 얇아 외력에 취약한 특성상 가구의 저면판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망치 등의 도구로 하부를 타격할 때 쐐기봉(7)의 상부가 그 타격력에 의해 요홈부(10)를 관통하여 저면판을 뚫고 가구의 내부로 돌출되면서 저면판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다리(20)의 결합력이 떨어져 외력에 의한 충격을 받을 시 자유로이 유동되거나 이동과정에서 쉽게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3-0000067호(1993.01.1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1-0002131호(2001.01.2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9421호(2010.08.12)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을 해결에 역점을 두어 가구에 장착하기가 간편하고 용이하며, 아울러 가구에 장착된 상태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받침다리를 개발하고자 심혈을 기울여 예의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 그 장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받침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구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받침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외주면에 중심축을 향해 오목한 함몰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들 상에서 각각 외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쐐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중공형의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중공 내부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함몰홈들을 외향으로 확장시키면서 상기 쐐기들을 가구의 저면판에 형성된 장착홈 내벽에 박아 넣는 끼움돌기가 상기 커버부재의 중공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가구의 저면판과 바닥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가구용 받침다리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가구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장착된 상태를 한층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커버부재의 내주면에는 그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나선형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가구에 장착 시 지지부재가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의 안내에 따라 상승하면서 커버부재의 쐐기를 강제로 가압하여 가구의 장착홈에 박아 넣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가구의 저면판에 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부재의 가이드홈과 지지부재의 가이드돌기가 나사결합방식으로 접촉간섭을 일으키므로 강한 외력에 의하지 않고서는 지지부재가 쉽게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아 가구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커버부재의 외주면에는 쐐기형의 밀착돌기가 다수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커버부재의 쐐기는 상기 함몰홈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절곡 형성되고, 가구의 장착홈과 대향하는 그 절개면이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지지부재의 끼움돌기를 커버부재의 중공에 끼운 상태로 싱크대 등 가구의 장착홈에 삽입시킨 후, 지지부재를 잠금 방향으로 강하게 회전시키면 면접촉에 따른 가압력으로 인해 끼움돌기가 지지부재의 외경과 함께 쐐기를 외향으로 확장시켜 지지부재가 가구의 장착홈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가구에 장착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커버부재와 지지부재가 그 각각의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에 의해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됨으로 인해 가구에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지지부재가 가구의 장착홈에서 쉽게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구에 신속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장착에 따른 작업의 용이성과 능률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재와 끼움돌기 부분을 가구의 장착홈에 삽입한 후 지지부재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장착이 이루어지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도구 등으로 타격할 필요가 없어 가구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가구에 형성된 장착홈을 손상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의 커버부재와 지지부재의 끼움돌기 부분을 가구의 장착홈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의 커버부재와 지지부재의 끼움돌기 부분을 가구의 장착홈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의 커버부재와 지지부재의 끼움돌기 부분을 가구의 장착홈에 삽입하여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의 커버부재와 지지부재의 끼움돌기 부분을 가구의 장착홈에 삽입하여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의 커버부재와 지지부재의 끼움돌기 부분을 가구의 장착홈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의 커버부재와 지지부재의 끼움돌기 부분을 가구의 장착홈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는 크게 커버부재(100)와 지지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커버부재(100)는 가구(F)의 저면판에 형성된 장착홈(G)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지지부재의 끼움돌기(210) 부분이 삽입되도록 마치 매화형통이나 누에고치형통과 같이 중공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 둘레면에는 중심축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함몰홈(110)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함몰홈(110)들 상에서 각각 외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형태의 쐐기(120)가 가구의 장착홈(G)에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견고하게 끼워져 박힐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00)의 내측 둘레면에는 커버부재(100)의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며 커버부재(10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나선형으로 휘어진 형태의 가이드홈(150)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대향하는 끼움돌기(210)의 외측 둘레면에는 가이드홈(150)과 대응하여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돌기(250)가 끼움돌기(210)의 회전축을 향해 움푹 패인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를 가구에 장착 시 지지부재(200)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50) 및 가이드돌기(250)의 안내에 따라 회전과 동시에 상승 이동하면서 커버부재의 쐐기(120)를 강제로 가압하여 가구의 장착홈(G)에 틀어박히도록 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가구(F)의 저면판에 밀착될 수 있음은 물론 가이드홈(150)과 가이드돌기(250)가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서로 접촉간섭을 일으키므로 강한 외력에 의하지 않고서는 지지부재(200)가 쉽게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아 가구(F)에 훨씬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200)의 상부 테두리에는 가구(F)의 저면과 접촉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받침플랜지(26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받침플랜지(260)의 가장자리에는 가구(F)의 저면과 나사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나사구멍이나 요홈 등을 다수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술한 내용 및 첨부된 도면에서는 커버부재(100)에 가이드홈(150)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향하는 끼움돌기(210)에 가이드돌기(2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커버부재(100)의 내측 둘레면에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끼움돌기(210)에 외측 둘레면에 나선형으로 가이드홈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00)의 외측 둘레면에는 가구의 장착홈(G)에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쐐기형의 밀착돌기(160)가 세로 방향 혹은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재의 쐐기(120)는 함몰홈(110)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고, 가구의 장착홈(G)과 대향하는 그 절개면은 마치 톱니형으로 끝이 뾰족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가일층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100)는 두께가 얇은 금속판재에 'ㄷ'자 형상으로 일정 길이의 절개선을 형성한 후 그 절개한 부분을 굽혀서 쐐기를 형성한 다음 마치 매화통형과 같이 말아서 형성할 수 있으며, 더불어 쐐기(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각각의 함몰홈(110)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형태를 이루도록 절개선을 양쪽으로 대칭되게 굽혀서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부재(200)는 가구와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어 가구를 받쳐주는 것으로, 마치 원기둥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구(G)의 저면판에 상부가 밀착 고정되며, 상면에는 커버부재(100)의 중공 내부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끼움돌기(2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끼움돌기(210)는 커버부재(100)의 중공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도록 외측 둘레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함몰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끼움돌기(210)는 커버부재(100)의 중공 내부로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조작 시 커버부재(100)의 내경을 따라 회전하여 커버부재의 함몰홈(110) 부분을 외향으로 확장시키면서 그 각각의 쐐기(120)를 가구의 장착홈(G) 내벽에 박아 넣는 역할 및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재의 끼움돌기(210)는 평면상에서 볼 때 하나의 함몰홈(211)과 인접하는 다른 함몰홈(211)을 사이에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다수 개의 캠형상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회전조작에 따라 커버부재(100)의 내측 둘레면과 접촉간섭에 의해 서로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끼움돌기(210)의 외측 둘레면은 평면상에서 볼 때 누에고치형 모양처럼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캠형상의 돌출부가 양쪽으로 대칭되게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지지부재(200)의 외측 둘레면에는 회전조작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파지부(미부호)가 평면상에서 볼 때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높낮이조절부재(300)는 지지부재(200)의 길이 가변을 통해 가구에 장착 시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부재(200)의 하단과 나사결합방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즉, 높낮이조절부재(300)의 내측 둘레면에는 지지부재(20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여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둘레면에는 높낮이 조절에 따른 파지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미부호)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는 지지부재(200)의 외측 둘레면과, 이와 대향하는 높낮이조절부재(300)의 내측 둘레면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지지부재(200)의 내측 둘레면과, 이와 대향하는 높낮이조절부재(300)의 외측 둘레면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지지부재(200)의 하단부가 높낮이조절부재(300)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지지부재(200) 및 높낮이조절부재(300)의 나사산은 그 단면의 형상을 등변사다리꼴 등과 같이 쉽게 마모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높낮이조절부재(300)는 회전방향에 따라 지지부재(200)와 높낮이가 조절 및 가변되어 가구(F)와 바닥면과의 간격이나 수평상태를 손쉽게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의 작동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의 끼움돌기(210)에 커버부재(100)를 씌운 상태로 가구(F)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홈(G)에 끼움돌기(210)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를 시계방향으로 강하게 회전시키면 커버부재(100)의 중공부 내경과 끼움돌기(210)의 외경이 마치 매화형과 같이 다수 개의 함몰홈을 가지는 형태적 특성상 끼움돌기(210)의 최외경의 둘레면이 커버부재의 함몰홈(110) 부분을 면접촉에 의해 강제로 변형 및 확장시킴과 동시에 쐐기(120)를 외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렇게 되면 커버부재의 쐐기(120)가 가구의 장착홈(G)에 견고하게 박히게 된다.
또한, 커버부재의 가이드홈(150)과 끼움돌기의 가이드돌기(250)가 서로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재(200)를 회전조작 시 회전과 동시에 가구를 향해 약간 상승되도록 안내함으로써 한층 더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게 되고, 또 나사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진 형태적 특성상 서로 접촉간섭을 일으키므로 강한 외력에 의하지 않고서는 지지부재(200)가 쉽게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지지부재(200)가 가구의 장착홈(G)에 박힌 상태의 커버부재(100)로부터 자유로이 이탈 및 유동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높낮이조절부재(300)를 설치장소의 상황 및 여건에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구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받침다리는 가구의 저면에 장착 및 고정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에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버부재 110: 함몰홈
120: 쐐기 150: 가이드홈
160: 밀착돌기 200: 지지부재
210: 끼움돌기 211: 함몰홈
250: 가이드돌기 300: 높낮이조절부재
F: 가구 G: 장착홈

Claims (4)

  1. 외주면에 밀착돌기(160)가 다수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서 중심축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태로 함몰홈(110)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110)들 상에서 외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그 함몰홈(110)들 각각의 일부분을 절개 및 절곡하여 톱니형 쐐기(120)가 형성되고, 하부에 나선형의 가이드홈(150)이 형성된 중공형의 커버부재(100);
    상면에 상기 커버부재(100)의 중공과 대응하는 형상의 끼움돌기(210)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200); 및
    상기 끼움돌기(210)의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홈(150)과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25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끼움돌기(210)가 상기 커버부재(100)의 중공 내부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가이드홈(150)과 상기 가이드돌기(250)의 안내에 따라 상승하여 상기 함몰홈(110)들을 외향으로 확장시키면서 상기 쐐기(120)들을 가구의 장착홈(G) 내벽에 박아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받침다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073118A 2012-07-04 2012-07-04 가구용 받침다리 KR101355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118A KR101355651B1 (ko) 2012-07-04 2012-07-04 가구용 받침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118A KR101355651B1 (ko) 2012-07-04 2012-07-04 가구용 받침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71A KR20140005071A (ko) 2014-01-14
KR101355651B1 true KR101355651B1 (ko) 2014-01-28

Family

ID=5014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118A KR101355651B1 (ko) 2012-07-04 2012-07-04 가구용 받침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303B1 (ko) * 2017-02-21 2019-01-17 정영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받침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4616B1 (ko) * 2019-05-03 2019-10-22 (주)퍼맥스 조립식 가구용 연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185Y1 (ko) * 1994-03-25 1996-08-22 김유복 씽크대용 다리
KR20110025457A (ko) * 2009-09-04 2011-03-10 주식회사 월드테크 가구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185Y1 (ko) * 1994-03-25 1996-08-22 김유복 씽크대용 다리
KR20110025457A (ko) * 2009-09-04 2011-03-10 주식회사 월드테크 가구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71A (ko) 201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2119A1 (en) Anti-loosening bolt assembly
US11644061B2 (en) Mounting and dismounting nut structure
KR101164025B1 (ko) 가구용 받침대
KR101355651B1 (ko) 가구용 받침다리
KR20180126973A (ko) 건축 슬래브용 인서트
KR200410476Y1 (ko) 척추경 나사못
KR101866530B1 (ko) 가구용 받침다리
KR101966705B1 (ko) 가림판 장착용 싱크대 다리
KR101088052B1 (ko) 가구용 받침대
JP2009138329A (ja) パネルサポート
KR101378440B1 (ko) 가구 받침다리
KR101587818B1 (ko) 가구용 받침다리
JP5500719B2 (ja) 座金付きナット
EP3193674B1 (en) Mounting assembly
KR102094177B1 (ko) 싱크대 받침다리
KR200320995Y1 (ko) 주방용 식기건조대
KR100914148B1 (ko) 싱크대용 다리의 장착구조
KR200461750Y1 (ko) 가구용 다리
KR200474690Y1 (ko) 가구용 다리
KR101791001B1 (ko) 싱크대 다리
JP6534346B2 (ja) 浴室部材の締結構造
KR101761899B1 (ko) 가구용 받침다리
KR20200055358A (ko) 다보조립구의 확장기능을 갖는 다보
KR101852829B1 (ko) 가구용 받침다리
KR20130086488A (ko) 접시머리 나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