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456B1 - 판형 나사 및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판형 나사 및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456B1
KR101344456B1 KR1020120041154A KR20120041154A KR101344456B1 KR 101344456 B1 KR101344456 B1 KR 101344456B1 KR 1020120041154 A KR1020120041154 A KR 1020120041154A KR 20120041154 A KR20120041154 A KR 20120041154A KR 101344456 B1 KR101344456 B1 KR 101344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crew
shaped screw
driv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8172A (ko
Inventor
조동철
Original Assignee
조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철 filed Critical 조동철
Priority to KR102012004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45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01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 B25B15/002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characterised by material used or surface fin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판형 나사 및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가 개시된다. 개시된 판형 나사는, 판(plate)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드라이버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양측에는 나사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판형 나사 및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Plate type screw and driver for plate type screw}
본 발명은 나사 및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판형 나사 및 이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기계장치나 부품 등의 설계 조립 과정에서 결합 및 고정을 요소부품으로서 볼트 등과 같은 나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나사는 통상적으로 원형 이나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3차원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3차원 형상의 나사는 그 제조과정이 복잡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되는 원료도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판형 나사 및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판(plate)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드라이버(driver)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양측에는 나사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판형 나사가 제공된다.
상기 몸체부에는 소정 형상의 관통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홈이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판(plate)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홈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며 양측에는 나사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판형 나사를 돌려서 체결부재에 끼우는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홈에 끼워지는 형상을 가지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샤프트를 포함하는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가 제공된다.
상기 판형 나사의 몸체부에는 소정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는 형상을 가지는 제2 결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제1 및 제2 절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절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는 상기 판형 나사가 끼워지는 나사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나사 삽입구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나사가 판 형상을 가짐으로써 프레스 가공과 같이 간단한 가공 공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잡한 나사의 제조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그 형태로 인한 원료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생산 과정의 단순화로 인해 연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판형 나사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판형 나사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의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판형 나사와 드라이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판형 나사가 체결 부재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판형 나사와 체결부재 사이의 빈공간을 채우기 위한 충진부재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판형 나사의 정면도이다.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판형 나사와 결합하는 드라이버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드라이버의 측면도이며, 도 9c는 도 9b의 B-B' 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판형 나사에 도 9a 내지 도9c에 도시된 드라이버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판형 나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판형 나사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판형 나사(100)는 판 형태(plate shape)를 가지는 것으로, 상면에 소정 형상의 홈(groove,111)이 형성된 머리부(head portion,110)와, 상기 머리부(110)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는 몸체부(body portion,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머리부(110)에 형성된 홈(111)에는 후술하는 드라이버(driver, 도 3의 200)의 선단부가 끼워지게 된다. 도 1 및 도 2a에는 상기 홈(111)이 V자형으로 형성된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홈(111)은 예를 들면, U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20)에는 그 양측에 나사홈들(12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20)에는 소정 형상의 관통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공(12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200)가 판형 나사(100)에 결합하여 회전할 때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드라이버(200)를 판형 나사(100)에 결합하여 회전시킬 경우 판형 나사(10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관통공(121)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 외에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20)의 선단부는 예를 들면, 선단 방향을 따라 그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판형 나사(100)를 돌려서 체결부재(도 6a의 300)에 끼우기 위한 드라이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200)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200)는 손잡이(210)와 상기 손잡이(210)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는 샤프트(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220)는 전술한 판형 나사(100)의 홈(111)에 대응하는 제1 결합부(221)와, 상기 판형 나사(100)의 관통공(121)에 대응하는 제2 결합부(1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판형 나사(100)의 홈(111)에는 상기 샤프트(220)의 제1 결합부(221)가 끼워지게 되며, 상기 판형 나사(100)의 관통공(120)에는 상기 샤프트(220)의 제2 결합부(222)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221,222)는 상기 샤프트(220)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샤프트(220)가 일부 절개됨으로써 서로 수직인 제1 및 제2 절개면(220a,220b)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220)는 원형 이외에 다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절개면(220a)은 판형 나사(100)의 상면과 마주보는 것으로, 상기 제1 결합부(221)는 제1 절개면(220a)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형 나사(100)의 머리부(110)에 형성된 홈(111)이 V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결합부(221)는 판형 나사(100)의 홈(111)에 끼워지도록 삼각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판형 나사(100)의 홈(111)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결합부(210)는 이러한 판형 나사(100)의 홈(1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개면(220b)은 판형 나사(100)의 배면과 마주보는 것으로, 상기 제2 결합부(222)는 상기 제2 절개면(220b)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부(222)는 판형 나사(100)의 관통공(1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절개면(220b)은 후술하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장착되는 판형 나사(100)보다 그 길이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결합부(222)는 상기 판형 나사(100)의 관통공(12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그 선단면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200)가 판형 나사(100)에 끼워져 체결 부재(도 6a의 300)에 잘 들어갈 수 있고, 판형 나사(100)의 체결 후 드라이버(20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샤프트(220)의 선단부는 점점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판형 나사(100)와 드라이버(2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판형 나사(100)의 상면 및 배면은 각각 상기 드라이버(200)의 샤프트(220)에 형성된 제1 절개면(220a) 및 제2 절개면(220b)에 밀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절개면(220a)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 결합부(221)가 판형 나사(100)의 머리부(110)에 형성된 홈(111)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제2 절개면(220b)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결합부(222)는 상기 판형 나사(100)의 몸체부(120)에 형성된 관통공(121)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부(222) 및 관통공(121)의 결합은 드라이버(200)가 판형 나사(100)에 결합하여 회전할 때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드라이버(200)를 판형 나사(100)에 결합하여 회전시킬 경우 판형 나사(100)가 그 형상으로 인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결합부(221,222)가 각각 홈(111) 및 관통공(121)에 끼워진 상태에서 드라이버(200)를 돌리게 되면 판형 나사(100)는 회전하면서 후술하는 체결 부재(300)에 끼워지게 된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각각 판형 나사(100)가 드라이버(200)에 의해 체결 부재(200)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체결 부재(300)에는 판형 나사(100)가 끼워지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체결공의 내벽에는 상기 판형 나사(100)의 나사홈들(120a)에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형 나사(100)가 삽입되는 체결공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체결공 내에 판형 나사(100)가 끼워지게 되면,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형 나사(100)와 체결공 사이에는 빈 공간(310)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빈 공간(310) 내에 충진부재가 채워지게 되면 판형 나사와 체결 부재가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전술한 빈 공간(310) 내에 채워질 수 있는 충진 부재(400)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충진 부재(400)에는 판형 나사(100)에 대응하는 형상의 충진 홈(400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충진 부재(400)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물질들이 충진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판형 나사의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판형 나사(500)는 판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후술하는 드라이버(600)가 끼워지는 홈(511)이 형성된 머리부(510)와, 상기 머리부(510)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나사홈들(520a)이 형성된 몸체부(5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홈(511)은 머리부(510)로부터 몸통부(520)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홈(511)은 상기 머리부(510)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홈(511)의 형상은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판형 나사(500)와 결합하는 드라이버(60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드라이버(600)의 측면도이며, 도 9c는 도 9b의 B-B' 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600)는 손잡이(도 3의 210)와 상기 손잡이(210)로부터 연장된 샤프트(620)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620)의 선단부(620a)에는 도 8에 도시된 판형 나사(500)에 형성된 홈(511)에 끼워지는 결합부(6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621)는 판형 나사(500)에 형성된 홈(5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620)의 선단부(620a)에는 상기 판형 나사(500)가 끼워질 수 있는 나사 삽입구(62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 삽입구(620a)의 내측에 결합부(6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나사 삽입구(620b)는 샤프트(620)의 선단부(620a)를 상기 판형 나사(500)가 끼워질 수 있는 두께 만큼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라이버(600)의 나사 삽입구(620b) 내로 판형 나사(500)가 삽입되면, 상기 나사 삽입구(620b) 내에 마련된 결합부(621)가 상기 판형 나사(500)의 홈(511)에 끼워지게 된다. 도 9a 내지 도9c에 도시된 드라이버가 도 8에 도시된 판형 나사(500)에 끼워진 상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드라이버(600)를 사용하여 도 8에 도시된 판형 나사(500)를 돌리게 되면, 판형 나사(5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 부재(도 6a의 300) 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500... 판형 나사 110,510... 머리부
111,511... 홈 120,520... 몸체부
121... 관통공 120a,520a... 나사홈
200,600... 드라이버 210... 손잡이
220,620... 샤프트 220a... 제1 절개면
220b... 제2 절개면 221... 제1 결합부
222... 제2 결합부 300... 체결부재
310... 빈공간 400... 충진부재
400a... 충진홈 621... 결합부
620a... 샤프트 선단부 620b... 나사 삽입구

Claims (8)

  1. 판(plate)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드라이버(driver)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양측에는 나사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홈이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판형 나사.
  2. 삭제
  3. 삭제
  4. 판(plate)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홈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며 양측에는 나사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판형 나사를 돌려서 체결부재에 끼우는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홈에 끼워지는 형상을 가지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 나사의 몸체부에는 소정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는 형상을 가지는 제2 결합부가 더 형성된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제1 및 제2 절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절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
  7. 판(plate)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홈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며 양측에는 나사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판형 나사를 돌려서 체결부재에 끼우는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홈에 끼워지는 형상을 가지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는 상기 판형 나사가 끼워지는 나사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나사 삽입구 내측에 마련되는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홈이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
KR1020120041154A 2012-04-19 2012-04-19 판형 나사 및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 KR101344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154A KR101344456B1 (ko) 2012-04-19 2012-04-19 판형 나사 및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154A KR101344456B1 (ko) 2012-04-19 2012-04-19 판형 나사 및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172A KR20130118172A (ko) 2013-10-29
KR101344456B1 true KR101344456B1 (ko) 2013-12-26

Family

ID=4963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154A KR101344456B1 (ko) 2012-04-19 2012-04-19 판형 나사 및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1982A (zh) * 2015-10-19 2015-12-30 无锡市永亿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一字方形螺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1269A (ja) 2000-07-18 2002-01-31 Otis:Kk バンド本体の固定杆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1269A (ja) 2000-07-18 2002-01-31 Otis:Kk バンド本体の固定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172A (ko)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482B1 (ko) 스크류 헤드 및 이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도구
EP2234173A2 (en) Combined frame for a photovoltaic module
US6401810B1 (en) Retaining structure of heat-radiating fins
JP2006132762A (ja) 組立てブロック
US9089964B2 (en) Tool box
CA2809884A1 (en) Fastener head and complementary driver
KR101344456B1 (ko) 판형 나사 및 판형 나사용 드라이버
JP5448969B2 (ja) アンテナの取付具
JP2009257551A (ja) 係止脚及びそれを用いたクランプ
US8776641B2 (en) Open wrench
CN104340462A (zh) 底板
JP4348551B2 (ja) フレーム連結具
EP2874040B1 (en) Rotary knob
KR20080093749A (ko) 보스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6749572B2 (ja) パイプジョイント
JP2000108043A (ja) ドライバービット及びねじとの組合せ
JP6046080B2 (ja) 連結部材
JP6209178B2 (ja) ナット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枠材結合構造
JP5594219B2 (ja) 金属ランスと樹脂部品との係止構造
JP6595373B2 (ja) 窓枠のコーナージョイント構造
JP6306549B2 (ja) 締結補助部品の装着構造、それを備えた装置および締結補助部品の装着方法
JP2009156303A (ja) 雌ねじが形成された部材に繰り返し容易に着脱できるクリップ
JP3123263U (ja) 透明ドリルガイド
JPH0352418U (ko)
JP2013104537A (ja) 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