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871B1 -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 Google Patents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871B1
KR102246871B1 KR1020200081596A KR20200081596A KR102246871B1 KR 102246871 B1 KR102246871 B1 KR 102246871B1 KR 1020200081596 A KR1020200081596 A KR 1020200081596A KR 20200081596 A KR20200081596 A KR 20200081596A KR 102246871 B1 KR102246871 B1 KR 102246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ixel
width
block
pixe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형
구양서
박재우
Original Assignee
최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주형 filed Critical 최주형
Priority to KR1020200081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871B1/ko
Priority to PCT/KR2021/007256 priority patent/WO20220050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8Uniting ornamental elements on a support, e.g. mosa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Abstract

본 발명은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홀(15)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조립판(10)과, 상기 조립홀(15)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조립홀(15)에 끼워지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립홀(15)의 상부 및 하부로 노출되는 픽셀블록(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픽셀블록(30)은 상기 조립홀(15) 안쪽에 위치하는 결합몸체(31)와, 상기 결합몸체(31)의 양쪽으로 각각 돌출되고,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형상몸체(33,35);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판(10) 및 상기 픽셀블록(30)은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되, 상기 조립판(10)의 경도 보다 상기 픽셀블록(30)의 경도가 더 높다.

Description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Pixel art type block assembly}
본 발명은 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령형상의 블록을 조립판에 끼워 조립하는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조립식 완구나 미술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제품들은 분해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된 후에,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여 사용하게 된다. 사용자는 제품을 직접 조립하면서 흥미를 느낄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제품의 예로 비즈 완구가 있다. 비즈 완구는 수용성 수지로 제조된 용착성 부품들을 넓은 조립판에 부착하여, 부품들이 모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그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비즈 완구 세트에서는 수용성 수지로 형성된 구형상의 용착성 비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비즈 완구는 접착제를 이용해서 부품들을 고정하기 때문에 재조립이 어렵고,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하여 어린 아이들이 사용하기에는 위험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물론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조립판 위에 부품들을 나열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되면 부품들이 조립판에 고정되지 않아서 제품을 이동하거나 회전시키면 작업했던 그림이 소실되는 단점이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3129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접착제 없이 조립판에 블록들을 분리가능한 형태로 끼워서 픽셀아트를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들이 조립판에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립홀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조립판과, 상기 조립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조립홀에 끼워지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립홀의 상부 및 하부로 노출되는 픽셀블록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픽셀블록은 상기 조립홀 안쪽에 위치하는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의 양쪽으로 각각 돌출되고,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형상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판 및 상기 픽셀블록은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되, 상기 조립판의 경도 보다 상기 픽셀블록의 경도가 더 높다.
그리고, 상기 조립홀의 폭은 상기 결합몸체의 폭 보다 같거나 좁고, 상기 형상몸체의 폭은 상기 형상몸체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형상몸체는 상기 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안착된다.
상기 조립홀의 높이는 상기 한 쌍의 형상몸체의 사이에 위치한 상기 결합몸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이웃한 두 개의 조립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조립홀의 폭 보다 좁다.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조립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형상몸체의 폭과 상기 결합몸체의 폭과의 차이 보다 작다.
상기 조립홀은 원형이고, 상기 픽셀블록은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픽셀블록의 한 쌍의 형상몸체는 서로 다른 형상이거나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다,
상기 조립판의 경도(M)와 상기 픽셀블록의 경도(N)의 비율(N/M)은 1.2 내지 2.3이다.
상기 조립판에는 상기 조립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조립홀이 생략된 비결합구간이 형성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에서 조립판의 조립홀에는 픽셀블록이 강제압입되는 방식으로 끼워져 조립된다. 픽셀블록은 조립판에 끼워지고 다시 조립홀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사용자는 픽셀블록의 조립위치를 바꾸어가면서 다양한 픽셀아트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조립체의 활용성과 조립자유도가 높아지고, 블록조립체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조립판과 픽셀블록은 어린아이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조립판의 경도 보다 픽셀블록의 경도가 더 높다. 이에 따라 부품들이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더라도 사용자는 별도의 공구 없이도 픽셀블록을 조립판의 조립홀에 쉽게 끼워넣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픽셀블록은 별도의 접착제 없이 사용자가 맨손으로 조립판에 끼울 수 있으므로, 어린 아이들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록조립체는 제품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처럼 사용자가 직접 픽셀블록을 끼워가면서 픽셀아트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사용자의 학습효과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을 완구, 인테리어제품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조립판의 조립홀은 픽셀블록의 결합몸체의 폭 보다 좁게 만들어지고, 또한 조립홀의 높이는 픽셀블록의 결합몸체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립홀에 픽셀블록이 끼워지면, 픽셀블록은 상하방향 뿐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조립판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조립판이 흔들리더라도 구현한 픽셀아트의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두 조립홀의 사이의 폭은 픽셀블록의 직경 보다 작게 만들어져, 조립판에 다수개의 픽셀블록들이 빽빽하게 채워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여백없는 픽셀아트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픽셀블록은 양쪽에 대칭되는 한 쌍의 형상몸체를 가지고 있고, 이들은 조립판의 양쪽으로 각각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립판의 양쪽 픽셀아트를 구현할 수 있는데, 이때 한 쌍의 형상몸체를 서로 다른 모양이나 생상으로 만들면 조립판의 양쪽면에 서로 다른 형상의 픽셀아트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례의 구성을 옆에서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립판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픽셀블록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립판에 픽셀블록이 끼워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를 이용하여 도 1과 다른 형태의 픽셀아트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를 이용하여 도 1 및 도 6과 다른 형태의 픽셀아트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립판과 픽셀블록이 경도비에 따른 픽셀블록의 삽입력 및 파손율을 보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이하 '블록조립체'라고 함)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픽셀아트란, 픽셀(pixel)이라고 정의되는 한 칸마다 블록을 배치하여, 그림이나 글자 등 다양한 형상을 구현해나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블록조립체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립판(10)과 픽셀블록(30)을 포함하는 것으로, 픽셀블록(30)이 조립판(10)에 끼워져 구성하는 조립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블록조립체를 구성하는 조립판(10)은 대략 평판형상의 판몸체(11)가 골격을 만든다. 상기 조립판(10)은 얇은 판몸체(11)에 다수개의 구멍인 조립홀(15)들이 뚫려 있는 형상으로,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판(10)은 비경화 고무수질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조립판(10)은 비경화성 실리콘 고무이거나, 액상 실리콘 고무와 액상 플라스틱수지의 혼합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립판(10)이 유연한 재질이므로, 자유롭게 휘어지거나 뒤틀어질 수 있다.
상기 조립판(10)에는 다수개의 조립홀(15)들이 있는데, 상기 조립홀(15)들은 조립판(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것이다. 상기 조립홀(15)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도 3에서 보듯이 상하 간격 및 좌우 간격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홀(15)들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픽셀블록(30)이 끼워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립홀(15)은 원형이다. 상기 조립홀(15)은 원형으로 만들어져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늘어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조립홀(15)은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조립홀(15)의 높이(E), 즉 상기 조립판(10)의 두께방향 폭은 아래에서 설명될 픽셀블록(30)의 결합몸체(31)의 길이(A) 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홀(15)의 높이(E)가 결합몸체(31)의 길이(A)보다 길게 되면, 한 쌍의 형상몸체(33,35)들이 상기 조립홀(15)의 안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한 쌍의 형상몸체(33,35)는 각각 조립홀(15)의 상단 및 하단 가장자리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조립판(10)의 두께방향 폭은 아래에서 설명될 픽셀블록(30)의 결합몸체(31)의 길이와 같거나 작을 수도 있다.
상기 조립홀(15)은 다수개가 서로 이웃하고 있는데, 이때 본 실시례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조립홀(15)들의 사이(17)의 거리(G)는 상기 조립홀(15)의 폭(F) 보다 좁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면, 상기 조립판(10)에는 다수의 조립홀(15)들이 빽빽하게 배치될 수 있고, 픽셀블록(30)이 끼워졌을 때, 빈 공간 없이 픽셀블록(30)들이 맞닿을 수 있다.
상기 조립판(10)에는 상기 조립판(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비결합구간(18)이 있다. 상기 비결합구간(18)은 조립판(10)의 가장자리에 조립홀(15)이 생략된 부분인데, 도 3에서 보듯이 조립판(10)의 상하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상기 비결합구간(18)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비결합구간(18)이 존재하면, 가장자리에 가까운 조립홀(15)에 픽셀블록(30)을 끼울 때, 조립홀(1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조립판(10)을 파지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픽셀블록(30)을 살펴보면, 상기 픽셀블록(30)은 상기 조립홀(15)에 끼워져 블록조립체를 형성한다. 상기 픽셀블록(30)은 조립판(10)과 마찬가지로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픽셀블록(30)은 비경화 고무수질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픽셀블록(30)은 비경화성 실리콘 고무이거나, 액상 실리콘 고무와 액상 플라스틱수지의 혼합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픽셀블록(30)이 유연한 재질이므로, 자유롭게 휘어지거나 뒤틀어질 수 있고, 조립홀(15)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픽셀블록(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픽셀블록(30)은 상기 조립홀(15)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픽셀블록(30)이 상기 조립홀(15)에 끼워지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립홀(15)의 상부 및 하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픽셀블록(30)의 양단이 각각 조립홀(15)에서 동일하게 돌출되는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픽셀블록(30)의 중심에는 상기 조립홀(15) 안쪽에 위치하는 결합몸체(31)가 있고, 상기 결합몸체(31)의 양쪽에는 각각 형상몸체(33,35)가 돌출된다. 상기 한 쌍의 형상몸체(33,35)는 제1형상부(33)와 제2형상부(35)로 구성되는데,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형상부(33)와 상기 제2형상부(35)는 각각 조립홀(15)의 아래쪽 및 위쪽으로 돌출되어서 픽셀아트의 각 픽셀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결합몸체(31)는 픽셀블록(30)의 중심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몸체(31)의 하단 및 상단에 각각 제1형상부(33)와 제2형상부(35)가 위치하는데, 이들은 모두 일체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몸체(31)의 폭 보다 상기 한 쌍의 형상몸체(33,35)의 폭이 더 크다. 이에 따라 상기 픽셀블록(30)은 대략 아령형상이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립홀(15)의 폭(F)은 상기 결합몸체(31)의 폭(C) 보다 같거나 좁고, 상기 형상몸체(33,35)의 폭(B)은 상기 조립홀(15)의 폭(F)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형상몸체(33,35)는 상기 조립홀(15)의 가장자리에 안착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픽셀블록(30)은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즉, 상기 픽셀블록(30)의 결합몸체(31)와 한 쌍의 형상몸체(33,35)는 모두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픽셀블록(30)은 방향성이 없고, 따라서 사용자는 픽셀블록(30)을 어떠한 각도로 끼우더라도 동일한 형상(픽셀)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상기 픽셀블록(30)의 횡단면 형상은 반드시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또는 다각형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픽셀블록(30)의 제1형상부(33)와 제2형상부(35)는 서로 다른 형상이거나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형상부(33)는 구형이지만 제2형상부(35)는 육면체일 수도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 제1형상부(33)의 표면은 빨간색이고, 제2형상부(35)의 표면은 파란색일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립판(10)의 상부와 하부에 구현된 픽셀아트가 서로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립판(10) 및 상기 픽셀블록(30)은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되, 상기 조립판(10)의 경도 보다 상기 픽셀블록(30)의 경도가 더 높다. 즉, 상기 조립판(10)이 픽셀블록(30) 보다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 것이다. 상기 조립판(10)이 더 유연하면, 상기 조립홀(15)에 픽셀블록(30)을 끼울 때 제1형상부(33)와 제2형상부(35)가 조립홀(15)을 보다 쉽게 벌리면서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형상부(33)와 제2형상부(35)는 조립홀(15)의 폭을 늘리면서 삽입되는데, 제1형상부(33)와 제2형상부(35)가 상대적으로 더 단단할 경우에 조립홀(15)의 폭을 늘리는 것이 상대적으로 쉬워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판(10)의 경도(M)와 상기 픽셀블록(30)의 경도(N)의 비율(N/M)은 1.2 내지 2.3이다. 도 8은 상기 조립판(10)과 상기 픽셀블록(30)의 경도를 달리하면서 픽셀블록(30)을 조립홀(15)에 끼우는 시험을 반복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시험에서 상기 조립판(10)은 30~80도의 경도를 갖는 비경화 고무수지를 사용하였고, 상기 픽셀블록(30)도 30~80도의 경도를 갖는 비경화 고무수지를 사용하였다. 이때 그래프의 세로축 중 삽입력은 픽셀블록(30)을 상기 조립홀(15)에 끼울 때 들어간 힘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고, 파손율은 픽셀블록(30)을 조립홀(15)에 끼울 때 픽셀블록(30) 또는 조립홀(15) 중 어느 하나가 찢어질 확율을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에서 보듯이, 가로축은 상기 조립판(10)의 경도(M)와 상기 픽셀블록(30)의 경도(N)의 비율(N/M)을 나타낸 것인데, 이를 점점 증가시켰을 때, 즉 픽셀블록(30)을 상대적으로 더 단단한 재질로 만들수록 삽입력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픽셀블록(30)이 단단할 때 조립홀(15)을 보다 잘 통과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데, 경도의 비율(N/M)이 1.2를 넘어가면서 삽입력이 크게 줄어들었다가 그 이후에는 비슷한 수준을 보인다.
반대로 픽셀블록(30)을 상대적으로 더 단단한 재질로 만들수록 파손율은 점점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더 단단한 픽셀블록(30)이 조립홀(15)을 찢거나, 또는 큰 힘을 주어 픽셀블록(30)이 부러지는 빈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래프를 보면, 경도의 비율(N/M)이 2.3을 기점으로 그 보다 낮을 때에는 파손율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3을 넘어가면서 파손율이 크게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조립판(10)의 경도(M)와 상기 픽셀블록(30)의 경도(N)의 비율(N/M)은 1.2 내지 2.3일 때 삽입력과 파손율을 모두 일정 수준만큼 만족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조립홀(15)들의 사이(17)의 거리(G)는 형상몸체(33,35)의 폭(B)과 상기 결합몸체(31)의 폭(C)과의 차이(B-C) 보다 작다. 즉,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두 개의 조립홀(15)들의 사이(17)로 돌출되는 형상몸체(33,35)의 폭은 (B-C)/2가 되고, 그 폭((B-C)/2)은 두 개의 조립홀(15)들의 사이(17)의 거리(G)의 절반(G/2) 보다 큰 것이다.
이렇게 되면, 서로 이웃한 픽셀블록(30)의 형상몸체(33,35)들이 서로 누르면서 약간 변형되고, 조립판(10)에 픽셀블록(30)들이 빽빽하게 채워질 수 있다. 이처럼 조립판(10)에 다수개의 픽셀블록(30)들이 빽빽하게 채워지면, 여백없는 픽셀아트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두 개의 조립홀(15)들의 사이(17)의 거리(G)는 1.4~2.0이고, 상기 결합몸체(31)의 폭(C)과의 차이(B-C)는 1.6 내지 2.4가 된다. 물론, 상기 두 개의 조립홀(15)들의 사이(17)의 거리(G)는 형상몸체(33,35)의 폭(B)과 상기 결합몸체(31)의 폭(C)과의 차이(B-C)와 같거나 더 클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조립판(10)과 픽셀블록(30)을 이용해서 사용자는 다양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 다수개의 픽셀블록(30)을 조립판(10)에 끼우면, 각각의 픽셀블록(30)은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면서 픽셀아트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을 보면, 다수개의 픽셀블록(30)으로 '김'이라는 글씨를 만든 것을 볼 수 있고, 도 6은 별모양의 픽셀아트가 구현된 예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다수개의 픽셀블록(30)을 긴 조립판(10)에 끼워서 전화번호 형태의 픽셀아트를 구현할 수도 있는데, 이는 자동차 번호판 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에서 조립판(10)의 조립홀(15)에는 픽셀블록(30)이 강제압입되는 방식으로 끼워져 조립되므로, 사용자는 픽셀블록(30)의 조립위치를 바꾸어가면서 다양한 픽셀아트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픽셀블록(30)을 끼워가면서 픽셀아트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완구와 인테리어소품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조립판 11: 판몸체
15: 조립홀 18: 비결합구간
30: 픽셀블록 31: 결합몸체
33: 제1형상 부 35: 제2형상부

Claims (10)

  1. 조립홀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조립판;
    상기 조립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조립홀에 끼워지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립홀의 상부 및 하부로 노출되는 픽셀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블록은
    상기 조립홀 안쪽에 위치하는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의 양쪽으로 각각 돌출되고, 상기 결합몸체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을 가지며,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형상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판 및 상기 픽셀블록은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되, 상기 조립판의 경도 보다 상기 픽셀블록의 경도가 더 높고,
    상기 조립홀의 폭은 상기 결합몸체의 폭 보다 좁으며,
    상기 조립판의 경도(M)와 상기 픽셀블록의 경도(N)의 비율(N/M)은 1.2 내지 2.3인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상몸체의 폭은 상기 조립홀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형상몸체는 상기 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홀의 높이는 상기 한 쌍의 형상몸체의 사이에 위치한 상기 결합몸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웃한 두 개의 조립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조립홀의 폭 보다 좁은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조립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형상몸체의 폭과 상기 결합몸체의 폭과의 차이 보다 작은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홀은 원형이고, 상기 픽셀블록은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셀블록의 한 쌍의 형상몸체는 서로 다른 형상이거나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판에는 상기 조립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조립홀이 생략된 비결합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비결합구간은 상기 조립홀의 폭보다 넓은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셀블록을 구성하는 상기 결합몸체와 상기 한 쌍의 형상몸체는 일체로 만들어지는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10. 삭제
KR1020200081596A 2020-07-02 2020-07-02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KR102246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596A KR102246871B1 (ko) 2020-07-02 2020-07-02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PCT/KR2021/007256 WO2022005040A1 (ko) 2020-07-02 2021-06-10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596A KR102246871B1 (ko) 2020-07-02 2020-07-02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871B1 true KR102246871B1 (ko) 2021-04-30

Family

ID=7574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596A KR102246871B1 (ko) 2020-07-02 2020-07-02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6871B1 (ko)
WO (1) WO202200504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5040A1 (ko) * 2020-07-02 2022-01-06 최주형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KR20230148089A (ko) 2022-04-15 2023-10-24 전효찬 블럭식 미술용구
KR20240019482A (ko) 2022-08-04 2024-02-14 박정권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모듈식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974A (ja) * 2001-04-19 2002-10-29 Mass-Set Co Ltd 組立式ブロック構造
JP3131292U (ja) 2007-02-15 2007-04-26 株式会社エポック社 ビーズ玩具セット
KR101635123B1 (ko) * 2015-04-08 2016-07-08 정인보 픽셀아트를 이용한 디자인 완구
KR20170107657A (ko) * 2016-03-16 2017-09-26 이용훈 컬러블록배치공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4030A (zh) * 2012-01-11 2013-07-17 徐建勇 嵌入式自助手工立体像素画
KR102246871B1 (ko) * 2020-07-02 2021-04-30 최주형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974A (ja) * 2001-04-19 2002-10-29 Mass-Set Co Ltd 組立式ブロック構造
JP3131292U (ja) 2007-02-15 2007-04-26 株式会社エポック社 ビーズ玩具セット
KR101635123B1 (ko) * 2015-04-08 2016-07-08 정인보 픽셀아트를 이용한 디자인 완구
KR20170107657A (ko) * 2016-03-16 2017-09-26 이용훈 컬러블록배치공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5040A1 (ko) * 2020-07-02 2022-01-06 최주형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KR20230148089A (ko) 2022-04-15 2023-10-24 전효찬 블럭식 미술용구
KR20240019482A (ko) 2022-08-04 2024-02-14 박정권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모듈식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05040A1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871B1 (ko)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JP3991235B2 (ja) 回転型磁石結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組立式玩具
US20210027642A1 (en) Interconnecting alphabet toy
US9573075B1 (en) Illuminated toy construction apparatus
CN112654406B (zh) 玩具构造套件以及组装这种玩具构造套件的方法
CN109568983A (zh) 建造组件的元件
KR20160128798A (ko) 조립용 교구
JP2016539774A (ja) 鎖および空間構造を作成するための接続可能部品
KR20080044985A (ko) 블록 완구 세트
CN107107655A (zh) 橡皮和具有橡皮的玩具搭建套件
KR102202501B1 (ko) 한글 학습장치
US20040253902A1 (en) Building toy set
KR102316584B1 (ko) 점자식 연결큐브 및 그 큐브를 이용한 학습방법
JP3153111U (ja) 組合せブロック玩具
KR20170028770A (ko) 탄성체로 이루어진 체결구를 갖는 조립식 블록
EP3383514B1 (en) Kit of construction elements
CN205434988U (zh) 可呈现不同图像的积木
CN114364439A (zh) 块体及组装玩具
KR200466210Y1 (ko) 칠교놀이 세트
US20180161688A1 (en) Soft building block assembly
KR101952036B1 (ko) 완구용 블럭
KR102567550B1 (ko) 종이 블록 놀이 기구
KR101410675B1 (ko) 분할형 조립식 완구 블럭 세트
KR20240000818U (ko) 조립용 완구 유닛
JP5386048B1 (ja) 算数学習教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